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90080695A -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0695A
KR20090080695A KR1020080006596A KR20080006596A KR20090080695A KR 20090080695 A KR20090080695 A KR 20090080695A KR 1020080006596 A KR1020080006596 A KR 1020080006596A KR 20080006596 A KR20080006596 A KR 20080006596A KR 20090080695 A KR20090080695 A KR 20090080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pressing
cargo hold
shee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5042B1 (ko
Inventor
정영락
강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6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042B1/ko
Publication of KR20090080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84Attachments to the ground, e.g. mooring or anch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8Assembling processes by screws, bolts or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5/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누름판을 밸런싱 링크절 방식의 가압부에 결합시킨 후 토크량 조절이 가능한 나사조임부로 가압함에 따라, 다양한 기하학적 표면형상을 갖는 코너패널의 코너부에 대응하여 시트를 정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고, 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균일한 접착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는 화물창에 설치된 코너패널의 코너부에 시트를 가압하는 것으로서, 코너패널의 코너부의 면적 대비, 상대적으로 협소한 면적과 판형상을 갖고 복수개로 구비되어 부분적인 면압을 복수 지점에서 제공하는 누름판(110); 이런 누름판이 기구적 관절수단을 통해 밸런싱 링크절 방식으로 결합된 가압부(120); 이런 가압부(120) 각각에게 나사 회전을 통해 개별적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나사조임부(130); 이런 나사조임부(130)의 작동으로 인해 발생된 가압력에 대한 반발력을 지탱하는 앵글부(140); 이런 앵글부와 나사조임부를 지지하는 골격형 구조의 프레임부(150)를 포함한다.
시트, 누름판, 가압부, 나사조임부, 앵글부, 프레임부

Description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CORNER TYPE PRESSING APPARATUS FOR SHEET BONDING IN CARGO}
본 발명은 선박 및 그의 화물창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엔지 운반선과 같은 선박은 카고(cargo)에 해당하는 화물창 내부를 영하 163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단열재(insulation)를 설치하고 있다.
화물창은 다각형의 구조로 제작 가능하여, 각각의 코너부는 해당 기술 규격의 규격 각도, 스팩 등에 상응한 형상의 프레임(예 : corner holder 등)을 갖는다.
예컨대, 화물창의 코너부는 규격 각도 90도, 108도, 135도, 162도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다.
화물창에는 화물창 시스템의 핵심소재로서 1차 방벽에 해당하는 코러게이션(corrugation) 형상의 멤브레인과, 2차 방벽에 해당하는 시트 및 단열재가 시공된다.
화물창 시공용 단열재에는 코너패널, 하드우드키 어셈블리(1)(도 1참조) 등이 있다. 하드우드키 어셈블리는 코너패널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앵커베이스 및 앵커볼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규격 각도별로 준비되어서 화물창의 해당 코너 부에 설치된다.
이후, 트리플렉스와 같은 시트는 코너패널의 코너부를 기준으로 에폭시 글루(Epoxy Glue) 또는 PU Glue(폴리우레탄 그루)라는 접착제와 누름 치구 등을 사용하여 부착된다. 코너패널의 코너부는 하드우드키 어셈블리 사이 빈공간의 하부에 해당하는 코너패널의 코너부간 연접부위 및 그 주변으로서 시트 부착 작업영역(2)(도 1참조)에 해당한다.
그런데, 화물창 제작과정에 있어서 선체의 휨은 불가피하게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그 선체 위의 코너패널 등의 설치 상태는 시트 부착 품질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
비록, 시트 부착 품질 유지를 위해서 선체의 휨 등을 보정하기 위해 변형량을 측정한 후 레벨 패드가 부착되더라도, 레벨 패드의 측정 정도가 낮으며, 벽체간 각도 차이 등을 완전히 보정하기가 힘들다. 이와 같은 원인으로 인해 후속 공정에 많은 영향이 나타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한 원인으로 인해 코너패널간의 단차가 발생하여 도포된 접착제의 차이가 생기거나, 코너패널의 코너부의 높이 및 각도 등이 상이 할 수 있다.
또한, 코너패널 설치 과정에서 단차 등을 맞추기 위해 코너패널에 무리한 힘을 가하기도 하여 변형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코너패널에서 시트가 박리되는 경우가 있어 부착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외에도, 선박의 이동에 의한 변형, 단열재 부착을 위한 수지성 접착제 경화 과정에서 변형이 발생되어 코너패널의 설치 상태에 영향을 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코너용 누름 치구(4)는 화물창의 코너부라고 할 수 있는 하드우드키 어셈블리(1)의 사이에 형성된 시트 부착 작업영역(2)인 코너패널의 코너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수동 롤러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접착제 위에 시트(3)를 가접착한 다음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시트(3)를 미리 정한 압력으로 가압하고 일정 온도로 경화시키는 지그조립체(jig assembly)를 의미한다.
코너용 누름 치구(4)는 복수개로서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시트 부착 작업 때마다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작업 수행 후 다시 분리되는 구성요소, 예컨대 압착판(5), 에어 프레싱 보드(6)(air pressing board) 또는 에어 매트릭스, 앵글형 외곽 고정부(7)(wooden wedge), 2개의 설치앵글(8), 보정용 서포트(9)를 포함한다.
시트(3)의 상면에는 히터를 내장하거나 고무판 등을 덧댄 압착판(5)이 놓여지고, 그 위에 에어 프레싱 보드(6) 등이 놓여진다.
또한, 에어 프레싱 보드(6)의 위에는 외곽 고정부(7)가 놓여지고, 이러한 외곽 고정부(7)를 누르도록 2개의 설치앵글(8)이 배치되는데, 그 설치앵글(8) 각각의 끝단은 양측 하드우드키 어셈블리(1)의 앵커베이스 및 앵커볼트 등의 취부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어 있다.
특히, 작업자는 보정용 서포트(9)의 사용에 있어서도 순수하게 작업자의 감에 의존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에어 프레싱 보드(6)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11~12시간 동안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 에어 프레싱 보드(6)의 정압으로24시간 동안 가압하는 단계를 거치면, 시트(3)가 시트 부착 작업영역(2)인 코너패널의 코너부에 부착 및 고착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코너용 누름 치구는 작업이 요구될 때마다 압착판 위에 에어 프레싱 보드, 외곽 고정부, 2개의 설치앵글, 보정용 서포트를 순차적으로 결합 또는 해체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작업자의 숙련도와 코너패널의 설치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시트 부착 품질이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코너용 누름 치구는 에어 프레싱 보드의 압력을 균일하게 제공하기 위해서, 압착판 위에 에어 프레싱 보드, 외곽 고정부, 2개의 설치앵글, 보정용 서포트간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어야 하고, 이동 및 설치가 번거롭고 사용상 불편한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코너용 누름 치구는 에어 프레싱 보드의 재질(예 : 합성수지)과, 외곽 고정부의 재질(예 : 나무)과, 설치앵글(예 : 금속)의 재질이 상호 달라 이들을 서로 연결하기가 매우 어렵고, 이들을 연결하더라도 에어 프레싱 보드의 압력 작용에 따라 연결 지점에서 이형 재질에 따른 파손이나 파괴가 발생될 염려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코너용 누름 치구 중 외곽 고정부는 나무 재질 및 판형 구조물로 제작되어 내구성과 구조적 강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특히, 종래의 외곽 고정부는 코너패널의 코너부에 대응하여 단순히 평활하면서 상기 시트 부착 작업영역 전체를 모두 한번에 덮어 가압하기 위한 상부 측면과 하부 저면을 갖기 때문에, 미스얼라인, 단차, 갭, 요철, 볼록형상(convex), 오목형상(concave), 기울어짐 등과 같은 기하학적 표면형상과 같은 실제 현장 상황에서 시트 부착 작업영역의 코너부에 밀착 대응하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코너용 누름 치구는 외곽 고정부와 에어 프레싱 보드의 설치에 있어 작업자의 기량에 크게 의존되기 때문에 부착 품질 불량이 수시로 발생하고 있다.
예컨대, 압착판과 외곽 고정부 및 설치앵글이 분리되어 있어, 에어 프레싱 보드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동안 압착판을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있어야 함과 함께 위치를 맞추어 주어야 한다. 특히, 압착판의 코너부위가 코너패널의 코너부에 정확하게 위치해 있지 않았을 경우 에어 프레싱 보드에 공기가 주입되는 압력으로 인해 압착판이 제 위치를 찾게 되는 반면, 이로 인하여 압착판이 유동하였기에, 결과적으로 시트가 밀리게 되어 불량의 원인이 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코너용 누름 치구는 에어 프레싱 보드만으로 코너부의 꺾이거나 돌출된 부위를 가압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여 별도의 보정용 서포트를 사용하여야 하며, 이 또한 전적으로 작업자의 기량에 따라 가압되는 정도가 달라지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코너용 누름 치구는 에어 프레싱 보드를 위한 공기 주입용 호스 연결, 호스 라인 처리 등과 같은 부가 작업이 더 요구되므로,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모되고 있고, 호스 자체가 작업 현장에서 방해물로 작용하고 있다. 예컨대, 에어 프레싱 보드는 일종의 에어백과 같은 형태이므로 공기가 유입될 때 먼저 가압되는 방향을 알기 어려워 제어 및 사용이 쉽지 않고, 치구 설치시마다 에어 프레싱 보드에 연결할 공기 주입 라인을 포설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개의 누름판을 밸런싱 링크절 방식의 가압부에 결합시킨 후 토크량 조절이 가능한 나사조임부로 가압함에 따라, 다양한 기하학적 표면형상을 갖는 코너패널의 코너부에 대응하여 시트를 정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고, 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균일한 접착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화물창에 설치된 코너패널의 코너부에 시트를 가압하는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너패널의 코너부의 면적 대비, 상대적으로 협소한 면적과 판형상을 갖고 복수개로 구비되어 부분적인 면압을 복수 지점에서 제공하는 누름판; 상기 누름판이 기구적 관절수단을 통해 밸런싱 링크절 방식으로 결합된 가압부; 상기 가압부 각각에게 나사 회전을 통해 개별적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나사조임부; 상기 나사조임부의 작동으로 인해 발생된 가압력에 대한 반발력을 지탱하는 앵글부; 상기 앵글부와 상기 나사조임부를 지지하는 골격형 구조의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누름판, 밸런싱 링크절 방식의 가압부, 토크량 조절이 가능한 나사조임부, 프레임부를 합체시킨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를 제공함에 따라, 이동, 보관, 사용이 간편하고, 여러 개의 구성 요소를 동시에 다루어야 하는 기존의 코너용 누름 치구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기존의 에어 프레싱 보드의 사용에 따른 부가적인 작업을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는 복수개로서 개별적 움직임이 가능한 누름판을 밸런싱 링크절 방식의 가압부를 통해 가압시키도록 되어 있어서, 단차, 갭, 요철, 볼록형상(convex), 오목형상(concave), 기울어짐 등과 같은 기하학적 표면형상을 갖는 코너패널의 코너부에서도 기밀하고 정밀하며 입체적인 면압을 제공하여, 균일한 접착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는 가해지는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최소한의 골격형 구조의 프레임부를 갖고 있음에 따라 금속 재질임에도 불구하고 중량을 상대적으로 최소화 하였고, 기존의 누름판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추가적인 누름판 변경이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는 토크렌찌 등과 같은 토크량 조절용 공구의 사용을 가능케 하여 미 숙련자도 용이하고 일괄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는 복수개의 나사조임부 중에서, 코너쪽 나사조임부를 중심기준선(CL)에 일치시킨 반면, 코너쪽 나사조 임부의 주변에 배치된 코너 위쪽 나사조임부 또는 코너 오른쪽 나사조임부를 상기 중심기준선에 편심되도록 배치 결합시킴에 따라, 해당 나사조임부 각각의 조임볼트를 풀어 상승시킬 때, 해당 조임볼트의 볼트헤드가 서로 간섭되지 않게 하여, 토크량 조절용 공구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면서 신속한 볼트 조임 또는 풀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는 나사조임부의 조임볼트를 조이거나 풀 때 가이드의 도움을 받아 가압부를 직선 이동시킴에 따라 효율적인 가압 작동을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1실시예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좌측면도이다. 또한,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선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선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d는 도 3에 도시된 가압부 및 나사조임부의 배치관계에 대한 응용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100)는 코너패널 및 하드우드키 어셈블리(도시 안됨)의 설치 후, 코너패널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드우드키 어셈블리의 사이에 해당하는 시트 부착 작업영역인 코너패널의 코너부에 시트를 부착한 것을 가압하기 위한 치구, 장비 내지 장치로서 이해된다.
이런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100)는 누름판(110), 가압부(120), 나사조임부(130), 앵글부(140), 프레임부(150)를 포함한다.
누름판(110)은 코너패널의 코너부의 각종 기하학적 표면형상에 따라 대면되는 각도를 변화시키는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회동(m1)(도 4a 참조)하도록, 힌지 핀, 힌지베이스, 피봇, 조인트, 중 어느 하나와 같은 기구적 관절수단을 이용한다.
누름판(110)은 단편적이거나 부분적인 면압을 복수 지점에서 발생시키도록, 코너패널의 코너부의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협소한 면적과 판형상으로서, 복수개 또는 복수 쌍으로 구비되어, 코너패널의 코너부에 대해 기밀하고도 정밀한 면압 발생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누름판(110)은 PC(polycarbonate) 또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 등과 같이 리지드(rigid)한 접촉판부(111)와, 접촉판부(111)의 저면과 양측면을 제외한 접촉판부(111)의 전면 및 후면과 상면을 기반으로 고정된 한글 디귿자 단면 형상의 금속케이싱부(112)와, 금속케이싱부(112)의 상부 중심에서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힌지베이스(113)를 포함한다.
누름판(110)은 재료, 형상(예 : 사각판, 삼각판, 원판, 육각판 등), 크기, 수량 등에서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각각의 누름판(110) 각각의 힌지베이스(113)는 아래에 설명할 바와 같이 회동 또는 힌지 작동 가능하게 가압부(120)에 결합된다.
가압부(120)는 상기 기구적 관절수단을 통해 복수개의 누름판(110)과 밸런싱 링크절 방식으로 결합된다.
도 2와 도 4a를 병행 참조하면, 각각의 가압부(120)는 누름판(110)의 힌지베이스(113)에 양단부를 결합하여 천칭과 같이 가압력을 분산시키는 밸런싱축부재(121)와, 상기 밸런싱축부재(121)의 중간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너클조인트(122)와, 너클조인트(122) 상부의 볼트체결구멍에 결합되어 조임볼트(131)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거나 마모를 감소시키는 와셔(123)와, 상기 밸런싱축부재(121)의 양쪽 상면에서 각각 상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124)를 포함한다.
나사조임부(130)는 각각의 가압부(120)별로 연결되어 나사 회전을 통해 개별적으로 가압력을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나사조임부(130)는 너클조인트(122) 상부의 볼트체결구멍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부 끝단을 삽입시키고 있되 가압부(120)의 반대쪽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나사산을 형성하고 있는 조임볼트(131)와, 조임볼트(131)의 하부 끝단의 핀구멍에 체결되어 상기 너클조인트(122)와의 결합을 유지시켜 주는 고정핀(132)과, 상기 조임볼트(131)와 나사결합되도록 프레임부(150)에 고정된 너트(133)를 포함한다.
너트(133)는 조임볼트(131)와 나사대우관계를 갖되, 용접에 의해 볼트통과구멍(155)의 상부 주변에 고정된다. 또한, 볼트통과구멍(155)의 축심과 너트(133) 의 축심이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임볼트(131)의 볼트헤드는 토크렌찌 등과 같은 토크량 조절용 공구의 소켓 규격에 대응한 규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조임부(130)의 조임볼트(131)는 토크렌찌에 체결되어 사용됨에 따라, 미 숙련자 또는 숙련 작업자에 관계없이, 일괄적인 작업 수행을 가능케 하고, 작업 불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한다.
조임볼트(131)는 토크렌찌에 설정된 나사 회전량만큼, 작업자의 인력 또는 공구장치 등에 의해서, 너트(133)에서 조여지면서 하강하거나(예 : 정나사 회전), 풀려지면서 상승(예 : 역나사 회전)하게 되며, 특히 정나사 회전에 따라 하강 하면서 가압력을 가압부(120)에게 전달한다.
나사조임부(130)의 조임볼트(131)와 너트(133)는 볼조인트 또는 볼나사 조립체 등으로 대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앵글부(140)는 하드우드키 어셈블리의 앵커볼트에 설치 또는 취부되어서, 나사조임부(130)의 작동으로 인해 가압이 발생되고, 그로 인한 모든 힘(예 : 가압력에 대한 반발력)을 지탱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앵글부(140)는 2개의 한글 니은자 단면 앵글을 사용하되, 프레임부(150)에서 볼트, 너트 결합으로 합체되어 있다.
앵글부(140)에는 코너패널의 코너부 주변에 배치된 하드우드키 어셈블리의 앵커볼트에 설치되기 위한 복수개의 제1장공(141)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부(150)에 볼트 결합되기 위한 복수개의 제2장공(142)이 형성되어 있다.
제2장공(142)용 한 쌍의 스터드볼트는 프레임부(150) 중 골격바(151)의 수직 단부에 해당하는 타측단부(151c)의 측면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하고 있다.
도 2 또는 도 3에 보이듯이, 프레임부(150)는 상기 앵글부(140)와 상기 나사조임부(130)를 지지하는 골격형 구조를 갖는다.
더욱 상세하게, 프레임부(150)는 코너패널의 코너부의 규격 각도에 대응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되 평행하면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골격바(151)와, 상기 골격바(151) 사이에서 고정되어 있되 골격바(151)의 연장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열된 복수개의 가로바(152, 152a, 152b, 152c)와, 절곡된 골격바(151)를 기반으로 각각 대각 연결된 한 쌍의 지지바(153)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프레임부(150)는 일종의 절곡된 사다리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프레임부(150)는 각형 파이프, 앵글, 프로파일 관부재, 알루미늄 프레임, 중공 관부재, 마감용 철판 등과 같은 프레임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 가능하다.
특히, 도 3에 보이듯이 측면에서 바라 보았을 때, 프레임부(150)의 골격바(151)는 골격바(151)와 동일한 프레임 재료로 만들어진 코너연결부(151a), 일측단부(151b)(예 : 수평단부), 타측단부(151c)(예 : 수직 단부)를 갖는다.
코너연결부(151a)는 일측단부(151b)와 타측단부(151c) 사이를 연결하여 각각의 골격바(151)를 형성한다.
특히, 코너연결부(151a)쪽에도 가로바(152a)가 설치된다.
코너쪽 누름판, 코너쪽 가압부, 코너쪽 나사조임부는 가로바(152a)를 기반으 로 설치되어서, 일측단부(151b) 또는 타측단부(151c)를 기준으로 설치 각도 45도를 유지하게 된다.
일측단부(151b) 또는 타측단부(151c)쪽의 가로바(152, 152b, 152c) 각각에는 일반형 누름판(110), 가압부(120), 나사조임부(130)가 일측단부(151b) 또는 타측단부(151c)를 기준으로 설치 각도 90도를 유지하도록 수직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가로바(152, 152a, 152b, 152c)들은 프레임부(150)의 골격바(151)의 연장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수개로 배열 고정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가이드구멍(154)은 프레임부(150) 각각의 가로바(152)에서 가이드(124)의 위치에 대응하게 상하 관통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가이드구멍(154)은 각각의 가이드(124)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된다.
가이드구멍(154)과 가이드(124)는 미리 설정한 바와 같이 공차를 유지하여, 너클조인트(122)를 기준으로 밸런싱축부재(121)의 회동(m2)을 가능케 하면서도, 가압부(120)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한다.
볼트통과구멍(155)은 프레임부(150) 각각의 가로바(152)에서 조임볼트(131)의 위치에 대응하게 상하 관통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승 또는 하강시의 조임볼트(131)가 볼트통과구멍(155)에 간섭되지 않도록, 볼트통과구멍(155)은 조임볼트(131)의 나사 외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2, 도 3, 도 4a를 통해서, 본 발명의 사용 방법 내지 작동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작업자는 기존과 같이 가접착된 시트 위의 압착판 위쪽으로 본 발명을 운반 및 배치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2개의 앵글부(140)를 이용하여 하드우드키 어셈블리의 앵커볼트에 고정시켜서 가압으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힘이 지탱되도록 한다.
작업자는 미리 세팅된 토크량 조절용 공구에 해당하는 토크렌찌(도시 안됨)를 이용하여 세팅된 토크량에 도달할 때까지 나사조임부(130) 각각의 조임볼트(131)를 조이거나 푸는 바와 같은 조작(f)을 수행한다.
예컨대, 도 4a의 조임볼트(131)가 정나사 회전에 상응하게 너트(133)에서 조여질 경우, 하강하면서 가압력을 너클조인트(122)를 통해 밸런싱축부재(121)에게 전달한다.
이때, 밸런싱축부재(121)는 너클조인트(122)와 가이드(123)에 의해서, 상기 조임볼트(131)와 같이 정나사 회전하지 않고 직선 하강을 하면서 상기 가압력을 분산시켜 양쪽에 배치된 누름판(110) 각각에게 전달한다.
누름판(110)과 밸런싱축부재(121)는 회동(m1, m2)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코너패널의 코너부의 기하학적 표면형상에 맞게 균형적으로 자세를 잡아서, 결국 기밀하고 입체적인 면압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프레임부(150)에서 코너연결부(151a)쪽의 가로바(152a)의 너트에는 코너쪽 나사조임부의 조임볼트가 설치되어 있고, 그 주위의 가로바(152b, 152c)의 너트에도 다른 조임볼트가 설치 각도상 몰려 설치되어서, 자 칫 조임볼트들의 풀림에 따라 상승할 때 한 곳으로 집중되어서, 볼트헤드가 상호 간섭이 일어나거나, 또는 토크렌찌 사용이 불가할 수 있는 경우를 회피하도록 본 발명은 고안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간섭 문제 등을 본 발명에서 해결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조임볼트(131)들 중에서, 코너쪽 나사조임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골격바의 양쪽 끝단에 배치된 조임볼트(131)는 도 4a에서와 같이 중심기준선(CL)에 일치되어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위쪽 나사조임부의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다른 조임볼트(131)는 상기 도 4a의 코너쪽 나사조임부에 비해 오른쪽에 배치된 것이다. 이때, 상기 다른 조임볼트(131)는 중심기준선(CL)으로부터 좌측으로 편심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함께 해당 너트(133), 볼트통과구멍(155), 너클조인트(122)도 골격바의 일측단부(151b)쪽의 가로바(152b) 상에서 상기 조임볼트(131)에 체결되도록 좌측으로 편심되게 배치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위쪽 나사조임부의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또 다른 조임볼트(131)는 상기 도 4a의 코너쪽 나사조임부에 비해 위쪽에 배치된 것이다. 이때, 상기 또 다른 조임볼트(131)는 중심기준선(CL)으로부터 우측으로 편심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함께 해당 너트(133), 볼트통과구멍(155), 너클조인트(122)도 역시 골격바의 타측단부(151c)쪽의 가로바(152c) 상에서 편심 배치된다.
상기 도 4b와 도 4c에서는 조임볼트(131) 및 관련 구성인 너트(133), 볼트통과구멍(155) 및 너클조인트(122) 등이 편심되게 배치 및 결합되었으나, 도 4d와 같이, 조임볼트(131) 및 관련 구성을 비롯하여 가이드(124), 밸런싱축부재(121), 누 름판(110) 전체를 중심기준선(CL)으로부터 편심 배치되게 설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실시예
제2 실시예는 프레임부의 절곡 각도를 화물창의 코너부의 규격 각도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하며, 중복 설명을 피하고 간략한 설명을 위해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는 대신 특징 있는 부위를 기준으로 설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200)의 프레임부(150)는 화물창의 코너부의 규격 각도(R)를 만족하는 어느 하나의 절곡 각도(R1, R2, R3, R4)를 갖도록 제작되어 있다.
예컨대, 절곡 각도(R1, R2, R3, R4)는 90도, 108도, 135도, 162도가 될 수 있다.
특히, 절곡 각도(R1, R2, R3, R4)가 커질수록, 대각으로 연결된 지지바(153)가 골격바(151) 쪽으로 근접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보안하도록, 지지바(153)의 양단과 골격바(151) 각각의 사이에는 절곡어댑터바(158)가 더 개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곡어댑터바(158)의 일측은 지지바(153)의 양단에 용접되고, 절곡어댑터 바(158)의 타측은 골격바(151)를 향하도록 꺾여 연장된 후 골격바(151)의 표면에 용접된다.
또한, 프레임부(150)는 규격별로 다양한 크기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누름판 개수 증가 또는 감소가 있다. 특히, 누름판 개수 증가시 지지바(153) 및 골격바(151)의 길이 증가를 가져와 구조적 강성 확보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복수개의 보강바(159)는 골격바(151)를 기반으로 지지바(153)를 지지하여 보강하도록, 골격바(151)와 지지바(153) 사이에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임부(150)는 절곡 각도(R1, R2, R3, R4)의 증가에 따라 코너 가압을 위한 코너쪽 가압부 및 코너쪽 나사조임부의 배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골격바(151)의 코너연결부(151a)를 한글 디귿자 단면의 앵글로 제작함에 따라 할 수 있다.
또한, 코너쪽 나사조임부의 왕복 스트로크 또는 조임볼트의 리드 이동 길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코너연결부(151a)의 위에는 돌출앵글(157)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코너용 누름 치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좌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선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선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d는 도 3에 도시된 가압부 및 나사조임부의 배치관계에 대한 응용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10 : 누름판 120 : 가압부
130 : 나사조임부 131 : 조임볼트
140 : 앵글부 150 : 프레임부

Claims (10)

  1. 화물창에 설치된 코너패널의 코너부에 시트를 가압하는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너패널의 코너부의 면적 대비, 상대적으로 협소한 면적과 판형상을 갖고 복수개로 구비되어 부분적인 면압을 복수 지점에서 제공하는 누름판;
    상기 누름판이 기구적 관절수단을 통해 밸런싱 링크절 방식으로 결합된 가압부;
    상기 가압부 각각에게 나사 회전을 통해 개별적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나사조임부;
    상기 나사조임부의 작동으로 인해 발생된 가압력에 대한 반발력을 지탱하는 앵글부;
    상기 앵글부와 상기 나사조임부를 지지하는 골격형 구조의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리지드(rigid)한 접촉판부;
    상기 접촉판부의 전면 및 후면과 상면을 기반으로 고정된 금속케이싱부;
    상기 금속케이싱부의 상부 중심에서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힌지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누름판에게 천칭과 같이 가압력을 분산시키는 밸런싱축부재;
    상기 밸런싱축부재의 중간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너클조인트;
    상기 너클조인트 상부의 볼트체결구멍에서 조임볼트의 회전을 유도하도록 결합된 와셔;
    상기 밸런싱축부재의 양쪽 상면에서 각각 상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조임부는
    너클조인트 상부의 볼트체결구멍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부 끝단을 삽입시키고 있되 상기 가압부의 반대쪽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나사산을 형성하고 있는 조임볼트;
    상기 조임볼트의 하부 끝단의 핀구멍에 체결되어 상기 너클조인트와의 결합을 유지시켜 주는 고정핀;
    상기 조임볼트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된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부는
    상기 코너패널의 코너부 주변에 배치된 하드우드키 어셈블리의 앵커볼트에 설치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제1장공;
    상기 프레임부에 볼트 결합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제2장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코너패널의 코너부의 규격 각도에 대응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되 평행하면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골격바;
    상기 골격바 사이에서 고정되어 있되 상기 골격바의 연장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열된 복수개의 가로바;
    상기 골격바를 기반으로 각각 대각 연결된 한 쌍의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의 양단과 상기 골격바 각각의 사이에는 절곡어댑터바가 더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바와 상기 지지바 사이에서 연결되는 복수개의 보강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바에는 코너쪽 가압부 및 코너쪽 나사조임부의 배치 공간을 확보하도록, 한글 디귿자 단면의 코너연결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연결부의 위에는 상기 코너쪽 나사조임부의 왕복 스트로크를 확보하기 위하여, 돌출앵글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
KR1020080006596A 2008-01-22 2008-01-22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 KR100955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596A KR100955042B1 (ko) 2008-01-22 2008-01-22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596A KR100955042B1 (ko) 2008-01-22 2008-01-22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695A true KR20090080695A (ko) 2009-07-27
KR100955042B1 KR100955042B1 (ko) 2010-04-28

Family

ID=41291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596A KR100955042B1 (ko) 2008-01-22 2008-01-22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04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332B1 (ko) * 2008-07-29 2011-01-28 주식회사 한국카본 코너패널의 제조방법
KR101381221B1 (ko) * 2012-05-25 2014-04-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압 장치
KR101434574B1 (ko) * 2012-06-08 2014-08-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푸싱 장치
KR20160074886A (ko) 2014-12-19 2016-06-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
KR20220109036A (ko) * 2021-01-28 2022-08-04 주식회사 예원 가압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화물창용 코너 가압장치
KR20220109035A (ko) * 2021-01-28 2022-08-04 주식회사 예원 화물창용 코너 가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360B1 (ko) * 2014-08-22 2016-08-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 코너부 하부단열보드 지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5170A (ja) * 1993-12-13 1995-06-27 Nkk Corp メンブレン肌合わせ用治具
JPH07165167A (ja) * 1993-12-15 1995-06-27 Nkk Corp メンブレンアングルピース取付け用治具
JPH07165168A (ja) * 1993-12-16 1995-06-27 Nkk Corp メンブレン肌合わせ用治具
JPH07172381A (ja) * 1993-12-21 1995-07-11 Nkk Corp メンブレン溶接用拘束治具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332B1 (ko) * 2008-07-29 2011-01-28 주식회사 한국카본 코너패널의 제조방법
KR101381221B1 (ko) * 2012-05-25 2014-04-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압 장치
KR101434574B1 (ko) * 2012-06-08 2014-08-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푸싱 장치
KR20160074886A (ko) 2014-12-19 2016-06-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
KR20220109036A (ko) * 2021-01-28 2022-08-04 주식회사 예원 가압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화물창용 코너 가압장치
KR20220109035A (ko) * 2021-01-28 2022-08-04 주식회사 예원 화물창용 코너 가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5042B1 (ko) 201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042B1 (ko) 화물창 시트 부착용 코너형 가압장치
KR100853985B1 (ko) 화물창 코너부의 시트 가압장치
JP5977578B2 (ja) アンカーボルトの引き抜き試験装置及び試験方法
WO2014183594A1 (zh) 石材安装结构及安装石材的方法
CN106906993B (zh) 一种导架爬升式工作平台的附墙装置及其安装方法
CN109025145B (zh) 预制外墙挂板的可调型连接节点构造及其施工方法
KR20080055216A (ko) 가공장비의 수평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평 조절 방법
KR100948585B1 (ko) 바닥 시공방법
JP2008291438A (ja) アンカーフレーム
CN210498895U (zh) 用于钢结构焊接时钢板间的接缝调紧装置
CN115162183A (zh) 用于倾斜结构端面的锚固装置及其锚固方法、安装方法
JP3832846B2 (ja) アンカーボルトの支持装置
CN212173289U (zh) 一种长寿命的平台面钢结构
CN219455292U (zh) 固定式可拆卸传感器称重模块
CN210499048U (zh) 一种起重机上横梁焊接工装
CN113235954B (zh) 滑动支座垫板用定位架和滑动支座楼梯的施工方法
CN217951106U (zh) 配重支撑调平结构及起重机
CN101725333A (zh) 抽油机的驴头自动调节装置
CN210471609U (zh) 弧形床头板安装架
CN215789451U (zh) 用于拧紧后悬托架的定位机构
CN220022687U (zh) 光伏板安装用便携式脚踏装置
CN215054894U (zh) 一种调平地脚
CN219732013U (zh) 一种基坑能斜抛撑的支撑体系
CN217581159U (zh) 一种建筑施工架体连墙件
CN220184738U (zh) 一种方通组合梁主龙骨支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