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0398A - Dish washer - Google Patents
Dish wash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20398A KR20090120398A KR1020090026280A KR20090026280A KR20090120398A KR 20090120398 A KR20090120398 A KR 20090120398A KR 1020090026280 A KR1020090026280 A KR 1020090026280A KR 20090026280 A KR20090026280 A KR 20090026280A KR 20090120398 A KR20090120398 A KR 200901203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body
- opening
- door
- closing
- sea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3—Door 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정수를 분사해서 식기 등의 세정을 실행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도 9는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10961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식기 세척기(501)의 단면도이다. 식기 세척기(501)에서는, 하우징(101) 내에 배설한 세정조(102)의 전면에 개구부(103)가 마련되어 있다. 개구부(103)은 2개의 도어체(104, 105)로 개폐되며, 도어체(104, 105)는 개구부(103)에 대하여 하방으로 연동해서 개방된다. 도어체(104, 105)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어체(105)의 상방에 도어체(104)가 겹쳐지고, 바구니(106)가 세정조(102) 내로부터 도어체(104) 상으로 끌어내져서, 공기나 찻잔, 컵 등의 식기(107)를 바구니(106)에 얹어 놓는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종래의 식기 세척기(501)에서는, 바구니(106)에 식기(107)를 엎어서 얹어 놓을 때에, 식기(107)에 남은 물이나 국물 등의 액체가 도어체(104, 105) 상으로 넘쳐 흘러서, 도어체(104, 105)의 밀봉부의 외측으로 넘쳐 흐른다. 식기(107)를 얹어 놓은 바구니(106)를 세정조(102) 내에 격납하고, 도어체(104, 105)를 폐쇄하기 위해서 하우징(101)을 향해서 회동시켰을 때에, 넘쳐 흐른 액체는 세정조(102) 내로 회수되지 않고 식기 세척기(501) 외부로 넘쳐 흘러서 하우징(101)의 하부나 싱크대 등의 설치부를 더럽힌다.In the
식기 세척기는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개구부를 통해서 피세정물을 출입시켜 수용할 수 있는 세정조와,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수를 세정조 내에 분사하는 세정 노즐과, 개구부를 개폐해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개구부로부터 하방으로 개방되는 도어체와, 하우징과 도어체 사이에 마련되어 개구부를 수밀하게 밀봉하는 밀봉부를 구비한다. 도어체는 밀봉부가 마련되고 또한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면을 갖는다. 폐쇄면은 도어체가 폐쇄되었 때에 개구부에 대향하고 또한 밀봉부로 둘러싸여진 대향부와, 밀봉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물 수용 홈이 형성된 주변부를 갖는다. 도어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했을 때에 물 수용 홈에 고인 물이 세정조로 회수된다.The dishwasher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opening, a cleaning tank capable of entering and receiving the object to be cleaned through the opening, a cleaning nozzle for spraying the cleaning water for cleaning the object to be cleaned, and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to center the rotary shaft. A door body opened downwardly from the opening portion, and a seal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door body to hermetically seal the opening portion. The door body is provided with a seal and has a closing surface that closes the opening. The closing surface has an opposing portion facing the opening and surrounded by the sealing portion when the door body is closed, and a peripheral portion which is located outside the sealing portion and in which a water receiving groove is formed. When water rotat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closed, water accumulated in the water receiving groove is recovered to the washing tank.
이러한 식기 세척기에서는 도어체의 밀봉부의 외측에 부착된 액체가 도어체를 폐쇄할 때에 외부로 새지 않는다.In such a dishwasher, the liquid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eal of the door body does not leak out when the door is closed.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1001)의 단면도이다. 하우징(1)의 내부에는 세정조(2)가 마련되어 있다. 세정조(2)의 내부에는, 식기 등의 피세정물(3)을 얹어 놓는 바구니(4)가 수납되어 있다. 세정조(2)는 세정조 하부(2A)와, 세정조 하부(2A)에 결합하는 세정조 상부(2B)로 이루어진다. 세정조(2)의 전면에는 개구부(5)가 마련되어 있다. 개구부(5)의 상부와 하부는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에 의해 각각 개폐되며,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는 개구부(5)를 개폐하는 도어체를 구성한다.1 and 2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도 3은 식기 세척기(1001)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1001)의 선 4A-4A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1001)의 선 4B-4B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1001)의 선 5-5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하우징(1)의 개구부(5)의 주위에는 홈(1A)이 마련되어 있다.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밀봉 부재(8)가 개구부(5)의 주위의 홈(1A)에 끼워 넣어져서 하우징(1)에 설치되어 있다. 상부 도어체(6)는 상부 도어체(6)로 개구부(5)의 상부를 폐쇄할 때에 밀봉 부재(8)가 접촉하는 접촉부(6A)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하부 도어체(7)는 하부 도어체(7)로 개구부(5)의 하부를 폐쇄할 때에 밀봉 부재(8)가 접촉하는 접촉부(7A)를 갖는다. 밀봉 부재(8)와 접촉부(6A)는 개구부(5)를 밀봉하는 밀봉부(51A)를 구성하고, 밀봉 부재(8)와 접촉부(7A)는 개구부(5)를 밀봉하는 밀봉부(51B)를 구성하고 있다. 상부 도어체(6)에는 도어체 사이의 밀봉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도어체(7)는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로 개구부(5)를 폐쇄할 때에 도어체 사이의 밀봉 부재에 접촉하는 도어체 사이의 접촉부를 갖는다. 도어체 사이의 밀봉 부재와 도어체 사이의 접촉부는 상부 도어체(6)의 하단과 하부 도어체(7)의 상단을 밀봉하는 도어체 사이의 밀봉부를 구성하고 있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상부 도어체(6)는 개구부(5)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 폐쇄면(6C)을 갖는다. 상부 폐쇄면(6C)은 개구부(5)의 상부에 대향하는 상부 대향부(6D)와, 상부 대향부(6D)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부 주변부(6E)를 갖는다. 밀봉부(51A)의 접촉부(6A)는 상부 주변부(6E)에 마련되어 있다. 하부 도어체(7)는 개구부(5)의 하부를 폐쇄하는 하부 폐쇄면(7C)을 갖는다. 하부 폐쇄면(7C)은 개구부(5)의 하부에 대향하는 하부 대향부(7D)와, 하부 대향부(7D)의 외측에 위치하는 하부 주변부(7E)를 갖는다. 밀봉부(51B)의 접촉부(7A)는 하부 주변부(7E)에 마련되어 있다.The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도어체(7)의 하부 접촉부(7A)의 내측에는 밀봉 부재(8)를 덮도록 하부 폐쇄면(7C)으로부터 돌출하는 하부 차폐벽(7B)이 마련되어 있다. 하부 차폐벽(7B)은 하부 폐쇄면(7C)의 하부 대향부(7D)와 하부 주변부(7E) 사이의 경계에 위치한다. 하부 도어체(7)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하부 차 폐벽(7B)은 세정조(2) 내에 분사된 세정수가 직접 밀봉부(51B)에 닿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 폐쇄면(7C)의 하부 주변부(7E)의 하부 접촉부(7A)의 더 외측에는 하부 접촉부(7A)를 따라 하부 물 수용 홈(10)이 마련되어 있다.As shown to FIG. 4A, inside the
도 6은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와 폐쇄되고 있는 도중의 식기 세척기(1001)의 단면도이다. 사용자가 피세정물(3)을 바구니(4)에 얹어 놓을 때에 피세정물(3)로부터 낙하한 물은 하부 물 수용 홈(10)에 고일 수 있다. 하부 물 수용 홈(10)에 고인 물은 하부 물 수용 홈(10)의 하단에 마련된 하부 유출부(10A)로부터 유출한다. 하부 물 수용 홈(10)의 하단은 하부 도어체(7)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 개구부(5)에 대향하고, 하부 도어체(7)를 폐쇄하고 있을 때에 하부 물 수용 홈(10) 내에서 가장 하방에 위치한다. 하부 도어체(7)에 마련된 하부 유출부(10A)는 하부 도어체(7)가 개방된 상태에서 개구부(5)를 향해서 비스듬하게 상측 방향으로 경사하고 있어, 하부 도어체(7)가 개방된 상태에서 하부 물 수용 홈(10)에 고인 물이 하부 물 수용 홈(10)의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자가 하부 도어체(7)를 폐쇄하기 위해서 회동시킬 때에, 하부 유출부(10A)는 하부 물 수용 홈(10)에 고인 물을 안내해서 세정조 하부(2A)로 회수시킨다. 하부 도어체(7)의 하부 유출부(10A)는 하부 도어체(7)가 폐쇄된 상태에서 세정조 하부(2A)의 전연보다도 세정조(2)의 내측에 위치한다.FIG. 6: is sectional drawing of the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체(6)의 상부 접촉부(6A)의 내측에는 밀봉 부재(8)를 덮도록 상부 폐쇄면(6C)으로부터 돌출하는 상부 차폐벽(6B)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 차폐벽(6B)은 상부 폐쇄면(6C)의 상부 대향부(6D)와 상부 주변 부(6E) 사이의 경계에 위치한다. 상부 도어체(6)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상부 차폐벽(6B)은 세정조(2) 내에 분사된 세정수가 직접 밀봉부(51A)에 닿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 폐쇄면(6C)의 상부 주변부(6E)의 상부 접촉부(6A)의 더 외측에는 상부 접촉부(6A)를 따라 상부 물 수용 홈(11)이 마련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B, inside the
사용자가 피세정물(3)을 바구니(4)에 얹어 놓을 때에 피세정물(3)로부터 낙하한 물은 상부 물 수용 홈(11)에 고일 수 있다. 상부 물 수용 홈(11)에 고인 물은, 상부 물 수용 홈(11)의 하단에 마련된 상부 유출부(12)로부터 유출한다. 상부 물 수용 홈(11)의 하단은 상부 도어체(6)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 개구부(5)에 대향하고, 상부 도어체(6)를 폐쇄하고 있을 때에 상부 물 수용 홈(11) 내에서 가장 하방에 위치한다. 상부 도어체(6)에 마련된 상부 유출부(12)는 상부 도어체(6)가 개방된 상태에서 개구부(5)를 향해서 비스듬하게 상측 방향으로 경사하고 있어, 상부 도어체(6)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부 물 수용 홈(11)에 고인 물이 상부 물 수용 홈(11)의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자가 상부 도어체(6)를 폐쇄하기 위해서 회동시킬 때에, 상부 유출부(12)는 상부 물 수용 홈(11)에 고인 물을 안내해서 하부 도어체(7)의 하부 물 수용 홈(10)으로 유도하고, 세정조 하부(2A)로 회수시킨다.When the user places the
세정조 하부(2A)에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 노즐(45)과, 세정 노즐(45)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 펌프(46)와, 세정수를 저수하는 저수부(47)가 마련되어 있다. 세정 펌프(46)는 하우징(1)의 외부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즉, 세정 노즐(45)은 식기 세척기(1001)의 외부의 세정 펌프로부터 공급된 세정수를 분사해도 좋다.In the lower part of the
상부 도어체(6)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는 세정조(2)의 측벽에 마련된 제 1 회전축(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세정조(2)의 측벽에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와 접촉하는 제 1 스토퍼(15)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스토퍼(15)는 상부 도어체(6)의 상부 폐쇄면(6C)이 개구부(5)의 전방의 하방에서 또한 상향으로 대략 수평이 되는 위치까지 상부 도어체(6)를 개방시킨다.The
하부 도어체(7)는 하부 도어 지지 부재(17)에 고정되어 있다. 하부 도어 지지 부재(17)는 세정조(2) 측벽의 개구부(5)의 하단부 근방에서 제 2 회전축(1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세정조(2)의 측벽에는 제 2 스토퍼(18)가 마련되어 있다. 제 2 스토퍼(18)는 하부 도어체(7)의 하부 폐쇄면(7C)이 개구부(5)의 전방의 하방에서 또한 상향으로 대략 수평이 되는 위치까지 하부 도어체(7)를 개방시킨다.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는, 상부 도어체(6)는 하부 도어체(7)의 하부 폐쇄면(7C)의 바로 상방에 위치한다.The
하부 도어체(7)에는 누름 버튼(19)과 로크부(21)가 마련되고, 세정조(2)의 측벽에는 계지부(20)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도어체(7)가 개구부(5)를 폐쇄한 상태에서, 로크부(21)는 계지부(20)에 계지되어서 하부 도어체(7)를 하우징(1)에 고정한다. 사용자가 누름 버튼(19)을 누르면, 누름 버튼(19)과 연동해서 계지부(20)로부터 로크부(21)를 해제하고, 하부 도어체(7)를 개방할 수 있다.The
연동 부재(24)의 일단이 제 1 연결점(22)에서 하부 도어 지지 부재(17)와 회 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연동 부재(24)의 타단이 제 2 연결점(23)에서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하부 도어체(7)에는 사용자가 하부 도어체(7)를 조작해서 개방시키는 조작부(25)가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25)를 조작해서 제 2 회전축(16)을 중심으로 하부 도어체(7)를 회동시켜서 개방하면, 연동 부재(24)는 하부 도어체(7)의 회동에 연동해서 상부 도어체(6)를 제 1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회동시켜서 개방시켜서,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를 개구부(5)의 전방의 하방에서 서로 중첩되도록 개방시킨다.One end of the interlocking
도 8a 내지 도 8c는 연동 부재(24)의 확대도이다. 제 2 연결점(23)은 연동 부재(24)에 마련된 연결축(23A)과,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에 마련된 긴 구멍(2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연결축(23A)은 긴 구멍(23B)에 삽입되어 있다. 제 1 스토퍼(15)에 의해 상부 폐쇄면(6C)이 상향으로 대략 수평이 되는 위치까지 상부 도어체(6)가 개방된 상태에서, 연결축(23A)은 긴 구멍(23B) 내를 이동할 수 있고, 하부 도어체(7)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유격을 형성하고 있다.8A to 8C are enlarged views of the interlocking
연동 부재(24)에는 가이드 구멍(26)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에는, 가이드 구멍(26)에 삽입된 가이드 돌기부(27)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개방하면, 가이드 돌기부(27)는 가이드 구멍(26) 내를 이동한다. 가이드 구멍(26)은 연결축(23A)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을 갖는 원호부(26A)와, 원호부(26A)의 단부(26B)로부터 긴 구멍(23B)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긴 구멍부(26C)를 갖는다. 상부 도어체(6)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부(27)는 가이드 구멍(26)의 긴 구멍부(26C) 내를 이 동할 수 있고, 제 2 연결점(23)을 이동할 수 있는 유격을 형성하고 있다. 폐쇄되어 있는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쌍방과도 개방되고 있는 도중에는, 가이드 돌기부(27)는 가이드 구멍(26)의 원호부(26A) 내를 이동하고, 제 2 연결점(23)을 긴 구멍(23B) 내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규제한다.The interlocking
세정조(2)의 측벽에는, 제 1 가이드 핀(28)과 제 2 가이드 핀(29)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에는, 역 L자 형상의 제 1 가이드 레일(31)과, 직선 형상의 제 2 가이드 레일(32)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가이드 레일(31)에는 제 1 가이드 핀(28)이 접동 가능하게 계합하고, 제 2 가이드 레일(32)에는 제 2 가이드 핀(29)이 접동 가능하게 계합하고 있다.The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에는 인입 돌기부(34)와 인입 트리거(trigger)부(35)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의 폐쇄 상태로부터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소정량 개방될 때까지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에 마련한 인입 핀(33)과 접촉하는 인입 돌기부(34)와,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의 개방 상태로부터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를 소정량 폐색했을 때에 인입 핀(33)과 접촉하는 인입 트리거부(35)가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에 마련된 제 1 유지부(36)와, 세정조(2)의 측벽에 마련된 제 2 유지부(37)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제 1 스프링(38)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폐쇄된 상태로부터,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소정량만 개방되어서 상부 도어 인입 핀(33)이 인입 돌기부(34)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가 상부 도어체(6)를 폐쇄 시키는 방향으로, 제 1 스프링(38)은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를 가압한다.The first holding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에 마련된 제 3 유지부(39)와, 세정조(2)의 측벽에 마련된 제 4 유지부(40)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한 제 2 스프링(41)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 도어체(6)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제 2 스프링(41)은 상부 도어체(6)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부 도어체(6)를 가압한다.The third holding
연동 부재(24)에 마련된 제 5 유지부(42)와, 세정조(2)의 측벽에 마련된 제 6 유지부(43)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한 제 3 스프링(44)으로 연결되어 있다. 하부 도어체(7)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45도 정도 회동해서 개방되는 도중까지는,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제 3 스프링(44)은 연동 부재(24)를 가압한다. 하부 도어체(7)가 45도 정도 개방되고 나서 하부 폐색면(7C)이 대략 수평으로 개방될 때까지는,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제 3 스프링(44)은 연동 부재(24)를 가압한다.The fifth holding
이하에 식기 세척기(100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로크부(21)는 계지부(20)에 계지되어 있다. 사용자가 누름 버튼(19)을 누르면 계지부(20)로부터 로크부(21)가 해제된다. 그 후, 사용자가 조작부(25)를 조작해서 하부 도어체(7)를 개방하면,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제 3 스프링(44)에 의해 가압된 연동 부재(24)는 이동한다.The operation of the
도 7은 하부 도어체(7)가 개방되기 시작한 초기에서의 식기 세척기(1001)의 단면도이다. 제 2 스프링(41)이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를 가압하는 가압력과, 제 1 스프링(38)으로 가압된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가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를 인입하는 인입력에 의해, 하부 도어체(7)를 개방하기 시작한 초기에서는 하부 도어체(7)만이 개방되고, 상부 도어체(6)는 개구부(5)의 상부를 계속해서 폐쇄하고 있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식기 세척기(1001)에서는, 제 2 스프링(41)과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의 2개의 기구로 개방하기 시작한 초기에 상부 도어체(6)를 폐쇄된 위치에 머물게 한다. 실시형태에 의한 식기 세척기에서는, 상부 도어체(6)의 중량의 조건이나 제 2 스프링(41)이나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를 조립한 공간의 크기의 조건에 의해, 제 2 스프링(41)과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 중 어느 쪽인가 한쪽만으로 상부 도어체(6)를 폐쇄된 위치에 머물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하부 도어체(7)가 개방되어서 연동 부재(24)가 이동하는 것으로 연결축(23A)이 긴 구멍(23B) 내를 이동해서 긴 구멍(23B)의 상단에 도달하면, 상부 도어체(6)는 하부 도어체(7)와 연동하여 이동해서 개방되기 시작한다.When the linking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개방되면 그것에 맞춰서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소정량만 개방되면 제 2 가이드 레일(32)의 제 2 레일 단부점(32A)과 제 2 가이드 핀(29)이 접촉한다. 또한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를 개방하면, 제 1 가이드 레일(31)의 제 1 가이드 단부점(31A)과 제 1 가이드 핀(28)이 접촉할 때까지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가 제 2 가이드 핀(29)을 지점으로 해서 회동한다.When the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가 회동하는 것에 의해, 상부 도어 인입 핀(33)이 인입 돌기부(34)로부터 분리되고,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에 의한 상부 도어체(6)로의 가압이 해제된다.By rotating the upper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는 제 1 스프링(38)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고 있다. 그러나, 제 1 가이드 핀(28)이 제 1 가이드 레일(31)의 상면에 버티고 있으므로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가 상방에 머문다.The upper
상부 도어체(6)가 개구부(5)의 상부를 폐쇄할 때에는 접촉부(6A)에서 밀봉 부재(8)로부터 반발력을 받으며, 상부 도어체(6)를 폐쇄하기 위해서 큰 폐색력을 필요로 한다.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는, 상부 도어체(6)가 폐쇄되기 직전으로부터 폐쇄될 때까지 이 큰 폐색력을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에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항상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부 도어체(6)를 가압하는 제 2 스프링(41)에 비해서,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는 효과적으로 상부 도어체(6)를 폐쇄할 수 있다.When the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와 하부 도어 지지 부재(17)가 제 1 스토퍼(15)와 제 2 스토퍼(18)에 각각 접촉할 때까지 개방된다. 이렇게 개방할 때에는, 상부 도어체(6)의 상부 폐쇄면(6C)과 하부 도어체(7)의 하부 폐쇄면(7C)은 상향에서 대략 수평해서, 상부 도어체(6)는 하부 도어체(7)의 바로 상방에 겹쳐져 있다.The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를 개방한 후, 상부 도어체(6)의 상부 폐쇄면(6C) 상에 바구니(4)를 인출하고, 피세정물(3)을 얹어 놓는다. 바구니(4)가 상부 폐쇄면(6C) 상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피세정물(3)로부터 떨어진 국물, 물방울 등의 액체가 식기 세척기(1001)의 외부로 유출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피세정물(3)을 바구니(4)에 얹어 놓을 때에 피세정물(3)로부터 낙하해서 상부 도어체(6)의 접촉부(6A)[밀봉부(51B)]의 외측에 부착된 물은 상부 물 수용 홈(11)에 고인다.After the
상부 도어체(6)는 개구부(5)로부터 하방으로 개방되어서 바구니(4)의 하방에 위치하므로, 개구부(5)의 상부가 덮어지지 않고 개방되어, 바구니(4)에 피세정물(3)을 용이하게 탑재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의 상방에는 아무 것도 돌출하지 않으므로, 하우징(1)의 상면에 다른 물체를 놓아 둘 수 있어서, 하우징(1)의 상방의 스페이스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의 상방에 상부 도어체(6)를 이동시키기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식기 세척기(1001)는 좁은 부엌에도 설치할 수 있다.Since the
계속해서, 바구니(4)를 세정조(2) 내에 수납해서 하부 도어체(7)를 폐쇄한다.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는 연동해서 개폐하므로, 상부 도어체(6)는 하부 도어체(7)와 동시에 폐쇄된다.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를 통해 제 2 스프링(41)이 상부 도어체(6)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또한 하부 도어체(7)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제 3 스프링(44)이 연동 부재(24)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작은 힘으로 하부 도어체(7)를 폐쇄할 수 있고, 사용자는 식기 세척기(1001)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basket 4 is stored in the
상부 도어체(6)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는 상부 물 수용 홈(11)에 물이 고인다. 그 물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체(6)가 폐쇄되기 위해서 회동할 때에 상부 물 수용 홈(11)을 개구부(5)에 면하고 있는 상부 유출부(12)를 향 해서 하방으로 흐르고, 상부 유출부(12)를 통해 하부 도어체(7)의 하부 물 수용 홈(10)으로 회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는 연동해서 개폐한다. 따라서,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회동하고 있을 때에, 상부 도어체(6)의 상부 유출부(12)와 하부 도어체(7)의 하부 물 수용 홈(10)은 근접하고 있으므로, 상부 유출부(12)로부터 유출한 물은 하부 물 수용 홈(10)으로 빠짐없이 회수된다. 또한, 상부 도어체(6)의 상부 유출부(12)로부터 유출하는 물을, 하부 물 수용 홈(10)이 경사하고 있을 때에 수용하므로, 그 물이 하부 물 수용 홈(10)에 부딪혀 비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When the
개방되어 있는 상부 도어체(6)를 하부 도어체(7)의 상단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상부 도어체(6)의 하단이 개구부(5)에 근접하므로, 개구부(5)를 통해서 바구니(4)를 인출하고 또한 격납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도어체(6)가 폐쇄되기 위해서 회동하고 있을 경우에, 상부 도어체(6)의 하단이 개구부(5)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변위할 때에, 상부 도어체(6)의 상부 폐쇄면(6C)이 개구부(5)를 향해서 낮아지도록 경사하므로, 상부 도어체(6)의 상부 물 수용 홈(11)에 고인 물은 하부 도어체(7)의 하부 물 수용 홈(10)에 확실하게 흘러내린다.When the opened
개방된 상태에서 하부 도어체(7)의 하부 물 수용 홈(10)에 고여 있던 물과, 상부 도어체(6)의 상부 물 수용 홈(11)으로부터 회수된 물은 하부 도어체(7)의 하부 물 수용 홈(10)을 하방으로 흐르고, 하부 유출부(10A)를 거쳐서 세정조 하부(2A)로 빠짐없이 회수된다. 따라서, 물 수용 홈(10, 11)에 고여 있던 물은 식기 세척기(1001)의 기기 외부로 새는 일 없이 세정조(2)로 회수되어, 하우징(1)및 식 기 세척기(1001)가 설치된 싱크대 등의 설치 개소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water accumulated in the lower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를 개폐시키는 기구는 세정조(2) 및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Mechanism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h 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h 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선 4A-4A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4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도 4b는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선 4B-4B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4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선 5-5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5-5 of the dish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연동 부재의 확대도,8A to 8C are enlarged views of an interlocking member of the dish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dishwashe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하우징 1A : 홈1:
2 : 세정조 3 : 피세정물2: washing tank 3: washing target
4 : 바구니 5 : 개구부4: basket 5: opening
6 : 상부 도어체 6A : 접촉부6:
6B : 상부 차폐벽 6C : 상부 폐쇄면6B:
6D : 상부 대향부 6E : 상부 주변부6D: Upper facing 6E: Upper peripheral
7 : 하부 도어체 7A : 접촉부7:
7B : 하부 차폐벽 7C : 하부 폐쇄면7B: Lower shielding
7D : 하부 대향부 7E : 하부 주변부7D: Lower facing 7E: Lower peripheral
8 : 밀봉 부재 10 : 하부 물 수용 홈8 sealing
10A : 하부 유출부 11 : 상부 물 수용 홈10A: lower outlet 11: upper water receiving groove
12 : 상부 유출부 13 : 제 1 회전축12: upper outlet portion 13: the first rotating shaft
14 : 상부 도어 지지 부재 15 : 제 1 스토퍼14 upper
16 : 제 2 회전축 17 : 하부 도어 지지 부재16
18 : 제 2 스토퍼 19 : 누름 버튼18: second stopper 19: push button
20 : 계지부 21 : 로크부20: locking portion 21: lock portion
24 : 연동 부재 25 : 조작부24: linkage member 25: the operation portion
26 : 가이드 구멍 27 : 가이드 돌기부26: guide hole 27: guide protrusion
28 : 제 1 가이드 핀 29 : 제 2 가이드 핀28: first guide pin 29: second guide pin
30 : 상부 도어 인입 부재 31 : 제 1 가이드 레일30: upper door retracting member 31: first guide rail
32 : 제 2 가이드 레일 33 : 인입 핀32: 2nd guide rail 33: Inlet pin
34 : 인입 돌기부 35 : 인입 트리거부34: inlet projection part 35: inlet trigger part
36 : 제 1 유지부 37 : 제 2 유지부36: first holding part 37: second holding part
38 : 제 1 스프링 39 : 제 3 유지부38: first spring 39: third holding part
40 : 제 4 유지부 41 : 제 2 스프링40: fourth holding part 41: second spring
42 : 제 5 유지부 43 : 제 6 유지부42: fifth holder 43: sixth holder
44 : 제 3 스프링 51A, 51B : 밀봉부44:
1001 : 식기 세척기1001: Dishwasher
Claims (9)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130419 | 2008-05-19 | ||
JP2008130419A JP4544344B2 (en) | 2008-05-19 | 2008-05-19 | dishwash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0398A true KR20090120398A (en) | 2009-11-24 |
KR101051508B1 KR101051508B1 (en) | 2011-07-22 |
Family
ID=4136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6280A KR101051508B1 (en) | 2008-05-19 | 2009-03-27 | dish washer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4544344B2 (en) |
KR (1) | KR101051508B1 (en) |
CN (1) | CN101584569B (en) |
TW (1) | TW200948327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255615A (en) * | 2012-06-12 | 2013-12-26 | Panasonic Corp | Dishwasher |
CN105276676B (en) * | 2014-06-23 | 2018-07-31 |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JP6917546B2 (en) * | 2017-08-08 | 2021-08-11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dishwasher |
CN212307758U (en) * | 2020-04-21 | 2021-01-08 |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 Dish washing machin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51889Y2 (en) * | 1979-03-14 | 1983-11-26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dishwasher |
JPS5912288B2 (en) * | 1979-03-14 | 1984-03-22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dishwasher |
JPS5851888Y2 (en) * | 1979-03-14 | 1983-11-26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dishwasher |
JP3095002B2 (en) * | 1998-12-02 | 2000-10-03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Dishwasher |
JP4552282B2 (en) * | 2000-06-28 | 2010-09-29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Dishwasher |
JP2006198223A (en) * | 2005-01-21 | 2006-08-03 | Toshiba Corp | Dishwasher |
-
2008
- 2008-05-19 JP JP2008130419A patent/JP4544344B2/en active Active
-
2009
- 2009-01-10 TW TW098100844A patent/TW200948327A/en unknown
- 2009-03-23 CN CN2009101284832A patent/CN101584569B/en active Active
- 2009-03-27 KR KR1020090026280A patent/KR101051508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51508B1 (en) | 2011-07-22 |
JP2009273820A (en) | 2009-11-26 |
TWI363609B (en) | 2012-05-11 |
CN101584569B (en) | 2013-09-04 |
TW200948327A (en) | 2009-12-01 |
JP4544344B2 (en) | 2010-09-15 |
CN101584569A (en) | 2009-1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1262B1 (en) | Dishwasher | |
KR101051508B1 (en) | dish washer | |
JP2002238826A (en) | Dishwasher | |
JP4893785B2 (en) | dishwasher | |
JP5170119B2 (en) | dishwasher | |
KR100892672B1 (en) | Dispenser for dish washer | |
KR100658845B1 (en) | A nozzle guide assembly of dish washer | |
TWI501746B (en) | Tableware Washing Machine (2) | |
JP5141697B2 (en) | dishwasher | |
KR20020045815A (en) | Structure for sealing of dish washer which is of drawer type | |
KR101054134B1 (en) | Door locks in the dishwasher | |
JP5578135B2 (en) | dishwasher | |
KR101070104B1 (en) | A door locking apparatus of a dish washer | |
KR101290357B1 (en) | Dish washer | |
KR101054113B1 (en) | Fall prevention structure of the dishwasher | |
KR101208156B1 (en) | Dish washer | |
KR100378709B1 (en) | Structure for sealing of dish washer which is of drawer type | |
KR200307549Y1 (en) | Cleaner having device outflow of liquefied detergent | |
KR101214718B1 (en) | Dish washer | |
KR101232508B1 (en) | Dish washer | |
JP2013255615A (en) | Dishwasher | |
KR20050110863A (en) | A dish washer including the apparutus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ra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