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4174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54174A KR20080054174A KR1020060126418A KR20060126418A KR20080054174A KR 20080054174 A KR20080054174 A KR 20080054174A KR 1020060126418 A KR1020060126418 A KR 1020060126418A KR 20060126418 A KR20060126418 A KR 20060126418A KR 20080054174 A KR20080054174 A KR 200800541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gasket
- refrigerator
- guide pin
- doo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05D15/26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for bi-fold w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6—Doors; Covers for open-top cabin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상향개구부를 갖는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캐비닛과; 상향개구부를 연접되게 구획하여 차단하는 제1패널 및 제2패널과; 제1패널을 본체캐비닛에 회동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힌지부와; 제1패널과 제2패널을 절첩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힌지부와;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에 각각 마련되어 폐쇄상태에서 본체캐비닛에 접촉하는 제1가스킷 및 제2가스킷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며, 상부의 공간효율이 향상된 냉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분리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의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 10 : 본체캐비닛
11 : 상향개구부 13 : 저장실
15 : 도어브래킷 20 : 도어
30 : 제1패널 35 : 제1힌지부
40 : 제2패널 45 : 제2힌지부
50 : 제1가스킷 51 : 제1가스킷본체
53 : 제1절곡부 60 : 제2가스킷
61 : 제2가스킷본체 63 : 제2절곡부
70 : 가이드핀 80 : 가이드레일
90 : 히터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며, 상부의 공간효율이 향상된 상향 개폐식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향개폐식 냉장고의 대표적인 예로 김치냉장고가 있다. 김치냉장고는 상향개구부를 갖는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캐비닛과, 저장실의 상향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김치냉장고의 도어는 후방영역이 본체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김치냉장고의 도어는 하나의 패널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도어가 회동하며 열리게 되어, 도어의 상부영역에 많은 여유공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저장실이 전체적으로 오픈되어 냉기가 과다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는 도어의 하중에 대응하는 많은 힘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며, 상부의 공간효율이 향상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향개구부를 갖는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캐비 닛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상향개구부를 연접되게 구획하여 차단하는 제1패널 및 제2패널과; 상기 제1패널을 상기 본체캐비닛에 회동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힌지부와;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을 절첩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힌지부와;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에 각각 마련되어 폐쇄상태에서 상기 본체캐비닛에 접촉하는 제1가스킷 및 제2가스킷을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1가스킷 및 상기 제2가스킷은,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의 각 하부판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1가스킷본체 및 제2가스킷본체와; 상기 제1가스킷본체 및 제2가스킷본체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제1절곡부 및 제2절곡부를 포함함으로써, 저장실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곡부는 주름가스킷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부에 대향되는 상기 제2패널의 단부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2패널의 개방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캐비닛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함으로써, 제2패널이 본체캐비닛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제2힌지부의 축선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의 결합영역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도어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함으로써, 저장실과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제1패널 및 제2패널의 이슬맺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패널 및 제2패널의 내부에는 단열재가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히터 는 상기 제1패널 및 제2패널의 상부영역에 형성됨으로써,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저장실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는 상향개구부(11)를 갖는 저장실(13)이 형성된 본체캐비닛(10)과, 본체캐비닛(10)의 상향개구부(11)를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한다.
본체캐비닛(10)은 그 내부에 상향개구부(11)를 갖는 저장실(13)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저장실(13)은 본체캐비닛(10)에 두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고, 세 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캐비닛(10)은 상향개구부(11)에 결합되어 도어(20)가 장착되는 도어브래킷(15)을 포함한다.
도어브래킷(15)은 상향개구부(1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브래킷본체(17)와, 브래킷본체(17)의 양측단부에서 상향절곡된 상향절곡부(19)를 포함한다. 도어브래킷본체(17)의 후방영역에는 제1패널(30)과 결합되는 제1힌지부(35)가 장착된다. 그리고, 도어(20)의 폐쇄상태에서 도어브래킷본체(17)의 상부판면에는 제1가스킷(50) 및 제2가스킷(60)이 접촉된다. 상향절곡부(19)에는 후술하는 가이드레일(80)이 형성되어 있다.
도어(20)는 본체캐비닛(10)의 상향개구부(11)를 연접되게 구획하여 차단하는 제1패널(30) 및 제2패널(40)과, 제1패널(30)을 본체캐비닛(10)에 회동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힌지부(35)와, 제1패널(30)과 제2패널(40)에 각각 마련되어 폐쇄상태에서 본체캐비닛(10)에 접촉하는 제1가스킷(50) 및 제2가스킷(60)을 포함한다.
자세한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서 제1패널(30) 및 제2패널(40)이 전후방향으로 상호 절첩 및 이격하며 본체캐비닛(10)의 상향개구부(11)의 전방영역과 후방영역을 개폐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패널 및 제2패널이 좌우방향으로 상호 절첩 및 이격하며 본체캐비닛의 상향개구부의 좌측영역과 우측영역을 개폐할 수도 있음을 미리 알려둔다.
제1패널(30)은 격벽으로 마련되며 격벽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충진되어 있다. 제1패널(30)은 폐쇄상태에서 본체캐비닛(10)의 상향개구부(11)의 후방영역을 커버한다. 제1패널(30)의 후방단부는 제1힌지부(35)에 의하여 본체캐비닛(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패널(30)의 전방단부는 제2힌지부(45)에 의하여 제2패널(40)의 후방단부에 절첩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패널(30)의 전방영역에는 후술하는 히터(90)가 장착되어 있다.
제2패널(40)은 격벽으로 마련되며 격벽의 사이에는 단열제가 충진되어 있다. 제2패널(40)은 폐쇄상태에서 본체캐비닛(10)의 상향개구부(11)의 전방영역을 커버한다. 제2패널(40)의 후방단부는 제2힌지부(45)에 의하여 제1패널(30)의 전방단부에 절첩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패널(40)의 후방영역에는 후술하는 히터(90)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2패널(40)의 전방단부에는 후술하는 가이드핀(70)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2패널(40)의 상부영역에는 도어를 개방할 때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4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2패널(40)은 그 상부판면으로부터 제1패널(30)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커버부(47)를 포함한다. 이에, 도어(20)의 폐쇄상태에서 제1가스킷(50) 및 제2가스킷(6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제1힌지부(35)는 제1패널(30)의 후방단부에 마련되어 제1패널(30)이 본체캐비닛(10)에 대하여 회동하며 상향개구부(11)를 개폐하도록 한다. 제1힌지부(35)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상향개폐식 냉장고 및 김치냉장고의 도어힌지유닛이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1힌지부(35)에는 제1패널(30)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감지센서는 본체캐비닛(10)과 제1패널(30)에 각각 마그네틱을 장착하여 제1패널(30)의 회동에 따라 이격 및 접근되며 제1패널(30)의 작동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감지센서로 제1패널(30)의 작동상태를 감지함으로써, 도어(2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냉장고의 제어의 기초로 활용될 수 있다.
제2힌지부(45)는 제1패널(30)과 제2패널(40)을 상호 절첩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2힌지부(45)는 힌지축(45a)과 힌지축수용부(45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축(45a)이 제1패널(30)에 형성되어 있고 힌지축수용부(45b)가 제2패널(40)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힌지축(45a)이 제2패널(40)에 형성되며 힌지축수용부(45b)가 제1패널(3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힌지부(45)에 의해 연결되는 제1패널(30)과 제2패널(40)의 대향되는 면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이격된 부분에는 후술하는 제1가스킷(50) 및 제2가스킷(60)이 배치되어 저장실(13)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2힌지부(45)는 제1패널(30) 및 제2패널(40)의 하부영역에 배치된다.
제1가스킷(50)은 제1패널(30)에 결합된다. 제1가스킷(50)은 제1패널(30)의 하부판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1가스킷본체(51)와, 제1가스킷본체(51)로부터 절곡되어 제1패널(30) 및 제2패널(40) 사이에 배치되는 제1절곡부(53)를 포함한다. 제1가스킷본체(51)는 저장실(13)의 냉기가 본체캐비닛(10)과 제1패널(30) 사이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1절곡부(53)는 저장실(13)의 냉기가 제1패널(30)과 제2패널(40) 사이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제1절곡부(53)는 주름가스킷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가스킷(50)은 탄성력을 갖는 러버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가스킷(60)은 제2패널(40)에 결합된다. 제2가스킷(60)은 제2패널(40)의 하부판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2가스킷본체(61)와, 제2가스킷본체(61)로부터 절곡되어 제1패널(30) 및 제2패널(40) 사이에 배치되는 제2절곡부(63)를 포함한다. 제2가스킷본체(61)는 저장실(13)의 냉기가 본체캐비닛(10)과 제2패널(40) 사이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2절곡부(63)는 저장실(13)의 냉기가 제1패널(30)과 제2패널(40) 사이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제2절곡부(63)는 주름가스킷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가스킷(60)은 탄성력을 갖는 러버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가스킷(50)과 제2가스킷(60)이 각각 마련되어 제1패널(30) 및 제2패널(40)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 되지 않고 제1절곡부(53)와 제2절곡부(63)가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가스킷(50)과 제2가스킷(60)이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가스킷(50) 및 제2가스킷(60)은 제1패널(30) 및 제2패널(4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제1가스킷(50) 및 제2가스킷(60)의 파손시 교체할 수 있어 서비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는 제2패널(40)의 전방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핀(70)과, 가이드핀(7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제2패널(40)의 개방방향을 따라 본체캐비닛(10)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핀(7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패널(40)의 전방영역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가이드핀(70)은 제2패널(40)의 전방의 외측판면으로부터 힌지축(45a)의 축선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핀(70)은 제2패널(4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제2패널(40)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핀(70)이 제2패널(40)에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제2패널(40)의 전방 단부의 외측벽에는 관통 형성된 가이드핀장착홈(43)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핀(70)은 막대형상의 가이드핀본체(71)와, 가이드핀본체(71)의 단부에서 외주를 따라 돌출형성되는 돌출부(73)와, 가이드핀(70)이 가이드핀장착홈(43)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75)를 포함한다.
가이드핀본체(71)는 원통형상의 막대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통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돌출부(73)는 가이드핀(70)이 가이드핀장착홈(43)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핀(70)이 가이드레일(80)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부(75)는 가이드핀본체(71) 및 돌출부(73)가 가이드핀(70)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즉, 이탈방지부(75)는 돌출부(73)가 형성되어 있는 쪽의 가이드핀본체(71)의 단부 및 돌출부(73)의 직경을 탄성적으로 가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가이드핀장착홈(43)의 직경은 가이드핀본체(71)의 직경에 비하여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핀본체(71) 및 돌출부(73)를 반경방향으로 가압한 후 가이드핀장착홈(43)에 삽입시키면, 가이드핀본체(71) 및 돌출부(73)는 탄성복귀하여 가이드핀장착홈(43)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돌출부(73) 및 이탈방지부(75)를 마련함으로써, 가이드핀(70)이 가이드핀장착홈(4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가이드핀(70)은 제2패널(40)의 전방의 하부판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후술하는 가이드레일(80)은 본체캐비닛(10)의 상부판면에 형성된다.
가이드레일(80)은 가이드핀(7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본체캐비닛(10)의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가이드레일(80)은 도어브래킷(15)의 상향절곡부(19)에 형성된다. 가이드레일(80)은 전후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되며, 전방단부영역은 하향 절곡되어 있다. 이는 폐쇄상태에서 도어(20)를 용이하게 개방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어(20)를 개방할 때 사용자는 손잡이부(41)를 파지하고 상측으로 들어올린 후 후방으로 가압하여 도어(20)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는 히터(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90)는 제1패널(30) 및 제2패널(40)을 가열하도록 마련된다. 히터(90)는 제1패널(30)과 제2패널(40)의 결합영역의 주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히터(90)는 제1가스킷(50)의 제1절곡부(53)와 제2가스킷(60)의 제2절곡부(63)를 따라 배치된다. 그러나, 히터(90)는 제1패널(30) 및 제2패널(40)의 전체면에 걸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히터(90)는 제1패널(30) 및 제2패널(40)의 상부영역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히터(90)에서 발생하는 열이 제1패널(30) 및 제2패널(40)에 충진되어 있는 단열재에 의해 차단되므로, 저장실(13) 내부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히터(90)는 냉장고(1)가 구동되는 동안 상시 구동된다. 한편, 히터(90)는 일정 주기를 반복하여 운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상향개폐식 냉장고뿐만 아니라 김치냉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의 작동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어(20)의 폐쇄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41)를 파지하고 제2패널(40)을 상측으로 살짝 들어올린 후, 후방으로 가압하면, 가이드핀(70)이 가이드레일(80)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패널(30)과 제2패널(40)이 절첩된다. 이때, 제1패널(30)과 제2패널(40)은 제2힌지부(45)를 중심으로 역V자 형상으로 절곡회동하며, 제1패널(30)과 제2패널(40)은 후방영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제1패널(30)은 제1힌지부(35)를 중심으로 상향회동하게 된다. 이에, 제1패널(30)과 제2패널(40)이 상호 절첩되면서 저장실(13)의 상향개구부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도어(20)의 폐쇄방법은 전술한 개방순서의 역순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패널(30)과 제2패널(40)을 절첩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냉장고(1)의 상부공간의 공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도어(20)의 개방시 힘이 덜 들게 되므로 도어(20)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저장실(13)의 전방영역에 수용된 저장물을 꺼내거나 수납하는 경우 저장실(13)의 전방부분까지만 도어(20)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냉기의 유출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패널(30)과 제2패널(40)에 각각 제1가스킷(50) 및 제2가스킷(60)을 마련함으로써, 저장실(13)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패널(40)의 전방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핀(70)과, 가이드핀(7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본체캐비닛(10)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80)을 마련함으로써, 도어(20)의 개방시 제2패널(40)이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가스킷(50) 및 제2가스킷(60)을 따라 배치되어 도어(20)를 가열하는 히터(90)를 마련함으로써, 제1패널(30) 및 제2패널(40)에 발생할 수 있는 이슬맺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히터(90)를 제1패널(30) 및 제2패널(40) 의 상부영역에 배치시킴으로써, 히터(90)에서 발생되는 열이 저장실(13)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며, 상부의 공간효율이 향상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 상향개구부를 갖는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캐비닛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상기 상향개구부를 연접되게 구획하여 차단하는 제1패널 및 제2패널과;상기 제1패널을 상기 본체캐비닛에 회동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힌지부와;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을 절첩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힌지부와;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에 각각 마련되어 폐쇄상태에서 상기 본체캐비닛에 접촉하는 제1가스킷 및 제2가스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가스킷 및 상기 제2가스킷은,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의 각 하부판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1가스킷본체 및 제2가스킷본체와;상기 제1가스킷본체 및 제2가스킷본체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제1절곡부 및 제2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절곡부는 주름가스킷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힌지부에 대향되는 상기 제2패널의 단부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핀과;상기 가이드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2패널의 개방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캐비닛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4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제2힌지부의 축선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의 결합영역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도어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1패널 및 제2패널의 내부에는 단열재가 충진되어 있으며;상기 히터는 상기 제1패널 및 제2패널의 상부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6418A KR20080054174A (ko) | 2006-12-12 | 2006-12-12 | 냉장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6418A KR20080054174A (ko) | 2006-12-12 | 2006-12-12 | 냉장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54174A true KR20080054174A (ko) | 2008-06-17 |
Family
ID=39801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26418A KR20080054174A (ko) | 2006-12-12 | 2006-12-12 | 냉장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54174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169958A4 (en) * | 2015-04-27 | 2018-05-02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with door and refrigerator door manufacturing method |
-
2006
- 2006-12-12 KR KR1020060126418A patent/KR2008005417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169958A4 (en) * | 2015-04-27 | 2018-05-02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with door and refrigerator door manufacturing method |
US10578349B2 (en) | 2015-04-27 | 2020-03-03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opening a refrigerator door |
US11041670B2 (en) | 2015-04-27 | 2021-06-22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opening a refrigerator door |
US11852398B2 (en) | 2015-04-27 | 2023-12-26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opening a refrigerator do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0820B1 (ko) | 오븐 | |
EP2459947B1 (en) | Refrigerator | |
US8393694B2 (en) | Refrigerator with vertically moving member attached to home bar door | |
US20120062093A1 (en) | Refrigerator | |
KR101480459B1 (ko) | 냉장고의 도어 자동 개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8033133B2 (en) | Ice bin storage window | |
KR20080086279A (ko) | 냉장고 | |
KR100875427B1 (ko) | 냉장고의 캔 수납장치 | |
KR20080054174A (ko) | 냉장고 | |
US20090113926A1 (en) | Refrigerator | |
KR20080105220A (ko) | 냉장고 | |
KR100306308B1 (ko) | 냉장고용도어시험기 | |
KR100512243B1 (ko) | 홈바 커버 구조 | |
KR200212342Y1 (ko) | 식품저장용기 | |
KR100411785B1 (ko) | 김치용기용 누름수단 및 이를 포함한 김치용기 | |
JP3109482B2 (ja) | 電気貯湯容器 | |
KR100652779B1 (ko) | 소물함이 구비된 냉장고 | |
KR200227550Y1 (ko) | 쌀통 겸용 김치냉장고 | |
KR200192873Y1 (ko) | 김치의 발효 및 저장장치의 콘트롤 노브 조립구조 | |
JP7471147B2 (ja) | 冷蔵庫 | |
KR100686097B1 (ko) | 냉장고의 도어 어셈블리와 이를 이용한 냉장고 | |
KR200349032Y1 (ko) | 김치저장고의 서랍식 도어 | |
KR100345090B1 (ko) | 김치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 |
KR20240132558A (ko) | 도어 밀폐장치를 구비한 챔버 | |
KR20070095559A (ko) | 냉장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