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5008A - 데이터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입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25008A KR20090125008A KR1020090047671A KR20090047671A KR20090125008A KR 20090125008 A KR20090125008 A KR 20090125008A KR 1020090047671 A KR1020090047671 A KR 1020090047671A KR 20090047671 A KR20090047671 A KR 20090047671A KR 20090125008 A KR20090125008 A KR 200901250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data
- finger
- unit
-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the force sensing means being located peripherally, e.g. disposed at the corners or at the side of a touch sensing plat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장치용 단말기에서의 소정의 감지영역을 구비하는 데이터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영역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에 의해 생성되고 접촉이 해제되면 소멸하는 기준위치와 상기 생성된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복수의 지시위치에 대한 손가락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입력부;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손가락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판단하여 해당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할당된 데이터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영역의 임의의 지점에 대해서도 손가락의 방향이동이나 가압각도를 조절하여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입력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입력 이해도가 증가되어 숙달이 용이할 뿐 아니라 입력 정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입력, 감지부, 접촉, 가압, 데이터, 표시, 리턴
Description
본 발명은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감지영역의 임의의 지점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여 감지된 접촉면적을 기준으로 하여 접촉이동 및 가압에 따른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입력 이해도가 증가되어 숙달이 용이할 뿐 아니라 입력 정확도가 향상되는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기기의 발달에 따른 정보의 중요성 확대로 인해 데이터 입력장치의 중요도 역시 증가되고 있다. 아울러, 정보기기에 사용되는 반도체 기술 및 정보처리 기술의 발달로 인해 정보기기가 점차 소형화되고 대중화되어 이에 따라, 상기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어왔다.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입력하기 위해서는 1회의 입력동작에 1개의 음소(데이터)가 입력되는 소위 "1타 1음소"입력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상기 "1타 1음소"의 입력대상이 한글일 경우에는 24개 이상의 음소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과 같은 입력키가 배열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입력대상이 영어나 일본어 등의 외국어이거나 혼용해서 입력해야하는 경우에는 더욱 많은 수의 입력키가 배열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은 데이터 입력장치의 일예로 키보드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상기 키보드는 임의의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는 다수개의 입력키가 구비되고 각각의 입력키에는 입력되는 데이터가 배열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영문과 한글의 혼용으로 상기 입력키 하나에 두 개 이상의 데이터가 배열된다.
상기 키보드는 일반적으로 100개 이상의 입력키가 구비되므로 상기 입력키가 형성되는 공간을 위한 최소한의 공간이 필요하므로 휴대하여 사용하는 노트북 같은 경우에 기기의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어 데이터 입력장치에 따른 전체 정보기기의 소형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키보드는 근접하여 입력키가 다수 개 위치하게 되므로 빠른 입력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다른 입력키가 입력되거나 이웃하는 입력키가 함께 입력되어 오입력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데이터 입력장치인 PDA 등에서 사용되는 입력방법인 터치스크린 방식은 입력속도가 느리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키보드와 같이 다수개의 입력키를 대신하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상기 키보드와 비교하여도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부분과 함께 근접한 부분의 입력부분도 함께 입력되어 잘못 입력되는 경우가 더욱 많으며 이러한 "간섭" 문제는 빠른 입력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큰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휴대폰에서 사용되는 키패드 방식은 상기 휴대폰이 소형임에 따라 단지 12개의 버튼으로 24자 이상의 한글, 영문 등의 문자와 숫자, 기호 등을 모두 입력하다보니 1개의 버튼에 다수개의 문자를 중복 배열하고 하나의 음소를 입력하기 위해 반복입력이 불가피하고 여러 종류의 데이터 입력시 모드를 변화하여 입력해야함에 따라 입력이 느려지고 오작동이 많게 되어 사용자의 불편함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한국 특허출원 제10-2005-0107715호에 기재된 발명(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을 개발한 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도 1과 같은 입력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입력장치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상기 입력장치(1) 상에 기재되어 있는 데이터 상을 가압하거나 그 방향으로 이동시켜 대응되는 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
그리고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입력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도 2의 (a)와 같이, 3시 방향을 향해 입력부(3)를 이동시켜 하나의 데이터를 입력한 후, 원위치로 복귀하고, 다시 12시 방향을 향해 입력부(3)를 이동시켜 다른 하나의 데이터를 입력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입력장치에서는, 사용자가 다수의 데이터를 빠르게 입력하고자 할 때, 2번째 이후의 데이터의 입력동작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2의 (a)에서 ③과 같은 2번째 데이터에 대한 입력동작이 도 2의 (a)에서 ①과 ②를 행하면서 빠르게 이루어지면, 입력부(3)가 정확하게 12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는 도 2의 (b)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휘어지면서 12시 방향과 1시 방향의 중간지점을 향하거나 심한 경우 1시 방향으로 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연속된 데이터 입력시에 의도된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기술에 따른 입력장치에서는 데이터 입력을 위해서 정확한 이동 또는 가압을 행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입력장치(1)를 보지 않은 상태에서 입력할 때, 입력부(3)의 이동방향을 방사상으로 정확히 맞추려고 가상의 이동방향과 혼동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입력장치에서는, 입력부(3)가 입력키 타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도 2의 (a)에서 ①을 행한 상태에서 연속하여 다른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즉, 입력부(3)는 입력장치(1)에서 탄성체(5)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입력부(3)가 이동가능 범위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동작을 행한 상태에서 다른 입력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데에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지영역의 임의의 지점에 대해서도 손가락의 접촉이동이나 가압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지영역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로 연속하여 데이터 입력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지영역에서 손가락의 접촉이동이나 가압이 지시위치에 대한 허용각도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면 그 지시위치에 대한 접촉이동이나 가압으로 인정되어 데이터 입력이 이루어지는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촉이동과 가압 이외에 기울임을 감지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협소한 면적 내에서도 많은 양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다양한 정보기기에 적용되어 상기 정보기기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장치용 단말기에서의 소정의 감지영역을 구비하는 데이터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영역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에 의해 생성되고 접촉이 해제되면 소멸하는 기 준위치와 상기 생성된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복수의 지시위치에 대한 손가락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입력부;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손가락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판단하여 해당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할당된 데이터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상기 감지영역을 가압하지 않은 상태로 손가락이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상기 지시위치에 대한 접촉이동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수직방향으로의 가압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지시위치에 대한 수직가압입력으로 판단하며,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경사방향의 가압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지시위치에 대한 기울임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로 손가락이 이동하면서 상기 감지영역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가압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지시위치에 대한 수평가압입력으로 판단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손가락의 이동방향이나 가압각도가 변경되어 감지되는 경우, 이전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따른 입력이 종료되고 새로운 입력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에서 손가락의 접촉이 해제되거나, 손가락의 동작이 정지하거나, 또는 손가락의 방향이동이나 가압이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전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따른 입력이나 상기 입력에 대한 시 도가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손가락의 접촉이 해제되지 않았지만 손가락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의한 입력이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새로운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의한 입력이 개시되면, 종료된 지점을 기준위치로 하여 복수의 지시위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기준위치와 지시위치를 기준으로 새로운 입력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종료된 지점은, 이전의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된 시점 이후에 현재 손가락이 감지입력부에 접촉되어 있는 지점으로 상기 제어부에서 인식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손가락의 이동방향이나 가압각도가 변경되어 감지된 경우, 손가락의 이전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따른 입력과 손가락의 변경된 이동방향 또는 가압각도에 따른 입력을 각각 별개의 입력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수직방향으로의 가압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지시위치에 대한 방향-수직가압입력으로 판단하고, 기준위치 또는 기준위치와 복수의 지시위치에 대한 수직방향으로의 가압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기준위치에 대한 중앙-수직가압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는, 각 지시위치에 대한 입력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표시부가 표시되는 표시창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영역은 상기 표시창의 주변에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데이터표시부는 각 감지영역에 대응되게 상기 표시창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표시부에서는, 각 지시위치에 대한 입력이 수행되면,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다른 색으로 표시되거나 깜빡이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표시부는, 상기 감지영역 상에서의 손가락의 이동방향에 대응되게 상기 표시창에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감지영역은 상기 표시창에 마련되고, 상기 감지영역에 대해 손가락이 접촉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면적 주위로 데이터표시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영역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표시창에 표시된 데이터표시부를 삭제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에서 방향이동이 기준위치로부터 특정 지시위치와 인접한 2개의 지시위치 각각의 중심선 사이의 각도범위에서 감지되면, 상기 특정 지시위치로 방향이동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에서 가압각도가 감지될 때, 상기 가압이 행해지는 면적의 중심위치와 가장 가까운 지시위치에 대해 입력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는, 상기 감지영역에 기울임을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기울임감지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임감지부에 대한 입력을 토대로 각 기울임감지부에 할당된 데이터를 입력 처리할 수도 있 다.
한편, 상기 감지영역에는, 수직가압을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가압부가 상기 감지영역의 테두리 부근에 방사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부에 대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가압부에 대한 수직가압입력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용어의 정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주요한 용어에 대해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1) 이동방향
본 발명에서는 감지영역에 손가락을 접촉하면 기준위치와 복수의 지시위치가 생성된다. 이때 손가락이 접촉되어 있는 기준위치로부터 복수의 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로 손가락이 감지영역을 접촉한 상태로 이동하는 방향을 "이동방향"이라고 한다.
2) 가압각도
본 발명에서 "가압각도"란 감지영역에서 손가락이 상기 감지영역을 가압하는 각도를 의미한다.
3) 접촉이동입력
"접촉이동입력"이란 감지영역에서 손가락이 접촉이동하되 감지영역에 대한 손가락의 가압은 이루어지지 않는 입력을 의미한다. 이때 약간의 가압은 이루어질 수 있지만, 상기 가압은 감지영역을 가압한 것으로 인정되지 않는 정도여야 한다.
4) 수직가압입력
"수직가압입력"이란 감지영역을 손가락이 수직방향으로 가압함에 의해 수행되는 입력을 의미한다. 이때 수직방향이란 정확한 90°방향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대략 70°이상의 수직에 가까운 방향도 포함한다.
5) 기울임입력
"기울임입력"이란 감지영역에 대해 손가락이 경사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루어지는 입력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울임입력은 경사방향의 가압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를 통해 파악하거나, 수평방향 가압과 수직방향의 가압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파악할 수도 있다.
6) 수평가압입력
"수평가압입력"이란 감지영역에서 손가락이 방향이동하면서 수평방향으로 가압함에 의해 수행되는 입력을 의미한다. 즉, 수평가압입력은 수평으로 가압하면서 방향이동되는 경우를 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감지영역의 임의의 지점에 대해서도 손가락의 이동방향이나 가압각도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입력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입력 이해도가 증가되어 숙달이 용이할 뿐 아니라 입력 정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영역에서 손가락의 방향이동이나 가압이 지시위치를 정확히 향하지 않더라도 그 지시위치에 대한 접촉이동이나 가압으로 인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이동이나 가압시에 사용자의 오입력이 현저히 줄어들어 정확한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향이동과 가압각도를 통하여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 수직가압입력 및 기울임입력 중 하나 이상이 수행가능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입력가능한 데이터 개수를 용이하게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향이동과 가압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간단한 구성과 사용방법으로 인해 데이터 입력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정보기기에 적용가능하여 상기 정보기기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이룰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전자장치용 단말기에서의 소정의 감지영역(R)을 구비하여 손가락의 동작감지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에서, 상기 감지영역(R)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에 의해 생성되고 접촉이 해제되면 소멸하는 기준위치(S)와 상기 생성된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복수의 지시위치(D)에 대한 손가락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입력부(10);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손가락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판단하여 해당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할당된 데이터를 메모리부(미도시)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상기한 바와 같은 데이터 입력장치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구현될 수 있으나, 전자장치용 단말기에서 손가락이나 도구의 접촉이나 가압을 감지하여 입력 처리할 수 있다면 터치스크린에 한정되지는 않고, 터치패드 또는 촉각센서 등도 이용가능하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손가락이나 도구의 접촉이나 가압이 발생하였을 때, 접촉에 따른 이동방향과 가압의 정도를 파악하여 가압이 이루어지는 각도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의 적용예로 PDA의 양단에 마련된 터치패드 상에 구현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PDA의 양단에는 감지영역(R)으로서 터치패드가 각각 마련되고, PDA의 중단에는 감지영역(R) 상에서의 입력에 따른 출력을 나타내는 표시창(20)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표시창(20)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상기 표시창(20)에 표시되는 아이콘 등을 선택 또는 이동하여 명령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창(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영역(R) 상에서 데이터를 입력할 때에 감지영역(R)에서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따라 입력될 수 있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표시부(21)가 표시된다.
상기 데이터표시부(21)는 방사상 1열, 2열 또는 3열로 배열되고, 다시 각 열은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칸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각 칸에는 입력가능한 데이터가 기재된다. 만일 상기 감지영역(R)에 대해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통해 접촉이 동입력과 수직가압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데이터표시부(21)가 2열로 배열되고, 1열에는 지시위치(D)에 대한 접촉이동입력에 의해 입력가능한 데이터가 표시되며, 2열에는 지시위치(D)에 대한 수직가압입력에 의해 입력가능한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표시부(21)는 하나의 감지영역(R)에 하나 또는 두 개로 마련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두 개의 감지영역(R) 각각에 대해 하나씩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2열로 이루어지고 각 감지영역(R)에 대해 각각 마련되는 데이터표시부(21)가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표시부(21)에는 한글 자모, 영어의 알파벳, 일어의 히라가나 또는 가타카나가 배열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영어의 알파벳이 배열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데이터표시부(21)에는, 알파벳 이외에 기능키도 마련되어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감지영역(R) 상에서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가 감지되면 상기 데이터표시부(21)에서 그에 대응하는 칸은 다른 색으로 표시되거나 깜빡여서 상기 칸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도 28 참조).
한편, 감지영역(R)에서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하여 접촉이 행해지면, 상기 접촉에 따른 접촉면적을 통해 기준위치(S)가 결정된다. 상기 기준위치(S)는 감지영역(R) 상에 표시되지는 않는다. 즉, 기준위치(S)의 결정 및 처리는 제어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고, 기준위치(S)가 결정될 정도의 손가락의 접촉은 데이터입력모드로 의 전환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하의 도면에서 표시되는 기준위치(S)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표시한 것일 뿐이다.
이렇게 기준위치(S)가 결정되면 상기 기준위치(S) 주변으로 방사상 이격되게 지시위치(D)가 가상으로 생성된다. 이때 상기 지시위치(D)는 데이터표시부(21)의 각 칸의 위치에 대응되는 방향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표시부(21)가 원주방향으로 8개의 칸으로 나뉘어져 있다면, 상기 지시위치(D)도 8방향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시위치(D)가 비록 감지영역(R) 상에 표시되지 않더라도, 데이터표시부(21)를 토대로 하여 데이터표시부(21)에서 기재된 데이터중 입력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표시된 칸에 해당되는 지시위치(D)로 방향이동 또는 가압하여 해당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데이터표시부(21)를 보면서 데이터를 입력할 때, 특정 지시위치(D)에 대한 정확한 방향으로 방향이동이나 가압을 하는 경우는 물론, 상기 지시위치(D)에 대한 허용각도범위 내에서 방향이동이 수행되거나, 가압이 행해지는 면적의 중심위치가 상기 지시위치(D)에 가장 근접하면, 그 지시위치(D)에 대한 방향이동이나 가압으로 인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방향이동은 기준위치(S)로부터 특정 지시위치(D)와 인접한 2개의 지시위치(D)에 대한 각 중심선 사이의 각도로 이루어지면 특정 지시위치(D)에 대한 것으로 인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열의 1시 방향의 칸에 기재된 'b'로 방향이동할 경우, 12시 방향을 0°라 할 때 1시 방향의 지시위치(D)를 향하여 22.5°~67.5°범위(45°범위) 로 방향이동을 행하면 1시 방향의 지시위치(D)에 대응하는 'b'가 선택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가압에 대해서는 가압이 행해지는 면적의 중심위치가 가장 가까운 지시위치(D)에 대한 가압으로 인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지시위치(D)에 대한 정확한 방향으로의 방향이동이나 가압을 행하지 않더라도, 상기 접촉이동이 해당 지시위치(D)에 대한 허용각도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거나 상기 가압이 행해진 면적 중심위치가 해당 지시위치(D)에 가장 근접하다면, 그 지시위치(D)에 대한 방향이동이나 가압으로 인정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감지영역(R) 상에서 손가락의 접촉을 해제하면, 상기 기준위치(S)는 소멸된다. 그리고 이후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하여 감지영역(R)에 손가락을 접촉하면, 그 접촉한 지점에서 다시 기준위치(S)가 생성된다.
한편, 손가락을 지시위치(D)에 대해 방향이동하거나 가압한 상태에서 접촉을 해제하지 않으면, 상기 지시위치(D)에 접촉한 손가락의 접촉면적을 토대로 다시 기준위치(S)가 생성된다. 다시 말하면, 지시위치(D)에 대한 방향이동이나 가압에 의해 최초의 기준위치(S)가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준위치(S) 주변으로는 다시 지시위치(D)가 생성된다. 따라서 손가락의 접촉을 해제하지 않으면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연속하여 입력할 수도 있고, 연속된 2개의 입력동작에 대응되는 새로운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연속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최초의 입력과 이후의 입력을 구분하는 방법은 가장 기본적으로는, 이동방향과 가압각도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감지입력부에서 손가락의 접촉이 해제되거나, 손가락의 동작이 정지하거나, 또는 손가락의 방향이동이나 가압이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전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따른 입력이나 상기 입력에 대한 시도가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후의 방향이동 및 가압각도에 따른 입력과 구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는 기울임에 의해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다. 여기서, 기울임이란, 감지영역(R)에 접촉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대각방향으로 가압함에 의해 이루어지는 입력을 말한다. 이러한 기울임을 감지하기 위해서 기울임감지부(17, 도 13 참조)가 마련될 수도 있고,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가압이 입력되면 이 입력신호를 해석하여 기울임으로 판단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데이터 입력장치에 대해 구체적인 도면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입력에 대한 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데이터표시부(21) 중 좌측에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접촉이동입력>
도 5는 감지영역 상에서의 접촉이동입력에 의한 데이터 입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의 임의의 위치에 손가락을 접촉하면 감지입 력부(10)에서는 손가락의 접촉면적을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에서는 감지입력부(10)에서 감지된 접촉면적으로부터 중앙지점을 선택하여 그 지점을 기준위치(S)로 결정하고, 상기 기준위치(S)의 방사상 이격된 지점에 복수의 지시위치(D)를 할당한다.
이와 같이 손가락의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감지영역에 대한 가압없이 손가락을 특정 지시위치(D) 방향으로 이동하면 그 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표시부(21)의 데이터가 입력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시 방향으로 접촉이동하면 데이터표시부(21)의 1열의 1시 방향에 기재된 데이터인 'b'가 입력처리된다.
이때 접촉이동에 의한 데이터의 입력은 접촉이동의 거리나 접촉이동의 시작점에 관계없이 이동방향으로 입력될 데이터가 결정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①, ②, ③은 모두 2번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접촉이동의 시작점의 위치나 이동거리에 관계없이 동일한 데이터가 입력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촉이동에 비해 도 7의 (b)에 도시된 접촉이동은 이동거리가 상대적으로 길다. 하지만, 도 7의 (a)와 (b)에 의해서는, 이동방향이 1시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동일하게 데이터 'b'가 입력된다.
또한 도 7의 (c)에 도시된 접촉이동은 시작점이 도 7의 (a)와 (b)에 도시된 접촉이동과 상이하다. 하지만, 도 7의 (c)와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접촉이동은 모두 이동방향이 1시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동일하게 데이터 'b'가 입력된다.
따라서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서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더라도 동 일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시위치(D)의 대략의 방향을 인식하고 있다면, 감지영역(R) 상의 어느 위치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한 상태에서 감지영역(R)으로부터 손가락의 접촉을 해제하지 않으면, 손가락이 접촉이동된 지점에서 다시 기준위치(S)와 지시위치(D)가 가상으로 생성된다. 따라서 접촉이동된 지점에서 재차 접촉이동으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즉,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에 손가락을 접촉하면 접촉면적을 기준으로 기준위치(S)와 지시위치(D)가 생성된다. 이때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을 수행하면 데이터 'c'가 입력처리된다.
여기서 손가락의 접촉을 해제하지 않으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이동된 지점에서 다시 기준위치(S)와 지시위치(D)가 생성된다. 이때 도 8의 (c)와 같이 손가락의 접촉이동을 1시 방향으로 수행하면, 이동방향이 변경되었으므로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으로 파악하여, 그에 대응하는 데이터 'b'가 입력 처리된다.
따라서 손가락의 접촉을 해제하지 않으면 연속적인 접촉이동에 의해 다수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2개 이상의 접촉이동입력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면, 각각의 접촉이동과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수직가압입력>
도 9는 감지영역 상에서의 수직가압에 의한 데이터 입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에 손가락을 접촉하면 손가락의 접촉면적을 기준으로 기준위치(S)와 지시위치(D)가 생성된다. 이때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을 감지영역(R)에 접촉한 상태에서 3시 방향으로 수직가압을 하게 되면, 3시 방향의 가압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입력된다. 즉, 데이터표시부(21)에서 2열의 3시 방향에 기재된 'k'가 입력 처리된다.
이때 손가락을 최초 접촉한 상태에서 접촉이동을 수행하면 접촉이동된 상태에서 재차 기준위치(S)와 지시위치(D)가 생성되므로, 도 10과 같이 방향이동된 상태에서도 도 9의 (b)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직가압입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손가락의 방향이동에 의해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을 때, 접촉이동입력으로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하면서 지시위치(D)에 대한 수직가압입력으로 마우스의 좌우버튼 누름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에 의해 드래그나 파일끌기 등이 가능하고, 게임시에는 게임캐릭터를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각종 명령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가압입력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의 방사상 복수의 지점에 배치된 가압부(11)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가압부(11) 내측의 감지영역(R) 상에서는 방향이동을 수행하면서, 가압부(11)를 가압함 에 의해 해당 가압부(11)에 할당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수직가압입력은 기준위치를 수직가압하였는지, 또는 지시위치를 수직가압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중앙-수직가압입력과 방향-수직가압입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중앙-수직가압입력은, 도 12의 (a)와 같이 기준위치(S)만을 가압하거나 도 12의 (b)와 같이 기준위치와 주변의 지시위치를 전체적으로 가압하는 경우에 수행되고, 방향-수직가압입력은, 도 12의 (c)와 같이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D)에 대해 가압하는 경우에 수행된다.
이때 중앙-수직가압입력은 모드 변환용도로 활용될 수 있으며, 데이터표시부의 중앙에 추가적으로 데이터가 표시되는 경우에, 그 데이터를 입력하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기울임입력>
도 13은 감지영역 상에서의 기울임입력에 의한 데이터 입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감지영역(R)에는 터치패드와 같은 감지부(13) 상에 탄성체로 이루어진 리턴부(15)가 마련되고, 상기 리턴부(15) 내에는 다수의 기울임감지부(17)가 구비된다. 따라서 손가락을 감지영역(R)에 접촉한 상태에서 특정 지시위치(D)로 대각방향의 가압을 수행하면 상기 기울임감지부(17)가 이러한 손가락의 동작을 감지하여 기울임입력에 따른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한다.
이때 기울임입력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표시부(21)에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접촉이동입력과 수직가압입력과 더불어 기울임입력이 가능한 경우에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표시부(21)가 3열로 마련되어 상기 3열에는 기울임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한 데이터가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3차원의 물체의 그래픽 작업모드에서는, 상기 접촉이동입력에 의해서는 상기 물체의 이동을 수행하고, 상기 수직가압입력에 의해서는 가압방향으로 상기 물체를 회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울임입력에 의해서는 상기 물체가 기울어지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울임입력을 기울임감지부(17)로 감지하는 대신에, 감지영역(R) 상에서 감지되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가압을 조합하여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수평방향의 압력값 20과, 수직방향의 압력값 30이 동시에 감지되면, 기울임입력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수평가압입력>
도 14는 감지영역 상에서의 수평가압입력에 의한 데이터 입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가압입력은 감지영역(R)의 임의의 위치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로 손가락이 이동하면서 상기 감지영역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가압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수평가압입력은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를 향해 방향이동하면서 상기 지시위치를 향하여 가압하는 입력을 의미한다.
이러한 수평가압입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감지영역에 배치되는 감지부(13)의 주변에 감지부(13)의 수평방향 이동을 감지하는 수평가압감지부(미도시)가 마련되고, 상기 감지부(13) 상에는 수평가압입력이 수행되면 탄성변형된 후 원상태로 복원 가능한 리턴부(1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평가압입력으로도 데이터표시부에 표시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데이터표시부의 2열에 배열된 데이터가 수평가압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한 데이터라면, 3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을 통하여 데이터 'k'의 입력이 가능하다.
<두 개 이상의 입력에 의한 연속 입력>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로 2개의 데이터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접촉이동을 연속하여 수행함으로써 1회의 접촉이동으로 2개의 데이터를 연속하여 입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데이터 'a'와 'c'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데이터 'a'와 데이터 'c'는 각각에 대한 접촉이동을 통해 개별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즉, 도 15의 (a)와 같이, 감지영역(R)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12시 방향으로 접촉이동하면(②), 데이터 'a'가 입력된다. 그리고 감지영역(R)에서 손가락을 뗀 후 다시 감지영역(R)에 접촉(①)하여 도 15의 (b)와 같이 3시 방향으로 접촉이동하여(②) 데이터 'c'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2회의 접촉이동을 수행하는 대신에, 도 15의 (c)와 같이, 최 초 접촉한 상태(①)에서 12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을 행하고(②),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시 3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을 행하면(③), 도 15의 (a)와 (b)를 각각 순차적으로 행한 결과와 동일한 데이터가 입력된다.
또한 3회 이상의 접촉이동을 연속적으로 3개 이상의 데이터를 차례로 입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는 연속적인 입력을 통해 다수개의 데이터를 감지영역에 대한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로 한번에 입력가능하다. 이때 연속 입력은 접촉이동입력과 같은 하나의 입력만을 연속하여 수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합으로 가능하다.
즉, 이상에서 설명한 접촉이동입력, 수직가압입력, 기울임입력 및 수평가압입력 각각을 수행한 상태로 다시 동일한 입력을 수행하여도 연속 입력이 가능하지만, 서로 다른 입력을 조합하여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연속 입력이 가능한 것은, 감지영역(R)에서 기준위치(S)가 정해져 있지 않고 손가락이 임의로 접촉한 지점을 기준으로 기준위치(S)가 결정되고, 접촉이 해제되지 않으면 기준위치(S)와 지시위치(D)가 현재 접촉한 지점을 기준으로 생성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접촉상태에서 연속하여 방향이동 및 가압각도를 조절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므로, 연속적인 데이터 입력을 위해 기준위치(S)로 복귀할 필요성이 없 어 신속한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접촉상태에서 의도한 방향의 지시위치(D)로 바로 방향이동 또는 가압을 행하므로, 데이터 입력에 대한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즉, 종래의 입력키 방식은 이동한 상태에서 연속하여 지시위치(D)로 이동할 수 없지만, 본 발명은 입력한 상태에서 연이어 지시위치(D)로 자유롭게 접촉이동 또는 가압에 의한 입력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 수직가압입력 및 기울임입력 중 둘 이상의 입력이 수행가능한 경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접촉이동입력과 수평가압입력에 의한 연속 입력>
먼저 접촉이동입력과 수평가압입력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통하여 접촉이동입력과 수평가압입력을 구분한다. 즉, 이동방향은 동일하더라도 가압의 유무에 따라서 접촉이동입력과 수평가압입력은 서로 다른 입력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표시부에서 1열은 접촉이동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고, 2열은 수평가압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이동입력과 수평가압입력이 연속하여 수행되면서 다수의 데이터 가 입력되는 예가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상 임의의 위치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12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면(②) 도 4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a'가 입력되고, 다시 3시 방향으로 수평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③) 데이터 표시부에서 'k'가 입력된다. 그리고 감지영역(R)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1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면(④) 데이터 표시부의 'b'가 입력되고, 다시 12시 방향과 9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을 연속으로 수행하면(⑤, ⑥), 'i'와 'o'가 순차적으로 입력된다.
또 다른 예로서,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9시 방향으로 수평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②) 데이터 표시부의 'o'가 입력되고, 다시 12시 방향과 3시 방향으로의 접촉이동입력을 연속하여 수행하면(③, ④), 'a'와 'c'가 순차적으로 입력되며, 6시 방향으로 수평가압입력을 하면(⑤) 'm'이 입력된다.
이상과 같이 감지영역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로 접촉이동입력과 수평가압입력을 연속하여 수행함으로써 다수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입력할 수 있다.
<접촉이동입력과 수직가압입력에 의한 연속 입력>
다음으로, 접촉이동입력과 수직가압입력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이동방향 및 가압 각도를 통하여 접촉이동입력과 수직가압입력을 구분한다. 즉,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가압없는 방향이동을 접촉이동입력으로 파악하고,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이동없는 수직가압을 수직가압입력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2개의 입력에 대응되도록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표시부에서 1열은 접촉이동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고, 2열은 수직가압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이동입력과 수직가압입력이 연속하여 수행되면서 다수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예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7의 (a)와 같이, 감지영역(R)에 접촉한 상태(①)에서 12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여(②) 1개의 데이터(a)를 입력한다(도 4의 좌측에 기재된 데이터 표시부 기준). 그리고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3시 방향을 가압하여(③) 다시 1개의 데이터(k)를 입력한다. 또한 3시 방향에 대한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이어 3시 방향으로 접촉이동하여(④) 또 다시 1개의 데이터(c)를 입력한다.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감지영역(R)에 손가락을 떼지 않고 다수의 데이터를 연속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17의 (b)와 같이, 감지영역(R)에 접촉한 상태(①)에서 3시 방향으로 수직가압입력을 수행하여(②) 1개의 데이터(k)를 입력한다. 그리고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12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여(③) 다시 1개의 데이터(a)를 입력한다. 또한 이러한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이어 9시 방향의 지시위치(D)를 가압하여(④) 또 다시 1개의 데이터(o)를 입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도 17의 (c)와 같이, 감지영역(R)에 접촉한 상태(①)에서 3시 방향으로 가압입력을 하여(②) 1개의 데이터(k)를 입력한다. 그리고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12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여(③) 다시 1개의 데이터(a)를 입력한다. 또한 이러한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이어 3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입력을 행하여(④) 또 다시 1개의 데이터(c)를 입력할 수 있다.
<접촉이동입력과 기울임입력에 의한 연속 입력>
다음으로, 접촉이동입력과 기울임입력이 연속으로 수행되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통하여 접촉이동입력과 기울임입력을 구분한다. 즉,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가압없는 방향이동을 접촉이동입력으로 파악하고,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경사가압을 기울임입력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2개의 입력에 대응되도록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표시부에서 1열은 접촉이동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고, 2열은 기울임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이동입력과 기울임입력이 연속하여 수행되면서 다수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예가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12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면(②) 데이터 표시부의 'a'가 입력되고, 다시 3시 방향으로 기울임입력을 수행하면(③) 데이터 표시부의 'k'가 입력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12시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을 수행하면(②) 데이터 표시부의 'i'가 입력되고, 손가락의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3시 방향과 12시 방향으로의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면(③, ④) 데이터 표시부의 'c'와 'a'가 입력되며, 그 상태에서 다시 9시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을 수행하면(⑤) 데이터 표시부의 'o'가 입력된다.
<수평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에 의한 연속 입력>
다음으로, 수평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이 연속으로 수행되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통하여 수평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을 구분한다. 즉, 특정 지시위치에 대해 방향이동하면서 상기 지시위치로 가압하는 경우를 수평가압입력으로 파악하고,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경사가압을 기울임입력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2개의 입력에 대응되도록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표시부에서 1열은 수평가압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고, 2열은 기울임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이 연속하여 수행되면서 다수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예가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9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②) 데이터 표시부의 'g'가 입력되고, 손가락의 접촉을 해제하지 않고 바로 9시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을 수행하면(③) 데이터 표시부의 'o'가 입력되며, 다시 6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④) 데이터 표시부의 'e'가 입력된다.
또 다른 예로서,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3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②) 데이터 표시부의 'c'가 입력되고, 손가락의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로 12시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을 수행하면(③) 데이터 표시부의 'i'가 입력된다.
<수평가압입력과 수직가압입력에 의한 연속 입력>
다음으로, 수평가압입력과 수직가압입력이 연속으로 수행되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통하여 수평가압입력과 수직가압입력을 구분한다. 즉,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방향이동을 하면서 상기 지시위치를 향하여 가압하는 경우를 수평가압입력으로 파악하고,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수직가압을 수직가압입력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2개의 입력에 대응되도록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표시부에서 1열은 수 평가압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고, 2열은 수직가압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가압입력과 수직가압입력이 연속하여 수행되면서 다수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예가 도 20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3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②) 데이터 표시부의 'c'가 입력되고, 손가락의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로 12시 방향의 수직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③) 데이터 표시부의 'i'가 입력된다.
또 다른 예로서,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5시 방향의 수직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②), 데이터 표시부의 'k'가 입력되고, 손가락의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로 3시 방향의 수평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③) 데이터 표시부의 'c'가 입력된다.
<기울임입력과 수직가압입력에 의한 연속 입력>
다음으로, 기울임입력과 수직가압입력이 연속으로 수행되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통하여 기울임입력과 수직가압입력을 구분한다. 즉,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경사방향 가압을 기울임입력으로 파악하고,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수직가압을 수직가압입력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2개의 입력에 대응되도록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표시부에서 1열은 기울임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고, 2열은 수직가압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기울임입력과 수직가압입력이 연속하여 수행되면서 다수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예가 도 21에 도시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1시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을 수행하면(②) 데이터 표시부의 'b'가 입력되고, 손가락의 접촉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로 12시 방향으로의 수직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③) 데이터 표시부의 'i'가 입력된다.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에 의한 연속 입력>
다음으로,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이 연속으로 수행되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통하여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을 구분한다. 즉,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가압없는 방향이동을 접촉이동입력으로 파악하고,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방향이동을 하면서 상기 지시위치를 향하여 가압하는 경우를 수평가압입력으로 파악하고,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경사가압을 기울임입력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3개의 입력에 대응되도록 도 4에 도시된 2열의 데이터 표시부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열의 데이터 표시부로 변경될 수 있고, 3열의 데이터 표시 부에서 1열은 접촉이동입력으로 입력가능하고, 2열은 수평가압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며, 3열은 기울임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이 연속하여 수행되면서 다수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예가 도 23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로 3시 방향의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면(②),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의 'c'가 입력되고, 다시 12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③),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i'가 입력되며, 이어서 9시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을 수행하면(④),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w'가 입력된다.
또 다른 예로서, 도 2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로 6시 방향의 기울임입력을 수행하면(②),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u'가 입력되고, 다시 5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③),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의 'l'이 입력되며, 이어서 1시 방향으로의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면(④)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b'가 입력된다.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과 수직가압입력에 의한 연속 입력>
다음으로,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과 수직가압입력이 연속으로 수행되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통하여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과 수직가압입력을 구분한다. 즉,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가압없는 방향이동을 접촉이동입력으로 파악하고,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방향이동을 하면서 상기 지시위치를 향하여 가압하는 경우를 수평가압입력으로 파악하고,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수직가압을 수직가압입력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3개의 입력에 대응되도록 도 22에 도시된 3열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1열은 접촉이동입력으로 입력가능하고, 2열은 수평가압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며, 3열은 수직가압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과 수직가압입력이 연속하여 수행되면서 다수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예가 도 24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11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면(②)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h'가 입력되고, 다시 3시 방향으로의 수직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③)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s'가 입력되며, 이어서 12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④)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i'가 입력된다.
또 다른 예로서, 도 2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9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②)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o'가 입력되고, 다시 12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면(③)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a'가 입력되며, 이어서 9시 방향으로의 수직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④)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w'가 입력된다.
<접촉이동입력, 수직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에 의한 연속 입력>
다음으로, 접촉이동입력, 수직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이 연속으로 수행되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통하여 접촉이동입력, 수직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을 구분한다. 즉,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가압없는 방향이동을 접촉이동입력으로 파악하고,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수직가압을 수직가압입력으로 파악하며,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경사가압을 기울임입력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3개의 입력에 대응되도록 도 22에 도시된 3열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1열은 접촉이동입력으로 입력가능하고, 2열은 수직가압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며, 3열은 기울임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이동입력, 수직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이 연속하여 수행되면서 다수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예가 도 25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로 3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면(②)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c'가 입력되고, 다시 12시 방향으로의 수직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③)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i'가 표시되며, 이어서 3시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을 수행하면(④)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s'가 입력된다.
또 다른 예로서, 도 2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9시 방향으로의 수직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②)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o'가 입력되고, 다시 12시 방향으로의 기울임입 력을 수행하면(③)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q'가 입력되며, 이어서 3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면(④) 도 22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c'가 입력된다.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 수직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에 의한 연속 입력>
다음으로,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 수직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이 연속으로 수행되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통하여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 수직가압입력 및 기울임입력을 구분한다. 즉,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가압없는 방향이동을 접촉이동입력으로 파악하고, 특정 지시위치로 방향이동하면서 상기 지시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경우를 수평가압입력으로 파악하며,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수직가압을 수직가압입력으로 파악하고, 특정 지시위치에 대한 경사가압을 기울임입력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4개의 입력에 대응되도록 도 22에 도시된 3열의 데이터 표시부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은 4열의 데이터 표시부로 변경될 수 있고, 도 26에 도시된 4열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1열은 접촉이동입력으로 입력가능하고, 2열은 수평가압입력에 의해 입력가능하며, 3열은 수직가압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고, 4열은 기울임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이동입력, 수평가압입력, 수직가압입력과 기울임입력이 연속하여 수행되면서 다수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예가 도 27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3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②) 도 26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k'가 입력되고, 다시 12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면(③) 도 26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a'가 입력되며, 다시 9시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을 수행하면(④) 도 26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Shift'가 입력되고, 이어서 12시 방향으로의 수직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⑤) 도 26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q'가 입력된다.
또 다른 예로서, 도 2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 상의 임의의 지점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①)에서 12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을 행한 후 6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②, ③) 도 26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i'와 'm'이 순차적으로 입력되고, 다시 9시 방향으로 접촉이동입력을 수행하면(④) 도 26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g'가 입력되며, 이어서 1시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과 11시 방향으로의 수직가압입력을 수행하면(⑤, ⑥) 도 26의 데이터 표시부에서 'z'와 'x'가 순차적으로 입력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는 다양한 입력의 조합을 통하여 입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다양한 입력 형태 중에서 사용자가 편리하다고 느끼는 입력들이 수행가능하게 마련하여 입력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데이터표시부 표시방법>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표시부는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28과 같은 고정형, 도 29와 같은 이동형, 또는 도 30과 같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R)에 대한 손가락의 방향이동 또는 가압에도 불구하고, 데이터표시부(21)는 표시창(20)에 고정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손가락의 방향이동이나 가압에 의해 선택되는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표시부(21)에는 해당되는 데이터가 표시된 칸이 다른 색으로 표시되거나 깜빡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28에서, ①과 같이 좌측의 감지영역(R)에 접촉한 손가락을 12시 방향으로 방향이동하면, 좌측의 데이터표시부(21)에서 1열의 12시 방향의 칸이 깜빡일 수 있다. 또한 도 16에서, ②와 같이 우측의 감지영역(R)에 접촉한 손가락을 3시 방향으로 수직가압하면, 우측의 데이터표시부(21)에서 2열의 3시 방향의 칸이 깜빡일 수 있다.
한편, 데이터표시부(21)는 도 29와 같이 이동형으로 마련되어, 감지영역(R)에 대한 손가락의 방향이동에 따라 표시창(20)에서 이동될 수 있다. 즉, 도 29에서, ①과 같이 좌측의 감지영역(R)에 접촉한 손가락을 6시 방향으로 방향이동하면, 좌측의 데이터표시부(21)가 표시창(20)에서 6시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도 29에서, ②와 같이 우측의 감지영역(R)에 접촉한 손가락을 9시 방향으로 방향이동하면, 우측의 데이터표시부(21)가 표시창(20)에서 9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표시부(21)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의 접촉위치의 주변에 손가락의 접촉면적과 일체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감지영역(R)에 소정 면적이상의 접촉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데이터입력모드를 활성화시켜 손가락의 접촉면적 주위에 데이터표시부(21)를 표시하고 손가락의 접촉이 해제되면 데이터표시부(21)를 사라지게 한다. 이때에는 손가락이 접촉하는 감지영역(R)은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경우에 손가락으로 인해 데이터표시부(21)가 가려지는 부분이 생길 수 있으므로, 상기 데이터표시부(21)는 터치스크린의 임의의 영역에 별도로 마련되어 데이터표시부에서 입력 가능한 데이터를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표시부(21)가 손가락이 접촉한 위치의 주변에 나타나면 사용자는 데이터표시부(21)를 직시하면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방향이동이나 가압을 하면, 상기 데이터표시부(21)는 방향이동이나 가압된 지점을 중심으로 이동하여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의 적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데이터표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 접촉이동입력에 의한 데이터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 수직가압입력에 의한 데이터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 기울임입력에 의한 데이터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 수평가압입력에 의한 데이터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 연속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 다양한 입력 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3개의 입력이 수행가능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 표시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 다양한 입력 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4개의 입력이 수행가능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 표시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 4개의 입력 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8 내지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표시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감지입력부 11 : 가압부
13 : 감지부 15 : 리턴부
17 : 기울임감지부 20 : 표시창
21 : 데이터표시부 R : 감지영역
S : 기준위치 D : 지시위치
Claims (18)
- 전자장치용 단말기에서의 소정의 감지영역을 구비하는 데이터 입력장치에 있어서,상기 감지영역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에 의해 생성되고 접촉이 해제되면 소멸하는 기준위치와 상기 생성된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복수의 지시위치에 대한 손가락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입력부; 및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손가락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를 판단하여 해당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할당된 데이터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상기 감지영역을 가압하지 않은 상태로 손가락이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상기 지시위치에 대한 접촉이동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수직방향으로의 가압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지시위치에 대한 수직가압입력으로 판단하며,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경사방향의 가압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지시위치에 대한 기울임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어느 하나 의 지시위치로 손가락이 이동하면서 상기 감지영역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가압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지시위치에 대한 수평가압입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손가락의 이동방향이나 가압각도가 변경되어 감지되는 경우, 이전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따른 입력이 종료되고 새로운 입력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에서 손가락의 접촉이 해제되거나, 손가락의 동작이 정지하거나, 또는 손가락의 방향이동이나 가압이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전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따른 입력이나 상기 입력에 대한 시도가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손가락의 접촉이 해제되지 않았지만 손가락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의한 입력이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새로운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의한 입력이 개시되면, 종료된 지 점을 기준위치로 하여 복수의 지시위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기준위치와 지시위치를 기준으로 새로운 입력에 대해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종료된 지점은, 이전의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된 시점 이후에 현재 손가락이 감지입력부에 접촉되어 있는 지점으로 상기 제어부에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손가락의 이동방향이나 가압각도가 변경되어 감지된 경우, 손가락의 이전의 이동방향 및 가압각도에 따른 입력과 손가락의 변경된 이동방향 또는 가압각도에 따른 입력을 각각 별개의 입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서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수직방향으로의 가압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지시위치에 대한 방향-수직가압입력으로 판단하고, 기준위치 또는 기준위치와 복수의 지시위치에 대한 수직방향으로의 가압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기준위치에 대한 중앙-수직가압입력으로 판 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각 지시위치에 대한 입력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표시부가 표시되는 표시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 제9항에 있어서,상기 감지영역은 상기 표시창의 주변에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데이터표시부는 각 감지영역에 대응되게 상기 표시창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표시부에서는, 각 지시위치에 대한 입력이 수행되면,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다른 색으로 표시되거나 깜빡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표시부는, 상기 감지영역 상에서의 손가락의 이동방향에 대응되게 상기 표시창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 제9항에 있어서,상기 감지영역은 상기 표시창에 마련되고,상기 감지영역에 대해 손가락이 접촉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면적 주위로 데이터표시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영역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표시창에 표시된 데이터표시부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에서 방향이동이 기준위치로부터 특정 지시위치와 인접한 2개의 지시위치 각각의 중심선 사이의 각도범위에서 감지되면, 상기 특정 지시위치로 방향이동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입력부에서 가압각도가 감지될 때, 상기 가압이 행해지는 면적의 중심위치와 가장 가까운 지시위치에 대해 입력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감지영역에 기울임을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기울임감지부가 더 마련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임감지부에 대한 입력을 토대로 각 기울임감지부에 할당된 데이터를 입력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감지영역에는, 수직가압을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가압부가 상기 감지영역의 테두리 부근에 방사상으로 마련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부에 대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가압부에 대한 수직가압입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050214 | 2008-05-29 | ||
KR1020080050214 | 2008-05-29 | ||
KR1020080069216 | 2008-07-16 | ||
KR20080069216 | 2008-07-1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5008A true KR20090125008A (ko) | 2009-12-03 |
Family
ID=41377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7671A KR20090125008A (ko) | 2008-05-29 | 2009-05-29 | 데이터 입력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125008A (ko) |
WO (1) | WO2009145593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945464B (zh) * | 2019-10-29 | 2023-05-02 |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 滑动信号的识别方法、mcu、触控设备及存储介质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50306A (ko) * | 2005-11-10 | 2007-05-15 | 오의진 | 정보기기용 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
KR101136367B1 (ko) * | 2005-11-10 | 2012-04-18 | 오의진 | 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
KR20080010266A (ko) * | 2006-07-26 | 2008-01-30 | 오의진 | 문자입력장치 |
EP2054790A1 (en) * | 2006-08-04 | 2009-05-06 | Oh, Eui-jin | Data input device |
-
2009
- 2009-05-29 WO PCT/KR2009/002884 patent/WO2009145593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5-29 KR KR1020090047671A patent/KR2009012500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9145593A3 (ko) | 2010-03-25 |
WO2009145593A2 (ko) | 2009-1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2753B1 (ko)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의 입력 방법 및 장치 | |
US6104317A (en) | Data entry device and method | |
KR101391080B1 (ko) |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
US6520699B2 (en) | Keyboard | |
AU2007309911B2 (en) | Input device | |
US20100259484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 |
EP2284673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 |
CN101893956A (zh) | 显示控制设备、显示控制方法和计算机程序 | |
KR101077790B1 (ko) | 데이터 입력장치 | |
JP2011516948A (ja) | データ入力装置 | |
KR20100028465A (ko) | 포인터의 드래그 방향에 따른 문자 또는 메뉴입력 방법 | |
KR20080010364A (ko) | 문자입력장치 | |
KR101307345B1 (ko) |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 |
KR20080095811A (ko) | 문자입력장치 | |
NO315777B1 (no) | Fremgangsmate og system for a oppna et brukergrensesnitt mot en elektrisk innretning | |
CN103324432B (zh) | 一种多国语言通用笔划输入系统 | |
KR20090125008A (ko) | 데이터 입력장치 | |
KR100994362B1 (ko) | 데이터 입력장치 | |
KR20100033879A (ko) | 문자입력장치 | |
KR100810455B1 (ko) | 마이크로-키보드 시뮬레이터 | |
KR20130025306A (ko) | 데이터 입력장치 | |
US10082882B2 (en) | Data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 |
JPH0310390A (ja) | 文字認識装置 | |
KR20100031423A (ko) |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 | |
KR101399150B1 (ko) |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