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0362A - Device of decreasing unevenness of beam - Google Patents
Device of decreasing unevenness of bea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70362A KR20090070362A KR1020070138348A KR20070138348A KR20090070362A KR 20090070362 A KR20090070362 A KR 20090070362A KR 1020070138348 A KR1020070138348 A KR 1020070138348A KR 20070138348 A KR20070138348 A KR 20070138348A KR 20090070362 A KR20090070362 A KR 200900703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arization
- beams
- polarized
- incident
- polarization lay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phase of light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05—Dividing and/or superposing multiple light beam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beam splitting or combining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5—Separate or integrated refractive elements, e.g. wave pl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굴절성 매질을 이용한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에 관련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ducing beam nonuniform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reducing beam nonuniformity using a birefringent medium.
광 변조기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서 콜리메이터 렌즈와 실린더 렌즈 등을 통과하면서 형성된 선형광은 공정상의 오차나 부품의 오차 등으로 인해 소정량의 노이즈 또는 균일성이 떨어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선형광은 불균일한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불균일한 선형광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품질이 저하되는 것은 자명하다. In the display device using the optical modulator, the linear light form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llimator lens and the cylinder lens may include a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noise or uniformity due to process error or component error. Therefore, the linear light may be formed in a non-uniform state, and it is obvious that the display quality is degraded due to the non-uniform linear light.
본 발명은 입사빔의 불균일성을 줄일 수 있는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am nonuniformity reduction device that can reduce the nonuniformity of the incident beam.
또한 본 발명은 입사빔의 편광상태에 무관하게 원편광 빔, 타원편광 빔 또는 무편광 빔의 균일도를 높일 수 있는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am non-uniformity reduction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uniformity of the circularly polarized beam, elliptical polarized beam or non-polarized beam irrespective of the polarization state of the incident beam.
또한 본 발명은 복굴절 판의 겹칩 정도에 따라 빔의 균일도를 조절할 수 있는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am non-uniformity reduction device that can adjust the uniformity of the beam according to the degree of overlap of the birefringent plate.
또한 본 발명은 스페클을 줄일 수 있는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am non-uniformity reduction device that can reduce the speck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서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n개의 입사빔을 2n개의 제1 편광빔으로 분리하는 제1 편광층-여기서, n은 자연수이며 n개의 상기 입사빔은 선형광을 형성하는 빔임-; 상기 제1 편광층에서 분리된 상기 제1 편광빔을 원형 편광 상태 또는 타원 편광 상태의 제2 편광빔으로 전환하는 위상차판; 및 2n개의 상기 제2 편광빔을 4n개의 제3 편광빔으로 분리하는 제2 편광층을 포함하되, 4n개의 상기 제3 편광빔은 중첩되어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rst polarization layer that separates n incident beams into 2n first polarization beams, where n is a natural number and n the incident beams are beams forming linear light; A phase difference plate for converting the first polarization beam separated from the first polarization layer into a second polarization beam in a circular polarization state or an elliptical polarization state; And a second polarization layer separating the 2n second polarization beams into 4n third polarization beams, wherein the 4n third polarization beams are irradiated in an overlapping manner.
여기서 상기 제1 편광빔은 s-편광빔 및 p-편광빔을 포함하며, n개의 상기 입사빔은 n개의 상기 s-편광빔 및 n개의 상기 p-편광빔으로 분리될 수 있다. The first polarizing beam may include an s-polarized beam and a p-polarized beam, and the n incident beams may be separated into n s-polarized beams and n p-polarized beams.
여기서 상기 제3 편광빔은 s-편광빔 및 p-편광빔을 포함하며, 2n개의 상기 제2 편광빔은 2n개의 상기 s-편광빔 및 2n개의 상기 p-편광빔으로 분리될 수 있다. The third polarized beam may include an s-polarized beam and a p-polarized beam, and the 2n second polarized beams may be separated into 2n of the s-polarized beam and 2n of the p-polarized beam.
여기서 상기 위상차판은 1/4 파장판(Quarter Wave Plate)일 수 있다. Here, the retardation plate may be a quarter wave plate.
여기서 상기 위상차판은 위상 지연판일 수 있다. Here, the retardation plate may be a phase retardation plate.
여기서 상기 제1 편광층 및 상기 제2 편광층은 동일한 굴절률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편광층의 두께는 상기 제2 편광층의 두께의 2배일 수 있다. The first polarization layer and the second polarization lay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the same refractive index,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polarization layer may be twic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olarization layer.
여기서 상기 제1 편광층 및 상기 제2 편광층은 복굴절성 매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polarization layer and the second polarization layer may be formed of a birefringent medium.
여기서, 상기 입사빔을 원형 편광빔 또는 타원형 편광빔으로 전환시키는 추가 위상차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retardation plate for converting the incident beam into a circular polarization beam or an elliptical polarization bea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사빔의 불균일성을 줄일 수 있는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beam non-uniformity reduction device that can reduce the non-uniformity of the incident bea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사빔의 편광상태에 무관하게 원편광 빔, 타원편광 빔 또는 무편광 빔의 균일도를 높일 수 있는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beam non-uniformity reduction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uniformity of the circularly polarized beam, elliptical polarized beam or non-polarized beam irrespective of the polarization state of the incident bea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겹쳐진 복굴절 판의 갯수에 따라 빔의 균일도를 조절할 수 있는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beam non-uniformity reduction device that can adjust the uniformity of the beam according to the number of overlapping birefringent plate.
또한 본 발명은 스페클을 줄일 수 있는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beam non-uniformity reduction device that can reduce the speckle.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가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in which a beam nonuniformity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R 광원(105), G 광원(110), B 광원(115), 조명계(120), R 광 변조기(125), G 광 변조기(130), B 광 변조기(135), 광 차폐 수단(140), 제어부(145), 광 변조기 제어부(146), AD 보드(147), RGB 시리얼 제어부(148), 색 조합 광학계(color combination optics)(150), 필터계(155), 갈바노 미터 스캐너(160), 투사계(165) 및 스크린(170)이 도시된다. 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device using an optical modul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R 광 변조기(125), G 광 변조기(130), B 광 변조기(135)는 각각 R 광원(105), G 광원(110), B 광원(115), 조명계(120)에 상응하며 각각의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광을 반사 및 회절하여 광의 밝기 등을 제어한다. The
광 차폐 수단(140)은 R 광 변조기(125), G 광 변조기(130), B 광 변조기(135)로부터 출사된 회절광을 개방 및 차폐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광 차폐 수단(140)은 R 광원(105), G 광원(110), B 광원(115)으로 출사된 각각의 광을 직접 개방 및 차폐할 수 있도록 R 광원(105), G 광원(110) 및 B 광원(115)과 R 광 변조기(125), G 광 변조기(130) 및 B 광 변조기(135)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The light shielding means 140 is provided at a position capable of opening and shielding the diffracted light emitted from the
제어부(145)는 광 변조기 제어부(146), AD 보드(147), RGB 시리얼 제어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광 변조기 제어부(146)는 입력된 전기적 신호에 상응하여 R 광 변조기(125), G 광 변조기(130) 및 B 광 변조기(13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D 보드(147)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필요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RGB 시리얼 제어부(148)는 RGB 광이 시리얼로 입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45)는 광 차폐 수단(140)을 직접 제어함으로써, 광 변조기(125, 630, 635)와 광 차폐 수단(140)이 동기를 맞출 수 있다. The
색 조합 광학계(color combination optics)(150)는 광 차폐 수단(140)에 의해 통과 또는 차폐된 빔을 수집하여 필터계(155)로 출사한다. 필터계(155)는 푸리에 렌즈와 색선별 필터로 구성된다.
여기서, 푸리에 렌즈는 각각의 회절 차수의 회절광을 집광하며, 색선별 필터는 원하는 차수의 회절광을 통과시킨다. 색선별 필터는 다중 회절빔을 푸리에 렌즈를 통하여 입력받은 후, 입력된 다중의 회절빔 중에서 소정의 회절차수, 보다 구체적으로는 0차, +1차 및 -1차 회절차수를 갖는 다중의 회절빔 중에서 소정의 회절차수를 갖는 다중의 회절빔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이를 프로젝션 시스템으로 출사시킨다. Here, the Fourier lens collects the diffracted light of each diffraction order, and the dichroic filter passes the diffracted light of the desired order. The dichroic filter receives multiple diffraction beams through a Fourier lens, and then the multiplex diffraction beams have multiple diffraction beams having a predetermined diffraction order, more specifically zero order, + 1st order and -1st order diffraction orders. Only a plurality of diffraction beams having a predetermined diffraction order in the diffraction beams are selectively transmitted and emitted to the projection system.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R 광원(105), G 광원(110), B 광원(115), 콜리메이터 렌즈(245), 실린더 렌즈(250), 광 변조기(255), 조명계(260, 265, 270, 275) 및 광 스캐너(280)가 도시된다. 본 발명은 광 변조기(255)로부터 출사된 빔을 스캔할 수 있는 패널의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1 패널 소자를 이용하여 RGB 화상 신호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 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1의 실시예와는 달리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광원의 종류(R, G, B)에 따라 광 변조기가 구분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system in which a beam nonuniformity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2, an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서의 위치가 고정된 것이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각각 다른 곳에 위치할 수 있는 바,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를 도 2의 특정 위치에 도시하지는 아니한다.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2, the beam non-uniformity reduction device is not fixed in the display device and may be located at different loc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beam non-uniformity reduction device is shown at a specific position in FIG. 2. Not.
R 광원(105), G 광원(110) 및 B 광원(115)은 광을 발생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LED), 레이저 다이오드(LD) 또는 레이저일 수 있다.The
콜리메이터 렌즈(245)와 실린더 렌즈(250)는 입사광을 선형의 평행광으로 변화시킨다. 즉, 콜리메이터 렌즈(245)는 집광된 다중빔을 광로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빛으로 변화시킨다. 또한 실린더 렌즈(250)는 평형광을 수평방향의 선형광으로 변환한다. 수평 방향의 선형광으로 변환된 입사광은 편광 빔 스플릿터와 λ/4 파장판 그리고 X-프리즘을 통하여 광 변조기(255)에 입사된다. The
즉 실린더 렌즈(250)는 집광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광로 방향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대응하는 광 변조기(255)에 수평으로 입사시키기 위하여, 평형광을 수평방향의 선형광으로 변환한다. That is, the
콜리메이터 렌즈(245)는 오목렌즈 및 볼록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오목 렌즈는 실린더 렌즈(250)로부터 입사되는 선형광을 확장하여 볼록 렌즈로 입사시킨다. 볼록렌즈는 오목렌즈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을 평행광으로 변화시켜 출사한다.The
평행광의 상태로 출사된 빔의 균일도를 높이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불균일도 저감 장치(미도시)가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빔 불균일도 저감 장 치는 콜리메이터 렌즈(245) 및 실린더 렌즈(250)의 전단 또는 후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빔 불균일도 저감 장치는 콜리메이터 렌즈(245) 및 실린더 렌즈(25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A beam nonuniformity reduction device (not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increase the uniformity of the beam emitted in the state of parallel light. The beam non-uniformity reduction device may be located at the front end or the rear end of the
광 변조기(255)는 구동 신호 처리부(미도시)로부터 전송된 광 변조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는 광 변조기(255)의 앞, 예컨대 실린더 렌즈(250)와 광 변조기(255)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조명계(260, 265, 270, 275)는 광의 집광, 필터 및 스페클 제거 등을 할 수 있다. 즉, 0차의 회절광은 투사 렌즈를 통과하면 어느 한 점으로 집광되게 되는데, 이때 +1차의 회절광은 0차의 회절광이 집광되는 위치로부터 떨어진 위쪽에 그리고 -1차의 회절광은 0차의 회절광이 집광되는 위치로부터 떨어져 아래쪽에 집광된다. 프로젝션 시스템은 한 쌍의 프로젝션 렌즈과, 스페클 제거기를 포함하며 입사된 회절광을 스크린에 투사한다. The
광 스캐너(280)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회전하면서 광 변조기(255)로부터 출사된 회절광을 반사하여 소정의 스크린에 투영한다. 예를 들면, 광 스캐너(280)는 갈바노 미러, 폴리곤 미러 또는 로테이션 바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광 스캐너(280)는 광 변조기(255)를 제어하는 신호와 같은 주기에 따라 움직임이 결정될 수 있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a beam nonuniformity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는 제1 편광층(310), 위상차판(320) 및 제2 편광층(330)을 포함한다. An apparatus for reducing beam nonuniform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편광층(330) 뒤에 제2 위상차판(미도시) 및 제3 편광층(미도시), 제3 위상차판(미도시)과 제4 편광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제4 편광층이 중첩될수록 입사빔은 여러 차례 편광에 의해 분리된 후 다시 합쳐지므로 빔 균일도는 더욱 향상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retardation plate (not shown), a third polarization layer (not shown), a third retardation plate (not shown), and a fourth polarization layer (not shown) behind the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는 위상차판과 편광층이 여러 번 중첩된다 해도 빔을 분리하고 다시 집광하여 빔 불균일도를 저감시킨다는 본 발명의 특징은 동일하게 반복되므로, 제1 편광층(310)과 위상차판(320) 및 제2 편광층(330)만이 구비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owev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even if the retardation plate and the polarizing layer overlap several times, the first
광 변조기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선형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사빔은 선형광을 형성하게 된다. 복수의 입사빔은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미러, 렌즈 등의 부품을 거치는 과정을 통해 일정 방향으로 정렬, 확대, 축소 또는 중첩됨으로써 선형광을 형성할 수 있다. In a display device using an optical modulator, an image is displayed using linear light. Therefor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ident beam forms linear light. The plurality of incident beams may be aligned, enlarged, reduced or superimpos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rough a process such as a mirror or a lens in the display device to form linear light.
입사빔은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를 통과하기 위해서 우선 제1 편광층(310)으로 입사된다. 제1 편광층(310) 및 제2 편광층(330)은 복굴절성 매질일 수 있다. 복굴절성 매질의 일 예로는 방해석이 있다. 복굴절성 매질의 성질 상, 복굴절성 매질은 입사된 하나의 빔을 편광된 두 개의 빔으로 분리한다. 복굴절성 매질을 통과하는 빔이 편광 및 분리되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자 명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incident beam first enters the
또한 제1 편광층(310)과 제2 편광층(330)은 반드시 동일한 물질일 필요는 없다. 다만 굴절률과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분리되는 빔의 세기와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편광층(310)과 제2 편광층(330)은 동일한 굴절률을 가지며, 제1 편광층(310)의 두께는 제2 편광층(330)의 두께의 두 배이다. 제1 편광층(310)의 두께를 제2 편광층(330)의 두께의 두 배로 하는 이유는 제1 편광층(310)과 제2 편광층(330) 간의 p-편광빔과 s-편광빔의 빔분리 간격을 두 배로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제1 편광층(310)에 입사되는 빔은 원형 편광 또는 타원 편광된 빔일 수 있다. 원형 편광 또는 타원 편광된 빔이 입사되면 제1 편광층(310)은 입사된 빔(이하 입사빔)을 2개의 제1 편광빔으로 분리할 수 있다. 타원 편광된 빔은 빔의 진행 방향 또는 진행 방향에 수직하거나 수평한 방항에 비하여 비스듬하게 틸팅된 타원 편광 빔일 수 있다. 빔의 틸팅 방법에는 빔을 비스듬하게 회전시키는 방법과 위상 지연자(Retarder, 본 발명의 위상 지연판을 포함함)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The beam incident on the
만일 제1 편광층(310)에 선편광 상태의 입사빔이 입사되는 경우, 입사빔을 s-편광빔과 p-편광빔으로 편광시켜 분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입사빔을 원형 편광 또는 타원 편광 상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제1 편광층(310) 앞에 추가 위상차판(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위상차판은 원형 편광 또는 타원 편광되어 있지 않은 임의의 상태의 입사빔을 원형 편광빔 또는 타원 편광빔으로 일 률적으로 전환시킨 후 제1 편광층(310)에 입사되게 한다. If the incident beam in the linearly polarized state is incident on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편광빔은 s-편광빔과 p-편광빔일 수 있다. 즉 선형광을 형성하는 입사빔은 제1 편광층(310)을 통과하면서 두 개의 제1 편광빔으로 분리되는데, 두 개의 제1 편광빔은 s-편광빔과 p-편광빔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larized beam may be an s-polarized beam and a p-polarized beam. That is, the incident beam forming the linear light is separated into two first polarizing beams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그리고 제1 편광층(310) 뒤에 마련된 위상차판(320)에 의해 제1 편광빔은 다시 원형 편광빔 또는 타원 편광빔의 형태로 전환된다. 위상차판(320)에 의해 원형 편광 또는 타원 편광된 빔은 이하에서 제2 편광빔이라고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상차판(320)은 1/4 파장판(1/4 파장 지연기, Quarter Wave Plate)일 수 있다. 1/4 파장판을 이용하면 위상 및 세기를 동시에 변조할 수 있다. The first polarization beam is converted into a circular polarization beam or an elliptic polarization beam by the
여기서 제1 편광층(310)으로부터 나온 s-편광빔 및 p-편광빔이 1/4 파장판인 위상차판(320)을 통과하면서 타원 편광빔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s-편광빔으로부터 전환된 제2 편광빔과 p-편광빔으로부터 전환된 제2 편광빔은 방향이 서로 반대인 타원 편광빔이거나, 또는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틸팅된 타원 편광빔이 된다. Here, the s-polarized beam and the p-polarized beam emitted from the first
위상차판(320)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1/4 파장판이 사용될 수 있으나 1/4 파장판 대신 위상 지연판이 사용될 수 있다. As the
위상차판(320)에 의해 원형 편광 또는 타원 편광된 빔은 제2 편광층(330)으로 입사된다. 제2 편광층(330)은 원형 편광 또는 타원 편광된 상태의 빔을 다시 제3 편광빔으로 분리한다. 제3 편광빔 역시 s-편광빔 및 p-편광빔일 수 있다. 다만 제2 편광층(330)에 입사된 빔은 제1 편광층(310)에 입사된 빔(입사빔)에 비해 그 개수가 네 배이며 빔 세기는 1/4이다. 동일한 원리로, 위상차판(320)에 입사된 제1 편광빔에 비해서 제3 편광빔의 빔 개수는 두배, 빔 세기는 1/2일 수 있다. The circularly polarized or elliptically polarized beam by the
즉 제1 편광층(310)에 의해 s-편광빔 및 p-편광빔의 두 개로 분리된 빔(2n개의 제1 편광빔)은 다시 제2 편광층(330)에 의해 각각 두 개씩의 빔(s-편광빔 및 p-편광빔)으로 분리(4n개의 제3 편광빔)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입사빔은 결과적으로 총 4개의 제3 편광빔(2개의 s-편광빔과 2개의 p-편광빔)으로 분리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빔의 불균일도 역시 1/2 내지 1/4로 감소하게 되며, 빔 불균일도가 감소된 4개의 제3 편광빔이 중첩되어 조사되므로 최종적인 선형광의 빔 불균일도 역시 감소하게 된다. That is, the two beams (2n first polarizing beams) separated by two of the s-polarized beam and the p-polarized beam by the first
만약 제2 편광층(330)의 뒤에 추가적으로 위상차판과 제3 또는 제4 편광층이 중첩적으로 마련되어 있다면, 입사빔은 누차의 편광에 의해 8개 또는 16개의 제3 편광빔으로 분리된 후 다시 합쳐지게 된다. 따라서 빔 불균일성은 더욱 줄어들 수 있게 된다. If the retardation plate and the third or fourth polarization layer are additionally provided behind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를 통과한 빔의 단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를 통과하지 않은 입사빔(도 3의 A-A' 단면에서 나타나는 빔)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를 통과한 후 중첩된 제3 편광빔(도 3의 B-B' 단면에서 나타나는 빔)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의 빔의 단면은 출사된 선형광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으 로 선형광을 자른 경우의 그 단면을 말한다. 4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am passing through the beam nonuniformity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 is a view showing an incident beam (beam appearing in the AA 'cross section of Figure 3)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beam non-uniformity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b) is a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overlapping third polarization beams (beams appearing in the BB ′ cross-section of FIG. 3) after passing through a beam non-uniformity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ross section of the beam here refers to the cross section when the linear light is cut into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emitted linear light.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4n개의 제3 편광빔은 n개의 빔으로 집광되며 n개의 빔이 선형광을 형성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입사빔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를 통과한 후 형성된 선형광은 도 4의 (a)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선형광에 비하여 균일도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1개의 빔이 4개의 빔으로 편광의 방법으로 분리된 후 다시 합쳐지므로 빔 불균일도 역시 1/2 이상 줄어든 4개의 빔이 하나의 빔으로 중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불균일도 저감 장치를 통과한 빔으로 구성되는 선형광은 불균일도가 저감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As described above, the 4n third polarizing beams are focused into n beams and the n beams form linear light. Referring to FIG. 4B, the linear light formed after the incident beam passes through the beam nonuniformity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uniformity compared to the linear light according to the prior art shown in FIG. 4A. It can be seen that the increase. Since one beam is split into four beams and then merged again, four beams, whose beam unevenness is also reduced by 1/2 or more, are superimposed into one beam.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linear light composed of the beam passing through the beam non-uniformity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duc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가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in which a beam nonuniformity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도.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system in which a beam nonuniformity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를 나타낸 도면. 3 illustrates a beam nonuniformity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불균일성 저감 장치를 통과한 빔의 단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4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am passing through the beam non-uniformity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10 : 제1 편광층310: first polarization layer
320 : 위상차판320: phase difference plate
330 : 제2 편광층330: second polarization layer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8348A KR20090070362A (en) | 2007-12-27 | 2007-12-27 | Device of decreasing unevenness of bea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8348A KR20090070362A (en) | 2007-12-27 | 2007-12-27 | Device of decreasing unevenness of bea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0362A true KR20090070362A (en) | 2009-07-01 |
Family
ID=41321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38348A KR20090070362A (en) | 2007-12-27 | 2007-12-27 | Device of decreasing unevenness of bea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70362A (en) |
-
2007
- 2007-12-27 KR KR1020070138348A patent/KR20090070362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92783B2 (en) | Projector display systems having non-mechanical mirror beam steering | |
JP3611787B2 (en) | Color image system and method | |
JP7145158B2 (en) | PHASE MODULATOR, LIGHTING DEVICE, AND PROJECTOR | |
US9152034B2 (en) |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and having a phase difference plate | |
KR100839108B1 (en) | Illumination optical system and image projection apparatus | |
JP2005321544A (en) |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 |
KR960036631A (en) |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 |
JP2007322584A (en) | Lighting device and projection type video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US20050073656A1 (en) | Image projection apparatus | |
JP2004233961A (en) | Projection type display apparatus | |
KR20090070362A (en) | Device of decreasing unevenness of beam | |
JP2009042316A (en) | Single plate type projector | |
JP5858664B2 (en) | Image display device | |
JP3728679B2 (en) | Color separation optical system | |
US6618202B2 (en) | Projection system with an offset lens array to reduce vertical banding | |
KR100411431B1 (en) | Projector | |
JP3670783B2 (en) |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20070059504A (en) | Projection system | |
JP3260821B2 (en) | Light source device and projection type liquid crystal image display device | |
KR970068674A (en) | 3-D IMAGE PROJECTOR USING OPTICAL REFLECTIVE MODULATOR USING REFLECTIVE OPTICAL MODULATOR | |
WO2020054362A1 (en) | Polarization separation element, and projector | |
JP2005099093A (en) | Polarization separating device and projection display device | |
JP2007286363A (en) | Projector display | |
JP2011128569A (en) | Image projection device | |
JP2006047968A (en) |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