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8545A - Steel concrete 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teel concrete 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38545A KR20100038545A KR1020080097561A KR20080097561A KR20100038545A KR 20100038545 A KR20100038545 A KR 20100038545A KR 1020080097561 A KR1020080097561 A KR 1020080097561A KR 20080097561 A KR20080097561 A KR 20080097561A KR 20100038545 A KR20100038545 A KR 201000385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 steel
- composite beam
- concrete composite
- reinforc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른 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중간 연결부를 제공함과 동시에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to provide an intermediate connection to connect other beams and to ensure structural stability.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를 사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uilding using such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일반적인 건축물 시공에 있어서 슬래브를 축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둥 부재를 세우고, 기둥 부재 사이에 보를 연결한 다음 거푸집과 보강 철근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In general building construction, in order to build a slab, a column member is erected first, the beams are connected between the pillar members, formwork and reinforcing bars are installed, and concrete is poured and cured.
상기 기둥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보는 통상적으로 H형강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철골과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미리 건조한 소위 PC(Precast concrete) 보가 적용되기도 한다.H-beams are typically used between the pillar members, but recently, so-called PC (precast concrete) beams are pre-dried using steel and concrete.
특허 등록 제0808057호 '합성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은 강재와 철근 콘크리트로 구성된 건축용 합성부재를 개시하고 있다.Patent registration No. 008057 discloses a composite composite member composed of steel and reinforced concrete.
이와 같은 합성부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보의 설치가 간편하고 거푸집 형성과 철근 배근 공정 등을 생략하거나 줄일 수 있으므로 시공성과 경제성이 뛰어나다. 특히, 위 특허에 따른 합성부재는 강재가 콘크리트 부재의 양단부에만 구비되고, 중앙부에는 할로우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자중이 가벼워 운반 및 취급이 더욱 용이한 특징이 있다.In the case of using such a composite member, it is easy to install the beam and can omit or reduce the formwork and reinforcement step, etc., excellent construction and economic efficiency. In particular, the composite member according to the pat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is provided only at both ends of the concrete member,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is light weight, so that the transport and handling is easier.
반면에, 상기 합성부재는 중앙부에 철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양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구조적인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중앙부에 할로우부가 형성된 경우에 이러한 구조적 취약성은 더욱 심화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mposite member is not provided with steel frame in the center, it has a relatively structural weakness compared to both ends. Moreover, this structural vulnerability can be further exacerbated when the hollow part is formed in the center part.
건축물 시공시에는 합성부재의 양단이 기둥 부재에 연결됨은 물론이고, 합성부재의 중간 지점에도 보가 연결될 필요성이 있어서 위와 같은 구조적인 문제점은 보완되어야만 한다.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both ends of the composite member are connected to the pillar member as well as the beam needs to be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point of the composite member.
또한, 상기 합성부재의 중앙부에는 콘크리트 부재만 구비되어 있을 뿐 다른 보를 연결할 만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특히, 콘크리트 부재에 형성된 할로우부는 보 연결 수단을 구비하는데 여러 가지 장애 요인으로 작용한다.In addition, only the concrete member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omposite member, and there is no means for connecting other beams. In particular, the hollow part formed in the concrete member has various obstacles in providing the beam connecting mean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합성부재의 중앙부 에 접합 브라켓을 마련하여 보를 연결할 수 있는 동시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및 그러한 복합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a joining bracket in the center of the composite member can be connected to the beam and yet nevertheless secure the structural stability us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nd such a composite beam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는, 장방형의 콘크리트 부재;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양단에 선단부가 노출되도록 매립된 철골; 상기 공극부가 있는 지점의 콘크리트 부재의 양측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외측면은 측방향으로 노출되는 동시에 내측면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에 매립되어 있는 한 쌍의 접합 브라켓; 상기 접합 브라켓의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스터드 부재; 및 상기 접합 브라켓의 내측면 사이에 용접되어 있는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tangular concrete memb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Steel buried so that the tip portion is exposed at both ends of the concrete member; A pair of joining bracket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ncrete member at the point where the air gap is provided, the outer surface being laterally exposed, and the inner surface being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A plurality of stud member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joining bracket; And a reinforcing member welded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joining brackets.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부재는 강재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로서, 상기 접합 브라켓의 상단 사이에에 결합되는 제1 보강부재; 및 상기 접합 브라켓의 하단 사이에에 결합되는 제2 보강부재;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reinforcing member is a plate made of steel,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coupl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bonding bracket; And a second reinforcing member coupled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bonding brackets.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보강부재는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 보강부재는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바닥면에 매립되도록 설치된다.More preferably,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crete member,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is installed to be embedd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보강부재는 상기 접합 브라켓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longer than the bonding bracket.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를 가로질러 상기 접합 브라켓과 결합되는 제3 보강부재를 더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third reinforcing member coupled to the joining bracket across the concrete member.
바람직하게, 상기 제3 보강부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Preferably, the third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중앙부에는 공극부가 형성된다.More preferably, a void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crete me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둥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단부를 상기 기둥 부재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접합 브라켓에 다른 보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보 위에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슬래브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 및 상기 데크 플레이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tep of installing the pillar member; Connecting the end of the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o the pillar member; Connecting another beam to the joining bracket of the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Installing a deck plate on the beam and reinforcing slab reinforcing bars; It is provided with a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and pouring and curing concrete on the deck plate.
본 발명에 따르면, 공극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부재의 양측면에 한 쌍의 접합 브라켓을 구비함으로써 다른 보를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pair of joining brackets on both sides of the concrete member on which the voids are formed, it provides a means for conveniently connecting other beams.
또한, 구조적으로 매우 취약한 공극부에 접합 브라켓과 함께 이들을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는 보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다른 보를 연결하더라도 구조적인 안정성과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reinforcing member supporting the interconnection brackets together with the joint bracket in the structurally very fragile air gap to ensure structural stability and strength even if the other beams are connec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콘크리트 부재 내부에 매립된 철근의 구성은 편의상 도시하지 않았다.Figure 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rebar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is not shown for convenience.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는 장방형의 콘크리트 부재(10)와, 상기 콘크리트 부재(10)의 양단에 선단부가 노출되도록 매립된 철골(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바람직하게, 상기 철골(20)은 나란하게 연장되는 상부 및 하부 플렌지(22)(24)와, 상기 상하부 플렌지(22)(24)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웨브(26)를 포함하는 H형강으로 구성된다.Preferably, th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철골(20)은 하부 플렌지(24)와 웨브(26)의 일부가 콘크리트 부재(10) 내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는데, 이것은 슬래브 형성 위치를 고려하여 설정된 것이다.More preferably, the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 부재(10) 내에 매립되는 철골(20)의 하부 플렌지(24)와 웨브(26) 등에는 복수개의 스터드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재(10)와의 결합력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상기 콘크리트 부재(10)의 중앙부에는 콘크리트 부재를 따라 장방형의 공극부(Cavity)(30)가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콘크리트 부재의 중앙부'란 콘크리트 부재(10)에 있어서 철골(20)이 매립되지 않은 중간 영역을 가리키는 것이다.At the center of the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부재(10)의 중앙부에 공극부(30)가 형성될 경우에는, 콘크리트 부재(10)의 양단 일부에만 철골(20)이 매립되게 되므로 복합보의 전체 무게가 상대적으로 가벼워 취급 및 시공이 용이하다.When the
덧붙여, 상기 콘크리트 부재(10)에는 다양한 형태의 보강 철근이 더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면의 참조번호 12는 철골(20) 부재 또는 공극부(30)를 감싸는 형태로 콘크리트 부재(10) 내에 매립되어 있는 스터럽 철근을 가리킨다.In addition, the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부재(1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철골(20)의 하부 플렌지(24)와 공극부(30)의 하부로 연장되는 인장 철근(14) 또는 각종 긴장재가 매립되어 복합보의 단면 응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스터럽 철근의 형상과 설치 간격 및 위치 등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s shown, the
본 발명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중앙부에는 보를 연결하기 위한 접합 브라켓(41)(42)이 마련되는데 도 1의 II-II' 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 2를 참조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In the center of the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도시된 바와 같이, 공극부(30)가 있는 콘크리트 부재(10)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접합 브라켓(41)(42)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된다.As shown, a pair of
구체적으로, 상기 접합 브라켓(41)(42)은 강재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로서 외측면(41a)(42a)이 콘크리트 부재(10)의 측방향으로 노출되는 동시에 내측면(41b)(42b)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10) 내에 매립되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joining
상기 접합 브라켓(41)(42)의 내측면(41b)(42b)에는 복수개의 스터드 부재(44)가 형성되어 있어서 콘크리트 부재(10)에 매립될 경우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A plurality of
상기 접합 브라켓(41)(4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른 보가 접합되는 부분이므로 보가 접합되기에 적절한 크기와 높이로 설치된다. Since the joining
또한, 상기 접합 브라켓(41)(42)은 보강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보강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보강부재(50)(52)는 강재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로서 상기 접합 브라켓(41)(42)의 상단 사이에 결합되는 제1 보강부재(50)와, 상기 접합 브라켓(41)(42)의 하단 사이에 결합되는 제2 보강부재(52)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제1 보강부재(50)는 콘크리트 부재(10)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제2 보강부재(52)는 콘크리트 부재(10)의 바닥면에 매립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보강부재(50)(52)의 설치 위치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제2 보강부재(52)가 공극부(30) 바닥에 밀착되어 위치하거나 또는 공극부(30)의 바닥 하부에 매립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reinforcing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부재(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보 강부재(52)는 상기 접합 브라켓(41)(42)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이 경우, 제2 보강부재(52)가 콘크리트 부재(10)와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에 걸쳐서 결합되어 있으므로 접합 브라켓(41)(42)에 걸리는 하중을 콘크리트 부재(10)로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합 브라켓(41)(42)은 콘크리트 부재(10) 내에 스터드 부재(44)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1차적인 보강력을 가지게 되며, 접합 브라켓(41)(42) 사이에 제1 및 제2 보강부재(50)(52)를 개재시킴으로써 2차적인 보강력을 확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joining
또한, 상기 보강부재(50)(52)는 접합 브라켓(41)(42)의 수평 저항력 뿐만 아니라 수직 저항력을 모두 보강하는 기능을 한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구성이 도 3 및 도 4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를 가리킨다.The construction of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ures 3 and 4, respectively.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indicat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콘크리트 부재(10)에도 공극부(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극부(30)가 형성된 콘크리트 부재(10)의 양측면에 한 쌍의 접합 브라켓(41)(42)이 설치된다.In the
또한, 상기 접합 브라켓(41)(42)의 상단과 하단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보강부재(50)(5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접합 브라켓(41)(42) 사이에는 제3 보강부재(54)가 추가로 개재되는데, 상기 보강부재(54)는 콘크리트 부재(10)를 가로질러 상기 접합 브라켓(41)(42)과 결합되는 강재 플레이트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third reinforcing
이 경우, 상기 제3 보강부재(54)는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 비해 접합 브라켓(41)(42)의 보다 많은 지점들을 연결하므로 접합 브라켓(41)(42)의 보강력은 더욱 증대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third reinforcing
바람직하게, 상기 제3 보강부재(54)에는 관통공(54a)이 형성되는데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래브 타설을 위해 공극부(30)에 콘크리트를 공급할 때, 콘크리트가 제3 보강부재(54)에 의해 저지되지 않고 관통공(54a)을 통해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Preferably, the third reinforcing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를 사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한다.Then, look at how to construct a building using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For convenience,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먼저, 건물의 기둥이 될 위치에 기둥 부재를 설치한다. 상기 기둥 부재는 통상적인 H형강을 사용하거나 또는 H형강과 콘크리트 부재가 프리캐스트되어 있는 합성기둥을 사용하여 시공될 수 있다.First, a pillar member is installed in the position which will become a pillar of a building. The pillar member may be constructed using a conventional H-shaped steel or using a synthetic column in which the H-shaped steel and the concrete member are precast.
기둥 부재의 설치가 끝나면,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를 기둥에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부재(10)의 양단으로 노출된 철골(20) 단부를 기둥에 용접하거나 별도의 브라켓을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After installation of the pillar member, the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n connected to the pillar. Specifically, the end of the
이상과 같은 기둥 부재의 설치와 복합조의 연결은 당해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installation of the pillar member and the connection of the composite tub as described above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기둥 부재에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100)의 연결이 완료되면,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중앙부에 설치된 접합 브라켓(41)(42)에 다른 보(200)를 연결한다. 이때, 연결되는 보(200)는 본 발명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가 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대안으로서 일반적인 H형강보 또는 H형강과 콘크리트 부재가 일체로 성형된 합성보가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모두 포괄하여 단순히 '보'로 약칭한다.When the connection of the steel-
상기 보(2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접합 브라켓(41)(42)에 결합될 수 있는데,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보(200)의 철골(210) 단부를 접합 브라켓(41)(42)에 용접하는 것이다. The
또는 다른 대안으로서, 접합 브라켓(41)(42)에 복수의 체결공(71)이 형성된 연결 브라켓(70)을 용접하여 고정시키고, 여기에 다른 보(200)의 철골(210) 단부를 위치시킨 후, 연결 브라켓(70)의 체결공(71)으로 체결볼트(72)를 삽입하여 철골 단부에 형성된 구멍(211)을 통과하도록 하여 너트(73)로 고정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an alternative, the connecting
그러나, 상기 보(200)와 접합 브라켓(41)(42) 사이의 결합 방식은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upling manner between the
위와 같이 복합보의 중앙부에 보가 연결되면, 다음으로 상기 보 위에 데크 플레이트(미도시)를 설치하고 동시에 슬래브 철근을 배근한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는 슬래브 거푸집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보의 콘크리트 부재의 상단 에지에 걸쳐지도록 설치되어 보와 보 사이를 커버한다.When the beam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composite beam as above, the deck plate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beam and the slab reinforcement at the same time. The deck plate serves as a slab formwork, and is installed to span the upper edge of the concrete member of the beam to cover the beam and the beam.
이어서, 데크 플레이트 위에 콘크리트를 부어서 타설한다. 이때, 공급된 콘 크리트는 본 발명의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공극부(30) 사이로 침투하여 메우게 되며, 전술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관통공(54a)을 통해서 콘크리트가 유동할 수 있다.The concrete is then poured on deck plates. At this time, the supplied concrete penetrates and fills the gap between the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면 본 발명의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를 사용한 슬래브의 축조가 완료된다.When the concrete is poured and cured as described above,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using the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비록 지금까지 콘크리트 부재의 중앙부에 공극부가 있는 구성을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콘크리트 부재에 공극부가 없는 복합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Although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air gap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oncrete member is described as an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composite beam without the air gap in the concrete member.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these drawings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의 중앙부에 다른 보를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other beam to the center of the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7561A KR20100038545A (en) | 2008-10-06 | 2008-10-06 | Steel concrete 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7561A KR20100038545A (en) | 2008-10-06 | 2008-10-06 | Steel concrete 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8545A true KR20100038545A (en) | 2010-04-15 |
Family
ID=4221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97561A KR20100038545A (en) | 2008-10-06 | 2008-10-06 | Steel concrete 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38545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6088B1 (en) * | 2010-07-28 | 2011-05-19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Horizontal member |
CN107254937A (en) * | 2017-08-07 | 2017-10-17 | 北京工业大学 | A kind of assembled power consumption girder connection of built-in X-shaped low-yield structural steel connecting member |
-
2008
- 2008-10-06 KR KR1020080097561A patent/KR20100038545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6088B1 (en) * | 2010-07-28 | 2011-05-19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Horizontal member |
CN107254937A (en) * | 2017-08-07 | 2017-10-17 | 北京工业大学 | A kind of assembled power consumption girder connection of built-in X-shaped low-yield structural steel connecting member |
CN107254937B (en) * | 2017-08-07 | 2019-07-12 | 北京工业大学 | A kind of assembled energy consumption girder connection of built-in X-shaped low-yield structural steel connecting memb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88941B1 (en) | Concrete-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s using the same | |
KR100797194B1 (en) |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196472B1 (en) | Steel-Concrete composite Crossbeam having T-shaped beam and construction methods using the same | |
KR101432260B1 (en) | Steel-exposed type steel framed reinforced concrete pillar | |
KR101067001B1 (en) | Slave constructing method of steel box girder bridge using steel reinforcement | |
KR20130043324A (en) | Steel plate weir for one united manufacturing concrete | |
KR100967734B1 (en) | Steel concrete composite crossbeam | |
KR101766806B1 (en) |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column and precast concrete beam using the temporary bracket installing precast concrete column, the modular system using the same | |
KR101456391B1 (en) | Formed steel beam with holes and structure of composite floor | |
KR101011070B1 (en) | Connection method between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and different structure | |
KR101991930B1 (en) | Rahma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839439B1 (en) | Moment connection structure combining a superstructure with substructure in the prefabricated rahmen bridge and method constructing rahmen bridge with the structure | |
KR100812132B1 (en) | Concret slab assembly | |
KR101636246B1 (en) | Steel-PC hybrid be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011252B1 (en) | Rigid-frame bridge frame for reinforcing negative moment part and rigid-frame bridge having it | |
KR200455723Y1 (en) | Hybrid steel ball | |
KR101429527B1 (en) | Joint structure of Composite Girder | |
KR20100043731A (en) | Precast concrete column using steel material and precast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using the same | |
KR101705002B1 (en) | Prefabricated double composite plate girde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100042448A (en) | Concrete-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s using the same | |
KR102104382B1 (en) | Steel beam, composite column, and joint structure of the same | |
KR101779449B1 (en) | A hollow box type steel built up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990967B1 (en) | Assembled bridge and method for constucting an assembled bridge | |
KR101346019B1 (en) | A construction method of a composite steel girder improved a bending efficiency | |
KR20100038545A (en) | Steel concrete 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