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3280A - 식물 재배 유닛 및 식물 재배 용기 - Google Patents
식물 재배 유닛 및 식물 재배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83280A KR20080083280A KR1020087014348A KR20087014348A KR20080083280A KR 20080083280 A KR20080083280 A KR 20080083280A KR 1020087014348 A KR1020087014348 A KR 1020087014348A KR 20087014348 A KR20087014348 A KR 20087014348A KR 20080083280 A KR20080083280 A KR 200800832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plant cultivation
- plant
- container
- recei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수(灌水) 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고, 또한 급수 배관 공사를 별도 필요로 하지 않고, 건물의 옥상과 같은 바닥면에 구배(句配)가 있는 장소에 있어서도, 식물에 대하여 균등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유닛 및 식물 재배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식물의 뿌리부를 수용할 수 있는 받이부(3)를 그 내부에 배치할 수 있고, 또한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 트레이(2)를 구비하고, 저수 트레이(2) 내의 저수 공간(8)과 받이부(3)가 급수부(7)에 의해 연통되어 있고, 저수 공간(8)에 저수된 물이, 급수부(7)를 통하여 식물에 공급될 수 있는 식물 재배 유닛(1)으로서, 저수 트레이(2)에는, 인접하는 저수 트레이(2)를 서로 연통 접속할 수 있는 접속부(6)가 설치되고, 접속부(6)는, 유입용 접속부(6a)와 유출용 접속부(6b)로 구성되어 있으며, 물은, 유입용 접속부(6a)로부터 저수 공간(8)에 유입되고, 저수 공간(8)에 소정량의 물이 차면, 오버플로에 의해 유출용 접속부(6b)로부터 유출될 수 있는 식물 재배 유닛을 제공한다.
식물 재배 유닛, 식물 재배 용기, 저수 트레이, 접속부, 급수부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물의 뿌리부를 수용할 수 있는 받이부를 그 내부에 배치할 수 있고, 또한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 트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저수 트레이 내의 저수 공간과 상기 받이부가 급수부에 의해 연통되어 있고, 상기 저수 트레이에 저수된 물이, 상기 급수부를 통하여 상기 식물에 공급될 수 있는 식물 재배 유닛 및 식물 재배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히트 아일랜드 현상(도시 지역의 기온이 교외에 비해 섬형상으로 높아지는 현상)이라는, 도시 지역(도쿄, 오사카, 나고야 등) 특유의 환경 문제가, 열대야의 증가나 국소적 집중 호우의 발생 등, 도시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생활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하여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지금까지 일본 정부는, 히트 아일랜드 현상에 대한 대책을 보다 한층 강력히 추진하기 위해, 히트 아일랜드 대책 관계부처 연락 회의를 설치하고, 히트 아일랜드 대책 기본 원칙을 책정하고 있다.
기본 원칙에 기재된 히트 아일랜드 현상의 대응책의 하나로서, 「녹지·수면(水面)의 감소, 건축물이나 포장 등에 의해 지표면이 덮히는 것에 의한 증발산 작용의 감소나 지표면의 고온화를 방지하기 위해 지표면 피복의 개선을 도모한다」는 목적 하에, 고정 자산세에 있어서의 과세의 특별조치나 보조금의 거출 등에 의해, 민간 건축물 등의 부지나 관청 시설 등의 옥상의 녹화(綠化)를 추진하고 있다.
한편, 그러한 녹화 대책을 실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방법으로서는, 부지나 옥상에, 적당한 토양(옥상의 경우는 경량 토양)을 수용한 플랜터(planter)를 복수개 준비하고, 그 플랜터로 식물을 재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그 외에도, 식물을 심은 플랜터에 대하여 항상 자동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장치(하기 특허 문헌 참조)를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일본국 특개평 10-113081호 공보
그러나, 복수개의 플랜터를 준비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종래의 방법에서는, 부지나 옥상의 면적이 넓으면 넓을수록, 준비해야만 하는 플랜터(즉 식물의 수)도 많아져, 그 관수(灌水)가 매우 수고를 요하는 작업이었다. 예를 들면, 재배하는 식물에 따라서는, 조금이라도 수분이 부족하면, 잎이 타버리거나 낙엽이 생기기 쉽고, 더 부족하면 시들어 버리는 경우도 있다. 또한, 역으로, 토양 중의 수분이 너무 많으면, 뿌리에 산소가 부족하게 되어, 뿌리가 썩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그러한 관수(물관리)를 조원(造園) 업자 등에 의뢰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도 많아, 인건비 등의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
그래서, 상기 특허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그러한 번거로운 관수 작업에 대하여, 일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식물 재배 장치는, 화분(플랜터)을 탑재할 수 있는 저수 용기와 급수관이 접속되는 자동 관수 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자동 관수 장치에 의해, 저수 용기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식물 재배 장치는, 저수 용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배관 공사가 별도로 필요하므로, 시공성이 나쁘고, 설비 비용의 증대도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허 문헌에는, 그러한 급수 배관 공사를 간략화하기 위해, 복수개의 저수 용기를 서로 연통시키고, 그 중 1개의 저수 용기에만 자동 관수 장치를 설치하도록 한 구성으로 할 수 있는 것도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옥상의 바닥면은, 배수성(排水性)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면, 바닥면의 중앙부가 약간 솟아오르도록 구배(句配)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복수개의 저수 용기를 옥상의 바닥면에 배치하여, 그들에 균등하게 물을 공급하려고 해도, 바닥면이 평평하지 않으므로 각 저수 용기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고(예를 들면, 바닥면의 중앙부가 약간 솟아오르도록 한 구배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 바닥면의 중앙부 가까이에 배치된 저수 용기일수록, 그 수위가 얕아짐), 저수 용기 사이에서 급수 불균일이 생겨, 식물의 생육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관수 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고, 또한 급수 배관 공사를 별도 필요로 하지 않고, 건물의 옥상과 같은 바닥면에 구배가 있는 장소에 있어서도, 식물에 대하여 균등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유닛 및 식물 재배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적 구성은, 식물의 뿌리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받이부를 그 내부에 배치할 수 있고, 또한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 트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저수 트레이 내의 저수 공간과 상기 받이부가 적어도 1개의 급수부에 의해 연통되어 있고, 상기 저수 공간에 저수된 물이, 상기 급수부를 통하여 상기 식물에 공급될 수 있는 식물 재배 유닛으로서, 상기 저수 트레이에는, 인접하는 상기 저수 트레이를 서로 연통 접속할 수 있는 접속부가 설치되고, 상기 접속부는, 적어도 1개의 유입용 접속부와 적어도 1개의 유출용 접속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은, 상기 유입용 접속부로부터 상기 저수 공간에 유입되고, 상기 저수 공간에 소정량의 물이 차면, 오버플로에 의해 상기 유출용 접속부로부터 유출될 수 있는 식물 재배 유닛인 점에 있다.
〔작용 및 효과〕
본 발명의 식물 재배 유닛에 구비되어 있는 저수 트레이에는, 인접하는 저수 트레이를 서로 연통 접속할 수 있는 접속부(유입용 접속부 및 유출용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식물 재배 유닛을 서로 복수개 연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녹화할 건물의 부지나 옥상에 본 발명의 식물 재배 유닛을 설치할 때, 그 수나 접속 방법을 적당하게 조정함으로써, 건물의 부지나 옥상의 넓이 또는 그 형상, 또는 중앙에 통로를 설치하는 등의 각종 설치 조건에 맞추어 녹화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재배 유닛에 공급되는 물은, 유입용 접속부로부터 저수 트레이 내의 저수 공간에 유입되고, 저수 공간에 소정량의 물이 차면, 오버플로에 의해 유출용 접속부로부터 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수 공간에 저수된 물(이하, 저류수라고 함)은, 저수 공간과 식물의 뿌리부를 수용할 수 있는 받이부를 연통시키는 급수부를 통하여 식물에 공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물 재배 유닛은, 급수 배관 공사를 별도 필요로 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부를 통하여 복수개의 식물 재배 유닛을 연통 접속하고, 그 중 1개의 식물 재배 유닛에 물을 공급하기만 하면, 오버플로에 의해 자동적으로 다른 모든 식물 재배 유닛(저수 트레이)에 물을 공급(저수)하는 것이 가능하며, 각 저수 트레이에 저수된 물(저류수)은, 급수부를 통하여, 받이부에 수용된 식물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접속부(유입용 접속부 및 유출용 접속부)를 저수 트레이의 적당한 높이에 설치함으로써, 저류수의 수위(저수량)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재배하는 식물에 맞추어 적절한 양의 물을 항상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며, 적절한 관수 작업이 자동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오버플로에 의해 다른 식물 재배 유닛의 저수 트레이에 물이 공급되므로, 각 저수 트레이의 저류수의 수위는, 설치 장소 상태(예를 들면, 건물의 옥상과 같은 구배가 있는 바닥면 등)에 의하지 않고 항상 일정 수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결과, 식물 재배 유닛 사이의 급수 불균일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적 구성은, 상기 받이부가 오목형상이며, 그 저부에는, 상기 급수부로서 기능할 수 있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저부는, 상기 저수 공간에 물이 저수되었을 때 위치하는 최대 수위보다 저위치에 있는 점에 있다.
〔작용 및 효과〕
받이부가 오목형상이므로, 식물을 수용·고정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그 받이부의 저부에는, 급수부로서 기능할 수 있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저부는, 저수 공간에 물이 저수되었을 때 위치하는 최대 수위보다 저위치에 있으므로, 저수 공간을 항상 오버플로시켜, 저수 공간 가득하게 물을 저수하도록 하면, 물이 관통구로부터 받이부에 항상 침수할 수 있어, 식물로의 급수가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수경 재배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적 구성은, 상기 받이부가, 상기 저수 트레이에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받이부끼리의 사이에 트레이 밑바닥부를 형성한 점에 있다.
〔작용 및 효과〕
받이부가, 저수 트레이에 복수개 설치되어 있으므로, 1개의 식물 재배 유닛 내에 복수개의 식물을 동시에 재배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받이부끼리의 사이에 트레이 밑바닥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필요 최소한의 저수 공간을 설치함으로써, 사용하는 물을 절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적 구성은, 상기 저수 트레이의 위쪽을 덮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점에 있다.
〔작용 및 효과〕
저수 트레이의 위쪽을 덮는 커버부를 구비함으로써, 차광 효과에 의한 저류수 중의 해초류의 발생 방지나, 저류수로의 먼지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저류수가 쉽게 오염되지 않고, 물이 흐르는 접속부에서의 눈막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에 의해, 본 발명의 식물 재배 유닛의 단열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어 저류수 수온의 극단적인 상승 또는 저하를 방지하여, 식물의 생육을 더욱 양호하게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저류수의 증발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며, 절수 효과도 기대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적 구성은, 상기 받이부와 상기 커버부가 일체 성형체로서, 상기 일체 성형체와 상기 저수 트레이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작용 및 효과〕
받이부와 커버부가 일체 성형체로서, 그 일체 성형체와 저수 트레이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일체 성형체와 저수 트레이를 각각 분리하고, 청소 등을 개별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일체 성형체를 식물의 이송용 트레이나 교환용 트레이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예를 들면, 복수개의 식물 재배 유닛 중에 시들어 버린 식물이 수용된 식물 재배 유닛이 있는 경우, 그 시들어 버린 식물을 수용하고 있는 일체 성형체를 식물 재배 유닛으로부터 그 때마다 들어내어, 정상적인 식물을 수용하는 다른 일체 성형체와 교환하면, 흙 등에 손을 더럽히지 않고도 간단하게 식물을 바꿀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적 구성은, 상기 일체 성형체가, 수면에 부양할 수 있는 플로팅부(floating portion)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다.
〔작용 및 효과〕
일체 성형체가, 수면에 부양할 수 있는 플로팅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저수 트레이를 사용하지 않고도, 식물을 수용한 일체 성형체를 그대로 적당한 수조(예를 들면, 안뜰의 연못 등) 또는 연못이나 강, 호수 등에 띄워,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플로팅부에 의해, 공기를 폐입(閉入)한 공간이 형성되므로, 일체 성형체의 단열 효과가 보다 한층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제7 특징적 구성은, 블로우(blow) 성형에 의해 제조된 것인 점에 있다.
〔작용 및 효과〕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의 쪽이,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염가이고, 또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블로우 성형 기술은, 파이프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접속부의 성형에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8 특징적 구성은, 상기 플로팅부는, 중공형(中空形)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플로팅부의 내부 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그 개구부를 폐색하는 커버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작용 및 효과〕
식물 재배 유닛을 바닥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플로팅부의 내부 공간에 물이나 모래 등을 주입하여 커버 부재에 의해 개구부를 폐색함으로써, 플로팅부를 구비한 일체 성형체를 추로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옥상 등에 설치한 경우에는, 바람 등에 의한 일체 성형체의 이동이나 전도(轉倒)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를 벗겨내어 주입한 물이나 모래 등을 개구부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일체 성형체를 추로서 이용할 수 있으면서, 일체 성형체의 운반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플로팅부의 내부 공간에 공기를 충전하여 커버 부재에 의해 개구부를 폐색하는 것만으로, 일체 성형체를 연못이나 강, 호수 등에 띄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식물 재배 유닛을 바닥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일체 성형체를 연못이나 강, 호수 등에 띄워 사용하는 경우에도, 플로팅부의 내부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특징적 구성은, 상기 커버부를 복수개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인접하는 것끼리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를 상기 커버부에 구비하고 있으므로, 일측부에 설치한 적어도 1개의 상기 연결부와 타측부에 설치한 적어도 1개의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각각 배치하여, 가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커버부의 상기 연결부끼리 상하로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끼리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작용 및 효과〕
연결부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커버부끼리를 연결하여 복수개의 커버부를 일체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가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커버부끼리를 연결할 때는, 연결부끼리를 상하로 중첩시키는 것만으로 연결할 수 있어, 연결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는, 가로 방향의 일측부와 타측부의 것끼리 상하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로 방향의 일측부에서는 인접하는 커버부의 연결부보다 위쪽으로 되도록 연결부끼리를 중첩시키고, 또한 가로 방향의 타측부에서는 인접하는 커버부의 연결부보다 아래쪽으로 되도록 연결부끼리를 중첩시켜, 커버부끼리를 연결함으로써,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각 커버부의 위치를 맞출 수 있다.
그리고, 받이부와 커버부의 일체 성형체를 연못이나 강, 호수 등에 띄워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각 일체 성형체의 위치를 맞추어 복수개의 일체 성형체를 연결하여 복수개의 일체 성형체를 일체적으로 띄울 수가 있어, 특히 연못이나 강, 호수 등에 띄워 사용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0 특징적 구성은, 벽에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점에 있다.
〔작용 및 효과〕
본 발명의 식물 재배 유닛은, 벽에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건물의 부지나 옥상의 바닥면(평면 방향)뿐아니고, 이들 벽면(세로 방향)도 녹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1 특징적 구성은, 제10 특징적 구성에서의 식물 재배 유닛의 외표면을 덮는 보호 커버 부재를 구비하는 점에 있다.
〔작용 및 효과〕
식물 재배 유닛의 외표면이, 보호 커버 부재에 의해 덮혀져 있으므로, 옥외 조건(자외선, 열, 비바람 등)에 대한 식물 재배 유닛의 내후성(耐候性)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 특징적 구성은, 식물의 뿌리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받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받이부에 연통되는 적어도 1개의 급수부를 설치하여, 그 급수부를 통하여 상기 식물에 급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식물 재배 용기로서, 상기 급수부로서 기능할 수 있는 관통구를 상기 받이부의 저부에 형성하는 동시에, 수면에 부양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플로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로팅부에 의해 수면에 부양시킨 상태로 상기 받이부의 저부가 수면보다 저위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식물 재배 용기인 점에 있다.
〔작용 및 효과〕
식물 재배 용기를 건물의 옥상과 같은 바닥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수 트레이 등 저수할 수 있는 저수 부재를 바닥면에 설치하여, 저수 부재에 의해 저수하고 있는 저수 공간과 받이부가 관통구에 의해 연통되도록 식물 재배 용기를 저수 부재에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저수 부재에 저수하고 있는 물이, 받이부의 저부에 형성하고 있는 관통구를 통해 받이부에 수납한 식물의 뿌리부에 공급된다. 따라서, 식물 재배 용기를 건물의 옥상과 같은 바닥면에 설치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그리고, 식물 재배 용기는 플로팅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연못이나 강, 호수 등에 식물 재배 용기를 띄우면, 플로팅부의 부력에 의해, 식물 재배 용기는 받이부의 저부가 연못이나 강, 호수 등의 수면보다 저위치로 되도록 부양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연못이나 강, 호수 등의 물이, 받이부의 저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를 통해 받이부에 수납한 식물의 뿌리부에 공급된다. 따라서, 식물 재배 용기를 연못이나 강, 호수 등에 띄워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받이부 및 플로팅부를 가지는 식물 재배 용기에 의해, 건물의 옥상과 같은 바닥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나, 연못이나 강, 호수 등에 띄워 사용하는 경우에도, 1개의 식물 재배 용기에 의해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식물 재배 용기의 이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어,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식물 재배 용기는, 건물의 옥상과 같은 바닥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바닥면 설치 전용의 것, 또는 연못이나 강, 호수 등에 띄워 사용하는 부양 전용의 것이었다. 바닥면 설치 전용의 식물 재배 용기에서는, 연못이나 강, 호수 등에 띄워 사용하는 경우에 대응할 수 없다. 역으로, 부양 전용의 식물 재배 용기에서는, 건물의 옥상과 같은 바닥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대응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식물 재배 용기에서는, 이용 범위가 한정되어 있어 불편한 것이었다.
본 발명의 제13 특징적 구성은, 제12 특징적 구성에서의 식물 재배 용기의 용기 본체의 둘레부가 상기 받이부의 저부보다 저위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작용 및 효과〕
식물 재배 용기의 용기 본체의 둘레부가 받이부의 저부보다 저위치이므로, 받이부 저부의 아래쪽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식물 재배 용기를 바닥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하방 공간에 저수 트레이 등의 저수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식물 재배 용기를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그 하방 공간을 이용하여 통기(通氣)나 배수(排水)를 행하는 것도 가능해지므로, 통기성 및 배수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받이부의 저부보다 저위치인 용기 본체의 둘레부까지 플로팅부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플로팅부에 의해 얻어지는 부력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식물 재배 용기를 연못이나 강, 호수 등에 띄워 사용하는 경우에는, 받이부에 수납하는 식물이 연못이나 강, 호수 등의 저류수에 너무 잠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식물의 재배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의 둘레부까지 활용할 수 있으므로, 플로팅부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플로팅부에 의해 얻어지는 부력을 조정하여, 식물에 공급하는 물의 양을 적절한 양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4 특징적 구성은, 상기 플로팅부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플로팅부의 내부 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그 개구부를 폐색하는 커버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작용 및 효과〕
식물 재배 용기를 바닥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플로팅부의 내부 공간에 물이나 모래 등을 주입하여 커버 부재에 의해 개구부를 폐색함으로써, 용기 본체를 추로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옥상 등에 설치한 경우에는, 바람 등에 의한 식물 재배 용기의 이동이나 전도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를 벗겨내어, 주입한 물이나 모래 등을 개구부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용기 본체를 추로서 이용할 수 있으면서, 식물 재배 용기의 운반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플로팅부의 내부 공간에 공기를 충전하여 커버 부재에 의해 개구부를 폐색하는 것만으로, 식물 재배 용기를 연못이나 강, 호수 등에 띄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연못이나 강, 호수 등에 띄워 사용하는 경우에도, 플로팅부의 내부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5 특징적 구성은, 제12 ~제14의 특징적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용기의 용기 본체를 복수개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인접하는 것끼리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를 상기 용기 본체에 구비하고 있고, 일측부에 설치한 적어도 1개의 상기 연결부와 타측부에 설치한 적어도 1개의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각각 배치하여, 가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연결부끼리 상하로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끼리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작용 및 효과〕
식물 재배 용기를 연못이나 강, 호수 등에 띄워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결부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용기 본체끼리를 연결하여 복수개의 식물 재배 용기를 일체적으로 띄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가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용기 본체끼리를 연결할 때는, 연결부끼리를 상하로 중첩시키는 것만으로 연결할 수 있어, 연결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는, 가로 방향의 일측부와 타측부의 것끼리와 상하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가로 방향의 일측부에서는 인접하는 용기 본체의 연결부보다 위쪽으로 되도록 연결부끼리를 중첩시키고, 또한 가로 방향의 타측부에서는 인접하는 용기 본체의 연결부보다 아래쪽으로 되도록 연결부끼리를 중첩시켜, 용기 본체끼리를 연결함으로써,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각 용기 본체의 위치를 맞출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식물 재배 유닛의 표면측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식물 재배 유닛의 배면측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식물 재배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식물 재배 유닛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식물 재배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식물 재배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다른 예)의 식물 재배 유닛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다른 예)의 식물 재배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다른 예)의 식물 재배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다른 예)의 식물 재배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식물 재배 유닛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다른 예)의 식물 재배 유닛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식물 재배 유닛
(2) 저수 트레이
(2a) 트레이 밑바닥부
(3) 받이부
(3a) 저부
(4) 커버부
(5) 재배 바닥재
(6) 접속 노즐
(6a) 유입용 접속 노즐
(6b) 유출용 접속 노즐
(7) 관통구
(8) 저수 공간
(9) 저류수
(10) 탑재부
(10a) 용수구
(11) 연결부
(11a) 구멍
(12) 연결 부재
(13) 플로팅부
(14) 식물 재배 용기
(15) 수면
(16) 접속 호스
(17) 장착부
(17a) 장착 철부
(17b) 장착 요부
(18) 벽면
(19) 본체 장착 금속 부재
(20) 보호 커버 장착 금속 부재
(21) 보호 커버 부재
(21a) 개구부
(21b) 걸림부
(22) 피걸림부
(23) 볼트 구멍
(24) 공기배출부
(25) 이중벽부
(26) 제1 결합부
(27) 제2 결합부
(27a) 철부
(28) 개구부
(29) 커버 부재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식물 재배 유닛(1)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도 1은 표면측, 도 2는 배면측). 식물 재배 유닛(1)은, 식물 P에 관수하는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 트레이(2), 식물 P를 재배 가능한 재배 바닥재(5)를 수용할 수 있는 복수개의 원형 받이부(3), 및 저수 트레이(2)의 위쪽을 덮는 커버부(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수 트레이(2)에는, 받이부(3)끼리의 사이에 트레이 밑바닥부(2a)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재배 바닥재(5)를 받이부(3)에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 도 1에 있어서 화살표선 A로 나타낸 식물 재배 유닛(1)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재배 바닥재(5)로서는, 예를 들면, 적당한 재배용 흙이 그 중에 넣어져 있고, 또한 바닥에 구멍이 뚫려 있는 화분이나 플랜터 등, 또는 재배용 흙 그 자체를 재배 바닥재로서 사용하는 것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저부로부터 물이 유입되고, 식물의 뿌리부가, 그 유입수를 흡수할 수 있는 상태로 수용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재배용 흙은, 식물을 원예 재배할 수 있는 고형 배지(固形 培地)이면 어떤 것이라도 되고, 예를 들면, 적옥토(赤玉土), 녹소토(鹿 沼土), 부엽토(腐葉土), 피트(peat), 물이끼 등의 천연의 재배용 흙은 물론이고, 버미큐라이트(vermiculite), 펄라이트(pearlite), 우레탄 수지나 페놀 수지 등의 각종 발포 수지재, 암면(rockwool), 하이드로볼(hydroball) 등의 인공의 재배용 흙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형상도 도면에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블록형, 모래형, 입상, 덩어리형 등 각종의 형상의 것을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모래형, 입상, 덩어리형 등의 형상의 배지를 사용하는 경우는, 이들 배지가 빠져 나오지 않는 망형의 백 등에 넣어 사용할 수도 있다.
저수 트레이(2)에는, 인접하는 저수 트레이(2)를 서로 연통 접속할 수 있는 접속 노즐(6)(접속부)이 2개소 설치되어 있고, 접속 노즐(6)은 또한, 물이 흐르는 방향에 따라서, 유입용 접속 노즐(6a)(유입용 접속부)과 유출용 접속 노즐(6b)(유출용 접속부)로 구별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입용 접속 노즐(6a)과 다른 저수 트레이(2)의 유출용 접속 노즐(6b)은, 접속 호스(16)를 통하여, 분리 가능하게 연통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접속 호스(16)를 통하여, 저수 트레이(2)로부터 다른 저수 트레이(2)에 물이 흐를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 호스(16)를 통하여, 저수 트레이(2)의 유입용 접속 노즐(6a)과 다른 저수 트레이(2)의 유출용 접속 노즐(6b)의 접속을 반복하여 행하면, 필요에 따라 임의의 수의 저수 트레이(2)를 연통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같이 하여 서로 연통 접속된 복수개의 저수 트레이(2) 모두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있어서의 화살표는, 물이 흐르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고, 유입 용 접속 노즐(6a)로부터 유입된 물은, 일단 저수 트레이(2) 내의 저수 공간(8)에 저수된다. 그리고, 저수 공간(8)이란, 접속 노즐(6)의 내주면 가장 아래쪽 위치로부터 저수 트레이(2)의 저면의 위치까지 존재하는,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최대 공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저수 공간(8) 가득하게 저류수(9)가 차면, 오버플로에 의해 유출용 접속 노즐(6b)로부터 유출된다. 또한, 받이부(3)의 저부(3a)에는, 저수 공간(8)에 연통되는 관통구(7)(급수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저부(3a)는, 접속 노즐(6)의 내주면의 가장 아래쪽 위치(즉, 저수 공간(8) 가득하게 물을 저수했을 때 위치하는 저류수(9)의 최대 수위 T)보다 저위치 t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저수 공간(8)에 물이 유입되어 오버플로될 때, 저류수(9)는, 관통구(7)를 통하여 받이부(3) 가운데로 솟아나오고, 저류수(9)의 수면의 높이 (T)로부터 저부(3a)의 높이 (t)를 뺀 수위를 가지는 물이 받이부(3) 내에 항상 공급된다. 그리고, 저수 공간(8)의 깊이, 또는 받이부(3)의 깊이나 폭을 변경함으로써, 받이부(3) 내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고, 재배 조건(식물의 종류 등)에 맞는 적당한 양의 물을 항상 공급(관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커버부(4)의 상면부에 있어서의 유출용 접속 노즐(6b) 측에는, 저수 공간(8)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공기배출부(24)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공기배출부(24)로부터 저수 공간(8)에 모이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있다. 따라서, 공기의 체류에 의해 저류수(9)가 오버플로에 의해 유출용 접속 노즐(6b)에 쉽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저수 트레이(2)를 서로 연통 접속한 경우에는, 이들 복수개의 저수 트레이(2) 모두에 대한 물의 공급을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식물 재배 유닛(1)을 사용할 때는, 예를 들면, 녹화할 건물의 부지나 옥상의 넓이에 맞추어 복수개의 식물 재배 유닛(1)을 접속·배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식물 재배 유닛군 중에는, 접속되지 않은 유입용 접속 노즐(6a)과 유출용 접속 노즐(6b)이 각각 1개씩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그 접속되지 않은 유입용 접속 노즐(6a)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각 식물 재배 유닛의 저수 트레이(2)가 오버플로를 차례로 반복함으로써, 모든 식물 재배 유닛(1)에 물이 공급된다. 모든 식물 재배 유닛의 저수 트레이(2)가 물로 가득차게 되면, 접속되지 않은 유출용 접속 노즐(6b)로부터 물이 유출되므로, 그 접속되지 않은 유출용 접속 노즐(6b)을 적당한 배관이나 유수로(流水路) 등에 연결하여 배수한다. 그리고, 접속되지 않은 유입용 접속 노즐(6a)과 유출용 접속 노즐(6b)을 호스 등으로 연결하여, 펌프를 통하여, 적당히 외부로부터 물을 보급하면서 물을 순환시키도록 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식물 재배 유닛(1)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공지의 성형 기술(사출 성형법, 블로우 성형법 등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블로우 성형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4~도 9는, 본 발명의 식물 재배 유닛(1)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식물 재배 유닛(1)은, 식물에 관수 하는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 트레이(2)와, 일체로 성형된 식물 재배 용기(14)(식물 P를 재배 가능한 재배 바닥재(5)를 수용할 수 있는 복수개의 받이부(3)와 저수 트레이(2)의 위쪽을 덮는 커버부(4)가 일체 성형된 일체 성형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저수 트레이(2)와 식물 재배 용기(14)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5는, 재배 바닥재(5)를 받이부(3)에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 도 4에 있어서 화살표선 B로 나타낸 제2 실시예의 식물 재배 유닛(1)(저수 트레이(2)와 식물 재배 용기(14)가 끼워맞추어진 상태)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의 식물 재배 유닛(1)의 저수 트레이(2)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저수 트레이(2)를 서로 연통 접속할 수 있는 접속 노즐(6)(접속부)이 2개소 설치되어 있고, 접속 노즐(6)은 또한, 물이 흐르는 방향에 따라서, 유입용 접속 노즐(6a)(유입용 접속부)과 유출용 접속 노즐(6b)(유출용 접속부)로 구별된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의 저수 트레이(2)에는, 식물 재배 용기(14)를 탑재할 수 있는 탑재부(10)가 설치되어 있고, 탑재부(10)에는 용수구(10a)가 형성되어 있다. 유입용 접속 노즐(6a)로부터 유입된 물은, 용수구(10a)로부터 솟아올라 탑재부(10) 상에 흐르기 시작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저수 공간(8)에 저수된다.
그리고, 저수 공간(8) 가득하게 저류수(9)가 차면, 물은 오버플로에 의해 유출용 접속 노즐(6b)로부터 유출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받이 부(3)의 저부(3a)에는, 저수 공간(8)에 연통되는 관통구(7)(급수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저부(3a)는, 접속 노즐(6)의 내주면의 가장 아래쪽 위치(즉, 저수 공간(8) 가득하게 물이 저수되었을 때 위치하는 저류수(9)의 최대 수위 T)보다 저위치 t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저수 트레이(2)의 상면부에 있어서의 유출용 접속 노즐(6b) 측에는, 공기배출부(24)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저수 공간(8)에 물이 유입되어 오버플로될 때, 용수구(10a)로부터 솟아올라 탑재부(10) 상에 흐르기 시작한 저류수(9)는, 관통구(7)를 통하여 받이부(3) 중으로 솟아오르고, 저류수(9)의 수면의 높이 (T)로부터 저부(3a)의 높이 (t)를 뺀 수위를 가지는 물이 받이부(3) 내에 항상 공급된다. 그리고, 저수 공간(8)의 깊이, 탑재부(10)의 높이, 또는 받이부(3)의 깊이나 폭을 변경함으로써, 받이부(3) 내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재배 조건(식물의 종류 등)에 맞는 적당한 양의 물을 항상 공급(관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실시예에서의 복수개의 식물 재배 유닛(1)(저수 트레이(2))의 접속 방법, 사용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식물 재배 용기(14)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부의 바깥쪽측 부분에 있어서 하부 측으로부터 위쪽으로 반복함으로써 이중벽부(25)를 설치하여 중앙 측 부분을 밑바닥으로 함으로써 하부 측을 개방한 요형(凹形)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중벽부(25)로 에워싼 공간에 저수 트레이(2)를 배치시킴으로써, 저수 트레이(2) 전체를 식물 재배 용기(14)에 의해 덮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저수 트레 이(2)에 있어서의 저수 공간(8) 전체를 식물 재배 용기(14)에 의해 덮을 수 있으므로, 저수 공간(8)의 전체에 있어서 식물 재배 용기(14)에 의한 차광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저류수 중의 해초류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식물 재배 용기(14)와 저수 트레이(2)를 끼워맞추기 위해, 저수 트레이(2)에는 제1 결합부(26)가 형성되고, 식물 재배 용기(14)에는 제2 결합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결합부(26)는, 저수 트레이(2)의 외주부에 있어서 그 상부 측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된 철형(凸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결합부(27)에 대하여는, 식물 재배 용기(14)의 이중벽부(25)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 돌출된 철부(凸部)(27a)를 형성하고, 그 철부(27a)의 위쪽에 형성된 요형부(凹形部)를 제2 결합부(27)로 하고 있다. 그리고, 제1 결합부(26)와 제2 결합부(27)를 끼워맞추어 식물 재배 용기(14)를 저수 트레이(2)에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제2 결합부(27)에 있어서의 철부(27a)는, 식물 재배 용기(14)의 이중벽부(25)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식물 재배 용기(14)에 있어서 강성을 높인 부분에 제2 결합부(27)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1 결합부(26)와 제2 결합부(27)의 결합이 쉽게 벗겨지지 않아, 식물 재배 용기(14)를 저수 트레이(2)에 정확하게 장착하기 용이해진다.
식물 재배 용기(14)는, 그 내부를 중공형(中空形)으로 성형하고 있고, 그 내부 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개구부(28)를 형성하고 있다. 이 개구부(28)에는, 그 개구부(28)를 폐색하는 커버 부재(29)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29)를 벗겨내어 개구부(28)로부터 물이나 모래 등을 식물 재배 용 기(14)의 내부 공간에 주입하여 커버 부재(29)를 장착함으로써 식물 재배 용기(14)를 추로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옥상 등에 설치한 경우라도, 바람 등에 의한 식물 재배 용기(14)의 이동이나 전도(轉倒)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식물 재배 용기(14)를 운반할 때는, 커버 부재(29)를 벗겨내어 개구부(28)로부터 주입한 물이나 모래 등을 제거함으로써,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물 재배 용기(14)에 부력을 부여할 수 있는 플로팅부(13)(공기를 폐입한 공간)를 설치하고, 식물 재배 용기(14)가, 연못이나 강, 호수 등의 수면(15)에 부양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식물 재배 용기(14)가 가지는 부력은, 그 받이부(3)에 재배 바닥재(5)를 수용한 상태에서, 받이부(3)의 저부(3a)가, 수면(15)보다 저위치에 있도록 조정되어 있고, 그 부력을 조정함으로써, 받이부(3) 내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식물 재배 용기(14)는, 받이부(3) 및 플로팅부(13)를 가진 일체 성형품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로팅부(13)는, 받이부(3)의 저부(3a)가 연못이나 강, 호수 등의 수면(15)보다 저위치로 되도록 식물 재배 용기(14)를 부양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중공형의 식물 재배 용기(14)의 내부 공간에 공기를 충전하여 커버 부재(29)에 의해 개구부(28)를 폐색함으로써, 식물 재배 용기(14)에 플로팅부(13)를 형성하고 있다.
식물 재배 용기(14)는, 받이부(3)를 구비한 중앙 측 부분을 밑바닥으로 하여 하부 측이 개방된 요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식물 재배 용기(14)의 용기 본체의 둘 레부를 받이부(3)의 저부(3a)보다 저위치로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받이부(3)의 주위부에 플로팅부(13)를 형성함으로써, 받이부(3)의 저부(3a)보다 저위치까지 플로팅부(13)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플로팅부(13)에 의해 얻어지는 부력을 보다 크게 할 수 있어, 받이부(3)의 저부(3a)가 연못이나 강, 호수 등의 수면(15)보다 지나치게 저위치로 되어, 식물 P로의 물의 공급량이 과잉으로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같이 하여, 식물 재배 유닛(1)을 연못이나 강, 호수 등에 띄워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식물 재배 용기(14)에는, 인접하는 식물 재배 용기(14)를 서로 접속할 수 있도록 연결부(11)가 설치되어 있고, 연결부(11)는 구멍(11a)을 가진다. 접속할 때는, 인접하는 식물 재배 용기(14)의 서로의 연결부(11)끼리를 중첩하여, 구멍(11a)의 위치를 맞추어, 서로 중첩된 2개의 구멍(11a)을 관통할 수 있는 적당한 연결 부재(12)(볼트 등)를 내측으로 끼워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1)는, 커버부(4)에 구비되어 있고,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식물 재배 용기(14)의 4변의 각각에 있어서 그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11)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부에 설치한 연결부(11)와 타측부에 설치한 연결부(11)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각각 배치하여, 가로 방향(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는 식물 재배 용기(14)의 연결부(11)끼리 상하로 중첩된 상태에서 식물 재배 용기(14)끼리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가로 방향(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는 식물 재배 용기(14)를 연결할 때는, 가로 방향(수평 방향)의 한쪽(도 6 중 위쪽)에서는 인접하는 식물 재배 용기(14)의 연결 부(11)보다 위쪽으로 되도록 연결부(11)끼리를 중첩시키고, 또한 가로 방향(수평 방향)의 다른 쪽(도 6 중 아래쪽)에서는 인접하는 식물 재배 용기(14)의 연결부(11)보다 아래쪽으로 되도록 연결부(11)끼리를 중첩시켜, 식물 재배 용기(14)끼리를 연결함으로써,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각 식물 재배 용기(14)의 위치를 맞추도록 하고 있다.
또한, 연결부(11)는, 식물 재배 용기(14)의 외측부에 있어서 내측으로 오목 한 부분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로 방향(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는 식물 재배 용기(14)를 연결할 때는, 연결부(11)끼리를 중첩시킴으로써 식물 재배 용기(14)의 용기 본체끼리가 접촉하는 상태로 연결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식물 재배 용기(14)의 각각에 구비한 플로팅부(13)의 부력을 협동하여 얻을 수 있고, 복수개의 식물 재배 용기(14)를 일체적으로 부양시킬 수 있다. 또한, 식물 재배 용기(14)의 용기 본체에 있어서, 일측부에 구비하는 연결부(11)의 상면 또는 하면이, 타측부에 구비하는 연결부(11)의 하면 또는 상면과 대략 동일 높이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각 식물 재배 용기(14)의 위치를 맞추면서, 식물 재배 용기(14)의 용기 본체끼리 접촉하는 상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7~도 9는, 제2 실시예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예의 식물 재배 용기(14)에 있어서는, 받이부(3)의 폭을 보다 큰 것으로 하여, 그 저부(3a)에 복수개(도 7에 있어서는 3개소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의 관통구(7)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상기 도 4에 있 어서는, 식물 재배 용기(14)에 있어서, 1개의 받이부(3)에 대하여, 1개의 관통구(7)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 화살표선 C로 나타낸 제2 실시예의 식물 재배 유닛(1)(저수 트레이(2)와 식물 재배 용기(14)가 끼워맞추어진 상태)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수 트레이(2)에는, 트레이 밑바닥부(2a)가 형성되어 있어, 필요 최소한의 저수 공간(8)을 설치함으로써, 사용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식물 재배 용기(14)의 개구부(28)에는, 그 개구부(28)를 폐색하는 커버 부재(29)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실시예의 다른 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저수 트레이(2)에 제1 결합부(26)를 설치하고, 또한 식물 재배 용기(14)에 제2 결합부(27)를 형성하고 있지만, 도 4~도 6에 나타낸 것과는 설치 위치 및 형상을 변경하고 있다. 즉,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결합부(26)는, 저수 트레이(2)의 상면부 중, 수평 방향의 양 단부 및 중앙부를 위쪽으로 돌출된 철부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2 결합부(27)는, 식물 재배 용기(14)의 저부 중, 수평 방향의 양단 부분 및 중앙부를 밑바닥으로 한 요부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철형의 제1 결합부(26)와 요형의 제2 결합부(27)가 끼워맞추어지도록, 식물 재배 용기(14)를 저수 트레이(2) 상에 탑재함으로써, 식물 재배 용기(14)를 저수 트레이(2)에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식물 재배 용기(14)를 연못이나 강, 호수 등 의 수면(15)에 부양시키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플로팅부(13)는, 받이부(3)의 저부(3a)가 연못 등의 수면(15)보다 저위치로 되도록 식물 재배 용기(14)를 부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식물 재배 용기(14)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로 방향(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는 식물 재배 용기(14)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11)를 설치하고 있다.
도 10은, 도 7~도 9에 나타낸 식물 재배 유닛(1)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수 트레이(2)의 용수구(涌水口)(10a)를, 식물 재배 용기(14)를 저수 트레이(2)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받이부(3)의 저부(3a)에 형성한 관통구(7)와 가로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상기 도 7 및 도 8에 있어서는, 저수 트레이(2)의 용수구(10a)를, 식물 재배 용기(14)를 저수 트레이(2)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받이부(3)의 저부(3a)에 형성한 관통구(7)와 가로 방향으로 같은 위치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용수구(10a)와 관통구(7)를 가로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로 함으로써, 식물 P의 뿌리가 관통구(7)를 통과해도 용수구(10a)를 통해 저수 공간(8)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따라서, 저수 공간(8)에 있어서 식물 P의 뿌리가 저항으로 되어 저류수(9)의 흐름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1 (A),(B)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식물 재배 유닛(1)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물 재배 유닛(1)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식물에 관수하는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 트레이(2), 식물을 재배 가능한 재배 바닥재를 수용할 수 있는 복수개의 원형 받이부(3), 및 저수 트레이(2)의 위쪽을 덮는 커버부(4)로 구성되어 있다.
저수 트레이(2)에는, 인접하는 저수 트레이(2)를 서로 연통 접속할 수 있는 접속 노즐(6)(접속부)이 2개소 설치되어 있고, 접속 노즐(6)은 또한, 물이 흐르는 방향에 따라서, 유입용 접속 노즐(6a)(유입용 접속부)과 유출용 접속 노즐(6b)(유출용 접속부)로 구별된다.
또한, 저수 트레이(2)에는, 장착부(17)(장착 철부(17a) 및 장착 요부(17b))가 형성되어 있고, 장착 철부(17a)는, 벽면(18)에 미리 장착되어 있는 본체 장착 금속 부재(19)에 걸어둘 수 있고, 또한 장착 요부(17b)는, 동일하게 벽면(18)에 미리 장착되어 있는 보호 커버 장착 금속 부재(20)에 걸어둘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3 실시예에서의 식물 재배 유닛(1)은, 도 11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 철부(17a)와 장착 요부(17b)를 각각, 본체 장착 금속 부재(19)와 보호 커버 장착 금속 부재(20)에 걸어둠으로써, 벽면(18)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 장착 금속 부재(19)와 장착 철부(17a)에는, 볼트가 관통할 수 있는 볼트 구멍(2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볼트 구멍(23)을 맞추어, 본체 장착 금속 부재(19)에 장착 철부(17a)를 장착하고, 볼트 구멍(23)에 적당한 길이의 볼트를 통하여, 본체 장착 금속 부재(19)의 반대측으로부터 너트 등을 장착시켜 고정하면, 식물 재배 유닛(1)을 벽면(18)에 의해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보호 커버 장착 금속 부재(20)에는, 보호 커버 부재(21)(보호 커버 부 재를 구성하는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FRP(강화 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음)가 경첩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하로 요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보호 커버 부재(21)에는, 복수개의 개구부(21a)와 걸림부(21b)가 설치되어 있다.
도 11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식물 재배 유닛(1)에 있어서는, 그 장착부(17)를 본체 장착 금속 부재(19)와 보호 커버 장착 금속 부재(20)에 건 후, 식물 재배 유닛(1)을 덮도록 보호 커버 부재(21)를 위쪽으로 들어 올려, 보호 커버 부재의 걸림부(21b)를 식물 재배 유닛(1)의 상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피걸림부(22))에 당겨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도 11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 커버 부재(21)에 있어서의 개구부(21a)의 위치와 크기는, 식물 재배 유닛(1)의 받이부(3)를 막지 않도록, 받이부(3)의 위치와 크기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2는, 제3 실시예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이 다른 예의 식물 재배 유닛(1)에 있어서는, 받이부(3)의 폭을 보다 큰 것으로 하여, 그 저부(3a)에 복수개(도 12에 있어서는 3개소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의 관통구(7)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상기 도 11에 있어서는, 식물 재배 유닛(1)에 있어서, 1개의 받이부(3)에 대하여, 1개의 관통구(7)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 외의 실시예〕
1.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식물 재배 유닛의 형상(원형, 사각형, 육각형 등), 또는 식물 재배 유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받이부의 형상이나 개수에 대하여는, 특히 제한은 없고, 필요에 따라 임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2.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속 호스를 통하여 복수개의 식물 재배 유닛을 연통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속 노즐끼리 직접 연통 접속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3. 본 발명의 식물 재배 유닛에 설치되는 접속 노즐(접속부)의 설치 위치나 그 수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오버플로에 의해 적절한 급수·배수 가능한 구성이면, 그 설치 위치나 수에 대하여는 임의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식물 재배 유닛의 형상이 사각형이며, 각변의 중앙부에 합계 4개소의 접속 노즐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 접속 노즐을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2개소 밖에 설치하지 않은 식물 재배 유닛에 비하여, 그 식물 재배 유닛을 복수개 접속했을 때 형성되는 전체 형상의 변화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건물의 부지나 옥상의 넓이 또는 그 형상에 맞추어 본 발명의 식물 재배 유닛을 설치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접속하지 않은(사용하지 않은) 접속 노즐에 대하여는, 적당히, 적당한 마개를 설치하는 등하여 물이 흐르지 않게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식물 재배 유닛 및 식물 재배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식물의 뿌리부를 수용할 수 있는 받이부를 그 내부에 배치할 수 있고, 또한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 트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저수 트레이 내의 저수 공간과 상기 받이부가 급수부에 의해 연통되어 있고, 상기 저수 공간에 저수된 물이, 상기 급수부를 통하 여 상기 식물에 공급될 수 있는 각종의 식물 재배 유닛, 및 식물의 뿌리부를 수용할 수 있는 받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받이부에 연통되는 급수부를 설치하여, 그 급수부를 통하여 상기 식물에 급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각종의 식물 재배 용기에 적응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5)
- 식물의 뿌리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받이부를 그 내부에 배치할 수 있고, 또한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 트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저수 트레이 내의 저수 공간과 상기 받이부가 적어도 1개의 급수부에 의해 연통되어 있고, 상기 저수 공간에 저수된 물이, 상기 급수부를 통하여 상기 식물에 공급될 수 있는 식물 재배 유닛으로서,상기 저수 트레이에는, 인접하는 상기 저수 트레이를 서로 연통 접속할 수 있는 접속부가 설치되고,상기 접속부는, 적어도 1개의 유입용 접속부와 적어도 1개의 유출용 접속부로 구성되어 있으며,상기 물은, 상기 유입용 접속부로부터 상기 저수 공간에 유입되고, 상기 저수 공간에 소정량의 물이 차면, 오버플로에 의해 상기 유출용 접속부로부터 유출될 수 있는, 식물 재배 유닛.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받이부는 오목형상이며, 상기 받이부의 저부에는, 상기 급수부로서 기능할 수 있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저부는, 상기 저수 공간에 물이 저수되었을 때 위치하는 최대 수위보다 저위치에 있는, 식물 재배 유닛.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받이부가, 상기 저수 트레이에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받이부끼리의 사이에 트레이 밑바닥부를 형성한, 식물 재배 유닛.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저수 트레이의 위쪽을 덮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유닛.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받이부와 상기 커버부가 일체 성형체로서, 상기 일체 성형체와 상기 저수 트레이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식물 재배 유닛.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일체 성형체는, 수면에 부양할 수 있는 플로팅부(floating portion)를 구비하고 있는, 식물 재배 유닛.
- 제6항에 있어서,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된 것인, 식물 재배 유닛.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상기 플로팅부는, 중공형(中空形)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로팅부의 내 부 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폐색하는 커버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식물 재배 유닛.
-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커버부를 복수개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인접하는 것끼리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를 상기 커버부에 구비하고 있으며, 일측부에 설치한 적어도 1개의 상기 연결부와 타측부에 설치한 적어도 1개의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각각 배치하여, 가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커버부의 상기 연결부끼리 상하로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끼리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식물 재배 유닛.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벽에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유닛.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식물 재배 유닛의 외표면을 덮는 보호 커버 부재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유닛.
- 식물의 뿌리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받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받이부에 연통되는 적어도 1개의 급수부를 설치하여, 상기 급수부를 통하여 상기 식 물에 급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식물 재배 용기로서,상기 급수부로서 기능할 수 있는 관통구를 상기 받이부의 저부에 형성하는 동시에, 수면에 부양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플로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로팅부에 의해 수면에 부양시킨 상태로 상기 받이부의 저부가 수면보다 저위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식물 재배 용기.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식물 재배 용기의 용기 본체의 둘레부가 상기 받이부의 저부보다 저위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식물 재배 용기.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상기 플로팅부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로팅부의 내부 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폐색하는 커버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식물 재배 용기.
-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식물 재배 용기의 용기 본체를 복수개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인접하는 것끼리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를 상기 용기 본체에 구비하고 있으며, 일측부에 설치한 적어도 1개의 상기 연결부와 타측부에 설치한 적어도 1개의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각각 배치하여, 가로 방향 으로 인접하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연결부끼리 상하로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끼리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식물 재배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5345984 | 2005-11-30 | ||
JPJP-P-2005-00345984 | 2005-11-30 | ||
PCT/JP2006/323640 WO2007063815A1 (ja) | 2005-11-30 | 2006-11-28 | 植物栽培ユニット及び植物栽培容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3280A true KR20080083280A (ko) | 2008-09-17 |
KR101342475B1 KR101342475B1 (ko) | 2013-12-17 |
Family
ID=38092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14348A KR101342475B1 (ko) | 2005-11-30 | 2008-06-13 | 식물 재배 유닛 및 식물 재배 용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8555547B2 (ko) |
EP (2) | EP2845464A3 (ko) |
JP (1) | JPWO2007063815A1 (ko) |
KR (1) | KR101342475B1 (ko) |
CN (1) | CN1973606B (ko) |
TW (2) | TW200735767A (ko) |
WO (1) | WO2007063815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7391B1 (ko) * | 2009-07-13 | 2010-01-18 | 박태용 | 수로를 갖는 연결파이프로 연결된 수평배열 화분 세트 |
KR101394379B1 (ko) * | 2012-12-03 | 2014-05-13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양액재배용 식물재배기 |
KR101418842B1 (ko) * | 2009-11-30 | 2014-07-11 |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 식재 용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917572B1 (fr) * | 2007-06-19 | 2009-10-02 | M Plastic Sarl Ab | Dispositif a reservoir de liquide pour la culture d'une surface |
JP5259330B2 (ja) * | 2008-10-10 | 2013-08-07 | 清嶋 育代 | 育苗箱ホルダー |
US20120137580A1 (en) * | 2009-07-09 | 2012-06-07 | Dekker Chrysanten B.V. | System, watering device and method for developing roots on plant cuttings |
JP2010101156A (ja) * | 2009-07-21 | 2010-05-06 | Ogasawara Sekkei:Kk | 複層建築物に敷設する立体庭園 |
US9113606B2 (en) * | 2009-09-09 | 2015-08-25 | Guy M. Gardner | Growing system for hydroponics and/or aeroponics |
GB2475101B (en) * | 2009-11-09 | 2014-01-08 | Mark Laurence | Wall for growing plants |
MY148324A (en) * | 2009-11-18 | 2013-03-29 | Khoo Khay Chong | A floatable plant growth system and a floatation tray for use with the system |
JP5679254B2 (ja) | 2009-11-30 | 2015-03-04 |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植栽装置、および給水制御方法 |
US8281517B2 (en) * | 2010-02-05 | 2012-10-09 | Hortech, Inc. | Wall planting system |
JP2012010671A (ja) * | 2010-07-05 | 2012-01-19 | Masaki Envec:Kk | 緑化用パネル及び屋上緑化構造 |
KR101260740B1 (ko) | 2010-12-07 | 2013-05-06 | 이코이드 코퍼레이션 | 조경용 식생모듈 |
US8429852B1 (en) | 2011-10-19 | 2013-04-30 | Joseph F. Fula | Foldable planter |
US8950110B2 (en) | 2011-10-19 | 2015-02-10 | Joseph F Fula | Foldable planter or holder |
WO2013107013A1 (zh) * | 2012-01-19 | 2013-07-25 | 绿色环保(控股)有限公司 | 一种组装框架及采用该组装框架的绿化墙 |
EP2842414A4 (en) * | 2012-04-24 | 2015-12-16 | Suntory Holdings Ltd | PLANTING DEVICE |
CN102771373A (zh) * | 2012-07-27 | 2012-11-14 | 胡清华 | 一种种植箱 |
US9351448B2 (en) | 2012-09-25 | 2016-05-31 | Hortech, Inc. | Wall planting system |
JP5968197B2 (ja) * | 2012-11-08 | 2016-08-10 |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植栽容器 |
JP6138461B2 (ja) * | 2012-11-19 | 2017-05-31 |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植栽装置 |
CN103120115A (zh) * | 2013-02-05 | 2013-05-29 | 上海交通大学 | 小根域基质无土栽培装置 |
US9591815B2 (en) * | 2013-07-01 | 2017-03-14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Plant cultivation device, box, end section unit |
US9578818B2 (en) * | 2013-08-09 | 2017-02-28 | Wesley Hooper | Modular reservoir wick |
KR102226531B1 (ko) * | 2013-08-14 | 2021-03-11 | 유겐가이샤 쟈판 츠쇼 | 수경 재배 시스템 및 수경 재배 시스템과 스티렌 폼으로 생산된 온실이 구비된 식물 공장 |
KR101483906B1 (ko) * | 2014-04-28 | 2015-01-16 | 영 성 왕 | 식물재배관리기에서 식용식물의 수확기간을 확장하여 수확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US9648811B2 (en) * | 2014-08-28 | 2017-05-16 | Venkatesh H Narasipur | Sequential and cyclic aeroponic system |
JP6553862B2 (ja) * | 2014-11-17 | 2019-07-31 | 守信 新野 | 縦型サイフォン式水耕栽培装置 |
US11129344B2 (en) * | 2015-01-01 | 2021-09-28 | Aravinda Raama Mawendra | Central processing horticulture |
US20160235024A1 (en) * | 2015-02-13 | 2016-08-18 | Xiamen Superpro Technology Co., Ltd. | Flexible hydroponics growing model and system |
US10219453B2 (en) * | 2015-04-01 | 2019-03-05 | Timothy M Funk | Plant watering system |
US10458644B2 (en) * | 2015-08-27 | 2019-10-29 | AMCS Consulting, LLC | Floating grid arrangement to support and position decorative elements |
USD769678S1 (en) * | 2016-03-03 | 2016-10-25 | John Jussen | Table caddy |
JP2017216887A (ja) * | 2016-06-03 | 2017-12-14 | みのる産業株式会社 | 植栽用フロート |
USD819485S1 (en) * | 2016-07-13 | 2018-06-05 | Thomas Luke Hohmann | Automated planter apparatus |
CN106358806B (zh) * | 2016-08-29 | 2019-06-18 | 山东国舜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生态工厂立体全面绿化系统 |
ES2607127B2 (es) * | 2016-12-20 | 2017-11-20 | Horticultura Hidropónica S.L. | Sistema y procedimiento de riego para cultivos hidropónicos |
CN106688672A (zh) * | 2017-01-19 | 2017-05-24 | 巴士利(杭州)实业有限公司 | 一种种植装置 |
CN106913134B (zh) * | 2017-03-27 | 2018-04-24 | 周水燕 | 一种用于家用植物保护装置 |
WO2019003201A2 (en) | 2017-06-30 | 2019-01-03 | Pipp Mobile Storage Systems, Inc. | CULTURE GRID SYSTEM INCLUDING INTEGRATED VENT TRAYS |
US20190054759A1 (en) * | 2017-08-15 | 2019-02-21 | Shou-Te Chen | Water tray assembly with storage functions |
CN107580902A (zh) * | 2017-08-18 | 2018-01-16 | 金寨县紫金水果种植专业合作社 | 一种植物营养栽培床 |
US11997963B1 (en) | 2017-11-14 | 2024-06-04 | Pipp Mobile Storage Systems, Inc. | Trays for plant cultivation |
US11116148B1 (en) | 2017-11-14 | 2021-09-14 | Pipp Mobile Storage Systems, Inc. | Trays for plant cultivation |
CN108112386A (zh) * | 2017-11-29 | 2018-06-05 | 四川康嘉农业发展有限公司 | 自动加水花盆系统 |
US11490572B2 (en) | 2017-11-30 | 2022-11-08 | Chris Walker | Modular floating structure |
CN112020301B (zh) * | 2018-02-07 | 2021-09-10 | 青川投资控股公司 | 立式水耕栽培系统及立式水耕栽培方法 |
US11246268B2 (en) * | 2018-07-27 | 2022-02-15 | Michael L. Spencer | Potted plant tray |
US10588276B2 (en) | 2018-08-07 | 2020-03-17 | Flow-Rite Controls, Ltd. | Hydroponic nutrient aeration and flow control device and system |
CN108651172A (zh) * | 2018-08-17 | 2018-10-16 | 苏州仁益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食用菌培养装置 |
DE102018132626B4 (de) * | 2018-12-18 | 2022-03-17 | Sebastian Haimerl | Verwurzelungssubstrat für hydroponische, aquaponische und aeroponische pflanzsysteme |
USD988823S1 (en) * | 2019-01-09 | 2023-06-13 | Lg Electronics Inc. | Shelf for indoor plant cultivator |
AU2020283151A1 (en) * | 2019-05-31 | 2022-01-06 | Greenwall Ventures, Llc | Vertical growing system |
USD985301S1 (en) * | 2020-01-23 | 2023-05-09 | Lg Electronics Inc. | Shelf for indoor plant cultivators |
US11197432B1 (en) * | 2020-08-04 | 2021-12-14 | Integrated Hydro Solutions LLC | Ducting assembly for de-stratification and consolidating excess water and nutrients |
CN112314259A (zh) * | 2020-11-07 | 2021-02-05 | 王永刚 | 一种市政园林幼苗生态养护装置 |
SE2051438A1 (en) * | 2020-12-09 | 2022-06-10 | Groenska Stadsodling 365 Ab | Arrangement and method for the cultivation of crops |
NL2028371B1 (en) | 2021-06-02 | 2022-12-15 | Hans Veldman Beheer B V | System for growing plants |
CN113273404B (zh) * | 2021-06-07 | 2022-07-29 | 绿艺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河道水植定位固形用栽培架 |
ES1279687Y (es) * | 2021-09-15 | 2022-01-17 | Balbuena Francisco Javier Arriba | Bandeja para riego por inmersion de un cultivo agricola, einstalacion de riego por inmersion para invernadero o cabina decultivo que comprende dicha bandeja |
US11925154B1 (en) * | 2022-10-11 | 2024-03-12 | CGIP, Inc. | System for plant cultivation |
Family Cites Families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531562A (en) * | 1948-09-27 | 1950-11-28 | Philip H Eve | Floating support for growing plants |
JPS51129735A (en) * | 1975-04-30 | 1976-11-11 | Mitsubishi Petrochemical Co | Hydroponics by using foamed rough plate |
US4133141A (en) * | 1977-12-16 | 1979-01-09 | Lee Choong W | Apparatus and method for growing plants |
US4468885A (en) * | 1981-09-08 | 1984-09-04 | Mandish Theodore O | Hydroponic system with floating plant trays and precast concrete sidewalls |
US5022183A (en) * | 1989-07-31 | 1991-06-11 | Kord Products Limited | Flower pot carrying tray with restraining means for plural pots |
JPH0593325U (ja) * | 1992-05-26 | 1993-12-21 | 株式会社エム式水耕研究所 | 植物容器 |
JPH07115861A (ja) * | 1993-10-22 | 1995-05-09 | Hokushiyou:Kk | プランター |
FR2715269A1 (fr) * | 1994-01-21 | 1995-07-28 | Marque Henri | Système de culture à réserve d'eau. |
JPH0889088A (ja) * | 1994-09-26 | 1996-04-09 | Kazushirou Hayashi | 装飾用カバー付き植木鉢 |
CN2230076Y (zh) | 1995-01-24 | 1996-07-03 | 刘玉建 | 悬挂容器 |
SE9501686L (sv) * | 1995-05-08 | 1996-11-09 | Perstorp Ab | Flytande odlingsbricka |
JPH09131137A (ja) * | 1995-11-09 | 1997-05-20 | Sakata No Tane:Kk | プランター |
JP3032651U (ja) * | 1996-06-20 | 1996-12-24 | 恵庸 豊村 | 植木鉢及びその植木鉢を利用するプランター |
JPH10113081A (ja) | 1996-10-09 | 1998-05-06 | Tadashi Mori | 植物栽培装置及び植木棚 |
JP3037905B2 (ja) * | 1996-12-13 | 2000-05-08 | 恵庸 豊村 | 植木鉢を利用するプランター |
JPH10327690A (ja) * | 1997-05-26 | 1998-12-15 | Kuratomi Zouen Exterior:Kk | 植木鉢給水皿 |
CN2324772Y (zh) | 1998-03-10 | 1999-06-23 | 李清泽 | 组合花盆 |
US6014838A (en) * | 1998-04-17 | 2000-01-18 | Asher; Connie Maureen | Floatable unit for decorative vegetation |
GB2350595B (en) * | 1999-06-01 | 2005-01-12 | Richard Hooper | Floating planter |
JP3784586B2 (ja) * | 1999-08-27 | 2006-06-14 | 恵庸 豊村 | 木を植えるプランター |
JP2002101755A (ja) * | 2000-09-27 | 2002-04-09 | Narita Kinzoku Sangyo Kk | ガーデニングタイル用トレイおよびガーデニング芝生タイル |
GB0026669D0 (en) * | 2000-11-01 | 2000-12-13 | Univ Strathclyde | Watering system |
JP2002247920A (ja) | 2001-02-26 | 2002-09-03 | Tokai Kasei Corp | 鉢物収容ケース及び鉢物収容トレー |
JP2004242501A (ja) * | 2001-09-28 | 2004-09-02 | Suntry Flowers Ltd | 植物栽培方法及び植物栽培具及び植栽容器 |
JP3809466B2 (ja) * | 2001-10-02 | 2006-08-16 | 勉 岩井 | 植物繁茂ユニットと植物繁茂方法 |
US20030070357A1 (en) * | 2001-10-15 | 2003-04-17 | Huang Shih Ming | Floatable planting apparatus |
JP2004000052A (ja) * | 2002-05-31 | 2004-01-08 | Molten Corp | 植生フロート装置 |
JP2005102508A (ja) * | 2003-01-17 | 2005-04-21 | Yuichi Mori | 植物栽培用器具および植物栽培方法 |
FR2851419B1 (fr) * | 2003-02-25 | 2005-04-01 | Prm | Dispositif a reserve d'eau pour la culture de surface engazonnee |
JP3813934B2 (ja) * | 2003-02-26 | 2006-08-23 | 共同カイテック株式会社 | 緑化体 |
JP2004275003A (ja) | 2003-03-12 | 2004-10-07 | Free Kogyo Kk | 緑化ボックス |
JP2004337073A (ja) * | 2003-05-15 | 2004-12-02 | Matsushita Facility Management Co Ltd | 連結式プランター |
US7069691B2 (en) * | 2004-05-27 | 2006-07-04 | Lawrence L. Brooke | Hydroponics plant cultivation assembly for diverse sizes of pots and plants |
US20080120903A1 (en) * | 2006-11-27 | 2008-05-29 | Wvp Acquisition Corporation | Floatable growth tray |
-
2006
- 2006-11-28 EP EP20140182847 patent/EP2845464A3/en not_active Withdrawn
- 2006-11-28 TW TW095144040A patent/TW200735767A/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11-28 US US12/095,106 patent/US855554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11-28 EP EP06833444.0A patent/EP1955586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6-11-28 JP JP2007547931A patent/JPWO2007063815A1/ja active Pending
- 2006-11-28 TW TW097138724A patent/TW200917955A/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11-28 WO PCT/JP2006/323640 patent/WO200706381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6-11-30 CN CN2006101611205A patent/CN1973606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
- 2008-06-13 KR KR1020087014348A patent/KR101342475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7391B1 (ko) * | 2009-07-13 | 2010-01-18 | 박태용 | 수로를 갖는 연결파이프로 연결된 수평배열 화분 세트 |
KR101418842B1 (ko) * | 2009-11-30 | 2014-07-11 |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 식재 용기 |
KR101394379B1 (ko) * | 2012-12-03 | 2014-05-13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양액재배용 식물재배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8555547B2 (en) | 2013-10-15 |
CN1973606A (zh) | 2007-06-06 |
TW200735767A (en) | 2007-10-01 |
TW200917955A (en) | 2009-05-01 |
EP1955586A1 (en) | 2008-08-13 |
JPWO2007063815A1 (ja) | 2009-05-07 |
CN1973606B (zh) | 2013-08-07 |
TWI321034B (ko) | 2010-03-01 |
WO2007063815A1 (ja) | 2007-06-07 |
KR101342475B1 (ko) | 2013-12-17 |
EP2845464A3 (en) | 2015-04-29 |
EP1955586A4 (en) | 2014-01-15 |
TWI321035B (ko) | 2010-03-01 |
EP2845464A2 (en) | 2015-03-11 |
US20090260282A1 (en) | 2009-10-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2475B1 (ko) | 식물 재배 유닛 및 식물 재배 용기 | |
JP4886659B2 (ja) | 雨水集水装置及びその雨水集水装置を備える植物栽培システム | |
US20070079553A1 (en) | Multipurpose planting base | |
CN208905310U (zh) | 一种活动房装配式绿化装置 | |
JPH1175568A (ja) | 植栽マット及びその敷設方法 | |
JP4657359B2 (ja) | 緑化システムおよび緑化用トレー | |
JP2000201538A (ja) | 植物栽培ユニット及び植物栽培ユニット群 | |
KR100840966B1 (ko) | 식생매트를 설치하기 위한 받침대 | |
KR100504938B1 (ko) | 양액 재활용 시스템 및 양액재배용기의 구조 | |
KR200313394Y1 (ko) | 조경용 인공 식생섬 | |
JP4535471B2 (ja) | 給水システム | |
JPH04135426A (ja) | 栽培鉢に対するかん水を行うためのプランター | |
KR200475509Y1 (ko) | 식재용 상자 조립체 | |
KR100475665B1 (ko) | 조경용 인공 식생섬 | |
JP4785162B2 (ja) | 緑化設備 | |
JP2002291342A (ja) | 植栽設備 | |
CN217826093U (zh) | 一种可自维持的植生流水景墙 | |
KR102281032B1 (ko) |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 | |
KR200329325Y1 (ko) | 양액 재활용 시스템 | |
KR101817758B1 (ko) | 빗물 저장형 화분 | |
JPH11318243A (ja) | 潅水用植栽マット | |
JP2006014681A (ja) | 緑化基盤構造及び緑化基盤システム | |
JP2022105868A (ja) | 植物の栽培装置 | |
JP2010239976A (ja) | 緑化基盤構造及び緑化基盤システム | |
KR101724285B1 (ko) | 관수가 용이한 식물재배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