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1651A -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61651A KR20080061651A KR1020060136612A KR20060136612A KR20080061651A KR 20080061651 A KR20080061651 A KR 20080061651A KR 1020060136612 A KR1020060136612 A KR 1020060136612A KR 20060136612 A KR20060136612 A KR 20060136612A KR 20080061651 A KR20080061651 A KR 200800616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ming
- pattern
- layer
- semiconductor device
- hard mask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29920002120 photoresistant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29910003481 amorphous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WGTYBPLFGIVFAS-UHFFFAOYSA-M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C[N+](C)(C)C WGTYBPLFGIVFAS-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16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0894 electron beam technolog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900 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6117 anti-reflective coating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 silicon oxide nitride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4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1723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5591 polysilico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459 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367 deionis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641 deionized wat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95 pit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23 plasma-assisted chem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1 blea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61 region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28 spin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44—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using mas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3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 H01L21/0334—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 H01L21/0338—Process specially adapted to improve the resolution of the mask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9—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using m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더블 패터닝(Double Patterning) 공정을 위하여 이중 감광막을 형성할 경우 제 1 마스크 패턴의 위치보다 제 2 마스크 패턴의 위치가 더 높게 형성되어 미세 패턴 형성을 위한 식각 공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 1 감광막 패턴을 형성한 후에 제 1 감광막 패턴의 표면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수행하고, 표면이 경화된 제 1 감광막 패턴의 사이의 영역에 제 2 감광막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피식각층을 식각하는 마스크 패턴의 높이를 균일하게 유지시키고, 피식각층 식각 공정에서 미세 패턴의 임계치수(CD)를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반도체 소자의 형성 공정 수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 1a 내지도 1g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
도 2a 내지도 2g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더블 패터닝(Double Patterning) 공정을 위하여 이중 감광막을 형성할 경우 제 1 마스크 패턴의 위치보다 제 2 마스크 패턴의 위치가 더 높게 형성되어 미세 패턴 형성을 위한 식각 공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 1 감광막 패턴을 형성한 후에 제 1 감광막 패턴의 표면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수행하고, 표면이 경화된 제 1 감광막 패턴의 사이의 영역에 제 2 감광막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피식각층을 식각하는 마스크 패턴의 높이를 균일하게 유지시키고, 피식각층 식각 공정에서 미세 패턴의 임계치수(CD)를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반도체 소자의 형성 공정 수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발명에 관한 것 이다.
반도체 소자가 고집적화되면서, 반도체 소자의 크기도 급격하게 감소되고 있다. 따라서, 반도체 소자를 구성하는 미세 패턴들을 형성하는 공정 마진이 감소되었다. 특히, 규칙적인 배열을 하고 있는 콘택홀 패턴 또는 라인/스페이스 패턴을 형성하는 데 있어 노광 장비의 임계 치수 이하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한 번의 마스크 공정으로는 패턴 형성이 어렵고, 마스크를 2개 사용하는 더블 패터닝 공정이 사용되고 있다. 더블 패터닝 공정은 각각의 마스크에 형성하고자 하는 미세 패턴 중에서 2 피치에 위치한 패턴들을 각각 나누어 패터닝하는 방법으로 노광 장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다.
도 1a 내지도 1g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로 더블 패터닝 공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 상부에 미세 패턴이 형성되는 피식각층(20)을 형성하고, 피식각층(20) 상부에 실리콘 산화 질화막(30), 제 1 반사방지막(40) 및 폴리실리콘층(50)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다음에는, 폴리실리콘층(50) 상부에 제 1 감광막 패턴(60)을 형성한다.
여기서, 실리콘 산화 질화막(30)은 더블 패터닝 공정을 위한 제 1 하드마스크층이 되고, 폴리실리콘층(50)은 제 2 하드마스크층이 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제 1 감광막 패턴(60)을 마스크로 폴리실리콘층(50) 및 제 1 반사방지막(40)을 식각하여 폴리실리콘층 패턴(55) 및 제 1 반사방지막 패턴(45)을 형성한다.
도 1c를 참조하면, 제 1 감광막 패턴(60) 및 폴리실리콘층 패턴(55)을 제거하고 반도체 기판 전면에 제 2 반사방지막(70)을 형성한다.
다음에는, 제 2 반사방지막(70) 상부에 제 2 감광막(80)을 형성한다.
그 다음에는, 제 1 반사방지막 패턴(70) 사이의 영역에 형성될 패턴을 정의하는 마스크(90)를 이용하여 노광 공정을 수행한다.
도 1d를 참조하면, 현상 공정을 수행하여 제 2 감광막 패턴(85)을 형성한다.
도 1e를 참조하면, 제 2 감광막 패턴(85)을 마스크로 제 2 반사방지막(70)을 식각하고, 제 2 반사방지막 패턴(75)을 형성한다.
도 1f를 참조하면, 제 2 감광막 패턴(85) 및 제 2 반사방지막 패턴(75)과 제 1 반사방지막 패턴(45)을 마스크로 실리콘 산화 질화막(30)을 식각하여, 실리콘 산화 질화막 패턴(35)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공정으로, 미세 패턴을 정의하는 마스크 패턴을 완성한다.
미세 패턴을 정의하는 마스크는 제 1 반사방지막 패턴(45) 및 실리콘 산화 질화막 패턴(35)으로 구비되는 제 1 마스크 패턴과 제 2 감광막 패턴(85), 제 2 반사방지막 패턴(75) 및 실리콘 산화 질화막 패턴(35)으로 구비되는 제 2 마스크 패턴으로 구분된다.
도 1g를 참조하면, '도 1f'에서 형성된 미세 패턴을 정의하는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피식각층(20)을 식각한다. 이때, 제 1 마스크 패턴과 제 2 마스크 패턴의 높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식각 공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피식각층(20)이 식각되어 형성된 미세 패턴(25)의 임계치 수(Critical Dimension : CD)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더블 패터닝 공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2번의 감광막 패턴 형성 공정, 하드마스크 형성 공정 및 반사방지막 형성 공정이 필요하므로 공정이 복잡해지고 그에 따른 생산 비용도 증가하게 된다. 또한, 미세 패턴 형성을 위한 마스크 패턴을 정의하였을 때 미세 패턴을 정의하는 제 1 마스크 패턴과 제 2 마스크 패턴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피식각층 식각 공정에서 안정적인 임계치수(CD)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2 하드마스크가 되는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지 않고, 제 1 감광막 패턴을 형성한다. 다음에 제 1 감광막 패턴의 표면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수행하고, 표면이 경화된 제 1 감광막 패턴의 사이의 영역에 제 2 감광막 패턴을 형성한다. 여기서, 경화된 제 1 감광막 패턴의 표면층에 의해서 제 2 감광막 패턴 형성을 위한 노광 및 현상 공정을 수행하여도 제 1 감광막 패턴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피식각층을 식각하는 마스크 패턴의 높이를 균일하게 유지시키고, 피식각층 식각 공정에서 미세 패턴의 임계치수(CD)를 안정적으로 확보함으로써 반도체 소자의 형성 공정 수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부에 피식각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피식각층 상부에 하드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드마스크층 상부에 제 1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감광막 패턴의 표면을 경화 처리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감광막 패턴의 사이에 제 2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 감광막 패턴을 마스크로 상기 하드마스크층을 식각하여 하드마스크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 감광막 패턴과 그 하부에 형성된 하드마스크층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피식각층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감광막 패턴과 하드마스크층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피식각층은 비정질탄소층(Amorphous Carbon : a-C)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비정질탄소층은 1000 ~ 30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드마스크층은 실리콘 산화 질화막(Silicon Oxynitride : S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실리콘 산화 질화막은 300 ~ 5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실리콘 산화 질화막 상부에 반사방지막(Bottom Anti-Reflective Coating : BARC)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반사방지막은 200 ~ 400Å의 두께로 형성하고, 상기 제 1 감광막 패턴은 포지티브(Positive) 감광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감광막 패턴은 1400 ~ 16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 감광막 패턴의 표면을 경화 처리하는 공정은 상기 제 1 감광막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전면에 릴락스(Resolution Enhancement Lithography Assisted by Chemical Shrink : RELACS)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기판에 베이크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제 1 감광막 패턴의 표면에 경화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릴락스 물질은 1500 ~ 25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베이크 공정은 120 ~ 160℃의 온도에서 80 ~ 100 초간 반도체 기판을 핫 플레이트(Hot Plate)에 올려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경화층은 10 ~ 100Å의 두께만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제 1 감광막 패턴의 표면을 경화 처리하는 공정은 상기 제 1 감광막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전면에 UV(Ultra-Violet) 또는 전자빔(Electron Beam)을 이용한 노광 공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감광막 패턴은 포지티브(Positive) 감광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감광막 패턴은 상기 제 1 감광막 패턴과 동일한 형태의 패턴을 정의하는 마스크를 이용한 노광 및 현상 공정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감광막 패턴은 1400 ~ 16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노광 공정은 I-kine, KrF, ArF 및 EUV 리소그래피 공정 중 선택된 어느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하며, 현상 공정은 TMAH(Tetra Methyl Ammonium Hydroxide) 2.38%의 수용액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하드마스크층을 식각하는 단계는 90 ~ 110mT 의 압력하에 서 200 ~ 400W 의 전원을 인가하고, CF4 40 ~ 60sccm, CHF3 40 ~ 60sccm, O2 5 ~ 9sccm 및 이들의 혼합 가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한 플라즈마 분위기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피식각층을 식각하는 단계는 150 ~ 170mT 의 압력하에서 100 ~ 200W 의 전원을 인가하고, CF4 60 ~ 100sccm, CHF3 10 ~ 40sccm, O2 9 ~ 15sccm, Ar 500 ~700sccm 및 이들의 혼합 가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한 플라즈마 분위기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2a 내지도 2g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부에 피식각층(110)을 형성한다. 이때, 피식각층(110)은 비정질탄소층(Amorphous Carbon : a-C)을 이용하여 1000 ~ 30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정질탄소층은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정질 탄소층 외에도 스핀 코팅(Spin Coating)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SOC(Spin-On Carbon) 물질 사용할 수 있으며, SOC 물질은 일본 Shinetsu사의 ODL-21, Nissan사의 NCA-9018C, TOK사의 BLC-730 와 같은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는, 피식각층(110) 상부에 하드마스크층(120)을 형성한다. 이때, 하드마스크층(120)은 실리콘 산화 질화막(Silicon Oxynitride : SiON)을 이용하여 형성 하며, 300 ~ 5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산화 질화막 상부에 반사방지막(Bottom Anti-Reflective Coating : BARC)(130)을 더 형성한다. 이때, 반사방지막(130)은 한국 동진 세미켐사의 A202를 이용하여 200 ~ 4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에는, 반사방지막(130) 상부에 제 1 감광막 패턴(140)을 형성한다. 이때, 제 1 감광막 패턴은 포지티브(Positive) 감광막으로 일본 JSR 사의 HAS-4474 감광막을 이용하여 1400 ~ 16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1 감광막 패턴(140)은 미세 패턴 중에서 2피치에 해당하는 패턴들만 따로 정의한 제 1 마스크를 이용한 노광 및 현상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노광 공정은 I-kine, KrF, ArF 및 EUV 리소그래피 공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하며, 현상 공정은 TMAH(Tetra Methyl Ammonium Hydroxide) 2.38%의 수용액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실시예는 라인/스페이스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네덜란드의 ASML 사의 1700i ArF 이멀젼 스캐너(Immersion Scanner) 노광 장비를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 1 감광막 패턴(140)의 표면에 경화 처리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감광막 표면을 경화시키는 공정은 감광막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0) 전면에 UV(Ultra-Violet) 또는 전자빔(Electron Beam)을 이용한 노광 공정으로 수행하는 방법과 릴락스(Resolution Enhancement Lithography Assisted by Chemical Shrink : RELACS) 물질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UV(Ultra-Violet)를 이용한 방법은 10 ~ 1,000nm의 브로드 밴드(Broad Band) 파장의 빛을 사용하여 10 ~ 1,000mJ/cm2의 에너지로 조사하여 감광막을 경화시키며, 전자빔(Electron Beam)을 이용한 방법은 10 ~ 1,000uC/cm2의 에너지로 조사여 감광막을 경화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릴락스 물질을 이용한 경화 방법을 도시하는 것으로 한다.
릴락스(RELACS) 물질이란, 주로 콘택홀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공정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클라리언트(Clariant) 사에서 라이선스를 가지고 상품(AZLEXP.R602-S3A)화하고 있는 물질로서, 감광막과의 가교반응을 이용한 경화 공정에 사용되고 있다. ( Laura J. Peters, "Resist Join the Sub-λ Revolution", Semiconductor International, Sep. 1999; Toshiyuki Toyoshima, "0.1㎛ Level contact hole pattern formation with KrF lithography by Resist Enhancement Lithography Assisted by Chemical Shrink", IEEE, 1998 )
릴락스 물질을 이용한 경화 방법으로 먼저, 반도체 기판(100) 전면에 릴락스물질(150)을 형성한다. 이때, 릴락스 물질(150)은 독일 AZ 사의 R-607을 이용하여 1500 ~ 25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120 ~ 160℃의 온도에서 80 ~ 100 초간 반도체 기판(100)을 핫 플레이트(Hot Plate)에 올려서 베이크(Bake) 공정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제 1 감광막 패턴(140) 및 릴락스 물질(150) 사이의 계면이 가교반응에 의하여 경화된다.
도 2c를 참조하면, DIW(Deionized Water)를 이용하여 릴락스 물질을 용해시켜 제거한다. 이때, '도 2b'의 베이크 공정에서 경화된 릴락스 물질층인 경화층(155)이 제 1 감광막 패턴(140)의 표면에 소정 두께 잔류 된다. 여기서, 경화층(155)의 두께는 10 ~ 100Å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경화 공정을 블리칭(Bleaching) 공정이라고 한다.
도 2d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전면에 제 2 감광막(160)을 형성하고, 제 1 감광막 패턴(140) 사이의 영역에 제 1 감광막 패턴(140)과 동일한 형태의 패턴을 정의하는 마스크(170)를 이용하여 노광 공정을 수행한다. 이때, 제 2 감광막(160)은 포지티브(Positive) 감광막인 일본 JSR 사의 HAS-4474 감광막을 이용하여 1400 ~ 16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광 공정은 I-kine, KrF, ArF 및 EUV 리소그래피 공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하며, 특히 본 실시예는 네덜란드의 ASML 사의 1700i ArF 이멀젼 스캐너(Immersion Scanner) 노광 장비를 이용하여 노광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e를 참조하면, 노광 공정이 수행된 제 2 감광막(160)에 현상 공정을 수행하여 제 1 감광막 패턴(140)의 사이의 영역에 제 2 감광막 패턴(165)을 형성한다. 이때, 현상 공정은 TMAH(Tetra Methyl Ammonium Hydroxide) 2.38%의 수용액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경화층(155)은 제 2 감광막 패턴(165)을 형성하는 노광 및 현상 공정으로부터 제 1 감광막 패턴(14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하며, 제 2 감광막 패턴(165)을 형성하는 현상 공정에서 같이 제거되므로 별다른 추가 공정 없이 라인/스페이스 형태의 미세 패턴 형성을 위한 감광막 마스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도 2f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감광막 패턴(140, 165)을 마스크로 반사방지막(130) 및 하드마스크층(120)을 식각하여 반사방지막 패턴(135) 및 하드마스크층 패턴(125)을 형성한다.
여기서, 반사방지막(130) 및 하드마스크층(120)은 동시에 식각되며, 식각 공정은 미국 Lam 사의 FLEX 식각 챔버를 이용한다. 이때, 식각 조건은 90 ~ 110mT 의 압력하에서 200 ~ 400W 의 전원을 인가하고, CF4 40 ~ 60sccm, CHF3 40 ~ 60sccm, O2 5 ~ 9sccm 및 이들의 혼합 가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한 플라즈마 분위기를 조성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g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감광막 패턴(140, 165)과 그 하부에 형성된 반사방지막 패턴(135) 및 하드마스크층 패턴(125)을 이용하여 피식각층(110)을 식각 하여 미세 패턴(115)을 형성한다.
여기서, 반사방지막 패턴(135) 및 하드마스크층(120)은 동시에 제거되며, 식각 공정은 미국 Lam 사의 FLEX 식각 챔버를 이용한다. 이때, 식각 조건은 150 ~ 170mT 의 압력하에서 100 ~ 200W 의 전원을 인가하고, CF4 60 ~ 100sccm, CHF3 10 ~ 40sccm, O2 9 ~ 15sccm, Ar 500 ~700sccm 및 이들의 혼합 가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한 플라즈마 분위기를 조성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제 1 및 제 2 감광막 패턴(140, 165)과 잔류하는 반사방지막 패턴(135)을 제거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감광막 패턴(140, 165)을 제거하는 공정은 산소(O2) 가스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감광막 스트립(Strip) 조건을 사용한다. 여기서, 반사방지막 패턴(135)도 모두 제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더블 패터닝 공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이중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하나의 하드마스크층 및 반사방지막만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제 2 하드마스크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하고 제 1 감광막 패턴을 형성한 후에 제 1 감광막 패턴의 표면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제 2 감광막 패턴을 제 1 감광막 패턴과 동일한 층에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제 1 감광막 패턴과 제 2 감광막 패턴이 동일한 층에 형성될 경우 피식각층을 식각하는 마스크 패턴의 높이가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피식각층에 형성되는 미세 패턴의 임계치수(CD)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 2 하드마스크층 및 제 2 반사방지막 형성 공정 및 식각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미세 패턴 형성을 위한 더블 패터닝 공정에 있어서 제 1 감광막 패턴을 형성한 후에 제 1 감광막 패턴의 표면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수행하고, 표면이 경화된 제 1 감광막 패턴의 사이의 영역에 제 2 감광막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피식각층을 식각하는 마스크 패턴의 높이를 균일하게 유지시킨 다. 마스크 패턴이 균일하게 유지되면 미세 패턴 형성을 위한 피식각층 식각 공정에서 미세 패턴의 임계치수(CD)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므로 반도체 소자의 형성 공정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수행하는 이중의 하드마스크 형성 및 식각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반도체 소자의 형성 공정 수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20)
- 반도체 기판 상부에 피식각층을 형성하는단계;상기 피식각층 상부에 하드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하드마스크층 상부에 제 1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제 1 감광막 패턴의 표면을 경화 처리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상기 제 1 감광막 패턴의 사이에 제 2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제 1 및 제 2 감광막 패턴을 마스크로 상기 하드마스크층을 식각하여 하드마스크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제 1 및 제 2 감광막 패턴과 그 하부에 형성된 하드마스크층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피식각층을 식각하는 단계; 및상기 제 1 및 제 2 감광막 패턴과 하드마스크층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피식각층은 비정질탄소층(Amorphous Carbon : a-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비정질탄소층은 1000 ~ 30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하드마스크층은 실리콘 산화 질화막(Silicon Oxynitride : S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실리콘 산화 질화막은 300 ~ 5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실리콘 산화 질화막 상부에 반사방지막(Bottom Anti-Reflective Coating : BARC)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반사방지막은 200 ~ 4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감광막 패턴은 포지티브(Positive) 감광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감광막 패턴은 1400 ~ 16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감광막 패턴의 표면을 경화 처리하는 공정은상기 제 1 감광막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전면에 릴락스(Resolution Enhancement Lithography Assisted by Chemical Shrink : RELACS)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반도체 기판에 베이크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제 1 감광막 패턴의 표면에 경화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릴락스 물질은 1500 ~ 25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베이크 공정은 120 ~ 160℃의 온도에서 80 ~ 100 초간 반도체 기판을 핫 플레이트(Hot Plate)에 올려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경화층은 10 ~ 100Å의 두께만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감광막 패턴의 표면을 경화 처리하는 공정은 상기 제 1 감광막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전면에 UV(Ultra-Violet) 또는 전자빔(Electron Beam)을 이용한 노광 공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감광막 패턴은 포지티브(Positive) 감광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감광막 패턴은 상기 제 1 감광막 패턴과 동일한 형태의 패턴을 정의하는 마스크를 이용한 노광 및 현상 공정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감광막 패턴은 1400 ~ 16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노광 공정은 I-kine, KrF, ArF 및 EUV 리소그래피 공정 중 선택된 어느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하며, 현상 공정은 TMAH(Tetra Methyl Ammonium Hydroxide) 2.38%의 수용액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하드마스크층을 식각하는 단계는 90 ~ 110mT 의 압력하에서 200 ~ 400W 의 전원을 인가하고, CF4 40 ~ 60sccm, CHF3 40 ~ 60sccm, O2 5 ~ 9sccm 및 이들의 혼합 가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한 플라즈마 분위기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피식각층을 식각하는 단계는 150 ~ 170mT 의 압력하에서 100 ~ 200W 의 전원을 인가하고, CF4 60 ~ 100sccm, CHF3 10 ~ 40sccm, O2 9 ~ 15sccm, Ar 500 ~700sccm 및 이들의 혼합 가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한 플라즈마 분위기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6612A KR20080061651A (ko) | 2006-12-28 | 2006-12-28 |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
US11/771,651 US8003540B2 (en) | 2006-12-28 | 2007-06-29 |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6612A KR20080061651A (ko) | 2006-12-28 | 2006-12-28 |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61651A true KR20080061651A (ko) | 2008-07-03 |
Family
ID=39584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36612A KR20080061651A (ko) | 2006-12-28 | 2006-12-28 |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8003540B2 (ko) |
KR (1) | KR20080061651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039195B2 (en) * | 2008-02-08 | 2011-10-18 |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 Si device making method by using a novel material for packing and unpacking process |
US8492282B2 (en) * | 2008-11-24 | 2013-07-23 | Micron Technology, Inc. | Methods of forming a masking pattern for integrated circuits |
US8916051B2 (en) * | 2010-12-23 | 2014-12-23 |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 Method of forming via hole |
JP5768397B2 (ja) * | 2011-02-16 | 2015-08-26 | 三菱電機株式会社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US8524608B1 (en) * | 2012-04-26 | 2013-09-03 |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 Method for fabricating a patterned structure of a semiconductor device |
CN103390551B (zh) * | 2012-05-10 | 2017-03-01 | 联华电子股份有限公司 | 半导体装置图案化结构的制作方法 |
CN104051241A (zh) * | 2013-03-11 | 2014-09-17 |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 一种半导体器件的制造方法 |
KR102693845B1 (ko) * | 2019-04-16 | 2024-08-08 |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 트렌치들에서의 박막 증착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04612A (ko) * | 1999-06-29 | 2001-01-15 | 김영환 | 포토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
US6284657B1 (en) * | 2000-02-25 | 2001-09-04 |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td. | Non-metallic barrier formation for copper damascene type interconnects |
JP2002134402A (ja) * | 2000-08-15 | 2002-05-10 | Tokyo Electron Ltd | 基板処理方法及び基板処理装置 |
KR100843888B1 (ko) | 2001-12-14 | 2008-07-03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Relacs 물질을 이용하여 식각 내성이 향상된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
JP3850781B2 (ja) * | 2002-09-30 | 2006-11-29 | 富士通株式会社 | レジストパターン厚肉化材料、レジストパターンの形成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KR20060064861A (ko) | 2004-12-09 | 2006-06-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KR100575001B1 (ko) * | 2004-12-10 | 2006-04-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상호 결합 없는 이중 포토 리소그라피 방법 |
KR100639680B1 (ko) | 2005-01-17 | 2006-10-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방법 |
KR20060084501A (ko) | 2005-01-19 | 2006-07-2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자기장을 이용한 전계방출소자 및 그 구동방법 |
KR100674967B1 (ko) * | 2005-04-06 | 2007-01-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더블 패터닝 방식을 이용한 미세 피치를 갖는 포토레지스트패턴 형성방법 |
KR101094953B1 (ko) | 2005-06-02 | 2011-12-15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
KR20060133166A (ko) | 2005-06-20 | 2006-12-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게이트 형성 방법 |
KR100640657B1 (ko) * | 2005-07-25 | 2006-11-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
US20070243714A1 (en) * | 2006-04-18 | 2007-10-18 | Applied Materials, Inc. | Method of controlling silicon-containing polymer build up during etching by using a periodic cleaning step |
-
2006
- 2006-12-28 KR KR1020060136612A patent/KR2008006165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
- 2007-06-29 US US11/771,651 patent/US8003540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80160770A1 (en) | 2008-07-03 |
US8003540B2 (en) | 2011-08-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47302B2 (en) | Methods of fabricating substrates | |
US9159579B2 (en) | Lithography using multilayer spacer for reduced spacer footing | |
KR20080061651A (ko) |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 |
US6416933B1 (en) | Method to produce small space pattern using plasma polymerization layer | |
US7786020B1 (en) | Method for fabricating nonvolatile memory device | |
TWI587390B (zh) | 用以蝕刻有機硬遮罩之方法 | |
KR20070107017A (ko) | 트리밍과 호환되는 라인 에지 조도 감소 방법 | |
KR20090097765A (ko) |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한 콘택 홀 및 트렌치를 위한 이중 패터닝 방법 | |
US8815496B2 (en) | Method for patterning a photosensitive layer | |
KR20100134418A (ko) | 스페이서 패터닝 공정을 이용한 콘택홀 형성 방법 | |
TW505976B (en) | Method for forming micro-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 |
KR101096194B1 (ko) | 반도체 소자의 패턴 형성 방법 | |
KR20110112727A (ko) | 더블 패터닝을 이용한 반도체소자의 패턴형성방법 | |
KR20030062200A (ko) | 레지스트 패턴 형성방법 | |
KR100843899B1 (ko) |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
US7932017B2 (en) | Method of double patterning a thin film using a developable anti-reflective coating and a developable organic planarization layer | |
US8409457B2 (en) | Methods of forming a photoresist-comprising pattern on a substrate | |
US8975189B2 (en) | Method of forming fine patterns | |
US20110059407A1 (en) | Double patterning strategy for forming fine patterns in photolithography | |
JP2011238795A (ja) | パターン形成方法 | |
US20070264598A1 (en) | Method of forming a fine pattern | |
KR100645835B1 (ko) | 반도체 소자의 감광막패턴 형성 방법 | |
US8138059B2 (en) |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
US20120220129A1 (en) | Method for forming mask for forming contact holes of semiconductor device | |
Smith et al. | Incorporation of direct current superposition as a means for high quality contact and slotted contact structures utilizing litho-freeze-litho-etc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311 Effective date: 2010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