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2503A -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72503A KR20090072503A KR1020070140638A KR20070140638A KR20090072503A KR 20090072503 A KR20090072503 A KR 20090072503A KR 1020070140638 A KR1020070140638 A KR 1020070140638A KR 20070140638 A KR20070140638 A KR 20070140638A KR 20090072503 A KR20090072503 A KR 200900725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era
- lens
- mount
- screw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별도의 렌즈나 기구 없이도 접사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 본체; 및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인입 및/또는 인출되는 마운트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별도의 렌즈나 기구 없이도 접사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문가급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디지털 일안 반사식(Digital Single Lens Reflex, DSLR) 카메라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란 디지털 사진을 찍는 일안 반사식 카메라를 말한다.
여기서, 일안 반사식이란 한 개의 렌즈를 통해서 뷰파인더로 사물을 보내기도 하고, 사진을 찍는 센서에 빛을 보내기도 하는 방식을 말한다. 흔히 사용하는 보급형 디지털 카메라는 이안식(二眼式)이다. 따라서, 보급형 디지털 카메라는 보는 것과 찍히는 것이 달라서 센서에 전달되는 이미지를 화면을 통해서 보면서 찍을 수 있다.
최근, 이러한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를 이용하여 꽃이나 곤충 등을 접사 촬영하는 사용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접사(接寫, close-up)란 카메라를 렌즈의 지 근거리(至近距離) 이내로 접근시켜 피사체를 크게 찍는 것을 의미하며, 근접촬영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접사용 부속품을 병용하여 카메라의 최단촬영거리보다 가까이서 촬영하는 경우를 말하지만,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서는 카메라만으로 어느 정도 접사가 가능한 경우도 많기 때문에 촬영시에 노출을 증가할 필요가 있는 거리, 즉 렌즈 초점거리의 10배보다 촬영거리가 짧은 조건을 접사로 본다.
이와 같은 접사 촬영을 위하여 종래에는 접사 촬영 전용 렌즈 또는 접사 링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먼저, 접사에 이용되는 렌즈는 접사용 매크로렌즈, 렌즈 전면에 부착하는 철메니스커스인 보조렌즈가 있고, 이를 병용하면 합성초점거리가 짧아지지만, 렌즈와 필름의 간격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접사가 가능하다. 이 보조렌즈는 그냥 어태치먼트, 또는 클로즈업 렌즈라고도 한다. 거리계 연동용(連動用)으로는 보조렌즈에 거리계의 보정(補正)렌즈를 짝지운 오토업도 있다.
다음으로, 렌즈 교환이 가능한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는 렌즈와 보디의 중간에 장착하는 접사 링이 사용될 수 있고, 접사거리에 따라 링의 길이를 선택하여 촬영한다. 링 대신 렌즈와 보디의 중간에 장착하는 주름상자(bellows)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도 1은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의 본체와 접사 링과 렌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에서는 접사 촬영을 하기 위하여, 카메라 본체(10)의 일 측에 형성되는 마운트부(30)에서 렌즈부(20)를 분리한 후, 마운트부(30)에 별도의 접사 링(40)을 장착하고, 접사 링(40)의 전면에 렌즈부(20)를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를 이용하여 접사 촬영을 하고자 할 경우, 별도의 접사 렌즈로 렌즈를 교환하거나, 카메라 본체에서 렌즈부를 분리하고 별도의 접사 링을 장착한 후 다시 렌즈를 결합하는 방식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접사 촬영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별도의 렌즈 또는 접사 링 등의 기구물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비용적 부담이 부과되었고, 별도의 부품으로 인하여 카메라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또한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별도의 렌즈나 기구 없이도 접사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 본체; 및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인입 및/또는 인출되는 마운트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부는 상기 카메라 시스템의 접사 촬영 모드 시,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부의 일 측은 렌즈 모듈이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와 결합하여 상기 모터와 함께 회전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트부는, 내주면에 상기 스크류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터 및 상기 모터와 결합된 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마운트부는 상기 스크류를 따라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인입 및/또는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상기 마운트부가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인입 및/또는 인출될 수 있 다.
다른 측면에 관한 본 발명은, 접사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접사 촬영 모드가 설정되는 단계; 및 카메라 본체로부터 마운트부가 인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별도의 렌즈나 기구 없이도 접사 촬영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시스템의 앞쪽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본체(100)의 앞쪽에는 셔터-릴리스 버튼(111), 모드 다이얼(113), 렌즈부(200)가 구비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100)의 셔터-릴리스 버튼(111)은 정해진 시간 동안 영상 취득소자(예를 들어, CCD 또는 COMS)를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영상 취득소자에 영상을 기록한다.
셔터-릴리스 버튼(111)은 촬영자 입력에 의해 제1 및 제2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반셔터 신호로서의 제1 영상 촬영 신호가 입력되면, 카메라 본체(100)는 초점을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한다. 제1 영상 촬영 신호의 입력으로 초점이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비로소 완전셔터 신호로서의 제2 영상 촬영 신호가 입력되어 영상을 촬영한다.
모드 다이얼(113)은 촬영 모드 선택을 위해 입력된다. 카메라 본체(100)에 서, 모드 다이얼(113)에는 사용자 설정을 최소화하고 사용 목적에 따라 빠르고 간편하게 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때 이용하는 AUTO(자동 촬영) 모드, 촬영 상황 또는 피사체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카메라 설정을 간단히 설정하기 위해 이용하는 SCENE 모드, 연속촬영 장면촬영 등 영상 촬영에 특별한 효과를 주기 위해 이용하는 EFFECT 모드, 조리개와 셔터속도를 포함한 각종 기능을 수동으로 설정하여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이용하는 A/S/M 모드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상기 모드들로 국한되지 않는다.
렌즈부(200)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시스템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본체(100)의 뒤쪽에는 뷰 파인더(133),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119w), 망원(telephoto)-줌 버튼(119t), 기능버튼(121) 및 디스플레이부(123)가 있다.
카메라 본체(100)에서 뷰 파인더(133)는 촬영할 피사체를 보고 구도를 설정하기 위한 작은 창이다.
광각-줌 버튼(119w) 또는 망원-줌 버튼(119t)은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지는데,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입력할 수 있다. 광각-줌 버튼(119w)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고, 망원-줌 버튼(119t)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진다.
기능버튼(121)은 상향버튼, 하향 버튼, 좌향버튼, 우향버튼 및 메뉴/OK버튼 을 포함하여 총 5개의 버튼을 포함한다. 기능버튼(121)은 카메라 본체(100)의 동작에 관한 각종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해 입력되며, 상기 각 키들은 단축키로써도 이용될 수 있으며 기능버튼(121)은 각 제조사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시스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시스템은 카메라 본체(100)와, 렌즈부(200)와, 마운트부(300)를 포함한다.
렌즈부(200)는 다수의 렌즈(221)를 포함하고, 다수의 렌즈들(221) 사이에 조리개(222)가 배치되어 있다. 렌즈부(200)의 렌즈들(221)은 렌즈 구동 회로에 의해 구동 제어되고, 조리개(222)는 조리개 구동 회로에 의해 구동 제어가 이루어진다.
렌즈부(200)는 카메라 본체(100)의 전면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마운트부(300)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 본체(100), 렌즈부(200) 및 마운트부(300)의 결합 관계에 관하여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렌즈들(221)의 광축 상에서 렌즈들(221)의 뒤쪽에는, 대략 중앙부분이 반투명경(half mirror)으로 이루어져 있는 미러(mirror)(124)가 형성된다. 상기 미러(124)는 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미러(124)의 배면에는 서브 미러(sub mirror)(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렌즈부(200)에 입사한 빛의 일부는 미러(124)를 투과하여 서브 미러에 의해 반사된다. 상기 서브 미러의 반사광 축 상에는 2상 분리를 위한 세퍼레이 터(separator) 광학계가 배치된다. 그리고, 세퍼레이터 광학계에 의한 피사체 상의 결상 위치에는 AF 센서가 배치된다. AF 센서는 AF 센서 구동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서브 미러, 세퍼레이터 광학계 및 AF 센서는 공지의 위상차법에 의한 초점 검출 장치를 구성한다. AF 센서는 CPU의 제어 하에서, AF 센서 구동 회로에 의해서 구동 제어된다. 즉, CPU는 AF 센서에서 생성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디포커스 양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렌즈 구동 회로를 제어하여 렌즈부(200)의 렌즈들(221)을 구동하여 초점을 맞춘다. 여기서, 렌즈 구동 회로는 전자 모터 또는 초음파 모터 등의 구동원과, 이를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 회로나,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인코더(encoder) 장치 등을 포함한다.
상기 미러(124)에서 반사된 광의 경로 상에는, 초점판(131), 펜타프리즘(132) 및 뷰 파인더(133)가 배치된다. 상기 렌즈부(200)의 렌즈들(221)에서 얻어진 피사체 빛은, 미러(124)에서 반사되고, 초점판(131)에서 결상된다. 촬영자는 상기 초점판(131)에 결상되는 피사체의 상을 상기 펜타프리즘(132)과 뷰 파인더(133)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미러(124)와 서브 미러는 미러 구동 회로에 의하여 미러(124)의 축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렌즈부(200)의 렌즈들(221)의 광축 상으로부터 퇴피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부(200)의 광축 상의 미러(124) 뒤쪽에는 셔터(shutter)(126)와, 촬상 소자(127)가 배치된다.
상기 셔터(126)는, 셔터 구동 회로의 구동 제어에 의하여 소정 시간 동안 오픈(open)되어, 상기 촬상 소자(127)에서 피사체의 상이 촬상된다. 즉, 미러(124)가 미러 구동 회로의 구동 제어에 의하여 렌즈부(200)의 광축 상으로부터 퇴피하기 위하여 상승하고, 셔터(126)가 셔터 구동 회로의 구동 제어에 의하여 오픈 상태가 되면, 촬상 소자(127) 상에 피사체 상의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렌즈 구동 회로, 조리개 구동 회로, 미러 구동 회로, AF 센서 구동 회로 및 셔터 구동 회로는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로 구성되는 CPU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입력 수단과 비휘발성 메모리인 EEPROM 또한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로 구성되는 CPU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입력 수단은 카메라 본체(100)의 셔터-릴리스 버튼(도 1의 111 참조)의 반셔터 신호로서의 제1 영상 촬영 신호에 의해 온(on) 되는 제1 릴리스 스위치, 셔터-릴리스 버튼(도 1의 111 참조)의 완전셔터 신호로서의 제2 영상 촬영 신호에 의해 온(on) 되는 제2 릴리스 스위치, 파워 버튼(미도시)에 연동하는 파워 스위치 등의 복수의 스위치(switch)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 입력 수단의 어느 한쪽의 스위치 조작에 의한 조작 신호를 CPU에 공급한다.
상기 CPU는 제1 릴리스 스위치가 온(ON) 되면 AF 센서 구동 회로를 구동 제어하여, AF 센서 상의 2상 간의 거리를 연산하고, 상기 거리 데이터로부터 상기 렌즈 구동 회로를 구동 제어하여, 렌즈부(200)의 렌즈들(221)의 초점 조정을 수행한다.
상기 CPU는 제2 릴리스 스위치가 온(ON) 되면 미러 구동 회로를 구동 제어하여, 미러(124)를 광축 상으로부터 퇴피 구동시키는 것과 동시에, 상기 AF 센서의 출력에 근거하는 피사체 휘도 정보를 기초로 적정 단면 수축값과 셔터 노출 시간을 구한다. 그리고, 상기 수축값을 이용하여 상기 조리개 구동 회로를 구동 제어하여 조리개(222)를 구동하고, 상기 셔터 노출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셔터 구동 회로를 구동 제어하여 셔터(126)를 구동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촬상 소자(127)의 촬상 면에 피사체의 상이 결상된다면, 상기 피사체의 상은 아날로그(analog) 영상 신호로 변환되고, 이는 신호 처리 회로에서 디지털(digital) 영상 신호로 변환된다.
신호 처리 회로는 데이터 버스를 이용하여 EPROM, SDRAM 및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에 접속되어 있다.
EPROM에는 신호 처리 회로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되어 있다.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accessmemory)은 화상 처리 전의 화상 데이터나 화상 처리 중의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플래시 메모리는, 최종적으로 확정되는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불휘발성의 메모리이다. SDRAM은 휘발성의 일시적 기억 수단으로, 고속 동작이 가능하지만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기억 내용이 소멸되는 반면, 플래시 메모리는 비휘발성 기억 수단이고, 저속으로 동작하지만,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도 기억 내용이 보존된다.
이하에서는 카메라 본체(100), 렌즈부(200) 및 마운트부(300)의 결합 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서는 렌즈를 본체에 장착하거나 렌즈를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서는 바이요넷 타입(bayonet type)을 주로 사용한다. 바이요넷 타입에서는, 카메라 본체(100)에 장착되어 있는 마운트부(300)에 렌즈부(200)를 끼우고 돌려서, 렌즈부(200)를 카메라 본체(100)에 장착한다.
여기서, 상기 마운트부(300)가 배치되는 카메라 본체(100)의 전면부에는 하나 이상의 모터(미도시)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에는 외주면에 소정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160)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마운트부(300)에는 상기 스크류(160)를 수용할 수 있는 가이드부(310)가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부(3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160)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과 치합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160)는 볼 스크류(BALL SCREW) 또는 TM 스크류(TM SCREW)일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310)는 LM 가이드(LM GUIDE)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모터의 회전 운동을 마운트부의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여, 마운트부가 카메라 본체로부터 인출 및/또는 인입될 수 있다.
도 4는 카메라 시스템에서 마운트부가 카메라 본체에 인입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카메라 시스템에서 마운트부가 카메라 본체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와 같이 일반 촬영 모드에서, 촬영자가 접사 촬영을 하기 위해 접사 촬영 모드를 선택할 경우, 모터가 구동되고 모터와 결합되어 있는 스크류(160)가 회 전한다. 그러면 스크류(160)가 회전하면서 마운트부(300)의 가이드부(310)를 전진시키고, 따라서 마운트부(300) 및 마운트부(300)에 결합되어 있는 렌즈부(200)가 전체적으로 전진하여, 도 5와 같이 카메라 본체(100)로부터 'd' 만큼 인출된다. 따라서 렌즈부(200)와 촬상 소자(127) 사이의 초점거리가 멀어져서, 렌즈 자체의 고유한 초점거리보다 더 짧은 거리에서 초점을 맞출 수 있게 되어 접사 촬영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도 5와 같이 접사 촬영 모드에서, 촬영자가 일반 촬영을 하기 위해 일반 촬영 모드를 선택할 경우에는,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모터와 결합되어 있는 스크류(16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스크류(160)가 회전하면서 마운트부(300)의 가이드부(310)를 후퇴시키고, 따라서 마운트부(300) 및 마운트부(300)에 결합되어 있는 렌즈부(200)가 전체적으로 후퇴하여, 도 4와 같이 카메라 본체(100)로 인입되고, 일반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도면에는 마운트부(300)를 카메라 본체(100)에 대하여 인입 및 인출하기 위하여 스크류 및 가이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마운트부(300)를 카메라 본체(100)에 대하여 인입 및 인출할 수 있는 구조,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 캠(cam) 등은 모두 본 발명의 사상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별도의 렌즈나 기구 없이도 접사 촬영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접사 촬영 모드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0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접사 촬영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 모터의 전원을 온(ON)하는 단계(S120 단계), 모터가 회전하는 단계(S130 단계), 카메라 본체로부터 마운트부가 인출되는 단계(S140 단계), 셔터-릴리스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S150 단계) 및 영상 파일을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S160 단계)를 포함한다.
상세히, 접사 촬영 모드의 설정(S110 단계)은 사용자가 모드 다이얼(113) 또는 기능 버튼(121)을 조작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는, 피사체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였을 경우, 카메라 시스템의 CPU가 자동적으로 접사 촬영 모드라고 판단하여 접사 촬영 모드가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접사 촬영 모드가 설정되면, 모터의 전원이 온(ON) 되고(S120 단계), 모터가 회전(S130 단계)하여, 카메라 본체로부터 마운트부가 인출(S140 단계)된다. 즉, 모터가 구동되고 모터와 결합되어 있는 스크류(160)가 회전하면 스크류(160)가 회전하면서 마운트부(300)의 가이드부(310)를 전진시키고, 따라서 마운트부(300) 및 마운트부(300)에 결합되어 있는 렌즈부(200)가 전체적으로 전진하여 카메라 본체(100)로부터 인출된다. 따라서 렌즈부(200)와 촬상 소자(127) 사이의 초점거리가 멀어져서, 렌즈 자체의 고유한 초점거리보다 더 짧은 거리에서 초점을 맞출 수 있게 되어 접사 촬영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셔터-릴리스 신호가 입력(S150 단계)되면, 촬영된 영상을 JPEG 영상파일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23)에 디스플레이하고 저장부에 저장(S160 단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별도의 렌즈나 기구 없이도 접사 촬영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의 본체와 접사 링과 렌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시스템의 앞쪽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시스템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시스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카메라 시스템에서 마운트부가 카메라 본체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카메라 본체 200: 렌즈부
300: 마운트부
Claims (7)
- 카메라 본체; 및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인입 및/또는 인출되는 마운트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마운트부는 상기 카메라 시스템의 접사 촬영 모드 시,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마운트부의 일 측은 렌즈 모듈이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와 결합하여 상기 모터와 함께 회전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를 포함하고,상기 마운트부는, 내주면에 상기 스크류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모터 및 상기 모터와 결합된 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마운트부는 상기 스크류를 따라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인입 및/또는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상기 마운트부가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인입 및/또는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 접사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접사 촬영 모드가 설정되는 단계; 및카메라 본체로부터 마운트부가 인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40638A KR20090072503A (ko) | 2007-12-28 | 2007-12-28 |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40638A KR20090072503A (ko) | 2007-12-28 | 2007-12-28 |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2503A true KR20090072503A (ko) | 2009-07-02 |
Family
ID=41329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40638A KR20090072503A (ko) | 2007-12-28 | 2007-12-28 |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72503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1523B1 (ko) * | 2012-03-19 | 2014-02-12 | 김일형 | 렌즈 교환형 카메라용 기능성 렌즈 어댑터 |
CN105549218A (zh) * | 2016-01-22 | 2016-05-04 | 苏州艾力光电科技有限公司 | 一种光学仪器上安装罩 |
-
2007
- 2007-12-28 KR KR1020070140638A patent/KR2009007250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1523B1 (ko) * | 2012-03-19 | 2014-02-12 | 김일형 | 렌즈 교환형 카메라용 기능성 렌즈 어댑터 |
CN105549218A (zh) * | 2016-01-22 | 2016-05-04 | 苏州艾力光电科技有限公司 | 一种光学仪器上安装罩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90051807A1 (en) | Ima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imaging device | |
JP2009036986A (ja) |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 | |
JP5203657B2 (ja) | 拡大表示機能付きカメラ | |
JP5433145B2 (ja) | 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本体 | |
CN101373254B (zh) | 摄影装置及摄影装置的控制方法 | |
US9008499B2 (en) | Optical viewfinder | |
JP2009036985A (ja) |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 | |
KR101665510B1 (ko) |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 | |
JP2009053296A (ja) |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 | |
JP2009017517A (ja) | 撮像装置 | |
KR20090072503A (ko) |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JP4499585B2 (ja) | デジタルカメラ | |
JP5572564B2 (ja) | 撮像装置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 |
JP2006349744A (ja) | 撮像装置 | |
JP2009048123A (ja) |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 | |
JP2007281974A (ja) | デジタルカメラ | |
JP3027022B2 (ja) | パノラマ撮影機能付きカメラ | |
JP2009036987A (ja) |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 | |
JP2006091252A (ja) |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JP2006229481A (ja) | デジタルカメラ | |
KR101477534B1 (ko) |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 | |
JP2009037084A (ja) |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 | |
JP2009048126A (ja) |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 | |
JP2009053641A (ja) | 撮像装置 | |
KR20100013699A (ko) | 촬상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