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10000467A - 침전물 정화용 수문이 형성된 댐 구조 - Google Patents

침전물 정화용 수문이 형성된 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467A
KR20110000467A KR1020090057967A KR20090057967A KR20110000467A KR 20110000467 A KR20110000467 A KR 20110000467A KR 1020090057967 A KR1020090057967 A KR 1020090057967A KR 20090057967 A KR20090057967 A KR 20090057967A KR 20110000467 A KR20110000467 A KR 20110000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
outlet
water
sedimen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환기
Original Assignee
정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환기 filed Critical 정환기
Priority to KR1020090057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0467A/ko
Publication of KR20110000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4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2Equipment preventing vibration o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전물 정화용 수문이 형성된 댐 구조에 관한것으로 상세하게는 댐의 하단에 침전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의 입구측에 배출구 개폐부를 설치하며, 상기 배출구의 출구측에 파쇄부가 설치되며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낙수부가 상기 댐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낙수부의 일측에 다수의 돌망태부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침전물 정화용 수문이 형성된 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댐, 침전물, 배출구, 파쇄, 정화, 부패

Description

침전물 정화용 수문이 형성된 댐 구조{Dam construction to formation consist of floodgate for sediment purification}
본 발명은 침전물 정화용 수문이 형성된 댐 구조에 관한것으로 상세하게는 댐의 하단에 침전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의 입구측에 배출구 개폐부를 설치하며, 상기 배출구의 출구측에 파쇄부가 설치되며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낙수부가 상기 댐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낙수부의 일측에 다수의 돌망태부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침전물 정화용 수문이 형성된 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댐은 물의 유동이 많은 강 또는 바다 등에 설치되어 조력발전을 위해 바다속에 설치되거나 바닷물의 유입을 막기 위해 강의 하류에 설치되어지기도 하며, 상의 중류나 상류에 설치되어 강의 물을 막아 하류의 물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가뭄이 일때는 물을 방류하여 가뭄의 피해를 줄이는 역활을 하며, 부가적으로 물이 낙하하는 힘을 이용해 발전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댐은 강의 상류나 중류에 가장 많이 설치되어지는데 이러한 댐은 강을 가로질러 막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여 물이 방류되어지는 방류로와, 상기 방류로의 입구 또는 배출구에 설치되어 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수문과, 상기 방류로에서 토출되어지는 물이 낙하되어 부딪히는 낙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댐의 방류로를 통해 물이 방류되면 강의 상류에서 물에 포함되어 이동되어지는 토사와 자갈등 및 오염을 발생시키는 이물질 등이 댐의 하단부에 쌓이게 되는데 이는 오랜시간이 지나면 부패하며 수질 오염을 일으키게 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댐의 하측에 침전물이 토출되어지는 배출구를 설치하고, 배출구 개폐부를 설치하여 필요시에 배출구를 개방하여 침전물을 배출하며, 상기 배출구의 출구측에 파쇄부를 설치하여 침천물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면 파쇄부에서 파쇄되어 흘러가도록 구성되는 침전물 정화용 수문이 형성된 댐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댐의 하단에 침전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의 입구측에 배출구 개폐부를 설치하며, 상기 배출구의 출구측에 파쇄부가 설치되며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낙수부가 상기 댐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낙수부의 일측에 다수의 돌망태부가 설치되어 구성되어진다.
본 발명은 댐의 하측에 침전물이 토출되어지는 배출구를 설치하고, 배출구 개폐부를 설치하여 필요시에 배출구를 개방하여 침전물을 배출하므로 오랜시간 침전되는 침전물을 부패하기 전에 배출시킬 수 있으며, 배출구 출구측에 파쇄부를 설치하여 배출구로 배출되어지는 침전물이 파쇄되어 부패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물이 흐르는 곳에 설치되어지는 댐에 있어서, 다수개의 방류로(1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방류로(11)에 설치되어 전동장치(17)로 구동되어지는 수문(12)이 흐르는 물을 차단하여 물의 유동량을 조절하며, 하단에 다수의 배출구(13)가 형성되어 하측에 쌓이는 침전물을 배출시키며, 상기 배출구(13)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13)를 개폐하는 배출구 개폐부(14)로 이루어지는 댐(10)과;
상기 댐(10)의 방류로(11) 출구측에 설치되며, 방류로(11)에서 방출되어지는 물이 낙하되어지며, 일측에 물의 유속을 감속시키는 돌출부(22)가 형성된 낙수부(20)와;
상기 낙수부(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낙수부(20)의 일측에 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돌망태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낙수부(20)에는 상기 댐(10)의 배출구(13) 출구측에서 토출되어지는 침전물이 부딪혀 파쇄되어지는 파쇄부(21)가 상기 댐(10)의 배출구(13) 출구측에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댐(10)의 수문(12)에는 양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탄성체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댐퍼(15)가 결합되어 상기 댐의 양측벽에 형성된 가이드부와 수문(12) 간에 개재되며, 상기 수문(12)의 하단과 상기 댐(10)의 방류로(11) 간에 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방수부(16)가 설치되어진다.
즉,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개의 방류로(11)가 형성되고, 상기 방류로(11)의 입구에 유량 조절용 수문(12)이 설치되어지는 댐(10)의 하단에 배출구(13)가 형성되어 댐의 타측 하단에 침전되어지는 침전물을 하류로 배출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13)의 입구측에 배출구 개폐부(14)가 설치되어 침전물이 침전되어 쌓이게 되면 상기 배출구 개폐부(14)를 개방하여 침전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댐(10)의 일측에는 방류로(11)를 통해 배출되어지는 물이 낙하되어지는 낙수부(20)가 설치되고, 상기 낙수부(20)의 일측단에 상측으로 돌출되어진 돌출부(22)가 형성되어 물의 유속을 저하시키게 되며, 상기 낙수부(20)의 일측에 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돌망태부(30)가 다수 설치되어 상기 낙수부(20)의 돌출부(22)로 인해 유속이 감속되는 물이 낙하될 때 지면이 파이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낙수부(20)는 콘크리트판이 낙수부(20) 바닥면 전체에 형성되어 상기 방류로(11)에서 낙하되는 물로 인한 지면의 파손을 방지하며, 상기 돌망태부(30)의 하단에 콘크리트판이 형성되어 상기 돌망태부(30)의 지면이 파손되어 돌망태부(30)가 유동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댐(10)의 배출구 출구측에는 상기 낙수부(20) 상에 파쇄부(21)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13)에서 배출되어지는 침전물이 부딪혀 파쇄되고, 이로인해 침전물이 부패되지 않게된다.
그리고, 상기 댐(10)의 방류로(11)에 설치되는 수문의 양측에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댐퍼(15)가 결합되어 댐에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수문(12)이 직접 마찰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수문(12)의 하측면과 접촉되는 댐(10)의 방류로(11) 하측면에 방수부(16)가 결합되어 상기 수문(12)을 닫을 경우 물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전물 정화용 수문이 형성된 댐 구조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물 정화용 수문이 형성된 댐 구조의 배출구 개폐부가 개방된 것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전물 정화용 수문이 형성된 댐 구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물 정화용 수문이 형성된 댐 구조의 댐과 수문의 구조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물 정화용 수문이 형성된 댐 구조의 수문이 차단되어지는 형상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전물 정화용 수문이 형성된 댐 구조의 상류측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댐 20 : 낙수부
30 : 돌망태

Claims (3)

  1. 물이 흐르는 곳에 설치되어지는 댐에 있어서,
    다수개의 방류로(1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방류로(11)에 설치되어 전동장치(17)로 구동되어지는 수문(12)이 흐르는 물을 차단하여 물의 유동량을 조절하며, 하단에 다수의 배출구(13)가 형성되어 하측에 쌓이는 침전물을 배출시며, 상기 배출구(13)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13)를 개폐하는 배출구 개폐부(14)로 이루어지는 댐(10)과;
    상기 댐(10)의 방류로(11) 출구측에 설치되며, 방류로(11)에서 방출되어지는 물이 낙하되어지며, 일측에 물의 유속을 감속시키는 돌출부(22)가 형성된 낙수부(20)와;
    상기 낙수부(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낙수부(20)의 일측에 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돌망태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물 정화용 수문이 형성된 댐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낙수부(20)에는 상기 댐(10)의 배출구(13) 출구측에서 토출되어지는 침전물이 부딪혀 파쇄되어지는 파쇄부(21)가 상기 댐(10)의 배출구(13) 출구측에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물 정화용 수문이 형성된 댐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10)의 수문(12)에는 양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탄성체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댐퍼(15)가 결합되어 상기 댐의 양측벽에 형성된 가이드부와 수문(12) 간에 개재되며, 상기 수문(12)의 하단과 상기 댐(10)의 방류로(11) 간에 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방수부(1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물 정화용 수문이 형성된 댐 구조.
KR1020090057967A 2009-06-26 2009-06-26 침전물 정화용 수문이 형성된 댐 구조 KR201100004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967A KR20110000467A (ko) 2009-06-26 2009-06-26 침전물 정화용 수문이 형성된 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967A KR20110000467A (ko) 2009-06-26 2009-06-26 침전물 정화용 수문이 형성된 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467A true KR20110000467A (ko) 2011-01-03

Family

ID=4360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967A KR20110000467A (ko) 2009-06-26 2009-06-26 침전물 정화용 수문이 형성된 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04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02968A (zh) * 2017-03-14 2017-05-24 长沙理工大学 一种可自动冲砂减淤的弧线型滚水坝及其运行方法
CN110067230A (zh) * 2019-04-16 2019-07-30 中国科学院、水利部成都山地灾害与环境研究所 一种针对粘性泥石流的窗口坝开口参数确定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02968A (zh) * 2017-03-14 2017-05-24 长沙理工大学 一种可自动冲砂减淤的弧线型滚水坝及其运行方法
CN106702968B (zh) * 2017-03-14 2019-05-21 长沙理工大学 一种可自动冲砂减淤的弧线型滚水坝及其运行方法
CN110067230A (zh) * 2019-04-16 2019-07-30 中国科学院、水利部成都山地灾害与环境研究所 一种针对粘性泥石流的窗口坝开口参数确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1796B2 (ja) 無動力逆流防止装置
JP2010530484A (ja) 下水道管路逆流防止装置
KR100780743B1 (ko) 높이차를 가지는 공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일련의사이펀여수로군(群)
JP5420449B2 (ja) 戸溝の堆積物排出方法
KR20110000467A (ko) 침전물 정화용 수문이 형성된 댐 구조
CN204753696U (zh) 山区河道用的取水结构
KR101488685B1 (ko)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KR101577723B1 (ko) 수로 발전장치
JP2008144361A (ja) ダムの水管理装置
CN105178421A (zh) 一种截流井
CN211774443U (zh) 一种水力型截流井
KR100608603B1 (ko) 수중보의 수문 자동 개폐장치
KR101709908B1 (ko) 친환경 다목적 댐
RU2694189C2 (ru) Водозаборное сооружение для приема воды из горных и предгорных рек для малых ГЭС
KR20120040805A (ko) 맨홀의 하수역류 방지장치
KR101359138B1 (ko) 하수관거용 해양 오염방지 장치
CN205012454U (zh) 一种截流井
KR101253650B1 (ko) 무게 추를 이용한 자동수문장치
KR20150088962A (ko) 우수토실의 토사유입방지 및 유량조절장치
KR102036353B1 (ko) 친환경 관로형 생태보
KR101235065B1 (ko)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CN219930883U (zh) 一种具有净化系统的景观溢流堰
JP4049699B2 (ja) 通水管取水口付近の堆積土砂の除去方法及びその除去装置
CN212294839U (zh) 用于多泥沙河流水电工程的取水结构
CN114837120B (zh) 一种兼具引水和纳潮冲淤功能的双闸调控系统及其调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