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00013639A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639A
KR20100013639A KR1020080075251A KR20080075251A KR20100013639A KR 20100013639 A KR20100013639 A KR 20100013639A KR 1020080075251 A KR1020080075251 A KR 1020080075251A KR 20080075251 A KR20080075251 A KR 20080075251A KR 20100013639 A KR20100013639 A KR 20100013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housing
lance
connector
accommod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2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성훈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5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3639A/en
Publication of KR20100013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6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PURPOSE: A connector is provided to separate a terminal from a connector housing while a lance gets farther from the external surface of a connector housing, thereby reducing work efforts. CONSTITUTION: A terminal receiving space(32) into which a terminal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inside of a connector housing(31). A lance(33) combined with the terminal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A supporting guide(35) is protruded from a side near a tip of a free end of the lance. An elastic piece(40) is formed in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ing guide to be elastically transformable.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Connector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미널이 커넥터하우징 몸체 내에 고정되도록 하는 랜스가 구비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provided with a lance to allow the terminal to be fixed in the connector housing body.

커넥터는 회로나 기기의 상호간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연결하는 접속기구물로서, 자동차의 내부에는 각종 배선과 함께 커넥터가 설치되어 배터리로부터 전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커넥터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넥터하우징에는 터미널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터미널은 상대 커넥터에 구비된 터미널과 연결되어 접속기구역할을 하게 된다.The connector is a connecting mechanism for connecting the circuits or device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nector is provided with various wirings inside the vehicle, and is configured to supply electricity from the battery. At this time,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connector housing form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connector.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rovided in the mating connector to serve as a connector area.

일반적으로 상기 터미널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랜스(lance)에 의해 걸어짐으로써 상기 터미널이 상기 커넥터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을 커넥터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탈거공구가 사용된다.In general, a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terminal, and the coupling hole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housing by being hooked by a lance form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In the case where the terminal must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housing, a stripping tool is generally used.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cross section.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10)의 골격과 외관을 커넥터하우징(12)이 형성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2)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2)의 일측에는 상대커넥터의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는 삽입공(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13)의 반대편 역시 개구되게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16)이 삽입된다. According to this, the connector housing 12 forms the skeleton and appearance of the connector 10. The connector housing 12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One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12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13 into which the mating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is inserted.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insertion hole 13 is also formed to be opened so that the terminal 16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상기 커넥터하우징(12)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16)이 일단 고정되면 임의로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랜스(lance)(14)가, 도면을 기준으로 볼 때, 전방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랜스(14)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2)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재질과 형상의 특징에 의해 탄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랜스(14)는 도면을 기준으로 볼 때, 터미널(16)의 일측에 걸어져 터미널(16)이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랜스(14)는 터미널(16)의 삽입시 잠시 탄성변형되었다가 원형으로 복원된다. 상기 랜스(14)의 선단부에는 걸이턱(14')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4)는 터미널(16)의 결합공(미도시)이 걸어지는 부분이다.Inside the connector housing 12, a lance 14, which prevents the terminal 16,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rear once it is fixed, protrudes toward the front upper part, based on the drawing. Is formed. The lance 1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or housing 12 and has elasticity due to its material and shape. The lance 14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erminal 16 to prevent the terminal 16 from being arbitrarily removed. The lance 14 is elastically deformed briefly upon insertion of the terminal 16 and then restored to a circular shape. Hanging jaw 14 ′ protrudes from the tip of the lance 14. The hooking jaw 14 is a portion where the coupling hole (not shown) of the terminal 16 is hooked.

상기 커넥터하우징(12)의 내부에는 터미널(16)이 위치된다. 상기 터미널(16)의 일단은 와이어(17)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대커넥터에 설치된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터미널(16)의 저면에는 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에는 상기 랜스(14)의 걸이턱(14')이 삽입되어 걸어져 지지된다.The terminal 16 is locat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12. One end of the terminal 16 is connected to the wire 17, the other e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installed in the mating connector. A coupling hole (not shown)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erminal 16. The engaging jaw 14 'of the lance 14 is inserted into and engaged with the coupling hole.

터미널탈거공구의 골격은 손잡이부(2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20)는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부(20)를 파지하고 작업을 하게 되어, 상기 손잡이부(20)는 손잡이의 역할도 하게 된다.The skeleton of the terminal stripping tool is formed by the handle portion 20. The handle portion 20 is generally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worker grips the handle 20 and works, and the handle 20 also serves as a handle.

상기 손잡이부(20)의 일단에는 헤드부(22)가 구비된다. 상기 헤드부(22)는 일반적으로 강도가 큰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헤드부(22)의 선단에는 누름단(22')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누름단(22')은 상기 랜스(14)의 상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랜스(14)를 하방으로 눌러줌으로써, 상기 터미널(16)의 분리를 쉽게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One end of the handle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 head portion 22. The head portion 22 is generally made of a metal material of high strength. At the tip of the head portion 22, the pressing end 22 'is formed to be inclined. The push end 22 ′ is inserted upward of the lance 14, and pushes the lance 14 downward, thereby easily inducing the separation of the terminal 16.

즉, 작업자는 상기 누름단(22')을 상기 랜스(14)의 상방으로 밀어넣은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16)에 연결된 와이어(17)를 상기 누름단(22')의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터미널(16)이 상기 커넥터하우징(12)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That is, the worker pulls the wire 17 connected to the terminal 16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ressing end 22 'while pushing the pressing end 22' upwardly of the lance 14. Allow terminal 16 to be disconnected from connector housing 12.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터미널(16)을 상기 하우징몸체(12)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탈거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랜스(14)를 탄성변형시켜 분리해야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터미널(16)을 분리하기 위해 상기 터미널탈거공구를 항상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In order to separate the terminal 16 from the housing body 12, the lance 14 must be elastically deformed and separated using a separate stripping tool. Thu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always use the terminal stripping tool to separate the terminal 16 is generated.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터미널(16)을 분리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하우징(12)에 터미널(16)이 이미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탈거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랜스(14)를 정확하게 눌러주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하우징몸체(12)의 내부는 매우 협소하여 작업자가 이를 수행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separate the terminal 16, the operator must insert the terminal stripping tool and press the lance 14 accurately while the terminal 16 is already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12. However, the interior of the housing body 12 is very narrow,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or is not easy to perform this.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공구 없이 커넥터하우징과 터미널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connector that can release the coupling of the connector housing and the terminal without a separate tool.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조작을 통해 터미널을 랜스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that can be separated from the terminal by a simple oper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터미널이 삽입되는 터미널수용공간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의 일측을 걸어 상기 터미널수용공간 내부에 고정하고, 측면에 지지가이드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랜스; 그리고 상기 지지가이드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상기 터미널수용공간을 향해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수용공간과 마주보는 선단에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가이드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푸쉬바가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or housing which forms the appearance and skeleton, the terminal housing space is inserted through the terminal; A lance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from one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to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by hanging one side of the terminal, and having a support guide protruding from the side thereof; And a push bar which is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guide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and protrudes in a cantilever shape at the tip facing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to selectively contact the support guid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lastic piece formed integrally.

상기 탄성편은 상기 지지가이드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의 경로에 그 선단이 위치되고, 상기 푸쉬바는 상기 탄성편의 자유단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front end of the elastic piece is located in the path of the imaginary lin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support guide, the push bar is formed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free end of the elastic piece.

상기 탄성편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지지가이드 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의 경로에 그 중앙이 위치되며, 상기 푸쉬바는 상기 탄성편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elastic piece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or housing, the center thereof is located in the path of the imaginary lin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support guide, the push bar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from the center of the elastic piece. Is formed extending in the direction.

상기 랜스와 상기 탄성편의 표면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표면과 연속된 평면으로 형성된다.The surface of the lance and the elastic piece is formed in a plane continuous with the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상기 랜스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일측에 그 기저부가 연결되고,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랜스의 자유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터미널수용공간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터미널의 일측을 걸어 고정하는 걸이턱이 형성된다.The lance has a bas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the free end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is inserted, and the free end of the lance toward the inside of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A protruding hanger is formed to hang and fix one side of the terminal.

상기 랜스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터미널수용공간을 향해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수용공간과 마주보는 일면에는 상기 터미널수용공간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터미널의 일측을 걸어 고정하는 걸이턱이 형성된다.The lance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or housing and is formed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On one side facing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the lance protrudes toward the inside of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to walk one side of the terminal. The hanger fixing is formed.

본 발명에서 커넥터하우징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탄성편이 커넥터하우징의 터미널수용공간의 내부로 눌러지는 동시에, 커넥터하우징에 형성된 랜스의 지지가이드가 탄성편에 연결된 푸쉬바에 의해 눌려 랜스가 커넥터하우징의 외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면서 터미널이 커넥터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터미널을 커넥터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탈거공구가 사용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공수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piece formed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connector housing is pressed into the inside of the terminal receiving space of the connector housing, and the support guide of the lance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is pressed by the push bar connected to the elastic piece so that the lance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The terminal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housing while elastically deforming in the direction away. Therefore, a separate removal tool for separating the terminal from the connector housing does not have to be used, thereby reducing the labor.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랜스를 탄성변형시키기 위해 커넥터하우징의 내부로 공구를 삽입하지 않고 커넥터하우징의 외부에서 커넥터하우징에 형성된 탄성편을 눌러 랜스를 탄성변형시킴으로써 터미널을 커넥터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하우징의 내부가 협소하더라도 용이하게 터미널을 탈거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아지는 효과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housing by elastically deforming the lance by pressing an elastic piece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from the out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without inserting a tool into the connector housing to elastically deform the lance. Therefore, even if the in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is narrow, the terminal can be easily removed,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부분 단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하우징의 요부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Fig. 2 shows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Fig. 3 shows a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erspective view, and Figs. 4 and 5 constitut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part of the connector housing is shown in perspective view.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30)의 외관 및 골격은 커넥터하우징(3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은 일반적으로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T)이 삽입되는 터미널수용공간(32)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수용공간(32)은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도록 관통되게 형성된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connector 30 are formed by the connector housing 31. The connector housing 31 is generally made of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terminal housing space 32 into which the terminal T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31.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32 is formed to pass through to communicat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31.

본 실시예에서, 터미널수용공간(32)은 커넥터하우징(31)에 하나만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터미널수용공간(32)은 커넥터하우징(31)에 일렬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only one terminal receiving space 32 is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31,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plurality of terminal accommodation spaces 32 may be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31 in a row.

이때, 터미널수용공간(32)에 구비되는 랜스(33)는 터미널수용공간(32)의 개수에 상관없이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랜스(33)는 터미널수용공간(32)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랜스(33)의 양측은 각각 아래에서 설명될 푸쉬바(45)에 의해 동시에 눌러져 탄성변형되어 다수개의 터미널수용공간(32)의 내부에 구비되는 터미널(T)이 동시에 커넥터하우징(31)으로부터 분리된다.In this case, only one lance 33 provided in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32 may be formed regardless of the number of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s 32. That is, the lance 33 is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32 extends, and both sides of the lance 33 are pressed simultaneously by the push bars 45,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respectively. The terminal T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terminal accommodating spaces 32 is simultaneously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housing 31.

상기 커넥터하우징(31)에는 랜스(3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랜스(33)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랜스(33)는 탄성변형을 통해 터미널(T)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랜스(33)는 상기 커넥터하우징(3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상기 랜스(33)의 표면은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표면과 연속된 평면을 형성한다. 이는 상기 커넥터(30)가 상대 커넥터(미도시)의 내부로 삽입될 때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랜스(33)가 임의로 눌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A lance 33 is integrally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31. The lance 33 may be elastically deformed due to its material and shape. The lance 33 is coupled to the terminal T through the elastic deformation. At this time, the lance 33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nnector housing 31. The surface of the lance 33 forms a continuous plane with the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31. This is to prevent interference when the connector 30 is inserted into the mating connector (not shown), and to prevent the lance 33 from being arbitrarily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상기 랜스(33)는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일측에 외팔보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랜스(33)는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일측에 그 기저부가 연결되고, 터미널(T)이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The lance 33 is formed in a cantilever-like shape on one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31. That is, the lance 33 is formed by extending its free 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s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31, the terminal (T) is inserted.

상기 랜스(33)의 자유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걸이턱(3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34)은 상기 터미널수용공간(32)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34)은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T)의 결합공(미도시)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 기 걸이턱(34)은 터미널(T)이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A hooking jaw 34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ree end of the lance 33. The hanger 34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inside of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32). The hanging jaw 34 is a portion that is hooked to the coupling hole (not shown) of the terminal (T) to be described below. The hanger 34 serves to prevent the terminal (T)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상기 랜스(33)의 자유단부의 선단과 가까운 측면에는 소정 길이로 돌출되게 지지가이드(35)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가이드(35)는 아래에서 설명될 푸쉬바(45)가 접촉되는 부분이다. 터미널(T)이 상기 커넥터하우징(31)에 결합되면, 터미널(T)에 의해 상기 랜스(33)가 가려지므로, 푸쉬바(45)가 상기 랜스(33)와 접촉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지지가이드(35)가 구비되는 것이다. A support guide 35 is formed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length on a side close to the front end of the free end of the lance 33. The support guide 35 is a portion to which the push bar 45 to be described below is in contact. When the terminal T is coupled to the connector housing 31, the lance 33 is covered by the terminal T, so that the push bar 45 cannot contact the lance 33. 35 is provided.

한편, 상기 커넥터하우징(31)과 랜스(33)의 사이에는 변형공간(37)이 형성된다. 상기 변형공간(37)은 상기 랜스(33)가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빈 공간에 해당된다. Meanwhile, a deformation space 37 is formed between the connector housing 31 and the lance 33. The deformation space 37 corresponds to an empty space for allowing the lance 33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외면에는 상기 랜스(33)의 지지가이드(35)와 대응되는 위치에 탄성편(40)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40)은 상기 지지가이드(35)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의 경로에 선단이 위치된다. 상기 탄성편(40)은 상기 커넥터하우징(31)에서 터미널(T)을 분리시킬 때, 상기 랜스(33)의 걸이턱(34)이 터미널(T)에서 분리되도록 힘이 전달되는 부분이다. 상기 탄성편(40)의 표면은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표면과 연속된 평면을 형성한다. 이는 상기 커넥터(30)가 상대 커넥터(미도시)의 내부로 삽입될 때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탄성편(40)이 임의로 눌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As shown in FIG. 3, an elastic piece 40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3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guide 35 of the lance 33. The front end of the elastic piece 40 is located in the path of the imaginary lin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support guide 35. When the elastic piece 40 separates the terminal T from the connector housing 31, the elastic piece 40 is a portion to which a force is transmitted so that the hanger 34 of the lance 33 is separated from the terminal T. The surface of the elastic piece 40 forms a continuous plane with the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31. This is to prevent interference when the connector 30 is inserted into the mating connector (not shown), and to prevent the elastic piece 40 from being arbitrarily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상기 탄성편(40)은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일면에 관통슬릿(43)이 관통되게 형성됨에 의해 성형된다. 즉, 상기 관통슬릿(43)이 상기 탄성편(40) 모양으로 관통되어 상기 탄성편(40)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관통슬릿(43)은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40)은 대략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판 형상이다. The elastic piece 40 is formed by forming a through slit 43 through one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31. That is, the through slit 43 is penetrated in the shape of the elastic piece 40 to form the elastic piece 40. The through slit 43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31, the elastic piece 40 is a plate shape having a substantially predetermined length.

상기 탄성편(40)은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편(40)은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일측에 기저부가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길이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The elastic piece 40 is formed to enable elastic deformation in the nature of the material and shape. That is, the elastic piece 40 is formed with a bas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31, and a free e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3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편(40)의 자유단부의 선단(41)에는 푸쉬바(45)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푸쉬바(45)는 상기 탄성편(40) 중 상기 터미널수용공간(32)과 마주보는 일면으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푸쉬바(45)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푸쉬바(45)의 일단은 상기 탄성편(40)의 일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랜스(33)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푸쉬바(45)는 상기 탄성편(40)으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상기 랜스(33)의 지지가이드(35)에 접하면서 상기 랜스(33)를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키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5, the push bar 45 is integrally formed at the front end 41 of the free end of the elastic piece 40. The push bar 45 is formed to protrude in a cantilever shape from one surface of the elastic piece 40 facing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32. That is, the push bar 45 is formed in a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ne end of the push bar 45 is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elastic piece 40, the other end is formed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ance 33 extends. The push bar 45 receives the force from the elastic piece 40 in contact with the support guide 35 of the lance 33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31. It serves to elastically deform.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내부에는 터미널(T)이 위치된다. 상기 터미널(T)의 일단은 와이어(미도시)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대 커넥터에 설치된 상대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터미널(T)에는 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에는 상기 랜스(33)의 걸이턱(34)이 삽입되어 걸어져 지지된다.The terminal T is locat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31. One end of the terminal T is connected to a wire (not shown), and the other e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mating terminal installed in the mating connector. A coupling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terminal T. The engaging jaw 34 of the lance 33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is supported by walking.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작용을 상세 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커넥터하우징(31)에 터미널(T)이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First, a process of inserting the terminal T into the connector housing 31 will be described.

작업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터미널수용공간(32)를 향하여 상기 터미널(T)을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터미널(T)을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터미널수용공간(32)으로 삽입시킨다. The operator positions the terminal T toward the terminal receiving space 32 of the connector housing 31. In this state, the operator inserts the terminal T into the terminal receiving space 32 of the connector housing 31.

이와 같이, 상기 터미널(T)을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터미널수용공간(32)으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랜스(33)의 걸이턱(34)이 상기 터미널(T)의 외면에 접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랜스(33)는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As such, when the terminal T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32 of the connector housing 31, the hanger 34 of the lance 33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erminal T. At the same time, the lance 33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31.

상기 터미널(T)을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터미널수용공간(32)으로 계속 삽입하게 되면, 상기 랜스(33)의 걸이턱(34)은 상기 터미널(T)의 결합공에 걸어지게 되고, 상기 랜스(33)는 원형으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터미널(T)은 상기 터미널수용공간(32)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When the terminal T is continuously inserted into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32 of the connector housing 31, the hooking jaw 34 of the lance 33 is hook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terminal T, The lance 33 is restored to a circular shape. In this case, the terminal T is firm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32.

다음으로, 상기 터미널(T)을 상기 커넥터하우징(31)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작업자는 상기 탄성편(40)을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터미널수용공간(32) 즉,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을 향해 누른다.Next, in order to separate the terminal T from the connector housing 31, the worker removes the elastic piece 40 from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32 of the connector housing 31, that is, the arrow shown in FIG. 4. Press in the A direction.

이와 같이 상기 탄성편(40)을 누르게 되면, 상기 탄성편(40)의 자유단부의 선단(41)에 형성된 푸쉬바(45)의 선단이 상기 랜스(33)의 지지가이드(35)에 접촉하게 된다. When the elastic piece 40 is pressed in this way, the tip of the push bar 45 formed on the tip 41 of the free end of the elastic piece 40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guide 35 of the lance 33. do.

작업자가 상기 랜스(33)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계속하여 상기 탄성편(40)을 누르게 되면, 상기 랜스(33)는 탄성변형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랜스(33)가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외면과 멀어지는 방향, 즉,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B 방향으로 탄성변형됨으로써, 상기 터미널(T)의 결합공은 상기 랜스(33)의 걸이턱으로부터 분리된다.When the worker continues to press the elastic piece 40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lance 33, the lance 33 is elastically deformed. More precisely, the lance 33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31, that is, in the direction of arrow B shown in FIG. 5, whereby the coupling hole of the terminal T is connected to the lance 33. ) Is separated from the hanger.

상기 탄성편(40)을 이와 같이 누른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터미널(T)의 와이어를 상기 터미널(T)이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터미널(T)이 상기 커넥터하우징(3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elastic piece 40 is pressed in this way, the operator pulls the wire of the terminal 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T is inserted, so that the terminal T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housing ( 31).

이와 같이 별도의 탈거공구 없이도 상기 랜스(33)로부터 상기 터미널(T)을 분리할 수 있고,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외부로부터 상기 랜스(33)의 탄성편(40)을 눌러 상기 터미널(T)을 탈거할 수 있으므로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터미널수용공간(32)이 협소하더라도 용이하게 상기 터미널(T)을 탈거할 수 있다.As such, the terminal T may be separated from the lance 33 without a separate stripping tool, and the terminal T may be pressed by pressing the elastic piece 40 of the lance 33 from the out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31. ), So that the terminal T can be easily removed even if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32 of the connector housing 31 is narrow.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될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what is stated in the claim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도시된 실시예에서, 탄성편(40)은 커넥터하우징(31)에 외팔보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탄성편(40)은 커넥터하우징(31)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고, 랜스(33)의 지지가이드(35)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의 경로에 그 중앙이 위치되며, 푸쉬바(45)는 상기 탄성편(40)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 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elastic piece 40 is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31 in a cantilevered shap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both ends of the elastic piece 40 are connected to the connector housing 31, respectively, and the center thereof is positioned in a path of an imaginary lin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support guide 35 of the lance 33. 45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31 from the center of the elastic piece (40).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랜스(33)는 커넥터하우징(31)에 외팔보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랜스(33)는 커넥터하우징(31)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터미널수용공간(32)을 향해 탄성벼형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수용공간(32)과 마주보는 일면에는 상기 터미널수용공간(32)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터미널(T)의 일측을 걸어 고정하는 걸이턱(34)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lance 33 is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31 in a cantilevered shap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both ends of the lance 33 are connected to the connector housing 31 so as to be elastically rice-shaped toward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32, and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is provided on one surface facing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32. Protruding toward the interior of the space 32 may be formed with a hanger (34) for walking and fixing one side of the terminal (T).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 단면 사시도. Figure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하우징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 커넥터 31: 커넥터하우징30: connector 31: connector housing

32: 터미널수용공간 33: 랜스32: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33: Lance

34. 걸이턱 35: 지지가이드34. Hanging Hook 35: Support Guide

37: 변형공간 40: 탄성편37: deformation space 40: elastic piece

43: 관통슬릿 45: 푸쉬바43: through slit 45: push bar

Claims (6)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터미널이 삽입되는 터미널수용공간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커넥터하우징과;A connector housing forming an appearance and a skeleton and having a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through which the terminal is inserted;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의 일측을 걸어 상기 터미널수용공간 내부에 고정하고, 측면에 지지가이드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랜스; 그리고A lance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from one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to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by hanging one side of the terminal, and having a support guide protruding from the side thereof; And 상기 지지가이드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상기 터미널수용공간을 향해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수용공간과 마주보는 선단에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가이드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푸쉬바가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 The push bar is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guide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and protrudes in a cantilever shape at the tip facing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to selectively contact the support guide. And a resilient piece formed as a connecto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탄성편은 상기 지지가이드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의 경로에 그 선단이 위치되고, 상기 푸쉬바는 상기 탄성편의 자유단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The resilient piece is positioned at its tip in a path of an imaginary lin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support guide, and the push bar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distal end of the free end of the resilient pie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Connecto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탄성편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지지가이드 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의 경로에 그 중앙이 위치되며, 상기 푸쉬바는 상기 탄성편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The elastic piece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or housing, the center thereof is located in the path of the imaginary lin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support guide, the push bar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from the center of the elastic piece. And a connector extending in the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랜스와 상기 탄성편의 표면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표면과 연속된 평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And the surface of the lance and the elastic piece are formed in a plane continuous with the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상기 랜스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일측에 그 기저부가 연결되고,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랜스의 자유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터미널수용공간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터미널의 일측을 걸어 고정하는 걸이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The lance has a bas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the free end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is inserted, and the free end of the lance toward the inside of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Protruding from the conn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is formed to hang the one side of the terminal fixed.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상기 랜스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터미널수용공간을 향해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수용공간과 마주보는 일면에는 상기 터미널수용공간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터미널의 일측을 걸어 고정하는 걸이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lance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or housing and is formed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On one side facing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the lance protrudes toward the inside of th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to walk one side of the terminal. Connector hang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jaw is formed.
KR1020080075251A 2008-07-31 2008-07-31 Connector KR2010001363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251A KR20100013639A (en) 2008-07-31 2008-07-31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251A KR20100013639A (en) 2008-07-31 2008-07-31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639A true KR20100013639A (en) 2010-02-10

Family

ID=42087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251A KR20100013639A (en) 2008-07-31 2008-07-31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363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813B1 (en) 2015-07-02 2016-11-10 주식회사 포스코 Air supply apparatus of loop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813B1 (en) 2015-07-02 2016-11-10 주식회사 포스코 Air supply apparatus of loop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4618B2 (en) Plug-in connector
KR100955647B1 (en)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Male Housing and Female Housing
KR20100013639A (en) Connector
KR200447845Y1 (en) Instrument for detaching terminal
KR200445633Y1 (en) A spacer for connector
KR200466410Y1 (en) Connector
KR20090006806U (en) connector assambly
KR100864246B1 (en) Connector housing
KR20110032881A (en) Connector assembly
KR101001885B1 (en) Connector housing
KR20100022841A (en) A connector
KR100982942B1 (en) Connector
KR20090022964A (en) Connector
KR101009362B1 (en) Connector assembly
KR200467964Y1 (en) Connector assembly
KR20100093929A (en) Connector
KR200442525Y1 (en) Head lamp connector
KR200405196Y1 (en) a connector structure
KR200467963Y1 (en) Rear holder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KR20120070722A (en) Connector assembly
JP2012099248A (en) Joint connector
KR20100070892A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100902951B1 (en) Connector housing
KR20090022966A (en) Connector assembly
KR20090005295U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