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9840A - Classroom desk - Google Patents
Classroom des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59840A KR20090059840A KR1020070126898A KR20070126898A KR20090059840A KR 20090059840 A KR20090059840 A KR 20090059840A KR 1020070126898 A KR1020070126898 A KR 1020070126898A KR 20070126898 A KR20070126898 A KR 20070126898A KR 20090059840 A KR20090059840 A KR 200900598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sk
- frame
- armrest
- classroom
- upper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47B3/06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combined with sea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47B41/02—Adjustable, inclinable, sliding or foldable desks top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과 의자가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강의실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치수에 따라 책상 상판의 전후이동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상판과 등받이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강의실 책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ssroom desk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desk and a chair integrally configured to enable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desk top according to various body dimensions of the user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ackrest. It is about a desk in the classroom for convenience.
본 발명에 따른 강의실 책상은 상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책상프레임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 팔걸이부를 지지하도록 고정 팔걸이부의 저면에 접하여 설치되며, 장공이 마련되는 팔걸이 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공에 조임볼트가 삽입되되 팔걸이 프레임(22)의 장공을 관통한 후 조임너트가 설치되도록 하여 상판의 전후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실 책상을 제공한다.Lecture room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 least one bolt hole is formed on the top plate, coupled to one side of the desk frame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fixed armrest portion to support the fixed armrest portion, the armrest frame is provided with a long hole is formed, the Tightening bolt is inserted into the bolt hole but penetrates through the long hole of the armrest frame 22, so that the tightening nut is installed to provide a lecture room desk,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back movement of the top plate is possib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책상과 의자가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강의실 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의실 책상의 구조를 개량하여 사용자의 신체 치수에 따라 책상 상판과 등받이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하는 강의실 책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ssroom desk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desk and a chair integrally,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classroom desk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desk top and the backrest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ize. It is about a desk in the classroom that can be used to plan.
일반적으로 학교의 강의실 또는 학원의 강의실에서는 책상과 의자가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이른바, 강의실 책상을 널리 사용한다. 이러한 일체형 책상은 책상과 의자의 간격이 항상 일정하여 책상의 정열이 용이하고, 한정된 공간 내에서 많은 수의 책상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general, so-called classroom desks are widely used in classrooms or classrooms of schools, where desks and chairs are integrally combined. Such an integrated desk has the advantag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desk and the chair is always constant so that the alignment of the desk is easy and a large number of desks can be installed in a limited space.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에 있어서의 강의실 책상은 다리(11)와 등받이부(12)로 구성되는 통상의 의자프레임(1) 일측에 상판(3)을 지지하는 책상프레임(2)이 고정 결합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classroom desk includes a
특히, 상기 상판(3)은 일측에 개방부(3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개방부(30)를 통하여 의자에 들어가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 다른 일측에는 상판(3)과 일체 로 연장되는 팔걸이부(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책상프레임(2)은 상판(3)을 지지하는 상판프레임(21)과, 팔걸이부(31)를 지지하는 팔걸이프레임(22)이 더욱 구성된다.In particular, the top plate (3) is formed so that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강의실 책상은 책상의 상판과 의자의 등받이 간격이 일정한 상태에서 고정 결합됨에 따라 체격이 작은 사용자의 경우 상판쪽으로 앞당겨 앉아야 하고, 체격이 큰 사용자의 경우에는 상판과 등받이 사이에서 몸이 끼인 상태로 책상을 사용할 수밖에 없어 많은 불편함이 있어왔다.Conventional classroom desk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fixedly coupled in a constant state in which the top of the desk and the backrest of the chair are fixed, so the user with a small physique should sit forward toward the top plate, and in the case of a user with a large body, the body between the top and the backrest. There has been a lot of inconvenience because you have no choice but to use the desk.
이에, 책상을 제작시 사용연령대의 평균체형에 맞춰 제작해 준다 하더라도 대부분 성장기의 청소년들이 이용하고 있는 점과 점차 증가추세에 있는 비만인들을 고려할때 상당수 이용자들은 사용상 불편함을 느낄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even if the desk is produced according to the average age of the age group when using the desk, many users have a problem in that they are inconvenient in use considering the fact that most teenagers are using it and obese people are gradually increasing. .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책상과 의자가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강의실 책상의 구조를 개량하여 사용자의 신체 치수에 따라 책상의 상판과 등받이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하는 강의실 책상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tructure of the classroom desk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desk and chair integrally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ack of the desk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iz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assroom desk that enables the user's convenience.
본 발명은 의자프레임의 일측에 상판을 지지하는 책상프레임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상판의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며, 개방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판과 일체로 연장되는 고정 팔걸이부가 형성되는 강의실 책상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책상프레임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 팔걸이부를 지지하도록 고정 팔걸이부의 저면에 접하여 설치되며, 장공이 마련되는 팔걸이 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공에 조임볼트가 삽입되되 팔걸이 프레임(22)의 장공을 관통한 후 조임너트가 설치되도록 하여 상판의 전후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실 책상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desk frame for supporting the upper plate on one side of the chair frame, the opening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late, the lecture room desk is formed with a fixed armrest unit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plate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opening At least one bolt hole is formed in the upper plate; I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desk frame and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armrest portion to support the fixed armrest portion, the armrest frame is provided with a long hole is formed; A tightening bolt is inserted into the bolt hole and penetrates through the long hole of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 치수에 따라 책상 상판과 등받이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보다 편안하고 안정된 상태에서 수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desk top plate and the backrest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ize has the effect of taking a course in a more comfortable and stable stat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각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well-known technologie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f so,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의실 책상의 구성을 보여주는 조립 사시도이며,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의실 책상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rst, Figure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lassroom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lassroom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의실 책상은 사용자로 하여금 상판과 등받이 사이의 간격을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반해 도 1에서 보이는 종래의 강의실 책상은 상판(3)이 책상프레임(2)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강의실 책상은 상판(3)을 자유롭게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그 구조를 개량한 것이다.As shown in Figure 2, the classroom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can freely set the distance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ackrest. On the contrary, in the conventional classroom desk shown in FIG. 1, the
도 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의실 책상은 통상의 책상과 마찬가지로 의자프레임(1)의 일측에 상판(3)을 지지하는 책상프레임(2)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상판(3)의 일측에 개방부(30)가 형성되며, 개방부(30)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판(3)과 일체로 연장되는 고정 팔걸이부(31)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ure 2, the classroom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sk frame (2) for supporting the
상기 책상프레임(2)은 상판(3)을 지지하는 상판프레임(21)과, 상판(3)의 팔걸이부(31)를 지지하는 팔걸이프레임(22)이 더욱 구성된다. 한편, 상기 팔걸이프레임(22)의 형상은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일단은 상기 상판프레임(21)에 연결되 고 일단은 자유단으로 구성된다. 이에 반해 도 1에서 보이는 종래의 강의실 책상은 상기 팔걸이프레임(22)의 일단은 상판프레임(21)에 타단은 등받이 또는 이에 준하는 등받이 프레임(12)에 연결 구성된다.The
이와 같이, 상기 두 형태의 팔걸이프레임(22)의 형상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강의실 책상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As such, the shapes of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강의실용 책상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ore detailed look at the classroom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판(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공(130)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공(130)은 통상의 볼트가 삽입 가능한 홀이면 충분하며, 상판(3)의 상부면에는 조임볼트(110)가 삽입시 조임볼트의 머리 부분이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책상을 사용시 불편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 at least one
그리고 상기 책상프레임(2)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 팔걸이부(31)를 지지하는 팔걸이 프레임(22)가 형성된다. 특히 팔걸이 프레임(22)는 고정 팔걸이부(31)의 저면에 접하여 설치되지만 고정되지 않도록 하여 상판(3)이 상기 팔걸이 프레임(22)의 상단면에서 슬라이드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팔걸이 프레임(22)에는 길이방향의 장공(150)이 마련되도록 구성한다.The
한편, 상술한 팔걸이 프레임(22)의 구체적인 형상에 있어서 제한하지는 않지만 도 3에서 보이는 부분확대도에서처럼, 단면이 ㄱ 형상으로 굽은 프레임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 of the above-described
한편,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상판(3)의 볼트공(130)에 조임볼 트(110)가 삽입되되 팔걸이 프레임(22)의 장공을 관통한 후 상기 조임볼트(110)에 조임너트(120)를 결합하여, 상판(3)이 상기 팔걸이 프레임(22)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and 4, the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강의실 책상은 상판(3)의 전후이동이 가능하다. 이후 간단한 작동 구성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3 and 4, the classroom desk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possible to move back and forth of the upper plate (3). The simple operation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팔걸이 프레임(22)의 저면에 마련되어 있는 조임볼트(120)을 느슨하게 푼다. 조임볼트(120)가 어느 정도 풀리면 상판(3)이 팔걸이 프레임(22)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First, as shown in FIG. 3, the user loosens the tightening
사용자는 이동이 가능한 상판(3)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킨 다음 적당한 위치에서 상판(3)을 정지시키고, 다시 팔걸이 프레임(22)의 저면에 마련되어 있는 조임볼트(120)을 단단하게 고정시킨다.The user moves the movabl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한 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or modified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same object and effect. Could be.
도 1 은 종래의 강의실 책상을 보여주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lassroom desk.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의실 책상의 구성을 보여주는 조립 사시도.Figure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lassroom desk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의실 책상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lassroom desk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의자 프레임 2 : 책상 프레임1: chair frame 2: desk frame
3 : 상판3: top plate
11 : 다리 12 : 등받이 프레임11: leg 12: back frame
21 : 상판프레임 22 : 팔걸이 프레임21: top frame 22: armrest frame
30 : 개방부 31 : 고정팔걸이부30: open part 31: fixed armrest
110 : 조임볼트 120 : 조임너트110: tightening bolt 120: tightening nut
130 : 볼트공 150 : 장공130: bolt hole 150: long hole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6898A KR20090059840A (en) | 2007-12-07 | 2007-12-07 | Classroom des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6898A KR20090059840A (en) | 2007-12-07 | 2007-12-07 | Classroom des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9840A true KR20090059840A (en) | 2009-06-11 |
Family
ID=40989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26898A Ceased KR20090059840A (en) | 2007-12-07 | 2007-12-07 | Classroom des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59840A (en) |
-
2007
- 2007-12-07 KR KR1020070126898A patent/KR20090059840A/en not_active Ceas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15827B1 (en) | Backrest adjusting mechanism used in high chair for infants, toddlers, and small children | |
US20080203778A1 (en) | Seating Implement with Tablet | |
US7264312B1 (en) | Backrest adjusting mechanism | |
KR200413830Y1 (en) | Desk with adjustable reading desk. | |
KR100972233B1 (en) | Frame chair | |
KR102565650B1 (en) | Structure for adjusting support force of lumbar pillow, and chair | |
KR100865274B1 (en) | desk | |
USD540060S1 (en) | Chair | |
JP3126488U (en) | Interconversion structure of desk and chair | |
KR20090059840A (en) | Classroom desk | |
KR200431469Y1 (en) | Backrest adjustment mechanism | |
CN201019312Y (en) | Chair back height adjusting structure of chair | |
KR20190054213A (en) | Movable chair integrated storage desk with lever | |
KR200365382Y1 (en) | Spac adjust table desk | |
KR100605035B1 (en) | Chair integrated desk | |
KR200476707Y1 (en) | Bed combined use Sofa | |
CN217137276U (en) | Leisure chair with dual-purpose function of chair | |
KR200293607Y1 (en) | lecture desk and chair for left handed person | |
KR200399531Y1 (en) | A multipurpose supporting tool | |
KR200395547Y1 (en) | sofa combined with a bed | |
CN220256084U (en) | Conference chair with turnover table plate | |
KR101062216B1 (en) | chair | |
KR200413853Y1 (en) | A study desk | |
KR200344011Y1 (en) | A desk having a chair | |
KR100459641B1 (en) | Forward and backward table with 3-banded long hinge for 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908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5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