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5148A - Distribution board - Google Patents
Distribution boar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35148A KR20100135148A KR1020090053639A KR20090053639A KR20100135148A KR 20100135148 A KR20100135148 A KR 20100135148A KR 1020090053639 A KR1020090053639 A KR 1020090053639A KR 20090053639 A KR20090053639 A KR 20090053639A KR 20100135148 A KR20100135148 A KR 201001351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d wire
- meter
- connection
- bus bar
- distribution boar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4 remode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발명은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벽면에 설치되는 함체에 인입선을 도입하고 이 인입선에 분기접속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계량기와 각 계량기에 하나씩 접속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분전반용 차단기를 장착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인입선과 접지되어 전력공급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메인 부스바; 및 상기 메인 부스바에서 각 계량기에 분기 접속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접속 부스바;를 포함하며, 상기한 본 발명은, 메인 부스바 및 접속 부스바를 단품의 형태로 제작하여 전기적 결속작업이 쉽고, 신속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고, 부품의 보관 및 관리가 편리하며, 계량기, 차단기, 인입선 간의 결속 지점이 최대한의 접촉면적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배선에서 허용될 수 있는 전력량 증가 및 전기저항의 감소에 따라 전원의 공급효율을 대폭 향상시키게 되며, 기존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한 화재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고, 결속구조가 견고하기 때문에 접촉불량에 따른 고장 우려를 해소할 수 있고,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렌치 등의 작업도구를 이용해 결선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시공이 매우 편리하며, 결속 작업 후에도, 간단하게 해체할 수 있어, 보수작업이 간편한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ion panel, wherein the distribution board is provided with a lead wire in a housing provided on a wall, and is equipped with one or more meters connected to the lead wire and one or more circuit breakers connected to each meter one by one. A main busbar having a plate shape which is grounded with a lead wire and is supplied with power; And a plate-shaped connection busbar branched to each meter from the main busba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ain busbar and the connection busbar in the form of a single unit, and are easily connected to each other. Can be made, and the storage and management of parts are convenient, and the binding point between the meter, the breaker, and the lead wire has a maximum contact area, so that the power supply can be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power that can be allowed in the wiring and the decrease in electrical resistance. It greatly improves supply efficiency, minimizes the risk of fire caused by heat generated from existing cables, and eliminates the risk of failure due to poor contact due to the solid binding structure, and work tools such as wrenches even in a narrow work space. The wiring work can be carried out using, so the construction is very convenient, and even after the binding work, it can be easily dismantled. Uh, this maintenance work has an easy-to-use effects.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량기, 차단기, 인입선 간의 결속 및 해체가 쉽도록 하고, 계량기, 차단기, 인입선 측의 각 접속지점이 보다 넓은 접촉면적을 갖도록 형성시켜 배선에서 허용될 수 있는 전력량을 증가시키고 전기저항을 감소시키도록 하며, 계량기, 차단기와의 결합지점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ion panel, and more particularly, to facilitate the binding and dismantling between the meter, the breaker, and the lead wire, and to allow each connection point of the meter, the breaker, and the lead wire to have a wider contact area, which can be allowed in the wir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ion panel that allows to increase the amount of power present and to reduce the electrical resistance, and to more firmly support the coupling point of the meter and the breaker.
분전반은 건축물 내부의 배선에서 간선(幹線)으로부터 각 분기회로(分岐回路)로 갈라지는 지점에 주로 설치되며, 각 분기회로마다의 스위치를 설치하여 건축물의 배선점검이나 수리, 개장(改裝) 등을 할 때 목적하는 분기회로, 즉 분기회로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실내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다시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The distribution board is mainly installed at the branching point from the main line to each branch circuit in the wiring inside the building, and switches for each branch circuit are installed to perform wiring inspection, repair, and remodeling of the building. When the desired branch circuit, that is, to cut off or resupply the power of the room that is powered through the branch circuit.
특히, 이와 같은 분전반은 아파트, 연립, 다세대 주택 등에 설치된 경우, 각 세대별로 사용전력량을 표시하도록 한 계량기를 내장하여서 된 형태의 것이 주로 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계량기가 내장된 분전반은 "계량기함"으로 통칭되기도 한다.In particular, when the distribution panel is installed in an apartment, a townhouse, a multi-family house, and the like, a type of built-in meter for displaying the amount of power used for each household is mainly constructed. In this way, a panel with a built-in meter may be referred to as a "meter box".
상기와 같은 분전반은 케이스의 내부에 건축물의 분기회로별 계량기와 차단기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특히, 상기 계량기와 차단기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도 1에서와 같은 배선구성을 갖는다.The distribution panel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have a meter and a breaker for each branch circuit of the building inside the case. In particular, the meter and the breaker have a wiring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1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계량기(1)와 차단기(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선구성은 계량기(1)의 일측에 형성된 단자부(3)와, 차단기(2)의 일측에 형성된 단자부(4)에 케이블(5)의 양단이 접속결합되어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wiring configura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eter 1 and the
이때, 상기 계량기(1)의 단자부(3)는 중공이 형성된 관형의 결합단자(6)가 다수 배열되어 구성되며, 상기 결합단자(6)에는 케이블(5)이 내측으로 끼워진 후 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7)가 결합된다. 또한, 차단기(2)의 단자부(3)는 평판형태로 된 접속단자(8)가 다수 배열되어 구성되며, 이 접속단자(8)에는 케이블(5)이 얹혀진 후 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9)가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terminal portion 3 of the meter 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hollow tubular coupling terminals 6 are arranged, the
따라서, 상기 케이블(5)은 양측의 단자부(3, 4)에 양단이 결합되기 위해 양단의 피복을 일정길이 벗겨내고, 차단기(2) 측 단부에 평판형태의 접속단자(8)와 접속결합되기 위한 러그단자(1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Accordingly,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선구성은 계량기와 차단기가 전용의 배선수단인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배선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을 목적하는 길이로 절단하고, 절단된 케이블에서 양단의 피복을 벗겨낸 후 차단기 측 단부에 러그단자를 결합고정하는 과정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그 과정이 대단히 번거롭고 작업시간의 지연을 초래하게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wiring arrangemen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eter and the break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a cable which is a dedicated wiring means, in order to perform the wiring work, the cable is cut to a desired length, and the covering of both ends of the cut cable is removed. After peeling off, the process of coupling the lug terminal to the end of the breaker must be performed manually by the operator, which is very cumbersome and causes a delay in working time.
또한, 상기 케이블은 주로 가는 심선을 여러 가닥 취합하고 이를 피복에 의해 단일화시킨 구성이기 때문에 관체 형태로 된 결합단자 내에 끼워지면, 원형의 단면을 갖는 전선과 결합단자의 내면이 점점촉되어 전력이 전달되는 면적이 적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에 의한 배선은 케이블의 단위크기 당 허용되는 전력량이 낮을 뿐만 아니라 통전저항이 상승하여 케이블이 쉽게 과열됨에 따른 화재의 위험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노출된다. 뿐만아니라, 상기 여러가닥의 심선은 전술한 볼트에 의해 결합단자 내에서 조여질 경우 심선의 취합된 원형이 일그러지며 볼트에 의한 체결력이 대단히 낮아지게 되며, 케이블과 러그단자도 러그단자를 절곡하여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사소한 외력에 의해 케이블이 계량기에서 이탈되어 접촉불량을 야기시키는 문제점도 발생된다.In addition, since the cable is composed of several strands of thin core wires and is unified by a coating, when the cable is fitted into a tubular coupling terminal, the inner surface of the wire and the coupling terminal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is gradually pressed to transfer power. There is little area. Accordingly, the wiring by the cable is exposed to the problem that the risk of fire as the cable is easily overheat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conduction resistance as well as the amount of power allowed per unit size of the cable is exposed. In addition, the core of the multiple strands are twisted in the combined circle of the core when the screw is tightened in the coupling terminal by the above-described bolt and the tightening force by the bolt is very low, the cable and lug terminals are also bent by coupling the lug terminal Because of this, the cable is separated from the meter by a slight external force, which causes a problem of contact failure.
특히, 상기 전용의 배선수단으로 적용되는 케이블은 다수의 가는 심선을 제작하고, 이를 특정개수로 취합한 후 피복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당히 전문적인 것으로 제작시 작업성, 생산성이 낮으며, 특히 그 제작단가가 높아 분전반의 제작비용도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In particular, the cable applied as the dedicated wiring means is to produce a plurality of thin core wires, and to collect a specific number of them and then to form a coating process is quite professional, workability, productivity is low, especially in the production Due to the high unit cost, the production cost of the panel board also increases.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배선구성은 계량기와 외부전원 인입선을 연결하는 연결구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문제점을 모두 갖게 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wiring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equally applicable to the connection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meter and the external power lead wire, and has all the above problems.
이때, 외부전원 인입선과 메인 케이블이 접지되고, 상기 메인 케이블에서 분기되는 다수의 접지케이블 들이 다수의 계량기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 게 되는데, In this case, the external power lead wire and the main cable are grounded, and a plurality of ground cables branched from the main cabl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meters.
특히, 상기 인입선과 메인 케이블 사이는 "3"자 형상의 클램프를 이용해 결속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의 양측 삽입 홀에는 인입선과 메인 케이블이 각각 끼워진 후, 별도의 압축장비를 이용해 클램프의 벌어진 틈을 강제 압착시켜 결속되도록 하고 있다.In particular, the lead wire and the main cable are bound using a "3" shaped clamp. The lead wire and the main cable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on both sides of the clamp, and then forced compression is performed by using a separate compression device to bind the clamped gap.
이와 같은 인입선 결속에 사용되는 압축장비는 부피가 매우 크기 때문에, 휴대 및 보관이 불편하고, 작업장소가 협소하여 사용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Since the compression equipment used for binding the tugboat is very large in volume, it is inconvenient to carry and stor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use because the work place is narrow.
또한, 인입선과 메인 케이블이 결속된 후에는 이를 해체하거나 보수하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after the lead wire and the main cable are bound, it is difficult to dismantle or repair it.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계량기, 차단기, 인입선 간의 결속 및 해체가 쉽도록 하고, 계량기, 차단기, 인입선 측의 각 접속지점이 보다 넓은 접촉면적을 갖도록 형성시켜 배선에서 허용될 수 있는 전력량을 증가시키고 전기저항을 감소시키도록 하며, 계량기, 차단기와의 결합지점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분전반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o facilitate the binding and dismantling between the meter, breaker, the lead wire, and to form each connection point of the meter, the breaker, the lead wire side to have a larger contact area in the wiring In order to increase the allowable amount of power and to reduce the electrical resistance, and to provide a distribution panel that can be more firmly fixed support point of the meter and breaker.
또한, 본 발명은 분전반의 계량기, 차단기, 인입선 측 각 결속구조를 간단하게 제작함으로써,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분전반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tribution panel to improve the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by simply manufacturing each of the binding structure of the meter, the breaker, the lead line side of the distribution panel.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분전반은, 벽면에 설치되는 함체에 인입선을 도입하고 이 인입선에 분기접속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계량기와 각 계량기에 하나씩 접속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분전반용 차단기를 장착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인입선과 접지되어 전력공급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메인 부스바; 및 상기 메인 부스바에서 각 계량기에 분기 접속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접속 부스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tribution pane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one or a plurality of meters connected to each of the meters and one or a plurality of meters connected to the lead wires introduced into the enclosure installed on the wall and branched to the lead wires In the distribution panel, the main bus bar of the plate shape is grounded with the lead wire and is supplied with power; And a plate-shaped connection bus bar branched to each meter in the main bus bar.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분전반은, 벽면에 설치되는 함체에 인입선을 도입하고 이 인입선에 분기접속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계량기와 각 계량기에 하나씩 접속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분전반용 차단기를 장착하는 분전반에 있 어서, 상기 인입선과 접지되어 전력공급되는 메인 부스바; 상기 메인 부스바에서 각 계량기에 분기 접속되는 접속 부스바; 및 상기 인입선과 메인 부스바를 착탈 가능한 상태로 전기적 접속하는 인입선 체결수단;을 포함한다.The distribution pane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one or a plurality of meters connected to each of the meters and one or a plurality of meters connected to the lead wires introduced into the enclosure installed on the wall and branched to the lead wires In the distribution panel, the main bus bar which is grounded with the lead wire and is supplied with power; A connection bus bar branched to each meter from the main bus bar; And a lead wire fastening mean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lead wire and the main busbar in a detachable state.
여기서, 상기 메인 부스바는, 플레이트(plate) 형태의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연결본체; 상기 연결본체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인입선의 외면을 감싸는 곡면형태의 제1접속부; 및 상기 연결본체의 타측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접속 부스바가 결속되는 체결홀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2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main busbar, the connection body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in the form of a plate (plate); A first connection part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body and having a curved shape surrounding an outer surface of the lead wire;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having a plate shape to form a fastening hole in which one or a plurality of connection busbars ar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body.
그리고, 상기 접속 부스바는, 플레이트 형태의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몸체; 상기 연결본체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계량기의 결합단자에 끼워져 접속결합되기 위해 결합단자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곡면형태로 제작된 제3접속부; 및 상기 연결본체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메인 부스바의 제2접속부 및 차단기의 접속단자와 대면접촉되어 결합되기 위한 체결홀을 형성하는 플레레이트 형태의 제4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busbar may include a body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in the form of a plate; A third connection part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body and manufactured in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terminal to be connected to the coupling terminal of the meter; And a fourth connect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body and forming a fastening hole for engaging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of the main busbar and the connecting terminal of the breaker. .
또한, 상기 인입선 체결수단은, 스크류부재; 상기 스크류부재가 나사결합되어 상하 방향 이송되는 스크류 결합부; 상기 스크류 결합부 하측에 인입선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중공부; 및 상기 중공부 하단에 연장되어 메인 부스바의 제2접속부의 양측 날개를 결합하는 날개 결합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lead wire fastening means, a screw member; A screw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screw member is screwed and conveyed in a vertical direction; A hollow portion formed to penetrate a lead line under the screw coupling portion; And a wing coupling portion extending at a lower end of the hollow portion to couple both wings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of the main bus bar.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 부스바 및 접속 부스바를 단품의 형태로 제작하여 전기적 결속작업이 쉽고, 신속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고, 부품의 보관 및 관리가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king the main busbar and the connection busbar in the form of a single piece, easy electrical binding work, quick construction, and convenient storage and management of parts.
또한, 본 발명은 계량기, 차단기, 인입선 간의 결속 지점이 최대한의 접촉면적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배선에서 허용될 수 있는 전력량 증가 및 전기저항의 감소에 따라 전원의 공급효율을 대폭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the binding point between the meter, the breaker, the lead wire has the maximum contact area has the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power supply efficiency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power that can be allowed in the wiring and the decrease in electrical resistance. .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한 화재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결속구조가 견고하기 때문에 접촉불량에 따른 고장 우려를 해소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risk of fire due to heat generated in the existing cable, and because the binding structure is solid, there is an effect of eliminating the fear of failure due to poor contact.
또한, 본 발명은 메인 부스바 및 접속 부스바를 단품 형태로 프레스 가공에 의해 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어, 제작과정의 작업성 및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the main busbar and the connection busbar in the form of a single product more simply by press working,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은 메인 부스바와 인입선 간의 결속을 착탈 결합이 간편한 인입선 체결수단을 이용함으로써,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렌치 등의 작업도구를 이용해 결선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시공이 매우 편리하며, 결속 작업 후에도, 간단하게 해체할 수 있어, 보수작업이 간편한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wire fastening means tha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 binding between the main busbar and the lead wire, the connection can be performed using a work tool such as a wrench even in a narrow work space, construction is very convenient, binding work Afterwards, it can be easily dismantled, and the maintenance work is eas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distributio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은 벽면에 설치되는 함체(110)에 인입선(120)이 도입되고, 상기 인입선(120)에 분기접속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계량기(130)와 각 계량기(130)에 하나씩 접속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분전반용 차단기(140)를 장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n the distributio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a
여기서, 상기 인입선(120)은 플레이트 형상의 메인 부스바(150)와 접지되어 분전반 내에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의 요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structure of the distributio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메인 부스바(150)는, 플레이트(plate) 형태의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연결본체(151)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본체(151)의 일측 단부에 인입선(120)의 외면을 감싸는 곡면형태의 제1접속부(153)를 형성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그리고, 상기 연결본체(151)의 타측으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접속 부스바(160)가 결속되는 다수의 체결홀(157)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2접속부(155)를 형성한다.On the other side of the
여기서, 상기 메인 부스바(150)의 제2접속부(155)는 다수의 접속 부스바(160)을 연결시켜 각 계량기(130)에 전기적으로 분기 접속되도록 한다.Here, the
상기 접속 부스바(160)는, 플레이트 형태의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몸체(161)와, 상기 연결본체(16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계량기(130)의 결합단자(131)에 끼워져 접속결합되기 위해 결합단자(131)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곡면형태로 제작된 제3접속부(163)와, 상기 연결본체(161)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메인 부스바(150)의 제2접속부(155) 및 차단기(140)의 접속단자(141)와 대면접촉되어 결합되기 위한 체결홀(167)을 형성하는 플레레이트 형태의 제4접속부(165)를 형성한다.The
이와 같은 접속 부스바(160)는 도 2에서와 같이 계량기(130)의 입출력 양측단에 대향 구조를 갖도록 결합될 수 있고, 이때, 접속 부스바(160)의 제4접속부(165)는 각각 메인 부스바(150)의 제2접속부(155) 및 차단기(140)의 접속단자(141)와 대면접촉되도록 결합된다.As shown in FIG. 2, the
이때, 상기 제4접속부(165)에는 체결홀(167)이 형성되어 있고, 이를 이용해 나사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나사 결합을 위해서는 도 3에서와 같은 별도의 나사부재(S)를 이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ourth connecting
물론, 상기 나사부재(S)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차단기(140)의 접속단자(141)와 메인 부스바(150)의 제2접속부(155)에도 이에 대응하는 체결홀(157)이 형성되도록 한다.Of course, in order to fasten the screw member (S), the
이때, 상기 체결홀(157)은 차단기(140) 측과의 결합되는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슬릿(slit)형태의 장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상기한 본 발명의 접속 부스바(160)는 제3접속부(163)와 제4접속부(165) 사이를 피복 코팅시켜, 누전 및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플레이트 형태의 두께와 너비를 분전반의 계량기(130) 및 차단기(140)의 정격용량에 맞추어 설계되도록 한다.The
그리고, 상기 메인 부스바(150)의 제1접속부(153)은 인입선 체결수단(170)을 이용해 인입선(120) 측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결속된다.In addition,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입선 체결수단의 결속구조를 도시한 종방향 요부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입선 체결수단의 결속구조를 도시한 횡방향 요부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입선 체결수단의 결속구조를 도시한 종방향 요부단면도.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inding structure of the lead-in fasten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recess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inding structure of the lead-in fasten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Longitudinal mai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inding structure of the lead-in fastening means according to.
상기 인입선 체결수단(170)은 스크류부재(171)와, 상기 스크류부재(171)가 나사결합되어 상하 방향 이송되는 스크류 결합부(173)와, 상기 스크류 결합부(173) 하측에 인입선(120)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중공부(175)와, 상기 중공부(175) 하단에 연장되어 메인 부스바(150)의 제2접속부(155)의 양측 날개(156)를 결합하는 날개 결합부(177)로 구성된다.The lead wire fastening means 170 is a
이때, 상기 스크류부재(171)의 상단에는 볼트 머리 또는 나사홈, 렌치홈 등이 형성되도록 하여 작업공구를 이용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a bolt head or a screw groove, a wrench groove, or the lik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인입선 체결수단(170)은 도4,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인 부스바(160)의 제2접속부(155) 상단에 인입선(120)이 거치되도록 한다.The lead wire fastening means 17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llows the
이때, 상기 인입선(120)은 제2접속부(155)와 접지되는 영역의 피복이 벗겨진 상태이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인입선 체결수단(170)은 날개 결합부(177)의 사이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서, 인입선(120)과 제2접속부(155)를 차례로 감싸도록 결합하게 된 다.In addition, the lead wire fastening means 170 is coupled to the
이때, 날개 결합부(177) 사이의 이격 거리는 인입선(120)의 피복이 벗겨진 영역보다 넓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제2접속부(155)의 넓이가 날개 결합부(177)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넓어야 하는데, 결합시에는 인입선 체결수단(170)을 일측으로 기울여 일측의 날개 결합부(177)를 측면방항으로 먼저 결합한 후, 반대측 날개 결합부(177)의 자리를 잡아 수직방향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스크류부재(171)를 회전시켜 인입선(120)이 압착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상기 인입선 체결수단(170)은 메인 부스바(150)와 인입선(120)을 스크류부재(171)의 조임력을 이용해 전기적으로 결속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lead wire fastening means 170 serves to electrically bind the
상기한 본 발명은 메인 부스바(150)와 인입선(120) 간의 결속을 착탈 결합이 간편한 인입선 체결수단(170)을 이용함으로써,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렌치 등의 작업도구를 이용해 결선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시공이 매우 편리하며, 결속 작업 후에도, 간단하게 해체할 수 있어, 보수작업이 매우 편리한 이점을 갖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performed by using a work tool such as a wrench even in a narrow working space by using a fastening line fastening means 170 tha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 binding between the
또한, 본 발명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입선 체결수단(17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는 경우, 양측단에서 각각 직경을 달리하는 서로 다른 인입선(120)을 결속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forming the length of the lead wire fastening means 170 as shown in Figure 6, it is possible to bind different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 부스바(150) 및 접속 부스바(160)를 단품의 형태로 제작하여 전기적 결속작업이 쉽고, 신속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고, 부품의 보관 및 관리가 편리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은 계량기(130), 차단기(140), 인입선(120) 간의 결속 지점이 최대한의 접촉면적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배선에서 허용될 수 있는 전력량 증가 및 전기저항의 감소에 따라 전원의 공급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기존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한 화재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결속구조가 견고하기 때문에 접촉불량에 따른 고장 우려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the binding point between the
도 1은 종래 분전반에서의 계량기와 차단기의 결선구조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ing structure of a meter and a breaker in a conventional distribution pane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distributio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의 요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structure of the distributio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입선 체결수단의 결속구조를 도시한 종방향 요부단면도.Figure 4 is a longitudinal mai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inding structure of the lead-in fasten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입선 체결수단의 결속구조를 도시한 횡방향 요부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howing the binding structure of the lead wire fasten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입선 체결수단의 결속구조를 도시한 종방향 요부단면도.Figure 6 is a longitudinal mai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inding structure of the lead-in fasten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함체 120: 인입선110: enclosure 120: incoming ship
130: 계량기 131: 결합단자130: meter 131: coupling terminal
140: 차단기 141: 접속단자140: breaker 141: connection terminal
150: 메인 부스바 151: 연결본체150: main busbar 151: connection body
153: 제1접속부 155: 제2접속부153: first connection portion 155: second connection portion
156: 날개 157: 체결홀156: wing 157: fastening hole
160: 접속 부스바 161: 몸체160: connection busbar 161: body
163: 제3접속부 165: 제4접속부163: third connection portion 165: fourth connection portion
167: 체결홀 170: 인입선 체결수단167: fastening hole 170: lead-in fastening means
171: 스크류부재 173: 스크류 결합부171: screw member 173: screw coupling portion
175: 중공부 177: 날개 결합부175: hollow portion 177: wing coupling portion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3639A KR101090558B1 (en) | 2009-06-16 | 2009-06-16 | distributing boar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3639A KR101090558B1 (en) | 2009-06-16 | 2009-06-16 | distributing boar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5148A true KR20100135148A (en) | 2010-12-24 |
KR101090558B1 KR101090558B1 (en) | 2011-12-08 |
Family
ID=43509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3639A KR101090558B1 (en) | 2009-06-16 | 2009-06-16 | distributing boar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9055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936970A (en) * | 2021-10-25 | 2022-01-14 | 威尔朗电气有限公司 | Intelligent circuit breaker |
KR102466746B1 (en) * | 2022-06-02 | 2022-11-16 | 주식회사 이천 | Clamp for connecting boothba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8171A (en) | 2017-09-08 | 2019-03-18 | (주)토즈테크 | Power distribution box equipped with leakage resistance type current detecto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6884B1 (en) * | 2004-07-16 | 2006-09-20 | 강재석 | Electricity meter box |
KR100779233B1 (en) * | 2007-06-07 | 2007-12-05 | 주식회사 대홍전기 | Distribution board |
-
2009
- 2009-06-16 KR KR1020090053639A patent/KR101090558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936970A (en) * | 2021-10-25 | 2022-01-14 | 威尔朗电气有限公司 | Intelligent circuit breaker |
CN113936970B (en) * | 2021-10-25 | 2024-04-05 | 威尔朗电气有限公司 | Intelligent circuit breaker |
KR102466746B1 (en) * | 2022-06-02 | 2022-11-16 | 주식회사 이천 | Clamp for connecting boothba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90558B1 (en) | 2011-1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605072A1 (en) | Four-way jumper/half block | |
US9553225B2 (en) | Tapered trunking system with distributed combiner | |
US6747864B2 (en) | Distribution board with uninterruptible socket terminal block | |
JP5274693B1 (en) | Power cable connector | |
CN101950936A (en) | Dense plug-pull bus system | |
KR101090558B1 (en) | distributing board | |
KR102745864B1 (en) | A electric assemble t3erminal block | |
US20150280439A1 (en) | Apparatus for grounding interconnected electrical components and assemblies | |
CN109616989B (en) | Branch box on post | |
KR101239742B1 (en) | Busbars connecting apparatus for apartment house of switchboard | |
CN110661221A (en) | Rail type tail-end bus trunk body | |
KR20100002055A (en) | Terminal block for electric watt meter box | |
US20140027143A1 (en) | Electrical Box Insert Device | |
KR100594909B1 (en) | Connection device for parking switchgear for bus and switchboard | |
CN201352602Y (en) | Unit for wiring bus bar | |
US20140148065A1 (en) | Grounding apparatus and grounding systems including the same for meter enclosure mounting | |
KR101732375B1 (en) | Divergence System for Busway | |
US10326263B2 (en) | Electrical unit adapted to quick install an electrical outlet, breaker box without direct attachment of electrical cables | |
CN104600466A (en) | Hexagonal cable connector | |
CN204696269U (en) | Binding post | |
JP2015119591A (en) | Distribution board | |
CN110380298A (en) | A kind of small bus collection line | |
KR101292216B1 (en) | Wiring equipment of meter and circuit breaker | |
KR101083078B1 (en) | Meter Connection | |
KR101116369B1 (en) | Connecting apparatus of sleeve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