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9605A - Apparatus and service method for steering wheel in a car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service method for steering wheel in a ca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09605A KR20090109605A KR1020080034946A KR20080034946A KR20090109605A KR 20090109605 A KR20090109605 A KR 20090109605A KR 1020080034946 A KR1020080034946 A KR 1020080034946A KR 20080034946 A KR20080034946 A KR 20080034946A KR 20090109605 A KR20090109605 A KR 200901096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ring wheel
- vehicle
- touch screen
- unit
- scree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06—Containing a capacitive switch or usable as suc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74—Actuation by finger tou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티어링 휠의 중앙 부분에 터치스크린 화면부를 장착하여 운행 중에도 차량 제어를 화면부를 터치하여 간편하게 처리하므로 운전자가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 장치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wheel of a vehicle, and in particular, a touch screen display unit is mounted on a center portion of the steering wheel, so that the vehicle control can be easily handled by touching the display unit while driving, so that the driver can drive the vehicle more safely and conveniently. It relates to a wheel device and a service method.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은 스티어링 핸들이라고도 하며 차량의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운전자가 조작하는 부품이다. 외측의 림(rim), 중앙 부분의 허브(hub), 림과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spoke)로 구성되며, 허브와 스포크에 경적 기구를 조합한 것이 많다.In general, the steering wheel (steering wheel) is also called the steering wheel and is a part that the driver manipulates to change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It consists of an outer rim, a hub in the center part, a spoke connecting the rim and the hub, and a combination of a horn mechanism in many hubs and spokes.
림의 지름이 크면 조향 조작을 가볍게 할 수 있으나 크게 움직여야 하며, 지름이 작으면 빠르게 돌릴 수 있으나 조작력은 무거워지므로 차량에 따라 일치되는 크기가 선택된다. 림의 굵기나 재질도 운전 감각에 큰 영향을 준다.If the diameter of the rim is large, the steering operation can be lightened, but it must be moved largely. If the diameter is small, it can be turned quickly, but the operation force becomes heavy, so the matching size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vehicle. The thickness and material of the rim also greatly influences the driving sensation.
이하, 종래의 차량의 스티어링 휠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steering wheel of a conventional vehicle will be described.
종래의 차량의 경우 스티어링 휠에는 AV(Audio/Video)와 관련된 볼륨이나 헨드프리 등의 부분적인 기능만이 적용되어 있었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vehicle, only a partial function such as volume or hand free associated with AV (Audio / Video) was applied to the steering wheel.
종래의 스티어링 휠에 부가된 기능으로는 통상 운전자가 운행중에 조작하는 기능을 처리 할 수 없으며 운전석 주변 위치에 설치된 기기는 운전자가 움직여서 조작하여야 하는 기능들이 더욱 많다.The functions added to the conventional steering wheel can not normally handle the functions that the driver operates while driving, and the devices installed near the driver's seat have more functions that the driver must move to operate.
따라서 AV와 관련된 기능을 운전자가 조작하려면 한쪽 손을 스티어링 휠에서 떼어 대시보드 부분에 위치한 버튼을 눌러야 하며, 선루프를 장착한 차량의 경우 운전자가 선루프를 열고자 할 때 루프 부분을 쳐다보고 그곳에 위치한 조작 버튼을 눌러야 한다.Therefore, in order for the driver to operate AV-related functions, one hand must be removed from the steering wheel and the button located on the dashboard part must be pressed.In the case of a vehicle equipped with sunroof, the driver looks at the loop part when the driver wants to open the sunroof. The operating button located must be pressed.
이러한 기능을 주행중 처리시에 스티어링 휠을 두손이 아닌 한손으로 조작하여야 하는 것 외에도 운전자의 시선이 전방으로부터 벗어난다.In addition to having to operate the steering wheel with one hand instead of two hands when handling this function during driving, the driver's gaze is displaced from the front.
또한 운전중 담배를 피기 위해 불을 붙이는 경우에도 운전자의 자세와 시선이 전방을 주시하지 못하게 된다.In addition, the driver's posture and gaze do not look forward even when the fire is lit to smoke while driving.
하지만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주행중에 차량 조작이 자칫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음을 인식하고 있으나 운전중 음악을 듣기 위해 또는 선루프를 열기 위해 전방으로부터 시선과 자세가 벗어나게 되는 일이 많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이 요구된다.However, most drivers are aware that driving a car can cause an accident while driving, but they often need to be prepared to listen to music or to open the sunroof while driving. do.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의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에 부가된 기능만으로는 AV나 에어컨, 윈도우의 개폐 등을 처리할 수는 없으므로 주행중에 조작을 위해 움직이게 되므로 보다 안전하고 쾌적한 운행을 위해서는 안전 장치가 요구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river of a conventional vehicle cannot handle AV, air conditioner, window opening, and the like only by the function added to the steering wheel, and thus the driver is moved for operation while driving, so a safety device is required for safer and more comfortable driving. .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중앙부근에 터치스크린 화면부를 장착하여 운전자가 주행중에 차량을 제어시 크게 움직이지 않고도 차량의 AV, 에어컨, 사이드 미러부, 윈도우의 개폐 등을 화면부를 터치하여 처리하므로 매우 안전하고 편리한 차량의 스티어링 휠 장치 및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screen near the center of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AV, air conditioner, side mirro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ering wheel device and a service method of a vehicle which are very safe and convenient since the window part is touched and processed.
또한 본 발명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터치스크린 화면부는 스티어링 휠이 좌우로 움직여도 항상 수평을 유지하고 터치스크린 화면부의 외형은 원형 타입으로 설치되어 미관도 우수한 차량의 스티어링 휠 장치 및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uch screen screen portion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ways horizontal even if the steering wheel is moved left and right, the appearance of the touch screen screen portion is installed in a circular type to provide a steering wheel device and service method of the vehicle excellent in appearance. The purpo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스티어링 휠에 원형 타입으로 장착되며 터치 방식으로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화면부 및 스티어링 휠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연산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부로 제공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의 움직임에 무관하게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자이로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ounted to the steering wheel in a circular type and detects and calculates the movement of the touch screen and the steering wheel to control the touch method provided to the touch screen screen unit of the steering wheel Regardless of the movemen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yro sensor to keep the touch screen screen level.
또한 터치스크린 화면부는 AV 제어부, 에어컨 제어부, 사이드 미러부 제어부, 윈도우의 개폐 제어부와 연결되어 운전자가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부의 제어화 면을 터치하여 운행중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며, 터치스크린 화면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중앙 부근에 운전자의 좌우 시야 각도가 15도 이내에 해당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touch screen display unit may be connected to an AV control unit, an air conditioner control unit, a side mirror unit control unit, and an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of a window to control the driver while driving by touching the control screen of the touch screen unit. Near the center of the whee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r's left and right viewing angles are installed within 15 degree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차량의 시동이 온되면 터치스크린 화면부가 온되어 기본 제어 화면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와, 사용자가 원하는 차량 기기를 추가적으로 선택 설정하는 단계 및 차량의 운행중에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부를 통하여 차량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부를 터치하여 차량의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displaying basic control screen information by turning on the touch screen display unit when the vehicle is turned on, additionally selecting and setting a desired vehicle device, and driving the vehicle. And receiving vehicle information through the touch screen display unit and controlling the device of the vehicle by touching the touch screen display unit.
또한 기본 제어 화면은 시계 정보, AV 제어화면, 에어컨 제어화면임을 특징으로 하며, 차량의 기기를 제어하는 것은 터치스크린 화면부로 제공되는 제어화면을 터치하여 AV부, 에어컨부, 윈도우 개폐부, 사이드 미러부를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sic control scree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ck information, the AV control screen,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screen, the control of the vehicle's equipment by touching the control screen provided by the touch screen screen unit AV unit, air conditioner unit, window opener, side mirror unit It is characterized by the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가 더욱 안전하게 운전에 집중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사고를 차단하고 더욱 편리한 드라이브 환경을 제공해 주는 DCS(Driver Control System)이다.The steering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CS (Driver Control System) that allows the driver to concentrate on driving more safely, thereby preventing accidents of the vehicle and providing a more convenient drive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의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가 조작하고자 하는 기능을 직접 설정할 수 있어서 개인의 운전 성향에 맞도록 차량 제어 기능을 제어하므로 더욱 편리하고 안전한 운행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teering whee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set the function that the driver wants to operate to control the vehicle control function to suit the personal driving tendency to provide more convenient and safe driving.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터치스크린 화면부에서 AV, 에어컨 등을 직접 제어하므로 운전석 부근의 대시보드에 있었던 여러 조작기들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차량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irectly controls the AV, air conditioner, etc. from the touch screen screen of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remove various manipulators on the dashboard near the driver's seat, there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space in the vehic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중앙부근에 터치스크린 화면부를 장착하여 운전자가 주행중 차량 제어시 터치스크린 화면부만을 터치하여 차량의 AV, 에어컨, 사이드 미러부, 윈도우의 개폐 등을 처리할 수 있으므로 매우 안전하고 편리한 차량의 스티어링 휠 장치 및 서비스 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screen near the center of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the driver can only control the vehicle's AV, air conditioning, side mirrors, opening and closing of the window by touching only the touch screen screen when controlling the vehicle while driving Safe and convenient vehicle steering wheel device and service method.
도 1은 운전자의 시야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river's field of view.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에서 머리를 움직이지 않고 눈의 움직임만으로 포착할 수 있는 각도는 좌우로 최고 35도이며, 적정한 수준의 각도는 좌우로 15도이다.Referring to FIG. 1, the angle at which the driver can capture the eye only by the movement of the eyes without moving the head while watching the front is 35 degrees at the left and right, and the appropriate level is 15 degrees at the left and right.
차량의 대시보드에 설치된 조작기들은 통상 이 범위에서 벗어나 있으며, 최근의 차량의 경우 차량의 실내가 확대 되면서 일부 대시보드에는 운전자가 등을 붙이고 앉아 팔이 도달되지 않는 범위에까지 조작버튼들이 위치하는 경우도 있다.Manipulators installed on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are usually out of this range, and in recent vehicles, as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s enlarged, some dashboards have a driver's back and the operation buttons are positioned until the arm is not reached. have.
그러므로 일부 기능의 조작을 위해서 운전자의 시각뿐 아니라 자세까지 움직 여야 한다는 것이 차량 주행중에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Therefore, the need to move not only to the driver's vision but also to the posture for the operation of some functions may cause problems while driving the vehicl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휠 장치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steering wheel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의미는 작게는 스티어링 휠의 조작 가능 기능의 확대이며, 크게는 운전자의 조작 시스템 집약화에 있다. The mea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lies in the expansion of the operable function of the steering wheel, in large part, and in intensifying the driver's operation system.
본 발명의 스티어링 휠 장치는 스티어링 휠(31), 자이로센서부(33), 터치스크린 화면부(35), AV부(41), 에어컨부(43), 윈도우개폐부(45), 사이드미러부(47)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teering whee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화면부(35)는 스티어링 휠(31)의 중앙 부근에 장착된다.The touch
자이로센서부(33)는 스티어링 휠(31)의 좌우 움직임 검출하여 터치스크린 화면부(35)에 제공하고 터치스크린 화면부(36)는 이를 이용하여 항상 수평을 유지시켜 주행중에도 터치스크린 화면부(35)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한다.The gyro sensor unit 33 detects the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좌우 방향을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터치스크린 화면부(35)는 계속 같은 수평 방향을 유지시키므로 운전자가 조작하기 편리하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driver rotates the steering wheel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touch
터치스크린 화면부(35)는 외관이 원형 스타일로 이루어지고, AV부(41), 에어컨부(43), 윈도우개폐부(45), 사이드미러부(47) 등의 조작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는 AV, 에어컨, 윈도우 개폐, 사이드 미러, 자동 시트 조절, 정보제공, 계기판의 속도, 오일 정보 등과 같이 다양한 조작을 차량 주행 중에도 터치스크린 화면부(35)의 제어화면을 터치하여 제어할 수 있다.The touch
또한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화면부(35)는 사각형의 외형을 지닌 LCD를 스티어링 휠에 매립 설치 함에 있어 운전자에게 보여지는 틀은 원형 스타일로 제작하여 미관도 우수하며 그리고 스티어링 휠을 움직여도 돌아가지 않고 항상 고정적으로 보여지게 된다.In addition, the touch
도 3은 본 발명과 종래의 스티어링 휠 장치를 비교한 예의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steering wheel device.
도 3의 좌측 도면은 종래의 스티어링 휠의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측 도면은 본 발명이 적용되어 터치스크린 화면부(35)가 스티어링 휠의 중앙 부근에 장착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3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steering wheel, and the right view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touch
도 3의 우측 도면은 본 발명의 스티어링 휠(31)에 터치스크린 화면부(35)가 스티어링 휠의 중앙 부근에 설치된 것을 볼 수 있으며, 대시보드(51)에는 종래와 같이 시계, AV 제어 스위치, 에어컨 제어 스위치 등이 제거된 것을 볼 수 있다.3 shows that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터치스크린 화면부에서 AV, 에어컨 등을 직접 제어할 수 있으므로 도 3과 같이 운전석 부근의 대시보드(51)에 있었던 여러 스위치들을 제거 할 수 있어서 차량의 공간 활용도를 높인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control the AV, air conditioning, etc. from the touch screen screen of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can remove the various switches in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휠 장치를 적용한 예의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steering wheel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의 터치스크린 화면부(35)에는 에어컨부(43)와 AV부(41)를 연결시킨 예로 에어컨의 제어화면과 AV 기기의 제어화면을 보여주고 있다.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운전자는 도 4와 같은 화면 설정시에는 운행중에 터치하여 에어컨과 AV를 간 편하게 조작하므로 보다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다.When the driver sets the screen as shown in FIG. 4, the driver can easily operate the air conditioner and the AV by touching it while driving, thereby enabling safer driving.
예를 들어 운전자가 주행중 AV부(41)의 FM 라디오의 청취를 하고자 하면 터치스크린 화면부(35)의 제어화면을 간단하게 터치하여 원하는 주파수를 선택하거나 검색하여 간편하게 라디오 청취를 제어한다.For example, if the driver wants to listen to the FM radio of the
따라서 종래와 같이 운행중에 대시보드의 여러 스위치를 선택하지 않고 간편하게 제어하므로 보다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operate more safely because it is easy to control without selecting several switches of the dashboard during operation as in the prior art.
스티어링 휠(31)의 중앙 부근에 장착되는 터치스크린 화면부(35)는 운전자의 눈의 움직임이 적정한 수준이라고 하는 좌우로 15도 각도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The touch
이 외에도 본 발명은 윈도우 개폐부(45), 사이드 미러부(47), 자동시트 조절, 시계 등과 같은 차량의 여러 장치를 연결하여 터치스크린 화면부(35)에서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trolled by the touch
또한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화면부(35)를 통하여 제어를 원하는 상술한 장치를 설정 등록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user may set and register and use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to be controlled through the touch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는 눈동자의 움직임 만으로 차량 장치의 여러 정보들을 습득하고 손으로 터치하여 차량의 여러 기능들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can acquire vario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apparatus only by the movement of his eyes and can safely and conveniently operate various functions of the vehicle by touching it with his hand.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휠 장치의 서비스 흐름도이다.5 is a service flow diagram of a steering wheel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단계 201에서 차량의 시동인 온(on)되면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화면 부(35)가 온 되어 실행된다.First, when the start-up of the vehicle is turned on in step 201, the touch
단계 203에서 터치스크린 화면부(35)에는 시계화면, AV 제어화면, 에어컨 제어화면 등이 기본적으로 제공된다.In operation 203, the touch
또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시계화면, AV 제어화면, 에어컨 제어화면은 사용자가 설정에 의하여 추가, 제거,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ch screen, AV control screen, and air conditioner control screen which are basically provided can be added, removed, or changed by the user.
단계 205에서 운전자가 운행중 상태를 보기 원하거나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가 있는 경우에는 제공되는 메뉴에서 선택하여 설정한다.In step 205, if there is a device for which the driver wants to view or control the driving state, the driver selects and sets a menu.
제어 가능 장치로 윈도우 개폐부(45), 사이드미러부(47) 외에도 계기판의 속도, 오일 정보 등도 선택하여 설정한다.The controllable device selects and sets the speed and oil information of the instrument panel in addition to the window opening and closing
단계 207에서 사용자가 선택을 완료하면 터치스크린 화면부(35)에서는 시계화면, AV 제어화면, 에어컨 제어화면 등의 기본 정보 외에 사용자가 선택 설정한 기기의 제어화면이 추가로 보여진다.When the user completes the selection in step 207, the touch
또한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의 선택 설정 기기가 많은 경우는 기본 정보를 빼고 사용자가 선택 설정한 기기 제어정보만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when there are a large number of devices for user selection sett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only device control information selected and set by the user without the basic information.
단계 209에서 사용자는 차량을 운행중에 스티어링 휠(31)의 중앙 부근에 장착된 터치스크린 화면부(35)를 간단하게 손으로 터치하여 차량의 AV, 에어컨, 사이드 미러, 윈도우의 개폐 등의 다양한 제어를 안전하고 간편하게 처리한다.In step 209, the user simply touches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중앙부근에 터치스크린 화면부를 장착하여 운전자가 주행중에 차량을 제어시 크게 움직이지 않고도 차량의 AV, 에어컨, 사이드 미러부, 윈도우의 개폐 등을 터치하여 처리하므로 매우 안전하 고 편리하고, 터치스크린 화면부는 스티어링 휠이 좌우로 움직여도 항상 수평을 유지하고 터치스크린 화면부의 외형은 원형 스타일로 설치되어 미관도 우수한 차량의 스티어링 휠 장치 및 서비스 방법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touch screen display unit is mounted near the center of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so that the driver touches the AV, the air conditioner, the side mirror uni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indow, etc. Therefore, it is very safe and convenient, and the touch screen part is always horizontal even if the steering wheel moves left and right, and the appearance of the touch screen part is installed in a circular style, which is a steering wheel device and a service method of a vehicle having excellent aesthetic appearance.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도 1은 운전자의 시야를 설명하는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river's field of view.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휠 장치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steering wheel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과 종래의 스티어링 휠 장치를 비교한 예의 도면.3 is a view of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steering wheel devic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휠 장치를 적용한 예의 도면.4 is a view of an example in which a steering wheel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휠 장치의 서비스 흐름도.5 is a service flowchart of a steering wheel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31: 스티어링 휠 33: 자이로센서부31: steering wheel 33: gyro sensor
35: 터치스크린 화면부 41: AV부35: touch screen screen portion 41: AV portion
43: 에어컨부 45: 윈도우개폐부43: air conditioner 45: window opening and closing
47: 사이드미러부47: side mirror part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4946A KR20090109605A (en) | 2008-04-16 | 2008-04-16 | Apparatus and service method for steering wheel in a ca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4946A KR20090109605A (en) | 2008-04-16 | 2008-04-16 | Apparatus and service method for steering wheel in a ca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9605A true KR20090109605A (en) | 2009-10-21 |
Family
ID=41537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4946A KR20090109605A (en) | 2008-04-16 | 2008-04-16 | Apparatus and service method for steering wheel in a ca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109605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47841A1 (en) * | 2015-09-16 | 2017-03-23 | 주식회사 케이에이알 | Steering apparatus having display unit |
KR20170033026A (en) | 2015-09-16 | 2017-03-24 | 주식회사 케이에이알 | Steering system with display unit |
KR20170033029A (en) | 2015-09-16 | 2017-03-24 | 주식회사 케이에이알 | Steering system for installing smart device |
KR20170033027A (en) | 2015-09-16 | 2017-03-24 | 주식회사 케이에이알 | Steering system with dock for smart device |
-
2008
- 2008-04-16 KR KR1020080034946A patent/KR20090109605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47841A1 (en) * | 2015-09-16 | 2017-03-23 | 주식회사 케이에이알 | Steering apparatus having display unit |
KR20170033026A (en) | 2015-09-16 | 2017-03-24 | 주식회사 케이에이알 | Steering system with display unit |
KR20170033029A (en) | 2015-09-16 | 2017-03-24 | 주식회사 케이에이알 | Steering system for installing smart device |
KR20170033027A (en) | 2015-09-16 | 2017-03-24 | 주식회사 케이에이알 | Steering system with dock for smart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6895B1 (en) | Integrated control device for vehicle | |
JP6033804B2 (en) | In-vehicle device operation device | |
KR102311551B1 (en) | Method for using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tor vehicle while autopilot is activated and motor vehicle | |
EP2699444B1 (en) | Input/output device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n input/output device | |
US2012028705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human interface in a vehicle | |
EP3670237B1 (en) | Vehicle-mounted device operation system | |
EP3027469A1 (en) | Vehicle use portable heads-up display | |
WO2016152045A1 (en) | Operation system | |
JP5588764B2 (en) | In-vehicle device operation device | |
US20180107320A1 (en) | Center fascia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EP3659848B1 (en) | Operating module, operating method, operat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vehicles | |
JP2008195142A (en) | Operation supporting device and method for on-vehicle equipment | |
JP3668834B2 (en) | Vehicle display device | |
KR20090109605A (en) | Apparatus and service method for steering wheel in a car | |
JP6375715B2 (en) | Line-of-sight input device | |
JP2012096670A (en) |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 |
US11977809B2 (en) | Console display interlocking method and vehicle system using the same | |
US20240109418A1 (en) | Method for operating an opera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having an operating device | |
JP2017149425A (en) | Vehicle display device | |
WO2022168696A1 (en) | Display system for displaying gesture operation result | |
CN220009681U (en) | Display adjusting device of head-up display equipment, head-up display system and vehicle | |
JP2008041370A (en) | Vehicular operation device | |
CN111806463B (en) | Method and system for exhibiting operation mode switching of a vehicle | |
CN113195283B (en) | Display device and motor vehicle comprising the same | |
KR20100011069A (en) | Finger operation and indication device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