KR20110032167A - Water tank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ater tank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32167A KR20110032167A KR1020090089519A KR20090089519A KR20110032167A KR 20110032167 A KR20110032167 A KR 20110032167A KR 1020090089519 A KR1020090089519 A KR 1020090089519A KR 20090089519 A KR20090089519 A KR 20090089519A KR 20110032167 A KR20110032167 A KR 201100321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container
- water tank
- refrigerator
- dispens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1—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filter for the water/ice dispens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2—Geometry problem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94—With means for separating solid material from the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펜서용 물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조용기의 용량이 확대되도록 한 물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ank for a dispense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tank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so that the capacity of the auxiliary container is expanded.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서,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음식물이 저장되는 냉동실과, 상기 냉동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음식물이 저장되는 냉장실을 포함한다.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device for storing food at a low temperature, and includes a freezer compartment in which food is stored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in which food is stored at a relatively higher temperature than the freezer.
근래에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추가기능을 갖춘 냉장고가 개발 및 생산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가 다양한 구성으로 개발되고 있다.Recently, refrigerators with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have been developed and produced according to the needs of consumers, and recently, refrigerators with dispenser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configurations.
디스펜서(water dispenser)는 음용수를 자동으로 분배하는 장치로, 디스펜서는 수도 또는 기타 급수원과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음용수를 공급하거나 물탱크를 구비하여 물탱크의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A dispenser is a device for automatically dispensing drinking water. The dispenser is connected to a tap water or other water source to supply drinking water to a user or to provide a water tank to supply water to a user.
하지만, 물탱크의 물을 취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디스펜서의 경우에, 물탱크 용량을 크게하기 위해 물탱크를 높이 방향으로 크게 제작하면, 상대적으로 물이 취출되는 디스펜서의 위치가 낮아지게 되어 사용자가 심하게 허리를 굽혀 물을 취출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dispenser that draws water from the water tank and supplies it to the user, when the water tank is made large in the height direction to increase the water tank capacity, the position of the dispenser from which the water is drawn out becomes relatively low. There is a difficulty to bend the water severely bend ou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충분한 물탱크 용량이 확보된 디스펜서용 물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tank for a dispenser having a sufficient water tank capacity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또한, 사용자가 용이하게 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용 물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o provide a dispenser water tank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take out the water.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냉동실과,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냉장실과,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에 마련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물을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디스펜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는 물이 저수되는 저수용기와, 상기 저수용기에 주입되는 물을 정화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가 장착되는 필터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수용기 내부에 장착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보조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용기는 상기 보조용기의 용량이 확대되도록 상기 필터장착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frigerator includes a freezing compartment disposed at a relatively upper portion, a refrigerating chamber disposed at a relatively lower portion, a water tank provided at a refrigerating chamber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refrigerating chamber, and discharges water from the water tank to the outside. And a dispenser unit for discharging the water tank, the water tank including a reservoir for storing water, a filter unit for purifying water injected into the reservoir, and a filter mounting unit for mounting the filter unit. And an auxiliary container for partitioning a space, wherein the low container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outwar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ilter mounting part so that the capacity of the auxiliary container is enlarged.
상기 필터장착부는 상기 보조용기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필터부 및 필터장착부가 상기 저수용기를 침범하는 공간에 상응하여 상기 저수용기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ilter mounting part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ly of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the lower side of the low container corresponding to a space in which the filter part and the filter mounting part invade the low container.
상기 디스펜서부는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상기 냉장실도어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dispenser unit may be disposed above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so that a user may take out water without bending the waist.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필터부에서 정화된 물을 상기 저수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guide the purified water from the filter part into the inner space of the reservoir.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필터부에서 정화된 물이 흐르는 과정에서 이물을 걸러낼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in the course of flowing water purified by the filter unit.
상기 보조용기의 용량은 1.5리터 이상 2.5리터 이하일 수 있다.The auxiliary container may have a capacity of 1.5 liters or more and 2.5 liters or less.
상기 디스펜서부의 설치 높이는 상기 냉장고의 설치면에서 0.8미터 이상 1미터 이하일 수 있다.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dispenser may be 0.8 m or more and 1 m or less from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refrigerator.
상기 필터장착부는 상기 보조용기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저수용기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lter mounting part may be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protrusion may be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low container.
상기 물탱크는 물을 단속적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밸브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tank may further include a valve member for intermittently discharging water.
상기 물탱크는 상기 저수용기의 상부를 폐쇄하는 덮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tank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for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reservoir.
또한, 디스펜서용 물탱크는 물이 저수되는 저수용기와, 상기 저수용기에 주입되는 물을 정화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가 장착되는 필터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수용기 내부에 장착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보조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용기는 상기 보조용기의 용량이 확보되도록 상기 저수용기의 하면에 단차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용량 확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ter tank for the dispenser includes a low water reservoir in which water is stored, a filter unit for purifying water injected into the low water container, and a filter mounting unit in which the filter unit is mounted, and is mounted inside the water reservoir to partition a space. Includes an auxiliary container, wherein the low contain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pacity secured to protrude to be stepp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 container to ensure the capacity of the auxiliary container.
상기 필터장착부는 상기 보조용기의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용량 확보부는 상기 필터장착부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다.The filter mounting portion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capacity securing portion may accommodate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mounting portion.
상기 용량 확보부는 상기 필터부에서 정화된 물을 상기 저수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The capacity securing unit may guide the water purified by the filter unit to the inner space of the low container.
상기 용량 확보부는 상기 필터부에서 정화된 물이 흐르는 과정에서 이물을 걸러낼 수 있다.The capacity securing unit may filter foreign matter in the course of flowing water purified by the filter unit.
상기 보조용기의 용량은 1.5리터 이상 2.5리터 이하일 수 있다.The auxiliary container may have a capacity of 1.5 liters or more and 2.5 liters or less.
상기 저수용기의 용량은 3리터 이상 4리터 이하일 수 있다.The capacity of the low container may be 3 liters or more and 4 liters or les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물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저수용기의 하면에 돌출부를 형성시킴으로써, 물탱크의 용량이 확대될 수 있다.The dispenser water tank and the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form a protrus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 container, thereby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water tank.
또한, 물탱크의 용량이 확대되면서도 전체적인 물탱크의 높이를 작게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eight of the overall water tank while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water tank.
또한, 물탱크의 높이가 작아짐에 따라 디스펜서부가 상대적으로 냉장실 도어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물을 취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height of the water tank becomes smaller, the dispenser portion is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relativel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take out the wat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냉장실도어에 물탱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물탱크가 장착된 디스펜서부의 상세 단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of Figure 1,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tank is mount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Figure 4 is a water tank Detailed sectional view of the mounted dispenser unit.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중간격벽(15)에 의해 상호 구획되는 냉동실(20) 및 냉장실(30)을 갖는 본체(10)를 포함한다.1 and 2, the
냉동실(20) 및 냉장실(30)은 전면이 개방되며,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냉동실(20)은 냉동실도어(40)에 의해 개폐되고,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냉장실(30)은 냉장실도어(50)에 의해 개폐된다. The
냉동실(20) 및 냉장실(30) 내부에는 저장물을 얹어 놓기 위한 선반(25, 35)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At least one
냉동실(20)의 내측 후방에는 냉동실(20)의 냉각을 위한 냉동실증발기(21)와 냉동실(20)의 냉기순환을 위한 냉동실순환팬(22)이 설치된다. 그리고, 냉장실(30) 내측 후방에는 냉장실(30)의 냉각을 위한 냉장실증발기(31)와 냉장실(30)의 냉기 순환을 위한 냉장실순환팬(32)이 설치된다. 미설명부호 12는 냉동실증발기(21) 및 냉장실증발기(31)에 공급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나타낸다.An inner rear of the
냉동실도어(40) 및 냉장실도어(50)는 좌우로 회동되어 냉동실(20) 및 냉장실(30)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1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냉동실도어(40) 및 냉장실도어(50)의 내측에는 저장물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수납부(27, 37)가 형성된다.Inside the
본 실시예의 냉동실, 냉장실 및 각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배치 및 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The layout and structure of the freezer compartment,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doors that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s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exemplary,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도어(50)의 전면 상부에는 냉장실도어(50)를 개방하지 않고 물을 단속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디스펜서부(200)가 마련되고, 냉장실도어(50)의 내측 상부에는 디스펜서부(20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100)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다.3 and 4, the
디스펜서부(200)는 냉장실도어(5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급수부(220)와, 물이 배출되도록 가압하는 레버부(240)를 포함한다.The
급수부(220)는 물탱크(100)의 밸브부재(190)가 결합하며, 안착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물탱크(100)의 밸브부재(190)와 디스펜서부(200)를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The
레버부(240)는 사용자가 가압하여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측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하측에는 사용자가 컵 등을 이용하여 가압할 수 있도록 소정크기의 누름부(242)가 형성된다.The
사용자가 컵 등을 이용하여 레버부(240)를 누르면, 레버부(240)가 회전하면서 밸브부재(190)를 가압하게 되고, 밸브부재(190)가 개방되어 물탱크(100)의 물이 냉장실도어(50)의 전면으로 배출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또한, 레버부(200)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레버부(240)가 회전하면서 원상태로 복귀되고, 밸브부재(190)도 내부의 탄성스프링(미도시)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밸브부재(190)가 폐쇄된다.In addition,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이와 같이 레버부를 이용하여 물탱크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구성은 상기와 같은 기구적 구성뿐만 아니라 레버부 대신 스위치를 마련하고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른 전기적 신호에 따라 밸브부재를 온/오프하는 구성이 가능함은 물론이다.Thus, the configuration for discharg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using the lever unit is configured to provide a switch in place of the lever unit as well as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nd to turn on / off the valve member according to the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on / off of the switch. Of course this is possible.
이하에서는 물탱크(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도 5a는 물탱크의 상세 사시도이고, 도 5b는 물탱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c는 물탱크의 배면도이고, 도 5d는 물탱크의 정면도이다.Figure 5a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tank, Figure 5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tank, Figure 5c is a rear view of the water tank, Figure 5d is a front view of the water tank.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10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서, 물이 저수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저수용기(110)와, 저수용기(110)에 주입되는 물을 정화하는 필터부(140)와, 저수용기(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저수용기(11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보조용기(130)와, 저수용기(110)의 상부를 폐쇄하는 덮개부재(1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5A to 5D, the
저수용기(110)는 상부에 개구부(110a)가 형성되며 소정의 저수용량을 가지도록 마련되는데, 냉장실도어(50)의 배면에 장착되는 경우 저수용량은 3리터 이상 4리터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때 냉장실(30) 측으로 과도하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높이 및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저수용기(110)의 중앙부 하면에는 돌출부(120)가 형성된다. 돌출부(120)에 대해서는 필터부(140) 및 필터장착부(135)와 관련해서 자세히 후술한다.The
저수용기(110)의 하측 전면에는 밸브부재(190)가 마련된다. 밸브부재(190)는 디스펜서부(200)의 급수부(220)와 결합하며, 물을 단속적으로 외부로 배출한다. 밸브부재(190)를 통한 물의 배출은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레버부(240)의 동작과 연동하여 이루어지게 된다.The
저수용기(110)의 내부에는 보조용기(130)가 장착된다. 보조용기(130)는 저수용기(110)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고, 물을 저장하였다가 필터부(140)를 통해 정화해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저수용기(110) 내로 유입된 물은 보조용기(130)에 의해 구획된 제1저수부(137)에 유입되고, 필터부(14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제2저수부(117)에 저수된다. 보조용기(130)의 저수 용량은 1.5 리터 이상 2.5리터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보조용기(130)를 상하 방향으로 확대시켜 용량을 늘인 것으로, 보조용기(130)의 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후술하게 되는 저수용기(110)의 돌출부(120)가 형성되게 된 것이다.An
보조용기(130)는 필터부(140)가 장착되는 필터장착부(135)를 포함하는데, 필터장착부(135)는 필터부(14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필터장착부(135)는 보조용기(130)의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The
필터부(140)는 물탱크(100)에 주입되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필터제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물을 정화하기 위한 단품 형태의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채용될 수 있다. 필터부(140)는 보조용기(130)의 필터장착부(135)에 삽입된 채로 제1저수부(137)에 저수된 물을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한다.The
저수용기(110)의 돌출부(120)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필터장착부(135)의 형상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저수용기(110)의 하면과 단차지도록 형성된다.The
돌출부(120)는 필터장착부(135)의 하부를 수용하게 되는데, 이는 보조용기(130)의 용량을 상하 방향으로 확대시킴에 따라 저수용기(110)의 전체적인 높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저수용기(110)의 하면 일부분 만을 돌출부(120)로 형성한 것이다. 즉, 보조용기(130)의 용량을 확대시키기 위해 보조용기(130)의 제1저수부(137) 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늘이면서 필터부(140) 및 필터장착부(135)가 저수용기(110)를 침범하게 되는 공간 부분이 하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부(120)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돌출부(120)는 부족할 수 있는 보조용기(130)의 용량을 확보 시킨다는 측면에서 보조용기(130)의 용량 확보부이다.The
이렇게 저수용기(110)에 돌출부(120)를 형성하는 이유는 냉장실도어(50) 이면의 물탱크(100) 장착 공간의 높이를 늘이지 않으면서도 보조용기(130)의 용량을 확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물탱크(100) 장착 공간의 상하 방향 길이가 늘어나게 되면, 그 만큼 디스펜서부(200)의 설치위치도 냉장실도어(50)의 하측에 배치되게 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허리를 심하게 굽혀야 디스펜서부(200)를 이용하여 물을 취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또한, 돌출부(120)는 필터부(140)에서 정화된 물을 저수용기(110)의 제2저수부(117) 공간에 골고루 퍼지도록 가이드한다.In addition, the
또한, 돌출부(120)에서는 일시적으로 물이 수용되었다가 제2저수부(117)로 퍼져 나가게 되는데, 물에 포함된 이물은 돌출부(120) 내부를 탈출하지 못하고 돌출부(120) 내부에서 정체하게 된다. 따라서, 돌출부(120)는 물에 포함된 이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저수용기(110)의 상부에는 덮개부재(150)가 마련된다. 덮개부재(150)는 저수용기(110)의 개구부(110a)를 덮어 폐쇄하며, 이물질이 저수용기(11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덮개부재(150)는 중앙부에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 주입구(153)와, 주입구(153)를 개폐하는 캡부재(155)를 포함한다.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물탱크(100) 및 냉장고(1)를 이용한 물 취출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xtraction of water using the
도 6은 물을 취출하는 경우 물탱크 내부의 흐름을 보인 상세 단면도이고, 도 7은 사용자가 디스펜서부를 이용해 물을 취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low inside the water tank when taking out water, and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aking out water by using a dispenser.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캡부재(155)를 열고 주입구(153)를 통하여 보조용기(130)의 제1저수부(137)에 물을 주입하면, 물은 하방으로 돌출된 필터장착부(135)로 흘러 필터부(140) 내부를 통과하면서 정화된다.6 and 7, when the user opens the
정화된 물은 돌출부(120)를 일시적으로 거쳐 제2저수부(117) 내부 공간으로 골고루 퍼지게 된다. 이 때 돌출부(120)는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정화된 물을 제2저수부(117) 내부 공간으로 가이드하며, 물에 포함된 이물을 걸러내는 역할도 하게 된다.The purified water is evenly spread through the
그리고, 사용자가 컵 등을 이용하여 디스펜서부(200)의 레버부(240)를 누르면 저수용기(110)의 제2저수부(117) 공간 내부의 정화된 물은 밸브부재(190)를 통하여 사용자의 컵으로 배출된다. 이때 디스펜서부(200)는 냉장고(1)의 설치면으로부터 높이가 "H"인 위치에 배치된다. 높이 "H"는 사용자가 허리를 심하게 굽히지 않고도 팔을 뻗어 컵으로 레버부(240)를 누를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서, 0.8미터 이상 1미터 이하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디스펜서부(200)를 통하여 물을 취출할 수 있게 된다.Then, when the user presses the
종래에 하부에 냉장실이 배치된 냉장고에 있어서 냉장실도어 이면의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취출하는 경우, 디스펜서를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적절한 높이에 배치시키면 물탱크의 용량이 부족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물탱크의 용량을 늘여서 크게하면 디스펜서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냉장실도어 하측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발생하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In a refrigerator having a refrigerating compartment in the lower part of the related art,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on the rear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is dispensed using a dispenser, the capacity of the water tank becomes insufficient when the dispenser is placed at an appropriate height for the user to use. Is generated, and the capacity of the water tank is increased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position of the dispenser is relatively disposed at the lower 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the user to u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100)는 용량을 늘이면서도 디스펜서부(200)의 위치는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한 높이에 배치되게 한 것이다.The
또한, 디스펜서부(200)가 냉장실도어(50)의 상측에 배치되므로, 디자인상 미려한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도 3은 냉장실도어에 물탱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tank is mounted on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도 4는 물탱크가 장착된 디스펜서부의 상세 단면도이다.4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enser unit in which the water tank is mounted.
도 5a 내지 도 5d는 물탱크의 상세도이다.5A to 5D are detailed views of the water tank.
도 6은 물을 취출하는 경우 물탱크 내부의 흐름을 보인 상세 단면도이다.6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low inside the water tank when taking out water.
도 7은 사용자가 디스펜서부를 이용해 물을 취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aking out water by using a dispenser uni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 : 냉장고 10 : 본체1: refrigerator 10: body
20 : 냉동실 30 : 냉장실20: freezer 30: cold storage room
100 : 물탱크 110 : 저수용기100: water tank 110: water reservoir
130 : 보조용기 150 : 덮개부재130: auxiliary container 150: cover member
190 : 밸브부재 200 : 디스펜서부190
240 : 레버부240: lever portion
Claims (16)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9519A KR20110032167A (en) | 2009-09-22 | 2009-09-22 | Water tank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US12/805,629 US20110067433A1 (en) | 2009-09-22 | 2010-08-10 | Water tank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DE102010039801A DE102010039801A1 (en) | 2009-09-22 | 2010-08-26 | Water tank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with water tank for dispens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9519A KR20110032167A (en) | 2009-09-22 | 2009-09-22 | Water tank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2167A true KR20110032167A (en) | 2011-03-30 |
Family
ID=43603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89519A KR20110032167A (en) | 2009-09-22 | 2009-09-22 | Water tank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10067433A1 (en) |
KR (1) | KR20110032167A (en) |
DE (1) | DE102010039801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30317A (en) * | 2012-05-22 | 2013-12-02 |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 Cool air supply structure of french type refrigerat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97454A (en) * | 2011-02-22 | 2012-09-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having attachable and removeable purifying filter portion |
KR20140116092A (en) | 2011-12-09 | 2014-10-01 |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인코퍼레이티드 | Refrigerator with automatic liquid dispenser |
US9890029B2 (en) | 2011-12-09 | 2018-02-13 |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 Refrigerator with automatic liquid dispenser |
PL2690386T3 (en) | 2012-07-25 | 2019-09-30 | BSH Hausgeräte GmbH | A cooling device having a water dispenser |
EP2979048A1 (en) * | 2013-03-29 | 2016-02-03 | BSH Hausgeräte GmbH | A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reservoir fed with a liquid |
KR102076530B1 (en) * | 2013-06-17 | 2020-02-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Water filter cartridge for Refrigerator |
WO2015144244A1 (en) | 2014-03-28 | 2015-10-01 | Arcelik Anonim Sirketi | Check valve assembly with improved safety for use in a water dispenser and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the same |
KR101612703B1 (en) * | 2014-07-31 | 2016-04-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CN105371576B (en) * | 2015-12-01 | 2018-02-02 |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 Door of refrigerator body component and there is its refrigerator |
US20170284722A1 (en) * | 2016-03-31 | 2017-10-05 | General Electric Company | Filters for Non-Plumbed Appliances |
US10758080B2 (en) * | 2017-06-01 | 2020-09-01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Refrigerator appliance and extraction fluid assembly |
US11112159B2 (en) | 2018-08-01 | 2021-09-07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BR102019015737A2 (en) | 2018-08-01 | 2020-02-18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13246A (en) * | 1995-12-05 | 1998-09-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ater dispenser for a refrigerator |
US6574984B1 (en) * | 2002-02-07 | 2003-06-10 | Camco Inc. | Refrigerator door mounted water dispensing assembly |
US20070194053A1 (en) * | 2002-04-26 | 2007-08-23 | Heiner Ophardt | Fire resistant container system |
KR101466659B1 (en) * | 2007-11-20 | 2014-12-0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Water tank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US8177966B2 (en) * | 2009-02-25 | 2012-05-15 | Mr. Chiaphua Industries Limited | UV liquid storage and dispensing device |
-
2009
- 2009-09-22 KR KR1020090089519A patent/KR20110032167A/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10
- 2010-08-10 US US12/805,629 patent/US2011006743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08-26 DE DE102010039801A patent/DE102010039801A1/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30317A (en) * | 2012-05-22 | 2013-12-02 |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 Cool air supply structure of french type refriger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10067433A1 (en) | 2011-03-24 |
DE102010039801A1 (en) | 2011-03-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032167A (en) | Water tank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US9222722B2 (en) | Refrigerator and water tank assembly for refrigerator | |
KR101466659B1 (en) | Water tank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KR100488074B1 (en) | Door structure of refrigerator | |
US6810682B1 (en) | Refrigerator with internal water dispenser | |
US7007500B2 (en) | Dispenser of refrigerator | |
EP2194348B1 (en) | Refrigerator | |
US7921668B2 (en) | Refrigerator having controlled ice maker and dispenser | |
EP2407737A2 (en) | Refrigerator | |
AU2010283082B2 (en) | Refrigerator | |
US7934389B2 (en) | Ice tray assembly for refrigerator | |
US20070012061A1 (en) | Ice mold supply system for refrigeration appliances | |
KR20100102048A (en) | Refrigerator | |
KR20040082516A (en) | Structure for holding leftover water from a refrigerator dispenser | |
EP2024697B1 (en) | Refrigerator | |
CN116057340A (en) |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 |
EP2496899B1 (en) | Refrigerator and water tank for refrigerator | |
KR100991543B1 (en) | Refrigerator's ice or water extractor | |
KR100848918B1 (en) | A Refrigerator | |
KR20110072369A (en) | Refrigerator | |
KR20130017003A (en) | Refrigerator | |
KR100705197B1 (en) | Water supply tube of dispenser for refrigerator | |
KR100727129B1 (en) | Refrigerator | |
KR20040058886A (en) | Dispenser in refrigerator | |
KR100598390B1 (en) |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