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90121655A -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이를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털제거방법 - Google Patents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이를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털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1655A
KR20090121655A KR1020080047661A KR20080047661A KR20090121655A KR 20090121655 A KR20090121655 A KR 20090121655A KR 1020080047661 A KR1020080047661 A KR 1020080047661A KR 20080047661 A KR20080047661 A KR 20080047661A KR 20090121655 A KR20090121655 A KR 20090121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ratchet
hair collection
nozzle assembly
su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6156B1 (ko
Inventor
유동훈
오장근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7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156B1/ko
Priority to AU2008203850A priority patent/AU2008203850A1/en
Priority to US12/231,070 priority patent/US20090000057A1/en
Priority to GB0817443A priority patent/GB2460285B/en
Publication of KR20090121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6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tilting, floating or similarly arrang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펫에 있는 애완동물의 털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흡입노즐 조립체는, 피 청소면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오물 흡입구를 구비한 노즐 본체, 및 노즐 본체에 설치되는 털 수거유닛을 포함하며, 털 수거유닛은 피 청소면과 접촉하며, 노즐 본체가 이동할 때 회전하지 않고, 노즐 본체가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피 청소면의 애완동물 털을 수거하는 털 수거부재를 포함한다. 털 수거부재는 원통 형상의 털 수거드럼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털수거드럼, 드럼회전제한부재, 드럼높이조절부재, 래칫장치, 방향변경

Description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털제거방법{Suction nozzle assembly usable with vacuum cleaner with hair collecting member,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removinng hair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 청소면의 털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흡입노즐 조립체,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흡입노즐 조립체를 이용한 털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피 청소면의 오물을 공기와 함께 흡입할 수 있는 흡입노즐 조립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흡입노즐 조립체는 피 청소면과 마주하며, 피 청소면에 있는 오물을 흡입하는 오물 흡입구를 구비한다. 청소기 본체에 설치된 진공발생장치가 동작하여 흡입력이 발생하면, 피 청소면의 오물이 흡입노즐 조립체의 오물 흡입구를 통해 청소기 본체로 흡입된다.
그러나, 흡입력만을 이용하여 융단, 카펫과 같이 표면이 가는 실이나 털로 덮인 피 청소면을 청소할 경우에, 피 청소면의 털 속에 박혀 있는 사람의 머리카락, 애완동물의 털, 실 등과 같이 가늘고 긴 오물(이하, 애완동물 털이라 함)은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 애완동물 털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피 청소면을 형성하는 털 속에 박혀 있는 애완동물 털을 긁어내어 뭉치게 한 뒤, 오물 흡입구 쪽으로 유도하여 흡입력으로 흡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피 청소면에 있는 사람의 머리카락, 애완동물의 털, 실 등과 같이 가늘고 긴 오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털제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피 청소면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오물 흡입구를 구비한 노즐 본체; 및 상기 노즐 본체에 설치되는 털 수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털 수거유닛은 상기 피 청소면과 접촉하며, 상기 노즐 본체가 이동할 때 회전하지 않고, 상기 노즐 본체가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피 청소면의 애완동물 털을 수거하는 털 수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털 수거부재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털 수거드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털 수거드럼은 상기 노즐 본체의 이동방향이 변경될 때 일정 각 도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즐 본체가 이동방향을 변경할 때, 상기 털 수거드럼은 10도 내지 180도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털 수거유닛은 드럼회전 제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드럼회전 제한부재는, 상기 노즐 본체가 이동하는 동안은 상기 털 수거드럼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노즐 본체의 이동방향이 변경될 때는 상기 털 수거드럼이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회전 제한부재는, 상기 털 수거드럼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털 수거드럼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형성된 제1래칫장치; 및 상기 털 수거드럼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털 수거드럼이 상기 제1래칫장치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형성된 제2래칫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래칫장치는, 상기 털 수거드럼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1래칫 휠; 및 상기 제1래칫 휠의 회전방향을 제한하는 래칫 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래칫장치는, 상기 털 수거드럼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2래칫 휠; 및 상기 피 청소면과 마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래칫 휠의 회전방향을 제한하도록 형성된 레버 래칫;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래칫장치는 각각 상기 털 수거드럼의 일단면에 설치되는 회전래칫; 및 상기 회전래칫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래칫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고정래칫;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털 수거부재는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돌기는 상기 피 청소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는 상기 피 청소면에 대한 상기 털 수거드럼의 높이를 조절하는 드럼높이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럼높이 조절부재는, 상기 털 수거드럼의 양단을 지지하며, 상기 노즐 본체에 대해 탄성지지되는 제1 및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가 상기 피 청소면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1 및 제2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털 수거부재는 상기 노즐 본체에 상기 오물 흡입구의 전방 또는 후방 중의 적어도 한 곳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털 수거부재는 상기 오물 흡입구의 내측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 본체의 상기 오물 흡입구에는 회전 브러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발생기를 구비한 청소기 본체; 및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결되어 피 청소면으로부터 오물을 흡입하는 것으로서, 상기의 특징 중 어느 하나의 특징을 갖는 흡입노즐 조립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노즐 조립체의 털 수거드럼을 피 청소면 상에서 제1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피 청소면으로부터 애완동물 털을 분리하여 수거하는 단계; 상기 털 수거드럼의 이동방향을 상기 제1 방향에서 제2방향으로 변경하여, 상기 털 수거드럼을 일정 각도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털 수거드럼을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수거된 애완동물 털을 상기 흡입노즐 조립체의 오물 흡입구로 흡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입노즐 조립체를 이용한 털제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거된 애완동물 털을 흡입하는 단계는, 상기 털 수거드럼을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털 수거드럼의 복수 개의 돌기에 끼인 애완동물 털이 상기 복수 개의 돌기에서 분리되어 상기 피 청소면에 남겨지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털 수거드럼은 상기 흡입노즐 조립체가 상기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는 회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털제거방법에 의하면, 털 수거부재가 애완동물 털을 카펫과 같은 피 청소면으로부터 분리하므로 흡입력에 의해 분리된 애완동물 털을 쉽게 흡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는 원통 형상의 털 수거드럼을 이용하여 카펫에 박힌 애완동물 털을 분리하므로, 털 수거드럼을 흡입노즐 조립체의 전방에 설치한 경우에는 평면 형상의 털 수거부재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흡입노즐 조립체의 선단과 오물 흡입구 사이의 거리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진공청소기의 사용시 흡입력이 미치지 않는 데드 스페이 스(dead space)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털제거방법은, 흡입노즐 조립체의 이동방향을 변경할 때마다. 피 청소면과 마찰하는 털 수거드럼의 부분이 바뀌므로 털 수거드럼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흡입노즐 조립체(310)가 설치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3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300)의 흡입노즐 조립체(310)의 저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310)가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300)에 설치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흡입노즐 조립체(310)는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 또는 스틱형 진공청소기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300)는 청소기 본체(301)와 흡입노즐 조립체(310)를 포함한다.
청소기 본체(301)는 그 내측에 설치되며, 흡입력을 발생하는 진공발생장치 (미도시)와 흡입노즐 조립체(310)를 통해 흡입된 오물을 수거하는 집진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청소기 본체(301)의 하단에는 흡입노즐 조립체(310)가 연결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310)는 노즐 본체(311)와 털 수거유닛(320)을 포함한다.
노즐 본체(311)의 내부에는 오물흡입통로(미도시)가 형성되며, 노즐 본체(311)의 하면에는 오물흡입통로와 연통되는 오물 흡입구(312)가 형성된다. 오물흡입통로는 청소기 본체(301)에 설치된 진공발생장치(미도시)와 연통되어 있다. 오물 흡입구(312)에는 회전 브러시(3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노즐 본체(311)는 흡입노즐 조립체(310)가 피 청소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바퀴(315)가 설치된다. 노즐 본체(311)는 청소기 본체(301)의 하단에 연결된다. 청소기 본체(301)에 설치된 진공발생장치(미도시)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하면, 노즐 본체(311)의 오물 흡입구(312)를 통해 피 청소면의 오물이 흡입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털 수거유닛(320)은 털 수거부재(330), 드럼회전 제한부재(340), 및 드럼높이 조절부재(370)를 포함한다.
털 수거유닛(320)은 융단, 카펫 등과 같이 표면이 털로 덮인 피 청소면(이하, 카펫이라 함)의 털 속에 있는 사람의 머리카락, 애완동물의 털, 실 등과 같이 가늘고 긴 오물(이하, 애완동물 털이라 함)을 긁어내어 애완동물 털을 카펫과 분리시킨다. 이와 같은 털 수거유닛(320)은 흡입노즐 조립체(310)에 오물 흡입구(312)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흡입노즐 조립체(310)의 경우는 털 수거유닛(320)이 오물 흡입구(312)의 전방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털 수거유닛(320)은 오물 흡입구(312)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털 수거유닛(320)이 오물 흡입구(312)의 내측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다.
털 수거부재(330)는 복수 개의 돌기(331)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털 수거부재(330)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털 수거드럼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것이 털 수거부재(330)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털 수거드럼(33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털 수거드럼(330)의 표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331)가 형성된다. 복수 개의 돌기(331)는 피 청소면인 카펫(303)의 털 속에 박혀 있는 애완동물 털을 긁어내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돌기(331)로서 털 수거드럼(330)의 표면에 린트(lint) 또는 펠트(felt)를 부착할 수 있다. 여기서, 린트 또는 펠트는 얇은 천과 같은 베이스 부재에 나이론 등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된 복수 개의 섬유가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말한다.
복수 개의 돌기(331)는 피 청소면(303)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다. 즉, 각 돌기(331)의 선단이 피 청소면(303)에 닿거나 근접하였을 때, 돌기(331)가 피 청소면(303)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복수 개의 돌기(331)는 털 수거드럼(330)의 표면에 대해 예각(α)을 이루게 된다.
도 4는 복수 개의 돌기(331)가 털 수거드럼(330)의 표면에 대해 예각(α)을 이루도록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돌기(331)가 털 수거드럼(330)의 표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경우에, 털 수거드럼(330)이 복수 개의 돌기(331)가 예각을 이룬 방향(화살표 A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복수 개의 돌기(331)에 의해 카펫(303)의 털 속에 박혀 있는 애완동물 털이 쉽게 분리된다. 또한, 털 수거드럼(330)이 반대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복수 개의 돌기(331)가 피 청소면(303)에 대해 미끄러지며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돌기(331)의 단부(331a)를 도 5와 같이 화살표 A의 반대방향으로 벌어지게 배열하면, 카펫(303) 속에 있는 애완동물 털을 더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 5는 털 수거드럼(330)의 표면의 일부분을 평면상으로 펼쳐 나타낸 도면이다.
드럼회전 제한부재(340)는 흡입노즐 조립체(320)가 이동될 때, 털 수거드럼(330)이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흡입노즐 조립체(320)의 이동방향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털 수거드럼(330)이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흡입노즐 조립체(320)의 이동방향이 변경될 때, 털 수거드럼(330)은 10도 내지 180도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털 수거드럼(33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드럼회전 제한부재(340)는 흡입노즐 조립체(310)가 제1방향, 예를 들어 흡입노즐 조립체(310)가 후진하는 방향(도 1의 화살표 A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털 수거드럼(330)이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흡입노즐 조립체(310)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 털 수거드럼(330)의 복수 개의 돌기(331)가 카펫(303)의 털 속으로 파고들어 카펫(303)의 털 속에 있는 애완동물 털이 카펫(303)으로부터 분리되어 털 수거드럼(330)의 복수 개의 돌기(331)에 끼이게 된다.
또한, 드럼회전 제한부재(340)는 흡입노즐 조립체(310)가 제2방향, 예를 들어 흡입노즐 조립체(310)가 전진하는 방향(도 1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털 수거드럼(330)이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흡입노즐 조립체(310)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털 수거드럼(330)의 복수 개의 돌기(331)는 카펫(303)의 상면을 미끄러지며 지나가게 된다. 이때, 털 수거드럼(330)의 복수 개의 돌기(331) 사이에 끼어 있는 애완동물 털은 카펫(303)과의 마찰에 의해 복수 개의 돌기(331)에서 빠져 카펫(303)의 상면에 남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와 같은 드럼회전 제한부재(340)는 털 수거드럼(330)의 제1단면(332)에 설치되며, 털 수거드럼(330)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제1래칫장치(350)와, 털 수거드럼(330)의 제2단면(333)에 설치되며, 털 수거드럼(330)이 제1래칫장치(35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는 제2래칫장치(36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1래칫장치(350)는 털 수거드럼(3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고,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래칫장치(360)는 털 수거드럼(330)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래칫장치(350)는 털 수거드럼(330)의 제1단면(332)에 설치되는 제1래칫 휠(351)과 제1래칫 휠(351)의 회전방향을 제한하는 래 칫 폴(355)을 포함한다.
제1래칫 휠(351)은 털 수거드럼(330)과 동축 상으로 털 수거드럼(33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래칫 폴(355)은 제1래칫 휠(351)의 일측으로 드럼높이 조절부재(370)의 제1지지부재(381)에 설치된다. 래칫 폴(355)은 털 수거드럼(330)이 회전하여도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제1래칫 휠(351)의 외주에는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경사된 이(齒)(352)가 형성되어 있다. 제1래칫 휠(351)이 경사이(352)의 경사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제1래칫 휠(351)의 경사이(352)가 래칫 폴(355)에 걸리지 않으므로 제1래칫 휠(351)이 회전할 수 있다. 제1래칫 휠(351)이 경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에는 제1래칫 휠(351)의 경사이(352)의 일면(352a)이 래칫 폴(355)의 단부(356)에 걸려 제1래칫 휠(351)이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털 수거드럼(330)은 제1래칫 휠(351)의 경사이(352)의 경사면(352b)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나, 그 반대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도 8에서 반 시계방향으로는 제1래칫 휠(351)이 래칫 폴(355)에 걸리게 되어 털 수거드럼(330)이 회전하지 않고, 시계방향으로는 제1래칫 휠(351)이 래칫 폴(355)에 걸리지 않으므로 털 수거드럼(330)이 회전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노즐 조립체(310)를 화살표 A와 같이 앞으로 밀면 제1래칫장치(350)에 의해 털 수거드럼(330)이 회전하지 않고, 흡입노즐 조립체(310)를 뒤(화살표 A의 반대방향)로 당기면 제1래칫장치(350)에 의해 털 수거드럼(3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래칫장치(360)는 털 수거드럼(330)의 제2 단면(333)에 설치되는 제2래칫 휠(361)과 제2래칫 휠(361)의 회전방향을 제한하는 레버 래칫(365)을 포함한다.
제2래칫 휠(361)은 털 수거드럼(330)과 동축 상으로 털 수거드럼(33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제2래칫 휠(361)의 외주에는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경사된 이(齒)(362)가 형성되어 있다. 제2래칫 휠(361)의 경사이(362)가 레버 래칫(365)의 상단(366)에 걸리면 제2래칫 휠(361)이 회전할 수 없다. 제2래칫 휠(361)의 경사이(362)의 개수는 제1래칫 휠(351)의 경사이(352)의 개수보다 적은 것이 좋다. 제1래칫 휠(351)의 경사이(352)의 개수는 제2래칫 휠(361)의 경사이(362)의 개수의 배수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래칫 휠(361)의 경사이(362)의 개수가 4개일 때, 제1래칫 휠(351)의 경사이(352)의 개수는 8개 또는 12개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2래칫 휠(361)의 경사이(362)의 개수는 4개이고, 제1래칫 휠(351)의 경사이(352)의 개수는 12개로 형성하였다.
또한, 제2래칫 휠(361)의 경사이(362)의 개수에 따라 흡입노즐 조립체(310)의 이동방향을 변경할 때 털 수거드럼(330)이 회전하는 각도가 결정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2래칫 휠(361)이 4개의 경사이(362)를 갖는 경우에는 흡입노즐 조립체(310)의 이동방향이 변경될 때, 털 수거드럼(330)은 대략 90도 회전하게 된다. 흡입노즐 조립체(310)의 이동방향이 변경될 때 털 수거드럼(330)이 회전하는 각도는, 털 수거드럼(330)이 회전하였을 때, 직전에 피 청소면(303)과 접촉하였던 털 수거드럼(330)의 부분은 피 청소면(303)으로부터 멀어지고 새로운 털 수거드럼(330)의 부분이 피 청소면(303)과 접촉하도록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 서, 털 수거드럼(330)의 회전각도는 털 수거드럼(330)이 피 청소면(303)과 접촉하는 면적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 청소면(303)과 접촉하는 털 수거드럼(330)의 부분에 해당하는 털 수거드럼(330)의 중심각(θ, 도 4)이 50도인 경우에는 털 수거드럼(330)의 회전각도는 50도보다 큰 각도인 60도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레버 래칫(365)은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래칫 휠(361)의 일측으로 제2지지부재(391)에 피봇축(36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러나, 레버 래칫(365)은 털 수거드럼(330)이 회전하여도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레버 래칫(365)의 하단(367)은 피 청소면(303)과 마찰에 의해 피봇축(369)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털 수거드럼(330)이 피 청소면(303)에 접촉하면, 레버 래칫(365)의 하단(367)도 피 청소면(303)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레버 래칫(365)의 하단(367)은 카펫(303) 등과의 마찰을 좋게 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홈(368)을 형성할 수 있다.
레버 래칫(365)의 상단(366)은 제2래칫 휠(361)의 경사이(362)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래칫(365)의 상단(366)이 제2래칫 휠(361)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털 수거드럼(330)이 설치된 흡입노즐 조립체(310)가 제2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면 레버 래칫(365)은 제2래칫 휠(361)과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피 청소면(303)을 미끄러지며 이동하게 된다. 이때, 털 수거드럼(330)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흡입노즐 조립체(310)가 이동방향을 변경하여 제1방향(화살표 A의 반대방향)으로 이 동하면 레버 래칫(365)의 하단(367)과 피 청소면(303)의 마찰에 의해 레버 래칫(365)이 피봇축(359)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레버 래칫(365)의 상단(366)이 제2래칫 휠(361)의 경사이(362)와 치합하게 된다. 레버 래칫(365)의 상단(366)이 제2래칫 휠(361)과 치합하면 털 수거드럼(330)은 회전하지 않는다.
드럼높이 조절부재(370)는 카펫(303)의 털의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털 수거드럼(33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지지부재(381,391), 제1 및 제2안내부(386,396), 탄성부재(385,395)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지지부재(381,391)는 털 수거드럼(33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털 수거드럼(330)의 양단을 지지하며, 노즐 본체(311)에 대해 탄성지지된다. 제1 및 제2지지부재(381,391) 각각의 상단에는 지지축(382,392)이 형성되며 지지축(382,392)은 노즐 본체(311)에 형성된 지지구멍(383,393)에 삽입된다. 지지축(382,392)과 지지구멍(383,393)의 사이에는 탄성부재(385,395)가 설치되어 제1 및 제2지지부재(381,391)를 탄성지지한다. 탄성부재(385,395)로는 압축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381)의 내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 폴(35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지지부재(391)의 내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래칫(365)이 피봇(36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지지부재(381,391) 각각의 외면에는 안내돌기(384,394)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안내부(386,396)는 제1 및 제2지지부재(381,391)가 피 청소면(303)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지지부재(381,391)의 외면에 형성된 안내돌기(384,394)를 안내할 수 있도록 노즐 본 체(311)에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안내부(386,396)는 제1 및 제2지지부재(381,391)의 안내돌기(384,394)를 수용할 수 있는 장공으로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310)의 작용에 대해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노즐 조립체(310)를 제2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털 수거드럼(330)은 드럼회전 제한부재(340)인 제1래칫장치(350) 및 제2래칫장치(360)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피 청소면(303)을 미끄러지며 이동하게 된다. 이때, 드럼회전 제한부재(340)의 제1 및 제2래칫장치(350,360)가 털 수거드럼(330)의 회전을 차단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흡입노즐 조립체(310)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면, 털 수거드럼(330)은 피 청소면(303)과 마찰하여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는다. 이때, 제2래칫장치(360)의 레버 래칫(365)의 하단(367)은 피 청소면(303)과의 마찰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하여 레버 래칫(365)의 상단(366)이 제2래칫 휠(361)로부터 떨어지게 되므로 털 수거드럼(330)이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래칫장치(350)의 래칫 폴(355)이 제1래칫 휠(351)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므로 털 수거드럼(330)은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흡입노즐 조립체(310)가 제2방향으로 이동할 때, 털 수거드럼(330)은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털 수거드럼(330)의 표면에는 도 4와 같이 복수 개의 돌기(331)가 피 청소면(303)에 대해 제2방향(화살표 A)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흡입노즐 조립체(310)가 제2방향으로 이동할 때, 털 수거드럼(330)은 피 청소면(303)을 미끄러지며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흡입노즐 조립체(310)를 제2방향에서 제2방향의 반대방향인 제1방향(화살표 A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털 수거드럼(330)이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즉, 흡입노즐 조립체(310)의 이동방향이 변경되는 순간 털 수거드럼(330)이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제2방향으로 이동하던 흡입노즐 조립체(310)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 털 수거드럼(330)은 피 청소면(303)과의 마찰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는다. 이때, 제1래칫장치(350)의 제1래칫 휠(351)은 래칫 폴(355)에 걸리지 않으므로 털 수거드럼(33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2래칫장치(360)의 레버 래칫(365)의 하단(367)은 피 청소면(303)과의 마찰에 의해 화살표 E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레버 래칫(365)의 상단(366)이 제2래칫 휠(361)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레버 래칫(365)의 상단(366)은 제2래칫 휠(361)의 제1경사이(362-1)의 뒤에 위치하게 되므로, 털 수거드럼(330)은 제2래칫 휠(361)의 제2경사이(362-2)가 레버 래칫(365)의 상단(366)에 걸릴 때까지 회전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2래칫 휠(361)의 경사이(362)의 개수가 4개이므로 털 수거드럼(330)은 대략 90도 회전하게 된다.
흡입노즐 조립체(310)가 제1방향(화살표 A)으로 이동하면, 제1래칫장치(350) 는 털 수거드럼(33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나, 제2래칫장치(360)의 제2래칫 휠(361)의 제2경사이(362-2)가 레버 래칫(365)의 상단(366)에 걸리게 되므로 털 수거드럼(330)은 회전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털 수거드럼(330)의 표면에는 도 4와 같이 복수 개의 돌기(331)가 제2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흡입노즐 조립체(310)가 제1방향으로 이동할 때, 털 수거드럼(330)의 복수 개의 돌기(331)가 피 청소면(303), 즉 카펫과 마찰하여 이동하므로 카펫(303)의 털 사이에 있는 애완동물 털(H)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펫(303)에서 분리되어 털 수거드럼(330)의 복수 개의 돌기(331) 사이에 끼이게 된다.
이후, 흡입노즐 조립체(310)를 다시 제2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래칫장치(360)는 털 수거드럼(330)이 회전할 수 있도록 레버 래칫(365)이 이동하나, 제1래칫장치(350)가 제1래칫 휠(351)이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므로 털 수거드럼(330)이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털 수거드럼(330)은 카펫(303) 위를 미끄러지며 이동하게 된다. 이때, 털 수거드럼(330)의 복수 개의 돌기(331)에 끼인 수거된 애완동물 털(H)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펫(303)과의 마찰에 의해 털 수거드럼(330)의 복수 개의 돌기(331)에서 분리되어 카펫(303)의 위에 남게 된다. 그러면, 흡입력에 의해 수거된 애완동물 털(H)이 흡입노즐 조립체(310)의 오물 흡입구(312)로 흡입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310)에 사용되는 드럼회전 제한부재(400)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 의한 드럼회전 제한부재(400)는 제1래칫장치(410)와 제2래칫장치(420)를 포함한다.
제1래칫장치(410)는 털 수거드럼(330)의 제1단면에 설치되는 제1회전래칫(411)과, 제1회전래칫(41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제1회전래칫(411)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제1고정래칫(418)을 포함한다. 제1고정래칫(418)은 드럼높이 조절부재(370)의 제1지지부재(381)에 설치된다.
제1회전래칫(411)은 털 수거드럼(330)의 제1단면에 형성된 홈(412) 속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털 수거드럼(330)의 홈(412) 속에 설치된 압축 스프링(414)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제1회전래칫(411)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 홈(413)이 형성되고, 털 수거드럼(330)의 홈(412)의 측면에는 제1회전래칫(411)의 복수 개의 가이드 홈(413)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415)이 설치된다. 따라서, 제1회전래칫(411)은 털 수거드럼(330)의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고, 제1회전래칫(411)이 회전하면 털 수거드럼(330)도 함께 회전한다.
제1회전래칫(411)은 제1고정래칫(418)과 마주하는 면에 원형으로 복수 개의 래칫이(齒)(416)가 형성된 회전치면을 포함한다. 회전치면의 각각의 래칫이(416)는 일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과 수직면을 포함한다. 제1고정래칫(418)은 제1회전래칫(411)의 복수 개의 래칫이(416)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고정래칫이(419)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회전래칫(411)은 복수 개의 래칫이(416)의 경사면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있으나, 그 반대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다. 즉, 제1회전래칫(411)이 래칫이(416)의 경사면 방향으로 힘을 받을 경우에는 제1회전래칫(411)이 제1고정래 칫(418)의 고정래칫이(419)에 의해 털 수거드럼(330)의 홈(412) 안쪽으로 밀리면서 제1회전래칫(411)이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제1회전래칫(411)이 래칫이(416)의 경사면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을 경우에는 제1회전래칫(411)의 래칫이(416)와 제1고정래칫(418)의 고정래칫이(419)가 서로 맞물리므로 제1회전래칫(411)이 회전할 수 없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제1래칫장치(410)는 흡입노즐 조립체(310, 도 3 참조))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제1회전래칫(411)이 회전하지 않고,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제1회전래칫(411)이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제2래칫장치(420)는 털 수거드럼(330)의 제2단면에 설치되는 제2회전래칫(421)과, 제2회전래칫(42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제2회전래칫(421)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제2고정래칫(428)을 포함한다. 제2고정래칫(428)은 드럼높이 조절부재(370)의 제2지지부재(391)에 설치된다.
제2회전래칫(421)은 회전치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래칫이(426)의 개수가 제1회전래칫(411)의 래칫이(416)의 개수보다 적은 것과 래칫이(426)의 경사면이 제1회전래칫(411)의 래칫이(416)의 경사면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것 외에는 제1회전래칫(411)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 제2래칫장치(420)는 흡입노즐 조립체(310)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제2회전래칫(421)이 회전하지 않고,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제2회전래칫(421)이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회전래칫(411)의 래칫이(416)의 개수와 제2회전래칫(421)의 래칫이(426)의 개수가 다르므로 흡입노즐 조립체(310)의 이동방향이 변경될 때, 털 수 거드럼(330)은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드럼높이 조절부재(370)의 제1 및 제2지지부재(381,391)는 흡입노즐 조립체(310)의 노즐 본체(311)에 설치된 제1 및 제2안내부(386,396)에 의해 안내된다. 제1 및 제2지지부재(381,391)의 구조는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흡입노즐 조립체(310)에 사용되는 드럼회전 제한부재(400)가 털 수거드럼(330)의 회전을 제어하는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흡입노즐 조립체(310)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면, 털 수거드럼(330)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는다. 이때, 제2래칫장치(420)의 제2회전래칫(421)은 경사면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므로 제2고정래칫(428)의 고정래칫이(429)에 걸리지 않으므로 제2회전래칫(421)이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제1래칫장치(410)는 제1회전래칫(411)의 래칫이(416)가 제1고정래칫(418)의 고정래칫이(419)에 걸리므로 털 수거드럼(330)은 회전하지 않는다.
흡입노즐 조립체(310)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순간, 즉 흡입노즐 조립체(310)를 제2방향에서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순간, 털 수거드럼(33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는다. 이때, 제1래칫장치(410)의 제1회전래칫(411)은 경사면 방향으로 힘을 받으므로 제1고정래칫(418)의 고정래칫이(419)에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제1회전래칫(411)은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제2래칫장치(420)의 제2회전래칫(421)의 래칫이(426)의 수직면은 제2고정래칫(428)의 고정래칫이(429)의 수직면에 걸리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므로, 제2회전래칫(421)은 래칫이(426)의 수 직면이 제2고정래칫(428)의 고정래칫이(429)의 수직면에 걸릴 때까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털 수거드럼(330)은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제2회전래칫(421)의 래칫이(426)를 4개로 형성한 경우, 털 수거드럼(330)은 이동방향 변경시 약 90도 회전할 수 있다.
제2래칫장치(420)의 제2회전래칫(421)의 래칫이(426)의 수직면이 제2고정래칫(428)의 고정래칫이(429)에 걸리면 제2회전래칫(421)의 회전이 정지된다. 따라서, 털 수거드럼(330)도 회전을 멈추게 된다. 이 상태에서, 흡입노즐 조립체(310)를 제1방향으로 계속 이동시켜도 털 수거드럼(330)은 회전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흡입노즐 조립체(310)를 이용한 털제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흡입노즐 조립체(310)를 카펫(303)과 같은 피 청소면 상에서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흡입노즐 조립체(310)의 털 수거드럼(330)이 피 청소면(303) 상에서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피 청소면(303)인 카펫으로부터 애완동물 털을 분리한다(S10). 분리된 애완동물 털은 털 수거드럼(330)의 복수 개의 돌기(331)에 끼이게 된다.
사용자가 흡입노즐 조립체(310)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흡입노즐 조립체(310)의 털 수거드럼(330)의 이동방향이 제1방향에서 제2방향으로 변경되면서, 털 수거드럼(330)은 드럼회전 제한부재(340)의 제1 및 제2래칫장치(350,360)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S20).
흡입노즐 조립체(310)를 계속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흡입노즐 조립 체(310)의 털 수거드럼(330)도 제2방향으로 계속 이동되어, 털 수거드럼(330)의 복수 개의 돌기(331)에 끼인, 즉 수거된 애완동물 털이 분리되어 흡입노즐 조립체(310)의 오물 흡입구(312)로 흡입된다. 이때, 털 수거드럼(330)의 복수 개의 돌기(331)에 끼인 수거된 애완동물 털은 피 청소면(303)과의 마찰에 의해 복수 개의 돌기(331)로부터 분리되어 피 청소면(303) 위에 남게 된다.
흡입노즐 조립체(310)가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털 수거드럼(330)은 회전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털 수거부재를 갖는 흡입노즐 조립체를 구비한 업라이트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조립체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에 사용되는 털 수거드럼의 복수 개의 돌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에 사용되는 털 수거드럼의 표면의 일부분을 평면상으로 펼쳐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3의 흡입노즐 조립체의 털 수거유닛을 화살표 B에서 본 측면도,
도 7은 도 3의 흡입노즐 조립체의 털 수거유닛을 화살표 C에서 본 측면도,
도 8은 도 6에서 드럼높이 조절부재를 제외한 도면으로서, 제1래칫장치가 털 수거드럼을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7에서 드럼높이 조절부재를 제외한 도면으로서, 제2래칫장치가 털 수거드럼을 회전하도록 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제2래칫장치의 레버 래칫이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제1래칫장치가 털 수거드럼을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제2래칫장치의 레버 래칫에 의해 털 수거드럼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가 카펫에서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털 수거부재에 의해 카펫 내 부의 애완동물 털이 수거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가 카펫에서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털 수거부재에 의해 수거된 애완동물 털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에 사용되는 드럼회전 제한부재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흡입노즐 조립체를 이용한 털제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301; 청소기 본체
310; 흡입노즐 조립체 311; 노즐 본체
312; 오물 흡입구 313; 회전 브러시
320; 털 수거유닛 330; 털 수거부재, 털 수거드럼
340,400; 드럼회전 제한부재 350,360; 래칫장치
351; 래칫 휠 355; 래칫 폴
365; 레버 래칫 369; 피봇
370; 드럼높이 조절부재 381,391; 지지부재
382,392; 지지축 385,395; 탄성부재
386,396; 안내부 411,412; 회전래칫
412; 홈 414; 스프링
416,426; 회전래칫의 래칫이 418,428; 고정래칫
419,429; 고정래칫의 고정래칫이

Claims (20)

  1. 피 청소면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오물 흡입구를 구비한 노즐 본체; 및
    상기 노즐 본체에 설치되는 털 수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털 수거유닛은 상기 피 청소면과 접촉하며, 상기 노즐 본체가 이동할 때 회전하지 않고, 상기 노즐 본체가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피 청소면의 애완동물 털을 수거하는 털 수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털 수거부재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털 수거드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털 수거부재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털 수거드럼은 상기 노즐 본체의 이동방향이 변경될 때 일정 각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가 이동방향을 변경할 때, 상기 털 수거드럼은 10도 내지 180 도 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털 수거유닛은 드럼회전 제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드럼회전 제한부재는, 상기 노즐 본체가 이동하는 동안은 상기 털 수거드럼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노즐 본체의 이동방향이 변경될 때는 상기 털 수거드럼이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회전 제한부재는,
    상기 털 수거드럼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털 수거드럼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형성된 제1래칫장치; 및
    상기 털 수거드럼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털 수거드럼이 상기 제1래칫장치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형성된 제2래칫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래칫장치는,
    상기 털 수거드럼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1래칫 휠; 및
    상기 제1래칫 휠의 회전방향을 제한하는 래칫 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래칫장치는,
    상기 털 수거드럼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2래칫 휠; 및
    상기 피 청소면과 마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래칫 휠의 회전방향을 제한하도록 형성된 레버 래칫;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래칫장치는 각각
    상기 털 수거드럼의 일단면에 설치되는 회전래칫; 및
    상기 회전래칫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래칫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고정래칫;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털 수거부재는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돌기는 상기 피 청소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 청소면에 대한 상기 털 수거드럼의 높이를 조절하는 드럼높이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높이 조절부재는,
    상기 털 수거드럼의 양단을 지지하며, 상기 노즐 본체에 대해 탄성지지되는 제1 및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가 상기 피 청소면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1 및 제2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털 수거부재는 상기 노즐 본체에 상기 오물 흡입구의 전방 또는 후방 중의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털 수거부재는 상기 오물 흡입구의 내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의 상기 오물 흡입구에는 회전 브러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17. 진공발생기를 구비한 청소기 본체; 및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결되어 피 청소면으로부터 오물을 흡입하는 것으로서, 상기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입노즐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8. 흡입노즐 조립체의 털 수거드럼을 피 청소면 상에서 제1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피 청소면으로부터 애완동물 털을 분리하여 수거하는 단계;
    상기 털 수거드럼의 이동방향을 상기 제1방향에서 제2방향으로 변경하여, 상기 털 수거드럼을 일정 각도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털 수거드럼을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수거된 애완동물 털을 상기 흡입노즐 조립체의 오물 흡입구로 흡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노즐 조립체를 이용한 털제거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된 애완동물 털을 흡입하는 단계는,
    상기 털 수거드럼을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털 수거드럼의 복수 개의 돌기에 끼인 애완동물 털이 상기 복수 개의 돌기에서 분리되어 상기 피 청소면에 남겨지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노즐 조립체를 이용한 털제거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털 수거드럼은 상기 흡입노즐 조립체가 상기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는 회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노즐 조립체를 이용한 털제거방법.
KR1020080047661A 2007-01-24 2008-05-22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이를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털제거방법 KR101476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661A KR101476156B1 (ko) 2008-05-22 2008-05-22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이를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털제거방법
AU2008203850A AU2008203850A1 (en) 2008-05-22 2008-08-13 Suction nozzle assembly usable with vacuum cleaner having hair collecting member,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removing hair by using the same
US12/231,070 US20090000057A1 (en) 2007-01-24 2008-08-28 Suction nozzle assembly usable with vacuum cleaner having hair collecting member,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removing hair by using the same
GB0817443A GB2460285B (en) 2008-05-22 2008-09-23 Vacuum cleaner nozzle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661A KR101476156B1 (ko) 2008-05-22 2008-05-22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이를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털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655A true KR20090121655A (ko) 2009-11-26
KR101476156B1 KR101476156B1 (ko) 2014-12-29

Family

ID=39952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661A KR101476156B1 (ko) 2007-01-24 2008-05-22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이를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털제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476156B1 (ko)
AU (1) AU2008203850A1 (ko)
GB (1) GB24602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702B1 (ko) * 2017-01-26 2018-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US10258212B2 (en) 2016-05-20 2019-04-16 Lg Electronics Inc. Cleaner
WO2022019417A1 (ko) * 2020-07-23 2022-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EP4056088A1 (en) * 2021-03-09 2022-09-14 Candy Hoover (Suzhou) Co. Ltd. Floor cleaning hea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930B1 (ko) * 2003-12-05 2005-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흡입기구
KR20070032838A (ko) * 2005-09-20 2007-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흡입 헤드의 높이 조절 구조
KR20080033048A (ko) * 2006-10-11 2008-04-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보조브러시유닛을 구비한 노즐조립체
KR100809739B1 (ko) * 2007-01-24 2008-03-0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
US20080172827A1 (en) * 2007-01-24 2008-07-24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Suction nozzl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60285B (en) 2010-09-15
GB0817443D0 (en) 2008-10-29
KR101476156B1 (ko) 2014-12-29
AU2008203850A1 (en) 2009-12-10
GB2460285A (en)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00057A1 (en) Suction nozzle assembly usable with vacuum cleaner having hair collecting member,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removing hair by using the same
CN209574580U (zh) 具有双清洁辊的机器人清洁器
US10130225B2 (en) Vacuum cleaner
JP2010115501A (ja) 表面処理器具用ツール
JP2011019915A (ja) 表面処理ヘッド
JP2018534040A (ja) 電気掃除機ヘッド
KR20210022876A (ko) 진공청소기
KR20210018117A (ko) 진공 청소기 액세서리 툴
KR20090121655A (ko)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이를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털제거방법
JP2018149162A (ja) 電気掃除機スタンド
US20090089958A1 (en) Vacuum cleaner with agitator assembly incorporating a clutch mechanism
KR100809739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
KR100968335B1 (ko) 청소기
JP2012235867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5762275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2205799A (ja) 吸込口体及びこれを有する電気掃除機
KR100556491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높이 조절장치
JP2017012688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3132477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20150075642A (ko) 로봇청소기의 흡입구
KR102037074B1 (ko) 진공청소기
JPH0556893B2 (ko)
KR20110047597A (ko) 진공청소기
JP2019076379A (ja) 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CN106551656A (zh) 电动吸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