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00018786A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8786A
KR20100018786A KR1020080077448A KR20080077448A KR20100018786A KR 20100018786 A KR20100018786 A KR 20100018786A KR 1020080077448 A KR1020080077448 A KR 1020080077448A KR 20080077448 A KR20080077448 A KR 20080077448A KR 20100018786 A KR20100018786 A KR 20100018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air
dust
separation chamber
dust sepa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5954B1 (ko
Inventor
양병선
황정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7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954B1/ko
Priority to RU2011104817/12A priority patent/RU2442525C1/ru
Priority to PCT/KR2009/004172 priority patent/WO2010016672A2/ko
Priority to EP09805133.7A priority patent/EP2324748B1/en
Publication of KR20100018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95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청소기의 흡입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는,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이동되도록 하는 내부 유로; 상기 내부 유로를 거친 공기가 흡입되는 먼지 분리 챔버; 및 상기 내부 유로와 상기 먼지 분리 챔버 사이에 개입되는 유로 형성부가 포함되며, 상기 유로 형성부에는, 상기 내부 유로를 거친 공기의 유동 방향을 변화시키는 경사면이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의하면, 청소기 본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손실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먼지 분리 장치, 유로 형성부

Description

진공 청소기 {Vacuunm cleaner}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청소기의 흡입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흡입 노즐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청소기 본체 내부를 원활히 유동할 수 있어야 하며, 먼지를 포함한 공기 중에서 먼지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진공 청소기의 성능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한편, 진공 청소기에는 흡입된 공기가 이동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는 청소기 본체의 유입공로부터 상기 흡입 모터의 배출부까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진공 청소기의 내부에서 공기의 흡입 및 유동 성능은 유로의 꺾임이 어느 정도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다. 상세히, 공기는 되도록이면 일방 향으로 유동되면서 꺾임이 최소화 될 때 유동 손실이 줄어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진공 청소기의 경우, 본체의 제한된 공간내에 복잡한 유로가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유동 방향이 꺾여지도록 형성되는 경우가 많았다. 즉, 유로의 꺾임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공기의 이동 중에 유동 손실이 많아져 공기 유동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공기 유동이 원활해지지 않음으로써 공기로부터 이물이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본 실시예는 본체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먼지 분리 장치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청소기 내부에 흡입되는 공기 유동의 꺾임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유로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는,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이동되도록 하는 내부 유로; 상기 내부 유로를 거친 공기가 흡입되는 먼지 분리 챔버; 및 상기 내부 유로와 상기 먼지 분리 챔버 사이에 개입되는 유로 형성부가 포함되며, 상기 유로 형성부에는, 상기 내부 유로를 거친 공기의 유동 방향을 변화시키는 경사면이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는, 공기가 일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내부 유로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내부 유로를 거친 공기가 타 방향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는 먼지 분리 챔버; 상기 먼지 분리 챔버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집진 유닛; 및 상기 집진 유닛의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내부 유로와 먼지 분리 챔버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포함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곡면을 형성하는 제 1 연결부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유동의 꺾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됨으로써 유동 손실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청소기 내부에 제공되는 연결 파이프로부터 집진 유닛의 내부로 연장되는 유로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공기 유동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 유동과 유로 형성부간에 마찰이 줄어들게 되어, 마찰에 의한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먼지 분리 장치(100)와, 상기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부재(20)와, 상기 본체(10) 또는 진공 청소기(1)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이동 바퀴(30)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흡입 노즐(미도시)이 연결되는 공기 유입부(12)가 형성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흡입 노즐과 공기 유입부(12)의 사이에는 연장관 및 연결 호스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노즐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연장관 및 연결 호스를 거치고, 상기 공기 유입부(12)를 통하여 상기 본체(10)로 유입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먼지 분리 장치(100)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핸들부(116)가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핸들부(116)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먼지 분리 장치(100)를 상기 본체(10)에 착탈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부재(20)에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커버 손잡이(21)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손잡이(21)에는, 상기 커버 부재(20)를 개방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누름부(22)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부(22)는 상기 본체(10) 및 커버 부재(20)에 제공되는 걸림 구조와 연결된다.
사용자는 상기 누름부(22)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커버 손잡이(21)를 잡아 당겨 상기 커버 부재(20)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100)에는, 상기 본체(10) 내부로 흡입된 공기 중에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 챔버(150)와, 상기 먼지 분리 챔버(15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집진 유닛(110)과, 상기 먼지 분리 챔버(150)가 상기 집진 유닛(110)에 결합되도록 가이드 하는 하부 가이드(160) 및 상부 가이드(17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집진 유닛(110)에는, 상기 커버 부재(20)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집진 유닛(110)이 상기 커버 부재(20)와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 부재(115)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유닛(110)의 핸들부(116)에는, 상기 핸들부(116)의 몸체를 형성하는 핸들 본체(117)와, 상기 핸들 본체(117)의 일측을 차폐하는 핸들 커버(118)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먼지 분리 챔버(150)에는, 상기 먼지 분리 챔버(150)의 일측에 제공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152)와, 상기 먼지 분리 챔버(150)의 타측에 제공되어 공기 중 분리된 먼지가 배출되는 먼지 배출부(154 : 도 7 참조)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 흡입부(152) 및 먼지 배출부(154)는 상기 먼지 분리 챔버(154)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부(152)를 통하여 상기 챔버(150) 내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챔버(150)의 내부 벽면을 따라 싸이클론 유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 유동 중에 공기 중으로 부터 먼지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분리 챔버(150)의 외측에는, 상기 먼지 분리 챔버(150)가 상기 집진 유닛(110)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외곽 가이드(155)가 제공된다.
상기 외곽 가이드(155)에는 소정의 홈(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챔버(150)가 상기 집진 유닛(110)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집진 유닛(110)의 상단부는 상기 외곽 가이드(155)의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분리 챔버(150)의 일측에는, 상기 챔버(150)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157)가 제공된다. 상기 측면부(157)는 상기 챔버(1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157)에는 필터 부재(158)가 결합된다. 상기 필터 부재(158)는 상기 챔버(150) 내로 흡입된 공기 중 먼지가 필터링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챔버(150)의 내부에는, 싸이클론 유동이 용이하게 발생되도록 하는 가이드 부재(159)가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159)는 상기 챔버(150)의 타측면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외곽 가이드(155)의 상측에는, 상기 집진 유닛(110)이 상기 커버 부재(20)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하부 가이드(160) 및 상부 가이드(170)가 제공된다.
상기 하부 가이드(160)는 상기 외곽 가이드(155)의 상측을 커버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170)는 상기 하부 가이드(160)의 상측을 커버한다.
상기 하부 가이드(160)에는, 상기 걸림 부재(115)가 관통되도록 하는 하부 걸림 홀(16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가이드(170)에는, 상부 걸림 홀(16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걸림 홀(171)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 부재(115)는 상기 집진 유닛(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 걸림 홀(161) 및 제 1 걸림 홀(171)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가이드(170)에는, 상기 제 1 걸림 홀(171)과 다른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커버 부재(20)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 2 걸림 홀(17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집진 유닛(110)에는, 상기 집진 유닛(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이동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120)가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유로 형성부(120)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형성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의 Ⅰ-Ⅰ'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110)의 저면부(112)에는 공기가 상기 집진 유닛(1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공(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공(114)의 상측에는, 공기의 이동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120)가 제공된다. 즉, 상기 유입공(114)는 상기 유로 형성부(120)의 하단부를 형성한다.
상세히, 상기 유로 형성부(120)에는, 상기 유입공(114)와 연통되는 제 1 형성부(121)와, 상기 제 1 형성부(12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형성부(12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형성부(121)는 상기 집진 유닛(110)의 저면부(112)로부터 상기 제 2 형성부(122)를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된다. 즉, 상기 제 1 형성부(121)에는, 상기 유입공(114)와 상기 제 2 형성부(122)를 연결하는 경사면(121a)이 포함된다.
상기 경사면(121a)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연장되는 곡면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2 형성부(122)는 상기 제 1 형성부(121)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형성부(122)는 파이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나, 이와는 달리 원기둥과 같은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유로 형성부(120)에는, 상기 저면부(112)와 연결되는 하측 연결부(123)와, 상기 먼지 분리 챔버(150)와 연결되는 상측 연결부(12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측 연결부(123)는 상기 유로 형성부(120)의 입구부라 할 수 있고, 상기 상측 연결부(124)는 상기 유로 형성부(120)의 출구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측 연결부(123)는 상기 제 1 형성부(121)의 하단부 및 제 2 형성부(122)의 하단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형성부(121)의 하단부는 상기 유입공(114)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형성부(122)의 하단부는 상기 저면부(112)에 의하여 차폐된다.
정리하면, 상기 제 1 형성부(121)의 하단부는 공기가 유입 가능하도록 개구된다. 반면에, 상기 제 2 형성부(122)의 하단부는 상기 저면부(112)에 의하여 차폐되므로 공기의 유입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공(114)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형성부(121)를 거치면서 상기 저면부(112)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형성부(121)를 거친 공기는 상기 제 2 형성부(122)를 통하여 상기 챔 버(15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연결부(124)는 상기 공기 흡입부(152)와 연결된다.
물론, 상기 상측 연결부(124)는 공기가 통과 가능하도록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측 연결부(124)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 흡입부(152)를 통하여 상기 먼지 분리 챔버(150)로 유입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유로 형성부(120)와 공기 흡입부(152)가 별도로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와는 달리 상기 유로 형성부(120)는 상기 공기 흡입부(15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유로 형성부(120)는 상기 유로 파이프(14)와 상기 공기 흡입부(152)를 연결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연결부"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 1 형성부(121)는 "제 1 연결부"라 하고, 상기 제 2 형성부(122)는 "제 2 연결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유로 형성부(120)의 하부에는, 상기 유로 형성부(120)가 상기 집진 유닛(110)의 저면과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 보스(125)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유닛(110)에는, 상기 결합 보스(125)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 보스(125)와 체결되는 결합 돌기(113)가 제공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먼지 분리 챔버(150)로 흡입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집진 유닛(110)의 하측에는, 상기 본체(10)의 공기 유입부(12)로부터 상기 집진 유닛(110)까지 공기가 이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 파이프(14)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 파이프(14)는 상기 본체(10) 내부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므로, 상기 연결 파이프(14)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를 "내부 유로"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연결 파이프(14)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유입공(114)를 통하여 상기 집진 유닛(11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파이프(14)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형성부(121)가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공(114)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형성부(121)의 곡면을 따라 이동된다. 따라서, 공기의 이동 방향은 소정의 곡률 반경을 형성하면서 부드럽게 변하게 된다.
즉, 공기는 상기 경사면(121a)을 거치면서 서서히 방향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이동되는 과정 중에 방향의 급격한 변화, 즉 유로의 꺾임이 크지 않게 되므로 유동 손실이 최소화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형성부(121)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2 형성부(122)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공기 흡입부(152)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파이프(14)를 따라 이동되는 유동 방향을 "a (제 1 방향)"라 하고, 상기 유로 형성부(120)의 출구부, 즉 상기 공기 흡입부(152)를 따라 이동되는 유동 방향을 "b (제 2 방향)"라 가정한다.
여기서, 상기 "a"와 "b"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로 형성부(120)에서 형성되는 유동의 방향은 상기 "a" 및 "b"와 다른 "c (제 3 방향)"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유로 형성부(120)에 의하여, 공기는 이동 중에 방향 "a"로부터 방향 "b"로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의 유동 손실이 줄어들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로의 꺾임이 최소화 되면서, 유로를 형성하는 부분과 유동간에 발생되는 마찰이 적어지면서 소음 발생이 줄어들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 분리 챔버(150)로 유입된 공기는 싸이클론 유동을 하면서 먼지가 분리된다. 분리된 먼지는 상기 먼지 배출부(154)를 통하여 배출되고,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상기 공기 배출부(153)를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형성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2의 Ⅰ-Ⅰ'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단면도.

Claims (10)

  1.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이동되도록 하는 내부 유로;
    상기 내부 유로를 거친 공기가 흡입되는 먼지 분리 챔버; 및
    상기 내부 유로와 상기 먼지 분리 챔버 사이에 개입되는 유로 형성부가 포함되며,
    상기 유로 형성부에는,
    상기 내부 유로를 거친 공기의 유동 방향을 변화시키는 경사면이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형성부에는,
    상기 내부 유로의 일측으로부터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 1 유로 형성부와,
    상기 제 1 유로 형성부로부터 상기 먼지 분리 챔버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유로 형성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분리 챔버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집진 유닛이 더 포함되며, 상기 유로 형성부는 상기 집진 유닛 내부에 제공되는 진공 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형성부는 상기 집진 유닛의 일면에 결합되는 진공 청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분리 챔버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가 제공되며, 상기 유로 형성부는 상기 공기 흡입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
  6. 공기가 일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내부 유로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내부 유로를 거친 공기가 타 방향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는 먼지 분리 챔버;
    상기 먼지 분리 챔버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집진 유닛; 및
    상기 집진 유닛의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내부 유로와 먼지 분리 챔버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포함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곡면을 형성하는 제 1 연결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제 1 연결부로부터 상기 먼지 분리 챔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결부가 더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유닛의 일면에는,
    상기 내부 유로를 거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공이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로를 이동하는 공기의 제 1 방향과 상기 공기 흡입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제 2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제 3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KR1020080077448A 2008-08-07 2008-08-07 진공 청소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065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448A KR101065954B1 (ko) 2008-08-07 2008-08-07 진공 청소기
RU2011104817/12A RU2442525C1 (ru) 2008-08-07 2009-07-27 Пылесос
PCT/KR2009/004172 WO2010016672A2 (ko) 2008-08-07 2009-07-27 진공 청소기
EP09805133.7A EP2324748B1 (en) 2008-08-07 2009-07-27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448A KR101065954B1 (ko) 2008-08-07 2008-08-07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786A true KR20100018786A (ko) 2010-02-18
KR101065954B1 KR101065954B1 (ko) 2011-09-19

Family

ID=42089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44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65954B1 (ko) 2008-08-07 2008-08-07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9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054B1 (ko) * 2012-08-31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1414656B1 (ko) * 2012-08-31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307B1 (ko) * 2005-10-28 2007-05-2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KR100778125B1 (ko) * 2005-12-19 2007-11-2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콤팩트한 로봇청소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054B1 (ko) * 2012-08-31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1414656B1 (ko) * 2012-08-31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US9125534B2 (en) 2012-08-31 2015-09-08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9138118B2 (en) 2012-08-31 2015-09-22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5954B1 (ko) 2011-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6121B2 (en) Dust collecting unit of vacuum cleaner
TWI489967B (zh) 離心分離裝置及電氣吸塵器
US10478034B2 (en) Cleaning apparatus
US7395579B2 (en) 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US7410535B2 (en) Cyclone separating apparatus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EP2324748B1 (en) Vacuum cleaner
JP4294060B2 (ja) 電気掃除機
KR20220133159A (ko) 청소기
KR100842965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1065954B1 (ko) 진공 청소기
KR101199739B1 (ko) 진공 청소기의 유동 소음 감소 구조
KR101025954B1 (ko) 진공 청소기
KR20100018778A (ko) 진공 청소기
KR101065985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20100010161A (ko) 진공청소기
KR101250079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닛
US20210038035A1 (en) Cleaner
KR101026015B1 (ko) 진공 청소기
KR100959972B1 (ko) 진공 청소기
KR100701178B1 (ko) 집진향상용 먼지통을 구비한 진공청소기
CN103974651A (zh) 电动吸尘器
KR101184819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닛
KR101411125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0904324B1 (ko) 진공 청소기
KR101411108B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6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2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008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10711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6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0905

Appeal identifier: 2011101004662

Request date: 20110711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71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11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31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1090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811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9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