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0780A -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 - Google Patents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30780A KR20100130780A KR1020090049472A KR20090049472A KR20100130780A KR 20100130780 A KR20100130780 A KR 20100130780A KR 1020090049472 A KR1020090049472 A KR 1020090049472A KR 20090049472 A KR20090049472 A KR 20090049472A KR 20100130780 A KR20100130780 A KR 201001307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insulating
- tank
- gap
- adhesive surface
- insulating materi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6—Cover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1—Thermal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cryogenic vess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12—Wall structures
- F17C2203/0614—Single wall
- F17C2203/0619—Single wall with two lay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7—Assembling processes by adhesive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5/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가 개시된다. 일 측이 탱크의 외측면에 대향하는 지지부 및 상기 기지부의 타 측에 형성된 돌출부가 층을 이루는 단위체로서 상기 탱크의 외측면에 연속 설치되는 단열패널; 및 인접한 상기 단열패널의 대향하는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갭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갭에 삽입 설치되는 제 1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갭은 상기 탱크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상기 갭을 한정하는 상기 인접한 단열패널의 대향하는 돌출부에는 각각 상기 제 1 단열재가 접하여 접착되는 단열패널 접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단열재에는 상기 단열패널 접착면에 대응하는 제 1 단열재 접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는 인접한 단열패널 사이에 형성된 갭이 탱크 측으로 갈수록 좁아짐으로써, 갭을 한정하는 인접한 단열패널과 제 1 단열재를 접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가 갭의 입구로부터 쓸리지 않고, 제 1 단열재가 인접한 단열패널 사이에 신뢰성 있게 접착될 수 있다.
액화천연가스, 단열, 단열패널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접착 성능이 향상되도록 구성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은 화물창의 형태에 따라 크게 독립탱크형과 멤브레인형으로 나뉜다. 여기서, 독립탱크형은 다시 모스(MOSS)형과 SPB(self-supporting plasmatic B)형으로 분류되고, 멤브레인형은 GTT Mark-III와 GTT NO 96으로 분류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화물창들은 각각 그 내부에 저장되는 액화천연가스가 극저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열구조체를 구비한다.
특히, SPB형 화물창의 단열구조체와 관련하여 한국특허 제016660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SPB형 화물창의 단열구조체는 탱크의 외부표면에 연속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단열판넬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단열판넬은 단차가 형성되고, 인접한 단열판넬 사이에는 단차로 인한 갭이 형성된다. 이 때, 갭을 한정하는 인접한 단열판넬의 측면은 탱크의 외부표면에 대해 수직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갭을 밀폐시키기 위해 갭에 단열재를 삽입하거나 단열 접합부재 및 단열재를 순차적으로 삽입 설치한다. 단열재 또는 단열 접합부재의 측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고, 접착제가 도포된 측면이 단열판넬의 측면과 접착된다.
한편, SPB형 화물창의 단열구조체의 단열성능과 관련하여 단열재 또는 단열 접합부재가 갭을 효과적으로 밀폐시켜야만 단열구조체의 단열성능이 향상된다. 이와 관련하여 갭을 효과적으로 밀폐시키기 위해서는 단열재 또는 단열 접합부재가 단열 판넬에 신뢰성 있게 접착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단열판넬 사이의 갭을 한정하는 인접한 단열판넬의 측면이 탱크의 외부표면에 대해 수직하게 이루어져 있어, 접착제가 도포된 단열재 또는 단열접합부재가 갭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접착제의 대부분이 갭의 입구 측에서 쓸려나간다. 이로 인해, 갭에 완전히 삽입된 단열재 또는 단열 합부재가 단열판넬의 측면과 신뢰성 있게 접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단열재 또는 제 2 단열재와 단열패널간 접착성능이 향상되도록 구성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단열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 측이 탱크의 외측면에 대향하는 지지부 및 상기 기지부의 타 측에 형성된 돌출부가 층을 이루는 단위체로서 상기 탱크의 외측면에 연속 설치되는 단열패널; 및 인접한 상기 단열패널의 대향하는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갭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갭에 삽입 설치되는 제 1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갭은 상기 탱크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상기 갭을 한정하는 상기 인접한 단열패널의 대향하는 돌출부에는 상기 제 1 단열재가 각각 접하여 접착되는 단열패널 접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단열재에는 상기 단열패널 접착면에 대응하는 제 1 단열재 접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단열패널 접착면은 상기 인접한 단열패널이 설치된 탱크의 외측면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예각을 이룰 수 있고, 상기 갭의 횡단면은 등변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 측이 탱크의 외측면에 대향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타 측에 형성된 돌출부가 층을 이루는 단위체로서 상기 탱크의 외측면에 연속 설치되는 단열패널; 및 인접한 상기 단열패널의 대향하는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탱크 측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제 1 갭 및 제 2 갭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제 1 갭 및 제 2 갭에 각각 삽입 설치된 제 1 단열재 및 제 2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갭 및 제 2 갭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탱크측으로 갈수 록 좁아지고, 상기 제 1 갭을 한정하는 상기 인접한 단열패널의 대향하는 돌출부에는 상기 제 1 단열재가 각각 접하여 접착되는 제 1 단열패널 접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단열재에는 상기 제 1 단열패널 접착면에 대응하는 제 1 단열재 접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갭을 한정하는 상기 인접한 단열패널의 대향하는 돌출부에는 상기 제 2 단열재가 각각 접하여 접착되는 제 2 단열패널 접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단열재에는 상기 제 2 단열패널 접착면에 대응하는 제 2 단열재 접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단열패널 접착면 및 제 2 단열패널 접착면은 각각 상기 탱크의 외측면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동일한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 1 단열패널 접착면 및 제 2 단열패널 접착면은 상기 탱크의 외측면에수직한 평면에 대해 상이한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 1 단열패널 접착면은 상기 탱크의 외측면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평행하고, 상기 제 2 단열패널 접착면은 상기 탱크의 외측면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 1 단열패널 접착면은 상기 탱크의 외측면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고, 상기 제 2 단열패널 접착면은 상기 탱크의 외측면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 2 단열재는 탄성 변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접한 단열패널 사이에 형성된 갭이 탱크 측으로 갈수록 좁아짐으로써, 갭을 한정하는 인접한 단열패널과 제 1 단열재를 접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가 갭의 입구로부터 쓸리지 않고, 제 1 단열재가 인접한 단열패널 사이에 신뢰성 있게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단열패널 사이에 형성된 제 1 갭 및 제 2 갭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탱크 측으로 갈수록 좁아짐으로써, 제 1 단열재 및 제 2 단열재를 인접한 단열패널에 접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가 제 1 갭 및 제 2 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구에서 쓸리지 않고, 제 1 단열재 및 제 2 단열재가 인접한 단열패널 사이에 신뢰성 있게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단열패널 사이에 형성된 갭의 간격이 기준 간격과 다른 경우에도 단열패널 접착면 및 제 1 단열재 접착면 또는 제 2 단열재 접착면이 탱크의 외측면에 수직한 직선에 대해 동일한 각도를 이룸으로써, 제 1 단열재 또는 제 2 단열재는 최초 가공 후 추가적인 가공 없이 단열패널 접착면과 신뢰성 있게 접착될 수 있고, 탱크의 외측면에 단열구조체를 설치하는 공정이 편리해 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10)는 단열패널(20) 및 제 1 단열재(30)를 포함한다.
상기 단열패널(20)은 일 측이 탱크(52)의 외측면에 대향하는 지지부(22) 및 상기 기지부(22)의 타 측에 형성된 돌출부(24)가 층을 이루는 단위체로서 상기 탱크(52)의 외측면에 연속 설치된다.
상기 단열패널(20)은 단열성능이 좋은 재료,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열패널(20)은 탱크(52)의 외측면에 용접 설치되는 스터드볼트(54)에 결합되어 탱크(52)의 외측면에 연속하여 설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접한 단열패널(20a, 20b)의 대향하는 돌출부(24a, 24b) 사이에는 갭(50)이 형성되고, 상기 갭(50)에는 후술하는 제 1 단열재(30)가 삽입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갭(50)을 한정하는 상기 대향하는 돌출부(24a, 24b)에는 각각 상기 제 1 단열재(30)가 각각 접하여 접착되는 단열패널 접착면(25a, 25b)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갭(50)은 상기 탱크(52) 측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단열패널 접착면(25a, 25b)은 상기 인접한 단열패널(20a, 20b)이 설치된 탱크(52)의 외측면에 수직한 평면(A)에 대해 예각을 이룬다. 이로 인해, 상기 갭(50)은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횡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탱크(52)의 외측면에 수직한 평면(A)에 대해 도 1에서는 직선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이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 1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열패널 접착면(25a, 25b)이 탱크의 외측면에 수직한 평면(A)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평면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인접한 단열패널 사이에 형성된 갭이 탱크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경우라면 곡면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인접한 단열패널(20a, 20b) 각각의 지지부(22a, 22b)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공간(5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이격공간(56)에는 저온에서 탄성을 갖는 글라스 울(glass wool)과 같은 단열물질(58)이 충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한 단열패널(20a, 20b) 사이에 형성된 갭(50)과 이격공간(56)의 경계면에는 단열 테이프(51)가 설치된다. 상기 단열 테이프(51)는 상기 갭(50)과 이격공간(56)을 차단하기 위해 인접한 단열패널(20a, 20b) 각각의 지지부(22a, 22b) 일측면에 연속적으로 접착된다.
한편, 인접한 단열패널(20a, 20b) 사이에 형성된 갭(50)에는 제 1 단열재(30)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제 1 단열재(30) 는 상기 갭(50)을 밀폐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단열패널 대상면(25a, 25b)에 대응하는 제 1 단열재 접착면(35)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1 단열재(30)는 탱크(52) 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갭(5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종래와 달리 상기 제 1 단열재 접착면(35)에 도포된 접착제가 도중에 쓸려 나가는 일 없이 상기 단열패널 대상면(25a, 25b)에 접하여 신뢰성 있게 접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 1 단열재(30)는 상기 갭(50)을 신뢰성 있게 밀폐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단열재(30)를 상기 갭(50)에 삽입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는 반드시 상기 제 1 단열재 접착면(35)에만 도포될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상기 단열패널 대상면(25a, 25b)에 도포될 수 있고, 상기 제 1 단열재 접착면(35) 및 상기 단열패널 대상면(25a, 25b)에 모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제 1 단열재(30)는 단열성능과 탄성이 좋은 재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단열패널(20)은 단열성능이 우수한 재료,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단열패널(20)과 제 1 단열재(30)는 상이한 재질이나, 제 1 단열재(30)가 탄성이 있으므로 단열패널(20)이 수축 및 팽창을 할 때 제 1 단열재(30)의 탄성 작용으로 인해 단열패널(20)과의 접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열패널(20)을 탱크(52)의 외측면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 등으로 인해 인접한 단열패널(20a, 20b)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56)의 간격이 기준값과 차이가 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계상 이격공간(56)의 기준 간격이 15mm일 때 설치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로 실제 간격이 14mm 또는 16mm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격공간의 간격 차이로 인해, 제 1 단열재가 삽입 설치되는 실제 갭의 간격도 그 기준과 차이가 발생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향하는 돌출부(24a, 24b)의 단열패널 접착면(25a, 25b) 및 이에 접하여 접착되는 제 1 단열재(30)의 접착면(35)이 탱크(52)의 외측면에 수직한 직선(A)에 대 해 동일한 각도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실제 갭의 간격과 기준 간격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단열재(30)는 최초 가공 후 추가적인 가공 없이 상기 단열패널 접착면(25a, 25b)과 신뢰성 있게 접착될 수 있어, 탱크의 외측면에 단열구조체를 설치하는 공정이 편리해 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단열구조체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100)는 단열패널(120a, 120b), 제 1 단열재(130) 및 제 2 단열재(14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하지 아니하고,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특별한 설명이 없는 경우에는 앞선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간주하여 앞선 일 실시예의 설명으로 갈음하도록 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징적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접한 단열패널(120a, 120b)의 대향하는 돌출부(124a, 124b) 사이에는 제 1 갭(150a) 및 제 2 갭(150b)이 형성된다. 제 1 갭(150a) 및 제 2 갭(150b)에는 각각 제 1 단열재(130) 및 제 2 단열재(140)가 삽입 설치되고, 이로 인해 제 1 갭(150a) 및 제 2 갭(150b)은 밀폐된다.
여기서, 제 1 갭(150a)을 한정하는 상기 대향하는 돌출부(124a, 124b)에는 각각 제 1 단열재(130)가 접하여 접착되는 제 1 단열패널 접착면(126a, 126b)이 형 성된다.
또한, 제 2 갭(150b)를 한정하는 상기 대향하는 돌출부(124a, 124b)에는 각각 상기 제 2 단열재(140)가 접하여 접착되는 제 2 단열패널 접착면(127a, 127b)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갭(150a) 및 제 2 갭(150b)은 각각 탱크(52) 측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단열패널 접착면(126a, 126b) 및 제 2 단열패널 접착면(127a, 127b)은 각각 탱크(52)의 외측면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예각을 이룬다.
나아가 제 1 단열패널 접착면(126a, 126b) 및 제 2 단열패널 접착면(127a, 127b)은 각각 탱크(52)의 외측면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동일한 각도를 이룬다.
다만, 도 2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열패널 접착면(126a, 126b) 및 제 2 단열패널 접착면(127a, 127b)의 형상은 예시에 불과하며, 제 1 갭 및 제 2 갭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탱크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하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단열패널 접착면 및 제 2 단열패널 접착면은 각각 탱크의 외측면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상이한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또는 도 3과 같이, 제 1 단열패널 접착면(226a, 226b)은 탱크(52)의 외측면에 수직한 평면(A)에 대해 평행하고 및 제 2 단열패널 접착면(227a, 227b)은 탱크(52)의 외측면에 수직한 평면(A)에 대해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또는 도 4와 같이, 제 1 단열패널 접착면(326a, 326b)은 탱크(52)의 외측면 에 수직한 평면(A)에 대해 예각을 이루고, 제 2 단열패널 접착면(327a, 327b)은 탱크(52)의 외측면에 대해 평행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제 1 갭(150a)에는 제 1 단열재(130)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제 1 단열재(130)는 상기 제 1 갭(150a)을 밀폐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제 1 단열패널 대상면(126a, 126b)에 대응하는 제 1 단열재 접착면(135)을 구비한다.
또한, 제 2 갭(150b)에는 제 2 단열재(140)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제 2 단열재(140)는 상기 제 2 갭(150b)를 밀폐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제 2 단열패널 대상면(127a, 127b)에 대응하는 제 2 단열재 접착면(145)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1 단열재(130) 및 제 2 단열재(140)는 탱크(52) 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제 1 갭(150a) 및 제 2 갭(150b)에 삽입되는 제 1 단열재 접착면(135) 및 제 2 단열재 접착면(145)에 도포된 접착제가 도중에 쓸려 나가는 일 없이 제 1 단열패널 접착면(126a, 126b) 및 제 2 단열패널 접착면(127a, 127b)에 접하여 신뢰성 있게 접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단열재(130) 및 제 2 단열재(140)는 제 1 갭(150a) 및 제 2 갭(150b)을 신뢰성 있게 밀폐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열재(130) 및 제 2 단열재(140)를 각각 제 1 갭(150a) 및 제 2 갭(150b)에 삽입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는 반드시 제 1 단열재 접착면(135) 및 제 2 단열재 접착면(145)에만 도포될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제 1 단열패널 접착면(126a, 126b) 및 제 2 단열패널 접착면(127a, 127b)에 도포되거나 또는 제 1 단열재 접착면(135), 제 2 단열재 접착면(145), 제 1 단열패널 접착 면(126a, 126b) 및 제 2 단열패널 접착면(127a, 127b)에 모두 도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단열재(140)는 상기 단열패널(120)과 동일하게 폴리우레탄 폼 같이 단열성능이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단열재(140)는 탄성변형부(141)를 구비한다.
탄성변형부(141)는 단열패널(120)이 수축 및 팽창하는 과정에서 제 2 단열재(140)를 탄성적으로 반응하게 한다. 이와 같은 탄성변형부(141)는 노치(141a) 및 슬릿(141b)의 형태로 제 2 단열재(140)에 형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단열패널 22 : 지지부
24 : 돌출부 25a, 25b : 단열패널 접착면
30 : 제 1 단열재 35 : 제 1 단열재 접착면
40 : 제 2 단열재 50 : 갭
Claims (9)
- 일 측이 탱크의 외측면에 대향하는 지지부 및 상기 기지부의 타 측에 형성된 돌출부가 층을 이루는 단위체로서 상기 탱크의 외측면에 연속 설치되는 단열패널; 및인접한 상기 단열패널의 대향하는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갭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갭에 삽입 설치되는 제 1 단열재를 포함하고,상기 갭은 상기 탱크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고,상기 갭을 한정하는 상기 인접한 단열패널의 대향하는 돌출부에는 각각 상기 제 1 단열재가 접하여 접착되는 단열패널 접착면이 형성되고,상기 제 1 단열재에는 상기 단열패널 접착면에 대응하는 제 1 단열재 접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단열패널 접착면은 상기 인접한 단열패널이 설치된 탱크의 외측면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
- 제2항에 있어서,상기 갭의 횡단면은 사다리꼴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
- 일 측이 탱크의 외측면에 대향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타 측에 형성된 돌출부가 층을 이루는 단위체로서 상기 탱크의 외측면에 연속 설치되는 단열패널; 및인접한 상기 단열패널의 대향하는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탱크 측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제 1 갭 및 제 2 갭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제 1 갭 및 상기 제 2 갭에 각각 삽입 설치된 제 1 단열재 및 제 2 단열재를 포함하고,상기 제 1 갭 및 상기 제 2 갭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탱크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고,상기 제 1 갭을 한정하는 상기 인접한 단열패널의 대향하는 돌출부에는 각각상기 제 1 단열재가 접하여 접착되는 제 1 단열패널 접착면이 형성되고,상기 제 1 단열재에는 상기 제 1 단열패널 접착면에 대응하는 제 1 단열재 접착면이 형성되고,상기 제 2 갭을 한정하는 상기 인접한 단열패널의 대향하는 돌출부에는 각각 상기 제 2 단열재가 접하여 접착되는 제 2 단열패널 접착면이 형성되고,상기 제 2 단열재에는 상기 제 2 단열패널 접착면에 대응하는 제 2 단열재 접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단열패널 접착면 및 상기 제 2 단열패널 접착면은 각각 상기 탱크의 외측면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동일한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단열패널 접착면 및 상기 제 2 단열패널 접착면은 각각 상기 탱크의 외측면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상이한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단열패널 접착면은 상기 탱크의 외측면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평행하고, 상기 제 2 단열패널 접착면은 상기 탱크의 외측면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단열패널 접착면은 상기 탱크의 외측면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고, 상기 제 2 단열패널 접착면은 상기 탱크의 외측면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제 2 단열재는 탄성 변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9472A KR20100130780A (ko) | 2009-06-04 | 2009-06-04 |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9472A KR20100130780A (ko) | 2009-06-04 | 2009-06-04 |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0780A true KR20100130780A (ko) | 2010-12-14 |
Family
ID=43506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9472A KR20100130780A (ko) | 2009-06-04 | 2009-06-04 |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30780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587650A (zh) * | 2013-10-30 | 2014-02-19 | 惠生(南通)重工有限公司 | 一种用于超低温设备的固定底座 |
CN107957001A (zh) * | 2017-11-30 | 2018-04-24 | 惠生(南通)重工有限公司 | Spb储罐堆积式绝缘系统 |
-
2009
- 2009-06-04 KR KR1020090049472A patent/KR2010013078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587650A (zh) * | 2013-10-30 | 2014-02-19 | 惠生(南通)重工有限公司 | 一种用于超低温设备的固定底座 |
CN107957001A (zh) * | 2017-11-30 | 2018-04-24 | 惠生(南通)重工有限公司 | Spb储罐堆积式绝缘系统 |
WO2019105170A1 (zh) * | 2017-11-30 | 2019-06-06 | 惠生(南通)重工有限公司 | Spb储罐堆积式绝缘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39048B2 (en) | Sealed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equipped with a reinforcing piece | |
CN100453402C (zh) | 液化天然气储罐及其制造方法 | |
KR101430568B1 (ko) | 단열 탱크용 벽을 제조하는 방법 | |
KR100760481B1 (ko) | 액화천연가스의 저장 시스템 | |
KR101505798B1 (ko) | 베이스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창 | |
KR101650308B1 (ko) | 냉장고 | |
US9016222B2 (en) | Cargo hold of a vessel for transporting liquefied gas | |
KR20080049623A (ko) | 접착제의 웨이브형 비드를 이용한 접착성 접합에 의해 액화가스 운송 탱크용 단열 블록을 고정시키는 방법 | |
KR20120131902A (ko) |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구조 | |
KR20100130780A (ko) |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 | |
KR20090096901A (ko) |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인슐레이션 구조와 그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
KR101523906B1 (ko) | 베이스서포트와 화물창 단열방벽 간의 연결구조체 | |
KR20120134596A (ko) |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구조 | |
EP3798495B1 (en) | Insulation device for low-temperature pipe | |
KR101159175B1 (ko) |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용 단열구조체 및 단열패널 | |
KR20090115673A (ko) |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의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인슐레이션 패널 | |
KR102538602B1 (ko) | 멤브레인 손상 방지를 위한 브릿지 구조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 |
KR100998548B1 (ko) | 화물창의 인슐레이션 패널 | |
KR20110068146A (ko) |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체 | |
KR20150095240A (ko) | 화물창용 베이스서포트 | |
KR200484440Y1 (ko) | Lng 선박의 화물창 패널연결부의 접착패치 | |
US20230366512A1 (en) | Method for assembling and installing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 |
KR101571419B1 (ko) | 액화가스 화물창의 단열구조체 및 이의 설치방법 | |
KR101280534B1 (ko) | 액상 화물 화물창의 단열구조체를 제작하는 방법 | |
KR101523908B1 (ko) | 연결보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