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0778A -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50778A KR20090050778A KR1020070117394A KR20070117394A KR20090050778A KR 20090050778 A KR20090050778 A KR 20090050778A KR 1020070117394 A KR1020070117394 A KR 1020070117394A KR 20070117394 A KR20070117394 A KR 20070117394A KR 20090050778 A KR20090050778 A KR 200900507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 flange
- clamp
- members
- steel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3 base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24—Clamping connections other than bolting or riv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골부재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이나 체결공 형성 등에 의한 철골부재 본체의 손상 없이도, 클램프의 끼움, 고정에 의해 2개의 철골부재를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웨브의 상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2개의 철골부재를 용접이나 체결구 조립을 위한 천공작업 없이, 상하부로 배치하여 직각교차시킨 상태에서 조립한 구조에서, 플랜지 클램프를 상기 철골부재들의 교차부 4지점에 각각 끼워 상부 철골부재의 하단플랜지와 하부 철골부재의 상단플랜지를 함께 물어 압박하며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플랜지 클램프는 수직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철골부재의 플랜지 측면과 접하는 몸체부 및 상기 철골부재의 플랜지 판면과 접하는 압박부로 구성된 상부재와 하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플랜지 클램프의 상부재와 하부재는 상기 통공을 관통하는 장볼트의 체결에 의해 일체(一體)로 조여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를 제공한다.
철골부재, 클램프, 커넥터, 무용접, 각관, 빔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골부재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이나 체결공 형성 등에 의한 철골부재 본체의 손상 없이도, 클램프의 끼움, 고정에 의해 2개의 철골부재를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철골구조 건축물에서 H형강, I형강 등은 빔이나 거더 부재로 활용되며, 철골부재를 조립하여 제작한 강재 거푸집은 테이블폼, 역타설공법에서의 현수거푸집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철골구조 건축물을 시공하거나 강재 거푸집을 제작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 철골부재들을 수직, 수평 결합시키거나, 교차결합시키거나, 직교결합시키는 등 여러가지 방식으로 조립할 필요가 있었다.
다만, 종래에는 철골부재들을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용접을 하거나 리벳, 볼트 등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철골부재를 손상시키면서 결합시켰으므로 철골부재의 강성에 악영향이 우려되었고, 특정한 형태로 결합시킨 철골부재를 해체하여 재활용 하기에도 어려움이 있었으며, 그 결합 및 해체작업 자체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철골부재들을 결합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철골부재간 용접을 하지 않고, 철골부재에 손상을 주는 체결구 결합을 피하면서도 안정적이고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유형으로 결합되는 철골부재를 고정시켜주는 다양한 클램프를 구성함으로서,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위와 같은 클램프 결합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부수적 수단인 웨브 커넥터, L형볼트 등과 철골부재간의 다양한 결합을 위한 부수적 수단인 링크부재, 철골받침대 등을 함께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용접이나 모재의 손상을 주는 체결결합 없이 철골부재간을 결합시킬 수 있어 철골부재의 결합이 허용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배제시킬 수 있다.
2. 철골부재간의 조립은 물론 해체도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로 재조립할 수 있고, 철골부재간의 조립에 의한 부재의 손상이 없으므로 해체 후 재활용이 가능하다.
3. 상부의 압축력을 받는 철골부재와 이격하여서 하부의 인장력을 받는 인장강선을 조립하여 철골부재와 일체화시킴으로서 조립 구조체의 강성을 증강시킬 수 있으므로, 제작한 강재 거푸집틀의 강재소요량을 절감하고, 지상층은 테이블폼, 지하층 역타설공법에서의 현수거푸집 등의 거푸집조립틀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4. 용접작업에 비해 간편하고 빠르게 철골부재를 조립할 수 있게 되어 공기(工期)단축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웨브의 상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철골부재 2개를 상하부로 배치하여 직각교차시킨 상태에서 무용접으로 조립하는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2는 플랜지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링크부재를 이용하여 철골부재간을 이격시킨 채 조립하는 철골부재 무용접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플랜지 클램프의 상부재와 하부재 사이에 여러개의 링크부재가 적층되는 구조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철골받침대를 이용하여 철골부재간을 이격시킨 채 조립하는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웨브의 상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철골부재 2개를 동일평면상에서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직교시킨 상태에서 무용접으로 조립하는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9는 멀티 플랜지 클램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웨브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웨브 커넥터 및 멀티 플랜지 클램 프에 의한 도 8의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웨브의 상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철골부재와 각관형 철골부재를 상하부로 배치하여 직각교차시킨 상태에서 무용접으로 조립하는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각관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L형볼트가 각관 클램프 및 각관철골에 체결, 고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커플러 및 아이볼트를 이용하여 철골부재에 인장강선을 설치하여 구조체의 강성을 보강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Ⅰ. 제1유형구조
H형강, I형강과 같이 웨브의 상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철골부재 2개를 상하부로 배치하여 직각교차시킨 상태에서 철골부재의 손상 없이 무용접으로 조립한 구조를 제1유형구조라 명하고 서술하기로 한다. 즉, 본 제1형구조는 철골부재 조립을 위한 용접과 체결작업을 위한 천공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조립구조이다.
이러한 제1유형구조 중에서도 철골부재를 맞댄 채 직각교차 상태로 조립하는 기본구조와 철골부재를 이격시킨 채 직각교차 상태로 조립하는 이격구조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 기본구조
제1유형구조의 기본구조는 상하부 철골부재(10a, 10b)의 교차부 4지점에 각각 플랜지 클램프(100)를 끼워 상부 철골부재(10a)의 하단플랜지와 하부 철골부재(10b)의 상단플랜지를 함께 물어 압박하며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도 1 참조 및 도 3 참조)
상기 플랜지 클램프(100)는, 상부재(110)와 하부재(12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재(110)와 하부재(120)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통공(112, 1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철골부재(10a, 10b)의 플랜지 측면과 접하는 몸체부(111, 121) 및 상기 철골부재(10a, 10b)의 플랜지 판면과 접하는 압박부(113, 123)로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 클램프(100)의 상부재(110)와 하부재(120)는 상기 통공(112, 122)을 관통하는 장볼트(1)의 체결에 의해 일체(一體)로 조여지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장볼트(1)는 상기 통공(112, 122)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2)와의 나사결합으로 체결되고, 그 체결 압축력에 의해 상기 상부재(110)와 하부재(120)가 일체화된 채로 조여지는 것이다.(도 2 참조) 이에 따라, 상하부 철골부재(10a, 10b)는 상기 플랜지 클램프(100)들의 조임에 의해 일체로 조립된다.
위와 같은 플랜지 클램프(100)의 일체화 구조에 의해서 상기 철골부재(10a, 10b)의 압박부(113, 123)는 상하부 철골부재(10a, 10b)의 플랜지 판면을 위 아래에서 압박하게 되는데, 상기 압박부(113, 123)가 상기 플랜지 판면과 접촉하는 면에는 톱니(114, 124)나 돌기(미도시)를 형성하여 그 압박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3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플랜지 클램프(100)가 상하부 철골부재(10a, 10b)의 겹쳐진 플랜지를 대각선 상에서 압착시킴으로서, 모재손상 없이 상하부 철골부재(10a, 10b)를 조립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한편, 상기 플랜지 클램프(100)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1, 121)에 걸림턱(115, 125)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 클램프 상부재(110) 몸체부(111)의 걸림턱(115)은 상부 철골부재(10a)의 하단플랜지 측부에 접하게 되어, 상부 철골부재(10a)가 조립된 상태에서 좌우로 흔들리는 등의 변형을 방지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플랜지 클램프 하부재(120) 몸체부(121)의 걸림턱(124)은 하부 철골부재(10b)의 상단 플랜지 측부에 접하게 되어, 하부 철골부재(10b)가 조립된 상태에서 좌우로 흔들리는 등의 변형을 방지한다. 즉, 상기 걸림턱(115, 125)은 철골부재의 회전과 비틀림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인 것이다. 또한, 상기 압박부(113, 123)는 장볼트(1)와 너트(2)의 조임과정에서 일정한 경사를 이루게 될 수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재(110)와 하부재(120) 사이에 고무링(3)을 끼워 조임으로서, 상부재(110)와 하부재(120)간의 유격조정을 통해 상기 압박부(113, 123)가 수평상태를 이루며 철골부재의 플랜지를 압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2.
이격구조
상기한 바와 같이 이격구조는 제1유형구조 중 상하부 철골부재가 이격한 채로 직각교차한 상태에서 무용접으로 조립하는 구조를 말한다. 이러한 이격구조에서는 상하부 철골부재간을 이격시키는 구성에 따라 다시 링크부재를 이용한 실시예와 철골받침대를 이용한 실시예로 구분할 수 있다.
(1)
링크부재를
이용한
실시예
본 실시예는 상기 상하부 철골부재(10a, 10b) 사이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링크부재(30)가 적층식으로 끼워져, 구성요소 전체가 일체화된 채로 고정되는 구조이다.(도 4 참조)
상기 링크부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 클램프(100)의 몸체에 형성된 통공(112, 122)과 대응하는 수직방향 통공(33)이 형성된 양단의 받침부(31)가 상기 받침부(31) 높이의 절반 높이를 갖는 막대부재인 연결부(32)에 의해 일체화된 링크부재 유닛(30a, 30b) 2개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정립한 상태와 역립한 상태의 링크부재 유닛(30a, 30b)이 상호 교차하여 십(十)자 형으로 구비된 상태에서 대각선 방향의 플랜지 클램프(100)와 연결되어, 상기 플랜지 클램프(100)의 상부재(110)와 하부재(120) 사이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시킨다.
상기 상하부 철골부재(10a, 10b), 플랜지 클램프(100)의 상부재(110), 링크 부재(30) 및 플랜지 클램프(100)의 하부재(120)는 상기 플랜지 클램프(100)의 통공(112, 122) 및 상기 링크부재(30)의 통공(32)을 관통하는 장볼트(1)를 너트(2)와 체결고정시킴으로서 일체로 고정된다.
(2) 철골받침대를 이용한
실시예
본 실시예는 상기 상하부 철골부재(10a, 10b) 사이에 웨브의 양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철골받침대(40)가 끼워져, 구성요소 전체가 일체화된 채로 고정되는 구조이다.(도 6 참조)
상기 철골받침대(40)의 플랜지 각 단부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부재(50)가 장착된다. 상기 홀딩부재(50)는 상기 플랜지 클램프(100)의 몸체에 형성된 통공(112, 122)과 대응하는 수직방향 통공(53)이 형성된 매개부(51) 및 상기 매개부(51)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철골받침대(40)의 플랜지를 물어주는 끼움쇠부(52)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상하부 철골부재(10a, 10b)와 철골받침대(40)는 상기 플랜지 클램프 (100)의 통공(112, 122) 및 홀딩부재(50)의 통공(53)을 관통하는 장볼트(1)를 너트(2)와 체결고정시킴으로서 일체화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Ⅱ. 제2유형구조
H형강, I형강과 같이 웨브의 상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철골부재 2개를 동일평면상에서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직교시켜 T자형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철골부재의 손상 없이 무용접으로 조립한 구조를 제2유형이라 명하고 서술하기로 한다. 즉, 본 제2형구조 역시 철골부재 조립을 위한 용접과 체결작업을 위한 천공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조립구조이다.
본 제2유형구조는 상기 철골부재(10c, 10d)의 상단플랜지 간의 직교부 2지점과 하단플랜지 간의 직교부 2지점에 각각 멀티 플랜지 클램프(200)를 끼워, 직교하는 플랜지를 함께 물어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8 참조)
상기 멀티 플랜지 클램프(200)도 역시 상부재(210)와 하부재(22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재(210)와 하부재(220)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통공(212, 2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철골부재(10c, 10d)들의 플랜지 측면과 접하는 몸체부(211) 및 상기 철골부재(10c, 10d)들의 플랜지 판면과 접하는 압박부(213, 223)로 구성된다. 상기 멀티 플랜지 클램프(200)의 상부재(210)와 하부재(220)는 상기 통공(212, 222)을 관통하는 장볼트(1)의 체결에 의해 일체(一體)로 조여지도록 구성되며, 도 9에서는 상기 장볼트(1)가 너트(2)와 나사결합하여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멀티 플랜지 클램프(200)는 직교하는 2개의 철골부재(10c, 10d) 플랜지 를 함께 물어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멀티 플랜지 클램프(200)의 압박부(213, 223)는 제1유형구조에 사용된 일반 플랜지 클램프(100)의 압박부(113, 123)에 비해 넓게 형성될 것이 요구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부(213, 223)가 3방향으로 퍼지도록 구성하여, 플랜지면과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다. 이 밖의 나머지 구성은 상기한 멀티 플랜지 클램프(200)와 일반 플랜지 클램프(100)간에 차이가 없으며, 상기 압박부(213, 223)의 톱니(214, 224) 또는 돌기(미도시), 몸체부(211, 221)의 걸림턱(215, 225) 및 상부재(210)와 하부재(220) 사이의 고무링(3) 등의 세부적인 사항도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유형구조의 구성요소간 결합력은 웨브 커넥터(60)를 이용함으로서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웨브 커넥터(6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철골부재(10d)의 웨브 단부의 상하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부재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암나사홀(61)에는 장볼트(1)를 체결시켜, 체결되는 장볼트(1)가 각각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철골부재(10c)의 상하단 플랜지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밀어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장볼트(1)와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철골부재(10c)의 플랜지는 서로 압착되어, 그 압착에 의한 마찰력 강화로 인해 본 제2형구조의 구성요소간 결합력이 강화되는 것이다.
상기 웨브 커넥터(60)를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철골부재(10d)의 웨브에 고정 시킬 때는 부분적인 용접을 통해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브 커넥터(60)의 양측면에 통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통공에 볼트를 끼워 넣어 철골부재(10d)의 웨브를 양측면에서 압박고정시키는 수단을 채택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걸림턱은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랜지를 고정시키는 멀티 플랜지 클램프(200)에는 상부재(210)와 하부재(220)에 모두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상부재(210)에 형성된 걸림턱(215)은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철골부재(10d)의 회전이나 비틀림을 제어하도록 하고, 하부재(220)에 형성된 길림턱(225)은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철골부재(10c)의 회전이나 비틀림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하부 플랜지를 고정시키는 멀티 플랜지 클램프(200)에는 상부재(210)에만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하여,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철골부재(10d)의 회전이나 비틀림을 제어하면 되고, 하부재(220)에는 걸림턱을 구성하지 아니할 수 있다. 이 때,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철골부재(10c)의 회전이나 비틀림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철골부재(10c) 중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철골부재(10d)와 접하는 측부의 반대측부의 상하부 플랜지에는 봉볼트(1a)에 의해 플랜지 클램프 상부재(110)와 클램프 받침판(130)을 체결하는 것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Ⅲ. 제3유형구조
H형강, I형강과 같이 웨브의 상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철골부재(10e)와 각 관형 철골부재(20)를 상하부에 배치하여 직각교차시킨 상태에서 무용접으로 조립하는 구조를 제3유형구조라 명하고 서술하기로 한다.
본 제3유형구조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관형 철골부재(300)를 웨브의 상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철골부재(10e)의 플랜지에 끼워 고정시킴으로서, 철골부재의 무용접 조립구조를 이룬다.
상기 각관 클램프(3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관형 철골부재(20)를 받치는 받침판(310) 및 상기 각관형 철골부재(20)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하여 받침판(310)의 양측에 수직으로 절곡되고, 하부에는 플랜지 끼움홈(321)이 형성된 측면판(32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각관 클램프(3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형볼트(4) 및 너트(2)의 체결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각관 클램프(300) 받침판(310) 및 각관형 철골부재 하면에는 장공(長空)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며, L형볼트(4)를 상기 각관 클램프(300)의 받침판(310)과 상기 각관형 철골부재(20)의 하면을 관통한 후 90도로 비튼 상태로 너트조임함으로서 상기 각관 클램프(300)가 고정되고, 상하부 철골부재(10e, 20)가 일체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각관 클램프(300)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피스 또는 볼를 측방향에서 체결시킬 수 있다.
Ⅳ.
인장응력
보강구조
한편, 상기 플랜지 클램프(100) 또는 멀티 플랜지 클램프(200)를 일체화시키는 장볼트(1) 또는 봉볼트(1a) 하단에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커플러(70)를 결합시키고, 상기 커플러(70)의 하단에는 아이볼트(80)를 결합시켜 상기 아이볼트(80)의 통공을 통해 인장강선(90)을 설치함으로서 철골부재의 인장응력을 보강할 수 있다. (도 15 참조)
이러한 구성은, 상부의 압축력을 받는 철골부와 이격하여서 하부의 인장력을 받는 고강도 강선을 일체(一體)로 조립함으로서 구조체의 강성을 증강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강재 거푸집틀의 강재소요량을 절감할 수 있고, 건축물 지상층 시공중에는 테이블폼으로 활용하고 지하층 역타설공법 시공시에는 현수거푸집으로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웨브의 상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철골부재 2개를 상하부로 배치하여 직각교차시킨 상태에서 무용접으로 조립하는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2는 플랜지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링크부재를 이용하여 철골부재간을 이격시킨 채 조립하는 철골부재 무용접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플랜지 클램프의 상부재와 하부재 사이에 여러개의 링크부재가 적층되는 구조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철골받침대를 이용하여 철골부재간을 이격시킨 채 조립하는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웨브의 상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철골부재 2개를 동일평면상에서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직교시킨 상태에서 무용접으로 조립하는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9는 멀티 플랜지 클램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웨브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웨브 커넥터 및 멀티 플랜지 클램프에 의한 도 8의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웨브의 상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철골부재와 각관형 철골부재를 상하부로 배치하여 직각교차시킨 상태에서 무용접으로 조립하는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각관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L형볼트가 각관 클램프 및 각관철골에 체결, 고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커플러 및 아이볼트를 이용하여 철골부재에 인장강선을 설치하여 구조체의 강성을 보강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볼트 2 : 너트
3 : 고무링 4 : L형볼트
10a, 10b 10c, 10d, 10e : 웨브의 상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철골부재
20 : 각관형 철골부재
30 : 링크부재 30a, 30b : 링크부재 유닛
31 : 받침부(링크부재) 32 : 연결부(링크부재)
33 : 통공(링크부재)
40 : 철골받침대
50 : 홀딩부재 51 : 매개부(홀딩부재)
52 : 끼움쇠부(홀딩부재) 53 : 통공(홀딩부재)
60 : 웨브 커넥터 61 : 암나사홀(웨브 커넥터)
70 : 커플러(장너트형)
80 : 아이볼트
90 : 인장강선
100 : 플랜지 클램프
110 : 상부재(플랜지 클램프) 120 : 하부재(플랜지 클램프)
111, 121 : 몸체부(플랜지 클램프) 112, 122 : 통공(플랜지 클램프)
113, 123 : 압박부(플랜지 클램프) 114, 124 : 톱니(플랜지 클램프)
115, 125 : 걸림턱(플랜지 클램프)
200 : 멀티 플랜지 클램프
210 : 상부재(멀티 플랜지 클램프) 220 : 하부재(멀티 플랜지 클램프)
211, 221 : 몸체부(멀티 플랜지 클램프)
212, 222 : 통공(멀티 플랜지 클램프)
213, 223 : 압박부(멀티 플랜지 클램프)
214, 224 : 톱니(멀티 플랜지 클램프)
215, 225 : 걸림턱(멀티 플랜지 클램프)
300 : 각관 클램프 310 : 받침판
320 : 측면판
Claims (7)
- 웨브의 상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2개의 철골부재(10a, 10b)를 용접이나 체결구 조립을 위한 천공작업 없이, 상하부로 배치하여 직각교차시킨 상태에서 조립한 구조에서,플랜지 클램프(100)를 상기 철골부재(10a, 10b)들의 교차부 4지점에 각각 끼워 상부 철골부재(10a)의 하단플랜지와 하부 철골부재(10b)의 상단플랜지를 함께 물어 압박하며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상기 플랜지 클램프(100)는 수직방향으로 통공(112, 1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철골부재(10a, 10b)의 플랜지 측면과 접하는 몸체부(111, 121) 및 상기 철골부재(10a, 10b)의 플랜지 판면과 접하는 압박부(113, 123)로 구성된 상부재(110)와 하부재(120)로 구성되며,상기 플랜지 클램프(100)의 상부재(110)와 하부재(120)는 상기 통공을 관통하는 장볼트(1)의 체결에 의해 일체(一體)로 조여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
- 제1항에서,상기 철골부재(10a, 10b)들이 이격한 채로 직각교차한 상태에서 조립된 구조로서, 상기 철골부재(10a, 10b)들 사이에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링크부재(30)가 적 층식으로 끼워져 고정되되,상기 링크부재(30)는, 상기 플랜지 클램프(100)의 몸체에 형성된 통공(112, 122)과 대응하는 수직방향 통공(33)이 형성된 양단의 받침부(31)가 상기 받침부(31) 높이의 절반 이하의 높이를 갖는 막대부재인 연결부(32)에 의해 일체화된 개의 링크부재 유닛(30a, 30b)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정립한 상태와 역립한 상태의 링크부재 유닛(30a, 30b)이 상호 교차하여 십(十)자를 이루며 대각선 방향의 플랜지 클램프(100)를 연결하며, 상기 플랜지 클램프(100)의 상부재(110)와 하부재(120) 사이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시키고,상기 상하부 철골부재(10a, 10b)와 링크부재(30)는 상기 플랜지 클램프(100)의 통공(112, 122) 및 상기 링크부재(30)의 통공(33)을 관통하는 장볼트(1)의 체결에 의해 일체(一體)로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
- 제1항에서,상기 철골부재(10a, 10b)들이 이격한 채로 직각교차한 상태에서 조립된 구조로서, 상기 철골부재(10a 10b)들 사이에는 웨브의 양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철골받침대(40)가 세워진 채로 끼워져 일체(一體)로 고정되되,상기 철골받침대(40)의 플랜지 각 단부에는, 상기 플랜지 클램프(100)의 몸체에 형성된 통공(112, 122)과 대응하는 수직방향 통공(53)이 형성된 매개부(51) 및 상기 매개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철골받침대(40)의 플랜지를 물어 고정되는 끼움쇠부(52)로 구성된 홀딩부재(50)가 장착되어, 상기 상하부 철골부재(10a, 10b)와 철골받침대(40)가 상기 플랜지 클램프(100)의 통공(112, 122) 및 홀딩부재(50)의 통공(53)을 관통하는 장볼트(1)의 체결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상기 플랜지 클램프(100)를 일체화시키는 장볼트(1) 하단에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장너트형의 커플러(70)를 결합시키고, 상기 커플러(70)의 하단에는 아이볼트(80)를 결합시켜 상기 아이볼트(80)의 통공을 통해 인장강선(9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
- 웨브의 상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2개의 철골부재(10c, 10d)를 동일평면상에서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직교시킨 T형으로 용접 없이 조립한 구조에서,멀티 플랜지 클램프(200)를 상기 철골부재(10c, 10d)들의 상단플랜지 간의 직교부 2지점과 하단플랜지 간의 직교부 2지점에 끼워 직교된 플랜지를 함께 물어 압박하며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상기 멀티 플랜지 클램프(200)는 수직방향으로 통공(212, 2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철골부재(10c, 10d)들의 플랜지 측면과 접하는 몸체부(211) 및 상기 철골부재(10c, 10d)들의 플랜지 판면과 접하는 압박부(213, 223)로 구성된 상부재(210)와 하부재(220)로 구성되며,상기 멀티 플랜지 클램프(200)의 상부재(210)와 하부재(220)는 상기 통공(212, 222)을 관통하는 장볼트(1)의 체결에 의해 일체(一體)로 조여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
- 제5항에서,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철골부재(10c)의 웨브 단부의 상하단에 끼워져 고정되고, 수직방향으로 암나사홀(61)이 형성된 웨브 커넥터(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상기 암나사홀(61)에는 각각 장볼트(1)가 체결되고, 상기 장볼트(1)는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철골부재(10d)의 상하단 플랜지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밀며 밀착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
- 웨브의 상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철골부재(10e)와 각관형 철골부재를(20) 상하부로 배치하여 직각교차시킨 상태에서 용접 없이 조립한 구조에서,상기 각관형 철골부재(20)를 받치는 받침판(310) 및 상기 각관형 철골부 재(20)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하여 상기 받침판(310)의 양측에 수직으로 절곡되고, 하부에는 플랜지 끼움홈(321)이 형성된 측면판(320)으로 구성된 각관 클램프(300)를 플랜지 양측에서 끼우고,L형볼트(4)를 상기 각관 클램프(300)의 받침판(310)의 하면과 상기 각관형 철골부재(20)의 하면을 관통한 후 90도로 비튼 상태로 볼트조임 함으로서 상하부 철골부재가 일체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7394A KR20090050778A (ko) | 2007-11-16 | 2007-11-16 |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7394A KR20090050778A (ko) | 2007-11-16 | 2007-11-16 |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0778A true KR20090050778A (ko) | 2009-05-20 |
Family
ID=40859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17394A KR20090050778A (ko) | 2007-11-16 | 2007-11-16 |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50778A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06112A (ko) * | 2016-03-11 | 2017-09-20 | 장용재 |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 |
KR20190073339A (ko) * | 2019-06-21 | 2019-06-26 |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 |
KR102101849B1 (ko) | 2018-12-26 | 2020-04-17 | (주)동광명품도어 | 끼움식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 |
KR102120878B1 (ko) | 2018-12-26 | 2020-06-09 | (주)동광명품도어 | 나사결합식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 |
KR20200079892A (ko) | 2018-12-26 | 2020-07-06 | (주)동광명품도어 |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 |
CN114635504A (zh) * | 2022-04-13 | 2022-06-17 | 杭州潮峰重工钢结构有限公司 | 基于仿古建筑的装配式钢结构框架快装结构及其安装方法 |
CN115928884A (zh) * | 2022-10-15 | 2023-04-07 | 金明寓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装配式横梁及其连接方法 |
KR102624279B1 (ko) * | 2023-09-05 | 2024-01-15 | 주식회사 미르엔지니어링 | 모듈 리프트용 클램프 지그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듈 시공방법 |
-
2007
- 2007-11-16 KR KR1020070117394A patent/KR2009005077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06112A (ko) * | 2016-03-11 | 2017-09-20 | 장용재 |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 |
KR102101849B1 (ko) | 2018-12-26 | 2020-04-17 | (주)동광명품도어 | 끼움식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 |
KR102120878B1 (ko) | 2018-12-26 | 2020-06-09 | (주)동광명품도어 | 나사결합식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 |
KR20200079892A (ko) | 2018-12-26 | 2020-07-06 | (주)동광명품도어 |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 |
KR20190073339A (ko) * | 2019-06-21 | 2019-06-26 |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 |
CN114635504A (zh) * | 2022-04-13 | 2022-06-17 | 杭州潮峰重工钢结构有限公司 | 基于仿古建筑的装配式钢结构框架快装结构及其安装方法 |
CN114635504B (zh) * | 2022-04-13 | 2023-10-13 | 杭州潮峰重工钢结构有限公司 | 基于仿古建筑的装配式钢结构框架快装结构及其安装方法 |
CN115928884A (zh) * | 2022-10-15 | 2023-04-07 | 金明寓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装配式横梁及其连接方法 |
KR102624279B1 (ko) * | 2023-09-05 | 2024-01-15 | 주식회사 미르엔지니어링 | 모듈 리프트용 클램프 지그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듈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050778A (ko) |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 | |
JP6450577B2 (ja) | 挟締金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部材の固定構造 | |
US3585771A (en) | Connecting precast concrete structural members | |
US7856787B2 (en) | Joint fitting between members and joint structure and joining method of upper and lower floor vertical frame members | |
US20020007614A1 (en) | Joint structure for joining composite beam and column | |
JP3655584B2 (ja) | 建物ユニットの柱構造 | |
KR101462843B1 (ko) | 철골기둥과 철골보, 철골기둥과 철골기둥·철골보의 접합구조 | |
KR20160097888A (ko) |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 |
KR20230144438A (ko) | 연결보와 장지간보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한 철골구조물 | |
US11078661B2 (en) | Rolling block restraint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linkage assembly | |
KR101299574B1 (ko) | 사각 패널존을 이용한 모멘트 접합구조 | |
KR20160091476A (ko) | 데크 단부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
KR20140098527A (ko) |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 구조물 및 그 결합방법 | |
JP3773652B2 (ja) | 吊構造物の桁連結方法 | |
KR20210154595A (ko) | 플랜지 결합부를 구비한 결합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보의 결합구조 및 기둥-보 시공방법 | |
KR102627366B1 (ko) | 무용접 찬넬 시스템 | |
JP7535343B1 (ja) | 軸端補助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部材の接続構造 | |
JP4639012B2 (ja) | 箱形断面柱とh形断面梁の高力ボルト接合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JP7162457B2 (ja) | あと付けブレースの接合構造 | |
KR100617250B1 (ko) | 건축·토목용 판상강재 또는 형강재 접합장치 | |
KR102683328B1 (ko) | 각형 강관 기둥과 단부 블록 일체형 h형강 보를 무용접 외다이어프램으로 접합하는 건축물 시스템 및 시공 방법 | |
JPH069131Y2 (ja) | 柱と梁との接合構造 | |
JP2007218041A (ja) | 木造建築物における接合緊締構造とその金具,柱脚構造とその金具,および柱・梁接合構造とその金具 | |
JP7126386B2 (ja) | 柱梁接合構造 | |
JP2024088418A (ja) | 跳出し架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