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355A - Function variable air purifier - Google Patents
Function variable air purif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01355A KR20110001355A KR1020090058857A KR20090058857A KR20110001355A KR 20110001355 A KR20110001355 A KR 20110001355A KR 1020090058857 A KR1020090058857 A KR 1020090058857A KR 20090058857 A KR20090058857 A KR 20090058857A KR 20110001355 A KR20110001355 A KR 201100013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bucket
- water tank
- control unit
- air purifi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97—Special means for preventing bypass around the filter, i.e. in addition to usual se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습필터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가습시키는 가습 기능을 구비하는 기능 가변식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nction variable air purifier having a humidification function of humidifying the purified air through a humidification filter.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 입자 등을 필터로 걸러내어, 흡입된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킨다. 이와 같이 정화된 공기가 공기 청정기의 외부, 즉 실내로 다시 토출된다.In general, an air purifier sucks contaminated indoor air to filter dust, odor particles, etc. contained in the air with a filter to purify the sucked air with clean air. The air thus purified is discharged back to the outside of the air cleaner, that is, the room.
다시 말해,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주위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면서 공기 청정기가 설치된 주위 공기를 정화한다.In other words, the air cleaner purifies the ambient air in which the air cleaner is installed while purifying the contaminated ambient air by discharging the clean air to the outside.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주위 공기를 유입시켜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송풍 장치와, 유입된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 입자 등을 걸러내는 필터들을 구비할 수 있다. 즉, 공기 청정기는 다수개의 필터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정화한다.To this end, in general, an air purifier may include a blower for injecting ambient air to discharge purified air, and filters for filtering dust, odor particles,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introduced air. That is, the air purifier purifies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plurality of filters.
한편, 이러한 공기 청정기 중 가습형 공기 청정기는 다양한 필터들에 의해 청정화된 공기가 물을 머금은 가습 필터를 통과하면서 습공기로 변하는 것을 이용 한 장치이다.On the other hand, the humidifier-type air purifier of the air purifier is a device that uses the air cleaned by the various filters to turn into the humid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humidification filter containing the water.
다시 말해, 가습형 공기 청정기는 정화된 공기가 수분을 함유하도록 하여 건조한 주위환경에서 공기 청정기능도 수행하면서 가습기능도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이다.In other words, the humidifier-type air purifier is a device that allows the purified air to contain moisture to perform a humidification function while also performing an air cleaning function in a dry surrounding environment.
그런데, 가습형 공기 청정기는 단순히 가습기능 없이 구동되지 못하고 언제나 가습기능과 공기 청정기능을 함께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By the way, the humidifier-type air purifier is not simply driven without a humidification fun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always perform a humidification function and an air cleaning function.
즉, 가습형 공기 청정기가 설치된 주위 환경이 다습한 경우에도 가습형 공기 청정기를 구동하면 정화된 공기에 가습을 수행하게 되므로, 습도가 높아지게 된다.That is, even when the humidifying air cleaner is installed in a humid environment, when the humidifying air cleaner is driven, the humidification is performed on the purified air, thereby increasing the humidity.
이에 따라, 사용자에 따라서 높아진 습도에 의해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may feel uncomfortable due to the increased humidity.
다시 말해, 가습형 공기 청정기의 기능 가변이 필요한 실정이다.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function of the humidifier-type air cleaner.
본 발명은 주위 환경조건에 따라 가습기능으로 구동되거나 가습기능 없이 공기 청정기능만으로 구동될 수 있는 기능 가변식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nction-variable air purifier that can be driven by a humidification function or by an air cleaning function only without a humid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mbient environmental conditions.
본 발명에 따른 기능 가변식 공기 청정기는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가습필터가 장착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에 설치되며 슬라이딩 이동되는 개폐부재를 구비하는 물통, 및 상기 물통에 구비되는 상기 개폐부재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물통으로부터 상기 수조로의 물공급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물공급 조절유닛을 포함한다.Function-variabl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and the humidification filter is mounted, the water tank is provid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installed in the water tank, the sliding movement, and sl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provided in the water tank And a water supply control unit configured to move to control the water supply from the water tank to the water tank.
상기 수조는 상기 물통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함유하도록 상기 가습필터가 장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물통이 설치되는 설치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water tank may be provided with a body portion to which the humidification filter is mounted so as to contain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bottle, and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so that water flows into the body portion, and an installation portion to which the water tank is installed.
상기 몸체부는 상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가습필터가 장착되는 장착홈을 구비하며,The body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and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for mounting the humidification filter,
상기 설치부는 상기 물통이 장착되며 하단부에 상기 물통으로부터 유출된 물이 통과하는 유로홀을 구비하는 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물공급 조절유닛의 구동시 신축되어 상기 물통으로부터 유출된 물이 상기 물공급 조절유닛 측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물통으로부터 유출 되는 물을 상기 몸체부로 안내하는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The installation unit is mounted on the bucket and a bracket having a passage hole through which the water flows out of the bucket at the lower end, and is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racket and stretched when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is driven out of the bucket It may be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for preventing leakage to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side, and the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the water flowing out of the bucket to the body portion.
상기 물공급 조절유닛은 상기 물통에 구비되는 개폐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에 연결된 동력전달부재에 결합되어 승강되며, 상기 개폐부재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승강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may include a driving source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provided in the water bottle, and a lifting member coupled to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connected to the driving source to move the sliding member. have.
상기 구동원은 스태핑 모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구동원의 구동시 승강되도록 상기 구동원에 연결 설치되는 랙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피니언 기어일 수 있다.The drive source is made of a stepping motor, the lif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rack gear connected to the drive source to be elevated when driving the drive source,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may be a pinion gear.
상기 수조는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어 상기 가습필터가 침지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The water tank may include a water level sensor mounted on the body to detect a water level of the water in which the humidification filter is immersed.
본 발명에 따르면, 물공급 조절유닛을 통해 물통으로부터 유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가습필터의 물함유 여부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공기 청정기가 주위 환경조건에 따라 가습기능으로 구동되거나 가습기능 없이 공기 청정기능만으로 구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water content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by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flowing out of the bucket through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the air purifier is driven by the humid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ambient environmental conditions or air cleaning function without the humidification fun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riven only.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 가변식 공기 청정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unction-variabl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 가변식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nction-variabl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기능 가변식 공기 청정기(100, 이하 공기 청정기라 함)는 일예로서, 케이스(120), 필터부(140), 송풍부(160), 및 가습부(18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variable-function air cleaner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ir cleaner) includes a
케이스(120)는 공기 청정기(100)의 외형을 형성하며, 필터부(140), 송풍부(160), 가습부(180)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송풍부(16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공기 유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The
즉, 케이스(120)에는 외기가 케이스(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122)와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24)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는 유입구(122)가 측면에 구비되고, 토출구(124)가 상면에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at is, the
한편, 필터부(140)는 공기 중의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을 걸러내어 청정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필터링 수단의 결합체이다. 이를 위해 필터부(140)는 프리틸터, 전처리필터, 기능필터, 헤파필터, 및 탈취필터 등을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송풍부(160)는 필터부(140)의 후방에 배치되고, 송풍팬(161)이 내장된 상태로 제공된다. 즉, 송풍부9160)는 외부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송풍팬(161)이 내장되고, 이러한 송풍팬(161)이 외부 공기를 케이스(120)의 내부로 유입시켜 이 유입된 공기를 각각의 필터에 통과시키면서 청정 여과한 후 가습부9180)를 통해 가습한 후 실내 공간으로 재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한편, 가습부(180)는 케이스(1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며, 필터부(140)에 의해 청정화된 공기는 송풍부9160)의 송풍팬(161)에 의해 가습부(180)를 통과하여 습공기로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가습부(180)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습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습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umidify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umidify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습부(180)는 일예로서, 수조(182), 물통(184), 가습필터(186), 및 물공급 조절유닛(200)을 포함한다.2 and 3, the
수조(182)는 케이스(120, 도 1 참조)의 내부에 설치되며, 가습필터(186)가 장착된다. 한편, 수조(182)는 가습필터(186)가 물통(184)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함유하도록 장착되는 몸체부(191)와, 몸체부(191)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몸체부(191)에 연결되며 물통(184)이 설치되는 설치부(192)를 구비할 수 있다.The
몸체부(191)는 상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습필터(186)가 장착되는 장착홈(191a)을 구비할 수 있다. 즉 가습필터(186)는 장착홈(191a)에 장착되어 몸체부(191)에 설치된다. 한편, 장착홈(191a)에 가습필터(186)가 장착되는 경우, 가습필터(186)의 상단부는 몸체부(191)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The
또한, 몸체부(191)에는 가습필터(186)가 침지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193)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수위감지센서(193)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고, 수위감지센서(193)에서 감지된 물의 수위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부(191)가 덮개부재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몸체부(191)는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덮개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in which the
설치부(192)는 물통(184)이 장착되는 브라켓트(192a)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브라켓트(192a)에는 물통(184)로부터 유출된 물이 통과하는 유로홀(192b)을 구비할 수 있다.The
한편, 브라켓트(192a)의 하부, 즉 브라켓트(192a)의 바닥면에는 물공급 조절유닛(200)의 구동시 접철되며, 물통(184)으로부터 유출된 물이 물공급 조절유닛(200) 측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192c)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실링부재(192c)는 다수개의 주름을 구비하여 물공급 조절유닛(200)에 의해 상부측으로 펼쳐지도록 설치부(192)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설치부(192)는 물통(184)으로부터 유출되는 물을 몸체부(191)로 안내하는 경사면(192d)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물통(184)으로부터 유출되는 물은 브라켓트(192a)의 유로홀(192b)를 통과하여 경사면(192d)으로 흘러 몸체부(191)로 공급된다. 몸체부(191)로 유입된 물은 몸체부(191)의 장착홈(191a)에 수용된다.In addition, the
물통(184)은 내부에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내부에 저장되는 물이 토출되는 토출구(184a)를 구비할 수 있다. 토출구(184a)에는 물공급 조절유닛(200)에 의해 승강되는 개폐부재(184b)를 구비할 수 있다.The
개폐부재(184b)는 승강되어 토출홀(184c)을 개폐하며, 개폐부재(184b)에는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184d)이 장착될 수 있다. 즉, 물공급 조절유닛(200)에 의해 개폐부재(184b)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토출홀(184c)을 개방한 후, 물공급 조절유닛(200)에 의해 개폐부재(184b)가 가압되지 못하게 되면 스프 링(184d)에 의한 복원력으로 인하여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폐부재(184b)는 다시 토출홀(184c)를 폐쇄시킨다.The opening and closing
한편 물통(184)은 가습형 공기 청정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에 해당하는 것으로,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구성에 해당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가습필터(186)는 육면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물이 흡수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가습필터(186)는 몸체부(191)의 장착홈(191a)에 장착되며, 상부측은 몸체부(191)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하부측은 수조(182)의 내부에 수용되는 물에 침지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가습필터(186)는 공기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어 가습필터(186)를 통과하는 공기에 가습을 한다.In addition, the
물공급 조절유닛(200)은 물통(184)에 구비되는 개폐부재(184b)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물통(184)으로부터 수조(182)로의 물공급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즉, 물공급 조절유닛(200)은 구동원(202), 동력전달부재(204), 및 승강부재(206)를 구비할 수 있다.The water
구동원(202)는 실링부재(192c)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부(192)에 설치되어 물통(184)에 구비되는 개폐부재(184b)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구동원(202)은 스태핑모터일 수 있다.The driving
동력전달부재(204)는 구동원(202)에 설치되어 구동원(202)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동력전달부재(204)는 피니언기어일 수 있 다.The
한편, 승강부재(206)는 구동원(202)에 연결된 동력전달부재(204)에 결합되어 승강되며, 개폐부재(184b)를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즉, 승강부재(206)는 상승하여 개폐부재(184b)의 일측을 가압하여 개폐부재(184b)를 상승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elevating
즉, 승강부재(206)는 구동원(202)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 승강되도록 일측에 동력전달부재(204)에 결합되는 렉기어(206a)를 구비할 수 있다.That is, the elevating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물공급 조절유닛(200)이 구동원(202), 동력전달부재(204), 및 승강부재(206)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공급 조절유닛(200)은 실린더와 로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즉, 물공급 조절유닛(200)은 물통(184)의 개폐부재(184b)를 승강시킬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채용 가능할 것이다.That is, the water
또한, 구동원(202)은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수위감지센서(193)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구동원(202)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이에 따라, 수조(182)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구동원(202)이 구동되어 물통(184)로부터 물이 유출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능만으로 공기청정기(100)가 구동되는 경우, 제어부는 구동원(202)을 정지한 상태로 유지시켜 물통(184)으로부터 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Accordingly, the driving
상기한 바와 같이, 물공급 조절유닛(200)을 통해 물통(184)으로부터 유출되어 가습필터(186)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어, 공기 청정기(100)가 가습기능으로 구동되도록 하거나 공기 청정기능만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flowing out of the
즉, 가습기능으로 공기 청정기(100)가 구동되는 경우 제어부는 물통(184)으로부터 물이 유출되도록 하여 가습필터(186)가 수분을 함유하도록 하고, 공기 청정기능만으로 공기 청정기(100)가 구동되는 경우 제어부는 물통(184)으로부터 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가습필터(186)가 수분을 함유하지 않도록 하여 공기 청정기(100)의 기능을 가변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air purifier 100 is driven by the humidification function, the controller causes the water to flow out of the
또한, 제어부는 물공급 조절유닛(200)의 구동원(202)을 제어하여 가습필터(186)의 끝단부만이 물에 침지되도록 하여 기능 가변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가습필터(186)가 침지되는 영역을 최소화 함으로써 공기 청정기능만으로 공기 청정기(100)가 구동되는 경우 가습필터(186)에 함유된 물이 사용된 후 더 이상 물이 가습필터(186)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게 기능 가변이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 가변식 공기 청정기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variabl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기능 가변식 공기 청정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4 is an ope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variabl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수위감지센서(193)으로부터 감지된 수위에 따라 제어부는 물공급 조절유닛(200)의 구동원(202)를 구동시킨다. 구동원(202)의 구동에 따라 승강부재(206)은 상승한다. 이때 수조(182)의 설치부(192)에 구비되는 실링부재(192c)는 상부측으로 펼쳐진다.Referring to FIG. 4, first, the controller drives the driving
이후 승강부재(206)의 상승에 의해 물통(184)의 개폐부재(184b)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승되어 토출구(184a)의 토출홀(184c)을 개방시킨다.Then, the opening and closing
이에 따라, 물통(184)의 내부에 저장되는 물은 물통(184)으로부터 유출된다. 물통(184)으로부터 유출된 물은 유로홀(192b)을 통과하여 경사면(192d)으로 흐른다. 이후 물통(184)으로부터 유출된 물은 수조(182)의 몸체부(192)로 유입되고, 이에 따라 가습필터(186)에 물이 공급된다.Accordingly, water stored in the
한편, 가습필터(186)의 끝단부가 물에 침지되면, 제어부는 구동원(202)을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승강부재(206)가 하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스프링(184d)이 연결된 개폐부재(184b)가 하강하여 토출홀(184c)이 폐쇄되고, 결국 더 이상 가습필터(186)로 물이 공급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nd of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물공급 조절유닛(200)을 통해 가습필터(186)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공기 청정기(100)가 가습기능으로 구동되도록 하거나 공기 청정기능만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 가변식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nction-variabl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습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umidify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습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umidify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 가변식 공기 청정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4 is an ope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variabl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기능 가변식 공기 청정기100: function variable air purifier
120 : 케이스120: case
140 : 필터부140: filter unit
160 : 송풍부160: blower
180 : 가습부180: humidifier
182 : 수조182: tank
184 : 물통184: bucket
186 : 가습필터186: Humidification Filter
200 : 물공급 조절유닛200: water supply control unit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8857A KR20110001355A (en) | 2009-06-30 | 2009-06-30 | Function variable air purif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8857A KR20110001355A (en) | 2009-06-30 | 2009-06-30 | Function variable air purifi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1355A true KR20110001355A (en) | 2011-01-06 |
Family
ID=43609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8857A Withdrawn KR20110001355A (en) | 2009-06-30 | 2009-06-30 | Function variable air purifi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01355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2149B1 (en) * | 2019-10-23 | 2021-04-20 | 국토건설(주) | Management System of Air In The Room |
CN115362335A (en) * | 2020-03-27 | 2022-11-18 | 科唯怡株式会社 | Humidifier |
-
2009
- 2009-06-30 KR KR1020090058857A patent/KR20110001355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2149B1 (en) * | 2019-10-23 | 2021-04-20 | 국토건설(주) | Management System of Air In The Room |
CN115362335A (en) * | 2020-03-27 | 2022-11-18 | 科唯怡株式会社 | Humidifi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8441B1 (en) | Air cleaning and humidification unit | |
KR102242771B1 (en) | Window type Air cleaner | |
KR102256209B1 (en) | Appratus of purifying of indoor air | |
KR20210120518A (en) | Humidifier | |
JP2008064429A (en) | Humidifier and air cleaner with it | |
KR100908464B1 (en) | Indoor air purifier | |
KR102139547B1 (en) | Movable air cleaner with function for generating negative pressure | |
JP2008064429A5 (en) | ||
KR20180065355A (en) | Air cleaner with humidification | |
KR101765663B1 (en) | Aircleaner and controll method for the same | |
CN114413370B (en) | Air Purifier | |
KR101321602B1 (en) | Wet Typer of Apparatus for Filtering with Function of Cleaning, Air Freshener,Sterilization and Humidification | |
KR20170131734A (en) | Air washer | |
KR20160090222A (en) | Air washer of portable type | |
KR20110001355A (en) | Function variable air purifier | |
JP2010243006A (en) | Humidifier | |
KR102575925B1 (en) | Humidification air purifier | |
KR20110041692A (en) | air cleaner | |
CN114173909B (en) | Self-starting purification device based on environmental change | |
KR100558273B1 (en) | Natural Humidification System and Natural Humidification Type Air Purifier | |
KR101876225B1 (en) | Aircleaner | |
JP4630703B2 (en) | Air cleaner | |
KR20090116439A (en) | Natural Humidification Air Purifier | |
KR102474775B1 (en) | Air washer | |
KR101631221B1 (en) | Air cleaner having partition wall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