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3675A - Odor removal device for toilet seat - Google Patents
Odor removal device for toilet sea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33675A KR20100133675A KR1020090052355A KR20090052355A KR20100133675A KR 20100133675 A KR20100133675 A KR 20100133675A KR 1020090052355 A KR1020090052355 A KR 1020090052355A KR 20090052355 A KR20090052355 A KR 20090052355A KR 20100133675 A KR20100133675 A KR 201001336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dor
- toilet
- seat
- suction conduit
- connection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9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8—Odour seals consisting only of non-return valv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용 악취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용변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대와, 상기 좌대의 상측을 덮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후방에서 상기 몸체의 상측에 지지되는 저수탱크를 포함하는 통상의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용변구의 악취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악취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타측에 형성된 후방 악취 흡입 도관과 상기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후방 악취 흡입 도관에 형성된 배출구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후방 연결관과, 상기 후방 연결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후방 악취 흡입 도관을 통해 상기 용변구의 악취를 흡입하는 후방 악취 흡입 팬과, 상기 후방 연결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몸체 내부에 마련된 오수배출관으로 연결되는 후방 악취 배출관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dor removal device for a toilet seat, a body having a toilet is formed therein, a seat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a cover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seat, and the body from the rear of the cover In a conventional toilet comprising a water storage tank suppo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odo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the inlet for inhaling the odor of the toilet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rear odor suc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discharge outlet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duit and the body, the rear connection pipe is connected to one end to the outlet formed in the rear odor suction conduit, and installed inside the rear connection pipe, the odor of the toilet through the rear odor suction conduit A rear odor suction fan and a wastewater drai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ear connection pipe and the other end provided inside the body; It includes a rear odor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pipe.
Description
본 발명은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dor removal device for toilet sea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odor removal device for toilet seats for inhaling and discharging odor generated during toilet.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공건물의 실내에는 화장실이 마련되고, 화장실 내의 악취를 배출하기 위해 창문을 개폐하거나 천장 또는 창문에 환기구를 설치하지만, 용변중인 당사자는 계속하여 악취를 맡을 수밖에 없으며, 환기가 완전히 이루어져서 악취가 모두 제거되기까지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악취가 완전히 제거되기 전에 화장실을 사용하게 되는 다음 사용자는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In general, toilets are provided in homes and public buildings, and windows are opened or vented in ceilings or windows to release odors in toilets, but the toilet is forced to continue to smell bad and is completely ventilated. Since it takes some time to remove all the odors, the next user who uses the toilet before the odors are completely removed may feel unpleasant.
따라서, 최근에는 좌변기에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하여, 용변중에 악취제거기능을 수행하여, 쾌적한 화장실 환경을 제공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by installing a device for removing the odor on the toilet seat, to perform a odor removal function in the toilet, to provide a comfortable toilet environment has been proposed.
그러나, 공지된 문헌을 포함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변기의 좌대에 흡기구를 형성하여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를 흡입한 후에 배기구로 배출함으로써,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를 즉각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좌대 내부에 악취를 흡입하 는 흡입공을 다수 형성시키는 등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비용이 증가하고, 흡입공 내부에 이물질이 침투되는 경우에는 유지보수가 곤란하며, 악취배출관을 통해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in the prior art including the known literature, the inlet is formed on the toilet seat of the toilet to inhale the odor generated at the toilet seat and then discharge it to the exhaust port so that the odor generated at the toilet seat can be removed immediately. Its complicated structure, such as the formation of a large number of suction holes that inhale odors, increases the installation cost, and in case foreign matter penetrates into the suction holes, maintenance is difficult, and odors are prevented from flowing back through the odor discharge pipe. The problem arises when it does not.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내부에 용변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좌대와, 상기 좌대의 상측을 덮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후방에서 상기 몸체의 상측에 지지되는 저수탱크를 포함하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용변구의 악취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악취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타측에 형성된 후방 악취 흡입 도관과, 상기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후방 악취 흡입 도관에 형성된 배출구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후방 연결관과, 상기 후방 연결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후방 악취 흡입 도관을 통해 상기 용변구의 악취를 흡입하는 후방 악취 흡입 팬과, 상기 후방 연결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몸체 내부에 마련된 오수배출관으로 연결되는 후방 악취 배출관을 포함하는 좌변기용 악취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body formed with a toilet ball therein, a seat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a cover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seat and the rear of the cover In the left toilet comprising a water storage tank suppo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the suction port for inhaling the odor of the toilet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rear odor suc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discharge outlet A conduit, a rear connection pip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connected at one end to an outlet formed in the rear odor suction conduit, and installed inside the rear connection pipe, and through the rear odor suction conduit, Sewage odor suction fan that sucks, and sewag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ear connection pipe and the other end provided inside the body. That lead to chulgwa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ilet seat deodorizing device comprising a rear exhaust pipe odor.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르면, 내부에 용변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대와, 상기 좌대의 상측을 덮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후방에서 상기 몸체의 상측에 지지되는 저수탱크를 포함하는 통상의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용변구의 악취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악취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타측에 형성된 후방 악취 흡입 도관과, 상기 몸체의 일측에 마련 되고, 상기 후방 악취 흡입 도관에 형성된 배출구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후방 연결관과, 상기 후방 연결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후방 악취 흡입 도관을 통해 상기 용변구의 악취를 흡입하는 후방 악취 흡입 팬과, 상기 후방 연결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몸체 내부에 마련된 오수배출관으로 연결되는 후방 악취 배출관을 포함하는 좌변기용 악취 제거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and the toilet is formed in the toilet, the seat is installed rotatably on one side of the body, and the cover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seat and And, in the common toilet seat including a water storage tank suppo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at the rear of the cover,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the suction port for inhaling the odor of the toilet is formed on one side to discharge the odor A rear odor suction conduit formed at the other side, a rear connection pip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connected at one end to an outlet formed on the rear odor suction conduit, and installed inside the rear connection pipe, and the rear odor suction A rear malodor suction fan that sucks malodor of the toilet through a conduit,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rear connector and the other end is It provides a odor removal device for the toilet seat comprising a rear odor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sewage discharge pipe provided in the body.
내부에 용변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대와, 상기 좌대의 상측을 덮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후방에서 상기 몸체의 상측에 지지되는 저수탱크를 포함하는 통상의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방 벽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용변구의 악취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악취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용변구 하단에 마련된 공간부까지 연장 형성된 전방 악취 흡입 도관과, 상기 전방 악취 흡입 도관의 배출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용변구 하단에 마련된 공간부에 마련된 전방 연결관과, 상기 전방 연결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 악취 흡입 도관을 통해 상기 용변구의 악취를 흡입하는 전방 악취 흡입 팬과, 상기 전방 연결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몸체 내부에 마련된 오수배출관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전방 악취 배출관을 포함하는 좌변기용 악취 제거장치를 제공한다.A general body including a body having a toilet formed therein, a seat installed rotatably on one side of the body, a cover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seat, and a storage tank suppo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from the rear of the cover. In the left toilet, the front odor suction conduit is formed inside the front wall of the body, the inlet for injecting odor of the toilet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utlet for discharging the odor extends to the space provided in the bottom of the toilet, and th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front odor suction conduit, the front connection pipe provided in the space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oilet, and the inside of the front connection pipe, and the odor of the toilet through the front odor suction conduit A front odor suction fan and a sewage discharge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ront connection pipe and the other end provided inside the body. It provides a toilet seat deodorizing device comprising a front odor discharge pipe being connected to an end.
상기 후방 악취 흡입 도관은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ar malodor suction condu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상기 전방 악취 흡입 도관은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ont malodor suction condu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 용변중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고, 좌변기 몸체의 일측에 후방 악취 흡입팬과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후방 연결관이 설치되므로, 설치공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설치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scharge the odor generated in the toilet while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the rear connection pipe including a rear odor suction fan and a check valv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oilet bowl body, installation It is not affected by space and the installation cost is low.
또한, 후방 체크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좌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후방 악취 흡입팬의 작동에 연동하여 개폐작동함으로써 그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rear check val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dor flow back when the toilet seat is not u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 is convenient by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rear odor suction fa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dor removal device for the toi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다른 좌변기 내부 구성도, 도 4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악취 흡입 장치의 설치 구성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ft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left toil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toil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s an installation configuration diagram of a malodor suc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는 좌변기 몸체(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후방 악취 흡입 도관(120)과, 상기 후방 악취 흡입 도관(120)의 악취 배출구()의 단부에 연결되며 후방 악취 흡입 팬(112)과 후방 체크밸브(132)를 내부 소정 위치에 포함하는 후방 연결관(110)과, 상기 후방 연결관(110)과 오수배출관(200)을 연결하는 후방 악취 배출관(130)을 포함한다.The odor removing device for the toil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ar
여기서 좌변기는, 내부에 용변구(11)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좌대(20)와, 상기 좌대(20)의 상측을 덮는 커버(30)와, 상기 커버(30)의 후방에서 상기 몸체(10)의 상측에 지지대는 저수탱크(40)를 포함하는 통상의 것으로서, 비데가 설치된 것도 또한 포함된다.Here, the toilet seat, the
도 1 내지 2을 참조하면, 좌변기 몸체(10)의 상부 내부에는 저수탱크(40)로부터 연결 설치되는 수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로 내에는 용변구(11) 내부에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공(미도시)이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1 to 2, a water channel (not shown) connected to and installed from the
후방 악취 흡입 도관(120)은 수로가 형성되어 있는 좌변기 몸체(10)의 상면 소정 위치에 형성된다. 후방 악취 흡입 도관(120)은 좌변기 몸체(10)의 제조시 함께 형성된다.The rear
또한, 후방 악취 흡입 도관(120)의 전단부에는 악취를 흡입하기 위한 악취 흡입구(122)가 마련되고 후단부에는 악취를 배출하기 위한 악취 배출구()가 마련된다.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rear
후방 연결관(110)의 일단부는 후방 악취 흡입 도관(120)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좌변기 몸체(10)의 하면 소정 위치에 개구를 형성하여 오수배출관(200)에 연결된다. One end of the
후방 연결관(110)의 내부에는 악취를 흡입하기 위한 후방 악취 흡입 팬(112)과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후방 체크밸브(132)가 상기 후방 악취 흡입 팬(112)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된다.A rear
따라서, 후방 악취 흡입 도관(120)으로 흡입된 악취는 후방 악취 흡입 팬(112)의 작동에 의해 후방 연결관(110)으로 이송되어 후술하는 후방 악취 배출관(130)을 통해 오수 배출관(200)으로 이송된다.Accordingly, the odor sucked into the rear
후방 악취 흡입 팬(112)은 화장실 조명등 스위치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화장실 조명등을 켜면 후방 악취 흡입 팬(112)이 작동하고, 조명등을 끄면 후방 악취 흡입 팬(112)의 작동이 정지된다.The rear
또한, 타이머(미도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에도 팬이 일정시간 작동하도록 하여 악취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timer (not shown) can be used to allow the fan to operate for a certain time even after the user sees the toilet to discharge the odor.
아울러, 후방 악취 흡입 팬(112)의 구동 모터와 조명등 스위치(미도시)를 연결하는 전선은 외관상 보이지 않도록, 좌변기 몸체(10)의 바닥면을 통해 화장실 벽 내부로 배선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치와 사용상 편의를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화장실 벽면에 마련된 콘센트에 후방 악취 흡입 팬(112)의 전원 플러그를 꽂아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ire connecting the drive motor of the rear
또한, 좌변기 몸체(10)의 외주면 상측에 압력스위치나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좌대(20)에 착석하는 순간 후방 악취 흡입 팬(112)의 작동하도록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pressure switch or a pressure senso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후방 체크밸브(132)는 후방 연결관(110)의 내부 소정 위치에 마련되며, 후방 악취 흡입팬(112)이 작동할 때 발생하는 공기의 압력으로 개폐작동을 하는 자중밸브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후방 악취 배출관(130)의 일단은 후방 연결관(110)에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좌변기 몸체(10) 내부에 구비된 오수 배출관(200)에 연결된다.One end of the rear
여기서, 후방 악취 배출관(130)의 일단부는 오수 배출관(200)에 구멍을 뚫어 연결하며, 이때 후방 악취 배출관(130)의 끝단을 하측으로 구부려서 오수가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one end of the rear
또한, 후방 악취 배출관(130)은 좌변기 내부구조와 오수 배출관(200)에 연결되는 방식에 따라서 PVC관, 비닐호스, 고무호스 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악취 제거 장치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반복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Figure 3 shows a bad smell removal apparatus for the toilet sea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repeated descriptions of overlapping portions will be omitted.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악취 제거장치는 몸체(10)의 전방 벽면을 따라 형성된 전방 악취 흡입 도관(220)과, 상기 전방 악취 흡입 도관(220)과 연결되고, 전방 악취 흡입 팬(212)과 전방 체크밸브(232)를 내부 소정 위치에 포함하는 전방 연결관(210)과, 상기 전방 연결관(210)과 오수배출관(200)을 연결하는 전방 악취 배출관(2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odor removing apparatus for the toil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front
전방 악취 흡입 도관(220)은 몸체(10)의 전방 벽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용변구 하단에 마련된 공간부(240)에 마련된다.The front
전방 연결관(210)은 상기 용변구 하단에 마련된 공간부(240)에 마련되고, 상기 전방 연결관(210)의 일단부는 전방 악취 흡입 도관(20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전방 악취 배출관(230)에 연결된다.The
전방 악취 흡입 도관(220)으로 흡입된 악취는 전방 악취 흡입 팬(212) 작동에 의해 전방 연결관210)으로 이송되어 후술하는 전방 악취 배출관(230)을 통해 오 수 배출관(200)으로 이송된다.The odor sucked into the front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odor removal device for toile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아울러,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의 작동과정이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 제1 실시예의 작동과정만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only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since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사용자가 화장실 벽면에 설치된 내부 조명등을 켜면, 후방 악취 흡입 팬(112)의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고, 후방 악취 흡입 팬(112)이 작동한다.When the user turns on the internal lighting installed on the toilet wall, the motor of the rear
여기서, 조명등의 작동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모터의 전원은 사용자의 감전사고를 방지 하기 위해 변압기(미도시)등을 사용하여 DC 12~24V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ower of the motor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lamp is preferably converted to DC 12 ~ 24V using a transformer (not shown) to prevent the user from electric shock.
이후,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는 후방 악취 흡입 도관(120)을 통해 후방 연결관(110) 내부에 마련된 후방 흡입팬(112)에 의해 후방 연결관(110) 내부로 이송되고, 후방 악취 배출관(130)을 따라 이동한 후 오수 배출관(200)을 통해 배출된다.Thereafter, the odor generated during the toilet is transferred into the
또한, 좌변기 사용 후, 사용자가 조명등을 끄게 되면 후방 악취 흡입 팬(112)의 작동이 정지하게 되고, 후방 악취 흡입 팬(112)의 작동이 정지함과 동시에 후방 체크밸브(132)가 자중에 의해 회동하여 후방 연결관(110)과 후방 악취 배출관(130)의 사이를 폐쇄하게 되고, 악취의 역류가 방지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turns off the lamp after using the toilet, the operation of the rear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 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내부 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left toil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내부 구성도.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toilet in accordance wit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악취 흡입 장치의 설치 구성도.4 is an installation configuration diagram of a malodor suc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좌변기 몸체 220; 전방 악취 흡입 도관10;
11; 용변구 230; 전방 악취 배출관11;
20; 좌대 232; 전방 체크 밸브20;
30; 커버 240; 공간부30;
40; 저수탱크40; Water tank
110; 후방 연결관110; Rear connector
112; 후방 악취 흡입팬112; Rear odor suction fan
120; 후방 악취 흡입 도관120; Rear odor suction conduit
122; 악취 흡입구122; Odor Intake
130; 후방 악취 배출관130; Rear odor discharge pipe
132; 후방 체크 밸브132; Rear check valve
200; 오수 배출관200; Sewage discharge pipe
210; 전방 연결관210; Anterior connector
212; 전방 악취 흡입팬212; Front odor suction fan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2355A KR20100133675A (en) | 2009-06-12 | 2009-06-12 | Odor removal device for toilet sea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2355A KR20100133675A (en) | 2009-06-12 | 2009-06-12 | Odor removal device for toilet sea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3675A true KR20100133675A (en) | 2010-12-22 |
Family
ID=43508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2355A Ceased KR20100133675A (en) | 2009-06-12 | 2009-06-12 | Odor removal device for toilet sea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33675A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93829A3 (en) * | 2011-01-04 | 2012-11-08 | Kim Dong Hwan | Toilet stool |
KR101250042B1 (en) * | 2011-01-04 | 2013-04-02 | 김동환 | The toilet stool having a equipment of removing odor and physiological sound offset function |
KR101368088B1 (en) * | 2012-10-17 | 2014-02-27 | 정인기 | Offensive odor treatment apparatus for a chamber pot in toilet |
KR20170003010A (en) | 2015-06-30 | 2017-01-09 | 최태열 | A Odor Removal Device of the Toilet Bowl |
KR200495719Y1 (en) * | 2021-11-04 | 2022-08-02 | 문기선 | Odor removal device for toilet seat |
WO2025110735A1 (en) * | 2023-11-21 | 2025-05-30 | 김기욱 | Odor-removing toilet having pressure sensor-based ventilation structure |
-
2009
- 2009-06-12 KR KR1020090052355A patent/KR20100133675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93829A3 (en) * | 2011-01-04 | 2012-11-08 | Kim Dong Hwan | Toilet stool |
KR101250042B1 (en) * | 2011-01-04 | 2013-04-02 | 김동환 | The toilet stool having a equipment of removing odor and physiological sound offset function |
KR101368088B1 (en) * | 2012-10-17 | 2014-02-27 | 정인기 | Offensive odor treatment apparatus for a chamber pot in toilet |
KR20170003010A (en) | 2015-06-30 | 2017-01-09 | 최태열 | A Odor Removal Device of the Toilet Bowl |
KR200495719Y1 (en) * | 2021-11-04 | 2022-08-02 | 문기선 | Odor removal device for toilet seat |
WO2025110735A1 (en) * | 2023-11-21 | 2025-05-30 | 김기욱 | Odor-removing toilet having pressure sensor-based ventilation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89213B2 (en) | Self-ventilating toilet | |
JP2017504739A (en) | Flush toilet seat with a bad smell removal function | |
US20090044320A1 (en) | Self-ventilating toilet | |
KR20100133675A (en) | Odor removal device for toilet seat | |
JP4800982B2 (en) | Toilet seat with air circulation | |
US7103925B2 (en) | Odor eliminating system for a toilet, toilet including the odor eliminating system, and toilet seat assembly | |
JP2010285863A (en) | Ventilated toilet | |
KR20110054379A (en) | Toilet bowl removable fan | |
KR102130169B1 (en) | A odor dis charge equipment of toilet bowl | |
KR102130170B1 (en) | A odor dis charge equipment of toilet bowl | |
KR101485132B1 (en) | Smell exhausting device toilet | |
CN202809786U (en) | Closestool ventilation mechanism | |
KR200442285Y1 (en) | Odor removal device for toilet seat | |
KR200492905Y1 (en) | Toilet bowl with smell removal device | |
US20140338111A1 (en) | Odor Eliminating System for a Toilet | |
US11149425B2 (en) | Ventilated toilet | |
KR101415178B1 (en) | Toilet smell ventilator | |
KR20210080909A (en) | Air circulation type odor discharger for toilet stools | |
KR20190089256A (en) | Toilet bowl with smell removal device | |
CN210658591U (en) | Full-automatic deodorization toilet bowl | |
KR200448605Y1 (en) | Toilet seat odor removal device | |
KR20070011220A (en) | Odor removal device for toilet | |
KR200306436Y1 (en) | Chamber pot the has of function a smell compulsion removal | |
CN210917626U (en) | Deodorant closestool | |
CA2347273C (en) | System for directly venting odour air from toilet bow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1229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104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