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235U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containers - Google Patents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contain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09235U KR20110009235U KR2020100002980U KR20100002980U KR20110009235U KR 20110009235 U KR20110009235 U KR 20110009235U KR 2020100002980 U KR2020100002980 U KR 2020100002980U KR 20100002980 U KR20100002980 U KR 20100002980U KR 20110009235 U KR20110009235 U KR 2011000923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ltivation
- container
- nutrient solution
- tank
- pla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5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05 Brassica oleracea var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98479 Cichorium intyb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542 Cichorium intyb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122 Cucurbi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620 Fagopyrum esculen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19 Fagopyrum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415 Lactuc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228 Lactuc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88415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84 green leafy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5—Special apparatus therefor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nutritive solu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00—Plant husbandry
- Y10S47/06—Plant growth regulation by control of light there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고안은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와 단열된 컨테이너 내부에 재배실이 분할 구획되고, 재배실 내부를 단열시킴과 아울러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광량,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량, 양액 공급량들을 인조광원, 공기조화부 및 양액 공급부를 통해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남극과 같은 극한 지역 및 외항선 등에서도 효과적으로 채소류의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container, in which a cultivation chamber is divided and partitioned inside the container, which is insulated from the outside, and insulates the cultivation chamber, and the amount of light, temperature, humidity, carbon dioxide, and nutrient solution required for plant growth. By allowing them to automatically adjust through artificial light source, air conditioning unit and nutrient solution supply, it has the effect of effectively cultivating vegetation plants in extreme areas such as Antarctica and outer port.
Description
본 고안은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이동이 편리하고 식물 재배가 어려운 극한 지역에서도 채소류 등의 식물들을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제작된 식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manufactured so that plants, such as vegetables, can be efficiently cultivated even in an extreme region in which it is easy to move and cultivate plants using a container. will be.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대두되면서, 무농약, 무공해 농산물을 계절에 상관없이 생산이 가능하도록 컨테이너를 이용한 공장형 식물 재배 장치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As is well known, with the recent safety issues for agricultural products,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a plant-typ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containers to enable the production of pesticide-free and pollution-free agricultural products regardless of season is increasing.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6-0030031호에서는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밀폐된 공간에서 수경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밀폐형 수경 재배 장치 및 방법"이 게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11225호에서는 "컨테이너형 수경 재배 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996-0030031 discloses a "sealed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hydroponic cultivation in an enclosed space using a container, and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2-0011225" contained hydroponic cultivation " Device "is published.
그러나, 상기에 개발된 종래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들의 경우 식물 재배에 따른 광원, 양액 공급,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의 공급등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아 효율적으로 건전하게 식물을 재배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However,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conventional container developed above is not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light source, nutrient supply, temperature, humidity, carbon dioxide supply, etc. according to the plant cultivation, so that the plant is grown efficiently and soundly. It does not have the disadvantage.
또한, 상기의 종래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들의 경우 충분하게 단열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남극과 같은 극한환경의 지역에서 사용이 불가능하고, 식물이 식재되는 재배조가 복층으로 설계되어 각 층의 식물들에게 충분한 광원을 공급할 수 없는 등의 단점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conventional container is not sufficiently insulated and cannot be used in an extreme environment such as Antarctica, and the cultivation plant in which the plant is planted is designed in multiple layers to be sufficient for plants of each layer. It has a disadvantage of not being able to supply a light source.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제작 및 이동이 편리하고, 식물 재배가 어려운 극한 지역에서도 채소류 등의 식물들을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container that is easy to manufacture and move using a container, and to efficiently cultivate plants such as vegetables even in extreme areas where plant cultivation is difficult. To provid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는, 외부와 단열된 내부 공간이 준비실과 재배실로 분리되어 구획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상기 재배실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재배조가 층을 이루며 고정 설치되는 재배상; 상기 각층의 재배조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각층의 재배조에 식재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광원을 조사하는 인공 광원; 상기 준비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준비실로부터 상기 재배실 내로 연장 설치되는 공기 공급 덕트를 통해 상기 재배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량을 조절하는 공기조화부; 상기 준비실 내에 구비된 양액 탱크로부터 상기 재배조들의 저면으로 양액을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재배상의 하측에 구비된 배수조로 상기 공급된 양액의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양액 공급부; 및 상기 인조 광원, 상기 공기조화부, 및 양액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재배실의 광량,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량 및 상기 재배조로 공급되는 양액 공급량을 복합적으로 조절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ntainer in which the interior space is insulated from the outside divided into a preparation room and a cultivation room; A cultivation plant in which a cultivation tank is fixedly layer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cultivation chamber of the container; An artificial light source installed above the cultivation tank of each layer to irradiate different light sources according to the types of plants planted in the cultivation tank of each layer; An air conditioner installed in the preparation room to adjust temperature, humidity, and carbon dioxid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ulture room through an air supply duct extending from the preparation room into the culture room; A nutrient supply unit for supplying nutrient solution from the nutrient solution tank provided in the preparation chamber to the bottom of the cultivation tank and draining the supplied nutrient solution into a drain tank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cultivation tank;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artificial light source, the air conditioner, and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to control the amount of light, the temperature, the humidity,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and the amount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to the cultivation chamber.
여기서, 컨테이너는 내측 벽면에 부착되는 단열재; 및 상기 단열재 상측에 적층 형성되는 반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열재는 우래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판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container is a heat insulating material attached to the inner wall surface; And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reflecting plate lamin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made of a uratan material, the reflecting plate may be made of aluminum material.
또한, 상기 재배상은 상기 재배조의 각 모서리부가 수직 프레임에 끼워져 층간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ltivation may be configured to be adjusted to the height of the interlayer by each corner portion of the cultivation tank fitted in the vertical frame.
또한, 상기 인조 광원은 형광등, 메탈등, 또는 LED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artificial light source may be made of at least one combination selected from fluorescent, metal, or LED.
상기한 본 고안의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에 따르면, 외부와 단열된 컨테이너 내부에 재배실이 분할 구획되고, 재배실 내부를 단열시킴과 아울러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광량,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량, 양액 공급량들을 인조광원, 공기조화부 및 양액 공급부를 통해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남극과 같은 극한 지역 및 외항선 등에서도 효과적으로 채소류 등의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ltivation room is divided and partitioned inside the container, which is insulated from the outside, and insulates the cultivation room and the amount of light, temperature, humidity, carbon dioxide, By allowing the nutrient solution to be automatically adjusted through the artificial light source, the air conditioner and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ffectively cultivate plants such as vegetables in the extreme region and the outer port, such as Antarctica.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 벽면의 벽면 일부를 절개하여 확대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의 재배상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의 공기조화부 배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의 양액 공급부의 배치 상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a wall surface of the container wall surface of FIG. 1;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ltivation imag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container of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er arrangement stat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container of FIG.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container of FIG. 1.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1)는 컨테이너(10), 재배상(20), 인조 광원(30), 공기조화부(40), 양액 공급부(50), 및 제어기(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using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컨테이너(10)는 내부에 단열된 내부 공간을 가지며, 내부 공간은 간벽에 의해 준비실(11)과 재배실(12)로 각각 분할 구획된다.The
한편, 재배실(12)은 준비실(11)을 거쳐 출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남극과 같은 극한 지역에서 채소류의 식물들의 재배시 출입 과정에서 출입문(18,19)을 통해 외기가 직접 재배실(12)로 유입되지 않고 준비실(11)을 경유하여 들어오도록 완충작용을 함으로써, 찬공기 등 외부의 기상 환경에 의해 재배 식물의 생육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 벽면의 벽면 일부를 절개하여 확대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FIG. 2 is an enlarged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a wall surface of the container wall surface of FIG. 1;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컨테이너(10)의 벽면(13)에는 외부로 열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우레탄 재질의 단열재(15)가 적층 형성되며 특히, 재배실 내부는 재배상(20)에 의해 식재된 식물들에 충분한 광원이 조사될 수 있도록 알루미늄 재질의 판사판(16)이 단열재(15) 상에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2, in order to prevent heat loss from occurring on the
여기서, 반사판(16)은 인공 광원(60)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식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컨테이너(10)의 벽면(13)에 부착되는 단열재(15) 상에 알루미늄을 코팅한 알루미늄 코팅 단열재로 대체할 수도 있다. Here, the
이처럼, 일반 수하물 운반 컨테이너(10)에 우레탄 등의 단열재(15)를 내벽에 설치함으로서 극한의 지역에서도 난방비를 최소화하도록 하고, 내부 벽면에는 알루미늄재질의 반사판(16)(또는, 알루미늄 코팅 단열재)을 부착하여 내부에서 발광하는 인조광을 재배조(21)로 반사시켜 광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As such, by installing a
재배상(20)은 재배실(12) 내부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중앙 통로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도 3은 도 1의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의 재배상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ltivation imag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container of FIG.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재배상은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복수의 재배조(21)와, 상기 재배조(21)들이 올려져 배열되는 지지 플레이트(26)가 기설정된 간격을 이루며 층을 이루고 고정되는 수직 고정 프레임(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 3, the cultivation is a plurality of
즉, 지지 플레이트는 재배조(21)에 식재되는 식물의 키에 따라 수직 방향의 높이 즉, 이들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수직 고정 프레임(25)에 고정 설치된다.That is, the support plate is fixed to the
본 실시예의 식물 재배 장치(1)에 의해 생산할 수 있는 식물은 단기간에 생산할 수 있는 어린잎 채소 뿐만 아니라 무순, 보리순 메밀싹 등의 싹채소와 상추, 쑥갓, 케일, 치커리 등의 쌈채소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채소 작물들이 모두 적용 가능하다.Plants that can be produced by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 not only young leafy vegetables that can be produced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also sprout vegetables such as radish and barley sprout buckwheat sprouts, and ssam vegetables such as lettuce, cucurbita, kale, and chicory. Various vegetable crops are all applicable.
본 실시예에서 지지 플레이트(25)는 재배조(21)가 3층을 이루도록 수직 프레임(26)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며, 재배조(21)가 올려지는 각각의 지지 플레이트(25)들은 재배조(21)에 식재되는 식물의 키에 따라 층간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In this embodiment, the
한편, 인조 광원(30)은 각층의 재배조(21) 상측 즉, 재배조(21) 상측에 위치하는 지지 플레이트(25)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각층의 재배조(21)에 식재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인조 광원(30)은 형광등, 메탈등, 또는 LED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높은 광도가 요구되는 식물은 상층재배조(21)에서 재배되도록 하고, 상재적으로 낮은 광도가 요구되는 식물은 하층재배조(21)에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한편, 인조 광원(30)은 각각 제어기(60)에 의해 제어되어 각층의 재배조(21)에 식재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광도 및 조사 시간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본 실시예에서 제1층의 재배조(21a)에는 싹채소가 식재되고, 제2층의 재배조(21b)에는 어린잎채소가 식재되며, 제3층 재배조(21c)에는 쌈채소가 식재되어 재배되는 것을 예시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sprout vegetables are planted in the first cultivation tank 21a, young leaf vegetables are planted in the cultivation tank 21b of the second layer, and ssam vegetables are planted in the third layer cultivation tank 21c. Illustrates what is grown.
따라서, 상기한 인조 광원(30)은 각층의 재배조(21)에 식재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싹채소가 식재되는 제1층 재배조(21a) 상측에는 형광등(31)이 설치되고, 어린잎 채소가 식재되는 제2층 재배조(21b) 상측에는 LED(32)가 설치되며, 쌈채소가 식재되는 제3층 재배조(21c) 상측에는 형광등(31)과 메탈등(33)이 조합되어 설치되는 것을 예시한다.Therefore, the
한편, LED(32)는 적색광(660 내지 670nm의 파장)과 청색광(440 내지 460nm의 파장)을 2:1로 혼합하여 설치하고, 그 밝기는 50umol/m2/sec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공기조화부(40)는 컨테이너(10)의 재배실(12) 내부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성장에 적합하도록 재배실 내부의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량을 조절하도록 한다. The
도 4는 도 1의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의 공기조화부 배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er arrangement stat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container of FIG.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조화부(40)는 공조기(41), 흡기 배관(42), 배기 배관(43), 공기 공급 덕트(44), 공기 배출 덕트(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4, in this embodiment, the
공조기(31)는 컨테이너(10)의 준비실(11)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준비실(11)의 벽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 설치되는 흡기 배관(42) 및 배기 배관(43)을 통해 공조기(41)로 외부로부터 신선 공기를 흡입하거나 공조기(41)로부터 외부로 재배실(12) 내부 오염 공기를 배출하도록 한다. The
그리고, 공기 공급 덕트(44)는 공조기(41)로부터 준비실(11)과 재배실(12)을 구획하는 간벽(14)을 관통하여 재배상(20) 뒤쪽 즉, 준비실(12) 양쪽 아래 측벽면을 따라 연장 설치되어, 공조기(41)로부터 기설정된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량이 조절된 공기가 재배실(12) 내부로 상향 공급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공기 배출 덕트(45)는 재배실(12)을 중앙 통로 상측을 따라 상기 간벽(14)을 관통하며 공조기(41)를 연결하도록 연장 설치되어, 재배실(12) 내부 상측으로부터 재배실(12) 내부의 오염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The
따라서, 재배실(12) 내부의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량은 제어기(60)에 의해 공조기(41)가 운전제어되어 재배실 내에 설치된 온도 감지 센서(61), 습도 감지 센서(62) 및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센서(63)에 의해 측정된 값들이 기설정된 값들을 추종하도록 자동 조절된다. Therefore,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carbon dioxide amounts in the
양액 공급부(50)는 준비실(11) 내에 구비된 양액 탱크(51)로부터 상기 재배상의 재배조(21)의 저면으로 양액을 공급함과 아울러 재배상(20)의 최하층에 구비된 배수조(57)로 상기 공급된 양액의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The nutrient
도 5는 도 1의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의 양액 공급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container of FIG. 1.
도 3과 함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양액 공급부(50)는 양액 탱크(51), 양액 공급 배관(52), 양액 공급 펌프(53), 양액 공급 유량 조절 밸브(54), 양액 배수관(55), 양액 배수 유량 조절 밸브(56), 및 배수조(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3 together with FIG. 5, the nutrient
양액 탱크(51)는 준비실(11) 내부에 구비되어 각층의 재배조(21)에 식재된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액체 상태의 영양분(양액)을 담아 저장한다.The
양액 공급관(52)은 간벽(14)을 관통하며 준비실(11)에 구비된 양액 탱크(51)과 재배실(12)의 각층 재배조들(21)을 연결하도록 연장 설치된다.The nutrient
양액 공급 펌프(53)와 양액 공급 유량 조절 밸브(54)는 양액 공급관(52) 상에 설치되어 양액 탱크(51)에 저장된 양액을 양액 공급관(52)을 통해 각각의 재배조(51)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The nutrient
본 실시예에서 양액 공급부(50)는 공급되는 양액이 재배조(21)의 바닥면에 차올라오면서 식재된 식물의 뿌리에만 공급하도록 하는 저면 급수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nutrient
각층의 재배조들(21)로 공급된 후 남은 잉여분의 양액은 양액 배출관(55)을 통해 재배상(20)의 최하층에 위치하는 배수조(57)로 배출되도록 한다.The excess nutrient solution remaining after being supplied to the
양액 배출관(55) 상에는 재배조(57)로부터 배출되는 양액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양액 배출 유량 조절 밸브(56)가 구비된다.On the nutrient
따라서, 각각의 재배조(21)로 공급되는 양액 공급량은 제어기(60)에 의해 양액 공급 펌프(53), 양액 공급 유량 조절 밸브(54), 양액 배출 유량 조절 밸브(56)로 제어되어, 재배조(57)에 설치되는 수위 감지 센서(64)에 의해 측정된 수위가 기설정된 값을 유지하도록 양액이 재배조로 공급되고, 급수시간, 급수량 및 배수량 등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한다. Therefore,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amount supplied to each
그리고, 제어기(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 박스(65)를 통해 인조 광원(30), 공기조화부(40), 및 양액 공급부(50)를 제어하여 상기한 재배실(12)의 광량,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량 및 각각의 재배조(21)로 공급되는 양액 공급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따라서, 본 실시예의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1)에 따르면, 단열층이 구비된 컨테이너 내부에 준비실과 재배실이 분할 구획되고, 이 재배실 내부에 인조 광원(30), 공기조화부(40), 및 양액 공급부(50)을 이용해 식물의 재배에 필요한 광량,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량 및 양액 공급량을 자동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남극과 같은 극한 지역 및 외항선 등에서도 이동하면서 효과적으로 채소류의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using the contai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paration chamber and the cultivation chamber are divided and partitioned inside the container provided with the heat insulating layer, and the artificial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or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nd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course, this also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는 식물이 잘 자라지 못하는 남극 등의 불모지 뿐만아니라 토양이 없는 선상 등에서 이용이 가능하고, 도시근교에 식물 재배를 할 수 없는 장소에서도 본 컨테이너를 설치하여 건강 기능성 채소를 생산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using th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in Antarctica, where plants do not grow well, but also on ships without soil. It can be applied to produce
1: 식물 재배 장치 10: 컨테이너
11 준비실 12: 재배실
13; 벽면 14: 간벽
15; 단열재 16: 판사판
20: 재배상 21: 재배조
25: 지지 플레이트 26: 수직 고정 프레임
30: 인조 광원 31: 형광등
32: LED 33: 메탈등
40: 공기조화부 41: 공조기
42: 흡기 배관 43: 배기 배관
44: 공기 공급 덕트 45: 공기 배출 덕트
50: 양액 공급부 51: 양액 탱크
52: 양액 공급관 53: 양액 공급 펌프
54: 양액 공급 유량 조절 밸브 55: 양액 배수관
56: 양액 배출 유량 조절 밸브 57: 배수조
60: 제어기 61: 온도 감지 센서
62: 습도 감지 센서 63: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센서
64: 수위 감지 센서 65; 컨트롤 박스1: plant growing device 10: container
11 Preparation Room 12: Growing Room
13; Wall 14: partition wall
15; Insulation 16: Judge
20: Growing 21: Growing
25: support plate 26: vertical fixing frame
30: artificial light source 31: fluorescent light
32: LED 33: metal light
40: air conditioner 41: air conditioner
42: intake piping 43: exhaust piping
44: air supply duct 45: air exhaust duct
50: nutrient solution supply part 51: nutrient solution tank
52: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53: nutrient solution supply pump
54: nutrient solution supply flow control valve 55: nutrient solution drain pipe
56: nutrient solution discharge flow control valve 57: drain
60: controller 61: temperature sensing sensor
62: humidity sensor 63: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ensor
64: level sensor 65; Control box
Claims (5)
상기 컨테이너의 상기 재배실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재배조가 층을 이루며 고정 설치되는 재배상;
상기 각층의 재배조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각층의 재배조에 식재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광원을 조사하는 인조 광원;
상기 준비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준비실로부터 상기 재배실 내로 연장 설치되는 공기 공급 덕트를 통해 상기 재배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량을 조절하는 공기조화부;
상기 준비실 내에 구비된 양액 탱크로부터 상기 재배조들의 저면으로 양액을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재배상의 하측에 구비된 배수조로 상기 공급된 양액의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양액 공급부; 및
상기 인조 광원, 상기 공기조화부, 및 양액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재배실의 광량,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량 및 상기 재배조로 공급되는 양액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
A container in which the inner space insulated from the outside is divided into a preparation room and a cultivation room;
A cultivation plant in which a cultivation tank is fixedly layer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cultivation chamber of the container;
An artificial light source installed above the cultivation tank of each layer and irradiating different light sources according to the types of plants planted in the cultivation tank of each layer;
An air conditioner installed in the preparation room to adjust temperature, humidity, and carbon dioxid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ulture room through an air supply duct extending from the preparation room into the culture room;
A nutrient supply unit for supplying nutrient solution from the nutrient solution tank provided in the preparation chamber to the bottom of the cultivation tank and draining the supplied nutrient solution into a drain tank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cultivation tank;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artificial light source, the air conditioner, and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to control light quantity, temperature, humidity, carbon dioxide amount, and nutrient solution supply amount supplied to the cultivation chamber.
상기 컨테이너는,
내측 벽면에 부착되는 단열재; 및
상기 단열재 상측에 적층 형성되는 반사판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
In claim 1,
The container,
Heat insulating material attached to the inner wall surface; And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container comprising a reflector plate laminated on the insulation.
상기 단열재는 우래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판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
In claim 2,
The insulation is made of a urethane material, the reflector is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container made of aluminum.
상기 재배상은,
상기 재배조의 각 모서리부가 수직 프레임에 끼워져 층간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
In claim 1,
The cultivation phas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container is formed so that each corner of the cultivation tank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fram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interlayer.
상기 인조 광원은,
형광등, 메탈등, 또는 LED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In claim 1,
The artificial light sourc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container consisting of at least one combination selected from fluorescent, metal, or L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2980U KR200462981Y1 (en) | 2010-03-23 | 2010-03-23 | Device for plant cultivator using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2980U KR200462981Y1 (en) | 2010-03-23 | 2010-03-23 | Device for plant cultivator using contai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9235U true KR20110009235U (en) | 2011-09-29 |
KR200462981Y1 KR200462981Y1 (en) | 2012-10-18 |
Family
ID=45090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2980U Expired - Lifetime KR200462981Y1 (en) | 2010-03-23 | 2010-03-23 | Device for plant cultivator using contai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2981Y1 (en) |
Cited B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77494A1 (en) * | 2011-11-24 | 2013-05-30 |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 Movable structure for food crop cultivation |
WO2013082601A1 (en) * | 2011-12-03 | 2013-06-06 | Scott Dittman | Photosynthetic grow module and methods of use |
KR101368180B1 (en) * | 2011-10-26 | 2014-02-27 | (주)내츄럴엔도텍 | Methods for Cultivating Root Medicinal Plants |
WO2014005156A3 (en) * | 2012-06-29 | 2014-03-27 | Freight Farms | Insulated shipping containers modified for high-yield plant production capable in any environment |
WO2014051204A1 (en) * | 2012-09-25 | 2014-04-03 | (주)유양디앤유 | Independent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to cultivate and harvest seedlings of grown crops |
KR101415842B1 (en) * | 2011-10-19 | 2014-07-09 |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 Indoor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
KR101422996B1 (en) * | 2013-03-21 | 2014-07-24 | 김동열 | The apparatus for water culture and the system for water culture thereof |
KR101441746B1 (en) * | 2012-08-30 | 2014-09-22 | 김종선 | Growing apparatus for unpolished rice sprout |
KR101479191B1 (en) * | 2014-06-24 | 2015-01-08 | 윤병섭 | System for culturing plant and purifying air |
CN104798627A (en) * | 2015-04-26 | 2015-07-29 | 湖南三箭农业科技有限公司 | Automatic control device for plant growth environment |
KR20160017556A (en) * | 2014-08-06 | 2016-02-16 | 강철호 | Plant Plant System with Plant Growth Regulator |
US10034435B2 (en) | 2012-10-26 | 2018-07-31 | GreenTech Agro LLC | Self-sustaining artificially controllable environment within a storage container or other enclosed space |
US10172301B2 (en) | 2014-09-11 | 2019-01-08 | Freight Farms, Inc. | Insulated shipping containers modified for high-yield fungi production capable in any environment |
KR20210001509A (en) * | 2019-06-28 | 2021-01-06 | 한국기계연구원 | CO2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iner-type plant factory using tri-generation |
KR102392422B1 (en) * | 2021-10-25 | 2022-04-29 | (주)유비엔 | Modular Strawberry Cultivation Container Farm |
KR20220111434A (en) | 2021-02-02 | 2022-08-09 | 주식회사 지능로봇스튜디오 | High density plant growing container with natural light combination system |
KR20230135824A (en) * | 2022-03-17 | 2023-09-26 | 노명석 | Container type plants cultivation system |
KR102635271B1 (en) * | 2023-10-16 | 2024-02-08 | 신정옥 | Smart plant cultivating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2388B1 (en) * | 2013-12-19 | 2016-01-07 |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Plant Cultivation Equipment |
KR101582389B1 (en) * | 2013-12-19 | 2016-01-20 |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Wireless Controllable Plant Cultivation System |
KR20180079022A (en) * | 2016-12-30 | 2018-07-10 |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
CN107372083A (en) * | 2017-08-31 | 2017-11-24 | 摩瑞尔电器(昆山)有限公司 | Vegetable aquaculture plants cabinet |
TWM598595U (en) | 2020-05-08 | 2020-07-21 | 銥光農業科技股份有限公司 | Plant (fungus) planting equipment |
KR102235764B1 (en) | 2020-08-12 | 2021-04-01 | 하창수 | A Container Style Vertical Farming System |
KR102541333B1 (en) | 2020-11-30 | 2023-06-12 |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 Block for plant growth and blockfarm system using it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245586C (en) * | 2000-07-07 | 2006-03-15 | 宇宙设备公司 | a luminous screen |
KR100567167B1 (en) * | 2004-03-03 | 2006-04-07 | 김종욱 | Versatile Hydroponic Bed Using Light Source |
-
2010
- 2010-03-23 KR KR2020100002980U patent/KR200462981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5842B1 (en) * | 2011-10-19 | 2014-07-09 |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 Indoor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
KR101368180B1 (en) * | 2011-10-26 | 2014-02-27 | (주)내츄럴엔도텍 | Methods for Cultivating Root Medicinal Plants |
WO2013077494A1 (en) * | 2011-11-24 | 2013-05-30 |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 Movable structure for food crop cultivation |
WO2013082601A1 (en) * | 2011-12-03 | 2013-06-06 | Scott Dittman | Photosynthetic grow module and methods of use |
WO2014005156A3 (en) * | 2012-06-29 | 2014-03-27 | Freight Farms | Insulated shipping containers modified for high-yield plant production capable in any environment |
AU2013282270B2 (en) * | 2012-06-29 | 2017-08-31 | Freight Farms | Insulated shipping containers modified for high-yield plant production capable in any environment |
US11516978B2 (en) | 2012-06-29 | 2022-12-06 | Freight Farms, Inc. | Insulated shipping containers modified for high-yield plant production capable in any environment |
AU2017268615B2 (en) * | 2012-06-29 | 2019-11-07 | Freight Farms | Insulated shipping containers modified for high-yield plant production capable in any environment |
JP2015521851A (en) * | 2012-06-29 | 2015-08-03 | フレイト ファームズ | Insulated transport container modified for high yield plant production possible in any environment |
US9288948B2 (en) | 2012-06-29 | 2016-03-22 | Freight Farms, Inc. | Insulated shipping containers modified for high-yield plant production capable in any environment |
KR101441746B1 (en) * | 2012-08-30 | 2014-09-22 | 김종선 | Growing apparatus for unpolished rice sprout |
WO2014051204A1 (en) * | 2012-09-25 | 2014-04-03 | (주)유양디앤유 | Independent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to cultivate and harvest seedlings of grown crops |
US10034435B2 (en) | 2012-10-26 | 2018-07-31 | GreenTech Agro LLC | Self-sustaining artificially controllable environment within a storage container or other enclosed space |
KR101422996B1 (en) * | 2013-03-21 | 2014-07-24 | 김동열 | The apparatus for water culture and the system for water culture thereof |
KR101479191B1 (en) * | 2014-06-24 | 2015-01-08 | 윤병섭 | System for culturing plant and purifying air |
KR20160017556A (en) * | 2014-08-06 | 2016-02-16 | 강철호 | Plant Plant System with Plant Growth Regulator |
US10172301B2 (en) | 2014-09-11 | 2019-01-08 | Freight Farms, Inc. | Insulated shipping containers modified for high-yield fungi production capable in any environment |
US10785925B2 (en) | 2014-09-11 | 2020-09-29 | Freight Farms, Inc. | Insulated shipping containers modified for high-yield fungi production capable in any environment |
CN104798627A (en) * | 2015-04-26 | 2015-07-29 | 湖南三箭农业科技有限公司 | Automatic control device for plant growth environment |
KR20210001509A (en) * | 2019-06-28 | 2021-01-06 | 한국기계연구원 | CO2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iner-type plant factory using tri-generation |
KR20220111434A (en) | 2021-02-02 | 2022-08-09 | 주식회사 지능로봇스튜디오 | High density plant growing container with natural light combination system |
KR102392422B1 (en) * | 2021-10-25 | 2022-04-29 | (주)유비엔 | Modular Strawberry Cultivation Container Farm |
KR20230135824A (en) * | 2022-03-17 | 2023-09-26 | 노명석 | Container type plants cultivation system |
KR102635271B1 (en) * | 2023-10-16 | 2024-02-08 | 신정옥 | Smart plant cultivat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2981Y1 (en) | 2012-10-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62981Y1 (en) | Device for plant cultivator using container | |
US1117882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ultivating plants | |
KR101034513B1 (en) |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 |
KR101415842B1 (en) | Indoor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 |
KR101422636B1 (en) | A hydroponics culture apparatus | |
US11596109B2 (en) | High density plant growth systems and methods | |
CN105104158A (en) | Intelligent hydroponic vegetable cultivating cabinet | |
KR101422996B1 (en) | The apparatus for water culture and the system for water culture thereof | |
KR102555542B1 (en) | A Moss growth smart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 |
JP5595452B2 (en) | House for plant cultivation | |
CN113692887A (en) | Full-automatic plant cultivation production base based on movable container | |
CN109561658B (en) | Tank for accommodating vertical farm | |
CN205812995U (en) | Movable plant process units | |
JP2005295955A (en) | Device for growing plant | |
KR20150072486A (en) | Plant Cultivation Equipment | |
CN203302113U (en) | Three-dimensional constant-temperature seedling culture box | |
JP2011206031A (en) | Hydroponic container | |
JPH01235524A (en) | Fully controlled plant factory | |
RU2581213C1 (en) | Installation for growing mushrooms "rune" | |
RU196013U1 (en) | Airport phytotron | |
KR20170002783U (en) | mounting system of bed member and fluorescent lamp for plant factory | |
JPH0551251B2 (en) | ||
KR102546272B1 (en) | Seedling purifier equipment | |
RU2787699C1 (en) | Indoor greenhouse | |
KR102556251B1 (en) | Autom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ydroponic cultivation of green barley using contain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323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2013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8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2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utility model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R07021E01D Patent event date: 20121005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0 Payment date: 20121005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