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108U - 조난 선박 표시기 - Google Patents
조난 선박 표시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11108U KR20110011108U KR2020100005418U KR20100005418U KR20110011108U KR 20110011108 U KR20110011108 U KR 20110011108U KR 2020100005418 U KR2020100005418 U KR 2020100005418U KR 20100005418 U KR20100005418 U KR 20100005418U KR 20110011108 U KR20110011108 U KR 2011001110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ip
- distress
- buoy
- cradle
- indicato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9429 distress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8 flo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923 long-la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B63B22/08—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having means to release or urge to the surface a buoy on submergence thereof, e.g. to mark location of a sunken obje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B63B22/08—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having means to release or urge to the surface a buoy on submergence thereof, e.g. to mark location of a sunken object
- B63B22/14—Buoy-to-object securing means responsive to hydrostatic pres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6—Mean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underwater objects, e.g. sunken vessel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02—Distress signalling devices, e.g. rescue ballo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조난 선박 표시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시한부 전원을 이용해 작동되는 전기, 전자적 조난신호기 대신에 선박 조난시 다양한 해상 및 수중 환경에서도 신뢰성 있게 반영구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무전원방식 조난 선박 표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은 선박에 장치된 거치대와; 둘레에 스톱퍼가 형성되어 거치대의 상측에 걸쳐지고, 선박 침몰시 자동으로 수면위로 부상되는 부표와; 거치대 내부에 설치되어, 부표 일측과 연결된 줄이 선박 침몰시 풀리도록 감겨진 릴과; 릴을 회전시키는 회전축과; 회전축 양단에 설치되어 회전마찰을 저감하는베어링과; 양측에 설치된 베어링을 고정지지하고 하부는 거치대와 고정된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조난 선박 표시기를 고안의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구성은 선박에 장치된 거치대와; 둘레에 스톱퍼가 형성되어 거치대의 상측에 걸쳐지고, 선박 침몰시 자동으로 수면위로 부상되는 부표와; 거치대 내부에 설치되어, 부표 일측과 연결된 줄이 선박 침몰시 풀리도록 감겨진 릴과; 릴을 회전시키는 회전축과; 회전축 양단에 설치되어 회전마찰을 저감하는베어링과; 양측에 설치된 베어링을 고정지지하고 하부는 거치대와 고정된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조난 선박 표시기를 고안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난 선박 표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침몰과 같은 조난시 전자 또는 전기식 장치 없이 반영구적으로 선박의 조난위치를 표시토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침몰과 같은 해양 조난사고시 조난 위치를 알리는 방법으로 통상 선박위치정보서비스 또는 선박자동식별장치 등이 있다.
선박위치정보서비스(Vessel Monitoring Service)의 경우 선박의 위치 및 이동경로 등을 인터넷을 통하여 사무실 PC에서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로서 VMS 서버와 육상 지구국을 통하여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VMS는 자동으로위치정보를 선박으로부터 가져올 수 있어, 그동안 선박에서 수시로 선박위치를 팩스나 텔렉스를 통하여 수동으로 보내 주던 역할을 대치 할 수 있고 VMS 서버에서 데이타를 축적,관리 할 수 있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선박자동식별장치(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는 항행중 선박의 명세, 위치, 항적 등 항해정보 자동인식 장치로서 150톤이상 여객선, 300톤이상 외항선 및 총톤수 500톤이상 내항선, 길이 45미터이상 어선, 폐기물운반선, 위험물운반선 등에 설치되며 VHF대역의 고출력 장비를 구비해야 한다.
또한 해상 조난시 인명구조에 활용되는 선박용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가 있는데, 이는 선박이 침몰하면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수면 위로 떠올라 조난신호를 위성을 통해 구조기관에 송출해 조난 물체의 위치와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해 주는 장치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장치들은 장치를 구동하는 전원의 한계성이 있어서, 그 내장된 전원의 구동시간을 벗어나게 되면 작동불능상태에 빠지게 된다는 문제점과,
또한 침몰시 정교한 장치가 손상을 입게 되면 작동 불능상태에 빠진다는 문제점과,
또한 침몰시 해저로 같이 침몰하게 되면 해저에서는 전파도달이 미약하여 에너지 소모가 급격히 떨어지고, 전파 수신이 불가능할수 있다는 구조적 문제점과,
또한 침몰시 수밀 능력이 떨어져 작동불능상태에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과.
또한 침몰 깊이가 클 경우 수압에 의해 파손될 수 있다는 등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들은 다양한 해상 및 수중환경에 대응하여 침몰 선박에 대한 확실한 조난신호기 역할을 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시한부 전원을 이용해 작동되는 전기, 전자적 조난신호기 대신에 선박 조난시 다양한 해상 및 수중 환경에서도 신뢰성 있게 반영구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무전원방식 조난 선박 표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선박 침몰과 동시에 부력에 의해 부표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수면 위로 떠오르도록 구성된 조난 선박 표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난 선박 표시기를 구성하는 부표에 금속 성분이 포함되어 수면으로 떠오르거나 수중에 있더라도 해상 초계기 등의 MAD(Magnetic Anomaly Detector) 탐색시 자기장이 검출되도록 한 조난 선박 표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난 선박 표시기를 구성하는 부표에 유색의 축광물질이 도포되어 수면으로 떠오를 경우 주간 또는 야간에 항시 식별되도록 한 조난 선박 표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고안은 선박에 장치된 거치대와; 둘레에 스톱퍼가 형성되어 거치대의 상측에 걸쳐지고, 선박 침몰시 자동으로 수면위로 부상되는 부표와; 거치대 내부에 설치되어, 부표 일측과 연결된 줄이 선박 침몰시 풀리도록 감겨진 릴과; 릴을 회전시키는 회전축과; 회전축 양단에 설치되어 회전마찰을 저감하는 베어링과; 양측에 설치된 베어링을 고정지지하고 하부는 거치대와 고정된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 선박 표시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부표의 재질은 자체 부력을 가진 합성수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부표는 합성수지재와 혼합조성된 금속물질 또는 별도의 금속물질층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부표의 외부 표면에는 유색축광층이 도포되며, 부표의 상부면에는 선박명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선박시 침몰등의 조난시 전기 전자적 조난신호를 송출하는 구성과, 이를 구동하는 전원이 필요없어 다양한 해상 및 수중 환경에서도 신뢰성 있게 반영구적으로 작동될 수 있어 침몰선박의 위치를 탐지할 수 있다는 장점과,
선박 침몰과 동시에 부력에 의해 조난 선박 표시기를 구성하는 부표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수면위로 떠올라 구조기나 구조선에 쉽게 그 위치가 식별된다는 장점과,
또한 조난 선박 표시기를 구성하는 부표에 금속 성분이 포함되어 수면으로 떠오르거나 수중에 있더라도 해상초계기 등의 MAD(Magnetic Anomaly Detector) 탐색시 자기장이 검출되어 쉽게 식별 된다는 장점과,
또한 조난 선박 표시기를 구성하는 부표에 유색의 축광물질이 도포되어 수면으로 떠오를 경우 주간 또는 야간에 항시 식별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져 수중의 선박 위치를 신속히 찾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에 따라 상선이나 군함정이 기상악화나 외부의 공격으로 침몰했을 경우 선체와 줄로 연결된 부표가 부력에 의해 수면위로 떠올라 수중에 침몰한 선박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고, 혹 격벽 등으로 견고하게 수밀구조를 가지는 군함정 같은 경우는 생존자를 구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유용한 고안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난 선박 표시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난 선박 표시기의 작동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난 선박 표시기의 작동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난 선박 표시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조난 선박 표시기의 구성은 선박의 선미 또는 선수 또는 기타 노출된 공간에 고정설치된 원통형 거치대(1)가 구비된다. 원통형 거치대(1)는 하부면이 선박과 항시 고정되게 설치되도록 볼트너트결합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고정됨으로써 조난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부표가 수면에 노출되면 그 하부 수중에 침몰한 선박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게 된다. 물론 여기서는 한실시예에 따라 거치대(1)의 형상을 원통형으로 하였지만 사각통형 또는 다각통형으로 구성해도 된다. 단지 원통형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원통형 거치대(1)의 내부 공간에는 줄(2)이 감긴 릴(Reel, 3)과, 릴을 회전시키는 회전축(4)과, 회전축 양단에 설치되어 회전마찰을 저감하는 베어링(5)과, 양측에 설치된 베어링을 고정지지하고, 하부 면상 부재는 원통형거치대(1)와 면접촉하여 볼트너트결합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 지지대(6)가 내장되어 장치된다.
상기 릴에 감긴 줄은 일측단은 릴에 고정되고 일측단은 부표에 고정되게 설치되는데, 그 재질은 낚시줄 또는 기타 합성수지재 줄과 같이 인장강도가 우수한 줄을 사용한다. 만약 강도만 좋고 인장력이 작은 줄을 사용하면 부표와 선체에 고정된 원통형거치대간이 팽팽하게 인장력이 가해지게 되면 끊어져 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재질의 줄을 사용함으로써 줄의 무게가 부표보다 작게 되어 예를 들어 수백m 정도(줄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그 길이가 여러 길이로 사용할 수 있음)의 길이를 가진 줄이 릴에 감긴다 하더라도 부표가 가라앉지 않게 된다. 만약 로프와 같은 중량을 가진 줄을 사용한다면 그 무게가 너무 커 부표가 가라앉게 된다.
상기 릴에 감긴 줄의 일측단과 고정되어 거치대의 상측에 걸쳐져 설치된 부표(7)는 부력을 가진 부재로 구성되면 충분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구형부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구형으로 할 경우 수중에 침수된다 하더라도 부표에 다양한 압력 변동이 가해질 경우에도 외력에 대한 복원력이 우수하여 안정적인 부상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또한 부표의 재질은 탄성력을 가진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한다. 여기서 합성수자재의 종류는 특정하지 않는다. 다만 부력을 가진 합성수지재이면 충분하다. 이와 같이 부표가 자체 부력을 가지기 때문에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지 않아도 부상하게 된다. 물론 내부에 공기를 넣어도 되나, 기본 부력은 부표 재질 자체에 있도록 해야 한다. 만약 부표가 수중에 어느정도 침수되더라도 공기에 의한 부력 제공이 아니기 때문에 혹 파손된다 하더라도 자체 부력으로 부상하기 때문이다.
또한 부표에는 금속물질(8)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금속물질은 부표를 구성하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와 혼합조성하여 구성해도 되고, 내부에 별도의 층으로 구성해도 된다. 여기서 금속물질이라함은 자기장이 검출될수 있는 철성분과 같은 금속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자기장이 검출될수 있는 금속 성분은 어떤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그 형태는 분말형태 또는 조각 철편형태와 같은 작은 금속 조각이면 된다. 하지만 구형 부표의 부력을 저감시켜 수면위 부상이 힘들 정도로 많이 포함시키면 안된다.
이와 같이 금속물질을 구비하는 것은 별도의 위치 송출 구성을 구비하지 않은 본 고안의 조난선박표시기가 해상 초계기 등의 MAD(Magnetic Anomaly Detector) 탐색시 자기장이 검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부표의 중심부에는 스톱퍼(9)가 형성되어 원통형 거치대(1)에 빠지지 않고 거치되도록 구성하였다. 스톱퍼를 구형부표에 설치한 이유는 별도의 고정장치를 구비하여 구형 부표의 움직임을 단속하게 되면, 별도의 해제작업이 없으면 침수시 자동적으로 부력에 의한 부상이 어려워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와 같이 스톱퍼가 형성되어 걸쳐진 형태라면 언제든지 위급시 자동으로 자체 부력에 의해 부상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조난선박표시기 역할을 달성하게 된다.
또한 구형 부표의 외부 표면에는 유색축광층(10)을 도포한다. 이와 같이 축광도료를 도포하면 태양빛이 있을때 축광하여 야간에 자체 발광을 하기 때문이다. 이때 축광도료를 유색으로 한 이유는 주간에 식별되기 위함이다. 당연하지만 바다색과는 다른 색 특히 보색관계로 도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축광물질은 축광력이 오래 지속되는 상용 축광물질을 사용하여 도포하면 되고, 물과 접촉함으로 비수용성인 것을 사용하면 된다.
또한 부표의 상부면에는 선박명함(11)을 설치하거나 인쇄하여 구비한다. 이와 같은 선박명함에 선박 정보를 표시해 놓으면 확실한 침몰 선박의 정보를 얻게 되기 때문이다.
이하 도 2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조난 선박 표시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난 선박 표시기는 평소에는 선박의 선미나 선수 또는 기타 노출된 곳에 설치되어 있다가 기상악화나 외부의 공격으로 선박이 침몰했을 경우 선체에 고정된 원통형 거치대에 걸쳐져 있던 부표가 부력에 의해 수면위로 상승하게 되고, 이때 줄이 풀리면서 부표와 선박간이 연결되게 된다. 상승된 부표는 주간 또는 야간에는 유색축광도료에 의해 식별력을 가지게 되고, 또한 부표에 포함된 금속물질에 의해 해상 초계기 등의 MAD(Magnetic Anomaly Detector) 탐색시 자기장이 검출되어 그 위치가 식별되게 된다. 또한 부표가 인양되게 되면 선박명함에 의해 침몰한 선박의 정확한 정보를 얻게 된다. 또한 인양된 부표의 줄을 따라 가면 선박의 침몰 위치에 다다르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거치대 (2) : 줄
(3) : 릴 (4) : 회전축
(5) : 베어링 (6) : 지지대
(7) : 부표 (8) : 금속물질
(9) : 스톱퍼 (10) : 유색축광층
(11) : 선박명함
(1) : 거치대 (2) : 줄
(3) : 릴 (4) : 회전축
(5) : 베어링 (6) : 지지대
(7) : 부표 (8) : 금속물질
(9) : 스톱퍼 (10) : 유색축광층
(11) : 선박명함
Claims (3)
- 선박에 장치된 거치대와;
둘레에 스톱퍼가 형성되어 거치대의 상측에 걸쳐지고, 선박 침몰시 자동으로 수면위로 부상되는 부표와;
거치대 내부에 설치되어, 부표 일측과 연결된 줄이 선박 침몰시 풀리도록 감겨진 릴과;
릴을 회전시키는 회전축과;
회전축 양단에 설치되어 회전마찰을 저감하는 베어링과;
양측에 설치된 베어링을 고정지지하고 하부는 거치대와 고정된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 선박 표시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표의 재질은 자체 부력을 가진 합성수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 선박 표시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표는 합성수지재와 혼합조성된 금속물질 또는 별도의 금속물질층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부표의 외부 표면에는 유색축광층이 도포되며, 부표의 상부면에는 선박명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 선박 표시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5418U KR20110011108U (ko) | 2010-05-25 | 2010-05-25 | 조난 선박 표시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5418U KR20110011108U (ko) | 2010-05-25 | 2010-05-25 | 조난 선박 표시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1108U true KR20110011108U (ko) | 2011-12-01 |
Family
ID=7288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5418U KR20110011108U (ko) | 2010-05-25 | 2010-05-25 | 조난 선박 표시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11108U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9782B1 (ko) * | 2012-10-15 | 2014-07-17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해양용 강제 회수장치 |
CN109733540A (zh) * | 2019-02-19 | 2019-05-10 |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二研究所) | 一种大深度载人潜水器应急浮标释放装置 |
KR102120944B1 (ko) | 2019-11-27 | 2020-06-09 |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 침선 신호 발생 장치 |
-
2010
- 2010-05-25 KR KR2020100005418U patent/KR20110011108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9782B1 (ko) * | 2012-10-15 | 2014-07-17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해양용 강제 회수장치 |
CN109733540A (zh) * | 2019-02-19 | 2019-05-10 |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二研究所) | 一种大深度载人潜水器应急浮标释放装置 |
KR102120944B1 (ko) | 2019-11-27 | 2020-06-09 |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 침선 신호 발생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7685B1 (ko) | 해양 관측용 부이 | |
He et al. | Technologies for the marking of fishing gear to identify gear components entangled on marine animals and to reduce abandoned, lost or otherwise discarded fishing gear | |
JP7109796B2 (ja) | 海中ブイを防護するためのシステム | |
KR100958870B1 (ko) | 해양 관측용 부이 | |
KR100848032B1 (ko) | 해양 관측용 부이 | |
EP3159255A1 (en) | Ocean data measurement system | |
JP2020508928A (ja) | 自動離脱式危険表示浮標 | |
KR20110011108U (ko) | 조난 선박 표시기 | |
US5350330A (en) | Floating marker for an anchor line | |
KR101019657B1 (ko) | 음파 유속계의 계류 장치 | |
KR20050013463A (ko) | 침몰선박 최종 위치확인 및 인양장치 | |
CN202631739U (zh) | 一种船用上浮式北斗数据记录仪 | |
KR20160049552A (ko) | 신재생에너지 부표 | |
EP2990323B1 (en) | Remote-controlled buoy | |
CN209938880U (zh) | 一种防渔船破坏的海洋潜标系统 | |
KR102701382B1 (ko) | 조립식 부이 | |
CN2692026Y (zh) | 沉船事故地点标示浮球 | |
CN217022806U (zh) | 一种移动航标 | |
JPS582112B2 (ja) | フネノキユウメイソウチ | |
KR100390858B1 (ko) | 해양관측을 위한 계류표시 부이 | |
RU90040U1 (ru) | Всплывающий буй | |
Allen et al. | Field determination of the leeway of drifting objects | |
JP2012236445A (ja) | 係留ブイシステム、係留ブイ、および係留索の張力算出方法 | |
KR200379254Y1 (ko) | 어망의 도난 방지 및 회수의 편리성을 위한 부구 | |
CN113815783A (zh) | 一种移动航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525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20117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2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