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882A - 더덕 추물물 또는 더덕 사포닌 분획을 포함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더덕 추물물 또는 더덕 사포닌 분획을 포함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16882A KR20100116882A KR1020090035529A KR20090035529A KR20100116882A KR 20100116882 A KR20100116882 A KR 20100116882A KR 1020090035529 A KR1020090035529 A KR 1020090035529A KR 20090035529 A KR20090035529 A KR 20090035529A KR 20100116882 A KR20100116882 A KR 201001168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ir
- composition
- saponin
- deodeok
- hair grow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4—Codonops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의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또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의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발모 또는 양모를 촉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제품은 사람 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이나, 털을 채취하거나 모피를 이용하는 동물에 적용할 수 있다.
더덕, 사포닌, 발모, 양모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모제, 발모촉진제, 육모제, 양모제, 탈모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의 사포닌을 함유하는 발모, 육모, 양모 또는 이의 촉진을 위한 조성물, 또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비정상적으로 털이 많이 빠지는 탈모증은 화학적 요인, 유전학적인 요인, 오염원, 모근의 영양결핍, 내분비계의 장애, 노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일어난다. 탈모증은 종래에는 남성형 탈모가 주종을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여성 및 젊은 층으로 확산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경제 위기가 심화되고 이에 따른 실직이나 구직의 어려움으로 인해 불안감과 스트레스에 노출되면서 머리카락이 빠지는 증상을 호소하고 있는 탈모환자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정상인의 경우 머리카락이 하루에 50~70개가 빠지지만, 스트레스에 의한 탈모는 하루에 100개 이상 빠지는 현상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모발학 회에 따르면 서양인은 성인의 50% 이상이 대머리가 될 가능성이 있으며 한국 사람은 성인의 15~20% 정도가 될 만큼 흔한 일이다. 국내 탈모인구는 약 900만명으로 추정된다.
심한 탈모현상이 생기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유전적인 배경과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이 주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스트레스가 가장 두드러진 탈모 촉진 원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스트레스에 의한 탈모현상에 관한 명확한 기전은 충분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다만 쥐를 통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스트레스는 털집(모낭) 주위에 염증을 일으켜 털의 퇴행기를 앞당기고, 결과적으로 털이 자라는 것을 억제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스를 계속 받으면 뇌와 두피에 열이 발생하고 혈액공급이 부족해져 모발은 영양불량 상태가 된다. 스트레스성 열기운이 얼굴로 지나치게 몰리게 되면 두피의 피지선이 자극돼 피지가 모공을 막아 탈모를 유발하거나 두피의 모세혈관을 자극해 두피를 민감하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스트레스에 의한 탈모는 스트레스를 예방해주거나 조절해 주는 약물 사용시 매우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빠르게 진행되는 탈모 예방 외에도 머리카락의 촉진 기능을 나타내는 약물사용을 통해 어느 정도 스트레스성 탈모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탈모치료 또는 발모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많은 물질들이 보고되어 있기는 하지만 현재까지 탈모된 모발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은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효과가 좋을 뿐 만 아니라, 안정적이고 제조 시 경제성이 있는 발모촉진, 양모 또는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품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더덕(Codonopsis lanceolata Benth et Hook)은 초롱꽃과(Campahutaceae)에 속하는 다년생 덩쿨성 식물로서, 면역증강 및 항암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57317호에 임파구세포의 증식과 대식세포에서 NO의 조절, iNOS 유전자 발현 및 사이토카인 발현의 조절을 통하여 자양 및 강장 효과의 증강에 기여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12812호에는 더덕의 열수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이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88129호에는 가시오갈피 추출물, 더덕 추출물, 양송이 버섯 추출물 및 맛타리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며 면역 활성을 향상시키는 정제형 기능성 우유 조성물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10963호에는 더덕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생식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양인의 면역증강 조성물이 기재 되어 있다.
한국에서 배양된 C. lanceolate에서 7가지 3,28-bidesmosidic triterpenoid saponin이 확인 되었다. 이 saponin은 1) lancemaside A 2) lancemaside B 3) lancemaside C 4) lancemaside E 5) lancemaside G 6) foetidissimoside A 7) aster saponin Hb 로 분리 명명 되어 있으며, 그 구조식은 아래와 같다.
더덕 사포닌의 효능으로는 주로 항염증 효과 관련 논문들이 보고되었다 (Triterpenoid saponins with anti-inflammatory activity from Codonopsis lanceolata. 2008 Sep;74(11):1412-5. Epub 2008 Jul 29, Triterpenoid saponin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Pharmazie. 2007 Jun;62(6):463-6).
본 발명의 명세서에 인용되는 선행문헌의 내용은 모두 본 명세서에 도입된다. 또한 이곳에 기재된 정보들은 단지 본 발명의 기술적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써 작용할 수 없음은 당연하다.
현재까지 탈모된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만족할 만한 제품의 개발이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효과가 좋을 뿐 만 아니라 제조 시 경제성이 있는 발모촉진, 양모 또는 탈모치료용 조성물 및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고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부단한 연구를 한 결과, 놀랍게도 천연소재인 더덕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더덕의 메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 더욱 바람직하게는 더덕 사포닌이 발모 또는 양모의 촉진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최초로 밝혀내고, 이를 기초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더덕 추출물 (사포닌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발모 또는 양모의 촉진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탈모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 발모 또는 양모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스트레스성 탈모의 치료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제품은 머리털, 수염, 눈썹, 음모, 겨드랑이 털 기타 부위의 털의 비정상적인 상태에 사용이 가능하며, 사람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이나, 털을 채취하거나 모피를 이용하는 동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더덕은 고가의 소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여 제품 개발시 경제적 타당성이 높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마우스의 털을 제거한 후 대조군을 제외한 다른 2개 군에 1% DNCB(1-chloro-2,4-Dinitrochlorobenzene)으로 200ul씩 피부에 1일1회 도포하여 피부 염증을 3일간 유도시킨 후, 대조군을 제외한 군에 대해서 크림기재 또는 더덕의 사포닌분획을 함유하는 크림을 1일 1회씩 도포하며 각 군의 발모 정도 및 털의 길이를 측정한 결과, 더덕 사포닌 분획을 함유하는 크림을 처치한 군이 대조군이나 크림기재 만을 처치한 군에 비하여 발모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털의 길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길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통하여 마우스에 1% CMC에 현탁시킨 더덕의 사포닌 분획을 1주일간 경구로 투여한 후 수침에 의한 스트레스를 줄 경우, 스트레스로 인한 간세포손상(혈액 중 GOT, GPT, LDH, 총 콜레스테롤 수치로 측정)을 억제하고 스트레스로 인하여 발생되는 활성산소에 대한 생체 방어 시스템인 항산화계를 활성화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total antioxidant status, SOD, MDA 측정).
이와 같은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본 발명은 더덕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더덕의 메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 더욱 바람직하게는 더덕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 양모 또는 이의 촉진,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 다.
본 발명은 또한 더덕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더덕의 메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 더욱 바람직하게는 더덕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제, 발모제, 양모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더덕 추출물, 더덕의 메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 또는 더덕 사포닌을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하나 이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또는 경구 투여가 가능하며, 투여 방법에 따라 적절한 제형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제형에 따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그 제형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토닉 등의 가용화제, 유액, 크림 등의 유화제, 연고, 분산액, 젤, 에어졸, 무스 등의 임의의 제형을 취할 수 있다. 또 그 제품 형태도 탈모방지, 발모, 육모 등의 양모 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헤어케어용 의약품, 의약부외품 또는 화장용품으로서, 예를 들면 발모촉진제, 육모료, 두피 트리트먼트제, 비누,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팩, 로션, 컨디셔너, 헤어오일, 무스, 크림 등의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형제, 용액제, 유제, 분산제, 미셀, 리포좀, 연고제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경구 또는 비경구로 적용하기에 적합한 유기 또는 무기 담체 또는 부형제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면 정제, 산제, 펠렛제, 캡슐제, 좌약제, 용액제, 유제, 현탁제, 액제, 젤리 및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 의의 기타 형태에 대해 일반적으로 비독성인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혼합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담체에는 고체상, 반고체상 또는 액체상의 포도당, 유당, 아라비아 고무, 젤라틴, 만니톨, 전분 페이스트, 삼규산 마그네슘염, 활석, 옥수수 전분, 각질 (角質), 코로이드성 실리카, 감자 전분, 우레아, 쇄 길이가 중간 정도인 트리글리세리드, 덱스트란 및 제제의 제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기타 담체가 포함된다. 또한, 보조제, 안정화제, 증점제, 착색제 및 향료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모제, 발모제, 탈모치료제에 포함되는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 사포닌은 제품 전량 중, 0.0005~3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10중량%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최적 투여량은 연령, 개인차, 증상, 사용목적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지만, 사람에게 투여하는 경우의 투여량은 통상 0.01~100mg/kg, 바람직하게는 0.1~10mg/kg이며, 이 양을 1일 1회 또는 수 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람이나 동물에서 현저한 발모, 양모효과를 타낸다. 따라서, 예를 들어, 노인성 탈모증, 장년성 탈모증, 청년성 탈모증, 원형탈모증, 기계성 탈모증, 증후성 탈모증에 의한 탈모상태의 개선, 발모 또는 양모의 촉진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머리털, 수염이나 눈썹, 음모, 겨드랑이 털 기타 부위의 털이 비정상적으로 빠지거나, 발모, 양모를 필요로 하는 곳이면 어디든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예를 들어, 개, 고양이, 카나리아, 앵무새 등의 애완동물의 털이나 깃의 질과 광택을 개선하고, 양, 여우, 알파카, 앙고라, 고양이, 토끼, 염소, 밍크, 캐시미어 등과 같은 털을 채취하거나 모피를 이용하는 동물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스트레스성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의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양모 촉진을 위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의 사포닌을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의 사포닌은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원료에 대하여 각각 0.00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나, 첨가되는 양은 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더덕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더덕의 메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 더욱 바람직하게는 더덕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사람 또는 동물의 발모, 양모방법 또는 탈모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스트레스성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경구 투여 및 피부도포 방법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 은 아니다.
실시예
실험 동물
대한 바이오 링크에서 입수한 6주령의 수컷 ICR 마우스를 실험실에서 3일간 순화시킨 후 일반상태를 관찰하여 외관상 건강한 동물만을 선별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체중범위는 280g~310g으로 제한하고, 사육 환경은 명암은 12시간으로 자동 조절 시켰으며 온도는 20±2℃, 습도 50±10%로 유지하였고 대한 바이오 링크사의 DBL혼합 사료를 급식하였으며 물은 정수기를 사용 자유롭게 섭취토록 하였다.
더덕 사포닌 분획 추출
조사포닌분획(curde saponin)제조는 인삼 사포닌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응용하였다. 먼저 80% 메탄올 100ml에 더덕 (Codonopis lanceolata) 분말 4g을 넣어 1시간 정도 추출(4회 반복)한 후 여과하였다. 80% 메탄올 추출 과정을 2회 정도 반복하였다. 그 후 여액을 증발시켜 농축시키고 증류수를 넣어 농축물과 섞어주었다. 에테르(ether)를 넣어 분액 깔대기에서 층분리를 하고, 물층에 수포화 부탄올을 첨가하여 3회 정도 추출한 다음 수포화 부탄올층만을 모아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수포화 부탄올층을 감압증류하여 crude 사포닌 분획을 얻었다. 이후 사포닌 분획 부탄올과 증류수를 7:3의 비율로 혼합한 뒤 상층의 수포화 부탄올층을 분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남은 부탄올층을 증발시켜 완전히 농축시키고 건조시킨 후 그 무게를 측정하였다. 더덕 분말에서 조사포닌의 함량은 2.41%였다.
<실시예1>
더덕
사포닌 분획 처치에 의한
발모효과
ICR 마우스의 등의 털을 제모기로 제모한 후, 제모크림(비트크림)을 사용하여 털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대조군(normal군)을 제외한 다른 2개 군에 대해 1% DNCB로 200ul씩 피부에 1일1회 도포하여 피부 염증을 3일간 유도 시켰다. 3일 후부터 대조군을 제외한 군에 대해서 크림기재(vehicle군 :크림기재는 다음의 성분으로 제조되었다 - Labrafac : 23% Tween 80 : 10.5% GMS(Glycerol Monosrearate : 4.0% Stearic acid : 7.0% Cetyl alcohol : 2.0% Propylene glycol : 9.0% GMO(Glycerol Monooleate) : 3.5% Water : 41%) 또는 1% 사포닌분획을 함유 하는 크림기재(CI-SF군)를 1일 1회 도포하며, 각 군의 발모 정도를 관찰하였다.
대조군은 15일간 관찰하는 동안 제모된 부분에서 발모 현상을 보이지 않았으나, 크림기재만을 처치한 군에서는 미미한 발모효과를 보였고, 더덕 사포닌 분획을 포함하는 크림을 처치한 군에서는 제모된 부분 전체에서 현저한 발모효과를 보였다(도 1).
<실시예 2> 더덕 사포닌 분획 처치에 의한 양모효과
실시예1에 의한 방법으로 등의 털을 제모한 마우스에 더덕 사포닌 분획을 포함하는 크림을 처치하며, 처치일수에 따른 발모된 털의 길이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대조군이나 크림기재를 처치한 군에 비하여 더덕 사포닌분획을 포함하는 크림을 처치한 군의 털의 길이가 길었다. 더덕 사포닌 분획을 처치한 군의 털의 길이는 크림기재만을 처치한 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p<0.01)을 보였고, 처치 일수에 따라 길이가 증가하여 제12째 되는 날의 경우 약 1.1 센티미터 정도 되었다 (도2).
DNCB의 처치는 피부염증 유발 약물을 통해 피부내 스트레스 조건을 설정하게 하여 털의 생장을 최대로 저하시켰으며, 따라서 모발생성을 촉진할 수 있는 약물의 효능평가를 극대화할 수 있는 동물실험 모델로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사포닌 분획이 피부 스트레스 하에 형성된 모발 재생억제 조건하에서도 모발 재생을 촉진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사포닌 분획이 스트레스 하에서 탈모된 모발에 대한 재생 기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더덕 사포닌에 의한 스트레스로 유발되는 간세포 손상억제 효과
ICR 마우스에 1% CMC에 현탁된 더덕 사포닌 분획을 1주일간 (매일 오전 10시와 오후 5시) 존대를 이용하여 경구투여 하였다. 마지막 투여 2시간 후, 마우스를 틀에 고정시키고 상기 틀을 상온(20℃)의 물로 7센티미터 수심을 갖는 수침통에 넣었다. 이후 6시간 절식 상태로 방치하여 스트레스를 부과하였다. 마우스의 대동맥에서 약 2ml의 혈액을 채취하고 상온에서 약 2시간 동안 방치시킨 다음 30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인 혈청을 분리하여 자동혈액분석기(dimension)를 이용하여 혈액 생화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혈액의 분석항목은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는 aspartate transaminase (GOT), alanine transaminase (GPT), lactate dehydrogenase (LDH), cholesterol를 선정하여 간지표를 평가 하였다.
GOT, GPT 및 LDH는 간에서 만들어지는 대사에 필요한 정상 효소이나, 스트레스나 알코올 등에 의해 간세포가 손상을 받게 되면 이들이 혈액으로 유리되어 정상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혈액의 GOT, GPT 및 LDH를 측정하면 간 손상이 얼마나 발생되었는지 그리고 투여한 약물에 의하여 얼마나 간손상이 보호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Total Cholesterol은 스트레스에 의해 속발성 고치를 나타낸다고 보고된 바 있다 (Jousilahti et al., 2002; Teschke et al., 1977, 2002; Jousilahti et al., 2002; Pintus & Mascia., 1996; Stranges et al., 2004; Wannamethee et al., 1995; Whitehead et al., 1996; Yamada et al., 2003).
본 실험에 양성 대조군으로 비타민C 투여군을 사용하였는데, 비타민C는 스트레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동물 실험에 의하면 스트레스를 많이 주었을 때 비타민의 소모가 급증하였다고 하는 결과가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밝혀져 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지각 신경이 이를 포착하여 대뇌를 자극함으로서 전신의 비상체계를 강화하는 작용으로 아드레날린이나 노르아드레날린 등의 호르몬을 분비하고, 뇌하수체 전엽을 자극하여 부신피질자극 호르몬을 분비시키는데, 이때 부신은 큰 부담이 되어 비타민을 대량으로 소모하면서 스트레스에 대항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이유로 스트레스 관련 논문에서 vitamin C를 주요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다 (Effects of an antioxidant vitamin mixture on lipid peroxidation at rest and postexercise. Physiol.174(2).965-9).
수침 스트레스를 받은 군은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대조군(Normal)에 비하여 혈중 GOT, GPT, LDH, 총콜레스테롤의 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스트레스에 의하여 간세포가 손상되었음을 말해준다. 그러나 스트레스 부과군에 1% 더덕 사포닌 분획물(CI-SF)이나 비타민 C(Vit.C를 CMC에 용해시켜 100mg/kg로 투여함) 를 투여할 경우, CMC 투여군(vehicle)에 비하여 이들의 양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비타민 C 투여군보다 더덕 사포닌 투여군이 더 효과가 좋았다(도3 내지 도6).
<실시예 3> 더덕 사포닌에 의한 스트레스로 유발되는 활성산소에 대한 항산화 효과 스트레스의 발생은 활성산소의 분비를 유도하여 간세포나 다른 장기 내 세포들의 파괴를 초래하게 되며, 특별히 일부 활성산소를 DNA를 돌연변이 시켜 암세포화 하는 병리적 기능을 유도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 관련 생체내 방어 효소계의 활성에 관한 더덕 사포닌 분획의 조절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마우스에 스트레스를 부과할 때 증가하는 total antioxidant status, SOD(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효소), Malondialdehyde(MDA:체내의 산화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의 하나로 지질과산화 과정중 생성되는 이차지질과산화물의 일종)에 대한 더덕 사포닌 투여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실시예2의 시험 마우스의 간조직 내 total antioxidant status (TAS)를 TAS kit로, SOD(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효소)는 SOD kit를 이용하여 EIA reader로 분석 하였다. Malondialdehyde (MDA) 측정은 BIOXTECH LPO-586 assay kit 를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기 표에서 Normal은 스트레스를 부과하지 않은 대조군이고 나머지 군들은 모두 스트레스를 부과하였으며, CMC는 약물을 현탁시키는데 사용한 vehicle만을 사용한 군, 더덕은 1% 더덕 사포닌을 CMC에 현탁시켜 투여한 군, Vitamin은 비타민C를 투여한 군이다.
각 표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스트레스군은 간 세포의 스트레스 관련 항산화효소계 및 이차과산화물의 일종인 MDA의 생성에 있어 정상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p<0.05), 더덕 사포닌 분획을 투여한 군은 이를 정상군 범위로 회복시키거나 더 좋은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더덕 사포닌 분획이 항스트레스 외에도 간조직내 항산화계의 활성유도를 동반하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더덕 사포닌을 경구투여할 경우 스트레스에 대한 대항효과를 발휘하여 스트레스로 인한 탈모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으며, 경구투여와 피부도포를 병행할 경우 그 효과가 더욱 클 것이다.
<실시예 3> 더덕 사포닌에 투여에 의한 체중 및 장기 무게에 대한 효과
실시예2와 같은 방법으로 처치하며 마우스의 체중변화와 더덕 사포닌을 7일간 투여 후의 장기무게를 측정하였다. 비장 및 간을 적출하고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지방조직을 제거하고 무게를 측정하였다.
더덕 추출물 투여에 의한 체중 변화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이는 투여시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간의 무게에 있어서 스트레스가 부과군(vehicle)과 사포닌분획투여군(CI-SF)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도7).
<제조예>
본 발명의 더덕사포닌 함유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 사포닌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는 하기와 같이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 가능한 제품을 만들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샴푸
더덕 사포닌 분획 5중량%
라우릴산황산나트륨(30%) 10중량%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30%) 30중량%
폴리쿼터늄-10 0.5중량%
디메티콘 2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2중량%
향료 0.4 중량%
염화나트륨 적량
구연산 적량
물 100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공지의 샴푸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연고제
더덕 사포닌 분획 1g
덱스판테놀 1.5g
스테아린산 1.0g
유동파라핀 5.0g
경납 4.0g
세탄올 3.0g
프로필렌글리콜 13.0g
트리에탄올아민 1.5g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0.025g
안식향산프로필 0.015g
폴리소르베이트 800.1g
정제수 63.0g
상기와 같은 조성의 성분들을 통상의 연고제 제조방법에 따라 배합하여 연고제를 제조하였다.
도1은 등의 털을 제모한 마우스에 더덕 사포닌 분획을 포함하는 크림을 처치할 때 15일 후의 발모효과를 대조군과 비교 관찰한 사진이다.
도2는 등의 털을 제모한 마우스에 더덕 사포닌 분획을 포함하는 크림을 처치하며, 처치일수에 따른 발모된 털의 길이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이다.
도 3은 마우스에 스트레스를 부과하여 증가된 혈중 GOT 수준에 대한 더덕 사포닌 분획 투여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4는 마우스에 스트레스를 부과하여 증가된 혈중 GTP 수준에 대한 더덕 사포닌 분획 투여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5는 마우스에 스트레스를 부과하여 증가된 혈중 LDH 수준에 대한 더덕 사포닌 분획 투여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6은 마우스에 스트레스를 부과하여 증가된 혈중 총콜레스테롤 수준에 대한 더덕 사포닌 분획 투여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7은 마우스에 더덕 사포닌 분획을 7일간 투여할 때 간 및 비장의 무게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9)
- 더덕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또는 양모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더덕 추출물이 더덕의 사포닌 분획인 것인 조성물.
- 더덕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또는 양모용 조성물.
-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레스성 탈모를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것인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두피 트리트먼트제, 비누,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팩, 로션, 컨디셔너, 헤어오일, 무스, 크림, 고형제, 용액제, 유제, 분산제, 미셀, 리포좀, 연고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발모 또는 양모용 피부외용제.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정제, 산제, 펠렛제, 캡슐제, 좌약제, 용액제, 유제, 현탁제, 액제, 젤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스트레스성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발모 또는 양모용 의약제제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탈모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또는 양모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의 경구투여와 동시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또는 양모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5529A KR101141779B1 (ko) | 2009-04-23 | 2009-04-23 |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 사포닌 분획을 포함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5529A KR101141779B1 (ko) | 2009-04-23 | 2009-04-23 |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 사포닌 분획을 포함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6882A true KR20100116882A (ko) | 2010-11-02 |
KR101141779B1 KR101141779B1 (ko) | 2012-05-03 |
Family
ID=43403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35529A KR101141779B1 (ko) | 2009-04-23 | 2009-04-23 |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 사포닌 분획을 포함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1779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1899B1 (ko) * | 2011-05-23 | 2014-02-12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KR20160040968A (ko) | 2014-10-06 | 2016-04-15 | (주)아모레퍼시픽 |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
US9724416B2 (en) | 2012-05-17 | 2017-08-08 | Unique Medicare Co., Ltd. |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omoting hair growth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s, photosensitizer irradiated with light and peptide, and method using same |
US10967028B2 (en) | 2014-10-06 | 2021-04-06 | Amorepacific Corporation | Composition for hair loss prevention or hair growth stimulation comprising Artemisia umbelliformis extract |
KR20230000400A (ko) | 2021-06-24 | 2023-01-02 | (주)아모레퍼시픽 | 산소 기체 서방형 나노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EP4112037A1 (en) | 2021-06-24 | 2023-01-04 | Amorepacific Corporation | Oxygen gas sustained released nano-emuls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KR20230149428A (ko) * | 2022-04-20 | 2023-10-27 | 이영숙 | 사포닌 추출물을 천연계면활성제로 사용하는 모발 및 두피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9081B1 (ko) | 2019-05-24 | 2020-10-22 | 유해현 |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모 및 발모 촉진과 탈모방지를 위한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40709B1 (ko) * | 2003-12-02 | 2006-01-10 | 윤옥자 | 발모용 키트 |
KR101114307B1 (ko) * | 2004-04-22 | 2012-02-14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
JP3830960B1 (ja) | 2005-08-12 | 2006-10-11 | 建仁 河乃 | 育毛物質 |
KR100806125B1 (ko) * | 2005-12-29 | 2008-02-22 | 현천근 | 탈모 방지 보조용 화장품 샴푸 제조방법 및 샴푸 |
-
2009
- 2009-04-23 KR KR1020090035529A patent/KR101141779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1899B1 (ko) * | 2011-05-23 | 2014-02-12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US9724416B2 (en) | 2012-05-17 | 2017-08-08 | Unique Medicare Co., Ltd. |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omoting hair growth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s, photosensitizer irradiated with light and peptide, and method using same |
KR20160040968A (ko) | 2014-10-06 | 2016-04-15 | (주)아모레퍼시픽 |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
US10568830B2 (en) | 2014-10-06 | 2020-02-25 | Amorepacific Corporation | Composition for hair loss prevention or hair growth stimulation comprising Scutellaria alpina extract |
US10967028B2 (en) | 2014-10-06 | 2021-04-06 | Amorepacific Corporation | Composition for hair loss prevention or hair growth stimulation comprising Artemisia umbelliformis extract |
KR20230000400A (ko) | 2021-06-24 | 2023-01-02 | (주)아모레퍼시픽 | 산소 기체 서방형 나노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EP4112037A1 (en) | 2021-06-24 | 2023-01-04 | Amorepacific Corporation | Oxygen gas sustained released nano-emuls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US11957709B2 (en) | 2021-06-24 | 2024-04-16 | Amorepacific Corporation | Oxygen gas sustained released nano-emuls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KR20230149428A (ko) * | 2022-04-20 | 2023-10-27 | 이영숙 | 사포닌 추출물을 천연계면활성제로 사용하는 모발 및 두피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41779B1 (ko) | 2012-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1779B1 (ko) |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 사포닌 분획을 포함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 |
DK2134316T3 (en) | Novel cosmetic and /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 |
KR101017709B1 (ko) | 인삼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비듬 생성 억제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132246B1 (ko) | 진세노사이드 알지3와 알에이치2를 주성분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제 | |
TW200306209A (en) | Medicament for curing itching rough skin or sensitive skin and for skin whitening based on reducing production and/or release of stem cell factor | |
JP2016523957A (ja) | 発毛および育毛促進用組成物 | |
KR102170307B1 (ko) |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제 조성물 | |
JP6709783B2 (ja) | アルパインワームウッド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 |
JP2008088075A (ja) | プロフィラグリン/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剤、表皮角化細胞増殖促進剤、表皮/角層正常化用皮膚外用剤、プロフィラグリン及び/又は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方法、及び表皮角化細胞増殖促進方法 | |
KR101541470B1 (ko) |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 |
KR101114307B1 (ko) |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0979269B1 (ko) |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 효과를 갖는 피부외용조성물 | |
KR101430636B1 (ko) | 진세노사이드 Rh2 및 진세노사이드 Rg3를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
KR101886359B1 (ko) |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 |
KR20160040968A (ko) |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 |
CN116249514A (zh) | 包含奶蓟花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防止脱发或促进生发的组合物 | |
JP2002526395A (ja) | 化粧品あるいは皮膚科製品におけるボルド抽出物の使用 | |
JP6249598B2 (ja) | 皮膚外用剤 | |
KR101909533B1 (ko) |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JP5689247B2 (ja) | セラミド産生促進剤及び保湿剤 | |
KR20020008268A (ko) |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리덕타아제저해제 | |
KR20210131598A (ko) | 동백나무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 |
JP3542700B2 (ja) | 頭部用組成物 | |
KR101273027B1 (ko) |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및항비만용 조성물 | |
KR102550913B1 (ko) |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