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047A - Hydro power generation by high angle low drop belt type circulation aberration - Google Patents
Hydro power generation by high angle low drop belt type circulation aberr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07047A KR20110007047A KR1020100067531A KR20100067531A KR20110007047A KR 20110007047 A KR20110007047 A KR 20110007047A KR 1020100067531 A KR1020100067531 A KR 1020100067531A KR 20100067531 A KR20100067531 A KR 20100067531A KR 20110007047 A KR20110007047 A KR 201100070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cket
- wheel
- water
- water tank
-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7/00—Water wheels
- F03B7/006—Water wheels of the endless-chain ty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8—Machine or engine aggregates in dams or the like; Conduits therefor, e.g. diffus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7/00—Water wheels
- F03B7/003—Water wheels with buckets receiving the liqui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력 발전 방식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물의 낙차를 이용하여서 발전기를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electric method and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generate electricity by rotating a generator using a drop of water.
전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화력, 지력, 조력, 풍력, 원자력, 태양력, 수력발전 방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Thermal power, geothermal power, tidal power, wind power, nuclear power, solar power, and hydroelectric power are used to produce electricity.
보편적으로 널리 전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화력, 원자력 수력 발전 방식이 많으며 화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를 만들기 위한 방법과 방식은 연료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많은 재원과 고도의 과학기술을 필요로 하며 또한 환경에 치명적인 영향을 양산하는 환경파괴를 피할수 없으며 연료 또한 그수명이 고갈되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을 수반하고 있다 발명은 환경오염 없는 수력발전 방식을 고도화하여 전력을 창출하는데 뜻을 두고 있으며 물의 위치에너지를 유도 낙차력을 이용하여 가정집 옆에서 농토에서도 발전이 가능하고 하천을 이용하여 실용적으로 전력을 생산하는데 있어 무한한 물의 낙차를 전기에너지로 얻기 위한 것으로서 환경오염과 파괴없이 실용적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general, there are many thermal and nuclear power generation methods to produce electricity widely, and methods and methods for making thermal power plants and nuclear power plants require a lot of resources and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process of burning fuel, and also have a fatal effect on the environment. It is inevitable that the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will not be avoided, and the fuel will also be exhausted because its life is exhausted. The invention is intended to generate electricity by upgrading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method withou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induce the potential energy of water. It is possible to generate electricity on farmland next to homes by using free fall power, and to produce electric power practically by using rivers. It is to produce electricity without limit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estru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의 낙차에 의한 위치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물이 갖는 위치에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물의 위치에너지를 회전운동으로 창출하는 수차를 개발하고 발전기를 가동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potential energy of the water drop as a method for maximizing the potential energy of the water to develop the aberration to create the potential energy of the water by rotational movement and to operate the generator to produce electricity
일반적으로 물을 이용한 수력발전방식으로 댐식, 수로식 유역 변경식, 댐 수로식, 양수 발전등이 있으며 수차의 종류로서 (중력 수차로:물레방아)(충격수차로서:펠톤수차, 튜고수차, 오스브그 수차:물에 수차가 잠기지 않음) (반동수차로서:프란시스수차, 프로펠러 수차, 카플란수차 등 물에 수차가 완전히 잠김)이 있다Generally,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method using water includes dam type, water channel change type, dam water channel type, pumping power generation, etc.As a kind of aberration (gravity water wheel: watermill) (impact water wheel: Pelton water wheel, Tugo water wheel, Osgug water wheel) Aberration: aberration is not submerged in water) (as a reaction aberration: water aberration is completely submerged in Francis, propeller, Kaplan aberration)
본 발명은 전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필수불가결한 환경 오염이 없는 자연 친화적인 발전 방법과 방식으로서 무한한 생명수인 물을 이용하는 수력발전이 가진 장점과 또한 기존 수력발전 방법과 방식에 의한 댐에 의해 물의 흐름이 차단되어 생태학적으로 관찰할때 자연 생태가 훼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전기 생산 방법과 방식를 새롭게 조명하고 전기를 값싸게 하며 환경 오염과 생태학적인 분야에서도 매우 환경친화적이며 오염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natural friendly power generation method and method that is indispensable for producing electricity, and the advantages of hydroelectric power using water, which is infinite life water, and the flow of water by dams by existing hydroelectric power methods and methods. It is aimed at preventing the damage to the natural ecology when it is blocked and ecologically observed, relighting the production method and method of electricity, making electricity cheap, and being very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preventing pollution from occurring in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cological fields.
위치적으로 많은 양의 전기를 생산할수 있게 하며 건설 비용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으면 발전소를 만들수 있는 방법과 방식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인 구성에 의해 환경 영향 평가를 최소화시켜 기존의 댐식을 탈피하여 전기를 수급하기 위한 방향과 방법 방식을 실용적으로 유도하여 고효율적인 전기를 생산 공급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It is possible to produce a large amount of electricity locally and minimize the construction cost and at the same time, if there is a river flowing water as a method and method for creating a power plant b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inimizing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e purpose is to produce and supply high-efficiency electricity by practically inducing the direction and method for supplying electricity by escaping
이하 본 발명의 방법과 방식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효과를 살펴보면 지역의 자연이 인위적으로 수몰환경이 변형되는 댐을 만들지 않게 되며 댐 건설로 인한 비용이 없으며, 강과 하천에 흐르는 물의 유수방향를 유도하는 낮은 물막이 보를 만들고 물이 흐르는 강과 하천을 따라으로 물의 위치에너지를 확보하는 수로나 수로관을 설치하게 되어 물의 낙차에 의한 위치에너지를 확보하는데 있어 공사와 시공이 간편하다 또한 생태학적인 영향 평가에 있어 환경 오염과 파괴가 전혀 없게 된다Hereinafter, the effects of generating electricity by the method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create dams in which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region is artificially modified in the water environment, and there is no cost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dam, and a low water barrier that induces the flow direction of water flowing in rivers and rivers. It is easy to construct and construct to secure potential energy caused by falling water by installing a waterway or a water pipe to secure the potential energy of water along rivers and streams where water flows. Also, in the ecological impact assessmen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estruction Is not at all
특히 수력 발전을 하기 위한 댐 공사를 피할수있게 되어 땅이 수몰되어지는 환경적 어려움이 없으며 저 비용 공사를 시공하게 되어 고효휼의 순수한 전기를 생산할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avoid dam construction for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so there is no environmental difficulty of submerging the land, and low cost construction will bring about the effect of producing high-efficiency pure electricity.
또한 본 발명 수차는 생산 이동 설치가 간편하여서 대량 규격화가 가능하며 소량의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으면 환경 친화적 고효휼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 다 In addition, the aber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ss-standardized because it is easy to install and move the production, and if there is a river flowing a small amount of water can produce electricity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high efficiency.
조력 발전에서도 간편하게 설치되며 대용량 전기를 생산할 수 있으며 설치에 있어 어떤 환경 파괴가 없는 장점이 있다Easy installation even in tidal power generation, can produce large amount of electricity, and there is no environmental damage in installation
또한 수차가 수면으로 대량의 물을 배출하면서 배출되는 물과 강에 흐르는 물과의 충돌로 수면에 발생하는 물보라 안개의 발생으로 인한 관광 효과도 발생하게 되는 다목적 기능의 친환경적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유용한 발전이다In addition, it is a useful power generation that produces eco-friendly electricity with multi-purpose functions, in which aberrations generate large amounts of water into the water surface, and tourism effects due to the generation of spray fog generated on the water surface due to collisions between the discharged water and the water flowing in the river. to b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presented by way of exampl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고각도 저낙차 밸트식 순환 수차의 발전방식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2]는 수차의 상부,하부 회전축 구조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도이며, [도3]은 수차의 물통이 달린 체인밸트가 상부 물통 바퀴 회전대 위에 있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부분 상세 설명도이고, [도4]는 회전축 기어에 감기는 체인밸트에 달린 물통이 회전축을 돌 때 물통의 작동상태를 설명한 설명도이고 사시도이며, [도5]는 지면 고정식 수차의 철구조본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6]은 지면 고정식 철구조본에 물통이 달린 체인밸트가 설치되어 있는 수차의 발전작동부를 설명한 설명도와 사시도 부분 상세도이며, [도7]은 지면 고정식 수차의 상단부 물통키판의 유도를 받고 물통이 상부 물통이동로에서 낙차하면서 물통에 담긴 물을 배출하는 것을 도시한 부분 설명도이고, [도8]은 수차 상부 하부 회전축 지지대의 슬립장치 작동과 역활을 설명한 설명도이며, [도9]는 지면 고정식 철구조본 수차의 발전공정을 도시한 옆면도와 발전공정 설명도이고, [도10]은 지면 분리식 밸트식 순환 수차의 철구조본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11]은 지면 분리식 철구조본 수차의 발전공정을 도시한 상세 설명도와 사시도이고, [도12]는 물통바퀴의 회전방향을 바꾸어주는 하부 조정대의 기능과 역활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설명도이며, [도13]은 물통바퀴의 회전방향을 바꾸어주는 상부 조정대의 기능과 역활을 도시한 확대도와 설명도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power generation method of the high-angle low drop belt-type circulation aberration, [2] is a separation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upper and lower rotary shaft of the aberration, [3] is a bucket of aberra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chain belt attached to the upper bucket wheel swivel, and a partial detailed explanatory view,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l structure of the ground-mounted aberration, Figure 6 is an explanatory view and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power generation operation of the aberration having a chain belt with a bucket on the ground-fixed steel structure; FIG. 7 is a partial explanatory diagram showing discharge of water contained in a bucket while receiving water from the upper bucket movement path under the guidance of the upper bucket bucket of the ground-mounted aberration, and FIG. Fig. 9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and role of the slip device of the lower axle support shaft of the aberration, [Fig. 9] is a side view showing the power generation process of the fixed steel structure wheel aberration, and [Fig. 10] is a ground separation belt.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eel structure of the cyclic aberration, Figure 11 is a detailed explanatory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ground-type iron structure aberration, Figure 12 is a lower adjustment table for chang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bucket wheel It is an enlarged view and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a function and a role, [FIG. 13] is an enlarged view and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upper adjustment stand which changes the rotation direction of a bucket wheel.
[도1]은 고각도 저낙차 밸트식 순환 수차의 발전 방식에 대한 설명도이다1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development method of the high angle low drop belt type circular aberration.
수차의 물탱크(1)는 수차의 상부 물통이동로(V0)에 있는 각 물통 위에 위치하며 물탱크(1)는 수원(가)에서 공급되는 물(O)을 모으고 물의 양이 수차의 발전에 필요한 일정한 수위를 갖도록 수원에서 들어오는 물을 저장하고 유수력을 채워둔다 상기 수차는 물통(51) 바퀴(E)가 구르는 경사면인 상부 바퀴회전대(V)와 하부바퀴 회전대(V1)을 체인밸트(C)에 메달린 물통이 이동 상부,하부 회전축을 돌며 경사진 상부,하부 물통이동로(V0),(V3)를 이동 작동하는 무한궤도 체인밸트(C) 순환 수차이다 상기에서 수차는 물통과 바퀴(E)가 있으며 각 물통(51)에 물탱크(1)의 밑면 물배출구(O1)에서 물탱크(1)의 물을 방출하여 수차의 물통에 물을 공급하는 시스템을 갖춘다The water tank (1) of the aberration is located above each water tank in the upper bucket movement path (V 0 ) of the aberration, and the water tank (1) collects the water (O) supplied from the water source (A), and the amount of water is the generation of the aberration. so as to have a constant level for storing the incoming water from the water source and place filled with oil hydro the aberration is a bucket (51) wheel (E) the rolling slope of the upper wheel swivel (V) and a lower wheel rotating platform (V 1), the chain belt (C) is a circular aberration chain belt (C) circulating aberration to move the upper and lower bucket movement path (V 0 ), (V 3 ) inclined by moving the upper and lower rotation axis. There is a bucket and a wheel (E) and each
상기에서 고각도 저낙차 수차의 물통 바퀴회전대의 경사각도에 있어 높은 위치인 상부 (F) 회전축(A)을 밑으로 낮게 낮은 위치(F6)로 낮추어 수차를 가동할 수 있는 구조이다 수차의 상단(447)인 물탱크에 채워진 유량이 수차 상부 물통이동로 (V0)에 있는 각 물통에 동시 배출되는 작용한다 상기에서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사이에 있는 각 물통에 물이 채워지고 물통은 낙차력이 있게 되며 상기에 작용에 의해 회전축에 회전력을 일으킨다 상기에서 수차의 상·하부회전축(A)와(B) 사이에 있는 즉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사이에서 물의 무게로 수차 상부의 각 물통(51)을 경사진 물통바퀴 회전대로 낙차시키게 되며 각 물통(51)은 물의 위치에너지를 갖게 되며 수차 밖으로 물을 방출하게 된다 체인밸트에 메달린 물통은 하부회전축(B)을 돌면서 물통의 위치가 꺼꾸로 될 때 물통에 남은 물을 수로(J1)에 배출하면서 물이 비워진 각 물통이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1)를 이동하여 다시 상부회전축(A)을 돌면서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사이로 진입한다It is a structure that can operate the aberration by lowering the upper (F) rotation axis (A), which is a high position, i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ucket wheel swivel of the high angle low drop aberration to the lower position (F 6 ) to the bottom. (447) the flow rate filled in the water tank is simultaneously discharged to each of the buckets in the water tank upper bucket movement path (V 0 ). In the above water tank is filled between the water tank between the upper bucket wheel swivel (V) There is a free fall force and the rotational force is generated by the above action. The upper part of the aberration by the weight of wate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otation shafts (A) and (B) of the aberration, that is, the upper bucket wheel swivel (V). The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징적으로 고각도의 경사각를 바닥 0도에서 180도까지 기초바닥(K) 위에서 나타낸 하부회전축을 중심으로 선 표시된 (B),(B2),(B3),(B4),(B5),(B6)의 위치에서 선 연결 표시된 물(O)이 갖는 위치에너지의 낮아진 높이 상부회전축(F),(F2),(F3),(F4),(F5),(F6)에 있어서 상부회전축(A)과 하부회전축(B)의 길이를 (B)에서 (F)로 상부회전축(A)으로 길게 연장하고 수차의 길이를 연장하여 길게 채인밸트를 장치하고 무한궤도적 물통바퀴 회전대와 체인 밸트에 물통의 갯수가 많게 하여 물통에 실려 물통(51)과 함께 낙차하는 물이 갖는 위치 에너지의 무게가 체인밸트(C)에 많게하여 체인밸트에 메달린 물통에 의해 물의 위치 에너지를 크게하여 체인밸트(C)의 물통고정막대(P1)에 메달린 물통으로 수 차의 회전력을 극대화하면서 회전력을 창출할 수 있으며 저낙차지에서 수력 발전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수차의 주 구성부는 다음과 같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the high angle of inclination angle line (B), (B 2 ), (B 3 ), (B 4 ) lined around the lower axis of rotation shown on the foundation floor (K) from the bottom 0 degrees to 180 degrees The lower height of the potential energy of the water (O) marked in the positions of, (B 5 ), (B 6 ). Upper axis of rotation (F), (F 2 ), (F 3 ), (F 4 ), (F 5 ) In (F 6 ), the length of the upper rotating shaft (A) and the lower rotating shaft (B) is extended from (B) to (F) to the upper rotating shaft (A) and the length of the aberration is extended. And the number of buckets on the trolley bucket wheel swivel and the chain belt is loaded into the bucket, and the weight of potential energy of the water dropping together with the
물탱크(1), 철구조본(M),(MP), 수로(J1), 물배출구 상부판(5J),밀착대판(U4) 풀리끼움사각대(10), 가속부(Z), 발전기(ZB), 수로관(X), 침전지(나), 걸음망(도), 물배출관(60), 물배출구 앞면(104), 수차상단(447), 체인기어(8)이다Water tank (1), steel structure (M), (MP), waterway (J1), water outlet top plate (5J), contact plate (U 4 ) pulley reclining slope (10), accelerator (Z), generator (ZB), water pipe (X), sedimentation basin (b), grid (degrees), water discharge pipe (60), water discharge port front (104), aberration top (447), chain gear (8).
[도2]는 수차의 상부,하부 회전축의 구조를 분리하고 나타낸 분리도이며 설명도이다2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upper and lower rotary shafts of the aberration, and is an explanatory diagram.
수차 상부,하부회전축의 좌,우 양끝부에 베어링(3)이 있으며 회전축(U)중앙의 중심부에서 좌,우측으로 상부축과 하부축에 각각 2개씩 같은 구조의 기어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동일한 고정키(37)와 고정판(44), 고정키 끼움구(66), 기어고정볼트(20)에 의해 축(U)에 고정되어 쌍으로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U)이다 상부회전축(A)은 체인 밸트가 물통 무게 낙차에 의해서 수차의 발전기(ZB)를 돌리는 주 회전축이며 수차의 회전력을 설명도(400)와 같이 회전가속부(Z)에 연결된 동력전달밸트(V6)를 통해 발전기(ZB)에 전달하는 풀리(56)가 있으며 풀리(56)가 끼워지는 끼움대(10)가 사각축(10)으로 되어 상부회전축(A) 끝부분에 구성되어 있다Bearings (3) are located 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aberration upper and lower axle shafts, and two gears of the same structure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center of the center of the rotation shaft (U) to the left and right shafts, respectively. The rotary shaft U is fixed to the shaft U by the fixing key 37, the
상기 회전축(U)의 구성에는 상부 하부회전축에 동일하게 풀리고정핀(16), 베어링(3), 베어링 이탈방지핀(31) 그리고 체인기어(8)와 고정판(44)을 결합하는 볼트(20), 볼트끼움구(75), 볼트너트(22), 핀끼움구(88), 풀리끼움사각구(13), 풀리(56)가 있다 상기 회전축의 구성부는 화살점선표시(F)와 같이 회전축(U)에 고정된 다 쌍으로 있는 고정판(44)에 체인기어(8)와 고정판(44)이 고정볼트,너트(20),(22)로 결합되고 뒤로 베어링(3) 그리고 베어링 이탈방지 고정핀(31)이 축(U)에 결합되며 뒤로 풀리끼움체축(10)에 풀리(56)가 끼워지며 고정핀(16)이 결합되어진 구조이다 상기에서 회전축(U)에 기어와 베어링 풀리가 설치되어져 있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rotary shaft (U) is the same as the upper lower rotary shaft loosened
[도3]은 본 발명 수차의 물통이 달려 붙어지게 되는 체인밸트(C)가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위에 있는 물통바퀴(E)와 물통고정막대(P1)에 의해 회전대와 회전대 사이에서 들려져 지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고 설명도이며 상세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3 is a chain belt (C) to which the bucket of the invention aberration is attached, the bucket wheel (E) and the bucket fixing rod (P 1 ) on the upper bucket wheel swivel (V) between the swivel and the swivel Partial plan view showing explanatory support and detailed description as follows
물통(가)와 (나) 좌,우에 있는 체인 밸트의 이음대(JJ) 구멍(77)에 물통고정막대(P1)가 끼워져 있다 상기에서 수차의 밸트(C)는 물통 옆면을 관통한 물통고정막대가 물통 옆면 좌,우측에 물통과 나란히 일직선 된 체인과 체인의 이음대 구멍(77)에 물통고정막대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음대를 관통하고 체인밸트(C)를 돌출하여 있으며 돌출한 물통고정막대(P1) 좌,우 끝부분에 물통바퀴(E)가 달려있으며 체인밸트 물통(51)이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사이 물통이동로(V0)에 놓여있다 상기에서 체인 밸트(C)의 구성은 설명도(505)에서와 같다 상기에서 체인과 체인 사이에 물통이 위치하며 각 물통의 옆면(바)을 물통고정막대(P1)인 원형봉이 2개가 물통 좌,우 옆면을 관통하고 물통밖으로 돌출되어진 2개의 물통고정막대(P1)에 물통고정링(101)이 끼워지고 이어서 체인이음대(JJ)가 구멍(77)을 통해 물통고정막대(P1)에 끼 워져 있으며 이어서 회전볼(PA)이 끼워지며 다시 체인이음대가 끼워지며 체인이음대 구멍(77)에서 돌출된 물통고정막대에 체인고정핀(Y)이 이음대에 밀착되며 끼워져 있다 고정핀(Y)은 핀구멍(Z)에 끼워져 체인이 물통고정막대(P1)에서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며 체인이음대(JJ)를 관통한 물통고정막대(P1)의 양 끝부분에 물통바퀴(E)가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The bucket fixing rod (P 1 ) is inserted into the joint (JJ)
설명도(505)는 물통고정막대(P1)에 끼워진 물통 옆면 한쪽 체인 밸트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상기 설명과 같다Description Figure 505 will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one side of the bucket chain belt fitted to the bucket fixing bar (P 1) as above described
수차의 물통에 있어서 각 물통바퀴가 회전대(V) 위를 구를 때의 물통 (가)와 (나) 즉 각 물통(51)이 윗면 (차)과 밑면 (자)이 밀착대(U4)를 압착하고 붙어 있는 것을 설명하겠다In the bucket of water wheel, when each bucket wheel rolls on the swivel table (V), the bucket (A) and (B), that is, each bucket (51) is the upper surface (car) and the bottom (child) is a close contact (U 4 ) I will squeeze and explain what is stuck
각 물통은 물이 채워지는 물통 물유입구(O2)가 항시 위로 개방되어 있으며 물통 앞면(18)이 된다 물통(51)은 물통고정막대(P1) 두개에 물통이 1개씩 끼워져 있으며 물통은 고정막대(P1)에 달려있게 된다 상기에서 물통은 체인과 체인 사이에 위치하고 체인과 체인을 연결한 물통고정막대는 두개의 체인 밸트를 물통을 사이로 나란히 연결하여 있게 되므로 물통고정막대(P1)가 회전축기어피니언에 걸쳐져 작동하는 체인 밸트이다 상기에서 체인이음대 구멍(77)을 관통하고 돌출된 물통고정막대(P1)의 좌·우 양 끝부분에 한몸체인 물통바퀴(E)와 보조바퀴(E2)가 장치되어 있 다 물통바퀴(E)와 보조바퀴(E2)는 바퀴 지름이 원형오목 요철홈(HP)을 사이로 두바퀴의 지름 크기가 다르며 바퀴가 이격되어 분리되어 있다 물통바퀴(E)와 보조바퀴(E2)의 기능은 체인 밸트(C)에 끼워진 물통고정막대(P1)에 달린 각 물통이 체인 밸트(C)를 따라서 상부회전축(A)과, 하부회전축(B)을 이동 회전할 때 물통고정막대(P1)에서 회전하면서 물통바퀴회전대 위를 구르면서 각 물통이 물통고정막대(P1) 받쳐있게 하여 물통과 물통이 물통바퀴회전대(V) 사이에서 낙차를 원활히 할 수 있게 하는 역활을 한다 그리고 물통고정막대(P1)에는 물통(51)이 수차 상부서 하부로 수차 하부서 상부로 이동할 때 물통이 고정막대에서 좌·우로 흔들리고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통고정링(101)이 물통(51) 양옆면과 체인이음대 사이에서 물통고정막대(P1)에 끼워져 있다Each bucket is filled with water, the water inlet (O 2 ) is always open above the top of the water tank (18). The water tank (51) is fitted with one bucket on the two bucket fixing rod (P 1 ), the bucket is fixed bar (P 1) is possible it depends on the on the water basin is located between the chain and the chain connecting the chain and the chain bucket fixing bars so allows side-by-side connection of the two chain belts between the bucket bucket fixing bar (P 1) in the It is a chain belt that is operated across the shaft shaft pinion. The bucket wheel (E) and the auxiliary wheel which are one body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bucket fixing rod (P 1 ) which protrude through the chain joint hole (77). E2) is equipped with the bucket wheel (E) and the auxiliary wheel (E 2 ) wheel diameter is different between the diameter of the two wheels between the round recess grooves (HP) and the wheels are separated by the separation of the wheel wheel (E ) And the auxiliary wheel (E2) function Agent (C), a bucket fixed bar (P 1) of each bucket chain belt (C) with a sandwiched therefore the upper rotary shaft (A) and, when moved to the lower axis of rotation (B) rotate in the bucket fixing bar (P 1) Rolling over the bucket wheel swivel while rotating, allowing each bucket to support the bucket fixing rod (P 1 ) so that the bucket and bucket can smoothly drop between the bucket wheel swivel (V) and the bucket fixing rod (
상기에서 물통고정막대(P1)가 일정한 간격의 체인이음대 구멍(77)에 끼워져 있다 상기에서 체인이음대와 이음대간에 끼워진 물통고정막대(P1) 간의 간격(CH)과 물통(가)와 (나)의 물통 좌·우 옆면(바)에 있는 고정막대(P1)가 끼워진 끼움구멍(70) 간의 즉 끼움구멍(70)과 끼움구멍(70)의 간격(HC)이 같게 끼워져 있는 물통고정막대(P1)를 통하여 밀착대(U4)를 압착하여 붙어있게 하였다 상기에서 체인밸트(C)가 일직선으로 되어질 때 물통 좌·우 옆면을 관통하고 돌출된 물통고정막대(P1)가 끼워진 체인밸트(C)에 의해 각 물통은 체인밸트 사이에서 물통(가)와 물통(나)의 윗면(차)과 밑면(자)이 붙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물통바퀴 회전대(V)와 회전대(V)사이에서 각 물통이 낙차될 때 일직선 종으로 물통 윗면(차)과 밑면(자)이 붙어지도록 한 본 발명 수차 체인밸트(C)의 구성에서In the above, the bucket fixing rod (P 1 ) is inserted into the
물통고정막대(P1)에 달려있는 물통(나) 윗면(차)과 물통(가)의 밑면(차)이 각 물통 밑면에 부착된 밀착대(U4)를 누르 압착(601)을 하게 되어 진다 상기에서 각 체인이음대(JJ)가 물통의 밀착대(U4)가 받는 압력의 힘이 물통고정막대(P1)에 전달되어지므로 물통고정막대(P1)를 통하여 체인밸트(C)가 평평하게 당겨지는 힘(장력)을 갖게 되어진다The top of the water tank (B) and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A), which ar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P), press the contact sticks (U 4 ) attached to the bottom of each water tank (P 1 ). is a chain belt, each chain in the through of Music (JJ) is a bucket in close contact against (U 4) is the pressure of the force so is transmitted to the bucket fixing bar (P 1) bucket fixing bar (P 1) receives the (C) Has the force to pull flat
상기에서 물통과 물통이 붙어지게 하는 효과(601)로 물통고정막대를 통하여 물통 좌·우로 있는 체인밸트 이음대와 이음대(JJ)간 장력이 평평히 당겨지는 효과가 있게 되고 고정막대(P1)를 통해 물통(가)와 (나)의 밑면(자)과 윗면(차)이 밀착대(U4)를 누르며 붙어지도록 유발시키는 압착 작용이 있게 된다In the above effect that the bucket and the bucket is attached (601), the tension between the chain belt joints and the joint (JJ) of the bucket left and right through the bucket fixing rod becomes effective to pull the tension bar (P 1 Through), there is a compressive action that causes the bottom (child) and the top (car) of the water tank (a) and (b) to stick together while pressing the contact table (U 4 ).
상기에서 물통바퀴회전대 사이의 각 물통(가)와 (나)는 밑면(자)에 부착된 탄성재질인 밀착대(U4)의 탄성력을 수축시키면서 밀착대(U4)를 누르는 압박을 받으면서 밀착되며 붙게 되어진다(A) each bucket between the bucket wheels swivel and (B) is in close contact while receiving a pressure while contrac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aterial is in close contact against (U 4) affixed to the bottom of (I) pressing the adhesive against (U 4) Will be stuck
상기에서 각 물통이 물통바퀴(E)가 구르는 경사면인 바퀴회전대(V) 위에서 일직선으로 경사지게 종으로 배열되어 낙차할 때 좌·우 체인밸트(C)는 팽팽히 당겨지는 장력이 있게 된다 그리고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에서 각 물통이 물통에 작용하는 물의 위치에너지 힘에 의해 낙차할 때 체인이음대와 이음대가 느슨해지지 않고 꺽여지는 현상이 없게 된다In the above, each bucket is vertically inclined in a vertical line on the wheel swivel (V), which i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bucket wheel (E) roll when the left and right chain belt (C) has a tension to be pulled tightly and the upper bucket wheel When the water tank on the swivel table (V) is dropped by the potential energy force of the water acting on the water tank, there is no phenomenon that the chain joint and the joint are not loosened and bent.
상기에서 물통고정막대는 체인의 이음대(JJ)와 이음대(JJ)를 연결하는 체인연결핀 기능을 한다 좌·우 체인이음대와 이음대(JJ) 사이에 있으며 물통고정막대(P1)에 끼워져 있으며 물통고정막대(P1)에서 회전되는 회전볼(101)은 물통이 회전축을 반회전 돌 때 체인기어의 피니언(R)에 물려진다 상기 각 회전볼(PA)에는 구리스를 주입하는 구리스 주입부(PJ)가 있으며 물통고정막대(P1)에서 회전볼이 돌 때 구리스의 원활한 윤활작용으로 기어피니언과 물통고정막대에서 마찰로 발생하는 열발생을 적게 하는 작용을 한다In the above, the bucket fixing rod functions as a chain connecting pin for connecting the joint (JJ) and the joint (JJ) of the chain, and is locat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chain joints and the joint (JJ), and the bucket fixing rod (P 1 ). The
물통 뒷면 하부 경사면 끝(71)이며 물통 뒷면 상부 경사면 끝(13)이다 물통 밑면에 부착되어 있는 밀착대판(U4)은 강력한 재질의 탄성소재이며 물통고정막대(P1)에 달린 각 물통(51)이 상부 하부회전축을 반회전 돌며 회전대 사이로 진입하여 밑면과 윗면이 붙을 시 윗면과 밑면이 부드러운 밀착이 되도록 용이하게 해주므로 바퀴회전대 사이에서 각 물통 윗면(차)과 밑면(자)이 밀착될 시 윗면과 밑면이 강하고 부드럽게 붙어있게 하며 물통바퀴 회전대 위에서 물통고정막대(P1)에 끼워진 체인 밸트가 장력에 의해 꺽이지 않게 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밀착대판(U4)은 물통 윗면(차)과 밑면(자) 사이에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활을 한다 물통 앞면(18)이며 물통의 물유입구(O2)이다The bottom of the bucket bottom slope (71) and the bottom of the bucket top slope (13). The contact plate (U 4 )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bucket is a strong material of elastic material and each bucket attached to the bucket fixing rod (P 1 ) Wh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rotating the upper lower rotating shaft half a tur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make smooth contact with each other. The upper and the bottom are strong and softly attached, and the chain belt inserted on the bucket fixing rod (P 1 ) on the bucket wheel swivel is prevented from being bent by the tension and the contact plate (U 4 ) is the top and the bottom of the bucket (car) It is the front of the water tank (18) and the water inlet (O 2 ) of the water tank.
[도4]는 회전축 기어에 감기는 체인밸트에 달린 물통이 회전축을 도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설명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and explanatory view showing a bucket attached to a chain belt wound around a rotating shaft gear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상기 설명도(750)에서 회전축을 도는 물통의 회전방향(FU)이다 기어회전축(U),기어(8),물통(51),체인 밸트(C),물통고정막대(P1),기어피니언(R),물통 물유입구(O2),물통 밑면(자),물통 윗면(차),물통 앞면(18),물통 옆면(바),물통 뒷면(타)으로 구성되며 화살표시선은 체인밸트 물통고정막대(P1)에 메달린 물통의 회전방향(FU)이다 상기에서 각 물통이 체인밸트에 메달려 이동회전할 때 회전축을 도는 물통과 물통의 작용을 상세 설명하겠다The rotation direction (FU) of the bucket turning the rotation axis in the above-described explanatory drawing (750) is the gear rotation axis (U), gear (8), bucket (51), chain belt (C), bucket fixing rod (P 1 ), gear pinion (R), Bucket Water Inlet (O 2 ), Bucket Bottom (R), Bucket Top (Car), Bucket Front (18), Bucket Side (Bar), Bucket Back (Ta). It is the direction of rotation (FU) of the bucket hanging on the fixed rod (P 1 ).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bucket and the bucket turning the rotating shaf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hen each bucket is rotated by the chain belt.
좌,우 체인밸트에 끼워져 밸트(C)에 장치된 물통에 있어 좌,우 체인밸트(C) 사이에 각 물통(51)이 메달려 있다 상기에서 물통고정막대로 연결된 체인밸트가 일직선이 될 때 각 물통(51) 옆면(바)에 세로 그은 점선 즉 물통 옆면 중앙부(BS)에서 물통 앞면(18) 즉 물통 앞쪽으로 화살표시(TA) 방향으로 각 물통 양옆면에 동일하게 이격되어 점선(SB) 상에서 옆면(바)을 관통한 물통고정막대(P1)가 각 물통 1개에 2개씩 끼워져 있다 상기 물통 옆면에 상(UT), 하(TU)로 끼워져 있는 물통고정막대(P1) 즉 각 물통(51) 좌·우 옆면으로 돌출시킨 2개의 물통고정막대의 물통고정막대(P1) 둥근 쇠막대 원지름(O8)이 물통 옆면의 세로점선(SB)부에 각 물통의 고정막대(P1)가 끼워져 있다 상기에서 물통고정막대(P1)는 각 물통 옆면에 동일하게 각 물통이 물통이동로(V0)에서 종으로 일직선일 때 물통 옆면 중앙부(BS)선 상에서 물통 앞면(18) 물유입구(O2) 화살표시방향(TA)으로 설명도(771)와 같이 점선(BS)에서 이격되어 물통고정막대(P1)가 점선(SB) 상에 끼워져 있게 된다 상기에서 각 물통(51)의 윗면(차)과 밑면(자)에 있어서 물통의 윗면(차)이 옆면(바)의 세로점선(SB)과 만나는 윗면 모서리 즉 물통에 끼워진 물통고정막대(P1)의 원지름둘레 끝부분(O8) 앞면 상의 세로점선(SB)이 만나는 윗면 모서리(11)에서 물통 뒷면(타)의 모서리(13)까지 각 물통 윗면에 경사면(사)이 있게 하였다 그리고 물통 밑면(자)에 있어서 물통의 윗면 경사면(사)과 같은 경사면이 있도록 물통 밑면을 물통 옆면 점선(SB)상 즉 물통 밑면의 모서리(14)의 위치에서 물통 뒷면(타)의 모서리(71)까지 물통 밑면에 경사면(마)이 있도록 한것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ach
체인 밸트(C)에 끼워진 물통고정막대에 메달려 설치된 각 물통(51)이 체인 밸트(C)가 상부회전축(A)과 하부회전축(B)의 기어(8)를 반회전 하면서 돌때 물통(51)이 체인 밸트(C)에 끼워진 물통 고정막대(P1)에 유동성있게 메달려 고정이 되어 있다 상기에서 체인 밸트(C)가 기어(8)의 피니언(R)에 감겨질 때(SS)에 체인 밸트(C)가 기어와 같은 원형의 모양으로 반원형태가 되어지게 된다Each
상기에서 체인 밸트(C)에 끼워진 물통고정막대(P1)에 달린 각 물통이 상부 하부회전축을 돌때 즉 물통이 회전방향(FU)으로 돌 때 있어서 각 물통은 2개의 물통고정막대(P1)에 의해 유동성있게 고정되고 메달려 있게 된다In the above, when each bucket attached to the bucket fixing rod (P 1 ) fitted to the chain belt (C) rotates the upper lower rotary shaft, that is, when the bucket turns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FU), each bucket has two bucket fixing rods (P 1 ). Fluidly fixed and suspended by
상기 작동 각 물통(51)이 체인 밸트(C)가 기어에 감기기 전에 있어 각 물통 이 물통바퀴에 의해 철구조본(M)에 상부,하부로 있는 물통바퀴 회전대(V),(V1) 위에서 물통바퀴 회전축인 물통고정막대로 상부,하부 바퀴회전대와 평행되어 일직선으로 이동운동을 한다 상기에서 바퀴회전대와 바퀴회전대 사이 물통 이동로(V0)에서 각 물통은 밀착대(U4)을 압착하여 놓여져 있게 된다 상기에서 각 물통이 붙어져 일직선 종으로 배열되고 상부 물통바퀴회전대(V) 사이의 물통 이동로(V0)에서 일직선이 될 때 있어서 바퀴 회전대(V),(V1) 위의 물통바퀴에 의해 각 물통이 밑면(자)과 윗면(차)은 [도3]에서 설명된 체인밸트에 끼워진 물통고정막대(P1)에 달린 물통 구조의 기능과 역활에서와 동일하게 각 물통(51) 밑면(자)에 부착되어 있는 밀착대판(U4)에 각 물통(51) 윗면(차)이 부착되어 있게 된다The operation bucket (51) is before the chain belt (C) is wound on the gear, each bucket is bucket bucket wheel (V), (V 1 )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steel structure (M) by the bucket wheel wheel rotational axis of the bucket is in a fixed bar and the upper and lower wheel swivel parallel straight line and the movement movement of each bucket on the wheel rotating platform with wheels swivel in between the bucket movement (V 0) above is placed by pressing the adhesive against (U 4) The bucket wheels on the wheel swivel (V), (V 1 ) when each bucket is attached and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nd in a straight line in the bucket movement path (V 0 ) between the upper bucket wheel swivel (V). By the bottom of each bucket (top) and the top (car) are each
상기에서From above
각 물통(51)은 2개의 물통고정막대(P1)로 좌·우 체인밸트(C) 사이에서 메달려진 상태로 되며 물통이동로 사이에서 물통의 밑면과 윗면이 붙어지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좌·우 체인밸트(C)에 설치되어져 있다Each
상기에서 각 물통을 윗면(차)과 밑면(자)이 물통바퀴 회전대 사이에서 일렬 종으로 되어 붙어지도록 한 본 발명 수차의 물통이 달린 체인 밸트(C)의 구성에서 각 물통이 회전축(A)와 (B)를 돌 때 물통바퀴 회전대 사이에서 일직선으로 배열된 각 물통이 상,하부회전축 기어(8)의 피니언에 감겨지는 작용 때(SS)에 있어 체인 밸트를 따라서 각 물통(51)이 체인 밸트(C)가 기어에 감기기 전 물통이동로(V0)상 물통(KK) 위치에서 체인 밸트(C)가 감겨진 물통(BB) 위치로 이동할 때 물통과 물통이 꺽여지는 작용이 있게 된다 상기에서 물통이 회전축을 돌 때 각각 분리되되 체인기어를 따라 반원 곡선으로 회전축을 돌게되어져야 하므로 상기에서 체인 밸트가 기어의 피니언에 감겨질 때In the above configuration, each of the bucket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hain belt (C) with a bucket of the aber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that the upper surface (car) and the bottom (child) are attached in a row between the bucket wheel swivel, each bucket is a rotating shaft (A) and When turning (B), when each bucket arranged in a straight line between the bucket wheel swivel is wound on the pinion of the upper and lower rotary shaft gear (SS) (SS), each
각 물통(51)의 밑면(자)과 윗면(차)이 물통 전방(TA)방향으로 벌어지고 뒷면부(타)가 밀착(PU)되는 현상이 있게 되며 물통과 물통이 충돌하는 현상이 있게 되어지므로The bottom (child) and the top (car) of each
상기 각 물통이 회전축(U)을 반회전 도는 회전작동시에When each bucket rotates the rotation shaft half a turn (U)
물통과 물통의 충돌현상을 방지키 위한 것으로 체인밸트(C)에 끼워진 물통고정막대(P1)에 메달린 각 물통이 물통바퀴회전대 사이에서 일직선으로 물통 윗면과 밑면이 붙어져 있을 때 각 물통고정막대(P1)의 원지름(TS)에서 물통 앞쪽으로(TA) 이격하여 점선(SB) 상에서 물통(51) 윗면과 밑면을 뒷면으로 (사),(마)와 같이 경사면이 각 물통에 있게 하여 물통과 물통이 꺽일 때 물통에 끼워진 고정막대(P1)와 고정막대(P1)가 물통을 미는 현상이 없게 하였다 상기에서 물통 앞면(18) 물유입구보다 물통 뒷면(타)의 물통판 길이와 면적이 적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물통바퀴 회전대 사이에서 각 물통이 일직선일 때 경사면(사)과 경사면(마) 사이에 즉 각 물통 윗면(차)과 밑면 사이에 물통 뒷면으로 물통(51)을 절개한 공간(AB)이 있게 된다 상기에서 각 물통(51)이 상부,하부회전축을 돌 때 물통 밑면과 윗면이 물통 앞면 전방으로 벌어지고 물통 뒷부분이 좁아질 때 충돌완화공간(AB)이 있으므로 각 물통이 회전축의 체인기어 사이에서 회전축을 반회전하며 돌때 있어서 물통(KK)의 위치에서 물통(BB)의 위치로 이동할 때에 각 물통의 윗면과 밑면이 부딪히는 충돌이 없이 좁혀지게 하는 공간(AB)가 각 물통에 있게하여 체인밸트(C)에 끼워진 물통고정막대(P1)에 메달린 각 물통이 원활히 회전축을 돌게하였다To prevent the collision between the bucket and the bucket, each bucket that is suspended from the bucket fixing rod (P 1 ) fitted to the chain belt (C) is fixed to the bucket when the top and bottom of the bucket are attached in a straight line between the bucket wheel swivel. From the diameter of the rod (P 1 ) to the front of the water tank (TA), the top and bottom of the
[도5]는 고각도 저낙차 밸트식 순환 수차의 작동부인 수차의 체인밸트(C)가 설치되는 지면 고정식 수차의 철구조본(M)의 형태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5 shows the form and structure of the steel structure (M) of the ground-mounted aberration to which the chain belt (C) of the aberration, which is the operation part of the high angle low drop belt-type circulation aberration is installed
상기에서 수차의 철구조본(M)은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와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1)로 구분되어지되 물통바퀴 회전대의 경사도에 의해 철구조본(M)의 상부 회전축(A)의 높이와 하부 회전축(B)의 높이가 수차의 발전에 최적의 상태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steel structure of the aberration (M) is divided into the upper bucket wheel swivel (V) and the lower bucket wheel swivel (V 1 ), but the height of the upper axis of rotation (A) of the steel structure (M) by the inclination of the bucket wheel swivel And the height of the lower rotating shaft (B) can be adjusted to be optim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aberration
상기에서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와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1)에서 물통바퀴(E)가 구르는 경사면(Y1)의 각도을 [도1]의 설명을 참조하고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F)에서 (F6)으로 상부 바퀴 회전대(V)와 하부 바퀴 회전대(V1)의 경사각이 크게 되면 철구조본(M)의 상부가 하부를 중심으로 낮아지고The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Y 1 ) in which the bucket wheel (E) rolls in the upper bucket wheel swivel (V) and the lower bucket wheel swivel (V 1 )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of FIG. ), (F 6 )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upper wheel swivel (V) and the lower wheel swivel (V 1 ) increases, the upper part of the steel structure (M) is lowered about the lower part.
상부,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V1)의 경사각이 적어지면 상부가 하부를 중심으로 높아진다When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upper and lower bucket wheel turntables (V) and (V 1 ) decrease, the upper part becomes higher about the lower part.
수차의 몸체인 고정식 철구조본의 구조기능을 상세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tructural function of the fixed steel structural body, which is the body of aberration, is as follows.
상부,하부 물통바퀴 회전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대칭으로 길게 세워진 철구조본(M) 좌,우 두개의 판(K2)은 좌,우 상부판(M1)이 이격된 간격이 좁고 하부판(M2)이 바퀴가 구르는 면적만큼 더 넓고 상부판(M1)과 하부판(M2)을 분리하는 판꺽임부(MV)가 상부,하부 물통바퀴 회전대와 일직선으로 평행된 철구조물이다The upper and lower bucket whee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symmetrically long steel structure plate (M) left and right two plates (K 2 ) are spaced apart from the left and right upper plate (M 1 ) and the lower plate ( M 2 ) is a steel structure that is as wide as the wheel rolls and the plate (MV) separating the upper plate (M 1 ) and the lower plate (M 2 ) is parallel to the upper and lower bucket wheel swivel.
상기에서 철구조물 좌,우 하부판(M2)이 기초 콘크리트 바닥(K)에 고정되어진다In the above steel structure left and right bottom plate (M 2 ) is fixed to the foundation concrete floor (K)
기초바닥(K)에 고정된 좌,우 하부판(M2)의 판 안쪽에 장치된 연결장치판(S)은 가로로 판끝에서 끝까지 길게 상부서 하부로 낮아지는 경사가 되어지도록 부착된 긴 요철판이며 하부 물통바퀴가 구르는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1)이고 수차 하부서 상부로 꺼꾸로 올라가는 물통이동로이며 상기 물통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아 배출하는 수로(J1)가 구비된다 상기에서 철구조본 좌,우판은 상부판(M1) 사이 간격이 좁고 하부판(M2)이 넓은 구조물이다The connecting device plate (S) installed inside the plate of the left and right bottom plate (M 2 ) fixed to the base bottom (K) is a long uneven plate attach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top to the bottom horizontally from the end of the plate to the end The lower bucket wheel is rotated by the lower bucket wheel (V 1 ) and the bucket movement path that rises upside down from the top of the aberration, and a water channel (J 1 ) for receiving and draining the water falling from the bucket is provided. Is a structure having a narrow gap between the upper plate (M 1 ) and a wide lower plate (M 2 )
상기 좌,우판에 장치되는 미끄럼틀(9B)은 상기 두판(K2) 사이에서 물통바퀴 회전대와 같은 경사도로 수차 두판(K2)에 상부에서 하부로 길게 미끄러운 긴판으로 용접 고정되어지며 미끄럼틀(9B)은 각 물통이 하부 회전축을 돌면서 수차 상부로 하부 물통이동로(V3) 사이를 이동할 때 체인밸트(C)에 끼워진 물통고정막대(P1)에 꺼꾸로 달려 이동 올라가는 각 물통의 뒷면(타)을 좁은 간격으로 밀착하여 물통 뒷면이 판에 충돌되어지되 미끄러지게 하며 이동되게 하여 체인밸트(C)와 하부 물통의 출렁임을 방지하는 미끄럼틀(9B)이다The left and the slide (9B) to which the device on the vane is becomes fixed welding between the dupan (K 2) with slippery ginpan hold from the upper part of the aberration dupan (K 2) to the inclination, such as a bucket wheel rotating platform to the lower slide (9B) When each bucket moves between the lower bucket movement path (V 3 ) to the top of the aberration while rotating the lower axis of rotation, the back (ta) of each bucket moving upside down on the bucket fixing rod (P 1 ) fitted to the chain belt (C) It is a sliding frame (9B) which prevents the chain belt (C) and the lower bucket from swelling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a narrow gap and allowing the back of the bucket to collide with the plate, but make it slide and move.
철구조본 좌,우 두판(K2)의 하부판(M2)밖깥면 좌,우판에 용접되어 있는 상부회전축 지지대(Q)를 얻어 볼트로 고정하는 지지대 하단판(E4)을 고정하는 상부회전축 지지대 고정판(J4)이며 그리고 상부회전축 지지대 하단판(J4)을 고정하는 고정볼트(T)의 볼트 끼움구멍(TT)이다Iron gujobon left and right bottom plate of dupan (K 2) (M 2) outside kkatmyeon left, the upper rotary shaft support to obtain the upper rotary shaft support (Q) that is welded to the vane fixing the support bottom plate (E 4) for fixing to the bolt It is a fixing plate (J 4 ) and the bolt fitting hole (TT) of the fixing bolt (T) for fixing the upper rotary shaft support lower plate (J 4 ).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1)는 미끄럼틀(9B)과 이격되고 평행되며 미끄럼틀(9B) 아래 위치하며 하부판 끝에서 끝까지 일직선 긴판으로 중앙부가 길게 요철되어 있으며 철구조본(M)의 좌우 두판(K2)의 하부판(M2) 안쪽면 좌,우에 부착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1)이며 수로(J)이고 물통이동로인 연결장치판(S)은 철구조본 두판(K2)을 연결고정하며Lower bucket wheel swivel (V 1 ) is spaced apart and parallel to the slide (9B), located below the slide (9B), is a straight long plate from the end of the bottom plate to the end is long uneven, the left and right head plates of the steel structure (M) (K 2 ) The lower plate (M 2 )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attached to the weld is fixed and the lower bucket wheel swivel (V 1 ), the water channel (J), the connecting plate (S) of the bucket movement path is steel structural head plate (K 2 ) Securely
미끄럼틀(9B)과 함께 수차의 철구조본의 골격을 튼튼하게 하는 역활을 한다 연결장치판(S)은 밑면은 편편한 긴판이며 윗면은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이다Together with the slide (9B), it serves to strengthen the skeleton of the steel structure of the aberration. The connecting device plate (S) is a flat long plate at the bottom and the lower bucket wheel is rotated at the top.
상기에서 하부에서 상부회전축으로 각 물통이 이동할 때 체인 밸트에 끼워진 물통고정막대(P1)에 꺼꾸로 메달려 올라가는 하부 물통이동로(V3)이며 꺼꾸로 메달려 올라가는 각 물통(51)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아 하천과 연결된 수로(J2)에 배출하 는 수로(J1)가 구비되어 있다In the above, when each bucket is moved from the bottom to the upper rotary shaft, the lower bucket movement path (V 3 ) that hangs upside down on the bucket fixing rod (P 1 ) fitted to the chain belt and receives the water falling from each bucket (51) that hangs upside down and discharge and the associated channel (J 2) is provided with a number (J 1)
상기에서 연결장치판(S)은 윗면은 오목요철된 구조이고 밑면은 편편한 판이다The connecting device plate (S) in the above is a concave-convex structure and the bottom is a flat plate.
그리고 하부회전축 지지대 하단판(E5)을 얻어 고정하는 고정판(J5)이며 하단판(E5)에 있는 (수)슬립대가 끼워지는 고정판(J5)에 있는 암슬립대(W)이다And a lower rotary shaft bottom support plate (E 5), the obtained fixing a fixing plate (J 5) is a slip for cancer (W) in the bottom plate (E 5), fixing plate (J 5) to be fitted (can be) in exchange for the slip
상기 암슬립대(W)는 암슬립대(W)에 끼워져 장치되는 수슬립장치된 하부회전축 지지대 하단판(E5)이 전,후로 작동하는 슬립장치이다 그리고 (수)슬립된 하부회전축 지지대 하단판(E5)이 (암)슬립대(W)에 결합되었을 때 하부 회전축 지지대 하단판(E5)을 미는 장치로서 좌,우 하부판(M2)에 용접고정된 유압장치 실린더(H1)이며 실린더에서 작동하는 실린더붐(H2) 그리고 붐의 스프링판(ㅅ) 붐의 스프링끼움대(ㄷ)이다The female slippery (W) is a slip device in which the lower rotary shaft support bottom plate (E 5 ) with a male slip device fitted to the female slippery (W) is operated before and after and (male) slipped lower rotary shaft support plate (E 5) is (f) a pusher for the lower rotary shaft supporting the bottom plate (E 5) device when coupled to the slip for (W), the left and right bottom plate (M 2) welding the fixed hydraulic-cylinder in (H 1) The cylinder boom (H 2 ) and the spring plate of the boom (S) are operated by the cylinder.
그리고 수차 상부에서 물통바퀴의 회전을 바꾸어주는 반원형구조인 상부조정대(F8)이고 수차 하부에서 물통바퀴 회전을 바꾸는 하부조정대(F7)이다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1)에 용접고정되어 있으며 물통바퀴 회전을 바꾸어주는 조정대를 세워 용접고정하는 조정대 고정판(KB)이며 상기 고정판(KB)에 반원형 조정대 밑부분이 용접된 결합용접부(QA)이다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에 용접고정된 고정판(KB) 위에 세워진 반원형구조인 조정대의 섬유대판(FX)이고 섬유대 끼움판(PT)이며 물통(P0)과 물탱크에 연결된 물호스(C3)로 물이 채워지는 조정대 물통(P0)이며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이고 바퀴회전대(V) 사이로 물통이 이동하는 상부 물통이동로(V0)이다And a top guide (F 8) is semi-circular structure that in the aberration upper change the rotation of the bucket wheel, and (7 F) lower guides to change the bucket wheel rotating in aberration lower bottom bucket wheel rotating platform is welded to (V 1) and a bucket It is a joint fixing part (KB), which is a joint fixing part (KB), in which the bottom of the semi-circular adjusting part is welded to the fixing plate (KB), and is mounted on the fixing plate (KB) welded to the lower bucket wheel swivel. semi-circular fiber large plate (FX) of the guide structure is a fiber-engaging plate (PT) and a bucket (P 0) and connected to the water tank the water hoses (C 3) to the water filled guide buckets (P 0) and the upper bucket wheel It is a swivel (V) and the upper bucket movement path (V 0 ) through which the water tank moves between the swivels (V).
그리고 물통바퀴(E)의 보조바퀴(E2)와 섬유대(FF)가 마찰시 조정대에 빽빽하게 채워진 섬유대(FF)가 좌,우로 밀려 휘이는 쏠림을 방지하는 섬유대(FF)를 가두는 조정대의 섬유대판(FT)이며 물통바퀴(E)가 착지하는 착지대(F18)이고 조정대 하단부(OA)이며 조정대 상단부(OC)이다And when the auxiliary wheel (E 2 ) of the water tank wheel (E) and the fiber band (FF) friction, the fiber band (FF) tightly filled with the adjustment bar traps the fiber band (FF) to prevent the deflection from being pushed to the left and right. It is the fiber base plate (FT) of the steering wheel, the landing wheel (F 18 ) where the bucket wheel (E) lands, the lower end of the steering wheel (OA), and the upper end of the steering wheel (OC).
[도6]은 [도5]의 지면 고정식 철구조본(M)에 물통이 달린 체인 밸트(C)가 장착 설치되어 있는 수차의 하단(705)에서 수차의 상단인(447) 물탱크(1)의 물배출구(O1)을 분리하고 나타낸 사시도이며 부분상세 설명도이다6 is a
상기에서 화살표시(407)는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사이와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1) 사이에서 작동하는 물통의 이동과 상부,하부회전축을 도는 물통의 회전방향을 나타낸 것이다The
상기에서From above
상부회전축(A) 지지대(Q) 하부회전축 지지대에 장치된 회전축과 회전축으로 이격되어진 상부 회전축과 하부 회전축 기어에 물통이 달린 체인밸트(C)가 수차 상부와 하부로 길게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Upper rotary shaft (A) Support (Q) Lower rotary shaft The upper and lower rotary shafts, which are spaced apart from the rotary shaft, are attached to the chain belt (C) with a bucket on the lower rotary shaft gear.
상기에서 상부,하부회전축 지지대 하단판(E4)와 하단판(E5)이 철구조본(M) 좌,우판(K2)의 밖깥면에 좌,우측 하부판(M2) 상부,하부에 용접(QA) 고정된 고정판 (J4)과 고정판(J5)에 볼트(T)로 고정되어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In the above, the upper and lower rotary shaft support lower plate (E 4 ) and the lower plate (E 5 ) is welded to the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lower plate (M 2 )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plate (K 2 ) of the steel structure (M) (QA) It is fixed and installed with bolts (T) on the fixed plate (J 4 ) and the fixed plate (J 5 ).
상기 수차의 상부,하부회전축 지지대의 상단(4M)에 회전축 베어링(3)에 회전축이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The rotary shaft is fitted to the rotary shaft bearing 3 at the
상기 철구조본(M)에 고정시킨 상부,하부회전축 지지대에 [도2]에서 설명된 수차의 회전축 지지대에 장치되는 회전축(U) 체인기어(8)의 피니언(R)에 물통고정막대(P1)와 물통(51) 그리고 물통바퀴(E)와 보조바퀴(E2)가 구비된 수차의 동력발생장치인 체인밸트가 장착되어져 있다Bucket fixing rod (P 1 ) to the pinion (R) of the rotary shaft (U) chain gear (8)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rotary shaft support fixed to the steel structure (M) described in [Fig. 2] ) Is equipped with a chain belt, which is a power generator of aberration, equipped with a bucket (51) and a bucket wheel (E) and an auxiliary wheel (E 2 ).
그리고 바퀴(E)의 회전방향을 바꾸어주는 장치인 조정대가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1) 상단(335)과 하단(533) 끝부분에 세워져 있어며 상기 하부조정대(F7)가 회전축을 도는 물통바퀴(E)을 감싸게 하였다 상기에서 상부회전축(A)을 도는 물통바퀴(E)가 상부조정대(F8)의 섬유대(FF)와 마찰하며 돌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정대(F7)의 구조와 역활을 확대 도시한 [도12]에서 상세 설명도(400)를 참조하여 상세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d the adjusting device, which is a device for chang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heel (E) is erected at the end of the lower bucket wheel swivel (V 1 ) top 335 and the bottom 533, the lower adjuster (F 7 ) is a bucket around the rotation axis The wheel (E), which rotates the upper rotary shaft (A), rotates while rubbing against the fiber zone (FF) of the upper adjustment bar (F 8 ) and serves as a structure of the adjustment bar (F 7 ). 1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화살표시된 물통의 운동방향(407)에서 체인밸트가 기어피니언에 감겨질 때 같이 도는 물통이 축을 도는 작용은 [도4]의 설명과 동일하며 같다When the chain belt is wound around the gear pinion in the direction of
상기에서 하부회전축을 반회전 도는 물통바퀴(E)의 보조바퀴(E2)가 하부조정대의 반원형된 좌,우 섬유대판(FX)안으로 들어가며 [도12]의 설명도(400)와 같이 보조바퀴(E2)가 섬유대판(FX)안에 채워진 섬유대(FF)를 쓸면서 섬유대(FF)와 마찰충 돌 작용을 하게 된다.Auxiliary wheel (E 2 ) of the bucket wheel (E) to rotate the lower rotation axis in the above into the semi-circular left and right fiber base (FX) of the lower adjustment bar and the auxiliary wheel as shown in Figure 400 of [Fig. 12] (E 2 ) has a friction collision with the fiber zone (FF) while sweeping the fiber zone (FF) filled in the fiber base (FX).
그리고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1) 위에 좌,우 물통바퀴 회전대 위에 고정되어져 있는 고정판(KB) 위에 반원형구조인 하부조정대(F8)의 뒷면(77)인 조정대의 물통(OP) 하단이 용접부착되어 세워져 있으며 조정대의 섬유대(FF)을 가두는 반원형 구조인 좌,우 섬유대판(FX) 사이에 많은 섬유대(FF)가 빽빽히 밀착되어 채워져 있다And the bottom of the bucket (OP) of the adjuster, which is the
그리고 회전축을 돌리는 체인밸트(C)에 의해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사이 물통이동로(V0)에서 각 물통이 수차 상부서 하부로 낙차할 때 동시에 물통바퀴(E)가 경사진 바퀴회전대(V) 위를 구르며 낙차(407)하게 된다 상기 낙차될 때 물통바퀴(E)가 상부 바퀴회전대(V) 끝을 지나면서 동시에 설명도면(223)과 같이 물통바퀴(E)와 보조바퀴(E2) 사이의 원형 요철홈(HP)에 하부조정대 상단(OC)의 섬유대판(FX)이 들어가 지면서 보조바퀴(E2)가 마찰섬유대(FF)를 채워서 가두고 있는 섬유대판(FX) 사이로 섬유대(FF)와 마찰을 일으키며 섬유대판(FX) 안으로 진입하게 된다And by the chain belt (C) that rotates the rotating shaft in the bucket movement path (V 0 ) between the upper bucket wheel swivel (V 0 ) at the same time when each bucket falls from the top of the aberration to the bottom of the water wheel wheel (E) inclined wheel swivel ( V) Rolling over the top of the drop (407) When the bucket wheel (E) is passed through the end of the upper wheel swivel (V)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the explanatory drawing (223) and the wheel (E) and the auxiliary wheel (E 2) The fiber wheel (FX) of the lower adjustment bar (OC) enters the circular recessed groove (HP) between the) and the auxiliary wheel (E 2 ) fills the fiber between the fiber board (FX), which is filled and trapped by the friction fiber band (FF). It enters into the fiber base FX, causing friction with the base FF.
상기에서 물통바퀴(E)는Bucket wheel (E) in the above
하부조정대(F7) 섬유대판(FX) 사이에 있는 많은 마찰섬유대(FF)와 마찰충돌하면서 설명도(400)에서와 같이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위 구르던 바퀴(E)의 정회전(331) 정지하고 역회전(221)을 하게 된다 상기 하부조정대(F7)에서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위를 구르던 바퀴의 정회전이 바뀌게 되며 물통바퀴(E)의 회전방향을 역회전(221)으로 바꾸어준다.Forward rotation of the wheel (E) rolled on the upper bucket wheel (V) as shown in the explanatory drawing (400) while rubbing against many friction fiber bands (FF) between the lower adjustment bar (F 7 ) and the fiber base (FX). 331 stops and the reverse rotation (221) is made. The forward rotation of the wheel rolling on the upper bucket wheel swivel (V) in the lower adjuster (F 7 ) is changed and revers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ucket wheel (E) To (221).
상부조정대(F8)를 기능과 역활을 확대 도시한 [도13]에서 설명도(555)를 참조 상세 설명하겠다 상기 상부조정대(F8)는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1) 상단(335) 위에 고정용접되 있는 고정판(KB)위에 뚜꺼운 섬유대판(FT)의 하단부(OA)가 용접고정(QA)되어 세워져 있다 상기에서 물통바퀴 원형 요철홈(HP)에 들어가는 상부조정대의 얇은 안쪽 섬유대판(FX) 이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1)에서 화살표시(78)와 같이 이격되어 들려져 있다 상기에서 들려있는 얇은 섬유대판(FX)이 물통바퀴(E)가 상부회전축을 반회전 도는 운동(407)으로 물통바퀴의 원형요철홈(HP) 안으로 들어가며 보조바퀴(E2)가 섬유대판(F8) 안으로 들어가게 되어진다 상기 작용에 의해 두꺼운 섬유대판(FT)과 얇은 섬유대판(FX) 사이로 보조바퀴(E2)가 진입하고 들어가면서 회전축기어(8)의 회전작용으로 체인밸트(C)의 물통고정막대(P1)가 회전축을 반회전하며 돌 때까지 물통바퀴(E)의 보조바퀴(E2)가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1) 위에 세워져 있는 상부 회전축(A)을 감싸는 반원형 구조 조정대(F8)를 따라 상부조정대(F8)의 섬유대(FF)를 쓸면서 상부회전축을 돌게 되어진다The upper adjuster (F 8 )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xplanatory drawing (555) in FIG. 13 showing enlarged functions and roles. The upper adjuster (F 8 ) is placed on the top of the lower bucket wheel (V 1 ) 335. The lower end part (OA) of the thick fiber base plate (FT) is welded (QA) on the fixing plate (KB) that is fixedly welded. The thin inner fiber base plate of the upper adjusting rod that enters the circular wheel of the bucket wheel (HP) above. FX) The lower bucket wheel (V 1 ) is lifted apart as shown by the
상기에서 물통바퀴의 보조바퀴(E)가 섬유대판 사이의 마찰섬유대와 계속적으로 마찰충돌을 하게 되어지며 바퀴가 섬유대(FF)와 마찰로 물통바퀴의 회전이 멈추며 회전방향에 있어 설명도(555)에서와 같이 역회전(221)이 정지되고 조정대(F8)을 통과할 때 정회전(331)으로 물통바퀴(E)가 회전방향을 바꾸어 회전을 하게 되어진다In the above, the auxiliary wheel (E) of the bucket wheel is in continuous friction collision with the friction fiber band between the fiber base plate and the wheel stops the rotation of the water tank wheel by friction with the fiber zone (FF) and the explanatory diagram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 As shown in 555, when the
상기에서 조정대와 물통바퀴(E)의 보조바퀴의 작용관계를 상세 설명하겠다.In the above,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work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teering wheel and the auxiliary wheel of the bucket wheel (E).
상부회전축(A)과 하부 회전축(B)을 체인밸트에 끼워진 체인기어피니언(R)에 걸리는 물통고정막대(P1)에 메달려 이동하는 물통·바퀴가 상부회전축(A)과 하부회전축(B) 사이의 물통바퀴 회전대 위에서 이동 회전 운동 할 때에 있어서The upper rotating shaft (A) and the lower rotating shaft (B) are provided with a bucket and a wheel that hangs the upper rotating shaft (A) and the lower rotating shaft (B) onto the bucket fixing rod (P 1 ) that is caught by the chain gear pinion (R) fitted to the chain belt. When you move the rotary wheel on the bucket wheel between
상기 물통바퀴(E)가 상부,하부 회전축 기어를 반회전 돌 때에 있어 체인 밸트(C)의 고정막대(P1) 달린 물통(51)과 바퀴(E)에 원심력(P5)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수차 상부에서 일직선으로 낙차하여 하부회전축(B)을 도는 각 물통 바퀴가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1)위에 착지될 때 하부회전축(B)을 도는 바퀴에 상부 물통 바퀴 회전대(V)위에서 구르는 바퀴(E)의 정회전(331)을 한 바퀴의 회전 속도가 하부회전축(B)을 돌때 있게 된다.When the bucket wheel E rotates the upper and lower rotary shaft gear half a turn, the centrifugal force P 5 is generated in the
상기에서 하부축을 돌면서 거꾸로 위치되는 물통에 있어 하부 물통 바퀴는 반대로 역회전(221)을 하면서 하부 물통 바퀴 회전대(V1)위를 굴러가게 되어진다 상기에서 정회전을 하는 바퀴가 회전력을 갖고 하부 물통바퀴회전대(V1)위를 착지할 때 바퀴는 체인밸트(C)가 상부축으로 올라가는 밸트의 이동속도에 같이 있게 된다In the bucket located upside down while rotating the lower axis in the lower bucket wheel is to reverse the reverse rotation (221) while rolling over the lower bucket wheel swivel (V 1 ). When landing on the wheel swivel (V 1 ), the wheels will be at the same speed as the belt that the chain belt (C) rises to the upper shaft.
상기에서From above
상부에서 하부로 물통의 위치가 바뀌었을 때 물통 바퀴의 회전이 바뀌어져야 하는 현상에서 물통바퀴의 정회전(331)력이 정지되고 역회전(221)이 되도록 바퀴의 회전방향을 조정함에 있어서 하부회전축(B)를 도는 물통바퀴(E)가 기어(8)에 반이 감겨진 체인밸트에 의해 하부회전축을 반원이동 할 때 바퀴의 회전운동방향을 하부조정대(F7) 안에서 바꾸어 주기 위하여 물통바퀴(E)에 보조바퀴(E2)가 있게 하였다 상기 물통바퀴는 물통바퀴(E)와 보조바퀴(E2) 사이에 원형요철홈(PH)이 있게 하였으며 홈(PH)을 사이로 바퀴와 바퀴가 떨어져 이격되어 있게 하였다 물통바퀴의 구조에서 물통바퀴(E)의 보조바퀴(E2)가 하부조정대장치(F7)를 통과할 때 조정장치(F7)의 반원형 섬유질대판(PT)에 끼워진 섬유질대머리(FP)와 머리(FP)가 밀착되어 섬유질대판구멍(2F)에 끼워져 섬유대판(FX) 사이에 채워진 많은 탄성소재 재질의 섬유질대(FF)를 보조바퀴(E2)가 쓸면서 부딪히게 하여서 많은 탄성소재 섬유질대(FF)의 촘촘하게 세워진 배열구조에 마찰 충돌되어지도록 하면서 상부 하부회전축을 돌 때에 공회전하는 물통바퀴(E)와 보조바퀴(E2)는 회전력이 감소하게 된다In the phenomenon that the rotation of the bucket wheel should be changed when the position of the bucket is chang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the lower rotating shaft in adjust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heel so that the
상기에서 상부축에서 하부축까지 물통의 직선운동에 의해 상부 물통바퀴회전대(V)에서 회전운동을 하는 물통바퀴(E)의 정회전력(331)이 하부회전축(B)을 돌 때 바퀴(E)가 공회전을 하고 바퀴(E)의 보조바퀴(E2)가 섬유대(FF)와의 마찰 충돌에서 바퀴(E)와 보조바퀴(E2)의 정회전이 정지하고 물통바퀴(E)와 보조바퀴(E2)가 역회전(50)이 되어지게 된다In the above, when the turning
하부조정대(F7)에 장치된 반원형 구조인 조정대 물통(P0)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function of the adjustment basin bucket (P 0 ) of the semi-circular structure mounted on the lower adjustment bar (F 7 ) as follows:
[도9]에서 물탱크(1)와 물통(P0)에 연결한 물탱크(I)에 연결된 물공급 호스(3)를 통하여 조정대(F7)의 반원형 물통(PO)에 채워진 물이 반원으로 휘어진 물통(PO)의 섬유대끼움판(PT)에 천공된 섬유대끼움구멍(2F)에 끼워진 각개의 섬유질대(FF)의 머리(FP)가 조정대 물통(PO) 안으로 위치하게 하였다 상기에서 분분 설명도(272)에 있어서 섬유질대판구멍(2F)에 끼워진 섬유대(FF)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섬유질대(FF)의 머리(FP)에 있는 관구멍(4F)을 통하여 조정대 물통(PO)안의 물(F)이 각 섬유질대(FF)의 관(4F)을 통하여 물통(PO) 밖으로 빠져 나가면서 보조바퀴(E2)가 섬유대(FF)에 마찰할 때 보조바퀴(E2)가 물에 젖게 하였다In FIG. 9, the water filled in the semi-circular water tank PO of the adjuster F7 is semicircle through the
상기에서From above
섬유대판(FX) 사이에 채워진 각개 섬유질대(FF)의 관구멍(4F)에서 소량씩 배출 흘러나오는 물에 의해 많은 섬유질대와 대(FF) 사이에서 물이 있게 되며 섬유질대가 물에 젖는 상태가 있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섬유질대(FF)로 흘러나오는 물(F)이 보조바퀴(E2)가 섬유질대(FF)와 충돌 마찰 현상에서 발생하는 열발생이 없게 하여 물통 보조바퀴(E2)가 섬유질대(FF)와의 충돌 마찰로 인한 마찰력에서 탄성고무 소재인 섬유질대(FF)가 보조바퀴(E2)와 마찰에 의한 열발생으로 인한 마모현상을 방지하게 하였다There is water between the many fibrous zones and the base (FF) by the water flowing out in small amounts from the tube holes 4F of the respective fibrous zones (FF) filled between the fiber bases (FX). The water (F) flowing out of the fibrous zone (FF) in the above so that the secondary wheel (E2) does not generate heat generated from the collision friction phenomenon with the fibrous zone (FF), so that the bucket auxiliary wheel (E2) is the fibrous zone ( In the frictional force due to the frictional friction with FF), the elastic rubber material (FF) prevents the wear phenomenon due to heat generation by friction with the auxiliary wheel (E2).
상기에서 탄성소재 섬유질대(FF)는 물통바퀴와 동일하게 회전하는 보조바퀴(E2)가 쓸면서 지나갈 때에 충돌 마찰시 부드럽게 휘이는 성질을 가진 것이며 물통(51) 바퀴(E)와 보조바퀴(E2)의 회전력과 충돌에서 물통바퀴(E)의 회전력을 흡수 약화시키므로 (E)와 (E2)의 회전력이 조정대장치(F7)를 통과할 때 물통바퀴(E)의 정회전 정지와 역회전을 일으켜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1)에 바퀴(E)가 착지할 때 물통바퀴(E)가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와 부딪쳐지는 충돌 현상이 없이 부드럽게 바퀴회전대(V1) 위를 구르는 역회전(221)하면서 상부 회전축(A)으로 물통바퀴(E)가 이동되어진다The elastic material fibrous band (FF) has the property of smoothly bends during collision friction when the secondary wheel (E2) that rotates in the same manner as the bucket wheel and sweeps while passing through the bucket (51) wheel (E) and the auxiliary wheel (E2) Absorption and weaken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ucket wheel (E) in the collision with the rotational force of), when the rotational force of (E) and (E2) passes through the adjusting device (F7) causes the forward and stop rotation of the bucket wheel (E) When the wheel (E) lands on the lower bucket wheel swivel (V 1 ), without the collision phenomenon that the bucket wheel (E) collides with the lower bucket wheel swivel, while smoothly rotating the reverse rotation (221) while rolling on the wheel swivel (V 1 ) The bucket wheel E is moved to the upper rotation axis A.
그리고 물통바퀴(E)와 보조바퀴(E2)는 하나의 몸체이나 바퀴의 원지름이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1) 위를 구르는 바퀴(E)의 원둘레가 크고 보조바퀴의 원둘레 크기는 적으므로 보조바퀴(E2)는 상부 바퀴회전대(V),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1) 위에서 바퀴의 원지름이 물통바퀴(E) 회전대(V),(V1)에 닿지 않으므로 공회전을 하게 된다And the bucket wheel (E) and the auxiliary wheel (E2) has a large circumference of the wheel (E) rolling over the upper bucket wheel swivel (V), the lower bucket wheel swivel (V 1 ) the diameter of one body or wheel the circumferential size of the wheels ever since contact with the wheels (E2) is an upper wheel swivel (V), the lower bucket wheel rotating platform (V 1) is on the circle diameter of the wheel bucket wheel (E) rotating table (V), (V 1) So idling
상기 물통바퀴는 보조바퀴(E2)가 조정대(F7) 에서 섬유대(FF)와 마찰 충돌할 때 물통바퀴(E)는 보조바퀴(E2)와 사이에 있는 원형요철홈(PH)에 의해 이격되어 있으므로 마찰 섬유대(FF)의 판(FX)에 닿지 않고 섬유대판(FX) 밖에 위치하게 되며 조정대와 마찰 섬유대(FF)에 마찰·충돌이 되지 않는다The bucket wheel is spaced apart by the circular recessed groove PH between the auxiliary wheel E2 when the auxiliary wheel E2 frictionally collides with the fiber band FF at the adjustment table F7. Therefore, it is located outside the fiber base plate FX without touching the plate FX of the friction fiber band FF, and it does not rub or collide with the adjustment bar and the friction fiber band FF.
상부 조정대(F8)는 반원형 구조로서 회전축에서 이격되어 상부 회전축의 절반을 감싸고 있으며 상부 회전축을 반회전 이동하는 바퀴와 보조바퀴(E2) 안쪽에 위치한다The upper adjuster (F 8 ) is a semi-circular structur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al shaft and covers half of the upper rotational shaft, and is located inside the wheel and the auxiliary wheel (E 2 ) that move the upper rotational shaft half-rotation.
상부조정대장치(F8)는 하부조정대장치(F7)와 구조가 다르나 물통바퀴(E)의 회전방향을 바꾸어주는 역활과 기능은 같다The upper adjuster device F8 has a different structure from the lower adjuster device F7, but has the same function and function as to chang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ucket wheel E.
상부,하부회전축 지지대에 있어서 지지대 상단(4M)과 하단(M5)이 (암)과 (수)로 슬립이 되는 슬립장치로 되어 있으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지지대 하단(E5)에 끼워지는 (수)슬립된 회전축 지지대 상단(4M)이 (암)슬립으로 된 하단에 끼워져 있으며 상부, 하부 회전축 지지대 상단(4M)의 (수)로 된 슬립대 가 하단(M4)의 (암)으로 된 슬립대에 끼워져 (암)슬립대 안 바닥에 놓여 있는 고정된 자키(GA) 위에 얻혀져 있게 하였다 상기에서 상,하부회전축 기어(8)의 피니언(R)에 감겨 있는 체인 밸트(C)의 물통고정막대(P1)의 좌,우 끝부분에 있는 바퀴(E)가 상부,하부 물통바퀴 회전대 위에서 구르며 상부,하부회전축을 이동하며 회전대 위를 구르는 운동을 할 때 물통바퀴(E)에 있어서 물통바퀴 회전대와의 마찰에 인한 마모현상이 있게 된다 회전축 지지대(Q) 슬립 기능으로 회전축 기어(8)와 감겨 있는 밸트(C)를 올리고 내리는 회전축 지지대(Q)의 슬립장치의 역활은 [도8]에서 상세 설명하겠다Upper, in the lower rotary shaft support stand top (4M) and the bottom (M 5) is in the sleep device to which the slip to (f) and (be) are described when following said support bottom (E 5) which is fitted to the The top of the male rotary shaft support (4M) is fitted to the bottom of the female slip, and the upper and lower rotary shaft support (4M) of the male slide of the lower shaft (M4) A bucket of chain belt (C) wound around the pinion (R) of the upper and lower rotary shaft gears (8), which is fitted on the slip table and is obtained on a fixed jockey (GA) lying on the floor in the female arm. The wheel (E)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xing rod (P 1 ) rolls on the upper and lower bucket wheel swivels and moves the upper and lower rotary shafts to roll on the swivel buckets. Wear due to friction with the wheel swivel Rotation shaft support (Q) slip Role of the slip device into the rotary
하부회전축 지지대(Q)의 구조에 있어서 상세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차 하부에 있는 (수)로 요철된 하단판(E5)과 (암)으로 오목요철된 고정판(J5)의 슬립장치(W)의 기능을 설명도(250)과 [도6]의 하부회전축 지지대 하단판(E5) 고정판(J5)에서 상세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lower rotary shaft support (Q) is as follows: slip device (W) of the lower plate (E 5 ) concave and concave and concave and convex fixing plate (J 5 ) Wh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functional diagram 250 and the lower rotating shaft support bottom plate (E 5 ) fixed plate (J 5 ) of Figure 6 as follows.
철구조본(M) 판(K2)에 용접고정된 하부회전축 지지대 고정판(J5)의 슬립장치 (W)에 지지대 하단판(E5)의 밑면 즉 (수)로 요철된 슬립대(W1)가 끼워져 있다 상기에서 하부회전축 지지대 하단판(E5)의 뒷면에서 (수)슬립장치(W1)된 하부회전축 지지대 하단판(E5)을 슬립장치된 고정판(J5)에서 앞으로 미는 작동이 있게 하는 실린더(H)가 있게 하였다 상기에서 실린더(H)의 실린더붐대(H2)에 강력한 스프링을 끼워 넣어 붐대(H2)에 스프링(ㅋ)이 끼워져 장치된다 상기에서 하단판(E5) 밑면 슬립장치인 요철대(W1)가 고정판(J5)의 암슬립대장치(W)에 물려서 끼워져 있으며 하단판(E5)을 미는 작동하는 붐의 스프링(ㅋ)이 붐의 스프링받침대(ㅅ)에 받쳐지고 붐대(H2)에 끼워져 있는 스프링(ㅋ)이 있다 상기에서 스프링 한쪽 끝부분이 스프링받침대(ㅅ)에 받쳐지게 하였으며 상기에서 반대편 스프링 끝부분을 하부 회전축 지지대 하단판(E5)에 장치되어 있는 스프링 이탈 방지 원형관(ㄱ) 속에 들어가 있게 하여 붐(H2) 스프링(ㅋ)이 지지대 하단판(E5)을 효과적으로 계속 미는 작동이 되게 하였다 상기에서 철구조본판(K2)에 용접고정된 장치인 실린더(H1)의 유압이 미는 힘으로 붐(H2)을 밀면서 스프링(ㅋ)을 붐스프링바침대(ㅅ)로 강력히 앞축시켜 평창력을 지닌 스프링이 지속적으로 하부 회전축 하단판(E5)을 미는 힘을 일정하게 갖도록 하였다 상기 작용에 의하여서 상부회전축(A)과 하부회전축(B) 기어에 걸어서 이격되어져 설치된 체인 밸트(C)의 물통고정막대(P1)에 메달린 각 물통이 체인밸트에 의해 상, 하부회전축을 이동 회전운동을 할 때에 체인 밸트(C)가 체인기어 피니언(R)에서 처지고 느슨해질 때에 있어서 상부,하부회전축을 도는 체인 밸트(C)가 당겨지는 장력(407)의 힘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였다Slip table (W 1 ) which is uneven by the bottom surface of support lower plate (E 5 ), namely (male), on slip device (W) of lower rotary shaft support plate (J 5 ) welded to steel frame (M) plate (K 2 ). ) is located in the back of the lower rotating shaft supporting the bottom plate (E 5) in the above (number) slip device (W 1) of the lower rotary shaft supporting the bottom plate (E 5), the operation to push forward in a sleep device the fixing plate (J 5) sandwiched was so that the cylinder (H) to allow the cylinder boom (H 2) spring on boom (H 2) fitted into the strong spring to (blah) of the cylinder (H) in the fitted is the device at the bottom by the plate (E 5 ) The bottom of the boom spring support (W 1 ) is inserted into the female slipper device (W) of the fixed plate (J 5 ) and the spring of the working boom pushing the bottom plate (E 5 ) is the spring support of the boom. is sustained to (oi), there is a spring (blah) sandwiched boom (H 2) is a spring one end of the spring beneath the pedestal (oi) at the It was the boom (H 2) a spring (blah) the support bottom plate (E 5 and allows entering in the prevention spring leaving your device to the other side of the spring end part at the at the lower rotary shaft supporting the bottom plate (E 5) round tube (a) ), And pushes the spring (ㅋ) to the boom spring bar while pushing the boom (H 2 ) by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cylinder (H 1 ), the device fixed to the steel structure plate (K 2 ). The bed (S) is strongly axed so that the spring with the flat force has a constant force to push the lower rotating shaft bottom plate (E 5 ) constantly. By the above action, the upper rotating shaft (A) and the lower rotating shaft (B) gear The chain belt (C) is connected to the chain gear pinion (R) when each bucket suspended from the bucket fixing rod (P 1 ) of the chain belt (C) which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walking moves up and down by the chain belt. Sagging and loosening in In the force of the chain to turn the upper and lower belt rotation axis (C) the
상기에서 실린더(H)와 스프링(ㅋ)의 미는 작용으로 체인 밸트가 당겨지는 장력의 힘이 강하여지는 현상으로 체인 밸트와 물통이 이동 회전 운동시에 밸트의 장력이 느슨할 때 불규칙적으로 아래 위로 흔들리는 현상을 조절하고 밸트(C)의 출렁임을 방지하는 역활을 한다As the tension of the chain belt is pulled by the action of pushing the cylinder (H) and the spring (ㅋ) in the above, the chain belt and the bucket are irregularly shaken up and down when the tension of the belt is loose during the rotational movement. It controls the phenomenon and prevents the belt (C) from slumping.
상기에서 고정판(E5)에서 하부회전축 지지대(Q)가 슬립작동되게 하는데 있어서 고정판(J5)에서 하단판(E5)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키 위하여 하부회전축 지지대가 안정되게 고정하는 고정볼트(T)와 너트(T0)로 하단판(E5)과 고정판(J5)을 강하게 조여, 결합되지 않게 하고 고정판(J5)에서 하부회전축 지지대 하단판(E5)이 항시 미끄러지는 슬립작동이 되어지도록 치합 조여져 있도록 한다Fixing bolts for fixing to be a lower rotary shaft support (Q) is the lower rotary shaft support stable to the fixed plate (J 5) the bottom plate in the (E 5) prevent the jittery key according to become the sleep operation in a fixed plate (E 5) in ( Tighten the bottom plate (E 5 ) and the fixed plate (J 5 ) firmly with T) and nut (T 0 ) so that they do not engage, and the slip plate that the lower rotary shaft support base plate (E 5 ) always slides on the fixed plate (J 5 ) Make sure the teeth are tight
상기에서 볼트와 너트로 고정판(J5)과 하부회전축 지지대 하단판(E5)을 치합되게 조여 둘 때에 하단판(E5)은 하단판에 있는 볼트대(TJ) 이동공간(TG)에 의해 전,후진 작동을 할 수 있게 하였다When the fixing plate (J 5 ) and the lower rotary shaft support lower plate (E 5 ) are tightened to be engaged with the bolt and nut in the above, the lower plate (E 5 ) is moved by the bolt bar (TJ) moving space (TG) in the lower plate. Enables forward and reverse operation
상부회전축 끝부분에 있는 풀리끼움체(10)는 상부회전축(A) 끝부분에 있으면서 동력전달 밸트(V6)를 거는 풀리(56)를 끼우는 사각으로 된 축이며 풀리(56)에 밸트를 사용하여 상부 회전축(A)의 회전력이 회전 가속부(Z)를 거쳐지면서 발전기 (ZB)에 수차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상부회전축(A) 끝부분에 있는 사각으로 된 풀리끼움대이다The pulley fitting 10 at the end of the upper rotating shaft is a square shaft fitted with a
[도7]은 지면 고정된 수차의 철구조본(M)에 장치된 체인 밸트(C)의 물통(51)이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사이에서 수차 상부에서 하부로 낙차될 때 상부 물통 물유입구(O2) 위에 위치하는 물탱크의 물배출구(O1) 밑으로 일직선 종으로 내려가면서 물통바퀴(E)가 철구조본(M) 상부판(M1) 바퀴회전대(V) 위를 구를 때(108) 물통이 물통키판(H)의 유도를 받으며 물탱크 물배출구(O1)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면서 물통이 물탱크의 물배출구를 빠져나가는 것을 나타낸 분분 설명도이며 사시도이다 상기에서 철구조본(M) 좌,우 상부판(M1)인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위에서 물통바퀴(E)가 일직선 종(E8)으로 위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좌,우 바퀴회전대(V) 위를 구르는 물통바퀴(E)는 체인밸트에 끼워진 물통고정막대(P1) 좌,우 끝에 달려 있으면서 물통과 체인밸트(C)를 받쳐 있다 상기에서 물통고정막대 2개에 1개씩 메달린 각 물통이 상부 물통이동로(V0) 사이에서 일직선 일렬 종으로 윗면(차)과 밑면(자)이 밀착대판(U4)에 붙어져 밀착되어져 있으며 각 물통은 바퀴회전대 사이에서 물유입구(O2)가 일직선 종으로 배열되며 상기 물통(51)의 물유입구(18) 위에 수차의 상단(447)인 물탱크(1)의 물배출구(O1)가 놓여져 위치하고 있다7 is an upper bucket water inlet when the
그리고 물탱크(1)의 물배출구(O1) 좌,우 옆면(251)에는 긴판으로 되어 있는 배출구 좌,우측 옆면에 용접 부착된 좌,우 물통키판(H)이 있다 상기 물통키판은 물통바퀴 회전대(V) 사이 즉 상부 물통이동로(V0)에서 화살표시(303) 방향으로 낙차하는 각 물통 좌,우 옆면을 붙들며 밀착하여 각 물통 옆면으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막는다 물통키판(H)은 고정되어진 물탱크(1) 물배출구 좌,우 측면에서 앞면(104)으로 돌출되어 있는 긴판(H)으로 되어 있다 상기에서 물배출구(O1) 좌,우 물통키판(H)은 물배출구 앞면(104)과 길게 일직선 수평되며 돌출(204)되어지도록 하였다The left and
상기에서 물통키판(H)는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사이 물통이동로(V0)에서 일렬 종으로 위치된 각 물통이 낙차운동(303)할 때 좌,우 옆면 밀착하는 판이다 그리고 물통이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에서 즉 물통이동로(V0)에서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붙들며 각 물통이 물배출구(O1)를 원활히 빠져나가게 하는 역활을 한다In the above, the bucket key (H) is a plat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when each bucket located in a row in the bucket movement path (V 0 ) between the upper bucket wheel swivel (V) free fall movement (303) and the bucket Holds in the upper bucket wheel swivel (V), that is, in the bucket movement path (V 0 ) to the left and right, and each bucket smoothly exits the water outlet (O 1 ).
물탱크의 물배출구(O1) 밖깥면 하단(DS)에 위치하고 상,하로 슬립작동하며 하단(DS)에 붙어있는 물막이대판(N)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막이대판(N)은 물탱크 물배출구(1) 하단판(DS)에서 슬립작동하는 꺽여있는 판이다 물배출구(O1)를 빠져나가는 각 물통의 물유입구(O2)를 막는 기능과 역활을 하는 물막이대판(N)은 90°직각에 가깝게 판이 꺽인 L 형태의 구조이며 물탱크(1)의 물배출구 하단(DS)에서 상,하로 슬립작동되어지는 세워진 슬립판(80)이 물배출구 하단면(DS)에 부착되며 세워져 물배출구 하단(DS)판에 밀착 붙어져 있게 된다The outer side of the water outlet (O 1 ) of the water tank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DS) and slips up and down. The function of the water stopper plate (N) attached to the lower side (DS) is as follows. The tank water outlet port (1) is a bent plate that slips from the bottom plate (DS). The water blocking plate (N) that serves as a function of blocking the water inlet port (O 2 ) of each water tank exiting the water outlet (O 1 ) is The L-shaped structure with the plate bent close to 90 ° right angle and the
상기에서 물막이대판(N)인 섬유대판(NX)과 90°꺽여진 슬립판(AX)은 윗면 (80)에 수차 정방향 돌출한 슬립작동볼트 끼움구멍대(NL) 물막이대(N)의 볼트끼움구멍대(NL)를 볼트받침대(M7)로 받쳐 물막이대판(N)의 섬유대판(NX)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슬립볼트(T)가 끼워져 볼트(T)의 회전으로 물막이대판(N)을 들 수 있게 하였다The above-mentioned slip plate (AX) which is 90 ° bent with the fiber base plate (NX), which is the water holding plate (N), bolts of the slip-operating bolt fitting hole (NL) bar (N) that protrudes a number of times in the forward direction on the
상기 볼트끼움구멍대(NL)에 끼워진 볼트(T)의 나사산(61)이 물배출구 하단부 옆면(251) 좌,우에 용접고정되고 하단(DS)판 면과 조금 이격되어 하단(DS)판으로 90도 꺽여진 꺽인판(AX)에 있는 너트구멍대(T7)에 슬립볼트(T)가 조여져 있게 하였다 그리고 슬립판은 물배출구 좌,우에서 하단판(DS)으로 직각으로 꺽여 하단판(DS)과 평형대칭되는 안쪽면이 하단판(DS)에 붙어있는 물막이대 슬립판(80)을 밀착하되 붙들며 있게 하였다The thread 61 of the bolt T inserted into the bolt fitting hole NL is fix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상기에서 물막이대 슬립판(80)이 물탱크 물배출구(O1) 하단판(DS)면과 꺽인판(AX) 사이에 끼여있게 하고 하단판(DS)과 꺽인판(AX) 사이에서 슬립볼트(T)의 회전으로 물막이대판(N)의 섬유대판(NX)이 상,하로 들려지고 내려지는 슬립작동되어지도록 하였다In the above, the water
상기에서 물막이대(N)의 슬립판(80)의 밑부분에서 평면으로 90°직각으로 꺽여진 섬유대판(NX)에는 천공된 섬유대(FF)가 끼워지는 섬유대 끼움구멍(2F) 구성되어 있으며 섬유대(FF)와 섬유대(FF)의 머리가 빽빽이 밀착되어 끼워지게 천공된 많은 섬유대(FF) 끼움구멍(2F)이 있다In the above, the fiber base plate NX, which is bent at a right angle of 90 ° in the plane at the bottom of the
상기 구멍(2F)에 끼워진 많은 섬유대(FF)가 물막이대 섬유대판(NX) 아래에 촘촘히 대와 대가 밀착되어 있게 하였다 그리고 섬유대판(NX) 부분 설명도(도6X)와 같이 섬유대의 머리(FP)가 섬유대판(NX) 구멍에서 빠지지 않고 걸리게 된다 상기 섬유대(FF)가 끼워진 물막이대판(N)의 섬유대판(NX)은 배출구(O1)를 빠져나가는 2개의 물통(51) 물유입구 길이(107)만큼 물통키판(H)의 길이(70)와 섬유대(FF)가 끼워져 있는 물막이대의 섬유대판(NX)을 길게 하였다Many of the fiber bands (FF) inserted in the hole (2F) was closely packed under the water basin fiber base (NX) and the head of the fiber base (figure 6X) The FP is caught without being pulled out from the hole of the fiber base NX. The fiber base NX of the water base plate N to which the fiber base FF is inserted is the two
상기에서 물막이대판(N)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슬립볼트(T)의 구조와 역활 기능을 설명도(110)을 참조하여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structure and the role of the slip bolt (T)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water plate (N) in the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xplanatory drawing (110) is as follows.
물막이대 슬립판(80) 윗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슬립볼트끼움구멍대(NL)에 볼트(T)가 끼워져 있다 그리고 꺽인판(AX)에서 슬립볼트끼움구멍대(NL) 밑으로 슬립볼트끼움구멍대(NL)와 크로스되어 있는 꺽인판(AX)에서 돌출된 너트구멍대(44)에 슬립볼트(T)가 조여져 있다 상기에서 볼트받침대(M7)로 물막이대의 슬립판 볼트끼움구멍대(NL)를 슬립볼트(T)로 바쳐있게 함으로 물막이대(N)가 들려져 있게 된다The bolt (T) is inserted into the slip bolt fitting hole (NL) protruding for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에서 슬립볼트(T)가 꺽임판(AX)의 너트구멍대(44)의 뚫린 구멍된 구조인 너트에 슬립볼트나사산(61)이 끼워져 결합되게 하였다 상기에서 슬립볼트(T)가 물막이대 슬립판(80)의 볼트끼움구멍대(NL)에서 회전작동할 때 물배출구(O1) 측면에 용접고정된 꺽임판(AX)의 너트구멍대에서 슬립볼트가 회전할 때 나사산의 풀림작용과 조임작용으로 슬립판(80)을 받쳐있는 볼트받침대(M7)로 물막이대판(N)의 섬유대판(NX)을 상·하로 올리고 내릴 수 있게 하였다 상기에서 물배출구에서 물을 공급받고 수차 상부서 하부로 각 물통(51)이 낙차할 때 물통앞면(18)에 있어서 2개의 물통앞면(18)이 물막이대판(N)의 섬유대판(NX) 밑에 있는 마찰섬유대(FF)를 같이 쓸면서 물통(51) 물유입구(O2)가 마찰되고 부딪히게 하여 낙차하는 각 물통이 물막이대판 밑으로 빠져나가게 된다The slip bolt T 61 is fitted into the nut, which is a drilled structure of the
상기에서 슬립볼트(T)로 물통앞면(18)과 물막이대(N) 섬유대판(NX)의 마찰섬유대(FF)의 마찰과 부딪힘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The slip bolt (T) was a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 friction and the impact strength of the friction fiber zone (FF) of the water
상기에서 상부 물통이동로(V0)의 각 물통(51)이 물을 공급받고 수차 밖으로 물을 배출하는 것을 설명하겠다In the above, it will be described that each
물배출구(O1)로부터 물탱크의 물이 가득 채워진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사이 각 물통(51)이 물통키판(H)의 낙차유도를 받으며 낙차하여 물배출구(O1) 하단(DS)의 물막이대판(N)의 섬유대판(NX) 밑의 섬유대(FF)을 쓸면서 각 물통이 물배출구(O1)를 빠져나갈 때 각 물통 2개의 물유입구(O2)가 연속적으로 물막이대판(N)의 많은 섬유대(FF)와 마찰 충돌되게 하게 된다Each
상기에서 물막이대판(N)의 섬유대(FF)가 각 물통이 물배출구(O1)를 빠져나올 때에 있어 물탱크안 물의 수압에 의해 물통유입구(O2)로 물탱크의 물이 각 물통이 물배출구 밑으로 빠져나갈 때 물탱크(1)의 물배출구(O1) 하단(DS)에서 물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에서 배출구(O1) 하단(DS)의 물막이대(N)는 물탱크(1) 안에 있는 물이 각 물통(51)에 실려져 있게 하여 물탱크 밖으로 배출되게 하는 장치이다When the fibrous band FF of the water holding plate N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outlet O 1 , the water in the water tank is transferred to the water inlet O 2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in the water tank. to escape from below the water outlet is prevented from the water outlet of the water discharge opening (O 1) at the bottom (DS) of the water tank (1) dam body of the discharge opening (O 1) at the bottom (DS) from the large (N) is water It is a device that allows the water in the
그리고 물탱크 물배출구(O1)를 막는 배출구 상부(B6)의 덮개(X2)의 기능과 역활를 도면(505)에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d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cover (X 2 ) of the upper portion of the outlet (B 6 ) blocking the water tank water outlet (O 1 )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rawing 505 as follows.
물탱크(1)안에 물을 가득 채우기 위하여 물배출구(O1)을 막아서 수차의 가동을 멈출 때와 물통(51)에 물공급을 끈을 때에 물배출구(O1)의 상부(B6)를 막는데 사용하는 덮개(X2)이다 상기 물배출구 덮개(X2)는 물탱크(1)안 물이 배출되어 나가는 물배출구의 상부(B6) 위면(ㅊ) 끝에서 끝까지(108) 배출구에 놓여지는 덮개가 배출구 상부면(B6)에 얻혀진다Block the water outlet (O 1 ) to fill the water tank (1)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aberration and to turn off the water supply to the water tank (51) the upper portion (B 6 ) of the water outlet (O 1 ) a lid (X 2) of the film used to the water outlet and the cover (X 2) is at the top (B 6) wimyeon (ㅊ) end of the water outlet out of the
상기에서 배출구(O1)를 막는 덮개(X2)를 다수개의 덮개로 구성하여 물탱크(1)의 긴 물배출구(O1)을 막고 개방할 때 1개씩 덮개가 탈부착이 쉽게 되어지도록 하였다 상기 덮개(X2)는 물탱크에 물을 가득 채웠을때 덮개고리(Q1)를 이용하여서 덮개를 하나씩 탈착할 수 있게 하였으며 수차에 물공급시 물배출구 상부(B6) 윗면(ㅊ)에서 덮개(X2) 분리하고 물통에 물을 공급한다.The cover (X 2 ) for blocking the outlet (O 1 ) in the abov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vers to block and open the long water outlet (O 1 ) of the water tank (1) so that one by one the cover is easily removable. The cover (X 2 ) allows the cover to be removed one by one using the cover ring (Q 1 ) when the water tank is filled with water, and the cover (B 6 ) from the top of the water outlet (B 6 ) X 2 ) Separate and supply water to the bucket.
물배출구 덮개 밑면에 부착되어 있는 고무판(4)은 물배출구 상부(B6) 윗면(ㅊ)과 밀착이 용이하며 물탱크에 물을 채울시 물배출구로 새어나가는 물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게 한다The rubber plate (4)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water outlet cover facilitates close contact with the top of the water outlet (B 6 ), and effectively prevents the leakage of water leaking into the water outlet when filling the water tank.
덮개(X2)는 각각의 덮개고리(Q1)를 이용하여 물배출구(O1)에서 덮개 각각이 탈부착이 쉽도록 하였다The cover (X 2 ) was made to easily remove each cover from the water outlet (O 1 ) by using each cover ring (Q 1 ).
물탱크(1) 물배출구(O1) 옆면에 장치된 물통키판(H)의 기능과 역활을 상세 설명하겠다Water tank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bucket key (H)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water outlet (O 1 )
물탱크(1)의 긴 물배출구 좌,우 옆면에서 물통을 물탱크의 물배출구안으로 유도하는 두개의 긴 물통키판(H)이며 물탱크(I)의 물배출구 양옆면에 있다 상기 좌,우 물통키판(H)의 상단(H3) 끝부분을 물통바퀴 방향으로 곡선 형태(5A)로 휘이게 하여 각 물통이 하부물통 이동로(V3)를 이동하여 상부회전축(U)를 반회전하고 돌면서 물탱크 물배출구(O1) 밑으로 첫 진입시 물통 밑면(자)의 좌,우 옆면 모서리가 물통키판(H)과 부딪히지 않고 물통키판(H) 사이로 미끄러지듯 진입케 하여 물통과 물통키판이 부딪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충돌 방지 상부판(H3)이 있다Long water outlet of the water tank (1)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wo long water tanks (H) leading the water tank into the water outlet of the water tank, and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water outlet of the water tank (I). The upper end (H 3 ) of the keypad (H) is bent in a curved shape (5A) in the direction of the bucket wheel so that each bucket moves the lower bucket movement path (V 3 ) to rotate the upper rotary shaft (U) half a turn When the water tank enters the water outlet (O 1 ) for the first time, the left and right side edges of the bottom of the bucket do not hit the bucket key (H) but slide into the bucket key (H) so that the bucket and the bucket key collide with each other. There is an anti-collision top plate (H 3 ) which can prevent
그리고 물배출구(O1) 상단(5J)의 물통 충돌 방지 상단판(5A)의 기능을 설명하겠다 물통이 상부회전축(A)을 반회전할 때 체인밸트(C)에 설치된 각 물통에 두개의 물통고정대(P1)의 양끝에 있는 물통바퀴가 회전축(U)를 반회전 돌며 상부바퀴회전대(V) 위에 착지할 때 같이 도는 각 물통(51)이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사이로 진입시 물탱크(1)의 물배출구 상단(5J) 끝부분과의 충돌을 방지하는 위로 곡선 형태로 휘어진 판이다 상기에서 물통충돌방지 상단판 기능을 설명도면(207)을 참조 상세 설명하면 기어(8)에 물린 물통고정막대(P1)에 달려 상부회전축(A)을 반회전하 는 물통 물유입구 밑면(자)의 상단 모서리(GP) 즉 밀착대판(U4) 상단 모서리(GP)의 회전운동범위(파)에서 각 물통이 물배출구 상단(5J) 밑면에 부딪히는 충돌을 방지한 것으로 물탱크 상부판(N1)을 곡선 형태로 위로 들려지게 연장(5A)하여 각 물통(51)이 체인기어(8)에 의해 체인밸트(C)의 물통고정막대(P1)에 달려 상부회전축(A)을 반회전 돌때 각각 분리되어지며 도는 물통이 물탱크 물배출구로 첫 진입시 물배출구와 충돌되지 않도록 물배출구(O1) 상단(5J)을 위로 들려지는 곡선판으로 연장하여 물탱크 윗방향으로 들려 휘이게 하였다And the water discharge port (O 1 ) will explain the function of the water tank collision prevention
[도8]은 수차의 상부·하부회전축 지지대(Q)의 수직 상,하 작동되는 슬립장치의 기능과 역활을 도시한 설명도이며 상세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slip device operating vertically and vertically of the upper and lower rotary shaft supports Q of the aberration.
수차 상부,하부회전축 지지대는 상단(4M)에 회전축이 끼워지는 베어링(3)이 장치되어 있으며 상단(4M)은 수직으로 상,하 슬립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지지대(Q)의 슬립장치는 상부·하부회전축 상단(4M)을 똑같이 내려주는 장치이다 상기 상단회전축 지지대는 (암)슬립된 하단지지대(M4)에 상단(4M) 슬립대가 끼워져 지지대 하단에서 상단(4M)이 상,하 수직슬립작동이 되게 하는 장치이다The upper and lower axle supports of the aberration are equipped with a
상기에서 회전축 지지대 하단(암)과 상단의 (수)슬립대 사이에 자키(GA)가 놓여 있으며 상기 상부,하부회전축 지지대(Q)는 지지대 하단(M4)에 끼워진 회전축 지지대 상단(4M)의 (수)슬립대가 하단(M4)의 (암) 슬립대 안에 놓여 있는 자키(GA)위에 얻혀있게 하였으며 베어링(3)이 장치된 회전축 지지대 상단(4M)이 자키(GA)에 받쳐져 있게 하였다 상기에서 회전축 지지대(Q)의 슬립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겠다 이격된 상부·하부 회전축기어에 감겨져 있는 체인밸트(C)에 있어서 상부회전축에 감기는 체인밸트(C)가 기어피니언(R) 밑으로 감겨들어갈 때의 위치(XP)와 체인밸트(C)가 하부회전축 기어에서 풀릴때 체인밸트 위치(PX)에서 수차상부하부에서 감기는 체인밸트(XP)와 수차 하부에서 풀리는 체인밸트(PX)에 있어서 체인밸트(C)가 이격된 상부회전축간 거리(라) 간에 있게 되며 상기에서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1)위를 이동하는 체인밸트(C)가 구르는 물통바퀴(E)의 물통고정막대(P1)에 끼워져 있으므로 체인밸트(C)가 물통바퀴 회전대와 일직선 평행이 된다In the above, the jockey GA is plac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rotary shaft support arm and the male slip end of the upper end, and the upper and lower rotary supporters Q are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상기 설명에서 수차의 가동시 상부,하부회전축의 회전방향(FG)에 있어서 물통바퀴(E)가 바퀴회전대 위에서 물이 실려진 물통을 물통고정막대(P1)로 바치며 계속 바퀴회전대 위를 구르면서 수차의 상부와 하부로 이동할 때 바퀴회전대 위를 구르는 바퀴(E)가 상부·하부 바퀴회전대와의 마찰운동에서 물통바퀴(E)는 마모되며 마모된 바퀴(YK)와 같이 바퀴의 원지름이 축소된 바퀴(E3)로 되어진다In the above description, when the aberration starts, the bucket wheel E in the rotation direction FG of the upper and lower rotary shafts dedicates the bucket on which the water is loaded on the wheel swivel to the bucket fixing rod P 1 and continues to roll on the wheel swivel. When the wheel (E) rolling on the wheel swivel moves with the upper and lower wheel swivel when moving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aberration, the bucket wheel (E) is worn and the wheel diameter is reduced like the worn wheel (YK). With wheels E 3
상기 물통바퀴의 원지름이 축소된 바퀴(E3)의 현상에서 바퀴(E3)에 끼워진 물통고정막대(P1)에 끼워진 체인밸트(C8)가 상부·하부 회전축간 거리(라)에서 마찰로 축소된 물통바퀴(E3) 즉 화살표시한 축소한 바퀴의 원지름(E4)만큼 회전축 체인기어에 감기는 체인밸트(XP)와 풀리는 체인밸트(PX)보다 낮게되어 체인밸트(C)가 전체적으로 처지는 현상(ST)이 체인밸트(C8)에 있게 된다In the phenomenon of the wheel E 3 of which the diameter of the bucket wheel is reduced, the chain belt C 8 fitted to the bucket fixing rod P 1 fitted to the wheel E 3 is a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otation shafts d. The chain belt (XP) and pulley which are wound on the rotating shaft chain gear by the friction wheel of the wheel (E 3 ), that is, the wheel diameter (E 4 ) of the down-sized wheel, are lower than the chain belt (PX). ) The overall deflection (ST) is in the chain belt (C 8 )
상기에서 물통바퀴(E)가 바퀴회전대와의 마찰로 바퀴(E)가 마모되어 마모로 작아진 바퀴의 지름(E3)만큼 물통바퀴(YK) 원지름이 축소하여 있을 때의 물통바퀴 회전대위에서 물통바퀴 회전축인 물통고정막대(P1)에 끼워져 있는 체인밸트(C8)가 회전축기어에 감겨들어갈 때의 체인밸트(XP)의 높이보다 처지며(PP) 낮아지는 현상이 있게 된다 상기에서 처진 체인밸트(C8)를 감고 당기는 상부,하부 체인기어의 회전운동(FG)을 인하여 처지고 낮아진 체인 밸트(C8)가 회전축기어에 감길때(PP)와 풀어질 때(ZY)에 피니언(R)에 감겨지고 풀어지는 체인밸트(PP),(ZY)와 상부 하부 체인기어 사이에서 일렬 종으로 구르는 물통바퀴(E)가 상부 바퀴회전대(V)를 구를 때 일직선인 체인 밸트(C8)가 바퀴의 마모로 해서 높낮이 차이가 있게 된다 상기에서 회전축의 회전력으로 기어에 감긴 체인이 체인밸트(C8)를 당겨서 바퀴회전대 위 물통바퀴의 원지름이 마모된 작아진 바퀴(E3)의 축(P7) 즉 물통고정막대(P1) 끼워진 체인밸트(C8)가 상부,하부 체인기어에 근접된 바퀴회전대 위에서 출렁거리게 되는 현상이 있게 되어진다In the above, the bucket wheel (E) on the wheel wheel rotation wheel when the diameter of the wheel wheel (YK) is reduced by the diameter (E 3 ) of the wheel reduced by wear due to friction with the wheel swivel wheel (E) The chain belt (C 8 ) inserted in the bucket fixing rod (P 1 ), which is the rotating shaft of the bucket wheel, sags (PP) from the height of the chain belt (XP) when it is wound around the rotating shaft gear. Pinion (R) when the chain belt (C 8 ) sagging and lowered due to the rotational movement (FG) of the upper and lower chain gears winding and pulling the chain belt (C8) is wound on the rotary shaft gear (PP) and released (ZY). Chain belt (C 8 ), which is rolled up in a row between the chain belt (PP), (ZY) and the upper lower chain gear, which rolls up and unrolls, when rolling the upper wheel swivel (V). There is a difference in height due to the wear of the wheel. A chain wound around the chain belt, the axis of the (C 8) for pulling wheel swivel above the bucket wheel circle diameter of the smaller binary wheel (E 3) wear of the (P 7) that is a bucket chain belt fitted fixed bar (P 1) (C 8 ) Will rock on the wheel swivel adjacent to the upper and lower chain gears.
상기에서 물통고정막대(P1)에 끼워져 상,하부회전축을 도는 물통바퀴(E)가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와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1) 위를 구르는 작용에서 체인밸트(C)가 기어(8)에 감길 때와 풀어질 때 체인밸트가 출렁거리게 된다 상기에서 바퀴(E)가 출렁이며 흔들리고 바퀴회전대에 부딪히는 충돌현상이 발생되므로 마모로 축소된 바퀴(E3)의 원지름(E4) 만큼 상부,하부회전축 상단(4M)을 자키(GA)로 내려주 면(S7) 즉 상부,하부회전축이 낮추어짐으로서 체인밸트가 감겨지는 기어의 피니언(R1)을 낮추게 되어진다 상기에서 슬립장치된 회전축 지지대(Q)는 상부,하부 회전축 상단(4M)을 똑같이 내려주므로서 물통의 낙차력으로 회전축이 회전할 때 낮아진 체인기어의 피니언에 감겨지고 풀려지는 체인밸트와 상부 하부 회전축 사이에 위치하는 체인밸트가 평행된 높이가 되어지도록 회전축을 낮추어주는 장치이다 상기에서 체인밸트가 기어에 감길때와 풀릴때에 있어 체인 밸트(C)의 물통, 물통바퀴가 상,하로 출렁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였다The chain belt (C) in the action of rolling on the upper bucket wheel swivel (V) and the lower bucket wheel swivel (V 1 ) is inserted into the bucket fixing rod (P 1 ) to rotate the upper and lower rotation shaft. when released as when wound up on the
상기 체인 밸트와 기어의 피니언에 감겨지고 풀려지는 체인밸트를 평행되게 조절을 완료한 후에 고임판(AP)를 상,하부회전축 지지대 하단(M4) 위의 판고임대(OF) 위에 고임판(AP)을 올려 회전축 지지대 상단(4M)의 고임판 걸침대(K7)가 고임판(AP)에 받쳐있게 하여 조절된 높이를 고정시켜 수차의 체인밸트(C)가 원활히 작동되게 한다After completing adjustment of the chain belt wound and unrolled in the chain belt and the pinion of the gear in parallel, the plate (AP) is placed on the plate plate (AP) on the upper and lower rotary shaft supports (M4). Lift the height of the plate (K 7 ) on the top of the rotating shaft support (4M) to the plate (AP) to fix the adjusted height so that the chain belt (C) of the aberration operates smoothly.
상기 회전축 지지대(Q)의 슬립장치에 있어 상단(4M)을 올리고 내리는 장치로서 자키가 아닌 볼트화된 보편화되어 실시되어 있는 장치를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As the device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도9]는 수차의 [도6]에서 설명된 지면 고정식 철구조본(M)에 장착된 체인밸트 물통 물유입구(O2) 위에 수차의 상단(447)인 물탱크(1)의 물배출구(O1)가 올려져 설치되고 수원(가)의 물을 공급받는 수력발전하는 수차를 측면에서 나타내어 도시한 측면도이며 설명도이다9 is a water outlet (1) of the water tank (1) which is the top 447 of the aberration on the chain belt bucket water inlet (O 2 ) mounted on the ground-fixed steel structure (M) described in [6] of the aberration ( It is a side view and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hydroelectric aberration generated by O 1 ) being raised and supplied with water from a source.
상기에서 수차는 지면 고정식 철구조본(M)의 동력 작동부가 장치되어 있으며 철구조본(M)에서 체인밸트(C)의 작동부가 작동하는 것은 도면[6]에서의 철구조본 작동부와 동일한 구조이며 같다In the above aberration, the power actuating part of the ground-fixed steel frame (M) is equipped and the actuating part of the chain belt (C) in the steel frame (M) is the same structure as the steel structure working part in the drawing [6].
상기에서 물탱크안의 물이 배출구(O1)로 배출되면서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사이에서 무한궤도 물통바퀴 회전대를 도는 각 물통에 물을 채운다 상기에서 각 물통(51)이 윗면(차)과 밑면(자)이 붙어있고 일직선 종으로 배열된 각 물통(51)의 물유입구에 물이 동시 공급되고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사이의 물통(51)이 동시에 낙차하는 운동력(407)으로 상부,하부 회전축이 회전운동(47)하는 작용을 수차 상부회전축(A)에서 하부회전축(B)으로 하게 된다As the water in the water tank is discharged to the outlet (O 1 ), the water is filled in each bucket turning the caterpillar bucket wheel swivel between the upper bucket wheel swivel (V), wherein each
그리고 체인밸트(C) 물통고정막대 양끝부에 있는 물통바퀴(E)가 무한궤도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와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1)에서 항시 일직선 종으로 위치한다 그리고 바퀴가 구를때에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와 회전대 사이 물통이동로(V0)에서 낙차하는 각 물통을 바퀴회전축 역활을 하는 물통고정막대(P1)로 바치는 기능을 하게 된다And the bucket wheel (E) at both ends of the chain belt (C) bucket fixing rod is always located in a straight line at the upper bucket wheel swivel (V) and the lower bucket wheel swivel (V 1 ). Each bucket dropping from the bucket movement path (V 0 ) between the upper bucket wheel swivel and the swivel is to serve as a bucket fixing rod (P 1 ) that serves as the wheel rotation axis
상기에서From above
각 물통은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사이에서 물통(51)의 윗면(차)과 밑면(자)이 밀착대(U4)에 붙게되며 물탱크 물배출구(O1)는 항시 열려있으며 물통키판(H) 사이로 각 물통이 낙차할 때(407) 각 물통(51)의 앞면(18)인 물통 물유입구(O2)가 일직선 종으로 되어져 낙차되도록 물배출구 좌,우에 있는 물통키판의 유도를 받는다Each bucket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car) and the bottom (child) of the
상기에서From above
각 물통은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사이에서 낙차될 때에 있어서 항시 일렬 종으로 배열되어진 작동상태가 유지되어진다Each bucket maintains its operational state, always arranged in one row, as it falls between the upper bucket wheels (V).
상기에서 수차의 철구조본(M)에 장착된 체인밸트 물통 물유입구(O2)위에 수차의 상단(447)인 물탱크(1)의 물배출구(O1)가 위치하여 놓여 있으며 상기 물배출구 좌,우 옆면(바)에는 배출구(O1) 상단(5J)서 하단인 물막이대(N)까지 긴 통판으로 되어진 물통키판(H)이 있다The water outlet (O 1 ) of the water tank (1), which is the upper end of the aberration (447) on the chain belt bucket water inlet (O 2 ) mounted on the steel structure (M) of the aberration is positioned and the water outlet left On the right side (bar), there is a bucket key board (H), which is a long mailing from the outlet (O 1 ) top (5J) to the bottom (N).
상기 가동 수차에 있어서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사이 물통 이동로(V0)에 일렬 종으로 있는 각 물통의 좌,우 옆면(바) 윗부분이 수차 상단의 물탱크(1) 물배출구(O1) 좌,우 옆면에 있는 물통키판(H)의 밀착대(U4)에 밀착되어 있으며 물통이동로(V0)에 있는 각 물통(51)의 앞면(18)이 물탱크의 물배출구(O1)와 일직선 평행되어 좁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각 물통(51)은 낙차되어진다The upper bucket wheel rotating platform (V) in between the bucket movement (V 0) L of each bucket in the row species, the right side (F) water tank at the top of the upper part of the aberration (1) the water outlet in the movable aberration (O 1 ) The
상기에서From above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사이의 각 물통은 물탱크(1)의 물배출구(O1)로 뿜어져 나오는 물탱크안에 있는 물의 흐름과 수압과 무게를 화살표시된 (F)와 같은 방향으로 받게되면서 수차 상부에서 하부로 일직선으로 낙차하게 된다Each bucket between the upper bucket wheel swivel (V) receives the water flow, water pressure and weight in the water tank discharged to the water outlet (O 1 ) of the water tank (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rrow (F) Falls in a straight line from top to bottom
수차의 물 공급을 상세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water supply of the aberration is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물탱크의 물배출구(O1)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각 물통이 수차 상부서 하부로 경사진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사이에서 물의 위치에너지를 화살표시(F)와 같이 받고 물통고정막대(P1)를 통하여 물통바퀴(E)를 누르게 된다Each bucket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outlet (O 1 ) of the water tank receives the potential energy of the water as shown by the arrow (F) between the upper bucket wheels (V) inclin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aberration. 1 ) Press the bucket wheel (E) through
상기에서 물통(51)에 작용하는 물탱크(1)안에 있는 물의 위치에너지를 각 물통이 받게 되면서 비탈진 경사면인 바퀴회전대(V) 위에 있는 물통바퀴가 바퀴회전대(V) 위에서 아래로 구르면서 수차 상부 물통이동로(V0)에서 물통 윗면(차)과 밑면(자)이 붙어있는 각 물통을 수차의 하부회전축으로 낙차시키게 된다As the bucket receives the potential energy of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 acting on the
상기에서From above
물통고정막대(P1)에 끼워져 연결이어진 체인밸트(C)가 상부 회전축기어(8)의 피니언(R)에 감겨있으면서 물통(51)의 낙차방향을 표시한 화살표시(407) 방향으로 체인밸트를 당겨 상부 회전축기어를 회전시키고 체인기어의 회전축(U)이 회전축 지지대 상단(4M) 베어링(3)에서 회전운동을 하게 한다The chain belt (C) connected to the water holding rod (P 1 ) is wound around the pinion (R) of the upper rotary shaft gear (8) while the chain belt (407) shows the free fall direction of the water tank (51). To rotate the upper rotary shaft gear and let the rotary shaft (U) of the chain gear rotate in the bearing (3) at the upper end of the rotary shaft support (4M).
수차에서 물통바퀴(E)의 회전방향을 바꾸어주는 조정대의 기능은 [도12]와 [도13]에서 설명하겠다The function of the adjuster to change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bucket wheel (E) in the aberration will be described in Figure 12 and Figure 13
상부 물통의 낙차력에 의해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1) 사이에 있는 빈 물통의 물통바퀴(E)가 하부 바퀴회전대(V1) 사이를 지나면서 하부 물통이동로(V3)에서 일직선이동하며 상기에서 상부 회전축기어(8)의 피니언(R)에 물려진 물통고정막대 (V)의 양끝에 설치된 물통바퀴(E)의 보조바퀴(E2)가 수차 상부 조정대(F8)의 마찰 섬유대(FF)와 부딪혀 조정대(F8)을 통과하면서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1) 위에서 구르던 바퀴(E)의 역회전(221)이 정지되고 정회전(331)이 되면서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위에 물통바퀴(E)가 정회전(331)으로 착지한다Due to the falling force of the upper bucket, the bucket wheel (E) of the empty bucket between the lower bucket wheel swivel (V 1 ) moves in a straight line in the lower bucket movement path (V 3 ) while passing between the lower wheel swivel (V 1 ). In the above, the auxiliary wheels (E 2 ) of the bucket wheel (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pinned rod (V) of the pinion (R) of the upper rotary shaft gear (8) is a friction fiber band of the aberration upper adjusting rod (F 8 )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221) of the wheel (E) rolled on the lower bucket wheel swivel (V 1 ) is stopped and
상기에서From above
물통바퀴와 같이 회전축을 돌면서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사이로 위치된 각 물통(51)은 윗면(차)과 밑면이 붙어진다 상기에서 각 물통은 다시 수차 상부에서 물통바퀴 회전대(V) 사이의 물통이동로(V0)를 통해 물배출구(O1)로 진입하고 물배출구(O1)로부터 물을 공급받는다Each
상기에서 각 물통은 물의 위치에너지를 얻게되면서 상부 바퀴회전대(V) 사이에서 하부 회전축(B)으로 낙차되고 동시에 물통바퀴(E)가 바퀴회전대(V) 위를 구르며 하부로 이동된다In the above, each bucket is dropped to the lower rotating shaft (B) between the upper wheel swivel (V) while obtaining the potential energy of the water and at the same time the bucket wheel (E) is rolled over the wheel swivel (V) to move downward
상기 각 물통(51) 바퀴가 물통과 같이 하부회전축을 돌때에 하부조정대(F7)를 물통보조바퀴(E)가 통과하면서 상부 바퀴회전대(V)에서 물통바퀴(E)의 정회전(331)이 정지되고 역회전(221)을 일으키며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1) 위에 역회전으로 착지하게 한다As each
상기에서 조정대로 물통바퀴의 회전방향을 바꾸어 주므로서 수차의 상단 물배출구(O1)로부터 물배출구 위에 위치된 물탱크(1)안 물의 위치에너지를 받는 수차 하단 각 물통이 체인밸트(C)의 물통고정막대(P1)에 달려 상부 하부 회전축을 돌면서 체인밸트(C)로 기어와 회전축(U)을 회전시키는 운동을 연동적으로 강력하게 할 수 있게 한다By chang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ater tank wheel according to the above adjustment, each water tank at the bottom of the aberration receiving the potential energy of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 located above the water outlet from the top water outlet (O 1 ) of the aberration of the chain belt (C) Depending on the bucket fixing rod (P 1 ) to rotate the upper and lower rotary shafts to make the chain belt (C) to rotate the gear and the rotating shaft (U) to make the linkage powerful.
수차의 미끄럼틀(9B)의 기능과 역활을 상세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in detail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slide of the aberration (9B)
체인밸트에서 물통의 작동시 상부,하부 회전축 사이에 있는 미끄럼틀(9B)에 있어서 물통이 하부회전축기어(8)를 돌면서 체인밸트(C)에 꺼꾸로 위치하여 물통바퀴(E)가 바퀴회전대(V1)위를 구르면서 회전하고 상부회전대(V) 위로 올라갈 때에 있어서 바퀴회전대(V1) 사이에서 꺼꾸로 위로 위치된 각 물통뒷면을 위에서 미끄럼틀(9B)판으로 좁은 간격으로 밀착하여 각 물통이 체인밸트(C)의 유동성으로 흔들릴때에 있어 아래위로 강하게 흔들리지 않고 미끄럼틀(9B)에 닿고 부드럽게 미끄러지게 하였다 상기에서 각 물통(51)이 하부회전축을 돌고 상부회전축으로 이동할 때에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1) 사이에 위치하는 각 물통이 상,하로 흔들리지 않게 하여 안정되게 이동되도록 하면서 물통이 상부,하부회전축(A)와 (B)를 원활하게 이동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하였다Kkeokkuro position by a bucket wheel (E) is a bucket in the slide (9B) between the top during operation of the bucket, the lower rotating shaft on the chain belt loop through the lower
수원에에서 공급되는 물을 체우는 물탱크를 받치는 물의 위치에너지를 확보하는 지지대(HM)이며 상기 지지대(HM)는 철구조본(M)과 체인 밸트, 물통, 물통바퀴 회전틀, 체인 밸트 바퀴와 하부회전축을 돌면서 꺼꾸로 위치되는 물통(51)에서 배출되는 물을 다시 강과 하천으로 흘러보내는 수로(J2) 밖으로 다수개의 물탱크 지지 대(HM)가 지면(K)에 세워져 위치한다 상기 물탱크(1)를 받치는 지지대(HM)는 기초 콘크리트 바닥(K ) 위에 튼튼하게 세워 설치된다The support (HM) to secure the potential energy of the water to support the water tank to fill the water supply from the water source and the support (HM) is the steel structure (M) and chain belt, bucket, bucket wheel frame, chain belt wheel and A plurality of water tank support stands (HM) is placed upright on the ground (K) out of the water channel (J 2 ) for flow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수차의 연결장치판(S)을 상세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berration connecting plate (S) is as follows.
철구조본 두개의 판 (K2)사이에 있으면서 판과 판을 연결하며 철구조본의 골격을 튼튼히 하며 하부 물통 바퀴 회전대(V1)이고 서로 대칭하여서 세워져 있는 두개의 철구조본(M) 하부판(M) 사이에 위치한다Steel frame between two plates (K 2 ), connecting plate to plate, strengthening the frame of steel frame, lower bucket wheel swivel (V 1 ) and two steel frame (M) bottom plate (M) symmetrically Located between
연결장치판(S)은 하부축(B)에서 상부축(A)으로 경사지고 윗면이 요철된 구조이다 그리고 물통바퀴(E)가 구르는 하부 바퀴 회전대이며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1)와 회전대(V1)사이에 수로(J1)가 있으며 수로(J1)는 꺼꾸로 매달려 상부축으로 올라가는 물통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아 강과 하천으로 물을 내보내는 수로(J2)에 배출한다The connecting device plate (S) is a structure inclined from the lower shaft (B) to the upper shaft (A) and the top surface is uneven, and the lower wheel swivel to roll the bucket wheel (E) and the lower bucket wheel swivel (V 1 ) and the swivel ( the number (J 1) between V 1), and is discharged to the number (J 1) is a number of exported water in rivers and streams receive dripping water in the water bottle rises to the minor axis kkeokkuro hanging (J 2)
지면 고정식 수차의 수력 발전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hydro power generation process of ground-mounted aberration is as follows.
물 흐름을 나타낸 화살표시(F)는 수원(가)에서 모래,자갈 침전지(나)와 나뭇가지 등을 걸러내는 걸름망(도)을 지나서 물수로관(X)으로 이송되어 수로관(X)의 물배출구(AX)을 통하여 물탱크(I)에 모이면서 물배출구(O1)을 통하여 수차의 상부물통(51)에 물탱크안 물이 물배출구를 통하여 수압력과 물배출관(60)의 물분출력으로 수차의 물통(51)에 물을 공급하여 체인밸트 물통고정막대에 메달린 각 물통이 상부 물통 바퀴 회전대(V) 사이 물통이동로(V0)에서 낙차하여 하부회전축(B)을 돌면서 체 인밸트(C)가 상부회전축(A)을 강력히 회전시켜는 회전력으로 상부회전축에 설치된 풀리끼움사각대(10)에 있는 풀리로서 회전속도를 가속하는 밸트를 통하여 회전가속도부(Z)로 발전기(ZB)를 가동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수력발전을 창출하면서 하부회전축(B)에서 축을 도는 원심력으로 상부 물통이동로(V0) 사이에서 물탱크의 물배출구(O1)에서 공급된 체인밸트의 물통고정대(P1)에 달린 각 물통안의 물을 강과 하천으로 연결된 수로(J2)에 배출한다The arrow time (F) showing the water flow is transferred to the water channel (X) through the strainer (degrees) for filtering sand, gravel sedimentation basin (B) and tree branches from the water source (A) to the water outlet tube (X)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tank (I) through the (AX) and the water in the water tank through the water outlet through the water outlet (O 1 ) 51 through the water outlet through the water outlet and the water output of the water discharge pipe (60) Supplying water to the
[도10]은 생산이동이 수월하면서 발전적지적소에 옮겨 설치가 간편한 고각도 저낙차 밸트식 순환수차의 지면 분리식 철구조본(MP)이다 상기 철구조본(MP)에 있어서 주요 구성장치인 상부조정대(F8)와 수차 하부조정대(F7) 그리고 상부 하부 회전축 지지대(Q)와 상부 회전축 지지대 고정판(J4)과 하부 회전축 지지대 고정판(J5) 그리고 하부 회전축 지지대 하단판(E5)과 하단판(E5)을 고정볼트(T)로 부착고정시키는 하단 고정판(J5)의 슬립장치(W)와 물통바퀴 회전대(V) 즉 상부,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 (V1)와 연결장치판(S) 그리고 철구조본의 좌,우 상부판(M1) 그리고 미끄럼틀(9B)은 [도6]에서 설명된 지면 고정식 철구조본(M)의 장치와 구조 기능역활이 동일하며 같다[Figure 10] is a ground separation type steel structure (MP) of the high angle low drop belt type circulation aberration easy to install, easy to move to the development site, easy to move the production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steel structure (MP) (F 8 ) and aberration lower adjuster (F 7 ) and upper lower rotary support (Q) and upper rotary support pin (J 4 ) and lower rotary support pin (J 5 ) and lower rotary support lower plate (E 5 ) and lower plate (E 5) for fixing bolts (T) at the bottom fixed plate (J 5) slip device (W) and a bucket wheel rotating platform (V) in other words the upper and lower bucket wheel rotating platform (V) that secure attachment to, (V 1) and The connecting device plate (S) and the left, right top plate (M 1 ) and the slide (9B) of the steel structure is the same as the device and structural function role of the ground-fixed steel structure (M) described in FIG.
다만 지면 분리식 철구조본(MP)은 수차 상부 체인밸트(C) 물통 위에 물탱크가 없으며 철구조본 상부판(M1) 즉 물통바퀴 회전대 위에 상부판(M1) 상단에 있는 다수개의 꺽쇠막대(HX)에 부착 고정되며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의 길이를 따라 긴 구조의 물통키판(H)이 장치된다 그리고 철구조본(MP)의 하부판(M2) 좌,우 두판(K2)이 기초 바닥(K)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바닥(K)에서 뜨있는 구조이다 상기 철구조본(MP) 밑면 바닥 즉 연결장치판(S)이 지면 바닥(K)에서 들려지게 하는 장치가 지면 바닥(K)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에 의해 철구조본(MP)이 상부가 높고 하부가 낮은 경사진 형태로 지면(K)에서 들려있게 하였다However, there is no water tank on the water tank upper chain belt (C) bucket, and there are a plurality of clamp bars on the top of the steel plate upper plate (M 1 ), that is, the top plate (M 1 ) on the wheel wheel swivel. HX) is fixed and attached along the length of the upper bucket wheel swivel (V) is equipped with a long bucket key (H) and the lower plate (M 2 ) of the steel structure (MP) left and right head plate (K 2 ) base It is a structure that is not fixed to the floor (K) and floats on the floor (K). The bottom of the steel structure (MP), that is, a device that allows the connecting device plate (S) to be lifted from the floor (K) is the floor (K). The steel structure (MP) was lifted from the ground (K) in an inclined form with a high upper part and a lower part by the above.
상기에서 지면 바닥(K)에서 수차의 철구조본(MP)의 밑바닥 연결장치판(S)이 들려지게 하는 구조와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철구조본(MP)의 하부회전축지지대 고정판(J5) 아래 철구조본 하부판(M2) 좌,우 옆면에 하부판(M2)에 고정된 연결장치판(S)을 관통한 뚫린 구멍(U5)이 있게 하였다 상기 뚫린 구멍(U5) 안으로 긴원형의 쇠막대축(A4)을 고정판(J5) 아래 뚫린 구멍(U5)에 좌,우판 밖으로 돌출되도록 끼워 넣고 상기 하부판(M2) 밖깥면 좌,우로 돌출된 쇠막대축(A4)이 올려져 걸쳐지는 쇠막대축(A4) 올림대(P4)가 철구조본판 좌,우측에 각각 기초 바닥(K)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올림대(P4) 위 즉 상단(4P)에는 원형 쇠막대축(A4)을 올려 얻혀지게 하고 고정시켜두는 U자로 된 쇠막대축 고정홈(4P)이 있다In the above, the structure and the device for lifting the bottom connecting device plate (S) of the steel structure (MP) of the aberration from the ground bottom (K) is as follows: the lower rotating shaft support fixing plate (J 5 ) of the steel structure (MP) under iron gujobon lower plate (M 2)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plate (M 2) a was allow the connector plate (S) by open slots (U 5) through the fixing of the long circle in the open slots (U 5) Insert the iron rod shaft (A 4 ) into the hole (U 5 ) drilled below the fixing plate (J 5 ) to protrude out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and the iron rod shaft (A 4 ) protruding to the left and right outside the lower plate (M 2 ) is raised. which over the iron rod axis (a 4) olrimdae (P 4) is an iron structure bonpan are left,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base floor (K) on the right side of the olrimdae (P 4) above, that is, round iron rod shaft top (4P) (a 4 There is a U-shaped iron rod shaft fixing groove (4P) that is raised and fixed.
그리고 하부회전축 지지대(Q)에서 이격된 상부회전축 지지대가 장치된 수차 상부 밑면 즉 철구조본(MP)의 밑면인 연결장치판(S) 끝 밑에 반원형된 구조이며 밑 면에 용접고정된 반원형 구조의 받침대(H4)가 있게 하였다 상기 받침대(H4) 아래에 받침대를 얻고 받쳐 있게 하여 철구조본(MP) 상부를 들어올려 높게 하고 철구조본 상부회전축(A)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수차 상부 높이를 고정하는 고임판(AP)을 올려 얻어두는 판고임대(B4)가 수차의 받침대(U4) 아래 기초콘크리트 바닥(K)에 설치되어서 고정되어 있다And a semi-circular structure under the semi-circular structure, which is semi-circular under the end of the connecting device (S), which is the upper surface of the aberration, that is, the bottom of the steel structure (MP), with the upper rotary shaft support spaced apart from the lower rotary shaft support (Q). (H 4 ) There is a base under the pedestal (H 4 ) to obtain and support the base of the steel structure (MP) to raise the high, the height of the steel structure upper axis of rotation (A) can be adjusted, and the aberration top height fixed The plate height (B 4 ) obtained by raising the slab (AP) to be installed is fixed to the base concrete floor (K) under the aberration support (U 4 ).
상기에서 수차는 철구조본(MP)의 밑면인 연결장치판에 있는 받침대(H4) 밑에서 받침대(H4)를 바쳐 들어 올리고 수차 상부,하부 바퀴회전대 경사각도를 수차 하부회전축을 중심으로 조절하는 수 차이가 상기에서 유압작키(GA)를 올려두는 작키 받침대(AG)를 판고임대(B4) 앞 전방에 기초 콘크리트 바닥(K)에 설치하여 유압작키로 수차를 발전에 적정한 경사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In the above, the aberration lifts the pedestal (H 4 ) under the pedestal (H 4 ) in the connecting plate, which is the bottom of the steel structure (MP), and adjust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aberration upper and lower wheel swivel centers around the aberration lower rotary shaft. The difference is that the hydraulic key (AG) to put the hydraulic operation key (GA) on the base concrete floor (K) in front of the front of the lease lease (B 4 ) was installed so that the hydraulic operation key can adjust the aberration to the proper inclination angle for power generation.
[도11]은 [도10]의 지면 분리식 철구조본(MP)에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사이 상부 물통이동로(V0)에 물통이 달린 체인밸트(C)가 놓여 장치되고 물 공급받는 수차의 발전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부분상세도이고 설명도이다 상기에서 각 물통(51)이 물통이동로(V0)에서 일직선 종으로 1,2,3,4,5로 배열되고 바퀴회전대(V)에서 물통바퀴(E)가 구를 때 낙차하는 물통의 물유입구(O2)에 물탱크 없이 수원(가)의 물을 이송하는 수로관(X)으로 수차의 상부 회전축을 돌며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위에 물통바퀴(E)가 착지할 때 물통이동로(V) 상부에 위치하는 각 물통(51)에 수원 (가)에서 이송한 물을 체인밸트에 끼워진 물통고정막대(P1)에 메달려 수차 상부에 위치되는 물통 1,2에서 각 물통에 물을 공급하고 아래로 낙차하면서 물을 공급받은 각 물통이 물통고정막대 끝에 장치된 바퀴(E)가 물통안 물의 무게로 경사진 바퀴회전대(V) 위에서 수차 하부로 구르면서 수차 상부 물통이동로(V0) 사이에 있는 각 물통이 수차 상부서 하부로 낙차되게 하여 체인밸트로 상부와 하부 회전축을 회전시켜 수력발전을 하는 지면 분리식 고각도 저낙차 밸트식 순환수차의 발전 공정이다11 is a chain belt (C) with a bucket attached to the upper bucket movement path (V 0 ) between the upper bucket wheel swivel (V) in the ground-type iron structure (MP) of Figure 10 is installed and supplied with water A perspective view, a partial detail view, and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power generation process of the received aberration. In the above, each
상기에서 수차 철구조본(MP)은 철구조본(MP) 하부를 들어올린 쇠막대축(A4)과 쇠막대축 올림대(P4) 그리고 판고임대(B4)와 판고임대 위에 얻혀져 수차 상부를 높이를 조절하는 고임판(AP)과 수차 상부를 들어올리는 자키 받침대(AG) 장치를 구비한다In the above, the aberration steel structure (MP) is obtained on the iron rod shaft (A 4 ) and the iron rod shaft lifter (P 4 ) and the plate height (B 4 ) and the height of the plate height lifting the bottom of the steel structure (MP) to raise the height of the aberration It is equipped with an adjustable slab (AP) and a jockey pedestal (AG) device for lifting the top of the aberration.
상기에서 철구조본(MP)의 쇠막대축(A4)이 기초바닥(K)의 올림대(P4) 위에 올려지면서 수차의 하부가 지면에서 들려져 있게 하였다 상기에서 기초 바닥(K)에 고정되있는 받침대(B4)의 고임판(AP) 위에 철구조본(MP) 상부을 들어올려 수차의 발전에 최적 상태의 바퀴회전대 경사각도를 만들 수 있다In the above, the iron rod shaft A 4 of the steel structure MP was lifted on the lift bar P 4 of the foundation floor K,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aberration was lifted from the ground. Lift the upper part of the steel structure (MP) on the slab (AP) in (B 4 ) to make the wheel swivel angle optimal for the development of aberration.
상기에서 지면 분리식 수차의 물통바퀴 회전대의 경사각 조절장치인 기초 바닥(K)의 구성장치를 설명하였으므로 상기에서 수차의 발전시스템 작용을 설명하겠다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foundation floor (K), which is the inclination angle adjusting device of the bucket wheel swivel of the ground-separated aberra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aberration power gener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above.
수차의 물통(51)에 수원(가)의 물을 이송하는 수로관(X)으로 물을 이송하며 수로관(X)의 물배출관(60)에서 물을 물통 1,2에 방출하여 수차의 상부 물통에 물을 공급한다 상기에서 상부 회전축을 돌며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사이에서 물이 채워진 각 물통은 하부 회전축으로 낙차하는 운동을 하부 회전축(B)으로 하게 된다 상기에서 체인밸트(C)에 달린 각 물통이 상부,하부 회전축을 돌면서 이격되어 있는 상부,하부 회전축 사이에 있는 상부 바퀴회전대(V) 사이의 각 물통(51)은 수차의 발전시에 계속 물로 채워지게 된다Water is transferred to the water pipe (X) for transporting water of the water source (A) to the water tank (51) of the aberration, and the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discharge pipe (60) of the water pipe (X) to the
상기에서 체인밸트(C)는 상부,하부 회전축 기어에 감겨 각 물통(51)의 직선운동을 기어회전축(U)을 돌려 회전운동으로 바꾸어 강력한 회전운동을 일으킨다In the chain belt (C) is wound around the upper, lower rotary shaft gear to change the linear movement of each bucket (51) to the rotary rotation by rotating the gear rotation shaft (U) to produce a strong rotational movement.
상기에서 수차의 상부 물통이동로(V0)에서 낙차하는 각 물통이 순차적으로 물배출관(60)으로부터 물을 받고 낙차할 때 상부 물통이동로에 있는 각 물통에 모두 물이 채워지면서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사이에서 각 물통의 강력한 낙차력으로 상부 회전축(A)과 하부 회전축(B)이 회전력을 얻게 된다When each bucket dropping in the upper bucket movement path (V 0 ) of the aberration in order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discharge pipe (60) in sequence when the water is filled in each bucket in the upper bucket movement path, the upper bucket wheel swivel Strong dropping force of each bucket between (V) gives the upper rotating shaft (A) and the lower rotating shaft (B) the rotational force.
그리고 체인밸트(C)의 구성과 역활기능구조는 [도6]에서 설명된 지면 고정된 철구조본(M)의 것과 동일하며 같다 다만 지면 분리식 철구조본(MP)의 체인밸트(C)에 있어 각 물통 밑면(자)를 밀착대판(U4)없이 높게하여 물통 밑면(자)을 높이고 옆면(C0)을 높게하여 각 물통이 상부 물통이동로(V0)에서 낙차할 때 각 물통에 수로관(X)의 물배출관(60)에서 방출되는 물이 많이 실려지게 하였다And the configuration and role function structure of the chain belt (C) is the same as that of the ground fixed steel structure (M) described in Figure 6, but in the chain belt (C) of the ground separate steel structure (MP) Raise the bottom of each bucket without the contact plate (U 4 ) to raise the bottom of the bucket and raise the side (C 0 ) so that each bucket falls from the upper bucket movement path (V 0 ). A larg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지면 분리식 철구조본(MP) 수차의 물통키판(H)의 구조와 역활을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the structure and role of the bucket keyboard (H) of the ground-separated steel structure (MP) aberration
상기 물통키판(H)은 철구조본(MP)의 상부판(M1) 좌,우판 옆면에 용접되어 세 워져 있는 꺽쇠모양으로 양끝이 꺽여진 막대인 꺽쇠(CX)에 긴 물통키판이 부착된다 상기에서 꺽쇠는 꺽여진 윗대(CX)가 길고 상부판(M1) 좌,우측 외부면에 용접고정된 밑대(XC)가 짧은 꺽쇠이며 윗대(CX) 막대의 끝부분에 물통키판(H)이 용접 부착되어 설치된다The bucket key (H) is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late (M 1 ) of the upper plate (M) of the steel structure (MP)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clamp is a bar that is bent at both ends of the bar (CX) is attached to the long key In the bracket, the angled upper base (CX) is long, and the upper plate (M 1 ) is fixed to the left and right outer surfaces by the short base (XC), and the bucket key (H) is welded to the end of the rod (CX). Is attached
상기에서 꺽쇠 윗대(CX) 끝부분이 긴통판으로 된 물통키판(H) 옆면을 따라 용접부착되어 상부판(M1)의 물통바퀴 회전대 위에서 물통키판(H)이 들려져 있게 된다In the above, the end of the cramped upper part (CX) is welde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bucket key board (H) which is a long barrel plate, and the bucket key (H) is lifted on the bucket wheel swivel of the upper plate (M 1 ).
상기에서 물통키판(H)은 물통이동로(V0) 위 좌,우측에 있는 2개의 긴통 판이며 상부 물통이동로(V0)에 위치하는 각 물통 좌,우측 옆면을 밀착하여 물통 옆면이 물통키판(H)사이에서 미끄러지게 하는 창치이다 상기에서 물통키판(H)은 각 물통 옆면을 밀착할 때 물통 옆면보다 높게 긴 통판으로 된 구조이며 수차 상부서 하부로 낙차하는 물통 좌·우 옆면을 붙들지 않고 옆면이 미끄러지게 밀착하는 긴 판이다In the bucket kipan (H) is a bucket movement (V 0) above the left, and two gintong plate on the right side of each bucket left side of the bucket to contact the side of the right side which is located in the upper bucket movement (V 0) is a bucket In the above, the bucket key (H) is made of a long board that is higher than the sides of the bucket when the sides of the bucket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hold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uckets falling down from the upper part of the aberration. It is a long plate that the side slides closely without slipping
수차의 물통은 수차 좌,우 옆면에서 볼때 물통이동로(V0)에 있는 물통의 윗면(차)과 밑면(자)이 붙어있으며 계단구조을 갖는다 상기에서 물통 물유입규(O2)는 수평이며 밀착대(U4)로 붙어진 각 물통(51)은 물통과 물통이 층층되는 형태의 계단형(100)으로 되어 있다 상기에서 물통키판(H)은 물통이동로(V0)에 있는 즉 낙차되는 각 물통(51)에 있어서 체인밸트(C)에 끼워진 물통고정막대(P1)에 메달려 있는 물통안에 물이 채워져 있는 물통이 물통바퀴(E)에 의해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사이에서 일직선으로 낙차하는 운동에서 각 물통안의 물이 출렁이게 될 때 물통 물유입구(O2)보다 물통키판을 높게하여 물 유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물통 좌,우측면으로 물이 흘러내려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각 물통(51)이 물통이동로(V0)에서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일직선 종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낙차운동을 할 수 있게 유도하는 역활을 한다Bucket of the aberration is aberration L, the upper surface of the bucket in a judging bucket moves from the right side (V 0), (J) and the bottom (i) is attached and stairs gujoeul has a bucket of water flowing in the figures (O 2) are horizontal, and Each
상기에서 물통이 체인밸트의 유동성으로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이 방지된다 좌,우 물통키판(H)의 상단 끝부분(H3)이 물통 이동로(V0)에 있는 물통 옆면을 기준해서 밖으로 완만한 곡선으로 물통키판(H) 상단 안쪽면(GH)이 휘어져 있게 하여 각 물통이 상부회전축(A)을 돌면서 물통 이동로(V0) 안으로 진입할 시 물통 밑면(자)과 옆면의 모서리(OC)가 물통키판 상단판(H3) 사이에서 두판(H3)의 휘어진 안쪽 면 사이로 판(H3)에 미끄러지며 물통키판 사이로 진입하게 하는 역활을 한다In the above, the bucket is prevented from swinging from side to side due to the fluidity of the chain belt. The upper end portion (H 3 ) of the left and right bucket keys (H) is gentle outwardly based on the side of the bucket in the bucket movement path (V 0 ). Curve the bucket inner side (GH) of the top of the bucket key (H) so that each bucket enters the bucket movement path (V 0 ) while rotating the upper rotary shaft (A). the slip in the plate (H 3)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urved dupan (H 3) between a bucket kipan top plate (H 3) and the role that it goes between the bucket kipan
지면 분리식 철구조본(MP)의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사이에서 수차의 각 물통이 낙차운동을 할 때 물통의 물무게가 물통고정막대(P1)를 통하여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위에서 상부 물통의 무게를 바치는 각 물통바퀴에 많도록 하고 물통고정막대(P1)를 통하여 체인밸트(C)가 상부회전축(A)을 강력히 회전시키도록 하기 위한 물통의 구조를 설명하겠다 물통 물유입구 밑면(자)을 화살표시와 같이 높이고(707) 각 물통에 물이 많이 실려지게 하기 위하여 물통 밑면(자)를 밀착대판 없이 옆에서 볼때에 물통과 물통이 붙어져 계단형(보)으로되게 물통윗면(차)보다 밑면(자)이 높게 하였다When each bucket of aberration falls between the upper bucket wheel swivels (V) of the ground-separated steel structure (MP), the weight of the bucket is placed on the upper bucket wheel swivel (V) through the bucket fixing rod (P 1 ). We will explain the structure of the bucket so that the weight of the upper bucket is increased on each wheel of the bucket and the chain belt (C) rotates the upper rotating shaft (A) strongly through the bucket fixing rod (P 1 ). Raise (R) as shown in the arrow (707), and in order to allow a lot of water to be loaded in each bucket, when the bottom of the bucket is seen from the side without close contact, the bucket and the bucket are attached so that they become stepped. The base was higher than (tea)
지면 분리식 철구조본(MP) 수차에 있어서 물탱크 없이 수차의 물통(51)에 물을 공급할 때 있어 수원(가)의 물을 수로관으로 이송하고 물배출관(60)에서 철구조본(MP)의 상부 물통 바퀴회전대(V) 사이에서 상부서 수차 하부로 낙차하는 각 물통에 물을 공급하므로 수차 상부서 하부로 이동하는 물통에 수로관(X)의 물배출관(60)에서 물을 공급하는 수차의 발전방식에 의해 갈수기의 강과 하천의 유량 감소로 인한 수원의 물 부족시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에서 물통바퀴에 의해 물통의 빠른 낙하속도에서 물배출관(60)의 물분출양 즉 물공급 부족분으로 물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에서 물통의 물부족분으로 체인밸트 순환 수차의 상부,하부회전축의 회전력이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에 있는 각 물통에 채워지는 유량이 적어지면서 차이가 발생된 무게를 갖게 되어 나타나는 현상 즉 수차에 물공급이 많으면 물통의 낙차력이 강하며 빠르고 물통에 물이 적으면 낙차력이 느려지는 현상이 있게 된다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상기에서 물 부족으로 인한 물의 위치 에너지의 유동성을 수차의 발전에 안정되게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있어야 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기 위하여 바퀴회전대의 기울기 즉 경사 각도를 낮추고 높이어 상,하부회전축이 일정한 회전속도를 유지하게 하는 방식으로 수원의 물 공급양에 따라 조절하는 장치로서 지면 바닥(K) 위 에 올림대(P4)와 자키(GA) 그리고 자키 받침대(AG)와 판고임대(B4) 그리고 고임판(AP)이 철구조본(MP)의 연결장치판(S) 밑에 있도록 하였다 기능과 역활은 앞서 설명된 상기 구조의 설명과 같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e upper and lower rotation shafts maintain a constant rotational speed by lowering and increasing the inclination, that i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heel swivel. in such a manner as to maintain ground as a device for adjusting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amount of the water source olrimdae on the floor (K) (P 4) and a jockey (GA) and jockey pedestal (AG) and pango rent (B 4) and said impan ( AP) under the connecting device plate S of the steel structure MP. The functions and roles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상기에서 판고임대(B4) 위의 고임판(AP)으로 물통바퀴 회전대의 경사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경사각 조절시 유압식 자키와 고임판(AP)을 사용한다 상기에서 고임판을 많이 올릴수록 상부,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V1)의 경사각은 적어지고 고임판 갯수을 줄이면 경사각은 크진다In the above plate height (B 4 ) above the plate (AP) can be used to adjust the size of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bucket wheel swivel and the hydraulic jockey and a high plate (AP) is used to adjust the angle of inclination The higher the plate, the higher the plate , The lower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lower bucket wheel swivel (V), (V 1 ) and the larger the number of high plates, the larger the inclination angle
상기에서 고임판(AP)의 두께를 다양하게 하여 수차의 경사각을 원활히 조절할 수 있게 한다By varying the thickness of the solid plate (AP) in the above it is possible to smoothly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aberration
상기에서 본 발명의 저낙차 고각도 밸트식 순환 수차의 상부축(A)의 높이를 낮출 경우 체인밸트(C)에 끼워진 물통고정막대(P1)에 달린 물통에 물이 공급이 되었을 때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 사이에서 물통이 상부축(A)에서 하부축(B)으로 낙차하는 속도가 느려진다 상기에서 물배출구(AX)에서 물통으로 분출되는 물의 양을 관찰하고 수차의 상부에서 물통에 공급되는 물의 양에 따라서 수차의 상부,하부 물통바퀴 회전대(V),(V1)의 경사면 각도를 하부축(B)을 중심으로 상부축(A)을 낮추고 높여서 수차에 공급되는 물의 유동성에 의한 수차의 회전력에 있어서 적정한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부축(A)과 하부축(B)의 회전속도를 안정되게 하고 풀리끼움 사각대(10)에 끼 풀리(36)에 걸쳐진 밸트 연결된 회전가속부(Z)로 발전기( B)를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When lowering the height of the upper shaft (A) of the low drop high angle belt-type circulation aber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bucket attached to the bucket fixing rod (P 1 ) inserted into the chain belt (C) The speed at which the water bottle drops from the upper shaft A to the lower shaft B between the wheel swivels V is slowed down. Observe the amount of water that is ejected from the water outlet AX to the water tank and supply it to the water tank at the top of the water wheel. Aberration due to the fluidity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aberration by raising and lowering the upper axis A around the lower axis B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to be inclined to the upper and lower bucket wheel swivel (V), (V 1 ) I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appropriate rotational speed can be adjusted constantly, the rotational acceleration of the upper shaft (A) and the lower shaft (B) is stabilized and the belt connected to the
상기에서From above
수차의 경사각이 90도에 근접되고 물통이 물공급을 받을시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사이에서 물통의 낙하속도 증가로 물통의 낙차력이 증가되고 상,하부 회전축의 회전속도는 가속된다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aberration approaches 90 degrees and the bucket receives water supply, the dropping speed of the bucket increases due to the dropping speed of the bucket between the upper bucket wheel swivels (V)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upper and lower rotary shafts is accelerated.
수차의 경사각이 180도에 근접되어 물통이 물공급받을시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V)사이에서 물통의 낙차력이 감소되고 상·하부 회전축의 회전속도가 느려지게 된다As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aberration approaches 180 degrees, the dropping force of the bucket is reduced between the upper bucket wheel swivels (V) when the bucket is supplied with water,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upper and lower rotary shafts is decreased.
[도1]은 고각도 저낙차 밸트식 순환수차의 발전방식을 설명한 설명도이고1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generation method of a high angle low drop belt type circular aberration;
[도2]는 수차의 상부 하부 회전축 구조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도이며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upper and lower rotary shaft structures of the aberration separately.
[도3]은 수차의 물통이 달린 체인밸트가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 위이에 있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부분 상세 설명도이고3 is a plan view showing a chain belt with a bucket of aberration located above the upper bucket wheel swivel, and a partial detailed explanatory view.
[도4]는 회전축 기어에 감기는 체인밸트에 달린 물통이 회전축을 돌 때 물통의 작동상태를 설명한 설명도이고 사시도이며Figure 4 is an explanatory view and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ucket when the bucket attached to the chain belt wound on the rotary shaft gear rotates;
[도5]는 지면 고정식 수차의 철구조본을 도시한 사시도이고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eel structure of the ground-mounted aberration
[도6]은 지면 고정식 철구조본에 물통이 달린 체인밸트가 설치되어 있는 수차의 발전 작동부를 설명한 설명도이며 사시도 분분 상세도이며Figure 6 is an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the power generation operation of the aberration having a chain belt with a bucket on the ground fixed steel structure, and detailed perspective view
[도7]은 지면 고정식 수차의 상단부 물통키판의 유도를 받는 물통이 상부 물통이동로에서 낙차하면서 물통에 담긴 물을 배출하는 것을 도시한 부분 설명도이고FIG. 7 is a partial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bucket receiving the guide of a bucket key board at the upper end of the ground-mounted aberration while discharging water contained in the bucket while falling from the upper bucket moving path; FIG.
[도8]은 수차 상부 하부 회전축 지지대의 슬립장치 작동을 설명한 설명도이며8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slip device of the upper lower rotary shaft support of the aberration;
[도9]는 지면 고정식 철구조본 수차의 발전공정을 도시한 옆면도이이 발전공정 설명도이고Figure 9 is a side view showing the power generation process of the ground fixed steel structure aberrations
[도10]은 지면 분리식 밸트식 순환수차의 철구조본을 나타낸 사시도이며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eel structure of the ground belt separation type circulation aberration
[도11]은 지면 분리식 철구조본 수차의 발전공정을 도시한 상세 설명도이며 부분 설명도와 사시도이고11 is a detailed explanatory view showing a power generation process of the ground-type separate steel structure aberration, part explanatory diagram and a perspective view
[도12] 물통바퀴의 방전방향을 바꾸어주는 하부조정대의 기능과 역활을 도시 한 확대도이며 설명도이며12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lower adjuster for chang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bucket wheel.
[도13]은 물통바퀴의 회전방향을 바꾸어주는 상부조정대의 기능과 역활을 도시한 확대도이며 설명도이다FIG. 13 is an enlarged view and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upper adjuster for chang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ucket wheel.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 물탱크 (O1): 물배출구(1): water tank (O 1 ): water outlet
(U): 회전축 (8): 회전축기어(U): rotary shaft (8): rotary shaft gear
(C): 체인밸트 (51): 물통(C): chain belt (51): bucket
(E): 물통바퀴 (E2): 물통보조바퀴(E): Bucket Wheel (E 2 ): Bucket Wheel
(101): 물통고정링, (P1): 물통고정막대(101): bucket fixing ring, (P 1 ): bucket fixing rod
(PA): 물통고정막대 회전볼 (HP): 물통바퀴 원형요철홈(PA): Bucket Rod Rod (HP): Bucket Wheel
(PJ): 물통고정막대 회전볼 구리스 주입구 (18): 물통앞면(PJ): Bucket Rod Rod Rotary Ball Grease Injection Hole (18): Bucket Front
(차): 물통 윗면 (자): 물통 밑면(Tea): Top of the bucket (R): Bottom of the bucket
(O2): 물통 물유입구 (타): 물통 뒷면(O 2 ): bucket water inlet (other): back of the bucket
(사): 물통 윗면 경사면 (마): 물통 밑면 경사면(G): Bucket top slope (E): Bucket bottom slope
(TA): 물통 물유입구 방향지시선 (U4): 밀착대판(TA): Bucket water inlet direction indicator (U 4 ): Close contact
(M): 지면고정수차의 철구조본 (F8): 상부 물통바퀴 회전방향조정대(M): Steel structure of fixed ground aberration (F 8 ): Upper bucket wheel rotation direction
(F7): 하부 물통바퀴 회전방향 조정대 (V): 상부 물통바퀴 회전대(F 7 ): Lower bucket wheel turn direction (V): Upper bucket wheel turntable
(V1): 하부 물통바퀴 회전대 (J4): 상부회전축 지지대 고정판(V 1 ): Lower bucket wheel swivel (J 4 ): Upper pivot support plate
(J5): 하부회전축 지지대 고정판 (W): 고정판 (암)슬립대(J 5 ): Lower rotating shaft support plate (W): Fixed plate (female)
(H1): 유압실린더 (W1): 하부회전축 지지대 하단판 밑면의 (수)슬립대(H 1 ): Hydraulic cylinder (W 1 ): (male) slipper on bottom of lower shaft support
(TG): 볼트대 이동공간 (4M): (수)슬립된 회전축 지지대 상단(TG): Bolts moving space (4M): (male) Slipper shaft support top
(M4): (암)슬립된 회전축 지지대 하단 (FF): 마찰섬유대(M 4 ): (female) slippered shaft support bottom (FF): friction fiber band
(H): 물통키판 (X2): 물배출구 덮개(H): bucket key (X 2 ): water outlet cover
(B6): 물배출구 상부 (M1): 철구조본 상부판(B 6 ): Top of the water outlet (M 1 ): Steel structure top plate
(M2): 철구조본 하부판 (N): 하부물막이대(M 2 ): Steel structure lower plate (N): Lower water basin
(AX): 꺽임판 (T)슬립조절볼트 (HM): 물탱크 지지대(AX): Bending plate (T) Slip adjustment bolt (HM): Water tank support
(X): 물이송수로관 (60): 물배출관(X): water transport pipe (60): water discharge pipe
(MV): 철구조본 꺽임부 (AP): 고임판(MV): Steel Structure Bending Part (AP): High Plate
(A4): 쇠막대축 (P4): 올림대(A 4 ): iron rod shaft (P 4 ): lift bar
(B4): 판고임대 (AG): 자키받침대(B 4 ): Lease and rent (AG): Jockey stand
(GA): 자키 (HX): 꺽쇠막대(GA): Jockey (HX): cramp bar
(T): 볼트 (TC): 볼트조임너트(T): Bolt (TC): Bolt Tightening Nut
(3): 베어링 (10): 풀리끼움사각대(3): bearing (10): pulley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7531A KR101197375B1 (en) | 2010-07-13 | 2010-07-13 | Circulating watermill of belt ty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7531A KR101197375B1 (en) | 2010-07-13 | 2010-07-13 | Circulating watermill of belt typ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65251 Division | 2009-07-15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0223A Division KR20110060873A (en) | 2011-04-28 | 2011-04-28 | Hydro power generation by high angle low drop belt type circulation aberr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7047A true KR20110007047A (en) | 2011-01-21 |
KR101197375B1 KR101197375B1 (en) | 2012-11-05 |
Family
ID=4361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7531A Expired - Fee Related KR101197375B1 (en) | 2010-07-13 | 2010-07-13 | Circulating watermill of belt ty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7375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15446A3 (en) * | 2012-07-27 | 2014-05-30 | Wrh Walter Reist Holding Ag | Device for tapping electrical energy from hydropower |
WO2018066915A1 (en) * | 2016-10-06 | 2018-04-12 | 민병곤 | Water wheel for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using flowing water power |
KR102175264B1 (en) * | 2019-11-22 | 2020-11-06 | 이규현 | Power generator using weight of water |
CN112283014A (en) * | 2020-09-17 | 2021-01-29 | 浙江钱塘江水利建筑工程有限公司 | Small hydroelectric generato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1320B1 (en) | 2006-07-24 | 2008-02-05 | 윤미현 | Hydro power generator |
-
2010
- 2010-07-13 KR KR1020100067531A patent/KR10119737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15446A3 (en) * | 2012-07-27 | 2014-05-30 | Wrh Walter Reist Holding Ag | Device for tapping electrical energy from hydropower |
US9494128B2 (en) | 2012-07-27 | 2016-11-15 | Wrh Walter Reist Holding Ag | Device for tapping electrical energy from hydropower |
WO2018066915A1 (en) * | 2016-10-06 | 2018-04-12 | 민병곤 | Water wheel for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using flowing water power |
KR102175264B1 (en) * | 2019-11-22 | 2020-11-06 | 이규현 | Power generator using weight of water |
CN112283014A (en) * | 2020-09-17 | 2021-01-29 | 浙江钱塘江水利建筑工程有限公司 | Small hydroelectric gener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97375B1 (en) | 2012-1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651752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ower using excess pressure in a natural gas pipeline | |
US7918087B1 (en) | System for relocating and converting potential energy of water without dams | |
KR20110007047A (en) | Hydro power generation by high angle low drop belt type circulation aberration | |
US20220136479A1 (en) | The impeller assembly for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 |
CN101344060B (en) | Sprocket wheel watermill | |
KR102175264B1 (en) | Power generator using weight of water | |
KR20110060873A (en) | Hydro power generation by high angle low drop belt type circulation aberration | |
JP4681009B2 (en) | Tidal energy hydropower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 |
CN113565072A (en) | Special floater interception cleaning device of reservoir | |
CN102072072B (en) | Hydroelectric generating method and device | |
JP5804884B2 (en) | Hydroelectric generator | |
CN209114328U (en) | A kind of bridge construction curing means | |
KR102319141B1 (en) | High efficiency water-power generating apparatus | |
CN212774588U (en) | Residual electricity energy storage device | |
CN114046219A (en) | Power generation system utilizing deep water fall | |
KR101278534B1 (en) | Small water power generation system | |
KR20120110072A (en) | Hydro power unit spaced apart from the axis of rotation | |
CN201531358U (en) | Water-energy water elevator | |
CN202250560U (en) | A hydroelectric power plant | |
CN205532998U (en) | Simple and convenient tail water power generation facility | |
CN221722942U (en) | A water conservancy device | |
RU2392483C2 (en) | Hydraulic power plant | |
KR20110028606A (en) | Ultra low drop hydroelectric | |
KR200185645Y1 (en) | A low head type generating equipment using rubber dam | |
KR20230037089A (en) | Buoyancy power generating system using hydraulic pressure differe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71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9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011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011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010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008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42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10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206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4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4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8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8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8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7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6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4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011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011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010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008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0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