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235A - Handheld terminal - Google Patents
Handheld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4235A KR20090004235A KR1020070068282A KR20070068282A KR20090004235A KR 20090004235 A KR20090004235 A KR 20090004235A KR 1020070068282 A KR1020070068282 A KR 1020070068282A KR 20070068282 A KR20070068282 A KR 20070068282A KR 20090004235 A KR20090004235 A KR 200900042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tenna
- circuit board
- mounting surface
- ground
- support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62 f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EZNEXFPRSOYPL-UHFFFAOYSA-N (bis(trifluoroacetoxy)iodo)benzene Chemical compound FC(F)(F)C(=O)OI(OC(=O)C(F)(F)F)C1=CC=CC=C1 PEZNEXFPRSOYP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3 biological exti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60 hair shin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04 monopol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버시티(diversity) 안테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그라운드가 형성되는 회로기판이 구비된 단말기바디; 회로기판의 일측에 배치되어 회로기판에 급전되는 제1안테나; 제1안테나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상기 제1안테나의 다이버시티(diversity)를 구현하는 제2안테나; 및 제2안테나가 직접 접지될 수 있게 구성되며, 회로기판의 그라운드를 확장하는 그라운드 확장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diversity antenna, comprising: a terminal body having a circuit board on which a ground is formed; A first antenn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ircuit board to feed the circuit board; A second antenna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antenna to implement diversity of the first antenna; And a ground extension configured to allow the second antenna to be directly grounded and to extend a ground of the circuit board.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이버시티(diversity) 안테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diversity antenna.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ing,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and data storage.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기도 한다. 이와 같은 기능들은 한꺼번에 탑재됨으로써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를로 구현하기도 한다.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the portable terminal may have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 picture or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receiving a game, or receiving a broadcast. These features can be integrated into a comprehensive multimedia player.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에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In order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applied to portable terminals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In addition,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easily and conveniently.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의 일 측면은 무선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과 전 송속도의 비약적인 증가를 포함하고 있다. 이를 위한 안테나는 이동중에도 대량의 무선데이터를 깨끗한 품질로 수신해줄 것을 요구한다. One aspect of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cludes a dramatic increase in the amount of data that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the transmission speed. To do this, the antenna needs to receive a large amount of wireless data in a clean quality while moving.
고속의 무선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설계에 있어서는 다른 경로로 수신된 신호간 간섭으로 인한 소멸(cancel out)이 문제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안테나는 휴대 단말기의 전체적인 외관에 적합하면서도, 부품들이 고밀도로 집적되어 가고 있는 휴대 단말기의 경량화 단순화 경향에도 부합되는 배치를 가질 것이 요구된다.In the antenna design of a portable terminal for high-speed wireless data transmission, there is a problem of cancel out due to interference between signals received through different paths, and an antenna for solving this problem is suitable for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y are required to have arrangements that meet the trend of light weight and simplification of portable terminals, which are being integrated at a high density.
본 발명은 이동중에 단말기에 도달되는 높은 전송률을 갖는 무선 데이터를 손실을 줄임으로써 양호한 무선성능을 갖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good radio performance by reducing the loss of radio data having a high data rate reached to the terminal while mov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경로로 인한 무선 신호간 소멸을 줄일 수 있도록 다이버시티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elop an antenna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diversity to reduce extinction between radio signals due to multipath.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이러한 안테나 장치가 얇고 단순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such an antenna device to be easily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of a thin and simple form.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그라운드가 형성되는 회로기판이 구비된 단말기바디; 회로기판의 일측에 배치되어 회로기판에 급전되는 제1안테나; 제1안테나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상기 제1안테나의 다이버시티(diversity)를 구현하는 제2안테나; 및 제2안테나가 직접 접지될 수 있게 구성되며, 회로기판의 그라운드를 확장하는 그라운드 확장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body is provided with a circuit board is formed; A first antenn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ircuit board to feed the circuit board; A second antenna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antenna to implement diversity of the first antenna; And a ground extension configured to allow the second antenna to be directly grounded and to extend a ground of the circuit board.
이에 따라, 경박단소화되어 감에 따라 점점 작아져 가는 휴대 단말기의 회로기판의 그라운드를 다이버시티를 구현할 제2안테나가 직접 이용할 수 있게 되어 고속의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게 된다.As a result, the second antenna to implement diversity can directly use the ground of the circuit board of the portable terminal, which is becoming smaller and smaller as it becomes lighter and shorter, thereby making it suitable for high-speed data transmission.
특히, 넓은 그라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제2안테나는 평판형의 안테나 또는 이를 개량시킨 안테나를 적용함으로써 저대역 통신대에서 양호한 무선 성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얻을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econd antenna which can use a wide ground can obta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good wireless performance in a low band communication band by applying a flat antenna or an improved antenna.
또한, 작은 회로기판이 갖는 한정된 면적의 그라운드를 확장시켜 줄 수 있는 대상체로서, 넓은 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감싸는 금속성 시트 등을 이용한 예를 제시한다. In addition, as an object capable of extending the ground of a limited area of a small circuit board, an example using a metal sheet or the like surrounding a display module having a wide surface will be presented.
본 발명은 또한, 그라운드를 확장시킬 대상체와의 정확하고 확실한 전기적 접촉을 위한 연결수단과 이를 위한 설계상의 기술적 배려를 포함한다.The invention also includes connecting means for accurate and reliable electrical contact with the object to extend the ground and technical considerations for i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다이버시티를 구현할 수 있는 안테나들이 배치되므로 무선특성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그라운드 확장부를 둠으로써, 단말기 바디의 일부분을 차지하는 회로기판에의 직접적인 접지의 약화에 따른 무선성능의 저하를 최소화한다.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antennas capable of implementing diversity are arranged, radio characteristics are excellent. Furthermore, the provision of the ground extension minimizes the degradation of radio performance due to the weakening of the direct ground to the circuit board occupying a part of the terminal bod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이러한 안테나들은 한정된 단말기 내부에 배치되므로 경박단소해지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이 유리하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ntennas are disposed inside a limited terminal, so it is advantageous to apply to a mobile terminal that is light and short.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정면 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측면 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외관을 구성하며 각종 부품들이 포함된 단말기바디(101)를 구비하고 있다. 단말기바디(101)에는 시각정보를 출력하 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110)가 구비된다. 시각장치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면적은 단말기바디(101)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장대화에 반해 단말기바디(101)는 얇고 작은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휴대성을 높이는 시도가 가능하다. 이 경우, 입력을 위한 장치를 둘 공간이 협소하여지므로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터치를 위한 터치입력장치가 구비되는 형태도 가능하다.1 and 2, the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상하 양 쪽 구석에는 각각 제1안테나(130) 및 제2안테나(140)가 구비된다. 안테나(130,140)는 단말기바디(101)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장형으로 구성됨으로써 간소한 외관을 형성한다. 제1안테나(130) 및 제2안테나(140)는 단말기바디(101)의 양 구석 쪽, 즉, 다른 금속부품 등으로부터 간섭을 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10) 또는 회로기판(120) 등과의 겹침을 줄이는 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다이버시티를 위한 거리(L2)의 확보에도 유리하게 된다.Upper and lower corners of the
도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부품을 실장하고 있는 회로기판(120)은 두께가 두꺼울 수 있는 다른 부품과의 겹침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말기바디(101)의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렇게 일부분을 차지하는 회로기판(120)의 인접 영역에는,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60)가 회로기판(120)과 겹치지 않으면서도 상호 비슷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일측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그라운드 확장부(150)가 구비된다. 그라운드 확장부(150)는 제2안테나(140)가 직접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회로기판(120)의 그라운드를 확장시킨다.One side of the
그라운드 확장부(150)는 전도성이 있는 시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다른 목적을 위하여 장착되는 넓은 면을 갖는 도전성의 대상체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10)를 마운팅하기 위한 메탈시트(154)가 있는 경우, 메탈시트(154)는 그라운드 확장부(150)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그라운드 확장부(150)는 회로기판(120)의 소형화에 따라 제2안테나(140)는 그라운드가 형성된 회로기판(120)으로부터 적어도 일정거리(L1)를 두고 떨어져 있게 되어 성능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메탈시트(154)를 회로기판(120)의 그라운드와 연결시키기 위해 메탈시트(154)와 회로기판(120) 사이에는 연결부재(153)가 구비된다. 연결부재(153)는 휴대 단말기(100)가 갖는 내부 구조에 따라 다양한 예가 가능할 수 있다. A
이와 같이, 서로 거리(L2)를 두고 배치되는 안테나()들을 둠으로써 다른 경로를 통해 인입된 신호의 위상이 반전되는 페이딩(fading) 신호가 상쇄(cancel out)되는 것을 줄여 준다(diversity gain). 또한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개구 이득(aperture gain) 및 간섭 상쇄 이득(interference rejection gain)까지 얻을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by placing the antennas arranged at a distance L2 from each other, a fading signal in which a phase of a signal introduced through another path is inverted is canceled out (diversity gain). In addition, two antennas are used to obtain aperture gain and interference rejection gain.
이는 높은 전송율을 요하는 고속하향패킷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또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대역에서 유용하다. 특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릴리스 99의 음성통화시 사업자의 망 효율을 극대화시키며 콜 끊김(call drop)을 줄이고 사업자 노드 비(node B)의 출력을 절약시킬 수 있고, 줄어든 출력을 릴리스(release) 6 HSDPA를 위한 출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s is useful in the band of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or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which requires high data rates. In particular,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elease 99 maximizes the operator's network efficiency, reduces call drop, saves the output of operator node B, and releases reduced output ( release) 6 Has the advantage of being used as an output for HSDPA.
또한, HS-PDSCH(High Speed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및 HS-SCCH(High Speed Shared Control Channel)를 위하여 수신(RX) 다이버시티(diversity)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HSDPA 7.2Mbps를 지원하는 단말기에서는 여기에 이퀄라이저(equalizer)를 구현하여 고기능 리시버(receiver)를 구현하도록 권고하는 3GPP 릴리스 6 의 권고안에도 부합된다.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implement a reception (RX) diversity function for the High Speed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HS-PDSCH) and the High Speed Shared Control Channel (HS-SCCH), and supports HSDPA 7.2Mbps. The handset also complies with the recommendations of 3GPP Release 6, which recommends implementing equalizers to implement high-performance receivers.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200)는 단말기바디(201)를 구비하고 있으며, 단말기바디(201)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들(203,204,205,206)을 구비하고 있다.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케이스들(203,204,205,206)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프론트 케이스(203)에는 디스플레이 모듈(210), 음향 출력부(271), 제1영상입력부(278) 또는 제1조작부(272)가 배치될 수 있다. The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The
음향 출력부(271)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제1영상입력부(278)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단말기바디(201)의 측면에는 제2조작부(273), 음향입력부(280), 외부 인터페이스(277)가 배치될 수 있다. The
제1 및 제2조작부(272, 273)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and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272)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273)는 제1영상입력부(278)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functional terms, the
음향 입력부(280)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외부 인터페이스(277)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277)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he
외부 인터페이스(277)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도 4는 도 3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3.
도 4를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205)의 후면에는 제2영상입력부(274)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영상입력부(274)는 제1영상입력부(278)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278)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278)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274)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4, a second
제2영상입력부(274)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75)와 거울부(276)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275)는 제2영상입력부(274)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276)는 사용자가 제2영상입력부(274)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The
리어 케이스(205)에는 음향출력부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추가된 음향출력부는 프론트 케이스(203)에 설치된 음향 출력부(271)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An audio output unit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in the
단말기바디(201)의 일 측에는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79)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279)는 단말기바디(201)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n
도 4에 의하면, 단말기바디(201)의 내부에는 제1안테나(230)와, 제1안테나(230)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제1안테나의 다이버시티를 구현하는 제2안테나(240)를 내장하고 있다. 특히, 제1안테나(230) 및 제2안테나(240)는 지지부재(204)에서 상호 반대쪽에 배치됨으로써 한정된 사이즈를 갖는 단말기바디(201)의 내부에서 다른 부품에 의한 영향을 줄이고 다이버시티를 이루기 용이함을 기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nside the
도 5는 도 3의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휴대 단말기의 조립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부 확대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3, FIG. 6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5, and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6.
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203)와 리어 케이스(205)의 사이에는 부품들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04)가 구비되어 있으며, 지지부재(204)의 위쪽 장착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210)이 구비되고, 지지부재(204)의 아래쪽 장착 면에는 그라운드가 형성되는 회로기판(220)이 구비된다.to be. Referring to these drawings, a
제1안테나(230)는 회로기판(220)에 연결되어 급전될 수 있게 되어 있음에 반해, 제2안테나(240)는 디스플레이 모듈(210)을 감싸게 형성되어 있는 메탈시트(254)에 연결되고 있다.While the
회로기판(220)은 휴대 단말기(200)의 일부 면을 이루고 있으며, 휴대 단말 기(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60)가 회로기판(220)의 일측 장착면에 배치되고 있다. 이에 따라 회로기판(220)과 전원공급부(260)가 겹쳐지지 않게 되어 휴대 단말기(200)의 슬림화를 이루기 용이한 구조가 된다.The
제1안테나(230)는 회로기판(220)의 일측에 배치되는 기판(231)과, 기판(231)으로부터 일정 두께를 갖는 유전질의 캐리어(233) 및 캐리어(233)에 패턴화된 도전성의 방사체(232)를 구비하고 있다. 도 5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안테나(230)는 제2영상입력부(274)와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안테나(230)는 공진 주파수의 4분의 1파장, 2분의 1파장 등과 같은 길이의 모노폴 안테나(monopole)로 형성될 수 있다.The
방사체(232)는 케이스(205)의 내측면에 부착되거나 몰딩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급전을 위한 수단은 회로기판(220)에 탄성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에서는 이러한 예를 도시하였다. 즉, 제1안테나(330)를 구성하는 방사체(332)는 케이스(305)의 내면에 형성되고 있으며, 방사체(332)는 회로기판(320)에 고정된 탄성핀(334)에 의하여 연결되어 급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The
도 5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2안테나(240)는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일측에 배치되는 기판(241)과, 기판(241)으로부터 일정 두께를 갖는 캐리어(243) 및 캐리어(243)에 패턴화된 도전성의 방사체(242)를 구비한다. 제2안테나(240)는 동축(coaxial) 케이블(245)에 의하여 회로기판(220)에 급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반해, 제2안테나(240)와 메탈시트(254)는 케이블 또는 가요성(flexible) 기판(255)에 의하여 단락(short)됨으로써 회로기판(220)의 확장된 그라운드와 직접 연결된다.As shown in FIG. 5, the
제2안테나(240)는 평판 역 F 안테나(PIFA)와 같이 평판 형태의 안테나 또는 그 형태가 변형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영상입력부(278, 274)가 상단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와 달리 제2안테나(240)는 보다 제1안테나(230)보다 큰 사이즈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저대역(low band) 안테나에 유리하다. 제2안테나(240)는 다중 공진 안테나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중 적어도 하나의 대역(특정 대역)을 제1안테나(230)의 대역과 동일하게 함으로써 그 특정 대역에 대하여 다이버시티를 구현한다.The
제2안테나(240) 역시 케이스(205)에 부착되거나 몰딩(molding)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도 6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그라운드의 확장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후면을 감싸는 메탈시트(254)는 회로기판(220)의 그라운드에 접지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도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지지부재(204)의 회로기판(220)이 장착되는 장착면과 디스플레이 모듈(210)이 장착되는 장착면은 관통홀(252)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관통홀(252)은 양단이 회로기판(220)의 그라운드 패드(251)와 메탈시트(254)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되는 연결부재(253)가 통과된다. The through
도 7에서 보는 것과 같이, 회로기판(220)이 장착되는 장착면에는 도전성의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차단물질이 도포되어 있으며, EMI 차단물질은 접촉하고 있는 회로기판(220)의 그라운드에 연결된다.As shown in FIG. 7, a conductiv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blocking material is coated on the mounting surface on which the
디스플레이 모듈(210)이 장착되는 장착면의 가장자리에는 메탈시트(254)가 연결부재(253)에 밀착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210)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후크(211)가 형성된다. 따라서, 메탈시트(254)의 우수한 접지를 확보할 수 있다.A
도 5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부재(253)는 확실한 접지를 위하여 서로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253)는 도전성 금속으로 직조된 섬유 형태 또는 도전성 테잎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연결부재(253)는 탄성을 가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5, the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그라운드 확장부의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에 의하면, 지지부재(404)의 회로기판(420)이 장착되는 장착면은 회로기판에 형성되는 그라운드 패드를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돌기(404a)를 포함하고 있으며, 돌기(404a)에는 몰딩된 금속의 보스(boss; 453b)가 몰딩되어 있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ground ext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the mounting surface on which the
보스(453b)의 양단에는 도전성 테잎이나 패드(453a,453c)가 각각 부착되며, 이들은 회로기판(420) 및 메탈시트(454)의 접촉성을 강화시킨다.Conductive tape or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다이버시티를 구현하는 안테나 장치의 그라운드 확장 개념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 타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The concept of ground extension of an antenna device for implementing diversity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bar type shown in FIGS. 1 to 6, but may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lide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nd the like. Do.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본 발명의 일예는 무선통신 모듈(591), 조작부(572), 영상 입력부(574), 음향입력부(580), 디스플레이 모듈(510), 음향 출력부(571), 외부 인터페이스(577), 방송 수신 모듈(595), 메모리(594), 전원공급부(560), 제어부(5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제어부(59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The
무선통신 모듈(591)은 제1 및 제2안테나(530,540)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9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59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592)를 포함한다.The
조작부(57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590)에 제공한다. 조작부(572)는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The
영상 입력부(574)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510)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 모듈(510)로 출력된다.The image input unit 574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is converted into image data displayable on the
영상 입력부(574)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59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594)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 모듈(591)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image input unit 574 is stored in the
음향 입력부(580)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 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통신 모듈(59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59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The
음향 입력부(58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 모듈(510)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59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59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모듈(510)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The
음향 출력부(571)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59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59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59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The
또한, 음향 출력부(571)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571)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외부 인터페이스(577)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 /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외부 인터페이스(577)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메모리(594)는 제어부(59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또한, 메모리(594)에는 제어부(590)의 제어에 의해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스템 정보 또는 프로그램이 저장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59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방송 수신부(595)는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571), 디스플레이 모듈(510)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59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부(595)는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부(571)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594)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전원 공급부(560)는 제어부(59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무선통신모듈(591)을 구성하는 제1안테나(530) 및 제2안테나(540)는 위의 설명에서와 같이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으므로 다른 경로를 통해 인입된 신호의 위상이 반전되는 페이딩(fading) 신호가 상쇄(cancel out)되는 것을 줄임으로써 무선 특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고속하향패킷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또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대역에서 전원 공급부(560)의 전원을 최소화시키는데도 유리하다.Since the
상기와 같이 설명된 휴대 단말기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portab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정면 투시도,1 is a schematic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측면 투시도,2 is a schematic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정면 사시도,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3;
도 5는 도 3의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3;
도 6은 도 5의 휴대 단말기의 조립 단면도,6 is an assembly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5;
도 7은 도 6의 A부 확대도,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6;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그라운드 확장부의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ground expansion uni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의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antenna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8282A KR20090004235A (en) | 2007-07-06 | 2007-07-06 | Handheld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8282A KR20090004235A (en) | 2007-07-06 | 2007-07-06 | Handheld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4235A true KR20090004235A (en) | 2009-01-12 |
Family
ID=40486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68282A Withdrawn KR20090004235A (en) | 2007-07-06 | 2007-07-06 | Handheld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04235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02737A (en) * | 2010-03-11 | 2011-09-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KR20140086363A (en) * | 2012-12-28 | 2014-07-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KR20200046246A (en) * | 2018-10-24 | 2020-05-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connected with conductive sheet of display panel |
US12363215B2 (en) | 2021-03-25 | 2025-07-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
-
2007
- 2007-07-06 KR KR1020070068282A patent/KR20090004235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02737A (en) * | 2010-03-11 | 2011-09-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KR20140086363A (en) * | 2012-12-28 | 2014-07-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KR20200046246A (en) * | 2018-10-24 | 2020-05-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connected with conductive sheet of display panel |
US12363215B2 (en) | 2021-03-25 | 2025-07-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44785B1 (en) | Portable terminal | |
US8542154B2 (en) | Portable terminal | |
US8049670B2 (en) | Portable terminal | |
US8094464B2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510700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00048273A (en) | Watch type mobile terminal | |
KR101373332B1 (en) | Antenna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20110078048A (en) | Portable terminal | |
KR20110002731A (en) | Mobile terminal | |
KR20090004235A (en) | Handheld terminal | |
KR20110131750A (en) | Mobile terminal | |
KR20110010416A (en) | Mobile terminal | |
KR101595349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404743B1 (en) | Portable terminal having antenna module and antenna setting method therefor | |
KR20090076630A (en) | Handheld terminal | |
KR100976377B1 (en) | Handheld terminal | |
KR101360211B1 (en) | Portable terminal | |
KR20090017907A (en) | Antenna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 |
KR20090123698A (en) | Handheld terminal | |
KR101513630B1 (en) | Multiband antenna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 |
KR101404744B1 (en) | Loop antenna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1653152B1 (en) | Antenna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20100109259A (en) |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minimizing mic noise thereof | |
KR101587090B1 (en) | Mobile terminal | |
KR20090036465A (en) | Handheld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