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0393A - Dishwasher - Google Patents
Dishwash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20393A KR20090120393A KR1020090004102A KR20090004102A KR20090120393A KR 20090120393 A KR20090120393 A KR 20090120393A KR 1020090004102 A KR1020090004102 A KR 1020090004102A KR 20090004102 A KR20090004102 A KR 20090004102A KR 20090120393 A KR20090120393 A KR 200901203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upper door
- support member
- opening
- lower do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3—Door 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정수를 분사하여 식기 등의 세정을 실행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도 12는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요점부 투시도이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에서는 식기 등의 피세정물이 세정조(도시되지 않음)에 수납된다. 세정조에는 개구부(101)가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는 개구부(101)를 상부 도어(102)와 하부 도어(103)로 폐쇄한 후, 세정 펌프(도시되지 않음)를 운전시킨다. 그러면 세정수가 노즐(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분사되어, 피세정물이 세정되고, 또한 헹궈진다.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dish washing machine. In such a dish washing machine, to-be-cleaned objects, such as tableware, are accommodated in a washing tank (not shown). The opening 101 is provided in the washing tank. The user closes the
상부 도어 지지 부재(104)는 상부 도어(102)를 본체(105)의 상방 공간으로 이동시켜 개구부(101)를 개방한다. 또한, 하부 도어 지지 부재(106)와 상부 도어 지지 부재(104)는 연동 부재(10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하부 도어(103)가 개폐되면, 상부 도어(102)도 이에 연동하여 개폐된다. 그 때문에, 하부 도어(103)의 개폐 조작으로 개구부(101)의 전체가 개폐된다. 또한, 로크 기구(도시되지 않음)는 상부 도어(102)와 하부 도어(103)를 완전폐쇄 상태로 유지한다.The upper
세정 펌프는 세정 및 헴굼이 종료하면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또한, 세정 또는 헴굼중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일시정지 버튼을 누른 경우, 세정 펌프의 동작은 정지한다. 그러나, 일시정지 버튼을 누르지 않고 사용자가 로크 기구를 해제하면, 세정 펌프가 동작한 상태에서 상부 도어(102)와 하부 도어(103)가 열려 개구부(101)가 개방된다. 그 때문에, 세정수가 세척기 밖으로 튀어 나갈 우려가 있다.The cleaning pump stops automatically when the cleaning and hemging ends.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pump is stopped when the user presses the pause button even during washing or hemging. However, if the user releases the lock mechanism without pressing the pause button, the
즉, 사용자가 로크 기구를 해제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를 누름과 동시에 상부 도어(102) 및 하부 도어(103)가 동작하여, 개구부(101)가 크게 개방된다. 로크 기구의 해제와 동시에 세정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켰다고 하여도, 세정 펌프의 관성에 의해 세정수가 일정 시간 분사되어서 잠시 동안은 멈추지 않는다. 그 때문에, 세정수가 개방된 개구부(101)로부터 세척기 밖으로 튀어 나간다.That is, the
이에 대하여, 로크 기구에 연동시킨 안전 스위치를 마련하여, 도어가 폐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세정 펌프를 동작시키지 않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세정 펌프의 동작중에 도어의 로크 기구가 해제된 경우에는, 즉시 세정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또한, 동작중에는 도어가 폐쇄 상태로 로크되는 기구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운전 개시 후에 식기를 추가 투입할 때에는, 그때마다 운전 정지의 조작이 필요하게 되어, 사용하기가 나빠 불편하다. 그리고, 이 운전 정지의 조작으로는 도어의 로크도 해제되기 때문에, 운전 정지의 조작과 동시에 세정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켰다고 하여도, 세정 펌프의 관성에 의해 세정수가 튀어 나가 는 것은 해결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which provides the safety switch which interlocked with the lock mechanism, and does not operate a cleaning pump in the state which a door is not closed is proposed. 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oor lock mechanism is releas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pump,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pump is immediately stopped. In addition, a mechanism has been proposed in which the door is locked in a closed state during operation. However, when additional dishes are added after the start of oper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stop is required at that time, which is inconvenient to use. Since the lock of the door is also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top,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pump is stopped at the same time as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top, splashing of the cleaning water by the inertia of the cleaning pump does not solve.
본 발명은 세정 펌프 동작중에 도어의 로크 기구가 해제된 경우라도, 세정수가 개구부로부터 세척기 밖으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한 식기 세척기이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세정조와, 세정 펌프와, 도어와, 로크 기구와, 로크 해제 조작부와, 스위치와, 개폐 기구를 갖는다. 세정조는 피세정물을 수용한다. 세정 펌프는 세정수를 가압하여 세정조 내에 분사한다. 도어는 세정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동시에, 상하로 분할된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로 구성되어 있다. 완전폐쇄 상태에서는 상부 도어의 하단부에 하부 도어의 상단부가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로크 기구는 도어의 완전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로크 해제 조작부는 로크 기구의 해제 조작을 실행한다. 스위치는 로크 기구의 해제 조작 시에 세정 펌프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개폐 기구는 로크 기구의 해제 조작 시에, 하부 도어의 상단부가 상부 도어의 하단부로부터 노출된 위치로 하부 도어가 하부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변위될 때까지 상부 도어를 완전폐쇄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세정 펌프의 동작중에 로크 기구가 해제된 경우에도, 세정수가 세척기 밖으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h washing machine which prevents the washing water from splashing out of the washing machine from the opening even when the lock mechanism of the door is released during the washing pump operation. The dishwasher of this invention has a washing tank, a washing pump, a door, a lock mechanism, a lock release operation part, a switch, and an opening / closing mechanism. The cleaning tank accommodates the object to be cleaned. The washing pump pressurizes the washing water and sprays the washing water. The door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of the cleaning tank, and is composed of an upper door and a lower door divided up and down. In the fully closed state, the lower end of the upper door is provided to face the upper end of the lower door. The lock mechanism keeps the door completely closed. The lock release operation unit performs a release operation of the lock mechanism. The switch is provide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pump during the release operation of the lock mechanism.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presses the upper door in the fully closed direction until the lower door is displaced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lower door to a position where the upper end of the lower door is exposed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door during the release operation of the lock mechanism.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lock mechanism is releas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pump, the washing water can be prevented from splashing out of the wash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완전폐쇄 시의 측벽부 단면도, 도 2는 도어의 완전개방 시의 식기 세척기의 측벽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어의 완전폐쇄 시의 밀봉부를 상방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 4는 도어의 완전개방 시의 요점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어를 닫는 도중의 측벽부 단면도, 도 6은 도어의 개방 초기의 측벽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어의 완전개방 시의 식기 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8a∼도 8c는 제 2 연결점의 동작 설명도, 도 9는 도어의 완전폐쇄 시의 요점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어의 완전폐쇄 시의 요점부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어의 개방 초기의 요점부 확대 단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ectional view of a side wall portion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oor is completely closed,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a side dish part of the dishwasher at the full opening of the door.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sealing part at the time of complete closing of the door from above,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at the full opening of the door.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de wall portion during the closing of the door,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de wall portion at the initial opening of the door.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hwasher when the door is completely opened. 8A to 8C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oint, and FIG. 9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s when the door is completely closed.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when the door is completely closed, and FIG.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at the initial opening of the door.
이 식기 세척기는 세정조(2)와, 세정 펌프(46)와, 상부 도어(6) 및 하부 도어(7)로 구성된 도어와, 로크 기구(21)와, 로크 해제 조작부인 누름 버튼 스위치(19)와, 스위치(48)와, 개폐 기구를 갖는다. 세정조(2)는 피세정물(3)을 수용한다. 세정 펌프(46)는 세정수를 가압하여 노즐(45)로부터 세정조(2) 내에 분사한다. 도어는 세정조(2)의 개구부(5)를 개폐한다. 완전폐쇄 상태에서는, 상부 도어(6)의 하단부에 하부 도어(7)의 상단부가 대향한다. 로크 기구(21)는 도어의 완전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로크 해제 조작부는 로크 기구(21)의 해제 조작을 실행한다. 스위치(48)는 로크 기구(21)의 해제 조작 시에 세정 펌프(46)의 동작을 정지한다. 개폐 기구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 하부 도어 지지 부재(17), 연동 부재(2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폐 기구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로크 기구(21)의 해제 조작 시에, 하부 도어(7)의 상단부가 상부 도어(6)의 하단부로부터 노출된 위치로 하부 도어(7)가 개방 방향으로 변위할 때까지 상부 도어(6)를 완전폐쇄 방향으로 가압한다. This dishwasher includes a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1)의 내부에는, 세정조(2)가 마련되어 있다. 세정조(2)의 내부에는 식기 등의 피세정물(3)을 세팅하는 식기 바구 니(4)가 수납되어 있다. 세정조(2)는 세정조 하부(2a)와 세정조 상부(2b)를 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세정조 하부(2a)에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노즐(45)과, 노즐(45)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 펌프(46)와, 세정수를 저수하는 저수부(47)가 마련되어 있다. 세정조(2)의 전면에는 개구부(5)가 마련되어 있으며, 개구부(5)의 상부와 하부의 각각을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to FIG. 1, FIG. 2, the
도 3,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5)의 주위의 전면 전체 둘레에는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밀봉 부재(8)가 홈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6), 하부 도어(7)에는 각각 상부 도어 밀봉 받이부(6a), 하부 도어 밀봉 받이부(7a)가 마련되어 있다. 밀봉 부재(8)는 상부 도어 밀봉 받이부(6a), 하부 도어 밀봉 받이부(7a)와 함께, 개구부(5)의 밀봉부를 구성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3, FIG. 7, the sealing
하부 도어 밀봉 받이부(7a)의 내측에는 밀봉 부재(8)를 덮도록 차폐부(7b)가 마련되어 있다. 차폐부(7b)는 세정조(2) 내에 분사된 세정수가 직접 밀봉부에 닿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 도어 밀봉 받이부(7a)의 외측에는 하부 도어 밀봉 받이부(7a)를 따라 오목형의 물받이부(10)가 마련되어 있다. 물받이부(10)는 사용자가 피세정물(3)을 식기 바구니(4)에 세팅할 때에 피세정물(3)로부터 낙하한 물을 모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도어(7)의 완전폐쇄 시에 있어서 가장 하부가 되는 물받이부(10)의 하단 위치에는 고인 물의 유출부(10a)가 마련되어 있다.Inside the lower door
유출부(10a)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도어(7)가 완전개방 상태에서 개구부(5)를 향해서 비스듬하게 상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그 때문에, 물받이부(10)에 고인 물이 완전개방 상태에서 세척기 밖으로 새지 않는다. 또한, 도 1,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폐쇄 상태로의 회동시에 유출부(10a)는 세정조 하부(2a)에 회수될 때의 안내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유출부(10a)는 완전폐쇄 상태에서 세정조 하부(2a)의 전방 테두리보다도 세정조(2)의 내측에 위치한다. As shown in FIG. 2, the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 밀봉 받이부(6a)의 외측에는 하부 도어(7)와 동일하게 상부 도어 밀봉 받이부(6a)를 따라 오목형의 물받이부(11)가 마련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6)의 완전폐쇄 시에 있어서 가장 하부가 되는 물받이부(11)의 하단 위치에는 고인 물의 유출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유출부(12)는 하부 도어(7)의 물받이부(10)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물받이부(11)에 고인 물은 완전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의 회동시에 유출부(12)로부터 하부 도어(7)의 물받이부(10)로 흘러내리고, 하부 도어(7)의 유출부(10a)로부터 세정조(2)에 회수된다.As shown in FIG. 4, the outer side of the upper
유출부(12)는 상부 도어(6)의 완전개방 상태에서 개구부(5)를 향해 비스듬하게 상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그 때문에 물받이부(11)에 고인 물은 완전개방 상태에서 세척기 밖으로 새지 않는다. 또한, 물받이부(11)는 폐쇄 상태로의 회동시에 물받이부(10)에 물이 회수될 때의 안내의 역할을 한다.The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6)의 하단부에는 받이부(6b)가 마련되고, 받이부(6b)에는 도어간 밀봉 패킹(9)이 설치되어 있다. 도어간 밀봉 패킹(9)은 하부 도어(7)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받이부(6b)의 전면측과 서로 중첩되는 제 1 가압부(7c)와 함께, 상부 도어(6)의 하단과 하부 도어(7)의 상단 사이의 밀봉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어간 밀봉 패킹(9)은 받이부(6b)와 제 1 가압부(7c)를 수밀(水密)하게 밀봉 결합한다. 도어간 밀봉 패킹(9)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신장하는 돌출편(9a)이 마련되고, 하부 도어(7)에는 완전폐쇄 시에 돌출편(9a)을 가압하는 제 2 가압부(7d)가 마련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편(9a)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돌출편(9a)의 하단이 하부 도어(7)측으로 가압한다.As shown in FIG. 10, 11, the receiving
다음으로, 상부 도어(6), 하부 도어(7)의 개폐 기구 및 로크 기구(2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6)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는 세정조(2)의 측벽에 마련된 제 1 회전축(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세정조(2)의 측벽에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와 접촉하는 제 1 멈춤부(15)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멈춤부(15)는 상부 도어(6)의 완전개방 시에, 상부 도어(6)의 내면이 상향으로 대략 수평이 되는 위치에서, 개구부(5)의 전방 하방으로 상부 도어(6)를 정지시킨다. Next,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and the
하부 도어(7)는 하부 도어 지지 부재(17)에 고정되어 있다. 하부 도어 지지 부재(17)는 세정조(2) 측벽의 개구부(5)의 하단부 근방에서, 제 2 회전축(1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세정조(2)의 측벽에는 완전개방 시에 하부 도어 지지 부재(17)와 접촉하는 제 2 멈춤부(18)가 마련되어 있다. 제 2 멈춤부(18)는 하부 도어(7)의 완전개방 시에, 하부 도어(7)의 내면이 상향으로 대략 수평이 되는 위치에서, 개구부(5)의 전방 하방으로 하부 도어(7)를 정지시킨다. 또한, 하부 도어(7)의 완전개방 위치는 상부 도어(6)의 완전개방 위치의 하방에 위치한다.The
하부 도어(7)에는 누름 버튼 스위치(19)와, 로크 기구(21)가 마련되어 있다. 로크 기구(21)는 세정조(2)의 측벽에 마련된 계지부(20)에 걸리고, 개구부(5)를 완전폐쇄한 상태로 하부 도어(7)를 고정한다. 누름 버튼 스위치(19)는 로크 해제 조작부를 구성한다. 즉, 사용자가 누름 버튼 스위치(19)를 조작하면, 계지부(20)로부터 로크 기구(21)가 해제된다. 또한, 세정조(2)의 측벽에는 로크 기구(21)와 연동하는 스위치(48)가 마련되어 있다. 로크 기구(21)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세정 펌프(46)가 정지한다. 즉, 로크 기구(21)의 해제 조작 시에, 스위치(48)는 세정 펌프(46)의 동작을 정지한다.The
연동 부재(24)는 제 1 연결점(22)에서 하부 도어 지지 부재(17)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연결점(23)에서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연동 부재(24)는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를 개폐시에 연동시킨다. 특히, 완전개방 시에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를 개구부(5)의 전방 하방으로 서로 중첩시킨다.The interlocking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동 부재(24)에는 가이드 구멍(26)이 마련되고,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에는 가이드 구멍(26) 내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부(27)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26)은 기다란 구멍(제 1 기다란 구멍)(26a)과, 기다란 구멍(26a)에 연속하는 원호부(26b)를 갖는다. 이와 같이, 가이드 돌기부(27)와 기다란 구멍(26a)은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와 연동 부재(24) 사이의 유 격을 형성하고 있다. 이 유격에 의해, 하부 도어(7)의 상단부가 상부 도어(6)의 하단부로부터 노출된 위치로 변위할 때까지, 연동 부재(24)의 변위에 의해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가 변위 하지 않고 완전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As shown in FIG. 8A, the interlocking
한편, 제 2 연결점(23)은 연동 부재(24)에 마련된 원통형의 연결축(23a)과,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에 마련된 기다란 구멍(제 2 기다란 구멍)(2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제 2 연결점(23)도 또한, 완전폐쇄 상태의 상부 도어(6)에 대하여, 하부 도어(7)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유격을 갖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 구성에서는,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의 완전폐쇄 상태로부터 완전개방 상태에 걸쳐, 가이드 구멍(26)에 가이드 돌기부(27)가 결합된 채로 가이드 구멍(26) 내를 가이드 돌기부(27)가 이동한다. 또한, 가이드 구멍(26)은 상부 도어(6)가 완전폐쇄 상태에서는, 제 2 연결점(23)이 유격을 갖도록 가이드 돌기부(27)의 소정 동작 영역인 기다란 구멍(26a)을 갖는다. 가이드 구멍(26)은 개방 도중으로부터 완전개방 상태에 걸쳐서는, 제 2 연결점(23)의 유격을 없애도록, 가이드 돌기부(27)의 동작을 규제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가이드 돌기부(27)가 원호부(26b)를 이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상부 도어(6)는 완전개방된다. 이 때 연결축(23a)은 기다란 구멍(23b)의 상단에 유지된다.In this configuration, the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가이드 구멍(26)이 연동 부재(24)에, 가이드 돌기부(27)가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에 각각 마련되어 있지만, 역으로도 좋다. 마찬가지로 연결축(23a)이 연동 부재(24)에, 기다란 구멍(23b)이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에 각각 마련되어 있지만, 역으로도 좋다. 또한,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 와 연동 부재(24) 사이의 유격은 이들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격에 의해, 하부 도어(7)의 상단부가 상부 도어(6)의 하단부로부터 노출된 위치로 변위할 때까지, 연동 부재(24)의 변위에 의해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가 변위하지 않고 완전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 좋다. 예를 들어,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와 연동 부재(24)에, 서로 결합하는 1 세트의 톱니 바퀴를 마련하고, 연동 부재(24)에 마련된 톱니 바퀴에 톱니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만드는 것으로 유격을 마련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또한,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에는 상부 도어 인입핀(33)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세정조(2)의 측벽에는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가 장착되어 있다.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에는 상부 도어 인입 돌기부(34)와, 상부 도어 인입 트리거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도어 인입 돌기부(34)는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의 완전폐쇄 상태로부터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가 소정량 개방할 때까지, 상부 도어 인입핀(33)과 접촉한다. 상부 도어 인입 트리거부(35)는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의 완전개방 상태로부터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를 소정량 폐쇄했을 때에, 상부 도어 인입핀(33)과 접촉한다.1 and 2, the upper
또한,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에는 역 L자 형상의 제 1 가이드 레일(31)과, 직선 형상의 제 2 가이드 레일(3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세정조(2)의 측벽에는 제 1 가이드 핀(28)과 제 2 가이드 핀(29)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가이드 레일(31)에는 제 1 가이드 핀(28)이 미끄럼 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고, 제 2 가이드 레일(32)에는 제 2 가이드 핀(29)이 미끄럼 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고 있다.In addition, an upper L-shaped
또한,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에는 제 1 유지부(36)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세정조(2)의 측벽에는 제 2 유지부(37)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유지부(36)와 제 2 유지부(37)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제 1 스프링(38)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가 완전폐쇄 상태로부터 소정량 개방하고, 상부 도어 인입핀(33)과 상부 도어 인입 돌기부(34)의 접촉이 해제될 때까지,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가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를 상부 도어(6)가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Moreover, the
또한,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에는 제 3 유지부(39)가 마련되고, 세정조(2)의 측벽에는 제 4 유지부(40)가 마련되어 있다. 제 3 유지부(39)와 제 4 유지부(40)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제 2 스프링(41)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부 도어(6)가 폐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된다.Moreover, the 3rd holding
또한, 연동 부재(24)에는 제 5 유지부(42)가 마련되고, 세정조(2)의 측벽에는 제 6 유지부(43)가 마련되어 있다. 제 5 유지부(42)와 제 6 유지부(43)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제 3 스프링(44)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완전폐쇄 상태로부터의 개방 도중(완전폐쇄 상태로부터 하부 도어(7)가 45°정도 회동)에서는,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연동 부재(24)가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또한, 개방 도중으로부터 완전개방 상태에 걸쳐서는,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가 폐쇄하는 방향으로 연동 부재(24)가 탄성적으로 가압된다.Moreover, the 5th holding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도어(7)의 상단에는 수동 조작 부(25)가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가 하부 도어(7)를 개폐하면, 상부 도어(6)도 하부 도어(7)의 동작과 연동해서 개폐된다. 또한, 수동 조작부(25)는 완전폐쇄 상태에서는 상부 도어(6)의 하단부로 덮어진다.6, the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동작, 작용을 설명한다. 도어를 완전개방할 때, 사용자는 누름 버튼 스위치(19)를 눌러 로크 기구(21)의 해제 조작을 실행한다. 그러면, 계지부(20)로부터 로크 기구(21)가 해제되어, 제 3 스프링(44)에 의해 가압된 연동 부재(24)가,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의 개방 방향으로 동작한다. 즉,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도어(7)가 화살표(A) 방향으로 소정량 회동하여 변위한다. 이 때, 세정 펌프(46)가 동작중이었을 경우, 로크 기구(21)와 연동하는 스위치(48)가 OFF 동작하기 때문에, 세정 펌프(46)의 동작은 정지한다.The operation and action of the dish washing machin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hen the door is completely opened, the user presses the
그리고, 하부 도어(7)의 상단부에 마련된 수동 조작부(25)가 상부 도어(6)의 하단부로 덮어지는 위치로부터 노출된 위치로 변위할 때까지 상부 도어(6)는 완전폐쇄 방향으로 가압된다. 즉, 상부 도어(6)는 제 2 스프링(41)의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로의 가압력과,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의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로의 상부 도어 인입력에 의해 완전폐쇄 방향으로 가압되어, 완전폐쇄 위치 근방에 유지된다. 이렇게, 개방 초기에는 하부 도어(7)만이 개방된다. 한편, 상부 도어(6)는 완전폐쇄 위치에 머물고 있어, 도 1의 상태로부터 도 6의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세정 펌프(46)의 동작중에 로크 기구(21)가 해제된 경우라도, 세정수가 세척기 밖으로의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하부 도어(7)가 화살표(A) 방향으로 일정량 개방함으로써, 상부 도어(6)의 하단에 의해 덮여 있던 수동 조작부(25)가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로크 기구(21)의 해제 조작을 실행한 후, 하부 도어(7)가 일정량 개방할 때까지의 일정 시간, 즉, 도 1의 상태로부터 도 6의 상태로 변위할 때까지는, 사용자는 수동 조작부(25)에 손을 댈 수는 없다. 즉, 누름 버튼 스위치(19)를 조작한 후에, 하부 도어(7)를 여는 수동 조작부(25)가 노출되고 수동 조작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세정 펌프(46)가 관성으로 동작하고 있는 사이에는 사용자가 하부 도어(7)를 개방할 수 없다. 따라서 세정 펌프(46)의 관성 동작으로 세정수가 세척기 밖으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By opening the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도어(6)의 하단부에는 받이부(6b)가 마련되고(도 10), 받이부(6b)에는 도어간 밀봉 패킹(9)이 설치되어 있다. 도어간 밀봉 패킹(9)은 하부 도어(7)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받이부(6b)의 전면측에 서로 중첩되는 제 1 가압부(7c)와 함께, 상부 도어(6)의 하단과 하부 도어(7)의 상단 사이의 밀봉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어간 밀봉 패킹(9)은 받이부(6b)와 제 1 가압부(7c)를 수밀하게 밀봉 결합한다. 이 구성에 의해 로크 해제 후, 하부 도어(7)가 소정량 변위 하고, 수동 조작부(25)가 상부 도어(6)의 하단으로부터 노출될 때까지 시간을 마련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세정 펌프(46)가 관성으로 동작하고 있는 사이에는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할 수 없다. 따라서 세정 펌프(46)의 관성 동작으로 세정수가 세척기 밖으로의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또한, 도어간 밀봉 패킹(9)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신장하는 돌출편(9a)이 마 련되고, 하부 도어(7)에는 완전폐쇄 시에 돌출편(9a)을 가압하는 제 2 가압부(7d)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도어(7)가 도 10의 완전폐쇄 위치로부터 수동 조작부(25)가 노출된 도 11에 도시하는 위치로 변위하면, 돌출편(9a)은 그 가압력에 의해 가압되어 있던 제 2 가압부(7d) 측으로 변위한다. 그 때문에, 돌출편(9a)은 하부 도어(7)와 상부 도어(6)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덮는다. 더군다나 돌출편(9a)은 세정수가 닿으면 도어간의 간극을 더 닫도록 작용한다. 그 결과, 세정수가 튀어 나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Further, the lower end of the intersealing sealing packing 9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스프링(41)과,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의 2개의 기구로 개방 초기에 상부 도어(6)를 완전폐쇄 위치에 머물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부 도어(6)의 중량이나, 제 2 스프링(41) 혹은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를 끼워 넣는 공간의 제약 조건에 따라서는, 어느 한쪽의 기구만으로, 상부 도어(6)를 완전폐쇄 위치에 머무르게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in this embodiment, it is comprised so that the
다음으로,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축(23a)이 기다란 구멍(23b) 내의 유격 영역을 완전히 이동하면, 연결축(23a)과 기다란 구멍(23b)이 연결되어,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는 연동하여 동작한다. Next, as shown in FIG. 8B, when the connecting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의 개방 동작에 합쳐,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는 상방으로 이동한다.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가 소정량 개방하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가이드 레일(32)의 제 2 레일 단점(32a)과 제 2 가이드 핀(29)이 접촉한다. 또한,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를 개방하면,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는 제 2 가이드 핀(29)을 지점으로 해서, 제 1 가이드 레일(31)의 제 1 가이드 단점(31a)과 제 1 가이드 핀(28)이 접촉할 때까지 회동한다.In combination with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가 회동하는 것에 의해, 상부 도어 인입핀(33)과 상부 도어 인입 돌기부(34)의 접촉이 해제되어,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는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를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된다.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는 제 1 스프링(38)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지만, 제 1 가이드 핀(28)이 제 1 가이드 레일(31)의 상면으로 돌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 위치에 머문다.As the upper
이렇게,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는 상부 도어(6)가 밀봉 부재(8)로부터 반발력을 받고, 상부 도어(6)를 정규 위치로 완전폐쇄 시키는데에 큰 폐쇄력이 필요한 도어 완전폐쇄 근방으로부터 완전폐쇄에 걸쳐서만 도어 폐쇄력을 작용시킨다. 그 때문에, 제 2 스프링(41)과 같이 항상 완전폐쇄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것과 같은 구성과 비교하여, 효과적으로 상부 도어(6)를 정규의 완전폐쇄 위치까지 폐쇄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the upper
또한, 도어 완전폐쇄 시에는, 상부 도어 인입핀(33)이 상부 도어 인입 트리거부(35)에 접촉하여,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를 회동시키면서 상부 도어 인입 돌기부(34)와 상부 도어 인입 트리거부(35) 사이를 미끄럼 운동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역의 순서로 도 1의 상태로 되돌아 온다. In addition, when the door is completely closed, the upper
또한,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가 제 1 멈춤부(15)에, 하부 도어 지지 부재(17)가 제 2 멈춤부(18)에, 각각 접촉하는 완전개방 상태까지 개방된다. 이 때,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는 그 쌍방의 내면을 상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하고, 상부 도어(6)가 하부 도어(7)의 상방에 위치해서 서로 중첩되도록 완전개방 된다. 그 때문에, 종래와 같이 개구부(5)의 상부에 상부 도어(6)가 덮여 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부 도어(6)의 세정조(2)측에 부착된 세정수가 완전개방 상태에서 적하하는 일이 없다. In addition, the
또한, 수동 조작부(25)는 하부 도어(7)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어 전면에 마련된 경우와 달리, 수동 조작부(25)가 도어 완전개방 상태에서 싱크대 등의, 식기 세척기를 설치한 면과 접촉하는 일이 없다. In addition, the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의 완전개방 후, 사용자는 상부 도어(6)의 내면 위로 식기 바구니(4)를 인출하여, 피세정물(3)을 세팅한다. 식기 바구니(4)는 상부 도어(6)의 내면 위로 인출되므로, 피세정물(3)로부터 떨어진 국, 물방울이 세척기 밖으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세정물(3)을 세팅할 때에 피세정물(3)로부터 낙하하여, 상부 도어 밀봉 받이부(6a)보다도 외측에 부착된 물방울은 물받이부(11)에 고인다.After the
또한, 상부 도어(6)는 개구부(5)로부터 하방으로 열려서 식기 바구니(4)의 하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개구부(5)의 상부가 상부 도어(6)로 덮이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피세정물(3)을 세팅하기 쉽고, 본체(1)의 상면을 물건을 두는 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가 매우 좋다. 또한, 본체(1)의 상방에 상부 도어(6)를 이동시키기 위한 개방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좁은 부엌에서도 설치하기 쉽다. Moreover, since the
계속해서, 사용자는 식기 바구니(4)를 세정조(2) 내에 수납하고, 하부 도어(7)를 폐쇄한다.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는 연동해서 개폐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부 도어(6)도 동시에 폐쇄된다. 제 2 스프링(41)에 의해,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를 거쳐서, 상부 도어(6)에는 폐쇄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작용한다. 또한, 제 3 스프링(44)에 의해 연동 부재(24)로는 폐쇄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작은 힘으로 하부 도어(7)를 폐쇄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user stores the
완전개방 상태에서 상부 도어(6)의 물받이부(11)에 고여 있던 물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전폐쇄까지의 회동시에 물받이부(11)를 개구부(5) 측의 유출부(12)를 향해서 하방으로 흐르고, 유출부(12)를 거쳐서 하부 도어(7)의 물받이부(10)에 회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는 연동하여 개폐하므로, 상부 도어(6)의 유출부(12)와 하부 도어(7)의 물받이부(10)는 근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물의 회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출부(12)로부터 유출하는 물을 물받이부(10)가 수평면으로부터 각도를 갖는 경사 상태로 받음으로써, 물을 받을 때의 물방울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다. The water accumulated in the
또한, 완전개방 상태에서 상부 도어(6)를 하부 도어(7)의 상면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상부 도어(6)의 하단을 세정조(2)의 개구부(5)로 가까이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식기 바구니(4)의 인출 및 격납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도어(6)를 폐쇄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는, 상부 도어(6)의 하단이 개구부(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할 때에, 상부 도어(6)의 상면의 개구부(5) 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진다. 그 때문에, 상부 도어(6)의 물받이부(11)에 부착된 물은 하부 도어(7)의 물받이부(10)로 흘러내린다.In addition, when the
또한, 완전개방 상태에서 하부 도어(7)의 물받이부(10)에 고여 있던 물, 및 상부 도어(6)의 물받이부(11)로부터 회수된 물은 물받이부(10)를 하방으로 흐르고, 유출부(10a)를 거쳐서 세정조 하부(2a)에 회수된다. 그 때문에, 물받이부(11, 10)에 고여 있던 물은 세척기 밖으로 새는 일없이 세정조(2)에 회수된다. 따라서, 식기 세척기 및 싱크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accumulated in the
또한, 전술된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의 개폐 기구는 세정조(2) 및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Moreover,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of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세정 펌프(46)가 동작중에 로크 기구(21)가 해제된 경우에도, 세정수가 세척기 밖으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식기 세척기로서 유용하다.As described above,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as a dishwasher because it can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splashing out of the washer even when th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완전폐쇄 시의 측벽부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ide wall portion at the time of complete closing of the door of the dish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완전개방 시의 측벽부 단면도,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de of the door of the dish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완전폐쇄 시의 밀봉부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aling part when the door of the dish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is completely closed;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완전개방 시의 요점부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when the door of the dish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is fully opened;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완전폐쇄 도중의 측벽부 단면도,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de wall portion during complete closing of the door of the dish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FIG.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개방 초기의 측벽부 단면도,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itial opening of the door of the dish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FIG.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완전개방 시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of the dish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도 8a는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완전폐쇄 시의 제 2 연결점의 동작 설명도,8A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oint when the door of the dish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is completely closed;
도 8b는 도 8a에 도시하는 제 2 연결점의, 도어의 개방 초기의 동작 설명도,FIG. 8B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of an initial opening of the door of the second connection point shown in FIG. 8A;
도 8c는 도 8a에 도시하는 제 2 연결점의, 도어의 개방 도중의 동작 설명도,8C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oint shown in FIG. 8A during the opening of the door;
도 9는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완전폐쇄 시의 요점부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when the door of the dish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is completely closed;
도 10은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완전폐쇄 시의 요점부 확대 단면도,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the door of the dish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도 11은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개방 초기의 요점부 확대 단면도,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the initial opening of the door of the dish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도 12는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요점부 투시도.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of a conventional dish washing machin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
1: 본체 2: 세정조1: body 2: washing tank
6: 상부 도어 7: 하부 도어6: upper door 7: lower door
10, 11: 물받이부 13: 제 1 회전축10, 11: drip tray 13: first rotating shaft
14: 상부 도어 지지 부재 15: 제 1 멈춤부14: upper door support member 15: first stop
18: 제 2 멈춤부 19: 누름 버튼 스위치18: second stop 19: push button switch
Claims (9)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130420 | 2008-05-19 | ||
JP2008130420A JP4661903B2 (en) | 2008-05-19 | 2008-05-19 | dishwash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0393A true KR20090120393A (en) | 2009-11-24 |
KR101121262B1 KR101121262B1 (en) | 2012-03-23 |
Family
ID=4136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04102A KR101121262B1 (en) | 2008-05-19 | 2009-01-19 | Dishwasher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4661903B2 (en) |
KR (1) | KR101121262B1 (en) |
CN (1) | CN101584568B (en) |
TW (1) | TW200948326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457489B1 (en) * | 2010-11-30 | 2014-05-07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 Table top dishwasher |
CN105286748A (en) * | 2014-06-18 | 2016-02-03 | 芜湖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 Dish washing machine |
CN107019479B (en) * | 2017-04-28 | 2019-05-31 |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 Dish-washing machine |
CN107411677A (en) * | 2017-09-08 | 2017-12-01 |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 Home appliances housing and there is its dish-washing machine |
JP7122685B2 (en) * | 2018-10-04 | 2022-08-22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dishwasher |
CN111202483B (en) * | 2020-03-11 | 2021-05-25 |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98223A (en) * | 2005-01-21 | 2006-08-03 | Toshiba Corp | Dishwasher |
JP4387321B2 (en) * | 2005-03-24 | 2009-12-16 |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 Dishwasher |
JP4561681B2 (en) * | 2006-04-14 | 2010-10-13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dishwasher |
JP4449937B2 (en) * | 2006-04-14 | 2010-04-14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dishwasher |
-
2008
- 2008-05-19 JP JP2008130420A patent/JP4661903B2/en active Active
- 2008-11-21 TW TW097145155A patent/TW200948326A/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9
- 2009-01-16 CN CN2009100004571A patent/CN101584568B/en active Active
- 2009-01-19 KR KR1020090004102A patent/KR101121262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9273821A (en) | 2009-11-26 |
CN101584568B (en) | 2012-07-18 |
TWI358274B (en) | 2012-02-21 |
CN101584568A (en) | 2009-11-25 |
KR101121262B1 (en) | 2012-03-23 |
JP4661903B2 (en) | 2011-03-30 |
TW200948326A (en) | 2009-1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1262B1 (en) | Dishwasher | |
KR20150001306A (en) | Dish washer | |
JP2002238826A (en) | Dishwasher | |
KR102328247B1 (en) | Dishwasher | |
CN101584569B (en) | Tableware washing machine | |
JP4893785B2 (en) | dishwasher | |
KR102491972B1 (en) | Dish Washer | |
JP5170119B2 (en) | dishwasher | |
KR100377622B1 (en) | Structure for sealing of dish washer which is of drawer type | |
JP4609367B2 (en) | dishwasher | |
KR100832197B1 (en) | Dishwasher | |
KR20060047169A (en) | Dish washer | |
KR101293235B1 (en) | Dish washer | |
KR100378709B1 (en) | Structure for sealing of dish washer which is of drawer type | |
JP2007282750A5 (en) | ||
KR200307549Y1 (en) | Cleaner having device outflow of liquefied detergent | |
JP2013255615A (en) | Dishwasher | |
JP3505528B2 (en) | dishwasher | |
JP2023042015A (en) | dishwasher | |
JP4103637B2 (en) | dishwasher | |
JP2002010961A (en) | Dishwasher | |
JP3965963B2 (en) | dishwasher | |
CN115804554A (en) | Tableware cleaning machine | |
JP2510608Y2 (en) | Dishwasher | |
KR101232508B1 (en) | Dish wash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