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80107399A - 복합 글레이징 유닛과 프로파일로 구성되는 어셈블리, 및 글레이징 유닛을 위한 프로파일 - Google Patents

복합 글레이징 유닛과 프로파일로 구성되는 어셈블리, 및 글레이징 유닛을 위한 프로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7399A
KR20080107399A KR1020087021324A KR20087021324A KR20080107399A KR 20080107399 A KR20080107399 A KR 20080107399A KR 1020087021324 A KR1020087021324 A KR 1020087021324A KR 20087021324 A KR20087021324 A KR 20087021324A KR 20080107399 A KR20080107399 A KR 20080107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glazing unit
assembly
glazing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1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브 디마르스
르네 포익스
장-피에르 도우체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080107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39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8/00Shaping glas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a liqui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복합 글레이징 유닛(10)과, 글레이징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와 결합되고 글레이징 유닛 주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하는 프로파일(2)로 이루어진 어셈블리(1)에 있어서, 복합 글레이징 유닛은 가스 공간(13)에 의해 분리되고 사이에 넣어 장식되며 창유리의 에지에 경화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의 일부에서 이루어지는 삽입(3)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창유리(11, 12)를 포함하고, 프로파일 높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프로파일(2)은 창유리 에지의 적어도 일부에 반대되는 글레이징 유닛의 삽입(3)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Description

복합 글레이징 유닛과 프로파일로 구성되는 어셈블리, 및 글레이징 유닛을 위한 프로파일 {ASSEMBLY CONSISTING OF A MULTIPLE GLAZING UNIT AND OF A PROFILE, AND PROFILE INTENDED FOR A GLAZING UNIT}
본 발명은 복합 글레이징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글레이징 유닛이 장착되도록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요소이거나, 또는 수용 디바이스와 결합되는 단열 글레이징 유닛에 관한 것이고, 또한 글레이징 유닛과 결합되도록 의도된 구획(section) 그 자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복합 글레이징이 사용되는 어떤 영역에 관한 것이다.
글레이징은, 열려있도록 의도되든 안되든, 예를 들면, 창문 또는 문 판넬의 고정된 또는 움직이는 한 쪽 문짝을 구성하기 위한 글레이징 마감 시스템으로 사용된다. 그러므로, 글레이징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창문 프레임 및 문 프레임과 같은 여러가지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건축 영역, 운송수단 영역, 인테리어 가구, 냉각 용기 등에서 많이 응용된다.
기준 복합 글레이징 유닛은, 공기 공간과 같은 가스-충전 공간에 의해 분리되고, 떨어져 있도록 유지되지만, 스페이서 프레임 또는 스페이서 바에 의해 함께 지탱되는 두 개의 창유리를 포함한다. 제조동안, 스페이서 프레임은 창유리의 임시 기계적 보유력을 위해 부틸 고무 타입의 탄성 중합체 비드에 의해 창유리로 접착되고, 그 후, 창유리의 기계적 조합을 완성하기 위해, 다황화물 또는 폴리우레탄 타입의 가교결합된 매스틱(mastic) 밀봉제는 두 개의 창유리와 프레임에 의해 묶여진 주변 홈에 삽입된다. 부틸 고무는 주로 수증기로부터 유닛의 내부를 밀봉하는 목적을 갖는 반면, 매스틱은 액체 물 또는 용매에 반하여 밀봉한다.
복합 글레이징 유닛은 단열 유닛으로 불리우는데, 이는, 가스-충전 공간과 공동으로, 건조제가 복합 글레이징 유닛과 결합되기 때문이다. 건조제는 일반적으로 글레이징 유닛의 스페이서 프레임으로 도입되는 분자로 된 체로 이루어져 있다. 건조제의 목적은 유닛의 제조과정 중 공기 중간층에 갇힌 물 분자를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추운 날씨에서 응축되기 쉽고 안개를 일으키기 쉽다. 건조제는 또한, 글레이징 수명 동안 글레이징에 도입되기 쉬운 물분자를 흡수하고, 밀봉 비드의 수증기 불침투성 및 스페이서 바의 고정이 완벽하지 않다.
예를 들면, 창문으로서, 사용시 글레이징 유닛은 필수적으로, 글레이징을 단단하게 하고 절단부처럼 글레이징의 불규칙한 에지를 보호하는 가장자리 테에 병합된다. 그러므로, 가장자리 테는 글레이징을 위한 지지 프레임으로서 작용하고, 무게 또는 사용으로부터 야기되는 힘은 계면 구성요소 즉, 적절한 경도를 갖는 쐐기를 통해 전달된다. 가장자리 테/글레이징 어셈블리는 창문의 문짝을 형성하고, 이 문짝은 빌딩 벽에 붙박이된 고정된 프레임과 협동한다.
가장자리 테는 여러가지 물질로 이루어진 프로파일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나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예를 들어, 나무 프레임은 두 부분, 창 유리 유닛이 피트되는 내부에서 L-형태 횡단면을 갖는 리베이트(rebate)와, L-형태 코너의 반대편에서 다른 창유리에 고정되고, 커버 스트립으로도 불리는 비드 형태의 부분으로 형성된다.
글레이징 유닛이 리베이트에서 적소에 정확하게 유지되고, 글레이징 유닛의 무게가 가장자리 테의 정확한 포인트에서 분산되기 위하여, 리베이트는 분리된 포인트와 글레이징 유닛의 전체 두께에 걸쳐, 즉, 글레이징 유닛의 한 쪽 끝 구획에서 다른 쪽 끝 구획까지 놓여진 쐐기를 구비한다.
글레이징 유닛을 글레이징 유닛의 지지 프레임으로 병합하는 작업은 각 창문에 있어, 제조 라인에서의 시간이 필요한데, 이는 상기 피팅 작업이 수동으로 실행될때만 가능하다.
더욱이, 현존하는 글레이징 유닛에서는, 창문 프레임은 당연히, 창문을 통해 글레이징의 투명한 부분만을 보기 위해, 스페이서 바의 두께와 유닛의 밀봉 방벽을 숨기도록 배열된다.
리베이트의 총 높이를 포함하는, 가장자리 테의 프레임에 주어진 너비는 스페이서 바의 두께와 별개로, 바람 응력과 같은 여러 가지 응력 또는 창문 문짝의 개폐와 관련된 충격에 저항하는 글레이징 유닛의 가장자리 테에서, 글레이징 유닛에 있어서의 기계적 필요성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프레임의 총 너비는 리베이트의 높이의 두 세배일 수 있다.
글레이징의 일광을 최적화하기 위해, 글레이징 유닛은, 국제 특허 출원 제 WO 01/79644호에 기재된 것처럼, 스페이서 바가 창유리 사이에 위치되지 않지만 유 리 에지를 향하여 고정되게 설계되고, 이는 현존하는 글레이징 유닛과 비교하여, 스페이서 바 및 밀봉 방벽의 두께와 같은 공간을 모으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새로운 타입의 글레이징 유닛은 일광의 최대 최적화덕분에 큰 이점을 갖는데, 이는 상기 이점이 창유리의 전체 영역을 투명하게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의 창문에 병합해야하는 경우, 결국은 너비가 상기 글레이징 유닛의 증가된 일광의 이점을 취하지 않는 프레임으로, 종래 기술의 기준 글레이징 유닛에 사용되기 위한 이미 현존하는 가장자리 테의 도움이 있어야할 것이다.
구조는 또한 오직 단일 구획으로 제한될 수 있는, 창문 프레임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구조는, 진공 글레이징으로 형성되는 글레이징 유닛의 바로 그 구조에 의해 획득된다. 유럽 특허 제 0 870 450-B1호는 그러한 구성을 기재한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타입의 글레이징과 지지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것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도록, 진공 글레이징 유닛의 구조가 진공 글레이징 유닛을 단단하게 하고 모놀리식 글레이징 유닛의 강도와 같은 강도를 갖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문의 경우, 글레이징 유닛의 오직 한 면과 결합되는 단일 구획으로 충분할 지도 모르며, 구획은 힌지(hinge) 시스템을 병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공 글레이징 유닛은 수행하기 비싼 제조 수단을 필요로 한다. 게다가, 현 시점에서 요구되는 에너지 양에 비교하여, 더블 글레이징 유닛은 진공 글레이징 유닛보다 비용에 있어 여전히 더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 글레이징 유닛을 구성하는 어셈블리와 적어도 하나의 구획 구성요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이 어셈블리가 글레이징 유닛과 종래 기술의 결점을 갖지 않는 주변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때, 특히,
- 프레임을 갖는 글레이징 유닛을 어셈블링하는 작업을 감소하고;
- 더욱 자동화된 장치 어셈블리를 성취하기 위해, 예를 들면, 쐐기를 분배하는 것에 의해, 어셈블링 작업을 단순화하며;
- 창문 문짝을 고정된 프레임에 끼워넣는(조립하는) 작업을 단순화하고;
- 프레임의 제조를 단순화하며;
- 프레임을 만들기 위한 원료를 감소시키고;
- 글레이징 유닛 상에 추가적인 응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어셈블리의 밀봉을 손상시키지 않고 반대로 더욱 튼튼하게 하면서, 특히 스페이서 바를 위치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글레이징 유닛의 응용 및 구성에 따라, 글레이징 유닛과 글레이징 유닛의 프레임 또는 글레이징 유닛의 구획 구성요소의 다양한 어셈블리 결합들을 제안하면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 글레이징 유닛과, 글레이징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와 글레이징 유닛의 주변의 적어도 부분에 걸쳐 결합된 구획으로 이루진 어셈블리가 하기를 특징으로 한다:
- 복합 글레이징 유닛은 가스-충전 공간에 의해 분리되고 스페이서 바에 의해 떨어져 지탱되며 조합되는 적어도 두 개의 창유리를 포함하고, 스페이서 바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창유리의 에지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으로 이루어지고, 및
- 높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구획은 글레이징 유닛의 스페이서 바와 접촉하며, 하나의 창유리의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향한다.
용어 "접촉"은 직접 접촉, 또는 바람직하게는 얇은, 예를 들면, 1 밀리미터 미만의 두께의 접착 또는 접합 요소를 통한 접촉으로 이해된다. 비록 스페이서 바와 구획 사이가 좁지만, 이러한 접촉은 자유도가 두 표면 사이에 존재하지 않고, 상기 표면 중 하나가 다른 표면으로의 어떤 움직임도 없게 할 정도이다. 스페이서 바 상에서 구획에 의해 가해진 이러한 압박은 후프 브레이싱 방식으로, 구획을 스페이서 바로 접착시킴으로써 및/또는 기계적 잠금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이러한 글레이징 유닛은 유닛 내부에 두 개의 창유리로 어셈블리되는 대신에, 유닛 외부에서, 창유리의 에지를 통해 창유리에 고정되고 원-피스(one-piece) 구조를 갖게 하는 스페이서 바를 포함한다. 이러한 글레이징 유닛은 모놀리식 글레이징 유닛과 같은데, 이는 창유리 외부로 향하고 에지에 고정된 스페이서 바가 두 개의 창유리 사이의 변형할 수 없는 연결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두 개의 창유리 사이의 전단 위험은 불가능하고, 결과적으로, 기준 복합 글레이징 유닛의 경우처럼, 창유리가 동시에 창문 프레임에 피트되는 것이 더 이상 필수적이지 않다.
게다가, 그러한 스페이서 바는 글레이징 유닛이, 제안되는 구획의 타입과 어셈블리의 타입에 따라 심지어 완벽할지도 모르는, 나중에 보여질, 향상된 밀봉을 갖는 것을 보장한다.
단일, 자기-지지 및 구조 디바이스가 되는 복합 글레이징 유닛은, 상기 유닛이 의도된 용도에 적합한 수용 하우징에 유닛을 장착하는 기능만을 하는 구획과 결합하는 것과, 종래 기술과 달리, 글레이징 유닛을 위한 지지 시스템을 절대적으로 구성하지 않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현재, 글레이징 유닛 자체가 지지 시스템을 구성하고, 창문 문짝 프레임으로 병합되므로, 쐐기를 제공하는 것이 더 이상 필수적이지 않다.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르면, 구획은, 유닛이 유닛의 전체 기계적 반응을 구획으로 전달하고, 가해지는 응력이 연속적인 표면에 걸쳐 분산되도록, 중간 공간 없이 (스페이서 바를 향하는 대신) 글레이징 유닛을 향한 후프로- 고정된다.
한 가지 특징에 따르면, 구획은 적어도 창유리 에지의 두께에 대응하는 너비에 걸쳐 스페이서 바와 접촉한다.
그러나, 구획은 글레이징 유닛의 적어도 두 개의 반대 부분과 결합되어, 죄는 힘이 반대 방향으로 유닛 상에 가해지고, 다른 경우, 글레이징 유닛의 밀봉부를 파괴하는, 스페이서 바에 수직으로 찍는 힘이 크게 가해질 위험을 제거한다.
죄는 힘은, 프레임의 실제 구성으로 인해 글레이징 유닛 상에 구획을 압축 응력을 줌으로써 또는 유닛이 의도한 용도(수직 위치에서의 글레이징 유닛의 무게에 의한 응력, 구획의 치수 변화에 따른 응력)때문에 응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어셈블리는, 진공 글레이징 유닛으로 되지 않고, 견고함에 있어 효과적으로 유닛을 구성하고, 최적의 일광을 제공함으로써 향상된 시각 안정의 장점을 갖는 복합 글레이징 유닛을 병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구획은 최적의 일광을 갖는 글레이징이 충분히 사용되게 하고, 또한, 제조 물질을 감소시키고, 그래서 비용을 절감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구획은 접착 및/또는 기계적 잠금에 의해 스페이서 바와, 가능하게는, 글레이징 유닛의 유리와 접촉한다.
한 가지 특징에 따르면, 구획이 글레이징 유닛의 전체 주면을 둘러싸지 않을 때, 반대 방향으로 두 개의 각각의 응력을 가하기 위해, 구획은 유닛의 적어도 2개의 각각의 부분들과 협력하는 두 개의 요소들로 이루어진다. 구획의 요소들 중 한 요소는 글레이징 유닛과 협력하고, 스트립 타입의 스페이서 바와 접촉하는 반면, 다른 요소는 첫 번째 요소의 경우처럼 스페이서 바와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하지 않으므로, 창유리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한다.
그러므로, 글레이징 유닛의 적어도 두 개의 반대 부분들 상에서 글레이징 유닛과 구획의 협력은 반대 방향에서 두 개의 보유 응력을 발생시킨다. 유리하게는, 구획이 글레이징 유닛의 한 측면 상에서 길이의 가능한 가장 큰 부분에 걸쳐 접촉함으로써, 쐐기를 갖는 종래 발명에서와 같이, 불연속적인 접촉이 아닌, 계속적인 표면에 걸쳐 힘이 분산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래서, 이러한 계속적인 접촉은 하기의 이점을 갖는다: 전체적으로, 글레이징 유닛 상에서 특히, 스페이서 바에서, 주어진 힘으로 국부적인 응력을 감소시킨다; 스페이서 바를 글레이징 유닛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될때, 접착제상에서의 응력은 덜하다; 글레이징 유닛이 구획에 글레이징 유닛의 견고성을 전달하기 때문에, 구획이 강화되고, 그래서 어셈블리도 강화된다.
한 가지 특징에 따르면, 유닛이 다각형일때 적어도 두 개의 반대 코너에서 구획은 글레이징 유닛과 협력한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유닛이 원형일 때, 구획은 적어도 두 개의 정반대의 원형 호에 걸쳐 글레이징 유닛과 협력한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글레이징 유닛은 긴 첫 번째 측면과 첫 번째 측면과 반대되는 반원-형태의 두 번째 측면을 가질 때, 구획은 첫 번째 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두 번째 측면의 적어도 원형 호를 따라 유닛과 협력한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구획은 눌려 유지되고 적어도 하나의 창유리 외측면을 향해 잠긴다.
"구획"이란 용어는, 미리 제조되거나 글레이징 유닛 상에 직접 생산되는 구획의 어떤 타입으로 이해되어 지고, 상기 구획의 바람직한 기능에 알맞은 형태를 가지며, 나무, 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두 가지 물질들의 혼합과 같은 여러 가지 물질로 이루어진다.
구획이 오직 적어도 하나의 창유리 에지를 향하는 글레이징 유닛의 스페이서 바와 결합되기 때문에, 두 개의 창유리의 에지의 피팅을 지지해야하는 것처럼 구획이 원-피스 구획인 종래 기술에서와 달리, 구획은 유닛의 전체 두께에 걸쳐 단일된 요소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구획은 (예를 들면 PVC로 만들어진) 창문의 외측 및 (예를 들면 나무로 만들어진) 내부에 주는 것이 요구되는 구획의 커버링에 따라, 두 개의 다른 물질들로 이루어진 두 개의 부분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질의 요구되는 형태에 따라, 사용되는 물질에 따라, 및 어셈블리의 최종-사용에 따라, 구획은 단일 요소 또는 많은 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것처럼, 글레이징 유닛의 단일 부분만이 결합될 수 있거나, 유닛의 전체 주변과 결합되는 프레임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요소들은 상호 협력에 의해 서로 어셈블리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장붓구멍(mortice)과 장부 방식(tenon), 또는 나사 조임, 접착 또는 용접 타입의 고정 수단에 의해, 또는 이러한 어셈블링 수단의 결합을 들 수 있다. 두 개의 요소들이 특정 거리로 떨어져 있을 때, 두 요소들은 기계적 연결 수단에 의해 함께 연결될 수 있다.
구획이 글레이징 유닛 전체 주변에 걸쳐 연장되는 프레임을 형성할 때, 서로 어셈블리되는 두 요소들 때문에 적어도 기계적 압력에 의해 유닛 상에 놓여지는 적어도 두 개의 요소들로 이루어진다.
글레이징은 유리하게 구획의 프레임을 위한 템플레이트를 구성할 수 있게하고, 그러므로, 어셈블리의 제조를 단순화시킨다. 장착 작업은 더욱 빨라지는데, 이는 구획이 글레이징 유닛과 직접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이다.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하여 구획 요소를 장착하는데 사용되던 멈춤부(stop)가 더 이상 필요 없고, 후속적으로 이 프레임에 글레이징 유닛을 맞출 필요가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구획은 베어링 베이스, 및 창유리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적어도 첫 번째 측면 벽을 구비하는 리베이트를 포함하며, 스페이서 바는 리베이트의 적어도 일부 상에 놓인다. 구획의 횡단면은 물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그 중 몇몇은 하기 기술에서 예의 방식으로 주어지지만, 이들은 제한되지 않는다.
유리하게는, 구획은, 첫 번째 측면 벽을 향하고 리베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반대의 두 번째 측면 벽, 또는 리베이트를 향해 부착되는 커버 스트립을 포함하고, 글레이징 유닛의 에지 양쪽 구획은 두 개의 창유리 각각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두 측면 벽들을 갖는다.
구획이 집밖 창문 주변의 하부 에지를 구성할 때, 물이 추출되도록, 구획의 베어링 베이스의 적어도 일부는, 가능하게는 구획의 두께를 통해 지나가는 방전 채널에 연결되는, 배수 그루브를 포함한다. 그러나, 주변과 글레이징 유닛 사이의 밀봉이 완벽하지 않을 때, 이러한 구성이 예상된다.
"완벽한 밀봉"이라는 용어는 주변에서 글레이징 유닛을 오직 어셈블리함으로써 얻어지는 흠이 없는 밀봉으로 본 발명에서 이해되어진다.
밀봉은 글레이징/주변 짝 상에 의존하고, 이러한 밀봉은 가능하게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벽하게 이루어진다. 부분 밀봉은 가장자리 테 상에 놓여지는 방수 밀봉과, 수증기 증착으로 인한 물을 추출하기 위해 가장 자리 테에서 배수 공정을 포함하는 반면, 완벽한 밀봉은 글레이징/가장자리 테 연결에서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갈라진 틈 없이, 글레이징 유닛의 어셈블리의 타입(예를 들면, 특정 포인트에서 접착), 가능하게는 불침투성의 보관 시스템(예를 들면, 실리콘)에 의해 적용되며, 물의 이온 이동 또는 수증기 임의의 확산을 불가능하게 한다.
창유리의 앞면을 향해 대어지는 구획 리베이트의 높이(h)는 유리하게 적어도 스페이서 바의 두께에 대응하고 최대 12mm, 바람직하게는 6mm를 초과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어셈블리를 위해 제조되는 구획은 더 적은 물질이 요구되는데(비용 절감), 이는 리베이트의 높이가 통용되는 높이보다 상당히 낮기 때문이다: 오직 스페이서 바의 높이만을 마스킹하고, 가능하게는 몇 밀리미터에 걸쳐 창유리에만 고정되는 것이 주의되며, 탈수 요소가 단열 복합 글레이징 유닛 내부에 놓여질 때, 탈수 요소의 높이를 숨기는 것이 주의된다. 그러므로, 약 10mm인 종래 기술에 비해 리베이트 구입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구획의 총 너비는 결과적으로 오직 사십 몇 밀리미터에 도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어셈블리의 더 좋은 견고성을 보장하면서 어셈블리의 일광을 증가시킨다.
마지막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트립으로 이루어지는 글레이징 유닛의 스페이서 바는 글레이징의 전체 주변에 걸쳐 놓여질 필요가 없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둘레의 일부를 따라 글레이징 유닛이 글레이징 유닛의 지지 프레임 기능을 제공하는 반면, 둘레의 다른 일부는, 예를 들면, 창유리 사이에 놓여진 기준 스페이서 바와 병합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어셈블리는 문 또는 창문의 한 쪽 문짝을 구성하거나, 고정된 글레이징 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글레이징 유닛 및/또는 구획은, 상기 어셈블리가 의도한 수용 하우징에서 어셈블리를 고정하기 위한 요소를 구비하고, 여러 기능들을 갖는 악세서리들을 구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복합 글레이징 유닛과 결합되도록 의도된 구획에 관한 것이다. 이 구획은, 구획의 길이에 걸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연속적인 베어링을 갖으며 적어도 창유리의 에지 두께에 따라 글레이징 유닛 에지를 수용하도록 의도되는 리베이트와, 창유리의 외측면과 접촉되게 의도된 적어도 첫 번째 측면 벽을 포함한다.
유리하게, 리베이트는 첫 번째 측면 벽을 향하고 첫 번째 벽과 접촉하는 것과 마주보는 창유리의 외측면과 접촉되게 의도된 마주보는 두 번째 측면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리베이트는, 가능하게는 구획의 두께를 통해 지나가는 방전 채널과 연결되는 배수 그루브를 포함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창유리의 면을 향해 대어지도록 의도된, 구획 리베이트의 높이, 즉, 표면 높이는 스페이서 바의 두께와 스페이서 바를 창유리로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숨기기 위한 목적으로, 최대 12mm, 바람직하게는 6mm를 초과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유리한 점을 이제 도면과 함께 기술될 것이다.
- 도 1은 문으로 사용되도록 의도된 발명의 어셈블리의 첫 번째 실시예의 정면도.
- 도 2는 도 1의 부분 단면도.
- 도 3a 내지 도 3f는 글레이징 유닛 상에서 구획을 어셈블리하는 여러가지 방법의 개략적인 단면도.
- 도 4는 창문 문짝으로 사용되게 의도된 본 발명에 따른 어셈블리의 두 번 째 실시예의 정면도.
- 도 5는 도 4의 단면도.
- 도 6은 도 5에 보여진 실시예에 사용된 구획을 도시한 도.
- 도 7 내지 도 9는 다른 구획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 도 10 내지 도 14는 글레이징 유닛과 관련된 구획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도.
- 도 15는 도 9에서 보여진 구획 실시예에 따른 발명의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도.
- 도 16은 글레이징 유닛과 구획의 어셈블리 작업에서 도 4의 상세도.
도면은 검사하기 쉽게 하기 위해, 축척대로 그려지지 않았다.
도 1은 복합 글레이징 유닛(10)과, 오직 유닛의 일부에 걸쳐 결합된 구획(2)으로 이루어진 어셈블리(1)의 첫 번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어셈블리는, 예를 들면, 광택 문, 구획(2)으로 병합되는(도시되지 않음) 힌지 시스템을 형성한다.
도 2의 단면도에서 보여진 글레이징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가스-충전된 공간(13)에 의해 분리된 적어도 두 개의 창유리(11 및 12)를 포함하고, 이 창유리는 떨어져 있으며, 창유리 외부에 위치된 스페이서 바(3)에 의해 어셈블리된다.
창유리 유닛이 창유리 외부면의 겹침 없이, 특히 두 개 이상의 창유리로 구성되면, 금속 스트립 타입의 스페이서 바(3)는 글레이징 유닛에서 가장 바깥쪽 창유리의 에지의 외측 코너를 막기 위해, 글레이징 유닛의 너비에 걸쳐 신장됨으로써 창유리의 에지로 고정된다.
스페이서 바는 적어도 400 N/m의 선형 버클링 강도(linear buckling strength)를 갖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접한 스트립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에지 상의 스페이서바를 갖는 이러한 타입의 글레이징 유닛은 기계적으로 매우 강하다. 글레이징 유닛의 안정성은 복합 글레이징 유닛의 전체 두께에 걸쳐 신장되는 스트립 타입의 스페이서 바에 의해 제공되는 반면, 스페이서 바에 의해 또한 제공되는 기준 글레이징 유닛의 안정성은 사실 (창유리의 두께를 포함하지 않음)가스-충전된 공간의 너비에 걸쳐서만 제공된다. 이는 그러한 글레이징 유닛이 종래 기술의 글레이징 유닛보다 덜 유연한 이유이다. 가스-충전된 공간의 종래의 12mm 두께에 있어서, 같은 힘이 창유리의 표면에 수직으로 가해졌을 때, 본 발명의 글레이징 유닛의 편향은 기준 글레이징 유닛보다 약 40% 미만이라는 것으로 판단된다.
창유리의 에지에 고정된 편평한 스트립 형태의 스페이서 바는 글레이징 유닛의 전체 주변과 결합될 필요없이, 주변의 일부에 걸쳐서만 결합되며, 나머지 부분은 창유리 사이에 놓여진 기준 스페이서 바에 밀봉되듯 결합되고, 이것은 슬레이트 블라인드(slatted blind)를 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글레이징 유닛이 필수적인 견고성을 갖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그렇지만, 단일 구조를 제공하도록 스트립 형태의 스페이서 바가 둘레의 충분한 일부에 걸쳐 놓여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예를 들면, 평행육면체(parallelepipedal) 글레이징 유닛에 있어서, 스트립은 유닛의 적어도 세 측면과, 각 코너 근처에 네번째 측면의 적어도 부분을 둘러싸는 반면, 둥 근 글레이징 유닛에 있어서는, 반원보다 더 크게 둘러싼다.
그러므로, 기계적으로 견고한 글레이징 유닛(10)은 다른 창유리에 관련된 하나의 창유리 전단의 위험 없는 원-피스 구조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구획(2)은 글레이징 유닛의 전체 주변을 필수적으로 둘러쌀 필요가 없다 - 어셈블리 견고성을 주는 구획(2)이 아니라 글레이징 유닛 자체이다. 결과적으로, 유닛이 수용 디바이스에서 글레이징을 수용하는데 사용될 구획으로 유닛의 지지 구조 기능을 전달하기 위해서, 평행육면체 유닛의 경우, 두 개의 마주보는 측면과 같이, 구획은 글레이징 유닛의 적어도 두 개의 대칭적으로 반대된 부분들의 일부에 걸쳐 놓여지는 것이 충분하다.
도 3a 내지 도 3f는 글레이징 유닛의 적어도 두 개의 대칭적으로 마주보는 부분(10a 및 10b)상에 장찬된 구획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두 개의 분리된 요소로부터 여기에 형성된 구획은 접착 또는 기계적 잠금에 의해 고정된다. 기계적 잠금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 도 3a의 참조번호(6)과 같은 두 요소 사이의 기계적 링크 장치가 필요하다.
부가적으로, 구획은 스페이서 바의 전체 너비에 결쳐, 즉, 글레이징 유닛의 하나의 창유리로부터 다른 창유리로, 고정될 필요 없고, 적어도 향하는 창유리의 에지의 두께로 고정된다.
도 1 및 도 2에 보여진 실시예에서, 일반적으로 U-형태의 구획(2)은 글레이징 유닛의 첫 번째 측면(14)을 따라, 인접한 마주보는 측면(15 및 16)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그리고 적어도 창유리(12)의 에지를 향하여, 스페이서 바(3)와 결합된 다.
도 1은 도 2 또는 도 10에서 보여진 단면도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에 대해서는, 구획은 또한 창유리(12)와 결합된다.
도 4와 도 5는 구획(2)이 글레이징 유닛의 전체 주변에 걸쳐 프레임을 형성하는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어셈블리(1)는 예를 들어 창문 문짝을 구성한다.
구획(2)은 유닛을 둘러싸는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해 적용되는 요소의 수에 따라, 다양한 프레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직사각형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두 개의 L-형태의 구획(2a 및 2b)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네 개의 곧은 구획을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구획들의 단면도는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면도는 특히 PVC 구획의 경우, 최근에는 꼭 그렇지 않지만, 어셈블리를 더욱 쉽게 제조하기 위해 같을 것이다.
구획의 단면도는 특히, 구획을 제조하기 위해 선택된 물질의 성질과 구획이 구비하는 추가적인 기능에 따라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리베이트에 마주보는, 구획의 웨브(web)는 종래 기술로부터 잘 알려져 있으므로, 기재되지 않을 것이다 - 예를 들면, 열적 성능을 위한 여러 가지 챔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 기재(도 6 내지 도 14)의 예의 방식에 의해 구상되는 또는 상상될 수 있는 모든 실시예와 같이, 구획(2)은 스페이스 바(3)가 놓여지도록 의도된, 적어도 창유리 중 하나의 에지를 향하는 베어링 베이스(21)를 갖는다. 스페이서 바는 사용된 구획의 실시예에 따라, 접착 및/또는 기계적 잠금에 의해 구획의 베어링 베이스(21)에 고정된다. 기계적 잠금의 경우, 구획은 또한 창유리들 중 적어도 하나와 협력한다.
바람직하게는, 구획은 베어링 베이스(21)와, 베어링 베이스(21)에 직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벽(22)을 구비하는 리베이트(20)를 갖고, 도 8의 실시예의 단면도에 보여지는 것처럼, 베어링 베이스가 물 방전 채널(23a)에 가능하면 연결되는 배수 그루브(23) (도 6, 도 8, 도 9, 및 도 11 내지 도 14)를 구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리베이트의 베어링 베이스(21)는 창유리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향하는 스페이서 바(3)와 필수적으로 접촉되는 반면(특히 도 2 및 도 5), 측면 벽(22)은 창유리들 중 하나의 외측 면과 접촉할 수도 있다.
글레이징 유닛의 전체 주변을 둘러싸는 프레임의 실시예에서, 글레이징과, 프레임을 형성하는 구획 요소 또는 요소들의 리베이트의 베어링 베이스(21) 사이에서 얻는 접촉은, 글레이징/프레임 어셈블리가 지금 글레이징이 프레임에서 움직일 가능성 없이 단일 어셈블리만을 형성하기 위해, 고정으로 이루어지며, 글레이징의 견고성은 프레임에 전해진다. 이러한 고정은 프레임을 형성하는 구획 요소들 사이에서 가까운 협력에 의해, 기계적 어셈블리(보충 형태, 나사-타입 고정 요소를 갖는 부분들의 상호 협력)에 의해 및/또는 구획 요소를 함께 접착함으로써 얻어진다. 보충으로, 고정시키는 것은 스페이서 바(3)를 구획의 베어링 베이스(21)에 접착시 킴으로써, 어쩌면, 구획의 벽(22)을 글레이징 유닛의 유리에 접착시킴으로써 제공된다. 이러한 접착은,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 접착제와 같이, 가스 및 수증기에 스며들지 않는, 바람직하게는 1 밀리미터 미만의 두께를 갖는 얇은 접착제 수단에 의해 제공된다.
도 4 및 도 5에 보여지는 실시예에서, 그래서, 구획(2)은 클립 방식으로 글레이징 유닛 상에 피트되는 두 개의 L-형태의 구획 요소(2a 및 2b)으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6mm (도 5)의 높이(h)에 걸쳐 글레이징의 창유리 외측면(11a 및 12a)과 접촉된다.
첫 번째 구획 요소(2a)는 글레이징의 수직 측면 상 및 하부 수평 측면 상에서 스페이서 바(3)와 접촉한다 - 유리와 스페이서 바의 이러한 접촉은, 어셈블리(1)가 버티는 것을 보장한다 - 그리고, 두 번째 구획 요소(2b)는 글레이징 및/또는 구획의 치수를 변화시켜 기능적 틈새(j)(도 5)를 제공하기 위해 상부 수평 측면 상이 아닌 글레이징의 수직 측면 상의 스페이서 바(3)와 접촉한다.
더욱이, 구획의 구성 때문에, 구획 요소(2)의 베어링 베이스(21)는, 단일 유리 에지만을, 여기에선 창유리(12)의 에지를 향하는 스페이서 바(3)의 일부 상에만 놓이는데, 이는 글레이징이 사용되는 동안 겪게될 힘과 응력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기에 충분하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과 달리, 쐐기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글레이징의 전체 두께가 지지되는 것을 보장할 필요도 없다.
스페이서 바 스트립이 글레이징 유닛을 둘러싸고, 글레이징 유닛의 두 단부 는 겹쳐지게 결합되어, 과잉두께를 생성하는데 주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둘러싸는 스트립의 이러한 마감은 글레이징의 한 코너 근처에서 이루어진다. 스페이서 바의 과잉 두께는 구획과 글레이징 사이에 만들어진 빈틈, 또는 구획이 스페이서 바와 접촉할 때, 구획의 베어링 베이스(21)에서 만들어진 그루브와 협력한다.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여러 가지 구획 실시예들은 도 6 및 도 8의 경우, 23에서 오목한, 베어링 베이스(21)를 포함하는 U-형태의 리베이트를 도시하여, 측면 벽(22)과 마주보는 벽(22)은 벽(22)에 고정된 것과 반대 측면에서 창유리의 외측면과 접촉되도록 의도된다.
도 9에 보여지는 구획 실시예는 L-형태의 단면도를 갖는 리베이트를 도시하며 베어링 베이스(21)는 그루브(23)와 단일 측면 벽(22)을 구비한다. 커버 스트립(4)은, 리베이트의 벽(22)과 반대 측면 상에 있고 벽(22)에 고정된 창유리 외측면과 반대 측면의 창유리 외측면{도 15의 면(12a)}과 접촉하게 되는 측면 벽(40)을 형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리베이트와 결합된다. 커버 스트립(4)은 상기 커버 스트립이 피트되는 구획의 일부를 보충하는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변형은, 어셈블리의 장착된 위치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구획의 측면에 따라, 밀봉을 보충하기 위해, 리베이트의 측면 벽(22)과 결합될 수 있는 밀봉(5) 또는 커버 스트립(4)을 구비한다.
도 10 내지 도 14는 글레이징 유닛과{적어도 스페이서 바(3)의 일부와} 결합된 구획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에서, 구획은 스페이서 바 전체 너비에 걸쳐 스페이서 바로 접착되는 균일한 베어링 베이스(21)를 갖는다.
도 11에서, 창유리 에지들 중 하나를 향하는 스페이서 바의 오직 일부만이 구획의 베어링 베이스(21)와 결합된다.
도 12는 도 11과 비슷하게, 창유리들 중 하나에서 스페이서 바와 구획의 결합을 보여준다. 더 나아가, 구획은 베어링 베이스(21)의 한 측면 상에서, 측면 벽(22a) 또는 창유리와 결합되는 부착된 커버 스트립(40)을 갖는다.
반대로, 도 13에서, 구획의 리베이트의 벽(22) 또는 커버 스트립의 벽이 반대되는 창유리의 외측면과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도 14에서, 창유리의 외측면은 구획의 벽 및/또는 커버 스트립의 벽과 결합된다.
특히, 프레임에 있어, 구획이 접착에 의해 글레이징 유닛에 고정될 때, 구획에 제공되는 구멍(2d)으로 접착제를 주입시킴으로써(도16), 구획을 어셈블리시킨 후, 고정이 이루어지고, 접착제는 글레이징의 코너에서 구획 부분들에 걸쳐 또는 글레이징의 전체 측면을 따라(도에서 두꺼운 점선) 연장된다. 물론 이러한 고정은 글레이징 유닛과 구획의 표면 및/또는 표면들, 심지어 구획의 배수 그루브(23)에 접착제를 인가함으로써, 어셈블리 작업 전에 수행될 수 있고, 접착제가 물-불침투성 물질로써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타입의 접착은 주변과 결합되는 추가적인 밀봉의 필요없이, 어셈블리가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완벽하게 봉해지는 것을 보장한다.
구획 요소가 특히, 사용된 물질의 타입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어셈블 리될 수 있다는 것이 보여진다. 이는 장붓구멍과 장부의 방식으로, 반대된 형태의 상호 협력에 의한 기계적 결합, 나사에 의한 기계적 어셈블리, 접착 또는 예를 들면, PVC의 경우 용접에 의한 어셈블리, 또는 여러 가지 어셈블리 작업의 결합에 의한 어셈블리를 수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셈블리의 한 가지 장점은, 동일한 형태의 구획 요소, 특히, 밀봉 강화를 위해 45도에서 잘려야 하는 통용하고 있는 PVC 구획과 비교했을 때, 특히 곧고 45도에서 잘리지 않는 단부들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구획의 이러한 곧은 절단은 물질의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구획들이 홀쭉하게 매우 길 경우,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레이징 유닛 상에서 그들을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 글레이징 유닛의 단부들(2c)은 곧고, 매우 긴 단부들은 그 후 잘린다(도 16).
어셈블리의 최종-사용에 따라, 구획(2)은 내측 상에서처럼(힌지, 힌지 핀, 핸들, 전기 전도체, 전자 시스템, 등.) 표면 상에 다른 기능들을 갖는 여러 가지 악세서리들을 병합한다. 글레이징 유닛(10)은 또한, 글레이징 유닛이 어셈블리를 지탱할 때, 글레이징 유닛의 유리에 접착되는 문 핸들과 같은, 어셈블리(1)가 의도한 용도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특정 악세서리를 포함하여, 특허 출원 제 WO 03/040507에 기재된 것처럼 다양한 악세서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복합 글레이징 유닛으로 사용되고, 더욱 상세하게는 유닛이 장치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요소, 또는 수용 디바이스와 결합되는 단열 글레이징 유닛으로 사용되고, 또한 글레이징 유닛과 결합되도록 의도된 단편 그 자체로 사용된다.

Claims (21)

  1. 복합 글레이징 유닛(10)과, 글레이징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와 결합되고 글레이징 유닛 주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된 구획(2)으로 이루어진 어셈블리(1)에 있어서,
    복합 글레이징 유닛은, 가스-충전 공간(13)에 의해 분리되고 스페이서 바(3)에 의해 떨어져 어셈블리되는 적어도 두 개의 창유리(11, 12)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 바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창유리의 에지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으로 이루어지고, 구획(2)은 구획 높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글레이징 유닛의 스페이서 바(3)와 접촉하며, 하나의 창유리의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구획(2)은 적어도 창유리 에지의 두께에 상응하는 너비에 걸쳐 스페이서 바(3)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구획(2)은 접착 및/또는 기계적 잠금에 의해, 스페이서 바(3)와 접촉하고, 가능하게는 글레이징 유닛의 유리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획은, 죄는 힘(claimping force)이 두 반대 방향에서 유닛 상에 가해지도록, 글레이징 유닛의 적어도 두 개의 마주보는 부분들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5. 제 4항에 있어서, 구획(2)은, 글레이징 유닛이 다각형일 때, 적어도 두 마주보는 코너에서 글레이징 유닛과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6. 제 4항에 있어서, 구획은, 글레이징 유닛이 둥근 형태일때, 적어도 두 개의 정반대의 원형 호에 걸쳐 글레이징 유닛과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7. 제 4항에 있어서, 글레이징 유닛은 긴 첫번째 면과 첫번째 면과 마주하는 반원형-형태의 두 번째 면을 가질 때, 구획은 첫 번째면의 적어도 일부 및 두 번째 면의 적어도 원형 호를 따라 글레이징 유닛과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획(2)은 눌려진채 유지되고 적어도 하나의 창유리의 외부 면(11a, 12a)을 향하여 잠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획(2)은 단일 요소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0.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획(2)은, 상호 협력에 의해 서로 어셈블리되거나 또는 나사에 의해 기계적으로 어셈블리되거나, 접착 또는 용접 또는 이러한 수단의 결합에 의해 어셈블리되는 복수의 요소(2a, 2b)로 구성되고, 또는 상기 요소들인 기계적 연결 수단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획(2)은 나무, 알루미늄 타입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2.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획(2)은 글레이징 유닛의 전체 주변에 걸쳐 신장된 프레임을 형성하고, 함께 어셈블리되는 두 요소들 때문에 적어도 기계적 압력에 의해 유닛 상에서 적소에 유지되는 적어도 두 개의 요소들(2a, 2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획(2)은 리베이트(20)를 포함하는 베어링 베이스(21)와 창유리의 외부면과 접촉하는 적어도 첫 번째 측면 벽(22)을 구비하고, 스페이서 바(3)는 리베이트의 적어도 일부 상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4. 제 13항에 있어서, 구획(2)은 첫 번째 측면 벽(22)을 향하고 리베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마주보는 두 번째 측면 벽(22a, 40), 또는 리베이트를 향하여 부착되는 커버 스트립(4)을 포함하고, 글레이징 유닛의 스페이서 바에 걸치는 구획은 두 개의 창유리 각각의 외측 면(11a, 12a)과 접촉하는 두 개의 측면 벽(22, 22a, 4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5. 제 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구획의 베어링 베이스(21)의 적어도 일부는 배수 그루브(23)를 포함하고, 가능하게는 구획의 두께를 통해 통과하는 방전채널(23a)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창유리의 면을 향해 가해지는 구획 리베이트(20)의 높이는 적어도 스페이서 바의 두께에 상응하고, 최대 12mm, 바람직하게는 6mm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레이징 유닛은, 유닛의 전체 주변에 걸쳐 프레임 형태인, 구획을 위한 템플레이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레이징 유닛(10) 및/또는 구획(2)은, 어셈블리가 의도한 수용 하우징에서 어셈블리(1)를 고정하기 위한 요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레이징 유닛(10) 및/또는 섹션(2)이 하기의 타입: 힌지, 힌지 핀, 핸들, 전기 전도체, 전자 시스템의 다양한 기능을 갖는 악세서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20. 제 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어셈블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또는 문짝.
  21. 제 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어셈블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된 글레이징 요소.
KR1020087021324A 2006-03-03 2007-02-23 복합 글레이징 유닛과 프로파일로 구성되는 어셈블리, 및 글레이징 유닛을 위한 프로파일 Ceased KR200801073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50752A FR2898150B1 (fr) 2006-03-03 2006-03-03 Ensemble constitue d'un vitrage multiple et d'un profile, et profile destine a un vitrage
FR0650752 2006-03-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399A true KR20080107399A (ko) 2008-12-10

Family

ID=37247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324A Ceased KR20080107399A (ko) 2006-03-03 2007-02-23 복합 글레이징 유닛과 프로파일로 구성되는 어셈블리, 및 글레이징 유닛을 위한 프로파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991752B1 (ko)
JP (1) JP2009528465A (ko)
KR (1) KR20080107399A (ko)
CN (1) CN101395334B (ko)
ES (1) ES2398294T3 (ko)
FR (1) FR2898150B1 (ko)
PL (1) PL1991752T3 (ko)
PT (1) PT1991752E (ko)
WO (1) WO20070992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4830B1 (fr) * 2017-12-13 2024-01-19 Saint Gobain Vitrage, notamment pour l'aeronautique, apte a etre bloque dans son ouverture d'accueil en cas de ruptur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39079A (en) * 1946-02-12 1951-01-23 Virgil K Holland Double glazing unit
DE1120107B (de) * 1954-12-24 1961-12-21 Otto Schmidt Doppelscheibe zur Verglasung von Fenstern, Tueren od. dgl.
ZA693794B (en) * 1968-08-02 1971-04-28 Ppg Industries Inc Multiple glazed unit
DE3036953A1 (de) * 1980-09-30 1982-05-13 Saar-Gummiwerk GmbH, 6619 Büschfeld Festverglasung, fenster oder fenstertuer
JPS6027628A (ja) * 1983-07-21 1985-02-12 Showa Denko Kk 複層ガラス
CA1290624C (en) * 1986-10-31 1991-10-15 Kenneth R. Parker Insulating glass unit
US4984402A (en) * 1989-09-29 1991-01-15 Omniglass Ltd. Sash window arrangement
JP2875595B2 (ja) * 1990-06-21 1999-03-31 日本板硝子株式会社 複層ガラス
CN2087231U (zh) * 1991-03-18 1991-10-23 中建北京中空玻璃工程公司 门窗上安装中空玻璃的构件
JPH11270241A (ja) * 1998-01-26 1999-10-05 Nippon Sheet Glass Co Ltd 板ガラス体保持部材及び板ガラス体
JP2000328847A (ja) * 1999-05-19 2000-11-28 Nippon Sheet Glass Co Ltd 複層ガラス
FR2807783B1 (fr) * 2000-04-13 2002-12-20 Saint Gobain Vitrage Vitrage isolant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2001323742A (ja) * 2000-05-16 2001-11-22 Takashi Takeda 複数個の複層ガラス体から成るガラス窓とそれを構成する複層ガラス体及びそれらの製法
FR2830897B1 (fr) * 2001-10-17 2006-11-17 Saint Gobain Vitrage isolant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FR2846029B1 (fr) * 2002-10-17 2005-07-01 Saint Gobain Vitrage isolant
CN2713106Y (zh) * 2004-05-26 2005-07-27 曹征 一种中空玻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1991752T3 (pl) 2013-04-30
CN101395334A (zh) 2009-03-25
ES2398294T3 (es) 2013-03-15
FR2898150B1 (fr) 2009-10-23
PT1991752E (pt) 2013-02-06
CN101395334B (zh) 2011-09-14
EP1991752A1 (fr) 2008-11-19
JP2009528465A (ja) 2009-08-06
WO2007099252A1 (fr) 2007-09-07
EP1991752B1 (fr) 2012-10-31
FR2898150A1 (fr) 2007-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4518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n integrated multipane window sash
EP3342972B1 (en) A window having a sash and an improved connection to the hinge
US20060218875A1 (en) Components for multipane window unit sash assemblies
EP2672051B1 (en) Door or window
WO2001025581A1 (en) Fenestration sealed frame, insulating glazing panels
HUP0201141A2 (en) Integrated multipane window unit and sash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132728A (ko) 인터스페이스 구성 요소를 가진 단열 유닛을 위한 스페이서 프레임을 위한 스페이서 프로파일과 단열 유닛
KR101884826B1 (ko) 고강도 커튼월결합구조
EA022533B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еклопакетного блока и окно, содержащее такой стеклопакетный блок
CA2980680C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triple insulating glazing unit
US20050132662A1 (en) Insulating glass sash assembly with glazing panes mounted via their outside surfaces
JP2008528828A (ja) ガラス窓を外壁構造に固定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2057242B1 (ko) 복층 창호 및 그의 유리 추가 시공방법
KR20080107399A (ko) 복합 글레이징 유닛과 프로파일로 구성되는 어셈블리, 및 글레이징 유닛을 위한 프로파일
GB2315292A (en) Panel door having edge protection for the cut panels
WO2015082897A1 (en) Insulating glass units
CN211115418U (zh) 一种铝合金门窗的水平边框
RU2339784C2 (ru) Заключенный в раму поверхностный несущий элемент
EP3740640B1 (en) Frameless casement with u-shaped profile
US20220228425A1 (en) Structural, glass-aluminum facade component
KR100838966B1 (ko) 복합개폐식 창호용 창짝
AU2002322072A1 (en) Integrated multipane window sash and method for fabricating integrated multipane window sash
JPH08165853A (ja) 断熱出窓
AU2002353944A1 (en) Components for multipane window unit sash assemblies
EP2220318A1 (en) Structural arrangement for upgrading windows and do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2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0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