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00135703A - Wrinkle inhibiting composition and external skin composition - Google Patents

Wrinkle inhibiting composition and external skin compos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5703A
KR20100135703A KR1020107014546A KR20107014546A KR20100135703A KR 20100135703 A KR20100135703 A KR 20100135703A KR 1020107014546 A KR1020107014546 A KR 1020107014546A KR 20107014546 A KR20107014546 A KR 20107014546A KR 20100135703 A KR20100135703 A KR 20100135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wrinkle
human skin
fulle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45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부히코 미와
히사에 아오시마
Original Assignee
자이단호우진 히로시마 산교우신코우키코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이단호우진 히로시마 산교우신코우키코우 filed Critical 자이단호우진 히로시마 산교우신코우키코우
Publication of KR20100135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7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주름 억제능을 갖는 풀러렌류를 이용한 신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주름 억제용 조성물은 풀러렌류를 스쿠알란류에 용해시킨 유용상 풀러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에 의해 인간 피부 각화 세포에서의 과산화지질에 의한 DNA 2개의 쇄 절단을 방어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vel composition using fullerenes having a high anti-wrinkle ability. The anti-wrinkl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ntaining a useful phase fullerene in which fullerenes are dissolved in squalane. The composition protects two chain breaks of DNA by lipid peroxide in human skin keratinocytes.

Figure P1020107014546
Figure P1020107014546

Description

주름 억제용 조성물과 피부 외용 조성물{ANTI-WRINKLE COMPOSITION AND EXTERNAL SKIN COMPOSITION} Wrinkle inhibiting composition and skin external composition {ANTI-WRINKLE COMPOSITION AND EXTERNAL SK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주름 억제용 조성물과 피부 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wrinkles and a composition for external skin.

피부 외용 조성물로는 크림, 유액, 화장수, 오일 등 각종 제형이 있지만, 어느 제형의 것에 있어서도 자외선 방어를 목적으로서 자외선 흡수제나 자외선 산란제가 배합되어 있다. The external skin composition includes various formulations such as creams, emulsions, lotions, and oils, but UV-absorbers and UV-scattering agents are blended in any of the formulations for the purpose of UV protection.

한편, 최근에는 나노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화장품의 개발이 성행하고 있지만, 이 중 C60, C70 등의 풀러렌류를 함유하는 화장품은 각종의 미기(美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풀러렌을 유분에 용해시켜 얻어진 화장품이 자외선 흡수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탄소 연소 잔사의 초미립자로서의 풀러렌을 스쿠알란에 부유 분산시킨 것이 건강 증진 효과를 나타내는 것도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of cosmetics using nanotechnology is prevalent, but among these, cosmetics containing fullerenes such as C 60 and C 70 are known to exhibit various microscopic effects.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escribes that a cosmetic product obtained by dissolving fullerene in oil has an ultraviolet absorbing effect. Patent Document 2 also discloses that the dispersion of fullerenes as ultrafine particles of carbon-burned residues in squalane shows a health promoting effect.

또한, 물에 난용인 풀러렌을 가용화하는 기술도 개발되어 있고(특허문헌 3 참조), 화장품 등의 피부 외용 조성물에의 응용도 실용화되어 있다. Moreover, the technique which solubilizes fullerene which is sparingly soluble in water is also developed (refer patent document 3), and the application to external skin compositions, such as cosmetics, is also utilized.

또한, 풀러렌류는 활성 산소의 소거 능력을 갖는 것으로서 주목받고 있고, 외용 도포에의 안전성도 기대할 수 있는 점에서, 프리라디칼 질환 예방 등에 사용되는 풀러렌류 함유의 피부 외용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4 참조). In addition, fulleren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having an ability of scavenging active oxygen, and safety in external application can also be expected, and a fullerene-containing skin external composition used for the prevention of free radical disease has been proposed (patent document). 4).

일본 특허 공개 평 09-278625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09-278625 일본 특허 공개 2001-316251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316251 일본 특허 공개 2005-060380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5-060380 일본 특허 공개 2006-160664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6-160664

이상과 같이, 풀러렌류는 화장품 등의 피부 외용 조성물에의 각종의 응용이 기대되고 있지만, 그 기능이나 작용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미지인 것으로 예상되어 풀러렌류의 응용을 위한 개발은 아직 발전 단계에 있다고 말해도 좋다. As mentioned above, fullerenes are expected to be applied to various external skin compositions such as cosmetics, but most of the functions and actions are expected to be unknown, and development for application of fullerenes is still in development stage. good.

이와 같은 배경에 있어서, 본 발명자는 피부에의 적용에서의 피부 세포에의 작용에 대해서 상세한 검토를 진행시켜 왔다. 이 검토에 임한 과제 중 하나가 「주름의 억제」였다. Against this background,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detailed studies on the effect on skin cells in application to the skin. One of the problems which faced this examination was "the suppression of wrinkles".

그렇게 말하는 것도 종래부터 「주름의 억제」의 작용을 보다 유효하게 발휘시키는 기술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This is also because the development of a technique for more effectively exerting the effect of "suppression of wrinkles" has been expected in the past.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높은 주름 억제능을 갖는 풀러렌류를 사용한 새로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makes it a subject to provide the new composition using the fullerene which has a high wrinkle suppression ability.

본 발명은 「주름」 형성의 기서에 관한 본 발명자에 의한 인간 피부 재구성 조직에서의 상세한 검증과 이것을 근거로 한 「주름 억제」를 위한 수단의 탐색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어진 완전히 새로운 지견에 근거해서 인도되어 완성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guided on the basis of completely new knowledge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detailed verification by the inventors on the basis of the formation of "wrinkles" in the human skin reconstituted tissue and the search for the means for "wrinkle suppression" based on this. It is completed.

즉, 우선 주름 형성의 유인인 과산화지질 2,4-노나디에날은 자외선(UV) 조사된 피부 세포의 글리세로 지질의 1,2-위치의 지방산(주로 리놀산, 아라키돈산 등)의 과산화 중간체로서 비교적 안정하며 피부내 체류성이 있고, 그 때문에 주름 형성의 요인이 된다. 실제, 2,4-노나디에날로 피하 처리하면 다음 3종의 주름 관련 증상이 발생한다. In other words, lipid peroxide 2,4-nonadienal, which is the inducing factor of wrinkle formation, is an intermediate of peroxidation of fatty acids (mainly linoleic acid, arachidonic acid, etc.) at the 1,2-position of glycero lipid of UV-irradiated skin cells. It is relatively stable and stays in the skin, which causes wrinkle formation. In fact, subcutaneous treatment with 2,4-nonadienanal causes three types of wrinkle-related symptoms:

(1) 피부 표면에 요철 기복의 형성이 발생한다. (실리콘 고무 복제법을 사용한 레플리카 해석을 나타내고 있는 도 1(a)로부터 도1(b)로의 변화) (1) The formation of uneven relief occurs on the skin surface. (Change from Fig. 1 (a) to Fig. 1 (b) showing the replica analysis using the silicone rubber replica method)

(2) 피부 표면에 다수의 각질의 인편 박리가 발생한다.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을 나타내고 있는 도 2(a)로부터 도 2(b)로의 변화) (2) Many keratin exfoliation occurs on the skin surface. (Change from Fig. 2 (a) to Fig. 2 (b) showing a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3) 피부 단면에 진피의 다층 분리와 수직 위축이 발생한다(DMSO 동결 할단법을 사용한 전자 현미경 사진을 나타내고 있는 도 3(a)로부터 도 3(b)로의 변화) (3) Multi-layer separation and vertical atrophy of the dermis occurs on the cross section of the skin (change from Fig. 3 (a) to Fig. 3 (b) showing electron micrograph using DMSO freezing cutting method)

그런데, 놀랍게도 이들 3종 (1), (2), (3)의 주름 관련 증상 모두 스쿠알란에 풀러렌을 용해시킨 유용상 풀러렌의 피부 표면에의 도포에 의해 방어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스쿠알란 단독으로는 무효인 것도 확인되었다. Incidentally, it was surprisingly found that all of the three types (1), (2) and (3) of wrinkle-related symptoms were protected by the application of fullerene on the skin surface in the form of oil-soluble fullerene dissolved in squalane. On the other hand, it was also confirmed that squalane alone is invalid.

그리고, 유용상 풀러렌의 항주름 효과의 메커니즘은 인간 피부 각화 세포에서의 과산화지질 노나디에날에 의한 세포막 상해를 동반하는 DNA 2개 쇄의 절단을 방어하는 것에 의한 것도 확인되었다. In addition, the mechanism of the anti-wrinkle effect of fullerene in utility was also confirmed by defending the cleavage of DNA strands accompanied with cell membrane injury by lipid peroxide nonadienal in human skin keratinocytes.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Then, this invention provides the composition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in order to solve the subject as mentioned above.

제 1: 풀러렌류를 스쿠알란류에 용해시킨 유용상 풀러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억제용 조성물.  The 1st: The composition for wrinkle suppression containing the oil-soluble fullerene which melt | dissolved fullerene in squalane.

제 2: 풀러렌류로서 C60, C70 및 이들의 염 또는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의 주름 억제용 조성물. Second 2: The first anti-wrinkle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t least one selected from C 60 , C 70 and salts or derivatives thereof as fullerenes.

제 3: 인간 피부 각화 세포 및/또는 인간 피부 섬유 아세포 및/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피부 조직에서의 과산화지질 및/또는 활성 산소를 포함하는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DNA 2개 쇄/1개 쇄 절단 및/또는 DNA 염기 손상을 포함하는 DNA 상해를 방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주름 억제용 조성물. Third 3: DNA double strand / one chain cleavage and / or by oxidative stress comprising lipid peroxide and / or free radicals in human skin keratinocytes and / or human skin fibroblasts and / or skin tissues comprising them The anti-wrinkl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ich protects against DNA injury including DNA base damage.

제 4: 상기 제 1로부터 제 3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 Fourth: The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of skin, comprising the composition of any one of the first to the third.

(발명의 효과) (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스쿠알란류에 용해시킨 유용상의 풀러렌류(「리포풀러렌」이라고 칭할 수 있음)에 의해 지금까지 곤란했던 「주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종래에는 전혀 예기, 예측할 수 없었던 피부 외용 조성물로서의 풀러렌류에 의한 미기 효과의 새로운 지평이 개척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wrinkle", which has been difficult until now, by the useful fullerenes (which may be referred to as "lipofullerenes") dissolved in squalanes. As a result, new horizons of microscopic effects due to fullerenes as a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of skin, which have not been previously expected at all, have been explored.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3차원 피부 조직 모델 표면의 레플리카 화상과 그 NIH-image에 의한 해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3차원 피부 조직 모델의 표면 형상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3차원 피부 조직 모델의 단면 구조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인간 피부 각화 세포의 세포사의 억제 효과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인간 피부 통상 조직 모델의 표면 형상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인간 피부 통상 조직 모델의 단면 구조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7은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인간 피부 통상 조직 모델 절편의 단면의 형광 현미경 사진이다.
도 8은 실시예 6의 무작위화 이중 맹검 매치드 페어 비교 시험에 있어서의 주름 면적률 변화량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 7에 있어서의 인간 피부 통상 조직 모델의 표면 형상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10은 실시예 7에 있어서의 인간 피부 통상 조직 모델의 표면 SEM 화상의 NIH-image에 의한 해석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 7에 있어서의 인간 피부 통상 조직 모델의 표면 SEM 화상의 NIH-image에 의한 해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 7에 있어서의 인간 피부 통상 조직 모델의 단면 구조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13은 실시예 7에 있어서의 인간 피부 통상 조직 모델의 단면 SEM 화상의 NIH-image에 의한 해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 7에 있어서의 인간 피부 통상 조직 모델의 레플리카 화상이다.
도 15는 실시예 7에 있어서의 인간 피부 통상 조직 모델의 레플리카 화상의 NIH-image에 의한 해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replica image of the 3D skin tissue model surface in Example 1, and the analysis result by the NIH-image.
2 is a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of the surface shape of a three-dimensional skin tissue model in Example 1. FIG.
3 is a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of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three-dimensional skin tissue model in Example 1. FIG.
It is a figure which showed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cell death of human skin keratinocytes in Example 2. FIG.
5 is a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of the surface shape of a human skin normal tissue model in Example 4. FIG.
6 is a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of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human skin normal tissue model in Example 4. FIG.
7 is a fluorescence micrograph of a cross section of a human skin normal tissue model segment in Example 5. FIG.
It is a graph which shows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wrinkle area ratio change amount in the randomized double-blind matched pair comparison test of Example 6. FIG.
9 is a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of the surface shape of a human skin normal tissue model in Example 7. FIG.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NIH-image analysis method of the surface SEM image of the human skin normal tissue model in Example 7. FIG.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analysis result by NIH-image of the surface SEM image of the human skin normal tissue model in Example 7. FIG.
12 is a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of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human skin normal tissue model in Example 7. FIG.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analysis result by NIH-image of the cross-sectional SEM image of the human skin normal tissue model in Example 7. FIG.
14 is a replica image of a human skin normal tissue model in Example 7. FIG.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analysis result by NIH-image of the replica image of the human skin normal tissue model in Example 7. FIG.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유용상 풀러렌(약칭: 리포풀러렌)은 스쿠알란류에 풀러렌류를 용해시킨 것이다. 풀러렌류로서는 C32, C44, C50, C60, C58, C60, C70, C76, C78, C82, C84, C90, C96 및 이들의 염 또는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C60, C70 및 그 염 또는 유도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이들의 풀러렌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해도 좋다. The useful phase fullerene (abbreviation: lipo fullerene) used in this invention is a thing which fullerene dissolved in squalane. As fullerenes, C 32 , C 44 , C 50 , C 60 , C 58 , C 60 , C 70 , C 76 , C 78 , C 82 , C 84 , C 90 , C 96 and salts or derivatives thereof may be used. Among them, C 60 , C 70 and salts or derivatives thereof are preferably used. Moreover, you may use the mixture of 2 or more types in these fullerenes.

스쿠알란류에 대해서는 스쿠알란 및 스쿠알렌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식물성 유래의 것, 또는 동물이나 어류로부터의 것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As for squalane, any one or a mixture of squalane and squalene may be used. It may be of vegetable origin, or of animal or fish.

풀러렌류를 스쿠알란류에 용해시키기 위해서는 풀러렌류의 용해 가능량 이하이면 좋고, 그 용해량에 대해서는 본 발명 조성물의 응용의 형태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용해시에는 교반해도 좋고, 가온해도 좋다. 조성물로서는 피부 외용 조성물로 할 수 있다. In order to dissolve fullerenes in squalane, what is necessary is just below the solubility amount of fullerenes, and the amoun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form of the composition of this invention. At the time of melt | dissolution, you may stir and may heat. As a composition, it can be set as an external composition for skin.

이 경우의 피부 외용 조성물에는 그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화장품, 의약부 외품, 의약품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성분, 예를 들면 물, 유지류, 탄화수소류,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콜, 실리콘,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방부제, 당류, 금속 이온 봉쇄제, 수용성 고분자 등의 고분자, 증점제, 분체 성분,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차폐제, 보습제, 향료, pH 조정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그 이외에, 비타민류, 피부 부활제, 혈행 촉진제, 활성 산소 소거제, 항염증제, 미백제, 살균제 등의 다른 약효 성분, 생리 활성 성분 등을 배합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on the skin does not impair its effect, and various compon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s, quasi-drugs, medicines, and the like, such as water, oils, hydrocarbons, higher fatty acids, higher alcohols, silicones, and anions Surfactants, cationic surfactants, amphoteric surfactants, nonionic surfactants, preservatives, sugars, metal ion sequestrants, polymers such as water-soluble polymers, thickeners, powder components, ultraviolet absorbers, ultraviolet shielding agents, humectants, fragrances, pH adjusters and the like. It can mix. In addition, other active ingredients such as vitamins, skin activators, blood circulation promoters, active oxygen scavengers, anti-inflammatory agents, whitening agents, fungicides, and the like can be blended.

유지류의 구체예로서는 동백유, 달맞이꽃유, 마카다미아넛유, 올리브유, 유채씨유, 옥수수유, 참깨유, 호호바유, 배아유, 밀배아유, 트리옥탄산 글리세린 등의 액체 유지, 카카오 지방, 야자유, 경화 야자유, 팜유, 팜핵유, 목랍, 목랍핵유, 경화유, 경화 피마자유 등의 고체 유지, 밀랍, 칸델리아 밀랍, 면랍, 누카로우, 라놀린, 아세트산 라놀린, 액상 라놀린, 사탕수수 밀랍 등의 밀랍류 등이 열거된다. Specific examples of fats and oils include camellia oil, evening primrose oil, macadamia nut oil, olive oil, rapeseed oil, corn oil, sesame oil, jojoba oil, germ oil, wheat germ oil, and liquid fats such as glycerin trioctanoate, cocoa fat, palm oil and hardened palm oil. Solid oils such as palm oil, palm kernel oil, wax, wax kernel oil, hardened oil, hardened castor oil, beeswax, candelia beeswax, cotton beeswax, nukarou, lanolin, lanolin acetate, liquid lanolin, beeswax beeswax do.

탄화수소류의 구체예로서는 유동 파라핀, 스쿠알렌, 스쿠알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등이 열거된다. Specific examples of the hydrocarbons include liquid paraffin, squalene, squalane, microcrystalline wax, and the like.

고급 지방산의 구체예로서는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도코사헥사엔산(DHA),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등이 열거된다. Specific examples of higher fatty acids include lauric acid,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docosahexaenoic acid (DHA), eicosapentaenoic acid (EPA), and the like.

고급 알콜의 구체예로서는 라우릴알콜, 스테아릴알콜, 세틸알콜, 세토스테아릴알콜 등의 직쇄 알콜,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 라놀린알콜,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옥틸도데칸올 등의 분기쇄 알콜 등이 열거된다. Specific examples of the higher alcohols include straight chain alcohols such as lauryl alcohol, stearyl alcohol, cetyl alcohol, cetostearyl alcohol, monostearyl glycerin ether, lanolin alcohol, cholesterol, phytosterol, and branched chain alcohols such as octyldodecanol. do.

실리콘의 구체예로서는 쇄상 폴리실록산의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환상 폴리실록산의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등이 열거된다. As a specific example of silicone, the dimethyl polysiloxane of linear polysiloxane, methylphenyl polysiloxane, the decamethyl cyclopentasiloxane of cyclic polysiloxane, etc. are mentioned.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라우린산나트륨 등의 지방산염, 라우릴황산나트륨 등의 고급 알킬 황산 에스테르염, POE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N-아실사르코신산, 술포숙신산염, N-아실아미노산염 등이 열거된다. Specific examples of the anionic surfactant include fatty acid salts such as sodium laurate, higher alkyl sulfate ester salts such as sodium lauryl sulfate, alkyl ether sulfate ester salts such as POE lauryl sulfate triethanolamine, N-acyl sarcosine acid, sulfosuccinate salt, N-acylamino acid salt etc. are mentioned.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등의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등이 열거된다. Specific examples of the cationic surfactant include alkyltrimethylammonium salts such as stearyltrimethylammonium chloride, benzalkonium chloride, benzetonium chloride and the like.

양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알킬베타인, 아미드베타인 등의 베타인계 계면활성제 등이 열거된다. Specific examples of the amphoteric surfactant include betaine-based surfactants such as alkyl betaine and amide betaine.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등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등이 열거된다. Specific examples of the nonionic surfactant include sorbitan fatty acid esters such as sorbitan monooleate, cured castor oil derivatives, and the like.

방부제의 구체예로서는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등이 열거된다. Specific examples of the preservative include methyl paraben, ethyl paraben and the like.

금속 이온 봉쇄제의 구체예로서는 에틸렌디아민 4아세트산 2나트륨, 에데트산, 에데트산 나트륨염 등의 에데트산염 등이 열거된다. Specific examples of the metal ion blocking agent include edetate salts such as 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disodium acetate, edetic acid, and edetic acid sodium salt.

고분자의 구체예로서는 아라비아 고무, 트라가칸트 고무, 갈락탄, 구아 고무, 카라기난, 펙틴, 한천, 퀸스시드, 덱스트란, 풀루란, 카르복시메틸 전분, 콜라겐, 카제인, 젤라틴, 메틸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CMC), 알긴산 나트륨,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의 비닐계 고분자 등이 열거된다.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mer include gum arabic, tragacanth, galactan, guar, carrageenan, pectin, agar, queens seed, dextran, pullulan, carboxymethyl starch, collagen, casein, gelatin, methylcellulose, methylhydroxypropyl And vinyl polymers such as cellulose, hydroxyethyl cellulose,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CMC), sodium alginate, and carboxyvinyl polymer.

증점제의 구체예로서는 카라기난, 트라가칸트 고무, 퀸스시드, 카제인, 덱스트린, 젤라틴, CM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구아 고무, 크산탄 고무, 벤토나이트 등이 열거된다. Specific examples of the thickener include carrageenan, tragacanth rubber, queen's seed, casein, dextrin, gelatin, CMC, hydroxyethyl cellulose, hydroxypropyl cellulose, carboxyvinyl polymer, guar rubber, xanthan rubber, bentonite, and the like.

분체 성분의 구체예로서는 탈크, 카올린, 운모, 실리카, 제올라이트,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스티렌 분말, 셀룰로오스 분말, 무기 백색 안료, 무기 적색 안료, 산화티탄 코티드 마이카, 산화티탄 코티드 탈크, 착색 산화티탄 코티드 마이카 등의 펄 안료, 적색 201호, 적색 202호 등의 유기 안료 등이 열거된다. Specific examples of the powder component include talc, kaolin, mica, silica, zeolite, polyethylene powder, polystyrene powder, cellulose powder, inorganic white pigment, inorganic red pigment, titanium oxide coated mica, titanium oxide coated talc, and colored titanium oxide coated mica Pearl pigments, such as these, and organic pigments, such as red 201 and red 202, etc. are mentioned.

자외선 흡수제의 구체예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살리실산페닐, 파라메톡시신남산 이소프로필, 파라메톡시신남산 옥틸,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등이 열거된다. Specific examples of the ultraviolet absorber include paraaminobenzoic acid, phenyl salicylate, paramethoxycinnamic acid isopropyl, paramethoxycinnamic acid octyl, 2,4-dihydroxybenzophenone and the like.

자외선 차폐제의 구체예로서는 산화티탄, 탈크, 카민, 베토나이트, 카올린, 산화아연 등이 열거된다. Specific examples of the ultraviolet shielding agent include titanium oxide, talc, carmine, betonite, kaolin, zinc oxide and the like.

보습제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1,2-펜탄디올,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크실리톨, 말티톨, 말토오스, 소르비톨, 포도당, 과당, 콘드로이틴 황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나트륨, 락트산 나트륨, 피롤리돈카르복실산, 시클로덱스트린 등이 열거된다. Specific examples of the moisturizing agent are poly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1,3-butylene glycol, 1,2-pentanediol, glycerin, diglycerin, polyglycerin, xylitol, maltitol, maltose, sorbitol, glucose, fructose And sodium chondroitin sulfate, sodium hyaluronate, sodium lactate, pyrrolidonecarboxylic acid, cyclodextrin and the like.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면 수용액, 유제, 유액, 현탁액 등의 액제, 겔, 크림 등의 반고형제, 고형 등의 고형제의 형태로 적용 가능하다. 종래부터 공지의 방법으로 이들의 형태로 조제하여 로션제, 유제, 겔제, 크림제, 연고, 경고, 파프제, 에어로졸제 등의 각종 제형으로 할 수 있고, 이들을 신체에 도포, 첩부, 분무 등에 의해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이들 제형 중에서 로션제, 유제, 크림제, 연고제, 경고제, 파프제, 에어로졸제 등이 피부 외용 조성물에 적합하다.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for example, in the form of an aqueous solution, an emulsion, an emulsion, a suspension such as a suspension, a semisolid agent such as a gel or a cream, or a solid agent such as a solid. Conventionally, it is prepared in these forms by a well-known method, and can be various formulations, such as a lotion, an emulsion, a gel, a cream, an ointment, a warning, a pape, an aerosol, These are apply | coated to a body, a patch, spraying, etc. Applicable In particular, among these formulations, lotions, emulsions, creams, ointments, warnings, papes, aerosols and the like are suitable for external skin compositions.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물이나 수성 용매, 예를 들면 알콜 등과 물의 혼합물 등의 수계 용매에 분산되어져 있음으로써 화장품을 비롯한 외용제 등으로서 실용적인 기술로서 보다 유효하게 전개된다.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ersed in an aqueous solvent such as a mixture of water and an aqueous solvent, for example, an alcohol and water, and thus develops more effectively as a practical technique for external preparations such as cosmetics.

수계 용매에의 분산은 예를 들면 O/W 에멀젼 등으로서 구체화되지만, 이 수계 분산체의 제조에는 초음파의 조사나 볼텍스 믹서, 호모게나이저 등에 의한 처리가 보다 유효하다. Dispersion in an aqueous solvent is embodied, for example, as an O / W emulsion or the like, but for the production of this aqueous dispersion, treatment with ultrasonic waves, vortex mixers, homogenizers, or the like is more effective.

그리고, 이 수계 용매에의 풀러렌 지용체의 분산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도 유효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구조를 주체로 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이다. 이들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첨가 사용량은 전체량의 0.01~2질량%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nonionic surfactant is also effectively used for the dispersion of the fullerene fat solution in the aqueous solvent. For example, it is a nonionic surfactant mainly having a polyoxyethylene ether structure.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usage-amount of addition of these nonionic surfactants into the range of 0.01-2 mass% of whole quantity.

호모게나이저로서는 Potter형 호모게나이저가 바람직한 것으로서 고려된다. 이것은 유리제 통, 통 내강에 피트한 불소 수지제 회전봉과 조합시켜서 양자의 회전과 피스톤 운동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입자를 미립화한다. 에어를 권입하기 어려우므로 미립화에 유효하다. As a homogenizer, a Potter type homogenizer is considered as a preferable thing. This is combined with a glass cylinder and a rotating rod made of a fluorine resin fitted into the tube lumen to atomize the particles by sliding contact between the rotation and the piston movement of both. Since air is hard to wind up, it is effective for atomization.

이들 수단에 의한 분산 처리로는 멸기포 조건 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분산체는 외용제로서 적용할 수 있고, 그 형태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이하가 고려된다. It is preferable to perform under disperse bubble conditions as a dispersion process by these means, More preferably, a water dispersion can be applied as an external preparation, and the following is considered about the form, for example.

1. 적용량 1.Application amount

피부 외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풀러렌류의 농도는 예를 들면 0.00001~30질량%이고, 사용감적 측면 등을 고려하면 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피부에 적용할 경우, 외용 조성물의 양은 예를 들면 피부 면적 1평방미터당 액체 0.001~20ml, 바람직하게는 0.01~5.0ml이고, 외용 도포, 습포 또는 분무 등에 의해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centration of fullerenes in the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of skin is, for example, 0.00001 to 30% by mass, and 5% by mass or less is preferable in consideration of the feeling of use. When applied to the skin, the amount of the external composition is, for example, 0.001-20 ml of liquid per 1 square meter of skin area, preferably 0.01-5.0 ml, and is preferably applied by external application, wet foam or spraying.

2. 적용 형태 2. Application form

피부 외용 조성물의 형태의 예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수용제, 연고, 유액, 크림, 겔제, 팩, 용제, 세정제, 파프제, 분산액 등의 모든 외용제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그 제형에 관해서도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페이스트상, 무스상, 겔상, 분말상, 용액계, 가용화계, 유화계로 할 수 있다. 특히, 수용액, 유제, 연고제, 겔제, 수용성제, 미용액, 팩제에 대해서는 이들 제를 외용한 후에 가습 도입기, 진동 도입기, 이온 도입기, 음파 도입기, 전자파 도입기를 사용함으로써 풀러렌류의 피부에의 침투를 촉진시킬 수 있어 보다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form of the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of ski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take the form of all external preparations such as water soluble agents, ointments, emulsions, creams, gels, packs, solvents, detergents, papes, dispersions, and the like. There is no restriction | limiting in particular also regarding a paste form, a mousse form, a gel form, a powder form, a solution type, a solubilization type, and an emulsification type. In particular, aqueous solutions, emulsions, ointments, gels, water-soluble agents, cosmetics, and packs are applied externally to promote the penetration of fullerenes into the skin by using a humidification introducer, vibration introducer, ion introducer, sound wave introducer, and electromagnetic wave introducer. It can make a greater effect.

도포 방법은 액제의 경우, 스프레이, 첩포, 습포, 딥핑, 마스크 등의 물리적으로 가능한 모든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liquid formulation, all physically possible methods, such as spray, a patch, a compress, a dipping, and a mask, can be used.

본 발명의 조성물을 화장료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화장수, 유액, 크림, 팩 등의 피부 화장료, 메이크업 베이스 로션, 메이크업 크림, 유액상, 크림상 또는 연고형의 파운데이션, 핸드 크림, 레그 크림, 바디 로션 등의 신체용 화장료 등으로 할 수 있다. Whe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cosmetic, skin cosmetic such as lotion, milky lotion, cream, pack, makeup base lotion, makeup cream, milky lotion, creamy or ointment foundation, hand cream, leg cream, body lotion, etc. It can be made into a body cosmetic.

실시예 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 있어서 % 표시는 특별하게 명시하지 않는 한 질량%를 나타낸다. Hereinafter, although an Example demonstrates this invention in detail,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at all.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isplay represents the mass% unless there is particular notice.

<실시예 1> &Lt; Example 1 >

3차원 피부 조직 모델(Test skin LSE-high, Toyobo Co., Ltd.)을 이용하여 하기 표 1의 순서에 따라서 시험 샘플을 제작하고, 리포풀러렌에 의한 주름 억제 시험을 행했다. Using the three-dimensional skin tissue model (Test skin LSE-high, Toyobo Co., Lt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 of Table 1 below, a test sample was produced, and wrinkle suppression test by lipofullerene was performed.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시험 샘플로서 컨트롤(PBS(-)만을 투여), 과산화지질 2,4-노나디에날(NDA) 500μM 투여, NDA 500μM과 스쿠알란 투여 및 NDA 500μM과 리포풀러렌 투여의 3차원 피부 조직 모델 샘플을 준비하고, 실리콘 고무 복제법을 사용한 레플리카의 실체 현미경에 의한 화상 촬영 및 주름도의 해석 등의 평가를 행했다. 리포풀러렌은 식물성 스쿠알란(Uniquema)에 풀러렌(C60, C70을 포함)을 용해시켜 C60 농도로서 500ppm 포함하도록 조정했다. As a test sample, a three-dimensional skin tissue model sample of control (administered PBS (-) only), 500 μM of lipid peroxide 2,4-nonadienal (NDA), 500 μM of NDA and squalane, and 500 μM of NDA and lipofullerene was prepared. The evaluation of the image | photographing by the stereomicroscope of the replica using the silicone rubber duplication method, analysis of the wrinkle degree, etc. was performed. Lipofullerene was adjusted to dissolve fullerene (including C 60 , C 70 ) in vegetable squalane (Uniquema) to contain 500 ppm as C 60 concentration.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또한, 실험 검증에 있어서는 2,4-노나디에날(NDA) 500μM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인간 피부 조직 샘플을 42시간 배양하고, 리포풀러렌은 NDA 투여의 5시간 전에 배지에 투여되어 있다. 도 1 중 (a)는 컨트롤(PBS(-)), (b)는 NDA만을 투여(500μM), (c)는 리포풀러렌 대신에 식물성 스쿠알란을 투여했을 경우의 비교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포풀러렌 투여 샘플은 NDA 투여 샘플, 또한 컨트롤 및 스쿠알란 투여 샘플에 비교해도 피부 표면의 주름 형성을 억제했다. 즉,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쿠알란 단독의 경우에는 표면 요철은 거의 개선되지 않는 것에 대하여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포풀러렌 투여의 경우에는 표면 요철이 거의 개선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The result is shown in FIG. In addition, in experimental verification, human skin tissue samples were incubated for 42 hours in a medium containing 500 µM of 2,4-nonadienal (NDA), and lipofullerene was administered to the medium 5 hours before NDA administration. In FIG. 1, (a) control (PBS (-)), (b) administration of NDA only (500 micrometers), and (c) show the comparison result when administering vegetable squalane instead of lipo fullerene. As shown in the figure, the lipofullerene administration sample suppressed wrinkle formation on the skin surface even when compared to the NDA administration sample and the control and squalane administration samples. That is, as shown in Fig. 1 (c), the surface irregularities were hardly improved in the case of squalane alone. As shown in Fig. 1 (d), the surface irregularities were almost improved in the case of lipofullerene administration.

또한, 상기와 동일한 시험 샘플에 대해서 3차원 피부 조직 모델의 표면 형상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여(도 2) 3차원 피부 조직 모델의 단면 구조를 DMSO 동결 할단법을 이용하여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했다(도 3). 도 2 및 도 3 중 (a)는 컨트롤(PBS(-)), (b)는 NDA만을 투여(500μM), (c)는 리포풀러렌 대신에 식물성 스쿠알란을 투여했을 경우, (d)는 리포풀러렌을 투여했을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In addition, the surface shape of the three-dimensional skin tissue model was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ig. 2) for the same test sample as described above, and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three-dimensional skin tissue model was observed with an electron microscope using DMSO freezing cutting method. (FIG. 3). In FIGS. 2 and 3, (a) is control (PBS (-)), (b) is administered only NDA (500 μM), (c) is administered vegetable squalane instead of lipofullerene, (d) is lipofullerene The result at the time of administration is shown.

도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포풀러렌의 경우에는 피부 표면에 생기는 다수의 각질 인편 박리를 제어하고,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 단면에서의 진피의 다층 분리와 위축을 방어하는 것도 확인되었다. 도 2(c),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쿠알란 단독으로는 이러한 효과가 약했다. In the case of lipofullerene, as shown in FIG. 2 (d), a large number of keratin exfoliation occurring on the skin surface is controlled, and as shown in FIG. 3 (d),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multilayer separation and atrophy of the dermis in the skin cross section. Confirmed. As shown in Fig. 2 (c) and Fig. 3 (c), squalane alone had a weak effect.

<실시예 2> <Example 2>

스쿠알란에 용해시킨 풀러렌, 즉 리포풀러렌을 이용하여 NDA에 의한 인간 피부 각화 세포(HaCaT)의 세포사(아포토시스) 억제의 효과를 TUNEL 염색에 의해 검증했다. Fullerene dissolved in squalane, that is, lipofullerene, was used to confirm the effect of cell death (apoptosis) inhibition of human skin keratinocytes (HaCaT) by NDA by TUNEL staining.

도 4는 그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컨트롤, NDA(30μM)만을 투여, 리포풀러렌 대신에 식물성 스쿠알란을 투여한 경우, 리포풀러렌을 투여한 경우를 좌로부터 순서대로 나타내고 있다. 리포풀러렌(4%: C60으로서 20ppm)에 있어서는 DNA 2개 쇄의 절단이 현저하게 억제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스쿠알란 단독으로는 이와 같은 것은 거의 무효였다. Fig. 4 shows the result, in which the control, the administration of NDA (30 μM) only, and the administration of lipofullerene when the vegetable squalane was administered instead of the lipofullerene are shown in order from the left. In lipofullerene (4 ppm: 20 ppm as C 60 ), it was confirmed that cleavage of the two DNA strands was remarkably suppressed. On the other hand, such a thing was almost invalid by squalane alone.

<실시예 3> <Example 3>

C60 풀러렌의 비율이 대체로 95%인 C60 표품을 식물성 스쿠알란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Potter형 호모게나이저에 의해 감기포 조건 하(아스피레이터에서 감압화해서 기포를 감소시키는 것)에서 수분산시켜 O/W 에멀젼을 형성했다.The ratio of C 60 fullerene was dissolved in C 60 specimen of approximately 95% in vegetable squalane, followed by dispersion in (one of O to screen a reduced pressure in the aspirator reduces the bubble) Potter-type homo makes cold Four conditions by homogenizer O / W emulsion was formed.

이 에멀젼의 각각을 인간 피부 각화 세포:HaCaT Cell 배양계에 첨가해서 세포 생존률에 대해서 평가했다. 그 결과, 크게 향상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Each of these emulsions was added to a human skin keratinocyte: HaCaT Cell culture system to evaluate cell viabilit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rovement was large.

<실시예 4> <Example 4>

진피, 기저막, 표피 및 각질층을 갖는 직경 24mm의 인간 피부 통상 조직 모델을 다음 수순으로 제작했다. A 24 mm diameter human skin normal tissue model with the dermis, basement membrane, epidermis and stratum corneum was produced in the following procedure.

콜라겐 겔 배양 키트(Nitta Gelatin Inc.)를 이용하여 콜라겐 겔의 배양을 Nitta Gelatin Inc.의 프로토콜(http://www.nitta-gelatin.co.jp/products/labo/column_1.html 참조)에 준거하여 행했다. 원심 회수된 섬유 아세포 OUMS-36 5×105/웰을 포함하는 펠렛에 냉각한 I형 콜라겐 겔 혼합 용액을 첨가하여 균일해지도록 혼합했다. 이 섬유 아세포 OUMS-36을 포함한 I형 콜라겐 혼합 용액을 배양 접시에 분주하고, 인큐베이터 중에서 37℃, 30분간 정치하여 겔화시켰다. Culture of collagen gels using the collagen gel culture kit (Nitta Gelatin Inc.) was based on Nitta Gelatin Inc.'s protocol (see http://www.nitta-gelatin.co.jp/products/labo/column_1.html). I did it. To the pellets containing the centrifuged recovered fibroblasts OUMS-36 5 × 10 5 / well, a cooled Type I collagen gel mixed solution was added and mixed to be uniform. The type I collagen mixed solution containing the fibroblast OUMS-36 was dispensed into a culture dish, and allowed to stand for 30 minutes at 37 ° C. in an incubator to gel.

이어서, 배지(DMEM/10% FCS) 중에서 I형 콜라겐 겔을 액상 배양했다. 5일 후에는 겔이 수축되었다. Next, type I collagen gel was cultured in a liquid medium in a medium (DMEM / 10% FCS). After 5 days the gel contracted.

이어서, I형 콜라겐 겔 상에 IV형 콜라겐, 라미닌 및 엔탁틴을 함유하는 기저막 형성용 겔을 중층했다. Subsequently, the gel for base film formation containing type IV collagen, laminin, and entaxin was layered on the type I collagen gel.

이어서, 기저막 형성용 겔 상에 인간 피부 각화 세포(HaCaT) 5×105/웰을 파종하고, 이것을 배지(DMEM/Ham's F12(1:1)+5% FBS+15% Knock out serum replacement(SR, Introgen Inc.)) 중에서 1일간 액상 배양했다. Subsequently, 5 × 10 5 / well of human skin keratinocytes (HaCaT) are seeded on the basement membrane-forming gel, which is then cultured with medium (DMEM / Ham's F12 (1: 1) + 5% FBS + 15% Knock out serum replacement (SR). , Introgen Inc.)) was incubated for 1 day.

이어서, 배지(DMEM/Ham's F12(1:1)+1% FBS+15% Knock out serum replacement)로 교환해서 4일간 액상 배양했다. Subsequently, liquid culture was performed for 4 days by replacing with medium (DMEM / Ham's F12 (1: 1) + 1% FBS + 15% Knock out serum replacement).

이어서, 인간 피부 각화 세포를 중층한 겔을 배지(DMEM/Ham's F12(1:1)+15% Knock out serum replacement)에 침지한 여지 상에 두고, 인간 피부 각화 세포를 공기 폭로하여 14일간 배양했다. 이에 의해, 기저막 상에 표피와 각질층이 형성되었다. Subsequently, a gel layer of human skin keratinocytes was layered on a medium (DMEM / Ham's F12 (1: 1) + 15% Knock out serum replacement), and the human skin keratinocytes were incubated for 14 days by air exposure. . This formed the epidermis and the stratum corneum on the base film.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인간 피부 통상 조질 모델을 이용하여 하기 표 2의 수순에 따라서 시험 샘플을 제작하고, 리포풀러렌에 의한 NDA 방어 효과의 평가 시험을 행했다. The test sample was produc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following Table 2 using the obtained human skin normality roughness model, and the evaluation test of the NDA protective effect by lipo fullerene was done.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시험 샘플로서 컨트롤(PBS(-)만을 투여), NDA 450μM 투여, NDA 450μM+스쿠알란 투여, NDA 450μM+리포풀러렌(C60으로서 2-500ppm) 투여의 인간 피부 통상 조직 모델 샘플을 준비하고, 그 표면 형상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고(도 5), 단면 구조를 DMSO 동결 할단법을 이용하여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했다(도 6). 도 5,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NDA 투여 샘플, NDA+스쿠알란 투여 샘플에서는 NDA에 의해 피부의 구조가 상해되었다. 한편, 리포풀러렌의 투여에 의해 NDA에 의한 피부의 상해가 억제되어, 그 방어 효과는 풀러렌 함유량에 의존하여 증대했다. As a test sample, a human skin normal tissue model sample of control (administered PBS (-) only), NDA 450 μM administration, NDA 450 μM + squalane administration, NDA 450 μM + lipofullerene (2-500 ppm as C 60 ) administration was prepared, and the surface shape thereof was prepared. It was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IG. 5), and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was observed with an electron microscope using DMSO freezing cutting method (FIG. 6). As shown in FIG. 5, FIG. 6, in the NDA administration sample and the NDA + squalane administration sample, the structure of the skin was injured by NDA. On the other hand, administration of lipo fullerene suppressed the injury of the skin by NDA, and the protective effect increased depending on the fullerene content.

<실시예 5> <Example 5>

실시예 4와 동일한 시료를 사용하여 리포풀러렌에 의한 NDA 방어 효과(세포핵 유지 효과)를 Hoechst33342 핵 염색을 사용한 형광 현미경 측정에 의해 조사했다. 스쿠알란 또는 리포풀러렌(C60으로서 2, 50, 200ppm) 150㎕/웰을 인간 피부 통상 조직 모델(Φ24mm)에 투여해서 인큐베이트(5시간, 37℃)했다. 이어서, 450μM NDA/웰을 포함하는 배지로 교환하고, 인큐베이트(42시간, 37℃, 5% CO2)했다. PBS(-) 200㎕로 3회 린스하여 동결 후 피부 절편(두께 5mm)에 대해서 Hoechst33342 핵 염색을 행하고,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했다. Using the same sample as in Example 4, the NDA defense effect (cell nucleus retention effect) by lipofullerene was examined by fluorescence microscopy using Hoechst33342 nuclear staining. 150 μl / well of squalane or lipofullerene (2, 50, 200 ppm as C 60 ) was administered to a human skin normal tissue model (Φ 24 mm) and incubated (5 hours, 37 ° C.). It was then exchanged with a medium containing 450 μM NDA / well and incubated (42 hours, 37 ° C., 5% CO 2 ). After rinsing three times with 200 µl of PBS (-), Hoechst33342 nuclear staining was performed on the skin sections (5 mm thick), and observed under a fluorescence microscope.

인간 피부 통상 조직 모델의 핵 염색은 다음 수순으로 행했다. Nuclear staining of the human skin normal tissue model was performed in the following procedure.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인간 피부 통상 조직 모델 절편(두께 5㎛)의 단면의 형광 현미경 사진을 도 7에 나타낸다. 컨트롤에서는 세포핵은 건강한 상태였다. NDA 투여 샘플, NDA+스쿠알란 투여 샘플에서는 NDA에 의해 표피 세포에서 아포토시스 증상의 하나인 DNA 단열, 핵 응축 및 변형이 일어나고 있었다. 한편, 리포풀러렌의 투여에 의해 NDA에 의한 세포핵에의 상해를 C60의 농도 의존적으로 방어했다. The fluorescence micrograph of the cross section of a human skin normal tissue model section (thickness 5 micrometers) is shown in FIG. In control, the nucleus was healthy. In NDA administered samples and NDA + squalane administered samples, DNA adiabatic, nuclear condensation and modification, which are one of the symptoms of apoptosis in epidermal cells, were caused by NDA. On the other hand, administration of lipofullerene prevented CDA-induced injury to the cell nucleu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of C 60 .

<실시예 6> <Example 6>

리포풀러렌 배합 화장품에 대해서, 무작위화 이중 맹검 매치드 페어 비교 시험을 행했다. 피험자 23명을 대상으로 해서 하기 표 4에 나타내는 처방의 화장품(크림, 좌: 피험품, 풀러렌 1.8㎍/일, 우: 플라세보, 풀러렌 0.0㎍/일)을 도포했다. I군(11명)에서는 피험품을 우반안(右半顔)에 도포, 플라세보를 좌반안(左半顔)에 도포하고, II군(12명)에서는 플라세보를 우반안에 도포, 피험품을 좌반안에 도포했다. For lipofullerene blended cosmetics, a randomized double blind matched pair comparison test was performed. To 23 subjects, cosmetics (cream, left: test article, fullerene 1.8 µg / day, right: placebo, fullerene 0.0 µg / day) shown in Table 4 were applied. In group I (11), subjects were applied to the right eye and placebo was applied to the left eye. In group II (12 patients), placebo was applied to the right eye and the subject was left. Applied inside.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피험자의 선택 기준은 주름 그레이드가 2~3인 성인 여성(좌우 동일한 그레이드)으로 했다. 화장품은 1일 2회 아침과 밤, 세안 후 지정의 스킨 케어 제제로 피부를 정돈한 후, 메이크업 전에 지정된 측의 반안에 도포시켰다. 사용 화장품은 견본에 따라 매일 동일한 양(반안에 대해서 0.3g 정도)을 취하여 얼굴의 4개소(이마, 볼, 턱, 눈가)에 두고나서 얼굴 반정도에 충분하게 흡수시켰다. 눈가는 부드럽게 흡수시켜 확실히 침투시켰다. 사용 기간은 8주간으로 했다. The subject's selection criterion was adult females having the same wrinkle grade as 2-3 (left and right same grade). The cosmetics were prepared twice a day in the morning and at night, after cleansing the skin with a designated skin care preparation, and then applied to the half of the designated side before makeup. The used cosmetics were taken every day (about 0.3g for half eye) according to the sample and placed in four places (forehead, cheeks, chin, and eyes) of the face and absorbed enough to half the face. Eyes gently absorbed and penetrated firmly. Use period was eight weeks.

주름 면적률을 평가 항목으로 하고, 평가 방법은 화장품 기능성 평가법 가이드라인(일본 향장품 학회 2006년)에 준거했다. 화장품의 사용 전과 사용 후의 눈가 및 눈가 아래의 주름을 레플리카에 있어서 일정 방향(수평면으로부터 30°)으로 병행광을 조사하여 생긴 음영을 화상 처리했다. 여기에서, 음영 면적의 길이, 깊이를 산출했다. 동일하게, 표준 스케일로부터도 음영 면적과 그 길이를 산출하여 검량선을 제작하고, 눈가 주름 레플리카의 수치를 보정했다. Wrinkle area ratio was made into an evaluation item, and the evaluation method was based on the cosmetic functional evaluation method guideline (Japan Cosmetics Society 2006). The wrinkles before and after the use of the cosmetics were irradiated with parallel light in a constant direction (30 ° from the horizontal plane) in the replica of the eye area and the eye area under the image. Here, the length and depth of the shaded area were calculated. Similarly, the shadow area and its length were also calculated from the standard scale, a calibration curve was produced, and the numerical value of the wrinkled eye replica was corrected.

주름 면적률, 주름 면적률 변화량의 평가 결과를 표 5, 도 8에 나타낸다.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wrinkle area ratio and the wrinkle area percentage change amount are shown in Table 5 and FIG. 8.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5

주름 면적률은 사용 전과 비교하여 피험품은 4주, 8주째에 감소했다. 플라세보는 4주, 8주째 모두 증가했다. 그리고, 주름 면적률 변화량에 있어서 피험품과 플라세보에 대응하는 t 검정을 행한 결과, 8주째에 유의(p=0.021)한 차가 확인되었다. 또한, 안전성에 문제가 되는 유해 사상은 발현되지 않았다. The wrinkle area ratio decreased in the test subjects at 4 and 8 weeks as compared to before use. Placebo increased in both 4 and 8 weeks. Then, the t-test corresponding to the test article and the placebo in the wrinkle area ratio change amoun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p = 0.021) at 8 weeks. In addition, no harmful event that is a safety problem was expressed.

이상에서, 리포풀러렌 배합 크림은 주름을 감소시키는 항주름 작용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In the above, it was confirmed that the lipofullerene blended cream has an anti-wrinkle action to reduce wrinkles.

<실시예 7> <Example 7>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해서, 진피, 기저막, 표피 및 각질층을 갖는 인간 피부 통상 조직 모델을 제작했다.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 a human skin normal tissue model having the dermis, basement membrane, epidermis and stratum corneum was produced.

이 인간 피부 통상 조직 모델을 이용하여 하기 표 6의 수순에 따라 시험 샘플을 제작하고, 리포풀러렌과 라디칼 스폰지[Radical Sponge(R), Vitamin C60 Bio Research Corporation, 혼합 풀러렌(C60, C70)을 10%의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포접한 후 물에 용해시킨 것, C60 200ppm 이상]의 주름 억제 효과의 비교를 행했다. Using this human skin normal tissue model, a test sample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shown in Table 6 below, and lipo fullerene and radical sponge [Radical Sponge (R), Vitamin C60 Bio Research Corporation, mixed fullerene (C 60 , C 70 ) were prepared. The inclusion of 10% polyvinylpyrrolidone and then dissolved in water and C 60 200 ppm or more] were compared against the anti-wrinkle effect.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6

시험 샘플로서 컨트롤(PBS(-)만을 투여), NDA 500μM 투여, NDA 500μM+라디칼 스폰지(C60으로서 4ppm, 30ppm) 투여, NDA 500μM+리포풀러렌(C60으로서 4ppm, 30ppm) 투여의 인간 피부 통상 조직 모델 샘플을 준비하고, 그 표면 형상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했다(도 9).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간 피부 통상 조직 모델 표면 형상의 SEM 화상의 NIH-image에 의한 해석을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SEM 화상 중 3개의 영역에 대해서 NIH-image 1.6.3에 의해 라인 히스토그램을 작성하고, 요철의 중간에 라인을 그어 상하의 면적을 합계하고, 평균값을 구해서 각 처리구의 주름도(㎛2/영역)라고 했다.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낸다. Human skin normal tissue model with control (administered PBS (-) only), NDA 500 μM administration, NDA 500 μM + radical sponge (4 ppm as C 60 , 30 ppm) administration, NDA 500 μM + lipofullerene (4 ppm as C 60 , 30 ppm) The sample was prepared and the surface shape was observed with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IG. 9). Moreover, as shown in FIG. 10, the analysis by the NIH-image of the SEM image of the surface shape of a human skin normal tissue model was performed. Specifically, a line histogram is created by NIH-image 1.6.3 for three regions of the SEM image, a line is drawn in the middle of the unevenness, the upper and lower areas are summed, the average value is obtained, and the wrinkle degree of each treatment section (µm 2 / Realm). The result is shown in FIG.

도 9~도 11로부터, 등량의 라디칼 스폰지보다 리포풀러렌쪽이 자극 물질(NDA)에 의한 피부 자극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9-11, it was shown that the lipofullerene reduces the skin irritation by the irritating substance (NDA) rather than an equivalent amount of radical sponge.

또한, 동일한 인간 피부 통상 조직 모델 샘플에 대해서 단면 구조를 DMSO 동결 할단법을 이용하여 주사형 전자 현미경에 의해 관찰하고(도 12), 인간 피부 통상 조직 모델 단면 형상의 SEM 화상의 NIH-image에 의한 해석을 행했다(도 13).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same human skin normal tissue model sample was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using DMSO freezing cutting method (FIG. 12), and the NIH-image of the SEM imag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uman skin normal tissue model was observed. Analysis was performed (FIG. 13).

도 12, 도 13으로부터, 등량의 라디칼 스폰지보다 리포풀러렌쪽이 자극 물질(NDA)에 의한 피부 자극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is shown from FIG. 12, FIG. 13 that the lipo fullerene reduces skin irritation by an irritating substance (NDA) rather than an equivalent amount of radical sponge.

또한, 동일한 인간 피부 통상 조직 모델 샘플에 대해서 실리콘 고무 복제법을 사용한 레플리카의 실체 현미경에 의한 화상 촬영을 행하고(도 14), 레플리카 화상의 NIH-image에 의한 해석을 행했다(도 15). Moreover, the imaging | photography by the stereomicroscope of the replica using the silicone rubber duplication method was performed about the same human skin normal tissue model sample (FIG. 14), and the NIH-image of the replica image was analyzed (FIG. 15).

도 14, 도 15로부터, 등량의 라디칼 스폰지보다 리포풀러렌쪽이 피부 표면의 주름 형성을 억제했다. From FIG. 14, FIG. 15, the lipo fullerene suppressed wrinkle formation of the skin surface rather than an equivalent amount of radical sponge.

이상과 같이, 풀러렌 함유 제제로서는 라디칼 스폰지보다 리포풀러렌쪽이 보다 유망한 항주름제인 것이 명확해졌다. As mentioned above, as a fullerene containing agent, it became clear that lipofullerene is a more promising anti-wrinkle agent than a radical sponge.

Claims (4)

풀러렌류를 스쿠알란류에 용해시킨 유용상 풀러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억제용 조성물. Wrinkle suppression composition characterized by containing the oil-soluble fullerene which melt | dissolved fullerene in squala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러렌류로서 C60, C70 및 이들의 염 또는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억제용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Wrinkle suppression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t least one selected from C 60 , C 70 and salts or derivatives thereof as the fullerene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인간 피부 각화 세포 및/또는 인간 피부 섬유 아세포 및/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피부 조직에서의 과산화지질 및/또는 활성 산소를 포함하는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DNA 2개 쇄/1개 쇄 절단 및/또는 DNA 염기 손상을 포함하는 DNA 상해를 방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억제용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DNA double strand / one chain cleavage and / or DNA base damage by oxidative stress comprising lipid peroxide and / or free radicals in human skin keratinocytes and / or human skin fibroblasts and / or skin tissues comprising them Wrinkle suppressing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defend against DNA injury comprising a.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주름 억제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 It consists of the composition for wrinkle suppression in any one of Claims 1-3, The external composition for skin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KR1020107014546A 2008-03-14 2009-03-03 Wrinkle inhibiting composition and external skin composition KR2010013570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66374 2008-03-14
JPJP-P-2008-066374 2008-03-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703A true KR20100135703A (en) 2010-12-27

Family

ID=41065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4546A KR20100135703A (en) 2008-03-14 2009-03-03 Wrinkle inhibiting composition and external skin composition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284345B2 (en)
KR (1) KR20100135703A (en)
CN (2) CN105168008A (en)
WO (1) WO200911342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97646A (en) * 2015-07-09 2015-10-28 北京福纳康生物技术有限公司 Oil-soluble fullerene solu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5342904B (en) * 2015-11-02 2018-04-10 嘉文丽(福建)化妆品有限公司 A kind of Essence with skin wrinkle resisting effect
CN105434182A (en) * 2015-12-23 2016-03-30 豌豆之本(北京)科技有限公司 Fullerene composition applied to daily chemicals
US20190038667A1 (en) * 2016-01-21 2019-02-07 Beijing Fu Na Kang Biotechnology Co., Ltd. Application of fullerene/metal-fullerene for preparing pharmaceutical product
WO2018180009A1 (en) * 2017-03-30 2018-10-04 ビタミンC60バイオリサーチ株式会社 Fullerene-containing cosmetic composition
JP2018203630A (en) * 2017-05-30 2018-12-27 ビタミンC60バイオリサーチ株式会社 Cosmetic fullerene-containing composition and cosmetic prepared therewith
CN108324646A (en) * 2018-04-16 2018-07-27 广州雷诺生物科技有限公司 A kind of moisturizer containing fullerene
CN108403549A (en) * 2018-04-23 2018-08-17 广州雷诺生物科技有限公司 A kind of face cleaning mousse containing fullerene
CN108852865A (en) * 2018-07-16 2018-11-23 北京福纳康生物技术有限公司 A kind of fullerene topical composition
WO2020041193A1 (en) * 2018-08-20 2020-02-27 Ian Mitchell Lipofullerene conjugates and their use for promotion of hair growth and prevention of hair los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7150A (en) * 1995-12-05 1997-06-17 Mitsushieru:Kk Dermal cosmetic
JP3506349B2 (en) * 1996-04-11 2004-03-15 株式会社資生堂 Sun care cosmetic composition
JP2001316251A (en) * 2000-02-24 2001-11-13 Fuairudo Kk Squalane containing ultrafine particles of carbon combustion residu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360925B2 (en) * 2003-01-27 2009-11-11 ビタミンC60バイオリサーチ株式会社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EP1595936B1 (en) * 2003-01-27 2011-10-19 Vitamin C60 Bioresearch Corporation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JP2004269523A (en) * 2003-02-20 2004-09-30 Shinobu Ito Fullerene topical composition
JP4474225B2 (en) * 2003-07-29 2010-06-02 ビタミンC60バイオリサーチ株式会社 Cosmetic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69917A (en) 2011-02-09
WO2009113426A1 (en) 2009-09-17
JPWO2009113426A1 (en) 2011-07-21
JP5284345B2 (en) 2013-09-11
CN105168008A (en)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5703A (en) Wrinkle inhibiting composition and external skin composition
ES2892958T3 (en) Topical administration of skin compositions having a low PH
US20210121379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two fatty acid esters of (poly)glycerol, and use thereof in cosmetics
CN1761450B (en) Skin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characterized by containing sugar derivative of a,a-trehalose
JP2022511023A (en) New cosmetic and dermatological uses of extracts of Cistus monsperiensis
JP2020128382A (en) Vitamin d-like active agent
JP2008019230A5 (en)
US20230081357A1 (en)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cannabidiol
JP2010013373A (en) Cosmetic suitable for strengthening horny layer cell
JP5106446B2 (en) UV care composition
DK2306999T3 (en)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rosacea comprising chitosan and a dicarboxylsyreamid
JP3807926B2 (en) Topical skin preparation containing ascorbic acid
JP4777738B2 (en)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wrinkles by ADAM activity inhibitors
JP5068091B2 (en) Emulsifier type skin external preparation
JP2010195723A (en) Skin condition restoration promoter
JP2004010505A (en) Cosmetic
JP2004359603A (en) Cell death inhibitor
JP5137786B2 (en) Cleansing cosmetic containing dimer dilinoleic acid diethylene glycol oligomer ester
JP2019172620A (en) Post-inflammatory pigmentation improving agent
KR102105210B1 (en) Cosmetic composition of oil in water emulsion stabilized retinoids derivative
JP2020125254A (en) Cosmetics, cell protectant against ultraviolet rays, and light aging inhibitor
JP2010105947A (en) Skin whitening agent
BRPI1107447A2 (en) Cosmetic makeup, skin care kit, method for treating oily or mixed skin or acne sk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2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12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6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