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2834A - Device to focus automatically in optical lens for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Device to focus automatically in optical lens for mobile 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82834A KR20080082834A KR1020070023647A KR20070023647A KR20080082834A KR 20080082834 A KR20080082834 A KR 20080082834A KR 1020070023647 A KR1020070023647 A KR 1020070023647A KR 20070023647 A KR20070023647 A KR 20070023647A KR 20080082834 A KR20080082834 A KR 200800828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rel
- pair
- base
- guide pin
- magnet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7052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atom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SZVJSHCCFOBDDC-UHFFFAOYSA-N iron(II,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Fe]=O SZVJSHCCFOBDD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장치가 보통촬영모드일 경우, 도 2의 III-III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2 when the auto focu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normal photographing mode.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장치가 근접촬영모드일 경우, 도 2의 III-III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when the auto focu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close-up photographing mode.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장치가 보통촬영모드일 경우, 도 5의 VII-VII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5 when the auto focu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normal photographing mode.
도 7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장치가 근접촬영모드일 경우, 도 5의 VII-VII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5 when the auto focu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close-up photographing mode.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장치가 보통촬영모드일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normal shooting mode;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장치가 근접촬영모드일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auto focu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proximity photographing mod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베이스 11...제 1 돌출홈10
12...제 2 돌출홈 20...보빈12 ...
21...코일 30...경통21.
31...원통부 32...제 1 돌출편31.
33...제 2 돌출편 40...가이드핀33.2
50...자석 60...커버50
61...관통구멍 70...커넥터61 ... through
280...자성체280 ... magnetic substance
본 발명은 카메라의 자동초점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히 전자석을 이용한 구동방식을 바탕으로한 휴대폰용 카메라의 자동초점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ocus control apparatus for a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focus control apparatus for a camera for a mobile phone based on a driving method using an electromagnet.
일반적으로 카메라는 다수개의 렌즈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렌즈를 이동시켜 그 상대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광학적인 촛점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최근 카메라가 적용된 휴대폰이 등장하여 휴대전화에 의해 정지화상 및 동영상의 촬영이 가능해지게 되었고 고해상도 및 고화질의 촬영을 위하여 카메라의 성능이 점차 개선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를 위해 자동초점 조절장치, 접사장치 및 광학 줌 장치등을 구비한 카메라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나 종래의 방식으로 제작된 카메라는 소형의 휴대전화에 탑재하는 데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카메라에 사용되는 자동초점조절용 액튜에이터로서는 모터의 회전운동을 통해 렌즈의 직선운동을 유도시키는 기계식 액튜에이터가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기계식 액츄에이터는 모터와 기어의 장착공간 때문에 카메라의 소형화를 이룰수 없었다. In general, a camera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nses, and is configured to adjust the optical focal length by moving each lens to change its relative distance. Recently, a mobile phone with a camera has been introduced to enable the capturing of still images and videos by the mobile phone, and the performance of the camera is gradually improved for high resolution and high quality shooting. To this end, the need for a camera having an automatic focusing device, a macro device, an optical zoom device, and the like has emerged, but a conventionally manufactured camera has a problem in mounting on a small mobile phone. In other words, as an auto focus actuator for a conventional camera, a mechanical actuator that induces a linear movement of a lens through a rotational movement of a motor has been widely used, but such a mechanical actuator could not achieve miniaturization of a camera due to a mounting space of a motor and a gear. .
이러한 기계식 액츄에이터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액츄에이터의 개발이 지속되어 왔으며, 이에 따라, 보이스코일(voice coil) 액츄에이터가 개발되었다.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는 영규자석에 의해 형성되는 정적인 자기장내에서 코일의 유도자기력이 생성하는 로렌츠 힘을 직선의 운동으로 변환함으로서, 렌즈의 직선운동을 유도하였다. The development of actuators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such mechanical actuators has been continued, and accordingly, voice coil actuators have been developed. The voice coil actuator induced the linear motion of the lens by converting the Lorentz force generated by the induction magnetic force of the coil into the linear motion in the static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magnetite magnet.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보이스 코일액츄에이터는 휴대폰에 장착될 경우,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소형의 휴대폰에 장착하기에는 곤란함으로 가지고 있었다. 또한, 근접촬영시 초점을 위한 경통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속적인 전력의 공급이 필요하였기 때문에, 전력소모량이 높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voice coil actuator has a large number of parts and a complicated structure when mounted on a mobile phone, making it difficult to mount on a small mobile phone. In addition, since the continuous power supply is required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barrel for focusing in close-up photography, the power consumption is high.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자동초점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자동초점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automatic focus control device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and can perform an autofocus fun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임의의 초점을 맞춘상태에서 전력소모없이 초점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자동초점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focus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maintaining a focus state without power consumption in an arbitrary focus stat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 내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왕복직선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경통; 상기 경통을 직선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핀; 상기 경통에 고정설치되며, N극 및 S극이 상하로 착자된 한쌍의 자석; 코일이 권취되며, 각각 상기 한쌍의 자석 하측에 간격을 갖는 상태로 상기 베이스에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보빈; 상기 경통을 포함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경통은 상기 코일에 전원을 인가함에 따라 상기 한쌍의 보빈에 N극 또는 S극의 동일한 자성이 발생되고, 상기 한쌍의 자석이 상기 한쌍의 보빈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경통이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경통이 상기 베이스에 대해 최장거리에 위치하는 근접촬영모드 또는 상기 경통이 상기 베이스에 대해 최단거리에 위치하는 보통촬영모드로 위치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fixed in the camera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arrel reciprocally coupled to the base to be movable; A pair of guide pins fixed to the base to guide the barrel in a straight direction; A pair of magnets fixed to the barrel and magnetized with the N pole and the S pole up and down; A pair of bobbins in which coils are wound and fixed to the base, respectively, having a gap below the pair of magnets; And a cover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to include the barrel, wherein the barrel has the same magnetism of the N pole or the S pole in the pair of bobbins as power is applied to the coil, and the pair The barrel moves as the magnet moves away from or close to the pair of bobbins, so that the barrel is in a close-up mode where the barrel is located at the longest distance to the base or a normal shot where the barrel is at the shortest distance to the base. And positioned in the mode.
또한, 상기 자석은 상기 보빈과 동축선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조절장치.In addition, the magnet is an automatic focus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coaxial line with the bobbin.
또한, 상기 자동초점조절장치는 상기 한쌍의 자석의 상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자성체를 더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automatic focusing device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air of magnetic bodies disposed above the pair of magnets.
또한, 상기 보통촬영모드에서 상기 경통의 위치는, 상기 한쌍의 자석과 한쌍의 보빈사이의 거리(h1)가 상기 한쌍의 자석과 상기 한쌍의 자성체사이의 거리(h2)보다 작은 곳에 위치설정되며, 상기 근접촬영모드에서 상기 경통의 위치는, 상기 한쌍의 자석과 한쌍의 보빈사이의 거리(h1)가 상기 한쌍의 자석과 상기 한쌍의 자 성체사이의 거리(h2)보다 큰 곳에 위치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normal shooting mode, the position of the barrel is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h1 between the pair of magnets and the pair of bobbins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h2 between the pair of magnets and the pair of magnetic bodies, In the close-up photography mode, the position of the barrel is preferably set where the distance h1 between the pair of magnets and the pair of bobbins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h2 between the pair of magnets and the pair of magnetic bodies. Do.
또한, 상기 자성체와 상기 보빈과 한쌍의 자석은 동일축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gnetic body, the bobbin and the pair of magnets are preferably arranged on the same axis.
또한, 상기 가이드핀은 상단에 상기 경통이 상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가이드핀의 일측이 삽입고정되는 제 1 돌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경통의 외주에는 상기 가이드핀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돌출편과, 상기 자석이 삽입고정되는 제 2 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돌출편과 상기 제 1 돌출편이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경우, 상기 경통이 상기 가이드핀을 따라 직선이동가능한 거리는 보통촬영모드일 경우에, 상기 가이드핀의 전체의 길이와 상기 이탈방지돌기의 두께를 뺀 값(L-t)에서 상기 제 1 돌출홈의 길이와 상기 제 1 돌출편의 길이의 합(L1+L2)을 뺀 값(L3)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guide pin is formed on the top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jections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barrel in the upward direction, the base is formed with a first protruding groove that is fixed to one side of the guide pin, On the outer circumference, a first protrusion piece for slidably supporting the guide pin and a second protrusion piece to which the magnet is inserted are formed, and when the second protrusion piece and the first protrusion piece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the barrel The distance that can be linearly moved along the guide pin is the length of the first protrusion groove and the first protrusion from the value Lt obtained by subtracting the entire length of the guide pin and the thickness of the release preventing protrusion in the normal shooting mode. It is preferable to represent the value L3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um L1 + L2 of the bias length.
또한, 상기 가이드핀은 상단에 상기 경통이 상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가이드핀의 일측이 삽입고정되는 제 1 돌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경통의 외주에는 상기 가이드핀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돌출편과, 상기 자석이 삽입고정되는 제 2 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돌출편이 상기 제 2 돌출편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될 경우, 상기 경통이 상기 가이드핀을 따라 직선이동가능한 최장거리는 상기 보통촬영모드에서, 상기 제 2 돌출편의 상면과 상기 커버의 상측하면 사이의 거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guide pin is formed on the top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jections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barrel in the upward direction, the base is formed with a first protruding groove that is fixed to one side of the guide pin, The barrel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projection piece to slidably support the guide pin, and the second projection piece to which the magnet is inserted, and the first projection piece is formed at a lower level than the second projection piece. The longest distance that can be linearly moved along the guide pin is preferably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rotruding pie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in the normal photographing mode.
또한, 상기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상기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 기 베이스에 고정설치되는 커넥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조절장치. In addition, the autofocus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to apply power to the coil, the connector is fixed to the base is formed.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장치(100)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the drawings, an automatic focusin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장치(100)는 베이스(10), 보빈(20), 경통(30), 가이드핀(40), 자석(50), 커버(60)를 포함한다. 1 to 4, the
베이스(10)는 카메라장치(미도시)의 소정위치에 고정설치되며, 대략 사각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10)는 소정직경을 가지도록 중앙부가 관통되며, 대각선으로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부근에 소정직경을 가지도록 한쌍의 제 1 돌출홈(11)이 형성된다. 이 경우, 베이스(10)는 상기 제 1돌출홈(11)과는 반대되는 모서리부근에 한쌍의 제 2 돌출홈(12)이 형성된다. 또한, 일측에는 한 쌍의 커넥터(70)를 지지하도록 커넥터지지부(13)가 형성된다. The
보빈(20)은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보빈(20)의 외주면에는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자성이 발생하도록 코일(21)이 권취된다. 이러한 보빈(20)은 제 2 돌출홈(1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한편, 커넥터지지부(13)에는 한쌍의 커넥터(70)가 결합되며, 상기 한쌍의 커넥터(70)는 각각 코일(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경통(30)은 가이드핀(40)에 의해 직선왕복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외부의 빛과 상(像)이 경통(30)의 렌즈(미도시)로 투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통 상적으로 내부에 렌즈(미도시)가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원통부(31)가 형성되며, 원통부(31)의 외주는 대각선으로 서로마주보는 위치에 한 쌍의 제 1 및 제 2 돌출편(32,33)이 형성된다. 한쌍의 제 1 돌출편(32)은 각각 한 쌍의 가이드핀(40)이 삽입되는 한쌍의 구멍(32a)이 형성되고, 한 쌍의 제 2 돌출편(33)은 자석(50)이 삽입가능하도록 한쌍의 홈(33a)이 형성된다. 이 경우, 제 1 돌출편(32)과 제 2돌출편(33)은 각각의 상측이 동일한 높이레벨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The
한쌍의 가이드핀(40)은 소정길이를 가지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경통(30)에 형성된 구멍(32a)에 삽입되어 경통(30)이 가이드핀(4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직선운동하도록 베이스(10)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배치된다. 가이드핀(40)의 하단은 베이스(10)의 한 쌍의 제 1 돌출홈(11)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단에는 경통(30)이 한쌍의 가이드핀(40)을 따라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돌기(4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경통(30)은 제 1 돌출홈(11)과 이탈방지돌기(40a)사이에서 직선이동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통(30)이 베이스(10)에 대해 최단거리에 위치할 경우를 보통촬영모드(도 3 참조)라 하고, 이때, 제 1 돌출홈(11)의 상면과 제 1돌출편(32)의 하면이 접하도록 위치한다. 또한, 경통(30)이 베이스에 대해 최장거리에 위치할 경우를 근접촬영모드(도 4참조)라 하며, 이때, 제 1 돌출편(32)의 상면이 가이드핀(40)의 이탈방지돌기(40a)에 접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2가지 모드에서의 경통(30)의 위치를 통해 경통(30)이 가이드핀(40)을 따라 직선이동가능한 거리(L3)를 구할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이, 보통촬영모드일 때, 가이드핀(40)전체의 길이(L)로부터 상기 가이드 핀(40)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40a)의 두께(t)를 뺀 값(L-t)에서 제 1 돌출홈(11)의 길이(L1)와 상기 제 1 돌출편(32)의 길이(L2)의 합(L1+L2)을 뺀 값(L3)이 된다. The pair of
한 쌍의 자석(50)은 각각 제 2 돌출편(33)에 형성된 한 쌍의 홈(33a)에 삽입되며, 이를 위해 원형판형상으로 형성되며, N극과 S극을 갖는 통상의 자석이 사용된다. The pair of
커버(60)는 외부의 빛과 상이 경통(30)의 렌즈(미도시)로 투사될 수 있도록 상측에 관통구멍(61)이 형성되며, 경통(30), 한쌍의 보빈(20), 한쌍의 가이드핀(40)을 모두 포함하도록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커버(60)는 베이스(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장치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3 and 4,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참고로, 도 3은 경통(30)이 관통구멍(61)에 멀어지도록 경통(30)이 베이스(10)에 대해서 최하단에 위치할 경우, 즉 보통촬영모드일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경통(30)이 관통구멍(61)에 가까워지도록 경통(30)이 베이스(10)에 대해서 최상단에 위치할 경우, 즉, 근접촬영모드일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For reference,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장치(100)는 사진촬영을 하기 위한 대상물체가 가까이에 있지 않고 일반적인 거리에 위치할 경우, 즉, 보통촬영모드에서 촬영을 실시할 경우, 코일(21)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며, 이 때, 보빈(20)이 철,코발트, 니켈과 같은 자성체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다 하더라도 보빈(20)에는 자석(50)을 끌어당기려는 인력이 작용하고, 이 에 따라, 제 1 돌출홈(11)의 상면이 제 1돌출편(32)의 하면과 접하여, 경통(30)이 베이스(10)와 이격거리는 최단거리인 상태에 있게 된다. 다시 말해, 경통(30)은 보통촬영모드위치에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3, the automatic focusing
이후, 근접촬영을 위하여, 자동초점조절장치(100)를 근접촬영모드로 변환할 경우, 커넥터(70)에 전기를 인가하면, 커넥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일(21)에 전원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빈(20)의 상측은 N극, 하측은 S극의 자성을 띄게 된다. 이 때, 경통에 상기 보빈(20)과 동일축선상에 설치된 자석(50)의 하측이 N극, 상측은 S극을 띄고 있기 때문에, 보빈(20)의 상측과 자석(50)의 하측이 동일한 자성 N극을 띄게 되어 상호 밀어내는 힘 즉, 반발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경통(30)이 한쌍의 가이드핀(40)을 따라 베이스(10)에 대해서 상향으로 이동되며, 경통(30)이 한쌍의 가이드핀(40)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40a)에 걸려 상향이동되는 것이 멈추게 됨으로써, 경통(30)은 관통구멍(61)에 최단거리로 접근하고, 베이스(10)에 대해 최장거리에 위치하게 되는 근접촬영모드에 위치하게 된다. Subsequently, when the
경통(30)이 근접촬영모드위치에서 촬영을 한 후, 보통촬영모드로 변환할 경우, 사용자는 커넥터(70)에 인가된 전원을 오프(off)시키면, 커넥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일(21)에 인가된 전원이 오프(off)되면서, 보빈(20)에는 자성이 발생되지 않고 보빈(20) 고유의 금속특성에 의해 자석(50)에 붙으려는 힘 즉, 인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경통(30)은 보통촬영모드 상태가 되도록 한쌍의 가이드핀(40)을 따라 하향되게 이동되어 보통촬영모드, 즉 경통(30)이 베이스(10)에 대해 최단거리 에 위치하게 된다. When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초점조절장치(100)는 경통(30)에 고정된 자석(50)과 베이스(10)에 고정된 코일(21)이 권취된 보빈(20)사이의 인력과 반발력에 의해 경통(30)이 가이드핀(40)을 따라 직선이동하여 보통촬영모드위치와 근접촬영모드위치로 설정되도록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초점을 조절할 수 있고, 비틀어짐을 방지하여 정밀도를 좋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focusing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장치(2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5, the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focusing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장치(200)는 제 1 실시예의 자동초점조절장치(100)의 커버(60)에 한쌍의 자성체가 설치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 및 그에 대해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장치(200)는 보빈(20)및 자석(50)과 동일축선상에 배치되도록 커버(60)의 모서리부에 한쌍의 자성체(280)가 각각 설치된다. 이에 따라, 경통(30)이 커버(60)의 관통구멍(61)에 가까워진 상태 즉, 근접촬영모드위치에서 전원의 인가를 오프(OFF)시키면 경통(30)에 고정된 자석(50)이 커버(60)에 설치된 자성체(280)에 당기려는 힘 즉, 인력이 발생함으로서,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경통(30)이 근접촬영모드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초기상태 즉, 보통촬영모드일 경우, 자석(50)의 하면과 보빈(20)의 상면이 이루는 거리 h1은 자석(50)의 상면과 커버(60)에 설치된 자성체(280)의 하면과 이루는 거리 h2 보다 작아야 한다. 이는 초기상태 즉, 보통촬영모드상태에서 코일(21)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 경통(30)에 고정된 자석(50)이 자성체(280)보다 보빈(20)에 가까이 위치하여 보빈(20)을 당기려는 인력이 발생함으로써, 초기상태, 즉, 경통(30)이 베이스(10)에 대해 최하단에 이동된 상태 즉, 보통촬영모드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the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장치(200)의 작동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operation of the
참고로, 도 6은 제 2 실시예에의 경통(30)이 관통구멍(61)에 멀어지도록 경통(30)이 베이스(10)에 대해서 최하단에 위치할 경우, 즉 보통촬영모드일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제 2 실시예의 경통(30)이 관통구멍(61)에 가까워지도록 경통(30)이 베이스(10)에 대해서 최상단에 위치할 경우, 즉, 근접촬영모드일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For reference, FIG. 6 shows the case where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장치는(200)는 도 6과 같은 보통촬영모드, 즉 초기상태일 경우,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한싸의 자석(50)의 하면과 한쌍의 보빈(20)의 상면이 이루는 거리 h1은 자석(50)의 상면과 커버(60)에 설치된 자성체(280)의 하면과 이루는 거리 h2 보다 작기 때문에, 자석(50)과 보빈(20)이 상호 당기려는 인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경통은 보통촬영모드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근접촬영촬영모드로 촬영을 하기 위하여, 커넥터(70)에 전원을 인가하여, 코일(21)에 전원이 인가되면, 보빈(20)은 도 7과 같이 상측이 N극을 나타내고 하측은 S극을 나타내게 된다. 이렇게 보빈(20)의 상측이 N극을 나타내고 자 석(50)의 하측이 N을 나타내어 자석(50)과 보빈(20)사이에는 반발력이 작용하고 이에 따라, 경통(30)은 가이드핀(40)을 따라 베이스(10)에 대해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경통(30)이 상측으로 이동하다가, 자성체(280)의 하면과 자석(50)의 상면이 이루는 거리가 자석(50)의 하면과 보빈(20)의 상면이 이루는 거리보다 작게 되면, 즉, h2가 h1보다 작게 되면, 커넥터(70)에 인가된 전원이 오프(off) 된다. 이 경우, h2가 h1보다 작기 때문에, 자석(50)은 보빈(20)이 밀어 주는 힘을 받지 않더라도 자성체(280)와 서로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서 경통(30)이 근접촬영모드위치로 이동한다. 이 경우, 도 7과 같이, 경통(30)은 이탈방지돌기(40a)에 의해 더이상 상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직선이동을 멈추게 되며, 한쌍의 자성체(280)와 한쌍의 자석(50)사이의 인력에 의해 근접촬영모드상태를 유지한다. In the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가 근접촬영모드에서 보통촬영모드로 변환할 경우, 근접촬영모드를 위해 가했던 전류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전류코일(21)에 전원을 인가하여, 보빈(20)의 상측이 S극, 하측이 N극을 발생하도록 하면, 자석(50)의 하측이 N극 보빈(20)의 상측이 S극이 되어 보빈(20)이 자석(50)을 당기게 되어, 경통(30)이 가이드핀(40)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경통(30)은 보통촬영모드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보빈(20)이 자석(50)을 당기는 인력은 자성체(280)가 자석(50)을 당기는 인력보다 커야한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when the user switches from the close-up mode to the normal mode, the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 조절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8 and 9, the operation of the autofocus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는 경통(30)에 형성되는 제 1 돌출편(332)의 상면의 높이가 제 2 돌출편(333)의 상면이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는 것에 차이가 있을 뿐, 그 외의 특징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의 자동초점조절장치(100)와 다른점이 없으며, 이에 따라, 제 1 실시예의 자동초점장치(100)와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설명하고, 설명은 생략하였다. In this embodiment, there is a differenc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통(330)에는 가이드핀(40)이 삽입되기 위한 제 1 돌출편(332)의 위치가 자석(50)이 삽입되기 위한 제 2돌출편(333)의 형성위치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8에서와 같이, 보통촬영모드일때, 경통(30)은 베이스(10)에 대해 최단거리에 위치하며, 1돌출편(332)의 하면은 제 1 돌출홈(11)의 상면과 접한 상태에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position of the
또한, 도 9에서와 같이, 근접촬영모드일때, 경통(40)은 베이스(10)에 대해 최장거리에 위치하며, 제 2돌출편(333)의 상면이 커버(60)의 상측하면(60a)와 접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경통(30)이 가이드핀(40)을 따라 직선이동가능한 거리 L4는 도 8에서와 같이 보통모드상태일때, 제 2 돌출편(333)의 상면과 커버(60)의 상측하면(60a)사이의 거리가 된다. In addition, as in FIG. 9, in the close-up photography mode, the
이 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장치(3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8 and 9,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focusing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장치(300)는 사진촬영을 하기 위한 대상물체가 가까이에 있지 않고 일반적인 거리에 위치할 경우, 즉, 보통촬영모드에서 촬영을 실시할 경우, 코일(21)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며, 이 때, 보빈(20)이 철, 코발트, 니켈과 같은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이 인가되 지 않더라도 보빈(20)은 자석(50)에 붙으려는 힘, 즉 인력이 작용하고, 이에 따라, 제 1 돌출편(332)의 하면과 제 1 돌출홈(11)의 상면이 접하여, 경통(30)은 베이스(10)와 최단거리에 위치하게 된다. 다시 말해, 경통(330)은 보통촬영모드위치에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8, the automatic focusing
이후, 근접촬영을 위하여, 자동초점조절장치(100)를 근접촬영모드로 변환할 경우, 커넥터(70)에 전기를 인가하면, 커넥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일(21)에 전원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그림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빈(20)의 상측은 N극, 하측은 S극의 자성을 띄게 된다. 이 때, 경통에 상기 보빈(20)과 동일축선상에 설치된 자석(50)의 하측이 N극, 상측은 S극을 띄고 있기 때문에, 보빈(20)의 상측과 자석(50)의 하측이 동일한 자성 N극을 띄게 되어 상호 밀어내는 힘 즉, 반발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경통(330)이 가이드핀(40)을 따라 베이스(10)에 대해서 상향으로 이동되며, 이후 경통(330)은 제 2 돌출편(333)의 상면이 커버(60)의 상측하면(60a)에 걸려 더이상 상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근접촬영모드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경통(330)은 관통구멍(61)에 최단거리로 접근하고, 베이스(10)에 대해 최장거리에 위치하게 되는 근접촬영모드에 위치하게 된다. Subsequently, when the
경통(330)이 근접촬영모드위치에서 촬영을 한 후, 보통촬영모드로 변환할 경우, 사용자는 커넥터(70)에 인가된 전원을 오프(off)시키면, 커넥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일(21)에 인가된 전원은 오프(off)되며, 보빈(20)에는 자성이 발생되지 않고 보빈(20)은 고유의 금속특성에 의해 자석(50)에 붙으려는 힘 즉, 인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경통(330)은 보통촬영모드 상태가 되도록 가이드핀(40)을 따라 하 향되게 이동되어 보통촬영모드, 즉 경통(330)이 베이스(10)에 대해 최단거리에 위치하게 된다. When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장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근접모드촬영과 보통모드촬영을 위한 자동초점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erforming an automatic focusing function for close mode shooting and normal mode shooting by a simple structure.
한편,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장치는 커버에 자성체가 설치되어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아도 경통이 근접촬영모드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utomatic focu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the effect that the magnetic body is installed in the cover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because the barrel can maintain the close-up shooting mode position without applying power to the coil.
또한, 경통이 가이드핀을 따라 슬라이딩 되므로 정밀도를 좋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arrel slides along the guide pin, the accuracy can be improved.
이상에서,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Rath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3647A KR100866769B1 (en) | 2007-03-09 | 2007-03-09 | Device to focus automatically in optical lens for mobile pho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3647A KR100866769B1 (en) | 2007-03-09 | 2007-03-09 | Device to focus automatically in optical lens for mobile pho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2834A true KR20080082834A (en) | 2008-09-12 |
KR100866769B1 KR100866769B1 (en) | 2008-11-04 |
Family
ID=40021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3647A KR100866769B1 (en) | 2007-03-09 | 2007-03-09 | Device to focus automatically in optical lens for mobile pho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6676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59628A (en) * | 2021-02-04 | 2022-08-05 | 三星电机株式会社 | Camera modu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08379A (en) * | 2010-06-25 | 2012-01-12 | Shicoh Engineering Co Ltd | Lens drive unit, autofocus camera, and mobile terminal device with camera |
KR102494325B1 (en) | 2020-09-16 | 2023-02-01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
JP2024086039A (en) * | 2022-12-16 | 2024-06-27 | キヤノン株式会社 | Lens device and image captur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25333A (en) * | 1994-02-10 | 1995-08-22 | Konica Corp | Lens barrel |
JP3770367B2 (en) | 1999-05-11 | 2006-04-26 | シャープ株式会社 | Optical pickup device |
JP2002189162A (en) | 2000-12-21 | 2002-07-05 | Asahi Optical Co Ltd | Lens driving device |
KR20050042722A (en) * | 2003-11-04 | 2005-05-10 | 최두희 | Apparatus for adjusting the focus of a digital camera for a mobile phone |
KR100770846B1 (en) | 2005-05-13 | 2007-10-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Auto focus controlling apparatus for camera module |
KR100771205B1 (en) | 2006-08-21 | 2007-10-30 | 에스인포텍(주) | Device to focus automatically in optical lens |
-
2007
- 2007-03-09 KR KR1020070023647A patent/KR10086676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59628A (en) * | 2021-02-04 | 2022-08-05 | 三星电机株式会社 | Camera module |
KR20220112552A (en) * | 2021-02-04 | 2022-08-11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66769B1 (en) | 2008-1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91579B2 (en) | Minature zoom lens | |
KR100770846B1 (en) | Auto focus controlling apparatus for camera module | |
US7990625B2 (en) | Camera module | |
KR101771439B1 (en) | Auto Focusing Apparatus | |
US20060228099A1 (en) | Digital camera with electromagnetic focusing module | |
JP4312610B2 (en) | Lens drive device | |
JP2006195452A (en) | Focus adjustment apparatus with improved vibration and impact-resistance properties | |
KR20110008478U (en) | Base for Camera Module and Lens Actuator Having Thereof | |
US8643964B2 (en) | Lens driving device without permanent magnet | |
KR20130015666A (en) | Auto focusing apparatus for micro camera module | |
KR101072404B1 (en) | Yoke-free automatic focus control device for a camera | |
WO2011068115A1 (en)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mounted with lens driving device, and mobile telephone | |
KR100866769B1 (en) | Device to focus automatically in optical lens for mobile phone | |
KR20200044488A (en) |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JP2007148354A (en) | Lens drive unit | |
US20060109565A1 (en) | Lens driver | |
US8743473B2 (en) | Miniature lens auto-focusing structure | |
JP5827923B2 (en) | Lens drive magnetic circuit | |
KR20100124135A (en) | Lens actuator for image pickup apparatus | |
JP2005141188A (en) | Focus-changing device of digital camera for cellular phone | |
US7680407B2 (en) | Auto-focusing camera | |
JP2022541785A (en) | The camera module | |
US7440689B2 (en) |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adjusting apparatus for lens | |
KR20130039108A (en) | Auto focusing apparatus for three dimensional camera module | |
TWI376560B (en) | Lens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