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00101375A -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및 피사체 움직임 판단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및 피사체 움직임 판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1375A
KR20100101375A KR1020090019841A KR20090019841A KR20100101375A KR 20100101375 A KR20100101375 A KR 20100101375A KR 1020090019841 A KR1020090019841 A KR 1020090019841A KR 20090019841 A KR20090019841 A KR 20090019841A KR 20100101375 A KR20100101375 A KR 20100101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points
image
moveme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산정
유수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9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1375A/ko
Priority to US12/719,179 priority patent/US20100329660A1/en
Priority to CN201010133682A priority patent/CN101834987A/zh
Publication of KR20100101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46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 G06T7/251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involving mod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4Movemen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촬영시 불필요한 부분이 촬영되지 않도록 하거나 자동으로 촬영의 개시/종료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한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및 피사체 움직임 판단방법을 위하여,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 및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매체를 구비하며, 동영상 촬영모드에서,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프레임이미지들의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시작하며, 상기 저장매체에 프레임이미지들을 저장하는 중,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하면, 동영상 촬영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및 피사체 움직임 판단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및 피사체 움직임 판단방법{Digital moving picture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and method for determining movement of subject}
본 발명은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및 피사체 움직임 판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동영상 촬영시 불필요한 부분이 촬영되지 않도록 하거나 자동으로 촬영의 개시/종료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한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및 피사체 움직임 판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동영상 촬영을 시작하거나 종료한다.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는 조작자가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를 조작하여 풍경, 사물 또는 다른 사람들을 촬영하는 것이 일반적인 바, 이에 따 라 조작자까지 촬영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작자가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가 동영상 촬영을 시작하도록 조작한 뒤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전면으로 움직여야만 했다. 또한 그 후 동영상 촬영을 종료하기 위해서는 조작자가 다시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로 이동하여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를 조작해야만 했다. 그 결과, 촬영된 동영상에는 조작자가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이동하거나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로 이동하는 등의 불필요한 동영상까지 포함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영상 촬영시 불필요한 부분이 촬영되지 않도록 하거나 자동으로 촬영의 개시/종료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한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및 피사체 움직임 판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 및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매체를 구비하며, 동영상 촬영모드에서,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프레임이미지들의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시작하며, 상기 저장매체에 프레임이미지들을 저장하는 중,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하면, 동영상 촬영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와 제2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으면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차이가 없으면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 리 이미지에서 피사체의 가장자리를 나타내는 선이 꺾이는 지점들을 제1지점들이라 하고, 제2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에서 피사체의 가장자리를 나타내는 선이 꺾이는 지점들을 제2지점들이라 할 시, 상호 대응하는 제1지점들과 제2지점들의 위치를 비교하여 적어도 한 개의 제1지점과 이에 대응하는 제2지점의 위치 차이가 사전설정된 크기 이상일 경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들에서의 데이터값과, 상기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인 제2프레임이미지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들에서의 데이터값을 비교하여, 적어도 어느 한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에서의 데이터값의 차이가 사전설정된 크기 이상일 경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동영상 촬영모드에서,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더라도, 사전설정된 시간 이후부터 프레임이미지들의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동영상 촬영모드에서, 사전설정된 시간 이후부터,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프레임이미지들의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및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매체를 구비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동영상 촬영모드에서,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프레임이미지들의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시작하며, 상기 저장매체에 프레임이미지들을 저장하는 중,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하면, 동영상 촬영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와 제2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으면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차이가 없으면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에서 피사체의 가장자리를 나타내는 선이 꺾이는 지점들을 제1지점들이라 하고, 제2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에서 피사체의 가장자리를 나타내는 선이 꺾이는 지점들을 제2지점들이라 할 시, 상호 대응하는 제1지점들과 제2지점들의 위치를 비교하여 적어도 한 개의 제1지점과 이에 대응하는 제2지점의 위치 차이가 사전설정된 크기 이상일 경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 의 지점들에서의 데이터값과, 상기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인 제2프레임이미지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들에서의 데이터값을 비교하여, 적어도 어느 한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에서의 데이터값의 차이가 사전설정된 크기 이상일 경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동영상 촬영모드에서,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더라도, 사전설정된 시간 이후부터 프레임이미지들의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동영상 촬영모드에서, 사전설정된 시간 이후부터,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프레임이미지들의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에서 피사체의 가장자리를 나타내는 선이 꺾이는 지점들을 제1지점들이라 하고, 제2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에서 피사체의 가장자리를 나타내는 선이 꺾이는 지점들을 제2지점들이라 할 시, 상호 대응하는 제1지점들과 제2지점들의 위치를 비교하여 적어도 한 개의 제1지점과 이에 대응하는 제2지점의 위치 차이가 사전 설정된 크기 이상일 경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움직임 판단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들에서의 데이터값과, 상기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인 제2프레임이미지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들에서의 데이터값을 비교하여, 적어도 어느 한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에서의 데이터값이 사전설정된 크기 이상일 경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움직임 판단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및 피사체 움직임 판단방법에 따르면, 동영상 촬영시 불필요한 부분이 촬영되지 않도록 하거나 자동으로 촬영의 개시/종료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한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및 피사체 움직임 판단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전체 동작은 CPU(100)에 의해 통괄된다. 그리고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200)가 구비된다. 이 조작부(20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는 CPU(100)에 전달되어, CPU(100)가 전기적 신호에 따라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동영상 촬영 모드일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CPU(100)에 인가됨에 따라 CPU(100)는 그 신호를 파악하여 렌즈 구동부(11), 조리개 구동부(21) 및 촬상소자 제어부(31)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각각 렌즈(10)의 위치, 조리개(20)의 개방 정도 및 촬상소자(30)의 감도 등이 제어된다. 촬상소자(30)는 입력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는 촬상소자(3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물론 촬상소자(30)의 특성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촬상소자(30)로부터의 데이터는 메모리(60)를 거쳐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고, 메모리(60)를 거치지 않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CPU(100)에도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60)는 ROM 또는 RA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필요에 따라 감마(gamma) 보정, 화이트 밸런스 조정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전달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81)는 디스플레이부(8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 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저장/판독 제어부(71)에 입력되는데, 이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동영상파일을 저장매체(70)에 저장한다. 결국 저장매체(70)는 촬상소자(30)가 생성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저장매체(70)에 저장된 동영상파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60)를 통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저장매체(70)는 착탈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디지털 촬영장치에 영구장착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는 동영상 촬영모드에서, 촬상소자(30)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프레임이미지들의 데이터를 저장매체(70)에 저장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저장매체(70)에 프레임이미지들을 저장하는 중, 촬상소자(30)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하면, 동영상 촬영을 중단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에 따르면, 종래의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와 달리, 사용자가 동영상 촬영이 시작되도록 직접 조작하지 않더라도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동영상 촬영을 시작한다. 여기서 동영상 촬영을 시작한다는 것의 의미는 프레임이미지들을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시작한다는 의미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는 프레임이미지들을 저장매체에 저장하지 않더라도 프레임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는 그러한 프레임이미지들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프레임이미지들을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시작함으로써 동영상 촬영을 시작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나아가 프레임이미지들을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중,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하면, 동영상 촬영을 중단한다. 이와 같이 동영상 촬영을 중단하도록 사용자가 직접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를 조작할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두 개의 프레임이미지들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제1프레임이미지(FI1)와 제2프레임이미지(FI2)는 시간적으로 상호 최인접한 프레임이미지들일 수도 있고, 최인접하지는 않더라도 인접한 프레임이미지들일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촬영장치는 촬영모드에서, 제1프레임이미지(FI1)와 제2프레임이미지(FI2)를 비교하여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프레임이미지들의 데이터를 저장매체(70)에 저장하기 시작한다. 즉, 동영상 촬영을 시작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은 두 개의 프레임이미지들에 있어서 피사체 움직임 판단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제1프레임이미지(FI1)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와 제2프레임이미지(FI2)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으면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차이가 없으면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제1프레임이미지(FI1)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에서 피사체의 가장자리를 나타내는 선이 꺾이는 지점들을 제1지점들이라 하고, 제2프레임이미지(FI2)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에서 피사체의 가장자리를 나타내는 선이 꺾이는 지점들을 제2지점들이라 할 시, 상호 대응하는 제1지점들과 제2지점들의 위치를 비교하여 적어도 한 개의 제1지점과 이에 대응하는 제2지점의 위치 차이가 사전설정된 크기 이상일 경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한다.
도 3a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1프레임이미지(FI1)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에서 피사체의 가장자리를 나타내는 선과, 그 선이 꺾이는 제1지점들을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도 3b는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2프레임이미지(FI2)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에서 피사체의 가장자리를 나타내는 선과, 그 선이 꺾이는 제2지점들을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도 3c는 도 3a와 도 3b에서의 제1지점들과 제2지점들 사이의 위치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호 대응하는 제1지점들과 제2지점들의 위치를 비교할 시, 두 개의 제1지점들과 이에 대응하는 제2지점들의 위치가 상이한 것을 알 수 있다. 그 위치 차이가 발생할 시, 제1프레임이미지와 제2프레임이미지에 있어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있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물론 피사체가 매우 살짝 움직이는 경우는 피사체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는 바, 이를 위하여 상호 대응하는 제1지점들과 제2지점들의 위치를 비교하여 적어도 한 개의 제1지점과 이에 대응하는 제2지점의 위치 차이가 사전설정된 크기 이상일 경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은 두 개의 프레임이미지들에 있어서 다른 피사체 움직임 판단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1프레임이미지(FI1)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들에서의 데이터값과, 제1프레임이미지(FI1)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인 제2프레임이미지(FI2)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들에서의 데이터값을 비교하여, 적어도 어느 한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에서의 데이터값에 차이가 있을 경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한다.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경우 15개의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들에서 제1프레임이미지(FI1)에서의 데이터값과 제2프레임이미지(FI2)에서의 데이터값을 비교하는 바, P1 내지 P3로 표시된 지점들에서 제1프레임이미지(FI1)에서의 데이터값과 제2프레임이미지(FI2)에서의 데이터값의 차이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제1프레임이미지와 제2프레임이미지에 있어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있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물론 피사체가 매우 살짝 움직이는 경우는 피사체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는 바, 이를 위하여 제1프레임이미지(FI1)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들에서의 데이터값과, 제1프레임이미지(FI1)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인 제2프레임이미지(FI2)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들에서의 데이터값을 비교하여, 적어도 어느 한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에서의 데이터값 차이가 사전설정된 크기 이상일 경우, 제1프레임이미지와 제2프레임이미지에 있어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있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가 프레임이미지들에 있어서 피사체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외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종래의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할 시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사용자(조작자)까지 촬영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작자가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가 동영상 촬영을 시작하도록 조작한 뒤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전면으로 움직여야만 했다. 또한 그 후 동영상 촬영을 종료하기 위해서는 조작자가 다시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로 이동하여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를 조작해야만 했다. 그 결과, 촬영된 동영상에는 조작자가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이동하거나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로 이동하는 등의 불필요한 동영상까지 포함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동영상 촬영모드에서, 촬상소자(30)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더라도, 사전설정된 시간 이후부터 프레임이미지들의 데이터를 저장매체(70)에 저장하기 시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조작자가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가 동영상 촬영을 시작하도록 조작한 뒤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전면으로 움직이면 그 과정에서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가 피사체의 움직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프레임이미지들을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시작할 수도 있으며, 그 경우 촬영된 동영상에는 불필요한 동영상까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촬상소자(30)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 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더라도, 사전설정된 시간 이후부터 프레임이미지들의 데이터를 저장매체(70)에 저장하기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그 변형예로서, 동영상 촬영모드에서, 사전설정된 시간 이후부터, 촬상소자(30)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프레임이미지들의 데이터를 저장매체(70)에 저장하기 시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사전설정된 시간 내에서는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매체를 구비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5에서 시작은 동영상 촬영모드의 시작을 의미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를 거친다.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시작하는 단계(S30)를 거친다. 그리고 다시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를 거치며, 이에 따라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한다면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S30)를 거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는데, 저장매체에 프레임이미지들을 저장하는 중, S40 단계에서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하면, 동영상 촬영을 중단한다. 이를 통해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프레임이미지들의 저장을 시작하거나 중 단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피사체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피사체의 움직임 여부 판단 방법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와 제2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으면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차이가 없으면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에서 피사체의 가장자리를 나타내는 선이 꺾이는 지점들을 제1지점들이라 하고, 제2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에서 피사체의 가장자리를 나타내는 선이 꺾이는 지점들을 제2지점들이라 할 시, 상호 대응하는 제1지점들과 제2지점들의 위치를 비교하여 적어도 한 개의 제1지점과 이에 대응하는 제2지점의 위치 차이가 사전설정된 크기 이상일 경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들에서의 데이터값과,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인 제2프레임이미지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들에서의 데이터값을 비교하여, 적어도 어느 한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에서의 데이터값 차이가 사전설정된 크기 이상일 경우, 제1프레임이미지와 제2프레임이미지에 있어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있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방법과 상이한 것은,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 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를 거친 후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했더라도 사전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를 거친다는 것이다. 사전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만,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시작하는 단계(S30)를 거친다. 즉,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더라도, 사전설정된 시간 이후부터 프레임이미지들의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시작한다.
종래의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종래의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사용자(조작자)까지 촬영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작자가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가 동영상 촬영을 시작하도록 조작한 뒤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전면으로 움직여야만 했는바, 촬영된 동영상에는 조작자가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이동하는 등의 불필요한 동영상까지 포함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더라도, 사전설정된 시간 이후부터 프레임이미지들의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시작하므로, 촬영된 동영상에 불필요한 동영상이 포함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방법과 상이한 것은, 사전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를 거친 후, 사전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서야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를 거친다는 것이다. 즉, 사전설정된 시간 이후부터,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프레임이미지들의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시작한다.
종래의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종래의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사용자(조작자)까지 촬영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작자가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가 동영상 촬영을 시작하도록 조작한 뒤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전면으로 움직여야만 했는바, 촬영된 동영상에는 조작자가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이동하는 등의 불필요한 동영상까지 포함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사전설정된 시간 이후부터,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프레임이미지들의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시작하므로, 촬영된 동영상에 불필요한 동영상이 포함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된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제어방법을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라 함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저장매체(70)일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모리(60)일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른 별도의 기록매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컨대,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 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한편,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에서뿐만 아니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장치에서도 전술한 바와 같은 동영상에서의 피사체 움직임 판단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제1프레임이미지와 제2프레임이미지가 연속된 프레임이미지들 또는 상호 인접한 프레임이미지들이라 할 시,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에서 피사체의 가장자리를 나타내는 선이 꺾이는 지점들을 제1지점들이라 하고, 제2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에서 피사체의 가장자리를 나타내는 선이 꺾이는 지점들을 제2지점들이라 할 시, 상호 대응하는 제1지점들과 제2지점들의 위치를 비교하여 적어도 한 개의 제1지점과 이에 대응하는 제2지점의 위치 차이가 사전설정된 크기 이상일 경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들에서의 데이터값과,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인 제2프레임이미지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들에서의 데이터값을 비교하여, 적어도 어느 한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에서의 데이터값이 사전설정된 크기 이상일 경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두 개의 프레임이미지들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피사체 움직임 판단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다른 피사체 움직임 판단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렌즈 11: 렌즈 구동부
20: 조리개 21: 조리개 구동부
30: 촬상소자 31: 촬상소자 제어부
40: A/D 변환부 50: 디지털 신호 처리부
60: 메모리 71: 저장/판독 제어부
70: 저장매체 81: 디스플레이 제어부
80: 디스플레이부 100: CPU
200: 조작부

Claims (15)

  1.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 및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매체;를 구비하며,
    동영상 촬영모드에서,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프레임이미지들의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시작하며,
    상기 저장매체에 프레임이미지들을 저장하는 중,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하면, 동영상 촬영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와 제2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으면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차이가 없으면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에서 피사체의 가장자리를 나타내는 선이 꺾이는 지점들을 제1지점들이라 하고, 제2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 체의 가장자리 이미지에서 피사체의 가장자리를 나타내는 선이 꺾이는 지점들을 제2지점들이라 할 시, 상호 대응하는 제1지점들과 제2지점들의 위치를 비교하여 적어도 한 개의 제1지점과 이에 대응하는 제2지점의 위치 차이가 사전설정된 크기 이상일 경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들에서의 데이터값과, 상기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인 제2프레임이미지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들에서의 데이터값을 비교하여, 적어도 어느 한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에서의 데이터값의 차이가 사전설정된 크기 이상일 경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동영상 촬영모드에서,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더라도, 사전설정된 시간 이후부터 프레임이미지들의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동영상 촬영모드에서, 사전설정된 시간 이후부터,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프레임이미지들의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7.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 및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매체;를 구비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동영상 촬영모드에서,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프레임이미지들의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시작하며,
    상기 저장매체에 프레임이미지들을 저장하는 중,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하면, 동영상 촬영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와 제2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으면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차이가 없으면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에서 피사체의 가장자리를 나타내는 선이 꺾이는 지점들을 제1지점들이라 하고, 제2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에서 피사체의 가장자리를 나타내는 선이 꺾이는 지점들을 제2지점들이라 할 시, 상호 대응하는 제1지점들과 제2지점들의 위치를 비교하여 적어도 한 개의 제1지점과 이에 대응하는 제2지점의 위치 차이가 사전설정된 크기 이상일 경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들에서의 데이터값과, 상기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인 제2프레임이미지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들에서의 데이터값을 비교하여, 적어도 어느 한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에서의 데이터값의 차이가 사전설정된 크기 이상일 경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동영상 촬영모드에서,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 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더라도, 사전설정된 시간 이후부터 프레임이미지들의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동영상 촬영모드에서, 사전설정된 시간 이후부터,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의 프레임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프레임이미지들의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14.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에서 피사체의 가장자리를 나타내는 선이 꺾이는 지점들을 제1지점들이라 하고, 제2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가장자리 이미지에서 피사체의 가장자리를 나타내는 선이 꺾이는 지점들을 제2지점들이라 할 시, 상호 대응하는 제1지점들과 제2지점들의 위치를 비교하여 적어도 한 개의 제1지점과 이에 대응하는 제2지점의 위치 차이가 사전설정된 크기 이상일 경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움직임 판단방법.
  15.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들에서의 데이터값과, 상기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인 제2프레임이미지에서의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들에서의 데이터값을 비교하여, 적어도 어느 한 사전설정된 위치의 지점에서의 데이터값이 사전설정된 크기 이상일 경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움직임 판단방법.
KR1020090019841A 2009-03-09 2009-03-09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및 피사체 움직임 판단방법 KR20100101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841A KR20100101375A (ko) 2009-03-09 2009-03-09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및 피사체 움직임 판단방법
US12/719,179 US20100329660A1 (en) 2009-03-09 2010-03-08 Digital moving picture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execute the method, and method of determining movement of subject
CN201010133682A CN101834987A (zh) 2009-03-09 2010-03-09 数字运动画面拍摄设备及控制方法和确定对象运动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841A KR20100101375A (ko) 2009-03-09 2009-03-09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및 피사체 움직임 판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375A true KR20100101375A (ko) 2010-09-17

Family

ID=42718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841A KR20100101375A (ko) 2009-03-09 2009-03-09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및 피사체 움직임 판단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329660A1 (ko)
KR (1) KR20100101375A (ko)
CN (1) CN1018349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670B1 (ko) * 2011-12-29 2012-04-18 주식회사 앤비젼 영상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59680A (ko) * 2018-11-21 2020-05-2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이미지 자동 생성 장치 및 3차원 이미지 자동 생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3737B2 (ja) 2011-02-02 2015-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動画記録装置の制御方法
KR20150078275A (ko) * 2013-12-30 201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이는 피사체 촬영 장치 및 방법
CN105049719B (zh) * 2015-07-03 2019-02-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全景拍摄方法及移动终端
CN106961567A (zh) * 2016-01-12 2017-07-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动画图像生成方法及装置
CN111654616A (zh) * 2020-04-26 2020-09-11 成都市喜爱科技有限公司 拍摄方法和系统
CN115183761A (zh) * 2022-07-22 2022-10-14 福建省海峡智汇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流水线作业机械臂状态的检测方法、装置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6320B2 (en) * 1997-05-27 2002-09-24 Sanyo Electric Co., Ltd. Monitoring system and imaging system
JP3677192B2 (ja) * 2000-04-19 2005-07-2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US8154581B2 (en) * 2002-10-15 2012-04-10 Revolutionary Concepts, Inc. Audio-video communication system for receiving person at entrance
US7616782B2 (en) * 2004-05-07 2009-11-10 Intelliview Technologies Inc. Mesh based frame processing and applications
TW201026062A (en) * 2008-12-26 2010-07-01 Altek Corp A portable image capturing apparatus with auto monitoring and the auto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670B1 (ko) * 2011-12-29 2012-04-18 주식회사 앤비젼 영상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59680A (ko) * 2018-11-21 2020-05-2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이미지 자동 생성 장치 및 3차원 이미지 자동 생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329660A1 (en) 2010-12-30
CN101834987A (zh)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1375A (ko)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및 피사체 움직임 판단방법
JP5778998B2 (ja) 撮像装置、画像生成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259172B2 (ja) 手振れ補正制御回路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撮像装置
KR100994596B1 (ko) 소정 조건을 따른 화상을 기록하는 촬상장치, 촬영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JP5381486B2 (ja) 撮像装置および方法
US9906708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imaging program for controlling an auto-focus scan drive
KR20100067407A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움직임에 따른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9003334A (ja) 画像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
JP5610106B1 (ja) 撮像装置の異物情報検出装置および異物情報検出方法
US8174567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US20120051712A1 (en) Moving image playback system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KR20090059514A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2009171362A (ja) 撮影装置、撮影方法
JP2010187200A5 (ja)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10028341A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2007150496A (ja) 撮像装置、およびデータ記録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10043991A (ko) 모션 블러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9260413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07335954A5 (ko)
JP2007011054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4025116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2005260357A5 (ko)
JP5359715B2 (ja) 被写体追尾装置、被写体追尾方法、およびカメラ
JP2006033513A (ja) 撮像装置
JP2006047645A (ja) 焦点調節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