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90022465A - 단말기 메뉴 선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단말기 메뉴 선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2465A
KR20090022465A KR1020070087827A KR20070087827A KR20090022465A KR 20090022465 A KR20090022465 A KR 20090022465A KR 1020070087827 A KR1020070087827 A KR 1020070087827A KR 20070087827 A KR20070087827 A KR 20070087827A KR 20090022465 A KR20090022465 A KR 20090022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menu
user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7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2465A/ko
Publication of KR20090022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패턴을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 패턴을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하고, 특정 패턴의 입력이 있으면 그 패턴이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저장 패턴과 동일한지를 판단하여, 저장된 패턴과 동일하다고 판단하면 설정된 메뉴를 바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 선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패턴, 메뉴, 인식

Description

단말기 메뉴 선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SELECTING METHOD OF MENU IN TERMINAL AND TERMINAL APPLIED BY THIS METHOD}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하는 메뉴의 패턴을 등록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뉴의 패턴 저장 절차를 마치고 나서 패턴 입력에 따른 메뉴 실행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1 : 패턴인식부 102 : 디스플레이부
103 : 제어부 104 :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비자의 욕구에 맞추어, 초소형화, 다기능화 추세로 발전 되고 있으며, 특히 카메라를 장착하거나 각종 기능성 악세사리를 단말기에 부가하여 편리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그 결과 휴대용 단말기에는 많은 메뉴들이 구비되어 있어 소비자들이 이를 이용하고 있다.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은 서비스 업체마다 차이는 있으나, 여러 개의 상위 메뉴 밑에 서브 메뉴들로 구성되어 있다. 서브 메뉴에도 단계가 있어서 같은 단계의 메뉴도 여러 개가 있으면 한 화면에 보이지 않아 위, 아래 버튼으로 찾아가야 한다. 또한 다른 서브 메뉴로 가기 위해서는 다시 상위 메뉴를 거쳐서 서브 메뉴로 가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바로가기를 통해 메뉴에의 빠른 접근이 가능하겠지만, 바로가기에 등록되어 있는 메뉴가 많으면 위, 아래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입력 장치를 갖는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특정한 패턴의 입력을 하면 단말기가 패턴을 인식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패턴과 비교하여 즉각적인 메뉴 실행을 가능토록 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특정 패턴으로 단말기의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 말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메뉴 선택 방법은 메뉴 선택용 패턴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패턴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인식된 패턴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인식된 패턴에 해당하는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패턴 인식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메뉴 선택용 패턴은 키 입력, 터치스크린, 움직임 및 음성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정 패턴으로 메뉴를 선택하는 단말기는, 메뉴 선택용 패턴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패턴을 인식하는 패턴인식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패턴이 인식되면 해당 메뉴를 활성화시켜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수신하여 상기 입력 패턴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메뉴 선택용 패턴과 비교하고, 상기 메뉴 선택용 패턴과 동일한 입력 패턴이면 해당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된 메뉴 선택용 패턴은 키 입력, 터치스크린, 움직임 및 음성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간단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패턴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04),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패턴을 인식하는 패턴인식부(101),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패턴이 인식되면 해당 메뉴를 활성화시켜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02)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수신하여 상기 입력 패턴을 상기 데이터베이스(104)에 저장된 저장 패턴과 비교하고 상기 저장 패턴과 동일한 입력 패턴이면 해당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02)에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103)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04)는 단말기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선택용 패턴을 저장하는 부분인데, 사용자의 메뉴 선택시 사용자의 패턴 입력에 반응하여 특정 메뉴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미리 데이터베이스(104)에 특정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사전에 특정 패턴과 그에 해당하는 메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면, 원하는 메뉴를 특정 패턴에 의해 쉽게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패턴인식부(101)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각종 패턴을 인식하는 부분으로서 그 패턴은 키 입력, 터치스크린, 움직임, 음성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각 경우에 대해 그 예를 들면서 부가적인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버튼 등의 키 입력으로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패턴인식부(101)은 매트릭스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4방향 키 입력 인식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1,2,3,4 방향키에 각각 스위치가 구비되고, 2개의 디지 털 입력을 받아 2개의 디지털 출력을 내보낸다. 이 디지털 출력값은 각 방향키에 연결된 스위치가 눌려짐에 따라 변화하는데, 패턴인식부(101)는 이 디지털 값을 이용하여 키 입력을 인식한다. 최근에는 두 개의 방향키 인식이 동시에 가능하게 하거나,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식 두 가지로 인식을 할 수 있는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키 입력으로 패턴을 인식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사용자가 'C'라고 키 입력을 하면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를 통해 '카메라' 메뉴가 실행되는 경우이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에 있어서 패턴인식부(101)에서의 동작을 살펴본다. 터치스크린이 동작하는 원리는 다양하지만, 가장 대표적인 경우는 스크린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반응하는 센서 줄을 촘촘하게 설치해 압력이 가해질 경우 그 위치를 좌표로 알아내는 방식이다. 또는 스크린 표면에 전하를 충전하고 그 둘레에 센서들을 설치 후 접촉시에 전하가 상실된 정도를 감지해 접촉이 이루어진 곳을 파악하는 방식도 있다. 터치스크린으로 패턴을 인식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상에 'C'모양의 문자를 쓰면,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를 통해 '카메라' 메뉴가 실행되는 경우이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특정 움직임을 통해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에 있어서 패턴인식부(101)에서의 동작을 살펴본다. 이 경우 패턴인식부(101)는 움직임 센서가 사용죌수 있으며, 사용자가 단말기에 행하는 특정 움직임을 상기 움직임 센서가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103)로 보내고, 제어부(103)는 미리 저장된 패턴과 비교하여 해당 메뉴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에 단말기를 들고 'C'자 모양으로 손을 회전하면,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를 통해 '카메라' 메뉴가 실행되는 경우이다.
그 다음으로는 사용자가 음성을 통해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에 있어서 패턴인식부(101)에서의 동작을 살펴본다. 음성인식의 원리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람의 음성을 단말기의 제어부는 패스트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을 통해 이진 데이터로 변환을 한다. 그 후 그 데이터로 처리된 자료들을 분석하여 평균값과 그 산포도를 산출한다. 그 다음으로, 각 음성에 대해서 별개의 변수를 지정하여 단말기 안에 저장을 하여 특정 음성을 특정 이진 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을 한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을 이진 데이터로 변환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데이터와 동일하다면 해당 메뉴에 대해서 활성화를 한다. 음성을 통해 패턴을 인식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사용자가 "카메라"라고 단말기에 말을 하면,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를 통해 '카메라' 메뉴가 실행되는 경우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2)는 사용자가 입력한 패턴이 인식되면 해당 메뉴를 활성화시켜 화면상에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102)에 사용자의 특정 패턴의 입력에 의한 메뉴가 활성화되면, 사용자는 그 메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3)는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수신하여 입력 패턴을 상기 데이터베이스(104)에 저장된 저장 패턴과 비교하고 저장 패턴과 동일한 입력 패턴이면 해당하는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02)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단말기에 입력하는 패턴을 키 입력, 터치 스크린, 특정 움직임, 음성 등을 예로 들었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메뉴 선택 방법은 사용자가 단말기에 입력하는 모든 패턴의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하는 메뉴의 패턴을 등록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기처럼 사용자가 특정 패턴에 의해서 메뉴를 실행할 수 있기 위해서는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메뉴선택용 패턴이 저장되어 있어야 하므로, 본 단계는 메뉴의 선택 단계에 앞서 선결적으로 행해져야 할 단계이다.
먼저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하고자 하는 특정 패턴을 입력한다(S201). 이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키 입력, 터치스크린에의 터치, 특정 움직임의 수행, 음성 중 어느 하나로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패턴이 입력되면 그 패턴에 맞는 메뉴를 선택한다(S202). 즉, 특정 입력을 한 후에 그 입력이 수행하고자 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것이다. 그 다음에는 입력된 선택용 패턴과 선택 메뉴를 데이터베이스(104)에 저장한다(S203).
상기 패턴의 저장과정은 단말기의 제조과정에서 미리 저장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등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는 사용자가 자신이 편한 입력 방식을 채택하여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것이고, 이는 예컨대 '메뉴패턴등록'이라는 메뉴를 따로 두어 패턴을 저장하고 그 패턴과 연결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3은 메뉴의 패턴저장절차를 마치고 나서, 패턴 입력에 따른 메뉴 실행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의 패턴 입력이 있으면(S301), 제어부는 패턴의 입력 시점에서 패턴 인식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S302). 만약 패턴 인식이 불가능한 상태라면 사용자의 패턴 입력을 무시(S303)하고, 패턴의 인식이 가능한 상태라면 다음 단계로 진입한다.
여기서 패턴 인식이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유는 만약 사용자가 다른 작업을 수행중인 경우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메뉴가 선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하고 있는 경우에는 패턴 인식이 필요한 상황이 아니므로 패턴의 입력이 있어도 이를 무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패턴 인식이 가능한 경우라면 다음으로는 그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를 거친다(S304). 패턴의 인식은 상기 자세히 언급한 바와 같이 입력이 어떤 형태이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패턴이 인식되었으면 그 패턴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305). 따라서 제어부는 인식된 입력 패턴과 이미 저장된 선택용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것이 있으면 인식된 패턴에 해당하는 메뉴를 활성화하고(S307), 패턴이 일치하지 아니하면 입력 패턴을 무시한다(S306).
상기와 같이 패턴이 인식이 되고 인식된 패턴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선택용 패턴과 동일한 경우라면 해당 메뉴가 바로 활성화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할 때, 미리 저장된 특정 패턴을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의 단말기 조작이 간단해지고, 직관적인 메뉴 선택이 가능해진다.

Claims (5)

  1. 메뉴 선택용 패턴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패턴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인식된 패턴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인식된 패턴에 해당하는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 메뉴 선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패턴 인식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메뉴 선택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매뉴 선택용 패턴은 키 입력, 터치스크린, 움직임 및 음성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메뉴 선택 방법.
  4. 메뉴 선택용 패턴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패턴을 인식하는 패턴인식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패턴이 인식되면 해당 메뉴를 활성화시켜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수신하여 상기 입력 패턴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메뉴 선택용 패턴과 비교하고, 상기 메뉴 선택용 패턴과 동일한 입력 패턴이면 해당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메뉴 선택용 패턴은 키 입력, 터치스크린, 움직임 및 음성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070087827A 2007-08-30 2007-08-30 단말기 메뉴 선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KR20090022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827A KR20090022465A (ko) 2007-08-30 2007-08-30 단말기 메뉴 선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827A KR20090022465A (ko) 2007-08-30 2007-08-30 단말기 메뉴 선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465A true KR20090022465A (ko) 2009-03-04

Family

ID=40692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827A KR20090022465A (ko) 2007-08-30 2007-08-30 단말기 메뉴 선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246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2714B2 (en) 2011-08-05 2015-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based on voice recognition and motion recogni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applying the same
US9182905B2 (en) 2009-04-08 2015-11-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inputting command in mobile terminal using drawing pattern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11995297B2 (en) 2021-03-08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nhanced user interface (UI) button control for mobile applicatio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2905B2 (en) 2009-04-08 2015-11-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inputting command in mobile terminal using drawing pattern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9002714B2 (en) 2011-08-05 2015-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based on voice recognition and motion recogni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applying the same
US9733895B2 (en) 2011-08-05 2017-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based on voice recognition and motion recogni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applying the same
US11995297B2 (en) 2021-03-08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nhanced user interface (UI) button control for mobile applica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3338B2 (en) Mobile terminal
KR100856203B1 (ko)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936720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6415165B1 (en) Portable telephone device with additional display and data inputting capability
US20150033187A1 (en) Contextual based display of graphical information
US20130122964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Thereof
KR20110117979A (ko)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90046860A (ko) 휴대 전자 기기
KR20100062899A (ko) 터치 패턴을 이용한 입력 방법 및 장치
CN104360813A (zh) 一种显示设备及其信息处理方法
KR100632400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075698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모드 변경 장치 및 방법
KR20090022465A (ko) 단말기 메뉴 선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KR20160097414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 디바이스 입력 시스템 및 입력 방법
KR20080010734A (ko)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전환 제어방법
KR20050028150A (ko) 음성 신호를 이용한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US9014762B2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KR101229357B1 (ko) 방향입력용 터치패드와 터치패널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102232308B1 (ko) 스마트 입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5082529B2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JP4385864B2 (ja) 携帯端末及び情報入力方法
KR100780437B1 (ko) 포인팅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포인터 제어 방법
KR101402199B1 (ko) 입력감지모드에 따른 입력 방법 및 휴대단말기
KR20090120743A (ko) 터치 입력 안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JP5046802B2 (ja) 携帯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