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9119A -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59119A KR20100059119A KR1020080117776A KR20080117776A KR20100059119A KR 20100059119 A KR20100059119 A KR 20100059119A KR 1020080117776 A KR1020080117776 A KR 1020080117776A KR 20080117776 A KR20080117776 A KR 20080117776A KR 20100059119 A KR20100059119 A KR 201000591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gh voltage
- vehicle
- voltage component
- case
- bol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28—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screw conveyors thereon
- B60P1/4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screw conveyors thereon mounted o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 전기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등에 탑재되는 구동용 배터리를 포함하는 고전압 전장 부품(high voltage electronic parts)을 차량의 리어 시트 후방의 화물적재실 내의 바닥면에 설치함으로써, 화물적재량을 높이면서 개선된 공간 창출 능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차량 추돌에 의한 사고 발생 시 고전압 전장 부품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후방 화물 적재실에 위치한 차체 바닥부에 오목한 형상의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에 고전압 부품을 탑재하여 공간 활용도를 개선하는 한편, 상기 수납부 중 리어 타이어 측 차체 바닥부가 형성하는 일면의 모서리부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R 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후방 충돌에 따른 고전압 부품의 파괴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지재의 커버 및 실링된 체결부재를 통하여 내수성을 갖춘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고전압 부품, 고전압 배터리, 고전압 유닛, 설치 구조, 부착 구조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브리드 차량, 전기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등에 탑재되는 구동용 배터리를 포함하는 고전압 전장 부품(high voltage electronic parts)을 차량의 리어 시트 후방의 화물적재실 내의 바닥면에 설치함으로써, 화물적재량을 높이면서 개선된 공간 창출 능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차량 추돌에 의한 사고 발생 시 고전압 전장 부품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 연료 고갈로 인한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에 따라 기존의 내연기관 방식에서 벗어나 진보된 구동 방식을 갖춘 차세대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차세대 자동차로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ybrid Eletric Vehicle), 연료전지 자동차(Fuel Cell Vehicle), 전기 자동차(Eletric Vehicle) 등이 개발되어 상용화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술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와 연료전지 자동차, 그리고, 전기 자동차는 모두 전기모터를 작동시켜 차량을 구동시키는 차량으로서, 전기모터의 구동전력을 제공하는 고전압 배터리가 필수적으로 장착되며, 고전압 배터리는 차량 운행 중에 충/방전을 반복하면서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고전압 배터리를 포함하여 인버터 및 배터리 컨트롤 유닛, 릴레이 등의 배터리 관련 각종 고전압 전장부품은 차량의 정해진 위치에 장착되는데, 예를 들면 고전압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리어 시트 하측이나 리어 시트 후방 등에 설치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5-280649호는 고전압 배터리를 포함하는 고전압 부품을 리어 시트 후방에 고정하여 탑재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본공개특허 제2005-280649호의 개시된 구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식으로서, 리어 시트(1) 후방에 고전압 부품(4)을 탑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차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 차체 구조물인 리어측 선반(rear parcel)(2) 및 하부 차체 골격 부재인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3)에 고전압 부품용 케이스(5)를 고정하고, 상기 케이스가 리어 시트의 경사면을 따라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고전압 부품(4)을 수납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케이스(5)는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3)를 피해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케이스의 용적이 감소하여 수납성이 떨어지게 되며, 리어 시트 후면의 고전압 부품을 포함하는 고전압 유닛의 부피만큼 화물적재실의 용량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에서는 각 고전압 부품(4)에 대형 스테이(6)를 장착되는데, 이는 각 고전압 부품(4)이 스테이(6)가 장착된 상태에서 케이스(5)에 고정됨으로써 고전압 부품(4)은 스테이(6)를 매개로 케이스(5) 내부 정해진 위치에 완전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고전압 부품(4)에서 중량이 무거운 부품, 예를 들어 배터리 팩(일 예로, 대략 30kg) 등의 고중량부품이 장착된 상태에서 스테이(6)가 케이스(5)의 외주부에 고정되기 위해서는 중량과 진동 등에 견딜 수 있는 고강성이 요구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대중량의 고전압 유닛을 차량의 리어 시트 후면에 세로로 설치함에 따라 조립이 어려워지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며, 완성된 차량의 중심이 높아지게 되어, 운동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리어 시트 후면을 전혀 이용할 수 없게 되어, 시트 리클라이닝(Seat Reclining) 기구 또는 트렁크 쓰루(Trunk Through) 기구와 같은 편의 구성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구동용 배터리를 포함하는 고전압 부품을 차체에 설치하는 구조에 있어서, 고전압 부품을 차량의 화물적재실 바닥면에 설치함으로써, 고전압 부품의 차량에 탑재 시 효과적인 공간 이용을 통해 화물적재실의 용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차량의 저중심화를 구현하여 주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후방에서 차량의 추돌 발생시 고전압 부품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전압 부품의 이동이 가능한 리어 타이어 외주부 구조를 제공하며, 화물적재실 개폐에 따른 수분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강화된 내침수성 구조의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후방 화물 적재실에 위치한 차체 바닥부에 오목한 형상의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에 고전압 부품을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 중 리어 타이어 측 차체 바닥부가 형성하는 일면의 모서리부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R 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모서리부의 R 형상의 곡면이 갖는 곡률반경은 1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는 상기 고전압 부품을 탑재하기 위하여 수납부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외부로부터 상기 고전압 부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전압 부품으로부터 상기 수납부의 상측을 차단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는 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커버와 상기 케이스는 차체 바닥부와 볼트 및 너트의 조합에 의하여 체결되며,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볼트 구멍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실링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와 상기 케이스는 차체 바닥부와 볼트 및 너트의 조합에 의하여 체결되며, 상기 볼트 및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볼트 구멍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 부재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화물적재실의 바닥면에 고전압 부품을 설치함으로써, 화물적재실에 수납할 수 있는 화물 수용량이 증가하고, 기존의 리어 시트 이면에 고전압 부품을 세로로 설치함에 따른 강성 확보를 위한 보강 브라켓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이 절감되며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는 차량의 후방에서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고전압 부품이 차체 바닥부의 리어 타이어 외주부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충돌 발생시 고전압 부품의 파괴에 의한 발화, 발연, 감전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고전압 부품과 케이스 및 커버를 포함하는 내수성을 갖춘 통합적인 결합 구조를 통하여 고전압 부품의 침수를 방지하여 전기 안전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고중량물인 고전압 부품을 화물적재실 바닥부에 탑재시킴으로서 차량 중심을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어 주행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에 의하여 공간활용성이 향상되어, 뒷자석 이면에 시트 리클라이닝(Seat Reclining) 기구 또는 트렁크 쓰루(Trunk Through) 기구와 같은 편의 기능을 유닛 조립에 의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에 있어서, 화물적재실의 수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량 충돌시 고전압 부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차량의 화물적재실 바닥면에 고전압 부품과 커버와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전압 유닛을 통합적으로 설치하는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는 기존의 구성에서 구동용 배터리를 포함하는 고전압 유닛(U)을 세로로 리어 시트(10) 후방의 경사면에 평행하도록 적재하던 구조와는 달리, 차량의 뒤쪽 화물적재실(T)의 바닥부에 오목한 빈 공간인 수납부(A)를 형성하여 고전압 유닛(U)을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도 2에서 고전압 부품(30)이 탑재된 공간은 스패어 타이어(Spare tire)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물적재실 바닥부의 수납부(A)에 고전압 부품(30)과 케이스(40) 및 커버(50)로 이루어지는 고전압 유닛(U)을 설치하며, 상기 고전압 부품(30)은 케이스(40) 및 커버(50)와 함께 볼트(60) 및 너트(70)와 같은 고정 부재를 통하여 차체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첨부된 도 1과 도 2를 서로 비교해 보면, 도 1에 도시된 기존 구성에 비하여 리어 시트(10) 후방의 고전압 유닛(U)에 대한 공간을 활용할 수 있어, 화물 수납용량이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도 1에 도시된 구성에 비하여 대중량의 고전압 부품(30)이 상대적으로 차체의 저면으로 이동하므로, 차량의 중심이 내려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의 바람직한 일구현예로서 후면 추돌시 고전압 부품 파괴 방지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는 기본적으로 차량의 화물적재실 바닥부에 형성된 오목 형상의 수납부(A)에 고전압 부품(30)을 설치하는 구성이므로, 차량의 후방 충돌에 대하여 고전압 부품(30)이 노출되어, 차량 추돌로 인한 고전압 부품(30)의 발화, 감전의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는 차량의 후방 추돌 사고에 대하여, 고전압 부품(30)을 보호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추돌에 따른 외력 또는 추돌 전 제동에 따른 관성을 이용하여 차량의 리어 타이어(20) 외주부에 해당하는 차체의 바닥면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 부품(30)이 탑재되는 화물적재실(T) 내의 오목 형상의 수납부(A)에 있어서, 상기 오목 형상의 수납부(A) 중 리어 타이어(20)를 둘러싸고 있는 차체의 바닥부가 형성하는 일면에 해당하는 모서리부(B)의 형상이 굴곡을 갖는 R 형상으로 구성한다. 따라서, 차량의 후방 추돌이 발생하는 경우, 추돌에 의한 외력 또는 추돌 전 제동에 따른 관성이 고전압 부품(30)에 미침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차량의 리어 타이어(20) 외주부에 해당하는 차체의 바닥면, 즉 리어 시트(10) 후면 측으로 상기 고전압 부품이 이동하여, 추돌에 따른 고전압 부품(30)이 파괴되는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거리 L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오목 형상의 수납부(A)에서, 리어 타이어(20) 측 단면을 형성하는 모서리부(B)의 굴곡을 갖는 R 형상의 곡률 반경에 해당하는 R 값은 100㎜ 이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100㎜의 R 값은 후방 추돌 발생 시 고전압 부품(30)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값에 해당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의 구성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의 구체적인 체결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일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차체 바닥부(F) 중 차량의 후방 화물적재실의 바닥부에 고전압 부품(30)이 탑재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을 갖는 수납부(A)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A)의 바닥면에 케이스(40)를 고정하여 상기 케이스(40)에 고전압 부품(30)을 탑재 및 고정하고, 상기 고전압 부품(3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외면을 덮도록 구성된 커버(50)를 상기 케이스(40)와 함께 차체에 고정함으로써 고전압 유닛(U)을 구성한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커버(50)와 상기 케이스(40) 및 차체의 바닥부 역시 볼트(60)와 너트(70)의 조합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구성한다.
다만, 상기 고전압 부품(30)이 탑재되는 화물적재실의 바닥부는 결로나 우천시에 리어 해치(Rear Hatch)의 개폐에 따라 침수가 용이한 구조이므로, 본 발명의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에서는 고전압 유닛(U)의 케이스 재질을 수지재로 구 성하고, 케이스(40)가 고정되기 위한 볼트 구멍을 실링함으로써 고전압 유닛(U) 전체의 기밀을 유지하여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도 5에서는 이러한 볼트에 의한 체결 구조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의 단면을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는 고전압 부품(30)의 양측면에 차체의 바닥부 및 케이스(4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볼트(60)가 삽입될 수 있는 볼트 구멍을 갖는 고정단(31)을 형성하고, 상기 차체의 바닥부와 상기 케이스(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된 볼트(60)를 상기 고정단의 볼트 구멍(32)으로 삽입하고, 상기 볼트를 워셔(80)와 너트(70)로 조임으로서 단단히 고정시킨다.
도 6은 상술한 차체 바닥부(F) 및 케이스(40)와 고전압 부품의 체결 구조에 대한 볼트 및 너트의 조합을 구체적으로 도시하기 위하여 고전압 부품의 고정단 측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에서는 고전압 부품(30)을 고정하기 위하여 볼트와 너트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볼트(60)는 스터드 볼트(Stud Bolt)로 구성하여, 상기 스터드 볼트를 차체 바닥부(F)에 용착시킴으로서 용착부(W)를 형성하여 차체의 바닥부에 단단히 고정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전압 유닛(U) 전체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터드 볼트(60)가 케이스(40)에 형성된 볼트 구멍에는 침수 방지를 위한 실링 기능(S1)을 갖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는 고 전압 유닛의 케이스(40)와 고전압 부품(30)을 동일한 볼트로 모두 죄어 고정할 수 있어, 고전압 유닛(U) 외주부로부터 별도의 고정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보다 작은 공간에 고전압 부품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구현예로서,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의 고전압 부품 체결 구조와 관련하여, 실링 부재(S2)를 삽입한 볼트 및 너트의 체결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에서는 상기 차체 바닥부(F)에 용착에 의하여 고정된 볼트(60)와 상기 고전압 부품(3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단(31)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볼트(60)를 고정하는 너트(70)를 통하여 케이스(40) 및 차체 바닥부(F)에 상기 고전압 부품을 체결하도록 구성되며, 이 경우, 상기 케이스(40)에 형성된 볼트 구멍에 실링 부재(S2)를 삽입하여, 상기 고전압 부품(30)과 상기 차체 바닥부(F) 사이에 고정시킴으로서, 상기 볼트 축과 실링 부재의 결합에 의해 침수를 방지하고, 고전압 유닛(U)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요소들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의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필수적인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특별한 상황들이나 재료에 대하여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 명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모든 실시 예들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리어 시트 후면에서의 고전압 부품 설치 구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추돌시 고전압 부품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의 구성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체결 구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0: 리어 시트 20: 리어 타이어
30: 고전압 부품 31: 고정단
32: 고정단 측 볼트 구멍 40: 케이스
50: 커버 60: 볼트
70: 너트 F: 차체 바닥부
Claims (7)
-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에 있어서,차량의 후방 화물 적재실에 위치한 차체 바닥부에 오목한 형상의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에 고전압 부품을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중 리어 타이어 측 차체 바닥부가 형성하는 일면의 모서리부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R 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의 R 형상의 곡면이 갖는 곡률반경은 1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는 상기 고전압 부품을 탑재하기 위하여 수납부에 고정되는 케이스와;외부로부터 상기 고전압 부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전압 부품으로부터 상기 수납부의 상측을 차단하는 커버를;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케이스는 차체 바닥부와 볼트 및 너트의 조합에 의하여 체결되며,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볼트 구멍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실링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케이스는 차체 바닥부와 볼트 및 너트의 조합에 의하여 체결되며, 상기 볼트 및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볼트 구멍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 부재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7776A KR20100059119A (ko) | 2008-11-26 | 2008-11-26 |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7776A KR20100059119A (ko) | 2008-11-26 | 2008-11-26 |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9119A true KR20100059119A (ko) | 2010-06-04 |
Family
ID=42360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17776A KR20100059119A (ko) | 2008-11-26 | 2008-11-26 |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59119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7674B1 (ko) * | 2012-11-27 | 2013-04-03 | 윤종진 | 휠 하우스가 구비되는 군용 밴 차량의 적재함에 무선 통신 장비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 |
KR20230007187A (ko) | 2021-07-05 | 2023-01-12 | 강성백 | 차량 수납용 보조배터리 케이스 |
-
2008
- 2008-11-26 KR KR1020080117776A patent/KR2010005911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7674B1 (ko) * | 2012-11-27 | 2013-04-03 | 윤종진 | 휠 하우스가 구비되는 군용 밴 차량의 적재함에 무선 통신 장비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 |
KR20230007187A (ko) | 2021-07-05 | 2023-01-12 | 강성백 | 차량 수납용 보조배터리 케이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18381B2 (ja) | 車載用バッテリー | |
RU2649108C2 (ru) |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защиты аккумулятора | |
JP4118130B2 (ja) | 電気自動車 | |
CN114174103B (zh) | 用于机动车的蓄能器-底部组件 | |
KR101586481B1 (ko) | 전원연결박스 | |
US20150258913A1 (en) | Vehicle apparatus attaching structure | |
WO2012114476A1 (ja) | 車両の高電圧ケーブルの配索構造 | |
JP5294031B2 (ja) | 車両の高電圧ケーブルの配索構造 | |
KR102664126B1 (ko) | 차량용 사이드실구조 | |
WO2015019742A1 (ja) | バッテリ車体取り付け構造 | |
JP2001113959A (ja) | 車両用バッテリの搭載構造 | |
JP5957836B2 (ja) | 車体構造 | |
JP2018187976A (ja) | 電動車両 | |
JP5505333B2 (ja) | 車載用蓄電装置 | |
CN114194297A (zh) | 车辆碰撞能量吸收系统和车辆 | |
CN114537115A (zh) | 用于将电池紧固至车辆的结构 | |
JPH10255746A (ja) | 電気自動車 | |
KR102703281B1 (ko) | 배치구조가 개선된 하이브리드 차량 | |
JP2004243882A (ja) | 車両用電気機器の搭載構造 | |
KR20100059119A (ko) | 고전압 부품의 차량 설치 구조 | |
JP2011251645A (ja) | 電力制御装置の搭載構造および搭載方法 | |
JP2010179784A (ja) | 自動車用収納ボックス構造 | |
KR20220111910A (ko) | 전기자동차용 샤시프레임 | |
JP2018111354A (ja) | 電動車両 | |
JP6530932B2 (ja) | 車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