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부의 노화에 따른 여러 가지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항산화 효과가 탁월하며, 피부의 노화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피부미백, 피부주름 개선, 피부보습 등의 효과를 가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지꽃 추출물, 꽃향유 추출물, 수국 추출물 및 수선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피부미백용, 피부주름 개선용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양지꽃 추출물, 꽃향유 추출물, 수국 추출물 및 수선화 추출물 각각의 함량이 전체 추출물 중량 대비 20 내지 4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양지꽃 추출물, 꽃향유 추출물, 수국 추출물 및 수선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이러한 야생화 추출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뛰어난 항산화 효과, 피부미백 효과, 피부주름 개선효과 및 보습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야생화 추출물들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혼합하여 사용할 때 화장료로서 유용한 효과인 상기 항산화 효과, 피부미백 효과, 피부주름 개선효과 및 보습효과가 시너지적으로 월등히 증가한다는 놀라운 발견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들은 양지꽃, 꽃향유, 수국 및 수선화 각각을 추출 용매로 따로따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들을 혼합하여 얻을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양지꽃, 꽃향유, 수국 및 수선화 혼합재를 추출 용매로 한꺼번에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된 양지꽃(Potentilla fragarioides)은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양지에서 잘 자라며,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한방에서는 전초를 치자연(雉子筵)이라 하며, 뿌리를 치자연근이라 하여 보음, 지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원색천연약물대사전, 남산당, 1989, p423). 양지꽃의 전초로부터 (+)-카테킨(catechin), 퀘르세틴(quercitrin), 카페인산(caffeic acid), 이소퀘르시트린(isoquercitrin), 4-ο-카페오일(caffeoyl)-L-트레올산(threonic acid), 퀘르세틴-3-ο-베타-D-글루코피라노실(glucopyranosyl)-베타-D-크실로피라노사이드(xylopyranoside)가 분리되어 보고된 바 있으며, (+)-카테킨의 경우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생약학회지, 29, 1998, p79).
본 발명에 이용된 꽃향유(Elsholtzia splendense)는 꿀풀과(Labiatae) 식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중국, 시베리아, 몽골 등지의 산에 주로 자생하는 다년생 초본이다. 약 1% 정도의 정유를 함유하고 있어 강한 향기가 나며, 주성분은 엘스콜치아케톤(elscholtziadeton)이고 그밖에 세스퀘테르텐(sesquiterpen)이 함유되어 있다. 한의학에서는 전초를 약초로 사용하며, 생약명으로 향유(香), 야소(野蘇)라 부르며, 거담(去痰)효과 및 이뇨작용, 해열발한작용, 항균작용을 나타내며, 전신부종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농약정보, 15, 한국농약공업협회, 1994, p86; 도설한방의약대사전, 서울, 동도문화사, 1984, p102; 원색한국본초도감 3rd, 교학사, 2000, p21).
본 발명에 이용된 수국(Hydrangea macrophylla)은 범의귀과(Saxifragaceae)에 속하는 관상용 관목으로 꽃 색이 토양에 따라 중성이면 흰색, 산성이면 청색, 알칼리성이면 분홍색으로 변하여 칠면조처럼 변한다고 해서 칠변화라고 하기도 한다. 전초를 팔선화(八仙花)라고 하며 약용으로 하고, 학질, 심열량계(心熱悸), 신낭풍(腎囊風) 및 번조(煩燥)를 치료하는 효과가 알려져 있다. 잎과 꽃에 항말라리아 작용을 하는 알칼로이드가 있으며, 꽃에 루틴(rutin), 뿌리에 다프네틴(daphnetin)과 움벨리페론(umbelliferone), 히드란게놀(hydrangenol), 히드란그산(hydrangenic acid), 루눌라르산(lunularic acid), 잎에는 스킴민(skimmin) 등이 함유되어 있다(한국의 약용식물, 교학사, 2006, p205; 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각, 1999, p318).
본 발명에 이용된 수선화(Narcissus tazetta)는 수선화과(Amaryllid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로 꽃은 백색으로 12~3월에 핀다. 열매를 맺지 못하며, 비늘줄기로 번식한다. 지중해 연안을 원산으로, 전국에서 재배하는 귀화 식물이다. 뿌리는 수선근(水仙根)이라고 하며, 소종(消腫), 배농(排膿)의 효능이 있고, 옹종, 창독 및 독사교상을 치료한다. 비늘줄기, 잎과 꽃에는 리코린(lycorine), 갈란타민(galanthamine), 타제틴(tazettine)이 있으며, 꽃에는 나르시신(narcissin)이 있다. 자궁에 대해 강한 흥분작용이 있고, 육종 및 복수암에 대해 항종양 작용과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다. 민간에서는 비늘줄기를 짓찧어 곪은데 사용하며, 즙은 눈병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한국의 약용식물, 교학사, 2006, p549; 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각, 1999, p817).
본 발명은 또한 양지꽃, 꽃향유, 수국 및 수선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다른 야생화 추출물은 양지꽃, 꽃향유, 수국 및 수선화 혼합재 일정량 또는 양지꽃, 꽃향유, 수국 및 수선화 각각의 일정량에 대하여 정제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인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다가알코올인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또는 이들은 혼합 용매를 1 내지 20배 부피량을 가하여 추출한 후, 선택적으로 농축 또는 정제 과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전술한 방법과 같이 추출용매를 가하여 화장료 유효성분물질을 추출하되 (a)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50 내지 95℃의 온도 조건에서 4 내지 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b) 5 내지 37℃의 온도 조건에서 1 내지 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전술한 화장료로서의 유용한 효과들을 시너지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양지꽃 추출물, 꽃향유 추출물, 수국 추출물 및 수선화 추출물 각각의 함량은 전체 추출물 중량 대비 20 내지 40중량%인 것이 바람 직하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양지꽃, 꽃향유, 수국 및 수선화를 야생화 전체 중량 대비 각각 20 내지 40 중량%씩 포함한 혼합재를 추출하여 획득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유효성분인 상기 야생화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1 내지 50 중량%가 포함되면 바람직하다. 추출물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본래 목적하는 여러 가지 유용한 효과 즉, 항산화, 피부미백, 피부주름 개선 또는 보습 효과를 충분하게 달성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상기 유효성분인 추출물의 함량이 전체 화장료 중량 대비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장료의 안정성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화장료의 외관이나 사용 시 충분한 화장효과를 발현시킬 수 없는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류, 팩류, 로션류, 에센스류, 화장수류, 파운데이션류 또는 메이크업베이스류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상용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양지꽃, 꽃향유, 수국 및 수선화를 포함하는 야생화 혼합재로부터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어진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피부미백효과, 피부주름 개선효과, 보습 효과 등의 화장료로서 매우 유용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혼합물로부터 얻어진 혼합추출물은 단독추출물에 비해 우수한 시너지 효과를 보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높은 농도에서도 섬유아세포의 세포 생존력이 우수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4>
정선된 수국 250g, 양지꽃 250g, 꽃향유 250g 및 수선화 250g를 각각 정량하여 추출기에 넣은 후, 추출용매(30% 함수 부틸렌글라이콜) 5kg을 가하고, 상온에서 6일간 침적하여 추출한 후, 400메시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저온 숙성시킨 다음, 0.45 um의 필터로 2차 여과하였다. 이 추출여액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였다.
<실시예 5>
정선된 수국 62.5g, 양지꽃 62.5g, 꽃향유 62.5g 및 수선화 62.5g를 각각 정량하여 추출기에 넣은 후, 추출용매(30% 함수 부틸렌글라이콜) 5kg을 가하고, 상온에서 6일간 침적하여 추출한 후, 400메시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저온 숙성시킨 다음, 0.45 um의 필터로 2차 여과하였다. 이 추출여액을 냉각콘 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였다.
구 분 |
추출시료 |
실시예 1 |
양지꽃 |
실시예 2 |
꽃향유 |
실시예 3 |
수국 |
실시예 4 |
수선화 |
실시예 5 |
양지꽃, 수국, 꽃향유, 수선화 |
<실험예 1> 항산화 효과의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 물질이 갖는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실험을 행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실험은 Kim 등(Kor. J. Pharmacogn., 24(4), 299~303, 1993)의 방법을 변형한 것으로 안정한 자유라디칼인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 Sigma사) 시약을 사용하였다.
먼저, 0.2 mM DPPH 용액 1 mL에 상기 추출 실시예에 따라 수득된 각각의 시료를 메탄올에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2 mL 혼합하고,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한편, 상기 자유라디칼소거시험에서의 대조군은 시료용액 대신 메탄올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며, DPPH 용액 대신 메탄올을 넣어 실시예 각각에 대한 색 보정값을 얻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소거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SC50은 자유라디칼소거율 50%를 달성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로서 다른 성분물질과 상대적으로 비교할 때 사용하는 수치로서 값이 작을수록 소거율이 높음을 나타낸다.
활성산소소거실험은 Noro 등(Chem. Pharm. Bull., 31, 3984~3987(1983))의 방법을 변형한 것으로, 활성산소(superoxide anion)소거활성평가는 잔틴/잔틴옥시다제(xanthine/xanthine oxidase)효소반응에 의한 활성산소 발생계를 이용하여 활성산소에 의한 니트로블루 테트라졸리움(nitroblue tetrazolim, NBT)의 산화에 의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Na2CO3 2.4 mL, 잔틴 0.1 mL, EDTA 0.1 mL, BSA 0.1 mL, NBT 0.1 mL 및 시료 0.1 mL을 넣고 잘 혼합하여 25℃에서 10분간 정치하였다. 잔틴 옥시다제 0.1 mL을 넣고 25℃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6 mM CuCl2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광파장 5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상기 활성산소소거활성시험에서의 대조군은 시료용액 대신 정제수를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며, 잔틴 옥시다제 용액 대신 정제수를 넣어 실시예 각각에 대한 색 보정값을 얻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활성산소소거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IC50은 활성산소소거율 50%를 달성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로서 다른 성분물질과 상대적으로 비교할 때 사용하는 수치로서 값이 작을수록 소거율이 높음을 나타낸다.
구 분 |
SC50(mg/mL) |
IC50(mg/mL) |
실시예 1 |
0.078 |
0.940 |
실시예 2 |
2.667 |
10 이상 |
실시예 3 |
0.422 |
2.422 |
실시예 4 |
4.094 |
50 이상 |
실시예 5 |
0.042 |
0.383 |
상기 표 2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단일 추출물 중 실시예 1을 제외한 실시예 2 내지 4는 항산화력이 좋지 않았다. 반면, 혼합 추출 실시예 5에서는 단일 추출물 실시예들인 실시예 2 내지 4에 비해 자유라디칼 및 활성산소를 소거할 수 있는 항산화력이 월등히 증가하였으며, 실시예 1보다도 항산화력이 약 2배 이상 향상되었다.
<실험예 2> 피부주름의 억제 및 개선 효과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물질이 갖는 피부주름의 억제 및 개선 효과 검정하고자 엘라스테이즈저해능시험(Elastase Inhibition Activity Test)을 실시하였다.
엘라스틴(Elastin)을 분해하는 효소인 엘라스테이즈의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엘라스테이즈 기질인 N-Succinyl-(Ala)3 ρ-nitroaniline을 이용하여 ρ-nitroaniline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색의 변화를 405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엘라스테이즈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완충액은 pH 8.0, 0.267 M Trizma-HCl (Sigma), 기질액은 8.8 mM N-Succinyl-(Ala)3 ρ-nitroaniline (Sigma), 효소액은 돼지췌장 엘라스테이즈를 10 ug/mL (Sigma)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완충액 60 uL, 기질액 20 uL과 상기 추출 실시예 1 내지 5로부터 얻은 각각의 시료를 농도별로 정제수에 녹여 100 uL로 한 시료액을 섞은 후, 효소액 20 uL을 넣어 25℃ 항온수조에서 15분간 반응시켜 ρ-nitroaniline의 생성량을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를 이용하여 파장 405 nm에서 측정하였다. 한편, 상기 엘라스테이즈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대조군은 시료용액 대신 정제수를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효소액 대신 정제수를 넣어 각각에 대한 색 보정값을 얻은 경우를 설정하였다.
하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엘라스테이즈 저해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하기 표 3에 표기된 수치는 시료 1 mg/mL에 대한 저해율로 나타내었다.
구 분 |
저해율(%) |
실시예 1 |
10.398 |
실시예 2 |
2.581 |
실시예 3 |
효과 나타나지 않음 |
실시예 4 |
7.917 |
실시예 5 |
25.806 |
상기 표 3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단독 야생화를 이용한 실시예 1 내지 4는 엘라스테이즈 활성저해시험에서는 우수한 효과가 나타나진 않았으나, 혼합 추출 실시예 5에서는 단일 추출물들에 비해 향상된 엘라스테이즈활성 저해 효과를 보였다.
<실험예 3> 미백효과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물질이 갖는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라는 효소의 기능이 억제되는 정도를 보고 미백효과를 판단하였다.
타이로시네이즈는 생체 내에서 타이로신(tyrosine)이라는 물질의 산화과정을 촉진하여 멜라닌이 생성되게 도와주는 효소이다. 본 실험예에서는 이 효소의 기능을 억제하여 티로신이 산화되어 멜라닌이라는 흑색의 고분자를 형성하는 것을 억제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Pomerantz S. H., J. Biochem., 24:161-168, 1966)을 응용해 미백효과를 판정하였다.
각 시료들의 타이로시네이즈에 대한 저해활성은 시료 0.9 mL, 0.1 M 인산완충액(pH 6.8) 1.0 mL 및 1.5 mM L-티로신 용액 1.0 mL을 넣은 후, 37℃에서 10분간 워밍업(warm-up)시켰다. 머시룸 타이로시나제(1,500 units/mL) 0.1 mL를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UV-Vis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타이로시네이즈에 대한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한편, 상기 타이로시네이즈저해시험을 위한 대조군은 시료액 대신 완충용액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며, 타이로시네이즈 대신 완충용액 넣어 각각의 색 보정값을 얻은 경우로 설정하였다.
하기 수학식 4를 이용하여 타이로시네이즈 저해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으며, 하기 표 4에 표기된 수치는 시료 1 mg/mL에 대한 저해율로 나타내었다.
구 분 |
저해율(%) |
실시예 1 |
27.103 |
실시예 2 |
1.689 |
실시예 3 |
효과 나타나지 않음 |
실시예 4 |
19.209 |
실시예 5 |
34.150 |
상기 표 4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실시예 1을 제외한 단독 추출물 실시예에서는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저해 효과가 미미하였다. 그러나 혼합 추출물 실시예 5에서는 단일 추출 실시예들인 실시예 2 내지 4에 비해 매우 향상된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저해 효과를 보였으며, 실시예 1보다도 향상된 효과를 나타내어 미백 화장료로서의 유용성을 볼 수 있었다.
<실험예 4> 안전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물질들의 화장료로서의 1차 안전성을 검증하고자 정상 사람 섬유아세포(normal human fibroblast)를 배양하여 MTT assay 방법으로 세포 생존력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예에 사용된 정상 사람 섬유아세포는 코씨드바이오팜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세포를 10% 소혈청을 첨가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1×104 세포의 밀도로 접종하고 하루 동안 5% CO2, 37℃에서 배양시켰다. 추출물 시료를 농도별로 혈청을 함유하지 않은 배지에 희석하여 처리하였다. 1일간 배양 후 세포 염색용 염료인 MTT (3-(4,5-dimethylthiazol-2-yl)-2,5- diphenyltetrazolium bromide)를 처리 후, 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염색결정체를 디메틸설폭시드(dimethy sulfoxide)로 녹여내어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상대 비교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추출물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배양액을 사용하였다. 하기 수학식 5를 이용하여 세포의 생존능력을 수치로 계산하고, 추출물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세포증식율(%)을 100으로 할 때의 상대적인 세포증식효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 분 |
세포생존율(%) |
10 ug/mL |
100 ug/mL |
1 mg/mL |
실시예 1 |
90.594 ~ 95.251 |
96.724 ~ 98.889 |
103.182 ~ 105.112 |
실시예 2 |
88.455 ~ 89.841 |
81.394 ~ 85.354 |
89.477 ~ 101.221 |
실시예 3 |
84.424 ~ 86.212 |
82.129 ~ 84.635 |
92.090 ~ 95.264 |
실시예 4 |
84.099 ~ 85.421 |
96.778 ~ 98.559 |
115.309 ~ 117.254 |
실시예 5 |
85.947 ~ 89.644 |
90.089 ~ 95.627 |
92.643 ~ 95.259 |
상기 표 5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는 1 mg/mL 농도까지 섬유아세포 생존력이 9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실시예들이 섬유아세포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제형예 1>
상기 실시예 5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물질을 함유한 유연화장수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6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한편, 하기 표 6의 각 성분 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성분 1(정제수)에 성분 2와 3을 교반 분산시킨 후, 성분 4 내지 6을 가하고, 성분 8 내지 10을 성분 7에 용해시킨 물질과 성분 11을 차례로 가하여 혼합하는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제형예로서는 성분 11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 구성이나 그 제조방법은 동일하게 진행하여 제조하였다.
번호 |
성 분 |
제형예 1 |
비교제형예1 |
1 |
정제수 |
잔량 |
잔량 |
2 |
카보머 |
0.1 |
0.1 |
3 |
하이드록시에칠셀루로오스 |
0.1 |
0.1 |
4 |
부틸렌글라이콜 |
2.0 |
2.0 |
5 |
글리세린 |
1.0 |
1.0 |
6 |
피이지-1500 |
0.5 |
0.5 |
7 |
에탄올 |
8.0 |
8.0 |
8 |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
0.2 |
0.2 |
9 |
트리에탄올아민 |
0.1 |
0.1 |
10 |
방부제 |
미량 |
미량 |
11 |
실시예 5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물질 |
10.0 |
- |
<제형예 2>
상기 실시예 5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물질을 함유한 탄력로션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7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한편, 하기 표 7의 각 성분 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성분 1 내지 7을 70℃의 온도에서 가열 용해시킨 다음, 성분 8 내지 11을 성분 12에 용해 분산시켜 70℃로 가열한 것에 유화한다. 이후, 상기 유화한 것을 성분 13으로 중화하고, 56℃의 온도로 냉각한 후, 성분 14를 가하여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번호 |
성 분 |
제형예 2 |
비교제형예 2 |
1 |
세테아릴알코올 |
1.0 |
1.0 |
2 |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
1.0 |
1.0 |
3 |
폴리소르베이트 60 |
1.0 |
1.0 |
4 |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
0.3 |
0.3 |
5 |
세틸옥타노에이트 |
6.0 |
6.0 |
6 |
스쿠알란 |
4.0 |
4.0 |
7 |
아프리코드커넬오일 |
4.0 |
4.0 |
8 |
글리세린 |
5.0 |
5.0 |
9 |
카보머 |
0.1 |
0.1 |
10 |
산탄검 |
0.03 |
0.03 |
11 |
방부제 |
미량 |
미량 |
12 |
정제수 |
잔량 |
잔량 |
13 |
아르기닌 |
0.1 |
0.1 |
14 |
실시예 5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물질 |
10.0 |
- |
<실험예 5> 피부 보습 효과의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물질이 갖는 피부 보습에 대한 임상시험으로 피부수분측정기(Corneometer, Courage + Khazaka,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전도도를 측정함으로써 피부 보습력을 평가하였다.
피부수분측정기에 의한 보습력 측정은 피부표면(예, 각질층)의 수분함량을 정전부하용량 계측법(capacitance measurement)으로 측정하는 장비로 피부표면 수분함량 측정이 이미 국소에 도포된 시료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탐침센서 접촉부위 아래로 30~40 um 깊이의 일정한 측정레벨을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피부수분측정은 실내온도 20~25℃, 상대습도 40~55% 로 유지시킨 항온항습 조건에서 피부수분측정기를 이용하여 4명의 피검사자에 대하여 팔 안쪽을 측정부위로 하여 2×2 cm의 면적에 제형예 2를 7.5 uL 적용하여 시간별로 측정하였다. 또한 한 측정부위를 각 5회씩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표시하였다. 하기 수학식 6을 이용하여 보습력으로서 피부전도도증가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시료 도포 전에 피부전도도를 측정하여 기본값으로 하였으며, 대조군은 제형예 및 비교제형예 모두 도포하지 않은 것으로 하였다.
시간 경과 (시간) |
피부 보습력 (%) |
대조군 |
제형예 2 |
비교제형예 2 |
0 |
100 |
100 |
100 |
0.5 |
112 ± 7 |
161 ± 8 |
142 ± 5 |
1.5 |
112 ± 5 |
127 ± 8 |
115 ± 4 |
3 |
105 ± 6 |
121 ± 10 |
112 ± 2 |
5 |
99 ± 3 |
109 ± 2 |
100 ± 3 |
상기 표 8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5를 함유하는 제형예 2를 도포함에 따라, 비교제형예 2에 비해 피부 보습력이 증가하였다.
<제형예 3>
상기 실시예 5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물질을 함유한 영양크림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9와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한편, 하기 표 9의 각 성분 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성분 1 내지 7을 70℃의 온도에서 가열 용해시킨 다음, 성분 9 내지 12를 성분 13에 용해 분산시켜 70℃로 가열한 것에 유화하였다. 이후, 상기 유화한 것을 56℃의 온도로 냉각한 후, 성분 14를 가하여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번호 |
성 분 |
제형예 3 |
비교제형예 3 |
1 |
세테아릴알코올 |
1.0 |
1.0 |
2 |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
1.0 |
1.0 |
3 |
폴리소르베이트 60 |
1.0 |
1.0 |
4 |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
0.3 |
0.3 |
5 |
세틸옥타노에이트 |
6.0 |
6.0 |
6 |
스쿠알란 |
8.0 |
4.0 |
7 |
아프리코드커넬오일 |
4.0 |
4.0 |
8 |
디메치콘 |
2.0 |
2.0 |
9 |
글리세린 |
5.0 |
5.0 |
10 |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
0.4 |
0.4 |
11 |
산탄검 |
0.03 |
0.03 |
12 |
방부제 |
미량 |
미량 |
13 |
정제수 |
잔량 |
잔량 |
14 |
실시예 5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물질 |
10.0 |
- |
<실험예 5>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가지 유용한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주름개선효과 및 피부자극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형예 3과 제형 비교제형예 3에서 제조된 영양크림을 이용하여 관능시험을 실시하였다.
관능시험은 피부의 주름개선효과 항목에 대하여는 제형예 3의 영양크림을 기준으로 비교제형예 3의 영양크림이 나타내는 주름개선효과를 상대적으로 평가하게 하였고, 피부자극에 대한 관능평가는 피부의 가려움, 따가움 및 홍반 등의 현상을 평가하게 하였다. 평가는 매우 우수(5점), 우수(3점), 보통(0점), 나쁨(-3점), 매우 나쁨(-5점)의 오점법 기준에 의거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0에서 피부자극은 피부자극이 없는 정도를 나타낸다.
번호 |
피부자극 |
주름개선효과 |
제형예 3 |
비교제형예 3 |
1 |
5 |
5 |
5 |
2 |
4 |
5 |
5 |
3 |
5 |
5 |
5 |
4 |
4 |
4 |
4 |
5 |
5 |
5 |
4 |
6 |
5 |
5 |
4 |
7 |
4 |
4 |
4 |
8 |
4 |
4 |
4 |
9 |
5 |
5 |
5 |
10 |
5 |
5 |
5 |
11 |
4 |
4 |
4 |
12 |
5 |
5 |
5 |
13 |
4 |
4 |
4 |
14 |
5 |
5 |
5 |
15 |
4 |
4 |
4 |
16 |
5 |
5 |
5 |
17 |
4 |
4 |
4 |
18 |
4 |
4 |
4 |
19 |
5 |
5 |
5 |
20 |
4 |
5 |
5 |
평균 |
4.43 |
4.52 |
4.50 |
상기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형예 3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피부자극 평가점수는 4.43점으로 매우 양호하게 평가되어, 비교제형예 3과 마찬가지로 피부자극 정도가 낮아 피부 안전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제형예 3 대비 제형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이 가진 상대적인 피부의 주름개선효과는 평가점수 4.50점으로 개선 정도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