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6645A - Heating apparatus which uses wood pellet - Google Patents
Heating apparatus which uses wood pell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06645A KR20100106645A KR1020090024711A KR20090024711A KR20100106645A KR 20100106645 A KR20100106645 A KR 20100106645A KR 1020090024711 A KR1020090024711 A KR 1020090024711A KR 20090024711 A KR20090024711 A KR 20090024711A KR 20100106645 A KR20100106645 A KR 201001066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bustion
- blower
- ignition
- supply
- fu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4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90/00—Combustion methods not rela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F23B90/02—Start-up techniqu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2—Regulating fuel supply conjointly with air supp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7/00—Ignition or checking
- F23N2227/22—Pilot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톱밥이나 나무 조각을 압축시킨 우드펠렛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기에 관한 것으로, 연료를 공급시 전기히터가 설치된 송풍관의 내부까지 직접 연료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전기히터에 의해 직접 연료가 점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원활한 공기의 공급으로 연속적으로 효율적인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부에는 불꽃센서와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이러한 센서의 감지 정도에 따라 연료공급용 모터와 송풍기를 제어토록 함으로써 온도의 조절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er using wood pellets compressed by sawdust or wood chips as fuel, so that fuel is directly ignited by an electric heater by supplying fuel directly to an inside of a blower tube in which an electric heater is installed. At the same time, smooth air supply ensures continuous efficient combustion, and a flame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ar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to control the fuel supply motor and the blow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tection of the sensor.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Description
본 발명은 톱밥이나 나무 조각을 압축시킨 우드펠렛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er using wood pellets compressed by sawdust or wood chips as fuel.
주지된 바와 같이 보일러에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사 많은 종류가 있으나, 근래에 들어 환경적인 문제와 비용 등을 감안하여 우드펠렛을 이용한 난방장치가 호응을 얻고 있다. As is well known, there are many types of boilers depending on the type of fuel. Recently, in view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costs, heating devices using wood pellets have been gaining popularity.
이러한 우드펠렛 난방기는 톱밥이나 나무조각 등을 압축하여 작은 조각으로 만든 것으로서, 이를 연소시켜 열을 얻는 우드펠렛 난방기는 열효율과 연소율이 높고 환경오염이 없는 친환경 연소를 이룩하며, 설치와 관리가 매우 편리한 정점을 갖는다. These wood pellet heaters are made of small pieces by compressing sawdust or wood chips, and wood pellet heaters that obtain heat by burning them achieve eco-friendly combustion with high thermal efficiency, high combustion rate, and no environmental pollution, and are very convenient to install and manage. Have a vertex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우드펠렛 난방장치는 여러 가지 문제를 갖고 있었는데, 우선 전기히터에 의해 가열된 연소판의 위에서만 연료(우드펠렛)의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에 의해 최초의 점화시 가열된 연소판에 의해 간접적으로 점화가 이루어지므로 점화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wood pellet heating apparatus has various problems. First, the combustion of fuel (wood pellet) is performed only on the combustion plate heated by an electric heater, so that the heating plate is heated at the first ignition. The ignition was indirectly caused by the ignition, which took a long time.
또한, 항상 균일한 온도를 얻도록 조절하는 것이 어려워 사용자가 직접 온도 를 조절하기 위해 계속 온도를 관찰하고 연료의 공급량과 송풍량을 조절하는 동작을 하여야 하는 등 온도조절과 유지관리에 많은 어려움과 불편함이 있었다.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temperature so as to obtain a uniform temperature at all times, so that the user has to continuously observe the temperature and operate the fuel supply and blowing amount to adjust the temperature directly. There was this.
아울러 연료의 연소를 위한 공기의 공급이 연소판의 아래에 형성된 미세한 구멍에 의해서만 송풍이 이루어지므로 연소된 재나 이물질에 의해 미세한 구멍이 잘 막히고 이러한 막힘에 의해 항상 공기의 공급이 부족한 불완전 연소 현상과 그에 따라 연료가 낭비되고 온도조절도 어렵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air supply for the combustion of fuel is blown only by the minute hole formed under the combustion plate, the fine hole is well blocked by the burned ash or foreign matter, and the blockage causes the incomplete combustion phenomenon that the air supply is always insufficient. As a result, fuel wasted and temperature control became difficult.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최초 점화시 연료(우드펠렛)에 직접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최초 점화가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공기의 공급도 항상 충분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연소 정도에 따른 연료공급과 송풍을 자동화하여 효율적인 연소와 온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개선하고자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is to allow the first ignition is made very quickly by the ignition directly to the fuel (wood pellet) during the first ignition, and also to ensure that the supply of air is always sufficient and smooth, It aim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combustion and temperature control by automating fuel supply and blowing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bus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료를 공급시 전기히터가 설치된 송풍관의 내부까지 직접 연료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전기히터에 의해 직접 연료가 점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원활한 공기의 공급으로 연속적으로 효율적인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부에는 불꽃센서와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이러한 센서의 감지 정도에 따라 연료공급용 모터와 송풍기를 제어토록 함으로써 온도의 조절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object, and when fuel is supplied, fuel is direct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lower tube in which the electric heater is installed, so that the fuel is directly ignited by the electric heater and continuously supplied with smooth air. Efficient combustion is achieved, and the flame sensor and the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to control the fuel supply motor and the blow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tection of the sens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is controlled efficiently.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가 송풍점화관의 내부까지 투입이 되면서 직접 점화가 이루어지므로 점화에 따르는 시간의 낭비가 없고 점화의 지연에 따른 불완전연소와 연료의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공기의 원활한 공급에 의해 원활한 연소상태 유지와 연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uel is directly injected into the blowing ignition tube, the ignition is directly performed, and thus there is no waste of time due to ignition, and incomplete combustion and fuel waste due to ignition delay can be prevented. As a result, smooth combustion can be maintained and fuel can be efficiently used.
또한, 연료의 투입과 송풍기에 의한 송풍량을 3단으로 자동 조절이 가능토록 되므로 관리자기 직접 난방기를 관찰하고 조절을 하지 않더라도 균일하고 효율적인 연소상태와 온도를 관리할 수 있게 됨에 의해 인력을 줄이고, 유지관리 비용 및 연료를 절감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여, 결국 효율적인 연료인 우드펠렛의 사용을 증가시켜 환경의 보호와 에너지 절감에도 많은 도움이 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djust the amount of fuel injected and blown by the blower in three stages, so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uniform and efficient combustion state and temperature even if the manager does not observe and adjust the heater, thereby reducing and maintaining manpow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ave on management costs and fuels, which is a useful invention that helps to protect the environment and save energy by increasing the use of wood pellets, which are efficient fuel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우드펠렛 난방기의 전체 구성 예시도,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wood pellet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우드펠렛 난방기는 상부에 온수공급통(11)이 설치된 외부 케이스(10)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부의 중앙에 설치되는 연소장치(30),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외부에 설치되어 호퍼(21)와 공급모터(22)로 구성되고 공급가이드(23)가 연소장치(30)의 상부 중앙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연료공급장치(20) 등으로 구성된다. The wood pellet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본 발명의 연소장치(30)는 다수의 통공(31)이 외주에 형성되고 저면에 연소받침판(32)이 구성되는 연소통(33)이 구성되고 그 외부에는 외통(34)이 구성된다. 외통(34)으로부터 연소통(33)을 관통하도록 점화확인센서(40)를 설치하였다.In the
연소통(33)의 연소받침판(32)은 작은 통공(35)을 전체적으로 형성하였고, 중앙에는 점화송풍관(36)과 같은 직경의 점화통로(37)를 형성한 다음 점화통로(37)의 중앙 하단으로 ㄴ형의 점화송풍관(36)을 연결하였다. The
점화송풍관(36)의 내부에는 전열코일(41)을 설치하였다.The
외통(34)의 하단 일측에는 송풍기(50)를 설치하였는데, 송풍기(50)로부터 상기 점화송풍관(36)과 외통(34)의 내부로 동시에 공기가 송풍되도록 하였다.An air blower 5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외부케이스(10)의 상기 연소장치(30) 상부에는 불꽃감지센서(42)와 온도감지센서(43)를 설치하여 이러한 센서들의 감지상태에 따라 송풍기(50)와 연료공급장치(20)의 공급모터(22)를 제어하도록 구성하였는데, 불꽃감지센서(42)와 온도감지센서(43)의 감지 온도를 '고, 중, 저' 3단으로 설정하고, 연료공급장치(20)의 공급모터(22)에 의해 공급량도 '대, 중, 소' 3단으로 조절되도록 하며, 아울러 송풍기(50)의 송풍량도 '대, 중, 소' 3단으로 조절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The
이에 따라 불꽃의 크기가 크거나 온도가 높으면 송풍기(50)의 송풍량을 줄임과 동시에 연료공급장치(20)의 공급모터(22)의 작동량도 줄이고, 그 반대로 불꽃의 크기가 작고 온도가 낮으면 송풍량을 늘이면서 공급모터(22)의 작동량을 늘려 공급량을 늘리게 하는 것이다. Accordingly, when the size of the flame is large or the temperature is high, the blowing amount of the blower 50 is reduced, and at the same time, the operation amount of the
도면 중 미설명된 부호Unexplained symbols in the drawings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사용방법에 의해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n detail by the method of use as follows.
최초 점화가 필요할 때 전열코일(41)에 전원을 공급하여 가열시킴과 동시에 연료공급장치(20)의 공급모터(22)를 작동시켜 약간의 연료(우드펠렛)를 공급하는데, 이때 공급된 연료는 연소장치(30)의 연소통(33) 내부에 투입되고 일부는 점화통로(37)를 통하여 점화송풍관(36)의 내부로 유입된다.When the first ignition is required, power is supplied to the
점화송풍관(36)의 내부로 투입된 연료는 전열코일()에 직접 접촉하면서 점화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점화에 필요한 시간이 매우 단축되고 점화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불완전 연소가 일어나는 것도 최소화하게 된다. The fuel injected into the
상기에 의해 완전한 점화가 이루어지고 나면 점화확인센서(40)가 불꽃을 감지하면 전열코일(41)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연료공급장치(20)의 공급모터(22)를 작동시켜 다량의 연료가 공급가이드(23)를 통해 연소장치(30)의 연소통(33) 내부로 투입된다.After the ignition is completed by the above, when the
이러한 작동에 의해 정상적인 연소가 시작되는 것이다. By this operation, normal combustion begins.
연소작동 중에 불꽃감지센서(42)와 온도감지센서(43)가 불꽃의 정도와 온도를 감지하여 연료의 공급량과 송풍기(50)의 송풍량을 조절하게 되는데, 불꽃이 감지되는 정도나 온도가 설정된 '저'에 해당하는 경우에 연료공급장치(20)의 공급모터(22)와 송풍기(50)의 송풍량은 설정된 '대'의 수치로 작동하게 되고, 불꽃이나 온도가 설정된 '중'에 해당하면 연료공급장치(20)의 공급모터(22)와 송풍기(50)가 설정된 '중'만큼의 연료공급과 송풍을 실시하게 되며, 불꽃이나 온도가 설정된 '고'에 해당하면 연료공급장치(20)의 공급모터(22)와 송풍기(50)가 설정된 '소'만큼의 연료공급과 송풍을 실시하게 되어 항상 균일한 온도를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During the combustion operation, th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우드펠렛 난방기의 전체 구성 예시도1 is a view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wood pellet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외부케이스 11: 온수공급통10: outer case 11: hot water supply container
20: 연료공급장치 21: 호퍼20: fuel supply device 21: hopper
22: 공급모터 23: 공급가이드22: supply motor 23: supply guide
30: 연소장치 31: 통공30: combustion apparatus 31: through-hole
32: 연소받침판 33: 연소통32: combustion support plate 33: combustion cylinder
34: 외통 35: 통공34: external 35: through
36: 점화송풍관 37: 점화통로36: ignition blower 37: ignition passage
40: 점화확인센서 41: 전열코일40: ignition confirmation sensor 41: heat transfer coil
42: 불꽃감지센서 43: 온도감지센서42: flame sensor 43: temperature sensor
50: 송풍기50: blower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4711A KR20100106645A (en) | 2009-03-24 | 2009-03-24 | Heating apparatus which uses wood pell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4711A KR20100106645A (en) | 2009-03-24 | 2009-03-24 | Heating apparatus which uses wood pelle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6645A true KR20100106645A (en) | 2010-10-04 |
Family
ID=43128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4711A Ceased KR20100106645A (en) | 2009-03-24 | 2009-03-24 | Heating apparatus which uses wood pell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06645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438433A (en) * | 2013-08-16 | 2013-12-11 | 温州市龙湾永兴良正中频电炉厂 | Biomass particle burner of cylinder-type feeding system |
KR101443726B1 (en) * | 2013-06-07 | 2014-11-03 | 주식회사 와이에스 | Discharge apparatus for incombustible residue of combustion chamber |
CN104534498A (en) * | 2014-12-08 | 2015-04-22 | 安徽广德文光生物能源有限公司 | Biomass pellet fuel automatic feeding device |
CN110333317A (en) * | 2019-07-22 | 2019-10-15 | 西北工业大学 | A boron particle laser ignition combustion experimental device and experimental method |
-
2009
- 2009-03-24 KR KR1020090024711A patent/KR20100106645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3726B1 (en) * | 2013-06-07 | 2014-11-03 | 주식회사 와이에스 | Discharge apparatus for incombustible residue of combustion chamber |
CN103438433A (en) * | 2013-08-16 | 2013-12-11 | 温州市龙湾永兴良正中频电炉厂 | Biomass particle burner of cylinder-type feeding system |
CN103438433B (en) * | 2013-08-16 | 2015-06-17 | 温州市龙湾永兴良正中频电炉厂 | Biomass particle burner of cylinder-type feeding system |
CN104534498A (en) * | 2014-12-08 | 2015-04-22 | 安徽广德文光生物能源有限公司 | Biomass pellet fuel automatic feeding device |
CN110333317A (en) * | 2019-07-22 | 2019-10-15 | 西北工业大学 | A boron particle laser ignition combustion experimental device and experimental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6188B1 (en) | Pellet stove all warm | |
KR20120007036U (en) | Pellet boiler | |
KR20100106645A (en) | Heating apparatus which uses wood pellet | |
KR101221421B1 (en) | A burner of a hot-water boiler | |
KR101487242B1 (en) | Combustion Apparatus | |
CN206291199U (en) | A kind of biomass particle burning machine | |
KR101532245B1 (en) | a pellet stove reducing hazardous combustion gas | |
KR20140071589A (en) | Boiler using sawdust and pellet fuel | |
KR101224417B1 (en) | Pellet stove | |
KR20180016129A (en) | Solid fuel boiler | |
KR101980976B1 (en) | 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
KR200374230Y1 (en) | The burning apparatus using useless plastic | |
KR20110120028A (en) | Wood pallet burner | |
KR101199299B1 (en) | Wood Pellet Boiler | |
KR100961395B1 (en) | The ignition device for pellets boiler | |
KR200452053Y1 (en) | Wood burner | |
KR200441584Y1 (en) | A heat source generation equipment | |
KR20120130920A (en) | Burner for pellet boiler | |
KR20120054311A (en) | Combustion apparatus for wood pellet | |
CN207610192U (en) | Gasification of biomass all-in-one machine | |
KR20130082322A (en) | Boiler for solid feul and method for burinng the soild feul using the boiler | |
KR100319649B1 (en) | Boiler | |
KR101382582B1 (en) | Boiler for solid feul and method for burinng the soild feul using the boiler | |
KR101597122B1 (en) | Pellet boiler for oil ignition | |
KR101373973B1 (en) | Bunner for dry of organic was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8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2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