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00080105A -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 및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 및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0105A
KR20100080105A KR1020080138733A KR20080138733A KR20100080105A KR 20100080105 A KR20100080105 A KR 20100080105A KR 1020080138733 A KR1020080138733 A KR 1020080138733A KR 20080138733 A KR20080138733 A KR 20080138733A KR 20100080105 A KR20100080105 A KR 20100080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composition
glutamic acid
acetylglucosamine
acid lys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7312B1 (ko
Inventor
김종인
황정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라보
황정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라보, 황정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라보
Priority to KR1020080138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312B1/ko
Publication of KR20100080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3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또는 그의 무독성 염,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은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의 조합에 의해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에 있어서 상승적인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자극이 거의 없어,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 효과 및 주름 개선 효과에 의해 피부 노화를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어,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 및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nd caring skin comprising a peptide}
본 발명은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글리신-리신-글리신 펩타이드 골격을 갖는 양친매성 펩티드와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포함하여 피부 자극이 없이 안전하면서도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에 있어 상승작용을 갖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외부적 내부적 환경의 각종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자외선, 건조한 바람, 열, 습도, 자극적인 세제, 신체적 질병, 생화학적 노화 등에 대해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변화해 간다. 이러한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피부건조, 색소침착, 주름 등의 피부 트러블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부의 보습력을 유지하고 주름을 개선하는 화장품이 사용된다. 피부의 구조는 외측으로부터 각질층, 표피, 진피, 피하조직의 다중구조로 되어 있고, 화장품은 특히 각질층에 대하여 관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각질층에는 수분유지기능으로 아미노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보습인자(NMF)와 수분증발방지 기능인 세라마이드와 인지질 등의 세포간 지질이 존재한다.
레티노이드(Vitamin-A) 및 그 유도체, 아스코르빈산(Vitamin-C) 및 그유도체, 펩타이드류는 콜라겐, 엘라스틴, 히아루론산 등의 생성을 증진시킴으로써;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류, 카탈라제(Catalase) 등의 효소는 상피세포나 기저세포의 파괴 및 유발경로를 차단함으로써; 그리고 비타민 E, 베타카로틴, 글루타치온, 아스코르빈산 등의 지용성, 수용성 항산화제 등은 각질층의 보습막의 파괴방지 및 신생에 의해, 피부의 보습력를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아세틸글루코사민은 피부 보습 효과가 알려져 있는 물질로서, 게나 새우 등의 갑각류의 외각 중에 포함되는 고분자 다당류 키틴(chitin)을 분해하여 얻을 수 있는 천연형의 아미노당의 일종이다. N-아세틸글루코사민은 우유 중에도 유리상태로 10 m/mL 전후로 포함되어 있고, 뮤코다당이나 당단백질, 당지질의 당쇄 부분의 구성 단위로서 생체 중에 보편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통상 생체 내에서는 글루코오스를 출발물질로 해서 대사에 의해 만들어 내고 있으며, 사람에 있어서 안전성이 높은 생체 성분 중의 하나이다. N-아세틸글루코사민은 히알루론산과 같은 뮤코다당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수화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탁월하여, 보습제 및 주름 개선 제로서의 사용이 제안되어 왔다(한국특허공개 2005-0078283, 2006-0123609).
또한,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은 1쇄 1친수기인 라우로일글루타민산나트륨염 2 개가 리신을 스페이스로 하여 연결되어 있는 펩티드 골격(Glu-Lys-Glu)을 가지며, 제미니형 양친매성을 나타낸다.(ROSEN M, Geminis J.,A NEW Generation of Surfactants, CHEMTECH,23,30(1993)).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은 손상된 피부을 회복시키는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며, 피부자극물질과 병용 시 피부 자극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田村幸永, 山脇幸男, 香粧 洗淨材技報, 2. 25(2007)).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물질들이 피부의 보습 및 주름 개선등을 포함한 피부의 보호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피부 침투가 용이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한계로 인해 상기 물질들을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탁월한 피부의 보습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보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보다 향상된 피보 보호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을 포함한 피부 보호에 있어서 보다 우수한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종래에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물질을 조합함으로써 상기 피부 보호 효과의 측면에 있어서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를 포함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주름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또는 그의 무독성 염,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주름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 보습 효과 및 주름 개선 등의 피부보호 효과가 공지되어 있던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또는 그의 무독성 염, 및 N-아 세틸글루코사민을 최초로 조합한 화장료 조성물로서, 이러한 조합에 의해 각각의 성분은 그 자체가 가지고 있던 피부 보호 효과가 상승적으로 증가하여, 매우 우수한 피부보호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인 "피부 보호"는 피부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보습 개선", "주름 개선", 또는 "상기 용도의 조합"등을 포함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또는 그의 무독성 염,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b)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또는 그의 무독성 염,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또는 그의 무독성 염,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의 무독성염은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 리신의 효과를 저해하거나 독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면 임의의 염 형태가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소듐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100 중량부에 대해 N-아세틸글루코사민 5 내지 3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0.01 내지 10.0 중량%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 0.001 내지 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부족할 경우에는 피부 보습력 및 주름 개선 증진 효과가 미약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넘어설 경우는 화장료 조성물이 표면의 거칠감, 뭉글거림이 심하여 안정성의 측면에서 적절하지 않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해 화장품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방법으로 특정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안정화제, 용해화제, 유탁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 또는 이들이 조합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하고자 제형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임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샴푸,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리퀴드 파운데이션 및 크림 파운데이션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유액,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헤어 에센스, 린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카르복실비닐폴리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경화피마자유, 방부제 또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향료, 농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라 일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유화현탁제,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점증제 또는 방부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이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실시예에서 실험에 의해 확인한 바와 같이,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의 조합에 의해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에 있어서 상승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자극이 극히 적어 화장품으로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주름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적용하고자 하는 피부 면적에 따라 적절한 양을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적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루 1 회 내지 수 회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적용하는 양 및 횟수는 개인의 피부 상태, 연령 등에 따라 필요에 의해 증감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 화장료 조성물은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의 조합에 의해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에 있어서 상승적인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자극이 거의 없어,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 효과 및 주름 개선 효과에 의해 피부 노화를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어,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장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중량%, 부틸렌글리콜 3.0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소듐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0.1 중량%, N-아세틸글루코사민 0.01 중량%, PEG 4000 0.5 중량%를 정제수에 가열, 혼합 용해하여 수성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0.2 중량%, 폴리소르베이트 80 0.2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1 중량%, 메틸파라벤 적량, 및 향료적량을 에탄올 6.0 중량%에 용해한 것을 상기 수성 혼합물과 혼합하여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91132008-PAT00001
비교예 1,2, 및 3: 화장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표 1에 나타낸 조성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비교예 1, 2, 및 3의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영양유액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지터블왁스 0.5중량%, 세탄올 0.5중량%, 세토스테아릴알코올 0.8 중량%, 스테아린산 0.6중량%,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0.6 중량%,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0.5 중량%, 밀납 0.50 중량%, 파라핀왁스 0.5 중량%, 스쿠알란 3.0 중량%, 폴리솔베이트 60 1.2 중량%, 세스퀴올레인산 0.8 중량%, 향료을 따로 혼합하여 가열 용해하여 알코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N-아세틸글루코사민 0.1 중량%, 소듐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1.0 중량%, PEG 4000 0.5 중량%, 농글리세린 4.00 중량%, 부틸렌글리콜 6.00 중량%, 카르복시폴리머 0.08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08 중량%, 적량의 방부제, 및 나머지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가열 용해한 것에 상기 알코올 혼합물을 넣어 교반 냉각시켜 영양유액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91132008-PAT00002
비교예 4, 5, 및 6: 영양유액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상기 표 2에 나타낸 조성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 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비교예 4, 5, 및 6의 영양유액을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영양크림 제조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지터블왁스 1.0 중량%, 세탄올 0.9 중량%,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00 중량%, 스테아린산 0.8 중량%,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1.0 중량%,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1.00 중량%, 밀납 1.50 중량%, 스쿠알란 6.00 중량%, 파라핀왁스 0.5 중량%, 카프릭 카프릴릭트리글리세라이드 3.00 중량%, 디메치콘 0.50 중량%, 폴리솔베이트 60 1.20 중량%,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8 중량%, 및 향료를 따로 혼합, 가열 용해하여 알코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N-아세틸글루코사민 1.0 중량%, PEG 4000 0.5 중량%, 소듐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5.0 중량%, 농글리세린 6.00 중량%, 부틸렌글리콜 6.00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10 중량%, 및 적량의 방부제를 잔량의 정제수와 혼합하여 가열 용해한 것에 상기 알코올 혼합물을 넣어 교반 냉각시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91132008-PAT00003
비교예 7, 8, 및 9: 영양크림 제조
상기 실시예 3에서 상기 표 3에 나타낸 조성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상기 비교예 7, 8, 및 9의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코네오메터 CM 825 를 이용한 보습력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에 대하여 보습 효과를 코네오메터 CM 825(Corneometer CM 825, Courage+Khazaka 사)를 사용하여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시료 당 35-60대 여성 5명을 대상으로 상박부 2 x 2 ㎠ , 8 구획 나누어 구 분하고, 물로 여러 차례 세정한 후 자극 없이 수분을 제거하였다. 15 분경과 후, 시료를 각각 2 구획에 대하여 10 ㎕ 씩 점적하여 고르게 도포하였다. 2 시간 경과 후, 코네오메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구획 당 5 회 측정하였다. 실험은 실내온도는 21± 2℃, 상대습도 50± 5%의 항온 항습실에서 실시하였다. 측정값은 5회 측정하여 얻어진 값을 평균하여 사용하였으며, 대상자 5 명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4에서는 비교예 1에 대해 실시예1, 비교예 2, 3의 보습력 증가를 비교하기 위해 비교예 1에 대한 실시예1, 비교예 2, 3의 보습력 증가를 함께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2 및 비교예 4-6, 실시예 3 및 비교예 7-9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91132008-PAT00004
상기 결과에서 실시예 1~3에서는 소듐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N-아세틸글루코사민의 두 가지 모두의 사용에 의한 증감을, 비교예 2,3,5,6,8,9에서는 각각 따로 사용할 경우의 보습력 증감을 나타낸다. 실시예의 1, 2, 3의 각각의 보습력 증가가 비교예 2,3의 보습력 증가의 합, 비교예 5,6의 보습력 증가의 합, 비교예 8,9의 보습력 증가의 합보다 각각 우수한 결과가 도출 되었다. 따라서, 보습력 증가의 측면에 있어서 본원발명의 실시예 1-3의 제제가 소듐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 신 또는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각각 사용할 경우에 비해 상승적인 효과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실험예 2: 데시케이터를 이용한 보습력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보습 효과를 아래와 같이 액상에서의 수분 증발 억제율 차이를 이용하여 보습력을 측정하였으며, 각각 실시예 또는 비교예 제제의 30%를 정제수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시료 10 g를 표면적이 일정한 컵에 적정한 후, 완전 건조된 염화칼슘(CaCl2)을 흡습제로 사용하여 온도 35℃로 조절한 데시게이터에서 24 시간 동안 방치하였고, 24 시간 후 각 시료의 무게를 5 회 측정한 평균값을 이용하여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91132008-PAT00005
상기 실험결과에 따르면, 실시예 1의 보습력 증가율은 비교예 2, 3의 증가율의 합보다 크고, 실시예 2의 보습력 증가율은 비교예 5, 6의 증가율의 합보다 크고, 실시예 3의 보습력 증가율은 비교예 8, 9의 증가율의 합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듐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의 두 가지 모두를 사용한 실시예 1, 2, 및 3의 제제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의 비교예에 비해 보습효과에 있어서 상승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주름개선효과
상기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1-9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주름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35~60 세의 여성 50 명을 대상으로 1 일 2 회씩 상기 실시예 1,2,3 및 비교예 1-9에서 각각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눈 주위에 균일하게 도포하도록 하였고, 측정부위는 눈가 주름(crow's feet)으로 정하여 총 3개월 동안 실시하였다.
피험자의 왼쪽 눈가에는 상기 실시예 1,2,3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하였고, 오른쪽 눈가에는 상기 비교예 1-9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하였다. 3 개월 후 주름의 완화 정도는 육안판정(대조군과 비교하여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중등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4 단계로 판정)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고, 화장료 조성물의 적용 전과 적용 후의 눈가 주름 주형(replica)을 영상분석법으로 주름의 깊이(㎛)를 측정하여 rm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91132008-PAT00006
Figure 112008091132008-PAT00007
상기 표 6에 따르면, 주름의 개선율이 실시예 1의 비교예 1에 대한 개선율 증가가 비교예 2, 3의 비교예 1에 대한 개선율 증가의 합보다 크고, 실시예 2의 비 교예 4에 대한 개선율 증가가 비교예 5, 6의 비교예 4에 대한 개선율 증가의 합보다 크고, 실시예 3의 비교예 7에 대한 개선율 증가가 비교예 8, 9의 비교예 7에 대한 개선율 증가의 합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듐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의 두 가지 모두를 사용한 실시예 1, 2, 및 3의 제제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의 비교예에 비해 주름 개선 효과에 있어서 상승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표 7에 따르면, 주름의 깊이에 있어서 실시예 1의 비교예 1에 대한 주름 깊이 감소율의 증가가 비교예 2, 3의 비교예 1에 대한 주름 깊이 감소율 증가의 합보다 크고, 실시예 2의 비교예 4에 대한 주름 깊이 감소율 증가가 비교예 5, 6의 비교예 4에 대한 주름 깊이 감소율 증가의 합보다 크고, 실시예 3의 비교예 7에 대한 주름 깊이 감소율 증가가 비교예 8, 9의 비교예 7에 대한 주름 깊이 감소율 증가의 합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듐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의 두 가지 모두를 사용한 실시예 1, 2, 및 3의 제제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의 비교예에 비해 주름 깊이 감소율에 있어서 상승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3: 피부 안전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2,3,5,6,8,9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첩포를 통한 피부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화장품에 의한 피부 부작용을 경험한 적이 있었던 총 90 명(여성: 90 명)을 대상으 로 하여 환자의 등에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첩포를 도포한 후, 48 시간이 경가 후에 첩포를 제거한 다음, 1 시간 내지 2 시간 후에 일차 판정을 하였으며, 72 시간 및 96 시간 후에 판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91132008-PAT00008
상기 표 8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2, 3 가 비교예 2,3,5,6,8,9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보다 약간 안전하며, 실시예의 조성물 및 비교예 조성물은 모두 유의적으로 피부에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9)

  1.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또는 그의 무독성 염,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주름의 개선을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의 무독성 염은 소듐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100 중량부에 대해 N-아세틸글루코사민 5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라우로일글루타민산리신 0.01 내지 10.0 중량%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 0.001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는 안정화제, 용해화제, 유탁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 또는 이들이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현탁액, 유탁액, 크림, 로션, 샴푸,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리퀴드 파운데이션, 크림 파운데이션,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헤어 에센스, 또는 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주름을 개선시키는 방법.
KR1020080138733A 2008-12-31 2008-12-31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 및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07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733A KR101107312B1 (ko) 2008-12-31 2008-12-31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 및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733A KR101107312B1 (ko) 2008-12-31 2008-12-31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 및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105A true KR20100080105A (ko) 2010-07-08
KR101107312B1 KR101107312B1 (ko) 2012-01-20

Family

ID=42641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733A KR101107312B1 (ko) 2008-12-31 2008-12-31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 및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3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390A (ko) 2021-12-01 2023-06-08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친환경 용매를 매개로 한 유사 뱀독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및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9853B2 (ja) * 1999-08-09 2009-04-08 焼津水産化学工業株式会社 経口用皮膚潤い改善剤
JP2002284662A (ja) 2001-03-27 2002-10-03 Kanebo Ltd 皮膚外用剤組成物
CN101772340B (zh) * 2007-08-03 2013-01-23 株式会社高丝 液状化妆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7312B1 (ko) 201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59453T3 (es) Composiciones tópicas que comprenden Pichia anomala y extractos de raíces de achicoria
JP6218380B2 (ja) 肌質改善用外用組成物
JP7309620B2 (ja) 皮膚及び/又は粘膜を水和させるためのネフェリウム・ラパセウム(nephelium lappaceum)の果皮の抽出物の使用
WO2009127058A1 (en) Skin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WO2004016236A1 (ja) 化粧料
JP2012041302A (ja) 皮膚化粧料
KR20070081192A (ko) 오리자놀, 미강유 및 인지질이 내포된 리포좀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31387A (ko) 피부관리용 화장품 조성물
KR20050103903A (ko) 노화되거나 환경에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국소적조성물 및 치료 방법
WO2015147137A1 (ja) セラミド配合外用剤組成物
JP5455292B2 (ja) 皮膚外用組成物
KR101107312B1 (ko)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 및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JP2022534485A (ja) 皮膚の治療組成物および保存系
JP2004075635A (ja) 保湿剤及び皮膚外用剤
JP2005089427A (ja) 皮膚外用剤
US10406086B2 (en) Moisturizer and cosmetic including the same
KR20110089626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50097578A (ko)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JP2009249366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JP2004051561A (ja) 皮膚化粧料組成物
US20240130948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KR20160000318A (ko) 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365281B2 (ja) Dfa含有皮膚外用剤、化粧料、眼科用液剤
RU2723483C1 (ru) Косметический крем для рук
KR20100033729A (ko)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비타민 c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