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10008365U -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365U
KR20110008365U KR2020100001845U KR20100001845U KR20110008365U KR 20110008365 U KR20110008365 U KR 20110008365U KR 2020100001845 U KR2020100001845 U KR 2020100001845U KR 20100001845 U KR20100001845 U KR 20100001845U KR 20110008365 U KR20110008365 U KR 201100083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body
bent
platform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8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헌
Original Assignee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18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8365U/ko
Publication of KR201100083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36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01F1/005Portable or movable traffic-area platforms or islands, e.g. portable loading islands, retractable platforms for traffic-directing offic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승강장 안전발판장치는, 승강장에 고정되는 지지 몸체, 지지 몸체의 일면에 선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 암을 포함한다. 지지암은 지지 몸체의 일면에 연결되는 제 1 굽힘부, 제 1 굽힘부와 연결되고 제 1 굽힘부와 반대 방향으로 굽은 제 2 굽힘부를 갖는다. 본 고안에 의한 승강판 안전발판장치는 열차와 접하게 되는 지지 암이 좌우측 방향 외력에 의해 쉽게 휘어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지지 암과 지지 몸체 사이의 연결부에 변형에 의한 충격이 많이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지지 암과 지지 몸체 사이의 연결부에서 피로 파괴의 위험이 줄어든다.

Description

승강장 안전발판장치{SAFETY STEP BOARD APPARATUS FOR PLATFORM}
본 고안은 승강장 안전발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장의 측면에 결합되어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을 좁혀줌으로써 발빠짐 등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승강장 안전발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로를 따라 운행하는 열차의 역사에는 승객의 탑승을 위해 선로의 옆 쪽으로 승강장이 마련된다. 승강장은 승객의 원활한 승하차를 위해 열차의 출입구 바닥과 동일한 높이로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열차는 운행 중 여러 원인에 의해 좌우로 유동이 발생하는데, 특히 선로의 곡선 구간에서 그 유동 폭이 커진다. 따라서, 승강장의 측면과 열차 사이에는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안전거리가 확보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열차가 승강장에 정지한 상태에서도 열차의 출입구와 승강장의 측면 사이에는 간격이 생길 수밖에 없다.
이러한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간격은 승객의 승하차 시 발빠짐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며, 승객이 승하차 할 때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은 좁은 것이 좋으나, 선로가 곡선으로 이루어진 경우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을 좁히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제안되고 있고,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6389호(2004. 3. 18. 등록)와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1714호(2006. 7. 10. 등록) 등에 개시된 바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6389호에 개시된 "승강판 안전발판"은 지지대와 복수의 지지블럭을 포함한다. 승강장에 결합되는 지지대에는 복수의 결합홈이 마련되고, 직선형의 지지블럭은 결합홈에 끼워짐으로써 지지대에 결합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1714호에 개시된 "고상 홈 승강장의 발빠짐 방지장치"는 발판본체의 일측면에 다수의 돌출부가 돌출 형성된 것이다. 돌출부는 폭이 좁고 길이가 길어서 상부에서 가해지는 힘에는 변형되지 않고, 측면에서 가해지는 힘에는 쉽게 변형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 안전발판은 열차 쪽으로 돌출된 지지블럭이나 돌출부가 직선 형태로 이루어져서, 열차의 측면과 미끄럼 접촉하여 휘어질 때 지지대 또는 발판본체와의 연결부에서 큰 충격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휘어짐과 탄성 복귀 동작이 지속적으로 반복될 때 피로 파괴의 위험이 높아진다. 그리고 종래 안전발판은 승강장에 진입한 열차가 후진할 경우 열차의 측면에 접한 지지블럭이나 돌출부가 꺾여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종래 안전발판은 열차 쪽으로 돌출된 지지블럭이나 돌출부가 직선 형태로 이루어져서 휠체어나 유모차, 자전거 등의 바퀴가 지지블럭들 사이의 틈새 또는 돌출부들 사이의 틈새에 끼일 수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열차에 미끄럼 접촉하는 부분이 자체적으로 원활하게 탄성 변형됨으로써 열차에 미끄럼 접촉하는 부분이 휘어질 때 발생하는 충격을 줄일 수 있고, 휠체어나 유모차, 자전거 등의 바퀴가 끼이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승강장 안전발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승강장 안전발판장치는, 승강장에 고정되는 지지 몸체, 상기 지지 몸체의 일면에 선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 암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암은 상기 지지 몸체의 일면에 연결되는 제 1 굽힘부, 상기 제 1 굽힘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굽힘부와 반대 방향으로 굽은 제 2 굽힘부를 갖는다.
상기 지지 암은 상기 제 2 굽힘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굽힘부와 같은 방향으로 굽은 제 3 굽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승강장 안전발판장치는, 상기 지지 몸체를 상기 승강장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승강장의 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 몸체가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고정 브라켓, 상기 지지 몸체를 상기 지지부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지지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선로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장공과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 조절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승강판 안전발판장치는 열차와 접하게 되는 지지 암이 좌우측 방향 외력에 의해 쉽게 휘어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지지 암과 지지 몸체 사이의 연결부에 변형에 의한 충격이 많이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지지 암과 지지 몸체 사이의 연결부에서 피로 파괴의 위험이 줄어든다. 그리고 승강장에 진입한 열차가 후진하더라도 지지 암이 반대 방향으로 쉽게 휘어짐으로써 지지 암의 파손 위험이 적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승강장 안전발판은 지지 암이 물결 모양으로 굽어 있어서 휠체어나 유모차, 자전거 등의 바퀴가 지지 암들 사이의 틈새에 끼일 위험이 없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승강장 안전발판은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틈새를 막아줌으로써 전동차 아래에서 더운 바람이나 냄새가 승강장 위로 올라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승강장 안전발판장치는 안전발판을 승강장 측면에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에 장공이 구비됨으로써 안전발판의 설치 위치 조절이 용이하다. 따라서, 승강장 측면의 형태나 승강장 측면과 열차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해당 승강장에 적합하게 안전발판의 설치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승강장 안전발판장치가 승강장 측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승강장 안전발판장치가 승강장 측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승강장 안전발판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승강장 안전발판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승강장 안전발판장치가 승강장 측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승강장 안전발판장치(20)는, 승강장 측면(10)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30), 고정 브라켓(30)에 결합되는 안전발판(50) 및 안전발판(50)을 고정 브라켓(3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60)를 포함한다. 안전발판(50)은 승강장 측면(10)에서 외측 방향(이하, '선로 방향'이라 함)으로 돌출되어 선로를 따라 운행하는 열차(80)의 출입문과 승강장 측면(10) 사이의 간격을 좁혀주는 역할을 한다.
고정 브라켓(30)은 승강장 측면(10)에 결합되는 결합부(31)와 결합부(31)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지지부(32)를 포함한다. 결합부(31)에는 복수의 관통공(33)이 마련되고 지지부(32)에는 선로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34)이 마련된다. 결합부(31)의 관통공(33)에는 승강장 측면(1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40)가 삽입된다.
고정부재(40)는 관통공(33)을 관통하여 승강장 측면(10)에 고정되는 몸체부(41)와 관통공(33)의 폭보다 큰 머리부(42)를 갖는다. 고정부재(40)는 그 몸체부(41)가 관통공(33)을 관통하여 승강장 측면(10)에 삽입되고 그 머리부(42)가 결합부(31)의 일면에 밀착됨으로써, 고정 브라켓(30)을 승강장 측면(10)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지지부(32)의 장공(34)에는 연결부재(60)를 지지부(3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45)가 삽입된다. 고정부재(45)는 지지부(32)의 장공(34)을 관통하는 몸체부(46)와 장공(34)의 폭보다 큰 머리부(47)를 포함한다. 고정부재(45)는 그 몸체부(46)가 장공(34) 및 연결부재(60)에 마련되는 삽입구멍(63)을 관통하여 안전발판(50)의 지지 몸체(51)에 삽입되고 그 머리부(47)가 지지부(32)의 일면에 밀착됨으로써, 연결부재(60) 및 안전발판(50)을 지지부(32)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장공(34) 내에서 고정부재(45)의 삽입 위치는 바뀔 수 있으므로 지지부(32)에서 연결부재(60) 및 안전발판(50)의 결합 위치는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승강장 안전발판장치(20)는 안전발판(50)을 승강장 측면(10)에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30)에 장공(34)이 구비됨으로써, 안전발판(50)의 설치 위치 조절이 용이하다. 따라서, 승강장 측면(10)의 형태나 승강장 측면(10)과 열차(70)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해당 승강장에 적합하게 안전발판(5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전발판(50)은 고정 브라켓(30)에 고정되는 지지 몸체(51)와 지지 몸체(51)의 일면에 선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 암(52)을 포함한다. 지지 몸체(51)에는 연결부재(60)가 삽입되는 삽입홈(53)이 마련된다. 이 삽입홈(53)에 연결부재(60)가 압입됨으로써 지지 몸체(51)가 연결부재(6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지지부(32)의 장공(34)을 관통한 고정부재(45)가 지지 몸체(51)에 삽입됨으로써 지지 몸체(51)와 연결부재(60)는 고정 브라켓(30)에 단단히 고정된다.
복수의 지지 암(52)은 지지 몸체(51)로부터 선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지지 몸체(51)의 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지지 암(52)은 지지 몸체(51)의 일면에 연결되는 제 1 굽힘부(54), 제 1 굽힘부(54)와 연결되고 제 1 굽힘부(54)와 반대 방향으로 굽은 제 2 굽힘부(55), 제 2 굽힘부(55)와 연결되고 제 1 굽힘부(54)와 같은 방향으로 굽은 제 3 굽힘부(56)를 포함한다. 이러한 물결 모양의 지지 암(52)은 길이 방향 하중에 대해 원활하게 변형될 수 있어서 길이 방향 하중에 의한 파손의 위험이 작다.
또한, 지지 암(52)은 좌우 폭이 상하 높이보다 작아서 상하 방향 하중에 대해서는 쉽게 변형되지 않지만, 좌우가 방향 하중에 대해서는 쉽게 변형될 수 있다. 지지 암(52)은 난연성의 고무나 플라스틱 등 탄성력이 있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암(52)은 지지 몸체(51)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지지 몸체(51)와 별도로 만들어진 후 지지 몸체(51)에 결합 될 수도 있다. 지지 암(52)과 지지 몸체(51)가 따로 만들어질 때 지지 몸체(51)의 재질은 지지 암(52)의 재질과 다를 수 있다. 지지 몸체(51)의 재질로는 고무, 플라스틱, 금속 등 다양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연결부재(60)는 고정 브라켓(30)과 안전발판(5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즉, 연결부재(60)를 이용하여 안전발판(50)을 고정 브라켓(30)에 결합함으로써 안전발판(50)의 결합 위치 조절이 용이하다. 연결부재(60)는 고정 브라켓(30)의 지지부(32)에 접하는 바닥부(61), 바닥부(61)에서 수직으로 연결된 한 쌍의 기둥부(62)를 포함한다. 바닥부(61)에는 고정부재(45)의 몸체부(46)가 삽입되는 삽입구멍(63)이 마련된다. 한 쌍의 기둥부(62)는 지지 몸체(51)의 삽입홈(53) 속에 압입됨으로써 안전발판(50)과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60)의 재질은 고무, 플라스틱, 금속 등 다양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승강장 안전발판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열차(70)의 측면이 지지 암(52)에 접한 상태로 열차(70)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할 때 지지 암(52)은 탄성 변형되면서 우측 방향으로 휘어진다. 이때, 제 1 굽힘부(54) 및 제 3 굽힘부(56)가 다른 부위보다 쉽게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제 1 굽힘부(54) 및 제 3 굽힘부(56)가 지지 암(52)의 다른 부분보다 많이 휘어진다. 따라서, 변형에 의한 충격이 완화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지지 몸체(51)와 지지 암(52) 사이의 연결부(57)가 외력에 의한 충격을 덜 받게 된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열차(70)가 지지 암(52)과 접한 상태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후진하는 경우, 지지 암(52)은 우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때, 제 2 굽힘부(55)가 다른 부위보다 쉽게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제 2 굽힘부(55)가 지지 암(52)의 다른 부분보다 많이 휘어진다. 따라서, 변형에 의한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차(70)와 접하게 되는 지지 암(52)이 좌우측 방향 외력에 의해 쉽게 휘어짐으로써, 지지 암(52)과 지지 몸체(51) 사이의 연결부(57)가 열차(80)가 접할 때 충격을 덜 받게 된다. 따라서, 지지 암(52)과 지지 몸체(51) 사이의 연결부(57)에서 피로 파괴의 위험이 줄어든다. 또한, 열차(80)가 후진하더라도 지지 암(52)이 꺾여 파손되는 위험이 없다.
본 고안에 있어서, 지지 암(52)의 형상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제 1 굽힘부(54) 및 제 1 굽힘부(54)와 반대 방향으로 굽은 제 2 굽힘부(55)를 갖는 다양한 물결 모양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브라켓(30)과 안전발판(50)의 결합 구조도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안전발판(50)은 연결부재(60) 없이 고정 브라켓(30)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안전발판(50)은 고정 브라켓(30) 없이 볼트나 리벳 등 각종 고정장치에 의해 승강장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승강장 측면 20 :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30 : 고정 브라켓 31 : 결합부
32 : 지지부 34 : 장공
40, 45 : 고정부재 50 : 안전발판
51 : 지지 몸체 52 : 지지 암
53 : 삽입홈 54, 55, 56 : 제 1, 2, 3 굽힘부
57 : 연결부 60 : 연결부재
61 : 바닥부 62 : 기둥부

Claims (4)

  1. 승강장에 고정되는 지지 몸체;
    상기 지지 몸체의 일면에 선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지지 몸체의 일면에 연결되는 제 1 굽힘부, 상기 제 1 굽힘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굽힘부와 반대 방향으로 굽은 제 2 굽힘부를 갖는 복수의 지지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암은 상기 제 2 굽힘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굽힘부와 같은 방향으로 굽은 제 3 굽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몸체를 상기 승강장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승강장의 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 몸체가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고정 브라켓; 및
    상기 지지 몸체를 상기 지지부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지지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선로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장공과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KR2020100001845U 2010-02-22 2010-02-22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KR201100083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845U KR20110008365U (ko) 2010-02-22 2010-02-22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845U KR20110008365U (ko) 2010-02-22 2010-02-22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365U true KR20110008365U (ko) 2011-08-30

Family

ID=4559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845U KR20110008365U (ko) 2010-02-22 2010-02-22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8365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86526A (zh) * 2020-01-20 2020-05-01 郑州地铁集团有限公司运营分公司 地铁站台门系统增强型可调可拆卸防踏空装置
KR102522765B1 (ko) * 2022-12-16 2023-04-18 김인춘 승객의 발빠짐을 방지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안전발판
KR102679739B1 (ko) * 2023-07-13 2024-06-28 김성 지하철 안전 발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86526A (zh) * 2020-01-20 2020-05-01 郑州地铁集团有限公司运营分公司 地铁站台门系统增强型可调可拆卸防踏空装置
KR102522765B1 (ko) * 2022-12-16 2023-04-18 김인춘 승객의 발빠짐을 방지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안전발판
KR102679739B1 (ko) * 2023-07-13 2024-06-28 김성 지하철 안전 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12149B (zh) 用于紧固桌面的装置
JP5028378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10008365U (ko)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KR20080015292A (ko)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JP5037721B1 (ja) 軌条走行機械の転倒防止装置
KR101518454B1 (ko)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JP5553418B2 (ja) プラットホーム縁端構造
CN201834651U (zh) 自动扶梯或自动人行道上的护栏结构
KR20110110399A (ko) 차량용 시트트랙
CN206126624U (zh) 一种扶梯侧板与导轨连接装置
CN101966961A (zh) 自动扶梯或自动人行道上的护栏结构
JP2014073889A (ja) エスカレータの踏段
CN108137269B (zh) 电梯设备
JP4844132B2 (ja) エレベータのエプロン装置
US20190382036A1 (en) Underfloor device of railway vehicle
JP5566489B1 (ja) 乗客運搬装置
KR20020033331A (ko) 전동차 승강장의 발 빠짐 방지장치
CN207346959U (zh) 一种抗变形电梯护脚板
JP2011153012A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装置
KR200353244Y1 (ko) 하중분산형 저충격도 가이드 레일
JP3340395B2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
CN217894801U (zh) 用于升降机的防撞装置
KR101617209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용 이탈방지장치
KR20150001136U (ko) 선박용 러그 구조체
CN212740371U (zh) 一种自动扶梯端部防梯级塌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