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583A - 게르마늄 도자기 계열 음식물 전기 조리기 제조방법 및 그조리기 - Google Patents
게르마늄 도자기 계열 음식물 전기 조리기 제조방법 및 그조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10583A KR20090010583A KR1020070073821A KR20070073821A KR20090010583A KR 20090010583 A KR20090010583 A KR 20090010583A KR 1020070073821 A KR1020070073821 A KR 1020070073821A KR 20070073821 A KR20070073821 A KR 20070073821A KR 20090010583 A KR20090010583 A KR 200900105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ker
- germanium
- nichrome wire
- forming
- bas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1—Inorganic additi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0—Drying metho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르마늄 도자기 계열 음식물 전기 조리기 제조방법 및 그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게르마늄이 포함된 흙을 토련하는 단계와; 상기 토련된 반죽 흙을 반분형 조리기 성형용 제1형틀에 주입하여 반분형 기초조리기를 성형하면서 바닥 상면에 니크롬선 배열홈을 지그재그 형으로 형성하는 기초조리기 성형단계와; 상기 기초조리기의 배열홈에 니크롬선을 배열홈 따라 배열하되, 니크롬선 상단부가 배열홈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니크롬선 배열 단계와;상기 기초조리기를 건조되기 전에 완전한 형태의 조리기를 성형할 수 있는 제2형틀의 성형공간에 삽입하는 기초조리기 삽입단계와; 상기 제2형틀의 성형공간에 토련된 흙을 주입하여 바닥에 니크롬선이 배열 매설된 완전한 형태의 조리기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조리기를 통상과 같이 건조, 유약 도포, 소성의 과정을 거쳐 바닥부 내에 니크롬선이 지그재그 형태로 매설 배열되어 그 양끝이 조리기 일측의 콘센트에 연결되는 게르마늄 도자기 계열 음식물 전기 조리기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화기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음식물을 가열 조리할 수 있고, 또 전기적으로 안정성이 담보되는 게르마늄 전기 조리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게르마늄 도자기, 전기 조리기, 니크롬선, 배열홈, 콘센트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기초조리기 성형공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리기 성형공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리기 단면 예시도
도 4는 도 3의 가-가'선 단면 예시도 이다.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형틀 20 : 기초조리기
21 : 배열홈 30 : 니크롬선
40 : 제2형틀 41 : 성형공간
50 : 조리기 51 : 바닥부
52 : 콘센트
본 발명은 열전도율과 열보존성이 우수하여 음식물의 가열시간을 단축시키고 또 음식물을 태우는 사례 없이 골고루 익혀주는 게르마늄 도자기계열 음식물 전기 조리기(이하 '게르마늄 전기 조리기'라 함)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게르마늄 도자기계열 음식물 조리기에 전기적 가열장치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스렌지 등과 같은 화기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음식물을 가열 조리할 수 있고, 또 전기적으로 안정성이 담보되는 게르마늄 전기 조리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효능을 가진 게르마늄 도자기계열 음식물 조리기(이하 '게르마늄 조리기'라 함)는 많이 제안되고 있으나, 대부분 가스렌지, 전자렌지 등과 같은 화기를 통하여서만 가열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아울러 그 효능을 극대화할 수 없었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게르마늄 조리기는 일정한 열이 가해져야만 게르마늄 효능이 극대화되는데, 종래에는 게르마늄 조리기를 주지한 바와 같이 화기에 의존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열할 수 없기 때문에 게르마늄 효능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고자 하는 목적달성에 많은 불편을 느껴 게르마늄 조리기의 본질에 대한 사용성이 낮았으며, 또한 게르마늄 조리기를 가열할 때 화기의 불꽃이 조리기 저면에 직접 닿기 때문에 게르마늄 조리기에 거스럼 등이 생길 수 있음은 물론 강한 열에 의해 게르마늄 조리기가 파손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게르마늄 조리기를 단순히 음식물을 보관하는 용기로 사용되어 오고 있어 게르마늄 조리기의 그 효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없었다.
따라서 현재에는 화기가 없더라도 가열할 수 있는 게르마늄 전기 조리기 제안이 적극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 게르마늄 조리기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함에 그 기술적인 과제를 두고 고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위 기술적 과제를 게르마늄 조리기 바닥면 내에 전기적 가열수단을 매설할 수 있는 게르마늄 전기 조리기 제조방법 및 그 조리기를 제안하여 해결하고자한다.
이를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게르마늄 전기 조리기 제조방법은,
게르마늄이 포함된 흙에 물을 뿌려 흙이 찰기가 있도록 반죽하면서 흙 반죽내의 공기기를 제거하는 통상적인 토련 단계와;
상기 토련된 반죽 흙을, 조리기를 수평으로 반분하였을 때(꼭 반분일 필요는 없고 반분 이상 또는 그 이하로 분할하여도 무방하다), 즉 조리기의 두께를 반분한 형태의 조리기(50)를 성형할 수 있는 반분형 조리기 성형용 제1형틀(10)에 주입하여 반분형 기초조리기(20)를 성형하면서 바닥 상면에 니크롬선 배열홈(21)을 지그재그 형으로 형성하는 기초조리기(20) 성형단계와;
상기 기초조리기(20)의 지그재그형 배열홈(21)에 니크롬선(30)을 배열홈(21) 따라 배열하되, 니크롬선(30) 상단부가 배열홈(21)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니크롬선(30) 배열 단계와'
상기 기초조리기(20)를 건조되기 전에 완전한 형태의 조리기(50)를 성형할 수 있는 제2형틀(40)의 성형공간(41)에 삽입하는 기초조리기(20) 삽입단계와;
상기 제2형틀(40)의 성형공간(41)에 토련된 흙을 주입하여 바닥에 니크롬선(30)이 배열 매설된 완전한 형태의 조리기(50)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조리기를 통상의 도자기 제조방식과 같이 건조, 유약 도포, 소성의 과정을 거쳐 게르마늄 전기 조리기를 완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완전한 형태의 게르마늄 전기 조리기(50)를 성형할 때 니크롬선(30) 주위에 기포가 발생 되지않도록 배열홈(21)과 니크롬선(30) 사이에 흙이 완전하게 충진 되도록 하여 성형된 게르마늄 전기 조리기(50)를 소성할 시 열에 의해 니크롬선(30)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기초조리기(20)를 건조되기 전에 완전한 형태의 게 르마늄 전기 조리기(50)를 성형할 수 있는 제2형틀(40)의 성형공간(41)에 삽입하여 토련된 흙을 주입하면 기초조리기(20)가 건조되기 전이기 때문에 기초조리기(20)와 성형공간(41)으로 주입되는 흙이 일체화될 수 있어 기초조리기(20)와 주입되는 흙에 대하여 일체화 작업을 별도로 하지 않더라도 기초조리기(20) 형태가 전혀 표시되지 않으면서도 바닥부(51)에는 니크롬선(30)을 매설한 게르마늄 전기 조리기(50)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즉, 바닥부(51) 내에 니크롬선(30)이 지그재그 형태로 매설 배열되어 그 양끝이 조리기(50) 일측의 콘센트(52)에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는 게르마늄 전기 조리기(50)를 얻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닥부(51)에 매설된 니크롬선(30)에 전기를 인가함으로써 바닥부(51)를 가열할 수 있는 게르마늄 전기 조리기(50) 제공이 가능하며, 또 니크롬선(30)을 조리기(50)의 바닥부(51)에 매설하기 때문에 전기적 안전성을 가짐은 물론 조리기(5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니크롬선(30)의 유동이 초래되지 않아 전기적 고장 발생이 전혀 없게 된다,
또한 게르마늄 전기 조리기(50) 바닥부(51) 상면을 엠보싱화 하여 음식물을 조리시 음식물 기름과 음식물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을 보다 맛있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게르마늄 조리기에 전기적 가열장치를 할 수 있게 되므로 조리기(50)를 화기에 의존하지 않더라도 독단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되어 게르마늄 조리기의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게르마늄 효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또 전기적 안전성이 완벽하게 담보되어 전기적 사고 염려가 전혀 없는 게르마늄 전기 조리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3)
- 게르마늄이 포함된 흙을 토련하는 통상적인 단계와;상기 토련된 반죽 흙을 반분형 조리기 성형용 제1형틀(10)에 주입하여 반분형 기초조리기(20)를 성형하면서 바닥 상면에 니크롬선 배열홈(21)을 지그재그 형으로 형성하는 기초조리기(20) 성형단계와;상기 기초조리기(20)의 배열홈(21)에 니크롬선(30)을 배열홈(21) 따라 배열하되, 니크롬선(30) 상단부가 배열홈(21)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니크롬선(30) 배열 단계와;상기 기초조리기(20)를 건조되기 전에 완전한 형태의 조리기(50)를 성형할 수 있는 제2형틀(40)의 성형공간(41)에 삽입하는 기초조리기(20) 삽입단계와;상기 제2형틀(40)의 성형공간(41)에 토련된 흙을 주입하여 바닥에 니크롬선(30)이 배열 매설된 완전한 형태의 조리기(50)를 성형하는 단계와;상기 성형된 조리기를 통상과 같이 건조, 유약 도포, 소성의 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완성된 전기 조리기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게르마늄 도자기 계열 음식물 전기 조리기 제조방법.
- 바닥부(51) 내에 니크롬선(30)이 지그재그 형태로 매설 배열되어 그 양끝이 조리기(50) 일측의 콘센트(5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르마늄 도자기 계 열 음식물 전기 조리기.
- 제 2항에 있어서, 바닥부(51) 상면을 엠보싱화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게르마늄 도자기 계열 음식물 전기 조리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3821A KR20090010583A (ko) | 2007-07-24 | 2007-07-24 | 게르마늄 도자기 계열 음식물 전기 조리기 제조방법 및 그조리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3821A KR20090010583A (ko) | 2007-07-24 | 2007-07-24 | 게르마늄 도자기 계열 음식물 전기 조리기 제조방법 및 그조리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0583A true KR20090010583A (ko) | 2009-01-30 |
Family
ID=40489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73821A KR20090010583A (ko) | 2007-07-24 | 2007-07-24 | 게르마늄 도자기 계열 음식물 전기 조리기 제조방법 및 그조리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1058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1122B1 (ko) * | 2008-07-23 | 2011-04-27 | 전순희 | 전기 가열식 발열용기 |
-
2007
- 2007-07-24 KR KR1020070073821A patent/KR2009001058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1122B1 (ko) * | 2008-07-23 | 2011-04-27 | 전순희 | 전기 가열식 발열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902144A (zh) | 一种多功能锅 | |
CN107684341A (zh) | 电压力锅和电压力锅的内锅 | |
CN105078267A (zh) | 用于煮饭器的加热控制方法 | |
WO2015192756A1 (zh) | 烹饪器具 | |
CN105310499A (zh) | 一种改进的煮蛋器 | |
KR20090010583A (ko) | 게르마늄 도자기 계열 음식물 전기 조리기 제조방법 및 그조리기 | |
KR20070054992A (ko) | 증기조리장치 | |
CN100544610C (zh) | 一种煮煲仔饭的装置 | |
KR101253578B1 (ko) | 전기밥솥 | |
US1692547A (en) | Portable electric cooker | |
CN204665396U (zh) | 一种具有保温作用的加热器 | |
KR101031122B1 (ko) | 전기 가열식 발열용기 | |
KR102099453B1 (ko) | 교류개폐기를 이용한 데크오븐 | |
EP2963994B1 (en) |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ic ovens | |
CN204015977U (zh) | 煮蛋器 | |
KR101379335B1 (ko) | 스팀 조리기구를 이용한 음식물의 조리방법 | |
KR101615261B1 (ko) | 스팀 프라이팬 | |
CN209661235U (zh) | 一种毛细热管式蒸饭锅 | |
CN201279073Y (zh) | 一种食物烘烤装置 | |
CN204813335U (zh) | 煮饭器 | |
KR101140261B1 (ko) | 전기 압력 보온밥솥용 밥 건조방지장치 | |
KR100753622B1 (ko) | 이중 항아리 가마솥 | |
CN102018442A (zh) | 电压力锅高温冲击煮饭 | |
CN205410915U (zh) | 门体及烹饪器具 | |
CN203828635U (zh) | 一种多功能锅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