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3278A - 이미지 결상광학계,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이용한 화상 판독장치 및 화상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결상광학계,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이용한 화상 판독장치 및 화상 기록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53278A KR20080053278A KR1020087004653A KR20087004653A KR20080053278A KR 20080053278 A KR20080053278 A KR 20080053278A KR 1020087004653 A KR1020087004653 A KR 1020087004653A KR 20087004653 A KR20087004653 A KR 20087004653A KR 20080053278 A KR20080053278 A KR 200800532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lens array
- image
- array
- shielding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G02B3/0068—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arranged in a single integral body or plate, e.g. laminates or hybrid structures with other optical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preventing ghost imag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3—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 H04N1/031—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the photodetectors having a one-to-one and optically positive correspondence with the scanned picture elements, e.g. linear contact sensors
- H04N1/0311—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the photodetectors having a one-to-one and optically positive correspondence with the scanned picture elements, e.g. linear contact sensors using an array of elements to project the scanned image elements onto the photodetect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32—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reproduction
- H04N1/036—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reproduction for optical reprodu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es (AREA)
- Facsimile Heads (AREA)
- Printers Or Record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Means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일하고 또한 충분한 광량을 확보하면서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는 최적의 설계 조건을 결정하고,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제공한다. 슬릿이 있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 있어서, 미광을 제거하기 위한 요소는 렌즈 배열방향의 경사, 슬릿 폭, 렌즈 피치, 시야각, 차광벽 높이이다. 슬릿 위치, 렌즈 두께, 렌즈 열 폭은 미광 제거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밝기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슬릿이 없는 구조의 경우, 미광을 제거하기 위한 필수 요소는 차광벽 높이, 렌즈 피치이다. 렌즈 두께 및 렌즈 열 폭은 미광 제거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밝기에 영향을 준다.
이미지 결상광학계, 화상 판독 장치, 화상 기록 장치, 렌즈, 차광벽, 슬릿.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지 정립 렌즈 어레이를 사용하여 화상을 선형 결상영역에 전송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및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사용한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 결상광학계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5-167778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광원, 렌즈, 센서 어레이(CCD 등), 및 이들을 수납하는 케이스(하우징)로 구성된다.
화상 판독 장치에 사용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는 광원으로부터 출사한 광으로 원고를 조사하고, 원고로부터 반사된 광을 렌즈로 집광하여, 센서 어레이에 넣는다는 구성을 갖는다. 원고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이 렌즈에 입사하여 센서 어레이에 넣어질 때에, 광학계의 구성에 의해, 플레어(flare)나 고스트(ghost)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화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플레어나 고스트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광원, 렌즈, 센서 어레이 등,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구성하는 부재의 위치 조정이 중요해진다. 예를 들면, 상기 공개공보에서는 미광(迷光) 방지를 위해서, 렌즈와 센서 어레이의 사이에 슬릿을 배치하여, 미광이 센서 어레이에 입사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화상 판독 장치를 구성하는 렌즈로서, 종래는 상기 공개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로드 렌즈 어레이를 사용하였다. 로드 렌즈 어레이는 복수의 로드 렌즈를 모두 어레이형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입사 광선은 각 로드 렌즈 내부로만 진행하여, 인접하는 로드 렌즈에는 광선이 들어가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로드 렌즈 어레이를 사용한 경우는 플레어나 고스트가 발생하기 어렵지만, 더욱 고품질의 화상을 얻기 위해서, 각 로드 렌즈에 플레어 커트나 차광막을 형성하고, 불필요한 광이 인접하는 렌즈에 진입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 로드 렌즈 어레이 대신에 평판형의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화상 판독 장치가 증가하고 있다.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는 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제작하기 위해서, 제법상, 렌즈간에 차광막을 형성할 수 없다. 또한, 로드 렌즈 어레이와 같이 각 렌즈가 분리되지 않았기 때문에, 렌즈간에 불필요한 광이 용이하게 진입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로드 렌즈 어레이의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는 고스트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큰 문제가 된다.
고스트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는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상에 차광막을 형성하거나, 원고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사이에 슬릿을 형성하는 방법(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02411호) 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를 여러 장 적층한 경우에 있어서, 더욱 밝은 화 상을 얻기 위해서, 출사측의 렌즈 직경이 입사측의 렌즈 직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9273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스트를 방지하기 위해서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와 센서 어레이기판의 사이에 슬릿을 형성하거나, 또는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와 원고의 사이에 슬릿을 형성하거나,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 표면에 광 흡수성의 차광벽을 형성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슬릿,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 센서 어레이 등에 관해서 정밀한 위치 조정을 하지 않으면, 고스트를 방지할 수는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고스트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슬릿의 폭, 슬릿의 위치, 렌즈 개구각, 렌즈 형성영역의 폭,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 두께, 렌즈 피치, 차광벽의 높이, 차광벽의 형성 위치(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표면 및 이면(裏面)의 어느 쪽에 형성하거나,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 표면에 외장하는 형태로 하거나, 또는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 내부에 매립하는 형태로 하거나), 차광벽의 광 흡수율, 차광벽의 표면 거칠기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것들의 요소는 각각이 독립하여 고스트 제거에 기여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렌즈 개구각이 다르면 최적의 슬릿폭도 달라지는 것처럼, 각 요소는 밀접하게 관련하여 고스트 제거에 기여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 모든 요소에 관해서 최적의 조건을 찾아내는 것은 대단히 곤란하고, 종래는 예를 들면 렌즈 개구각, 렌즈 형성영역의 폭, 차광벽의 높이 등 어떤 특정한 요소의 파라미터를 어떤 임의의 값으로 고정하여 둔 다음, 슬릿폭이나 슬릿 위치 등 1 내지 2개의 파라미터를 대범하게 변화시켜, 가장 고스트가 발생하지 않는 설계치를 구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에서는 슬릿폭에 관해서는 최적의 조건을 결정할 수 있지만, 슬릿폭 이외의 요소에 관해서 최적의 조건을 결정할 수는 없기 때문에, 상술한 모든 요소가 고스트 제거에 최적의 조건으로 설계된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제공할 수 없었다.
또, 어떤 특정한 시야각으로 최적의 설계를 한 경우, 시야각마다 최적의 설계치를 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시야각에 의하지 않고 고스트가 발생하지 않는 차광벽·슬릿 등의 설계치를 제공할 수 있으면, 다른 시야각의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경우라도, 동일한 설계치에 기초하여 차광벽·슬릿 등을 제조하면 좋기 때문에,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슬릿을 갖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의 경우, 제조 공정에서, 슬릿과 센서 어레이의 위치 조정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슬릿을 사용하지 않고 모든 고스트를 제거할 수 있으면, 더욱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여기에서, 「고스트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의미는 완전히 고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와, 고스트가 발생하지만 화상처리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정도의 고스트밖에 발생하지 않는 경우의 양쪽을 포함한다. 완전히 고스트가 발생하지 않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이면, 화상처리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화상 판독 장치 또는 화상 기록 장치의 판독/기록 속도를 빨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는 고스트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광량이 크고, 균일한 것도 고품질의 화상을 얻기 위해서 필요하게 된다. 개인 사용의 화상 판독 장치, 화상 기록 장치에서는 고스트가 발생하여도 광량이 작으면 고스트가 눈에 띄지 않게 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고스트 발생은 허용되지만, 비지니스 사용의 화상 판독 장치, 화상 기록 장치에서는 고품질의 화상이 요구되기 때문에, 고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것, 광량이 큰 것, 광량 격차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뮬레이션의 기법을 사용하여, 균일하고 또한 충분한 광량을 확보하면서 고스트를 억제할 수 있는 최적의 설계조건을 결정하여,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사용한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미지면(像面)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되어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 직경을 D, 외측 렌즈 직경을 DL,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O<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사용한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기록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고스트가 억제된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밝기가 크고, 광량 격차가 적은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스트 제거 및 광량에 영향을 주는 차광벽, 슬릿 등의 설계치간의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고, 이 관계식의 최적 조건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최적의 설계치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어, 이미지 결상광학계의 설계변경이 용이해진다.
도 1은 이미지 결상광학계의 기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렌즈의 육방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렌즈의 정방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4A는 렌즈의 임의의 방향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4B는 렌즈의 임의의 방향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4C는 렌즈의 임의의 방향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5A는 렌즈의 임의의 정방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5B는 렌즈의 임의의 정방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5C는 렌즈의 임의의 정방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6A는 렌즈의 임의의 개구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6B는 렌즈의 임의의 개구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6C는 렌즈의 임의의 개구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6D는 렌즈의 임의의 개구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6E는 렌즈의 임의의 개구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차광벽에 의한 미광 제거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내장형 차광벽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차광벽(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에 설치)에 의한 미광 제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차광벽(양면에 설치)에 의한 미광 제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렌즈 배열방향의 경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최적의 렌즈 배열방향의 경사 각도를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주광선의 경사에 의한 시야각 θ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피판독 화상점으로부터, 슬릿폭이 렌즈면에 투영되는 크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렌즈 열 폭의 정의를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피판독 화상점으로부터, 시야각 θ의 넓이가 렌즈면에 투영되는 크 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 D와,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 LD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에 대하여 동심원형으로 크게 하는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내측 렌즈의 개구 형상을, 주주사(主走査)방향으로 작게 하는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2장의 렌즈를 주주사방향으로 엇갈리게 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주주사방향에만 렌즈 직경을 변화시킨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A는 렌즈 플레이트를 정밀도 좋게 장착한 경우의 모식도.
도 22B는 렌즈 플레이트를 기울여 장착한 경우의 모식도.
도 23은 조명장치로부터의 조명광이 렌즈 플레이트의 단부에 의해서 제거되어 버리는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렌즈 단부 부근까지 렌즈 형성영역을 형성하여 조명광이 구석을 비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하는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렌즈 플레이트의 양측을 모떼기함으로써, 조명광이 구석을 비치지 않는 현상을 저감할 수 있는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렌즈의 임의의 개구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차광벽에 의한 미광 제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내장형 차광벽을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차광벽(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에 설치)에 의한 미광 제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광선 추적에 의한 계산 모델을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시야각 θ와 미광 발생점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수지 렌즈 어레이의 시야각 θ에 따른 미광 발생점으로부터의 광선의 발생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3은 경사 각도 15°에 있어서의 피판독 화상점부터 미광 발생점까지의 거리와 미광 제거에 필요한 폭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4는 미광 제거에 필수인 슬릿폭을 도시하는 도면.
도 35는 결상광선과 슬릿폭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6은 결상광선과 슬릿폭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7은 화상 판독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8은 화상 기록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이미지 결상광학계, 화상 판독 장치, 화상 기록 장치에 관한 설명)
이미지 스캐너, 복사기 등의 화상 판독 장치에 사용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는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센서 어레이(광전 변환소자 어레이)로 구성된다.
레이저 프린터 등의 화상 기록 장치에 사용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는 이미지 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기록면(감광 드럼)으로 구성된다.
화상 판독 장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와, 유리판 등의 원고대와, 조명장치를 일체로 케이스에 넣은 것이다. 화상 기록 장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와 유리판 등의 원고대와, 토너, 감광 드럼, 발광소자 어레이 등을 일체로 케이스에 넣은 것이다.
도 1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다. 이 이미지 결상광학계는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이미지 결상광학계의 일례를 도시한다. 렌즈 어레이(8)는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18)가 적어도 2장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고, 차광벽(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미지면(30)과 렌즈 어레이(8)의 사이에는 슬릿(24)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24)은 폭 a를 갖는 개구부(34)를 갖고 있다. 이 개구부의 길이방향은 주주사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미지 결상광학계에는 축소계와 등배계가 있다. 등배계에 사용되고 있는 렌즈 어레이는 정립 등배 렌즈 어레이이고, 이 렌즈 어레이는 유리제 또는 수지제의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를 적어도 2장 이상 적층하여 구성된다. 축소계는 적어도 1장의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는 적어도 편면에 구면(球面) 또는 비구면의 미소 볼록 렌즈가 소정의 렌즈 피치로 규제적으로 2차원으로 배열된다. 렌즈의 2차원 배열은 도 2의 육방 배열, 도 3의 정방 배열 등, 어떠한 배열이어도 좋다. 도면 중, 부호 10은 미소 볼록 렌즈를 도시한다. 육방 배열의 경우는 도 4A, 도 4B,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 개구의 중심을 연결하는 형상이 정삼각형, 이등변 삼각형 등 어떠한 삼각형이어도 좋다. 또, 정삼각형의 경우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육방 조밀 구조가 된다. 정방 배열의 경우는 도 5A, 도 5B,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 개구의 중심을 연결하는 형상이, 사각형이 되는 배열이고, 이 사각형은 정방형, 직사각형, 마름모형의 어떤 것이어도 좋다.
렌즈 개구 형상은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형, 타원형, 육각형, 사각형 외에, 임의의 다각형 등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도면 중, 부호 12는 렌즈 개구를 도시한다. 원형 이외의 렌즈의 경우, 렌즈 직경 D는 개구부분의 양단을 연결하는 직선(14)을 그었을 때에, 가장 길어지는 직선의 길이라고 정의한다(도 6A 내지 6E의 직선(14) 중, 개구 내부(12)의 부분의 길이). 렌즈 직경 D는 렌즈 어레이의 모든 렌즈 직경이 같을 때, 렌즈의 시야각이 θ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렌즈 직경이라고 정의한다. 이하,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렌즈 직경 D는 렌즈 어레이의 렌즈 직경과 같다.
2장의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렌즈 어레이에 있어서, 플레이트간에서 인접하고 있는 측의 렌즈를 내측 렌즈, 플레이트간에서 인접하지 않은 측의 렌즈를 외측 렌즈(이미지면측 및 화상 판독면·화상 기록면에 있는 렌즈)로 한 경 우,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과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미광의 발생과 제거방법에 관한 설명)
미광의 발생형태에 관해서 설명을 한다. 정립 결상 렌즈 어레이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상 기능을 갖고, 적어도 2장의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18)를 겹친 것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미지면(30)의 1점(31)으로부터 발생하는 광선이 결상할 때에, 이미지면의 1점(31) 이외의 점32로부터 발생하는 광선도 렌즈에 입사하면 미광이 된다. 이미지면(30)의 1점(31) 이외의 점을 미광 발생점라고 부른다.
이러한 미광 발생점(32)으로부터의 광선의 입사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슬릿 및/또는 차광벽을 적당한 조건으로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 미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이미지 결상광학계는 슬릿과 차광벽의 조합에 의해 고스트를 억제하는 형태와, 차광벽만으로 고스트를 억제하는 형태를 포함한다. 또, 차광벽에 관해서는 외장형태로 한 형태와 내장형으로 한 형태를 포함하고, 차광벽을 렌즈 어레이의 양면에 형성하는 형태와, 렌즈 어레이의 편면(이미지면측 즉 피판독 화상면측, 또는 화상 판독면·기록면측 즉 센서측 또는 감광 드럼측)에만 형성하는 형태를 포함한다.
슬릿이 있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미광을 제거하기 위한 요소는 렌즈 배열방향의 경사 각도, 슬릿폭, 렌즈 피치, 시야각, 차광벽 높이이다. 슬릿 위치, 렌즈 두께, 렌즈 열 폭은 미광 제거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밝기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렌즈는 배열방향의 경사 각도에 관한 설명)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가 도 2에 도시한 조밀 육방 배열 구조의 경우,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개의 렌즈(11)를 기준 렌즈로 한 경우에, 이 기준 렌즈로부터 인접하는 렌즈를 향해서 직선을 그은 경우, 12개의 직선이 그어진다. 이 직선형을 따라, 렌즈(10)가 배열되고, 그 배열방향을 렌즈 배열방향이라는 것으로 한다.
렌즈 배열방향(13)이, 주주사방향에 일치하고 있는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를 살펴보자. 이러한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에 대한 이미지면의 미광 발생점(32)의 분포를 도 9에 도시한다. 미광 발생점은 렌즈 배열의 육방 조밀 구조에 기초하여, 육방 조밀형으로 존재한다. 도면 중, 2개의 직선(15) 및 직선(17)은 주주사방향 및 부(副)주사방향(주주사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각각 도시한다.
슬릿의 개구부(34)는 주주사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주주사방향의 선(15)상에 배열되는 미광 발생점(32)으로부터의 미광이 개구부(34)를 통해 주주사방향에 고스트를 출현시킨다.
이것에 대하여,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주사방향에 대하여,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배열방향을 각도 φ만큼 기울여, 주주사방향의 출현하는 고스트의 위치를 엇갈리게 하여, 부주사방향에만 고스트가 출현하도록 한다. 이 부주사방향의 고스트는 슬릿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지 결상광학계 전체적으로 고스트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 11에, 렌즈 배열방향을, 주주사방향(렌즈 어레이 플레이트(18)의 긴변방 향과 같음)에 대하여, φ만큼 기울인 조밀 육방 배열의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18)를 도시한다. 이 렌즈 배열에서는 주주사방향에는 렌즈 4개로 1주기를 구성하고 있다.
렌즈 배열방향이 최적의 경사각 φ에 대해서 검토한다. 도면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도 12에 도시하는 사방 배열의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를 예로 든다.
주주사방향(13)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2개의 렌즈 배열방향 A, B를 살펴보자. 방향 A는 기준 렌즈(2)의 중심점 O와 기준 렌즈와 주주사방향(13)에 최인접하는 제1인접 렌즈(4)의 중심점 O'를 연결하는 방향이다. 방향 B는 기준 렌즈(2)의 중심점 O와 제1인접 렌즈(4)와 부주사방향에 최인접하는 제2인접 렌즈(6)의 중심점 O"을 연결하는 방향이다.
렌즈 배열방향 A와 주주사방향(13)이 이루는 각도를 y°, 렌즈 배열방향 A와 렌즈 배열방향 B가 이루는 각도를 X°로 한다. y°를, 고스트 제거를 위한 최적의 렌즈 배열방향의 경사각 φ로 하기 위해서는, 주주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의 개구부에, 미광 발광점이 나란하지 않도록 하면 좋다. 이러한 각도 X°(즉 φ)는 도 12로부터 기하학적으로 구할 수 있고, y°=-0.006630x2-0.809473x-9.700729가 된다.
도면 중, P는 방향 A에서의 렌즈 피치이다. 즉, 렌즈 피치 P는 주주사방향으로부터 각도 φ를 이루는 방향에 배열되는 렌즈의 피치이다. 도 11에 도시한 조밀 육방 배열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식으로부터 최적의 렌즈 배열방향 경사 각도 φ는 15°가 된다. 경사 각도 φ는, 주주사방향에 대한 각도이고, 주주사방향은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과 같다.
이상과 같이, 렌즈 배열방향을 주주사방향으로부터 최적 각도 φ 기울인 렌즈 배열로 하면, 주주사방향의 선상에 미광 발생점(32)이 존재하지 않게 되는 동시에, 미광 발생점을 부주사방향으로 가장 멀리에 배치시킬 수 있다.
방향 A와 방향 B를 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아도 좋다. 방향 A는 기준 렌즈(임의로 선택한 렌즈)의 중심점 O와, 기준 렌즈와 인접하는 렌즈(최인접 렌즈 이외의 인접 렌즈이어도 좋다. 이하, 제1인접 렌즈라고 함)의 중심점 O'를 연결하는 방향이다. 방향 B는 기준 렌즈의 중심점 O와, 제1인접 렌즈 및 기준 렌즈의 양쪽에 인접하는 렌즈의 중심점 O"을 연결하는 방향이다.
(렌즈 어레이의 설명)
도 13은 시야각 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시야각 θ는, 피판독 화상의 1점으로부터 출사한 광선 중, 렌즈 중심을 지나는 광선을 주광선으로 하면, 그 주광선의 각도를 말한다.
0°<θ≤13°일 때는 구면 렌즈, 13°<θ≤18°일 때는 비구면 렌즈, 18°<θ≤21°는 프레넬 렌즈를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시야각이 커지면 수차가 커지기 때문에, 시야각을 18°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이하로 한다.
렌즈 피치를 P, 렌즈 직경을 D로 하면, P/D가 작으면, 고스트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렌즈 직경 D가 클 수록 여분의 광선이 입사하기 쉽고, 렌즈 피치 P가 작을 수록 여분의 광선이 입사하기 쉬워진다.
P/D가 크면, 결상에 사용되는 렌즈가 적어지기 때문에, 화상이 어두워진다. 렌즈 피치 P가 커지면 고스트가 발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고스트 제거에 필요한 슬릿의 개구부의 폭 a는 커지고, 필요한 차광벽 높이 h는 낮아진다.
슬릿을 갖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반드시 렌즈 배열방향을 경사시킬 필요가 있다. 밝기는 렌즈 배열방향의 경사 각도에 의존하지 않는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 어레이(8)의 외측 렌즈간의 거리를 렌즈 두께 z로 하면, 렌즈 두께 z는 미광 제거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밝기에만 영향을 준다. 렌즈 두께 z는 미광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렌즈 두께 z가 클 수록, 결상광 전달 비율이 저하된다. z/TC(TC는 렌즈 공액 길이)가 작은 경우는 결상 가능한 렌즈의 제작이 곤란해진다. 한편, z/TC가 큰 경우는 작동거리 WD가 작아지기 때문에, 슬릿의 설치 등이 어렵고, 조립이 곤란해진다.
또, 결상광 전달 비율은 각 시야각의 렌즈의 차광벽 높이 O에서의 결상광 전달량에 대한, 각 조건에서의 전달량의 비라고 정의한다. 결상광 전달 비율이 50%보다 작으면, 밝기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화상을 전달할 수 없다.
렌즈 직경 D는 렌즈 두께 z로 나타낼 수 있고, 다음 식으로 나타내진다.
[수학식 1]
D=z×θ
이것은 다음 요령으로 도출된다. 도 13으로부터, D/2=(z'/2)×tanθ'이다. 또한, 시야각 θ에서 진입한 광선은 sinθ=nsinθ'의 관계가 있고, sinθ=θ와 근 사 하는 것으로 θ'=θ/n이 된다. n은 렌즈의 굴절율, θ'은 렌즈를 통과한 후의 광선의 각도이다. 또한, 실(實) 렌즈 두께와(공기 환산) 두께는 z'=z×n의 관계가 있어, 이들로부터, z'와 θ'를 바꿔 놓으면 D=z×tan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관계식을 사용함으로써, 슬릿, 차광벽에 관해서 렌즈 두께 z로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렌즈 열 폭 RO는 미광 제거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밝기에만 영향을 준다. 렌즈 열 폭 RO는 미광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렌즈 열 폭 RO가 클 수록 결상광 전달 비율은 커진다. 렌즈가 커지면 그만큼, 장치가 대형화되기 때문에, 각종 광학기기에 실장할 때 불리해진다. 렌즈 열 폭 RO가 작을수록 어두워진다. 렌즈 열 폭 RO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 플레이트(18)의 짧은변방향의 렌즈 형성영역의 최대폭 MW로부터 렌즈 직경 D를 그린 값(RO=MW-D)으로 정의한다.
렌즈 열 폭 RO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릿(24)의 개구부의 폭 a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 표면에 투영되는 폭, 즉 a/(0.5TC-S)×(TC-z)(S는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임), 또는 도 16과 같이, 시야각 θ의 광선 넓이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 표면에 투영되는 폭 L(θ), 즉(TC-z)tanθ의 어느 작은 값보다도 클 필요가 있다.
(렌즈 개구 직경에 의한 밝기 향상에 관한 설명)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 DL을 조정함으로써, 시야각 θ를 변화시키지 않고 밝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2장의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를 적층하여 사용하는 경우,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를 적층하였을 때에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 D로 하고,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 DL을 렌즈 직경 D보다도 크게 하는 것으로, 동일 시야각에 있어서, 더욱 밝은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밝기는 외측 렌즈의 개구의 크기에 의해서 결정된다. 따라서, 외측 렌즈가 전체면 렌즈이면, "구석을 비치지 않는 현상"이 전혀 없는 상태가 되고, 그 시야각 θ에 있어서의 최대의 밝기로 할 수 있다. 따라서, DL=D의 경우는 렌즈 피치 P가 증가함으로써, 밝기가 저하되지만, DL>D로 한 경우는 렌즈 피치의 증가에 관계 없이, 밝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DL>D로 하여, DL/P를 크게 하는 것으로, 밝기가 저하되지 않는다.
화상을 선형 결상영역(라인 센서)에 전송하는 경우는 주주사방향의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만이 화상 해상도에 영향을 주고, 부주사방향의 MTF는 화상 해상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MTF는 시야각 θ에 의존하기 때문에, 선형의 판독 장치 또는 기록 장치에서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주사방향에만 내측 렌즈(10)의 렌즈 직경을 작게 하면, 고해상도로 밝은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장의 렌즈 플레이트(18)를 주주사방향으로 엇갈리게 하면,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렌즈와 내측 렌즈가 겹치는 부분 이외는 광선이 구석을 비치지 않기 때문에,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작게 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0에 있어서, 부호 20은 피판독 화상을, 부호 22는 라인 센서를 도시한다.
이하의 조건으로 밝기를 계산한 결과, 렌즈 직경 0.32mm의 렌즈를 0.04mm 엇 갈리게 하고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0.28mm 상당으로 한 경우, 렌즈를 엇갈리게 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밝기가 1.25배가 되었다. 또, 미광량은 0% 이었다.
시야각 θ 6.12°
실 공액 길이 TC' 15mm
실(實) 렌즈 두께 z' 4mm
렌즈 곡율 반경 R 0.5655mm
렌즈 피치 P 0.39mm
P/D 1.25
렌즈 배열방향 경사 15°
렌즈의 굴절율 n 1.53
렌즈 열 폭 RO 0.823mm
주주사길이 100mm
슬릿 개구폭 0.5mm
화상면과 슬릿의 사이의 거리 3.343mm
차광벽은 외장형(화상면측만)
차광벽 높이 h 0.309mm
(렌즈 어레이 배치에 관한 설명)
도 22A는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18)를 화상 판독 장치 또는 화상 기록 장치의 하우징에 정밀도 좋게 장착한 경우의 모식도이다. 도 22B는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18)가 경사 장착된 경우의 모식도이다. 이 경우, 광축(50)이 경사져 있기 때 문에, 높은 광학 성능을 얻을 수 없고, 화상 품질이 저하되어 버린다.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면적이 작으면, 장착하였을 때에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가 기울기 쉬워지기 때문에, 높은 장착 정밀도가 요구된다. 따라서,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면적은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렌즈 플레이트(18)의 면적을 크게 하면,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명장치로부터의 조명광(52)이 렌즈 플레이트(18)의 단부에 의해서 구석을 비치지 않는다는 부적당함이 생긴다. 그래서,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 플레이트상의, 조명장치에 가까운 쪽에 렌즈 형성영역을 형성하고, 조명장치에 가까운 쪽에서는 렌즈 형성영역 이외의 면적이 거의 제로가 되도록 한다. 즉, 렌즈 단부의 근방까지 렌즈 형성영역을 형성하면 조명광이 구석을 비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4는 편측 조명의 경우밖에 적용할 수 없지만, 양측 조명의 경우는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 플레이트의 양측을 모떼기함으로써, 조명광이 구석을 비치지 않는 현상을 저감할 수 있다. 또, 편측 조명의 경우에는 조명에 가까운 측의 단부만을 모떼기하면 좋다.
(차광벽에 관한 설명)
적어도 1장의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상에는 1개의 렌즈와 다른 렌즈의 사이에, 불필요한 광선을 제거하기 위한 광 흡수성의 벽(차광벽)이 형성되어 있다. 차광벽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 표면에 형성되는 경우와, 렌즈 플레이트 내부에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도 26은 화상 판독 장치의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차광벽(16)을 렌즈 플레이트(18)의 표면에 형성한 예(외장형)를 도시한다. 도면 중, 부호 20은 피판독 화상(원고)을 도시하고, 부호 22는 라인 센서를 도시한다.
이러한 외장형 차광벽의 경우는 렌즈(10) 상에 점성이 높은 흑색잉크를 중첩하여 칠하여 차광벽으로 하거나, 또는 렌즈 이외의 부분을 덮도록 성형된 흑색 수지 성형품 등을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18)상에 재치하여 차광벽으로 할 수 있다.
도 27은 화상 판독 장치의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차광벽(16)을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18)의 내부에 형성한 예(내장형)를 도시한다. 내장형 차광벽의 경우는 레이저를 조사하면 착색하는 수지로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차광벽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분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착색하거나, 또는 렌즈 주위에 홈을 형성하여 두고, 홈 중에 흑색 잉크 등을 충전함으로써 차광벽을 형성할 수 있다.
외장형 차광벽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판독 화상면측의 렌즈 플레이트 최상면에만 설치하여도 좋고,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 최하면(결상면측의 최상면)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상면, 최하면의 양쪽에 설치하여도 좋고,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사이(즉 렌즈 어레이의 내측)에 설치하여도 좋다.
도 10에 도시하는 미광 중, 피판독 화상점(31)에 가장 가까운 미광 발광점(32)으로부터의 미광, 및, 부주사방향(17)으로 먼 위치의 미광은 슬릿에 의해 제거가 가능하다. 그러나, 슬릿만으로 미광을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피판독 화상점(31)으로부터 먼 미광 발광점(32)은 디포커스에 의해, 미광 발광점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이다. 슬릿으로는 제거할 수 없는 미광은 차광벽에 의해서 제거한다. 이하, 차광벽의 높이 h의 결정방법을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차광벽은 외장형과 내장형이 있지만, 우선 외장형에 관해서 설명한다.
슬릿 근방의 미광은 슬릿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슬릿으로 제거되지 않는 원방의 미광에 대해서 살펴보자.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야각 θ로 넓어지는 광선이, 판독 화상면(20)에 도달하는 위치(광축 중심으로부터 거리 m의 위치)40에 대하여, 비례정수 e'의 위치 g'에 미광이 발생한 경우, m=tanθ×TC이고, g'=m×c'=(tanθ×TC)×e'가 된다. 위치 g'로부터 센서(22)에 도달하는 광선의 경사보다도, 렌즈(10)와 차광벽(16)의 높이 h가 이루는 경사 Ψ(tanΨ=h/D)가 크면, 미광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렌즈 직경(렌즈로서 유효하게 기능하는 부분의 직경)은 D이다.
[수학식 2]
TC/(tanθ×TC×e')≤(h/D)
변형하면, 1/e'≤(h/D)×tanθ
여기에서, 1/e'=e로 하면, e≤h/D×tanθ가 된다.
또,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 DL을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 D보다 크게 한 경우는 이들의 2치의 중간치,
DM=(DL+D)/2를 사용하여, e≤h/DM×tanθ가 된다.
차광벽이 외장형의 경우는 차광벽이 높을수록 밝기가 저하되지만, 차광벽이 내장형의 경우는 차광벽 높이 h와 밝기는 무관계하다. 렌즈 피치 P가 커지면, 차광벽 높이 h는 낮아진다. 또한, 렌즈 피치 P가 좁아지면, 미광은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비례정수 e는 다음 식과 같아진다.
[수학식 3]
e=(h/DM)×tanθ×(P/1.25D)
후술하는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차광벽을 렌즈 어레이의 양면에 형성하는 경우는 편면에만 형성하는 경우보다도, 각 면의 차광벽 높이 h는 작아서 좋다.
또한, 양면설치의 차광벽의 경우는 편면 설치의 차광벽과 비교하여 밝기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내장형 차광벽의 두께는 공기 환산 두께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의 두께는 1.53을 곱한 값이 된다. 외장형의 차광벽 경우는 공기 환산 두께와 실제의 두께는 같아진다.
또, 차광벽 높이 h를 높게 하면, 미광은 제거하기 쉬워지지만, 밝기가 어두워지고, 미광 제거와 광량은 트레이드오프(tradeoff)의 관계가 있다. 예를 들면, 비례정수 e가 커지면 시야각에 의하지 않고 미광이 0%가 되지만, 시야각에 의하지 않고 50% 이상의 광량(결상광 전달 비율)을 얻기 위해서는 비례정수 e가 어떤 일정한 값 이하일 필요가 있다.
내장형 차광벽의 경우는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렌즈에 대한 미광 입사를 막을 수 있다. 또한, 결상해야 하는 광선이 "구석을 비치지 않는 현상"이 없기 때문에, 차광벽(16)을 높게 하여도 전달율(광량)이 작아지지 않는다는 메리트가 있다.
내장형 차광벽의 높이(깊이)는 기본적으로는 외장형 차광벽의 경우와 같은 방식으로 규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외장형 차광벽의 최적 높이가 0.25mm인 경우, 같은 효과를 가지는 내장형 차광벽의 높이는 공기 환산분을 기본으로 되돌린 수치, 0.25×1.53=0.3825mm가 된다.
슬릿을 형성하지 않고, 차광벽만으로 미광을 방지할 수도 있다. 차광벽은 개개의 렌즈 주위에 형성되기 때문에, 주주사방향, 부주사방향 모두 방향에 관계없이 미광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슬릿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렌즈 배열방향을 경사시킬 필요는 없다. 단, 차광벽만으로 미광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슬릿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광벽의 높이를 높게 하지 않으면 미광을 제거할 수 없다.
슬릿이 없는 구조의 경우, 미광을 제거하기 위한 필수요소는 차광벽 높이 h, 렌즈 피치 p이다. 렌즈 두께 z 및 렌즈 열 폭 RO는 미광 제거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밝기에 영향을 준다.
차광벽의 광 흡수율, 차광벽의 표면 거칠기는 고스트 제거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차광벽의 광 흡수율이 낮은 경우에도, 차광벽의 표면 거칠기를 올림으로써 미광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차광벽의 광 흡수율이 낮으면(또는 광반사율이 높으면), 차광벽부분에서 광선이 반사하여, 새로운 미광이 발생하여 버린다. 이 때문에, 차광벽은 광 흡수율이 높은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흑색잉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표면 거칠기가 높으면 광을 반사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광 흡수율이 낮은 재료의 경우는 표면 거칠기를 높게 함으로써, 광 흡수율을 올릴 수 있다. 예를 들면 불투명 유리의 경우, 표면 거칠기는 수㎛의 정도가 된다.
(시뮬레이션 계산방법의 설명)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시뮬레이션 계산의 방법을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렌즈 두께 z와 공액 길이 TC는 실제의 렌즈 두께와 공액 길이는 아니고, 후술하는 공기 길이로 환산한 두께와 길이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도 14에 도시한 슬릿(24) 및 차광벽(16)을 형성한 화상 판독 장치의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예로 설명한다.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서측에 가상의 발광원(26)을 형성하고, 피판독 화상면에 평가면(28)을 형성한다. 평가면(28)의 사이즈는 200mm×200mm로 하였다. 실 공액 길이 TC'는 15mm이다.
화상 판독 장치에 있어서의 센서측 발광원(26)으로부터, 람버션(lambertian) 모델로 확대 각도 90°의 광을 발생시켜, 평가면(28)에 도달하는 에너지량을 측정하여, 고스트 및 광량을 평가하였다.
입사 에너지 100%와, 광축과 평가면(28)의 교점에 도달하는 에너지(결상광 전달량과의 비를 결상광 전달 비율이라고 부르고, 이것이 이미지 결상광학계의 광량이 된다. 또한, 평가면(28)상의 상기 이외의 점에 도달한 에너지의 총량이 미광량이고, 이 값이 클수록 고스트가 현저히 발생하게 된다.
화상 기록 장치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광원측에 가상의 발광원을 형성하고, 발광원으로부터 람버션 모델로 확대 각도 90°의 광을 발생시켜, 평가면(28)에 도달하는 에너지량을 측정하여, 고스트 및 광량을 평가하였다.
또, 이 계산 모델에 있어서의 광선 추적은 현실의 화상 판독계 및 화상 기록계는 광선의 방향이 반대가 되지만, 광선역행의 원리에 의해, 현실과 동일한 결과가 얻어진다. 즉, 계산의 결과, 미광량 0%가 되었을 때는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원의 에너지값과, 결상면상의 결상화상과 광축의 교점에 도달한 광선의 에너지값은 대략 같아진다. 광선 개수는 1만개로 계산하였다. 또한, 평가면의 사이즈는 상술한 바와 같이 200mm×200mm의 충분히 넓은 사이즈로 행하였다. 미광량이 0%이면, 고스트가 센서에 검출되지 않는 레벨이고, 미광량이 10% 이하이면, 고스트는 센서에 검출되지만, 그 후의 신호처리에 의해 고스트의 영향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레벨이다.
또한, 주주사방향에 대한 에너지 변동(광량 격차)도 아울러 평가하였다. 광원은 람버션 모델이지만, 계산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확대 각도 90°가 아니라, 시야각 15°로 실시하였다. 단, 계산 결과에서는 람버션 90° 상당의 결과가 되도록 다시 환산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광선 개수는 10만개로 하였다. 광량 격차는 다음 식에 의해 구하였다.
광량 격차=(최대 결상광 전달량-최소 결상광 전달량)/(최대 결상광 전달량+최소 결상광 전달량)
(차광벽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표 1에, 차광벽의 광반사율과 미광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광 흡수율=(100-광반사율)이기 때문에, 표 1로부터, 차광벽의 광 흡수율은 50 내지 100%가 바람직하고(미광량 10% 이하), 95 내지 100%(미광량 0%)가 더욱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표 2에, 광 흡수율 90%(광반사율 10%)의 차광벽에 대한 표면 거칠기 Ra와 미광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표 2로부터 차광벽의 광 흡수율이 90% 이상(즉 광반사율이 10% 이하)일 때는 표면 거칠기 Ra를 10nm 이상으로 하면, 미광량을 0%로 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3에 광 흡수율 50%(광반사율 50%)의 차광벽에 대한 표면 거칠기와 미광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표 3으로부터 차광벽의 광 흡수율이 50% 이상(즉 광반사율이 50% 이하)일 때는 표면 거칠기 Ra를 50nm 이상으로 하면, 미광량을 0%로 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4에 광 흡수율 0%(광반사율 100%)의 차광벽에 대한 표면 거칠기와 미광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표 4로부터 차광벽의 광 흡수율이 0% 이상(즉 광반사율이 100% 이하)일 때는 표면 거칠기 Ra를 500nm 이상으로 하면, 미광량을 0%로 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슬릿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렌즈 어레이와 이미지면의 사이에는 불필요한 광선을 제거하기 위한 슬릿을 형성하여도 좋다. 도 14는 도 26에 도시한 이미지 결상광학계에 슬릿(24)을 형성한 예를 도시한다.
슬릿을 형성하는 경우는 슬릿에 의한 미광 제거를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하기 위해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10)의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동일방향이 되지 않도록 렌즈를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에는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에 대하여, 렌즈 배열방향을 φ만큼 기울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슬릿의 개구부의 폭에 관해서는 2개의 파라미터 c, d가 있다. c는 미광 제거의 유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고, d는 "구석을 비치지 않는 현상"의 유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로 하면,
c={a/(2S×tan2θ×sin15°)}×(1.25D/P)로 나타낼 수 있다.
렌즈 피치 P가 커지면 슬릿의 개구부의 폭 a는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규정하기 위해서는 렌즈의 시야각도 관계한다. 슬릿의 개구부의 폭(부주사방향의 폭)은 피판독 화상점과 미광 발생점의 거리가 크면 넓고, 상기 거리가 작으면 좁아서 좋다.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판독 화상점(31)과 미광 발생점(32)의 사이의 거리 g는 센서측으로부터 시야각 θ로 피판독 화상면에 투영되는 점과 피판독 화상점(31)의 거리 m으로 한 경우, 거리 g와 거리 m은 비례하기 때문에, g/m=c가 된다. 시야각 θ에 관계 없이 c의 값에 의해서 고스트가 제거되기 때문에, 거리 g와 거리 m은 비례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리 m을 특정하는 경우는 렌즈의 공액 길이를 TC'로 한 경우, m=TC'tanθ는 아니다. 왜냐하면, 렌즈 어레이부분에서 굴절이 일어나기 때문에, 투영되는 위치는 다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본 설명에서는 실제의 렌즈의 두께(렌즈 어레이의 최상면의 렌즈의 가장 높은 부분과, 렌즈 어레이 최하면의 렌즈의 가장 높은 부분을 맺은 길이)가 z'이고, 렌즈의 굴절율이 n인 경우, 렌즈의 두께를 공기 환산한 두께 z=z'/n으로 하여 취급하고 있다. 또한, 렌즈의 공액 길이 TC'는 공기 환산의 공액 길이 TC로서 취급하여, TC=TC'-z+z/n이 된다. 예를 들면 실 렌즈 두께 z'=4mm일 때는 공기 환산 두께는 렌즈 두께를 공기의 굴절율로 제산하여, 4/1.53=2.61mm가 된다. 또한, 렌즈 공액 길이 TC'=15mm일 때는 TC'의 공기 환산 길이 TC는 15-4+2.61=13.61mm가 된다. 공기 환산을 함으로써, m=tanθ×TC로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져, g=c×tanθ×TC가 된다.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이하 c=1로 살펴보자.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스트도 결상할 때와 같이 렌즈에 집광하기 위해서, 제 1 고스트가 발생하는 위치로부터, 광선이 시야각 θ로 넓어져, 센서에 도달한다고 생각된다. 이 때의 가장 내측의 미광은 기하학적으로 렌즈 공액 길이 TC 중심 위치로부터 2θ의 넓이로 나타내진다. 따라서, TC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 S에서, 미광이 존재하지 않는 폭은 2Stan2θ가 된다.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 배열방향을 각도 φ 경사시키고 있기 때문에, 부주사방향에 미광이 존재하지 않는 폭은 2Stan2θ에 sinφ를 곱하여, 2Stan2θ×sinφ가 된다.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TC 중심에서 슬릿(24)까지의 위치 S에서의 슬릿의 개구부의 필요 폭 a는 2Stan2θ×sinφ가 된다. 여기까지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c=1로 하였지만, 현실에서는 c=a/(2Stan2θ×sinφ)이다. a=2Stan2θ×sinφ×c는 미광이 존재하지 않는 폭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슬릿의 개구부의 폭은 이것보다도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시뮬레이션에 의해 sinφ를 변화시킨 바, φ=15°로 슬릿의 개구부의 폭 a를 계산하였을 때에, 가장 미광량이 적어지는 최적의 조건이 되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φ=15°로 하기로 하였다.
슬릿의 개구부의 폭의 최저치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도 35는 도 34에 피판독 화상점(31)으로부터 시야각 θ로 넓어진 광선을 추가한 것이다.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상광은 피판독 화상면(20; 원고면)으로부터 시야각 θ의 넓이를 가진다. 슬릿(24)이 이 범위에 걸리면, 결상에 필요한 광선이 차단되는 현상, 소위 "구석을 비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고, 화상의 일부가 결상되지 않게 되어 버린다. 단,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석을 비치지 않는 현상"은 외주부로부터 발생하기 때문에, 다소 구석을 비치지 않아도, 결상에 대한 영향은 적다.
TC 중심에서 슬릿(24)까지의 거리가 S이기 때문에, 원고면(20)으로부터 슬릿까지의 거리는 0.5TC-S가 되고, "구석을 비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는 2tanθ×(0.5TC-S)가 된다. 이 범위와 슬릿의 개구부의 폭의 비 d=a/(2tanθ×(0.5TC-S))가 1이상이면 "구석을 비치지 않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비 d가 1에 가까울 수록 광량이 커지고, 비 d가 작을 수록 광량 격차가 작아진다. 슬릿과 렌즈의 사이의 거리가 작을 수록, 슬릿의 개구부의 폭 a를 좁게 할 필요가 있지만, 슬릿의 개구부의 폭 a가 작으면 "구석을 비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여, 결상 화상이 어두워진다.
슬릿의 위치에 의해서 미광량에 차이는 없지만, S/TC가 작아지면, 슬릿과 렌즈가 접촉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고, S/TC가 일정한 값 이상이면, 결상광 전달율이 50% 이상이 되지만, S/TC가 지나치게 커지면, 슬릿과 피판독 화상면(화상 기록면)이 접촉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특히 화상 판독 장치의 경우, 피판독 화상면과 슬릿의 사이에 유리 천판(天板)이 설치되기 때문에, 슬릿과 렌즈가 접촉하여 버린다.
슬릿은 렌즈 어레이와 이미지면의 사이뿐만 아니라, 렌즈 어레이와 화상 판독면(센서)의 사이에 형성하여도 좋다. 화상 판독 장치 내부의 부품에 반사된 광도 미광의 원인이 되지만, 이와 같은 미광은 양이 적기 때문에, 화질에 주는 영향은 작다. 그러나, 화상 판독면측에도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이와 같은 미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이미지면측 및 화상 판독면측의 양쪽에 슬릿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 판독면측에 형성하는 슬릿의 개구부의 폭 등의 설계치는 상술한 이미지면측의 슬릿과 동일하게 한다.
이하, 슬릿의 유무, 차광벽의 설치형(외장형 또는 내장형)과 차광벽의 설치 위치(이미지면측 또는 판독면·기록면)의 차이에 의한 구체적인 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1. 슬릿이 있고, 외장형 차광벽, 이미지면측에만 설치하는 경우
표 5에, 렌즈 배열방향 경사각도에 대한 미광량/결상광 전달량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표 6에, c=a/(2S×tan2θ×sin15°)에 대한 미광량/결상광 전달량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표 7에, P/D에 대한 미광량/결상광 전달량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표 8에, DL/P에 대한 미광량/결상광 전달량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표 9에, e=(h/DM)×tanθ×(P/1.25D)에 대한 결상광 전달 비율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표 5 내지 9로부터,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0%,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수치범위를 각각 구하면, 고스트를 억제 가능한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얻기 위한 설계치의 조건을 얻을 수 있다.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가 되는 것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상에만 형성되고,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9°<φ≤27°, 단, 0°<θ<3°일 때는 11°≤φ<17°, 3°≤θ<9°일 때는 10°≤φ<16°이고,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87≤e, 6.12°≤θ<9°일 때는 0.039≤e이다.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것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상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O°<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11°≤φ<25°, 단, 0°<θ<6.12°일 때는 11°≤φ<17°, 6.12°≤θ<9°일 때는 12°≤φ<17°이고, c의 값이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9°일 때는 1.142≤P/D<2.157, 9°≤θ<21°일 때는 1.180≤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e는 0.057≤e, 단, 0°<θ<6.12°일 때는 0.087≤e, 9°≤θ<21°의 경우, 0.077≤e이다.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가 되는 것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상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11°≤φ<17°이고, c의 값이 0<c<1.492이고, P/D는 1.142≤P/D이고, e는 0.087≤e이다.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것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상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12°≤φ<17°이고, c의 값이 0<c<1.492이고, P/D는 1.180≤P/D이고, e는 0.087≤e이다.
표 10에, d=a/(2tanθ×(0.5TC-S))에 대한 결상광 전달 비율의 변화 및 광량 격차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표 11에, P/D에 대한 결상광 전달 비율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표 12에, e=(h/DM)×tanθ×(P/1.25D)에 대한 결상광 전달 비율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표 13에, S/TC에 대한 결상광 전달율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표 14에, z/TC에 대한 결상광 전달 비율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표 15에, V=RO/((TC-z)×tanθ)에 대한 광량전달율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표 10 내지 표 15로부터 밝기가 50% 이상이 되는 수치범위를 구하면, 밝기가 50% 이상이 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얻기 위한 설계치의 조건을 얻을 수 있다.
밝기가 50% 이상이 되는 것은 d의 값이 0.255≤d이고, P/D는 1.678>P/D이고, e는 0.768>e이고, S/TC가 0.144<S/TC이고, z/TC가 0.245≤z/TC이고,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열 폭을 RO로 한 경우, V=RO/((TC-z)×tanθ)의 값이 0.278≤V이다.
또한, d의 값이 0.255≤d이고, e는 0.768>e이고, S/TC가 0.144<S/TC이고, z/TC가 0.245≤z/TC이고, V의 값이 0.278≤V이고, DL/P가 0.750≤DL/P<1이다.
2. 슬릿이 있고, 외장형 차광벽, 판독면 또는 기록면측에만 설치하는 경우
표 16에 e=(h/DM)×tanθ×(P/1.25D)에 대한 미광량/결상광 전달량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표 16 및 이미 나타낸 표 5, 표 6, 표 7, 표 8로부터,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0%,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수치범위를 각각 구하면, 고스트를 억제 가능한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얻기 위한 설계치의 조건을 얻을 수 있다.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가 되는 것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차광벽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9°<φ≤27°, 단, 0°<θ<3°일 때는 11°≤φ<17°, 3°≤θ<9°일 때는 10°≤φ<16°이고, c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e는 0<e, 단, 0°<θ<6.12°일 때는 0.108≤e, 6.12°≤θ<9°일 때는 0.048≤e이다.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것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차광벽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11°<φ≤25°, 단, 0°<θ<6.12°일 때는 11°≤φ<17°, 6.12°≤θ<9°일 때는 12°≤φ<17°이고, c의 값이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9°일 때는 1.142≤P/D<2.157, 9°≤θ<21°일 때는 1.180≤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e는 0.071≤e, 단, 0°<θ<6.12°일 때는 0.108≤e, 9°≤θ<21°일 때는 0.095≤e이다.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가 되는 것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차광벽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11°≤φ<16°이고, c의 값이 0.466≤c<1.327이고, P/D는 1.142≤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e는 0.108≤e이다.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것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차광벽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12°≤φ<16°이고, c의 값이 0.466≤c<1.327이고, P/D는 1.180≤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e는 0.108≤e이다.
또한, 이미 나타낸 표 10, 표 11, 표 12, 표 13, 표 14, 표 15로부터, 밝기가 50% 이상이 되는 수치범위를 구하면, 밝기가 50% 이상이 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얻기 위한 설계치의 조건을 얻을 수 있다.
밝기가 50% 이상이 되는 것은 d의 값이 0.255≤d이고, P/D는 1.678>P/D이고, e는 0.768>e이고, S/TC가 0.144<S/TC이고, z/TC가 0.245≤z/TC이고, V의 값이 0.278≤V이고, DL/P가 0.750≤DL/P이다.
3. 슬릿이 있고, 외장형 차광벽, 이미지면측 및 판독면 또는 기록면측의 양측에 설치하는 경우
표 17에, e=(h/DM)×tanθ×(P/1.25D)에 대한 미광량/결상광 전달량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표 17 및 이미 나타낸 표 5, 표 6, 표 7, 표 8로부터,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0%,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수치범위를 각각 구하면, 고스트를 억제 가능한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얻기 위한 설계치의 조건을 얻을 수 있다.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가 되는 것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차광벽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상 및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상의 양쪽에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9°<φ≤27°, 단, 0°<θ<3°일 때는 11°≤φ<17°, 3°≤θ<9°일 때는 10°≤φ<16°이고, c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e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66≤e, 6.12°≤θ<9°일 때는 0.03≤e이다.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것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차광벽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상 및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상의 양쪽에 형성되고,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O°<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11°≤φ<25°, 단, 0°<θ<6.12°일 때는 11°≤φ<17°, 6.12°≤θ<9°일 때는 12°≤φ<17°이고, c의 값이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9°일 때는 1.142≤P/D<2.157, 9°≤θ<21°일 때는 1.180≤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e는 0.044≤e, 단, 0°<θ<6.12°일 때는 0.066≤e, 9°≤θ<21°일 때는 0.058≤e이다.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가 되는 것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차광벽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상 및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상의 양쪽에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11°≤φ<16°이고, c의 값이 0.466≤c<1.327이고, P/D는 1.142≤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e는 0.066≤e이다.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것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차광벽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상 및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상의 양쪽에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12°≤φ<16°이고, c의 값이 0.466≤c<1.327이고, P/D는 1.180≤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e는 0.066≤e이다.
표 18에, e=(h/DM)×tanθ×(P/1.25D)에 대한 결상광 전달 비율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표 18 및 이미 나타낸 표 10, 표 11, 표 13, 표 14, 표 15로부터, 밝기가 50% 이상이 되는 수치범위를 구하면, 밝기가 50% 이상이 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얻기 위한 설계치의 조건을 얻을 수 있다.
밝기가 50% 이상이 되는 것은 d의 값이 0.255≤d이고, P/D는 1.678>P/D이고, e는 0.479>e이고, S/TC가 0.144<S/TC이고, z/TC가 0.245≤z/TC이고, V의 값이 0.278≤V이고, DL/P가 0.750≤DL/P이다.
4. 슬릿이 있고, 내장형 차광벽, 이미지면측에만 설치하는 경우
표 19에, e=(h/DM)×tanθ×(P/1.25D)에 대한 미광량/결상광 전달량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표 19 및 이미 나타낸 표 5, 표 6, 표 7, 표 8로부터,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0%,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수치범위를 각각 구하면, 고스트를 억제 가능한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얻기 위한 설계치의 조건을 얻을 수 있다.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가 되는 것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O°<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9°<φ≤27°, 단, 0°<θ<3°일 때는, 11°≤φ<17°, 3°≤θ<9°일 때는 10°≤φ<16°이고, c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e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71≤e, 6.12°≤θ<9°일 때는 0.031≤e이다.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것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11°≤φ<25°, 단, 0°<θ<6.12°일 때는 11°≤φ<17°, 6.12°≤θ<9°일 때는 12°≤φ<17°이고, c의 값이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9°일 때는 1.142≤P/D<2.157, 9°≤θ<21°일 때는 1.180≤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e는 0.046≤e, 단, 0°<θ<6.12°일 때는 0.071≤e, 9°≤θ<21°일 때는 0.062≤e이다.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가 되는 것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11°≤φ<16°이고, c의 값이 0.466≤c<1.327이고, P/D는 1.142≤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e는 0.071≤e이다.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것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경사 각도 R이 12°≤R<16°이고, c의 값이 0.466≤c<1.327이고, P/D는 1.180≤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e는 0.071≤e이다.
5. 슬릿이 있고, 내장형 차광벽, 판독면 또는 기록면측에만 설치하는 경우
표 20에, e=(h/DM)×tanθ×(P/1.25D)에 대한 미광량/결상광 전달량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표 20 및 이미 나타낸 표 5, 표 6, 표 7, 표 8로부터,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0%,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수치범위를 각각 구하면, 고스트를 억제 가능한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얻기 위한 설계치의 조건을 얻을 수 있다.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가 되는 것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차광벽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9°<φ≤27°, 단, 0°<θ<3°일 때는 11°≤φ<17°, 3°≤θ<9°일 때는 10°≤φ<16°이고, c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c는 0<c, 단, 0°<θ<6.12°일 때는 0.071≤e, 6.12°≤θ<9°일 때는 0.031≤e이다.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것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차광벽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11°≤φ<25°, 단, 0°<θ<6.12°일 때는 11°≤φ<17°, 6.12°≤θ<9°일 때는 12°≤φ<17°이고, c의 값이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9°일 때는 1.142≤P/D<2.157, 9°≤θ<21°일 때는 1.180≤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e는 0.046≤e, 단, 0°<θ<6.12°일 때는 0.071≤e, 9°≤θ<21°일 때는 0.062≤e이다.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가 되는 것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차광벽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11°≤φ<16°이고, c의 값이 0.466≤c<1.327이고, P/D는 1.142≤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e는 0.071≤e이다.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것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차광벽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12°≤φ<16°이고, c의 값이 0.466≤c<1.327이고, P/D는 1.180≤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e는 0.071≤e이다.
6. 슬릿이 있고, 내장형 차광벽, 이미지면측 및 판독면 또는 기록면측의 양쪽에 설치하는 경우
표 21에, e=(h/DM)×tanθ×(P/1.25D)에 대한 미광량/결상광 전달량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표 21 및 이미 나타낸 표 5, 표 6, 표 7, 표 8로부터,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0%,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수치범위를 각각 구하면, 고스트를 억제 가능한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얻기 위한 설계치의 조건을 얻을 수 있다.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가 되는 것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의 양쪽에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9°<φ≤27°, 단, 0°<θ<3°일 때는 11°≤φ<17°, 3°≤θ<9°일 때는 10°≤φ<16°이고, c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e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62≤e, 6.12°≤θ<9°일 때는 0.028≤e이다.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것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의 양쪽에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11°≤φ<25°, 단, 0°<θ<6.12°일 때는 11°≤φ<17°, 6.12°≤θ<9°일 때는 12°≤φ<17°이고, c의 값이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9°일 때는 1.142≤P/D<2.157, 9°≤θ<21°일 때는 1.180≤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e는 0.041≤e, 단, 0°<θ<6.12°일 때는 0.062≤e, 9°≤θ<21°일 때는 0.055≤e이다.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가 되는 것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의 양쪽에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11°≤φ<16°이고, c의 값이 0.466≤c<1.327이고, P/D는 1.142≤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e는 0.062≤e이다.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것은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의 양쪽에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12°≤φ<16°이고, c의 값이 0.466≤c<1.327이고, P/D는 1.180≤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e는 0.062≤c이다.
7. 슬릿이 없고, 외장형 차광벽, 이미지면측에만 설치하는 경우
표 22에, P/D에 대한 미광량/결상광 전달량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표 23에, e=(h/DM)×tanθ×(P/1.25D)에 대한 미광량/결상광 전달량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표 22 및 표 23으로부터,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0%,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수치범위를 각각 구하면, 고스트를 억제 가능한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얻기 위한 설계치의 조건을 얻을 수 있다.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가 되는 것은,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P/D는 1.034≤P/D, 단, 0°<θ<6.12°일 때는 1.142≤P/D이고, e는 0.479≤e이다.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것은,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P/D는 1.034≤P/D, 단, 0°<θ<9°일 때는 1.142≤P/D, 9°≤θ<21°일 때는 1.180≤P/D이고, e는 0.498≤e이다.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가 되는 것은,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P/D는 1.142≤P/D이고, e는 0.479≤e이다.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것은,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P/D는 1.180≤P/D이고, e는 0.498≤e이다.
표 24에, P/D에 대한 결상광 전달 비율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표 24 및 이미 나타낸 표 8로부터, 밝기가 50% 이상이 되는 수치범위를 구하면, 밝기가 50% 이상이 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얻기 위한 설계치의 조건을 얻을 수 있다.
밝기가 50% 이상이 되는 것은 P/D는 1.678>P/D이고, 0.750≤DL/P이다.
8. 슬릿이 없고, 외장형 차광벽, 판독면 또는 기록면측에만 설치하는 경우
표 25에, e=(h/DM)×tanθ×(P/1.25D)에 대한 미광량/결상광 전달량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표 25 및 이미 나타낸 표 22로부터,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0%,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수치범위를 각각 구하면, 고스트를 억제 가능한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얻기 위한 설계치의 조건을 얻을 수 있다.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가 되는 것은, 차광벽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P/D는 1.034≤P/D, 단, 0°<θ<6.12°일 때는 1.142≤P/D이고, e는 0.479≤e이다.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것은, 차광벽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P/D는 1.034≤P/D, 단, 0°<θ<9°일 때는 1.142≤P/D, 9°≤θ<21°일 때는 1.180≤P/D이고, e는 0.498≤e이다.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가 되는 것은, 차광벽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P/D는 1.142≤P/D이고, e는 0.479≤e이다.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것은, 차광벽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P/D는 1.180≤P/D이고, e는 0.498≤e이다.
표 26에, Z/TC에 대한 결상광 전달 비율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표 26 및 이미 나타낸 표 24, 표 8로부터, 밝기가 50% 이상이 되는 수치범위를 구하면, 밝기가 50% 이상이 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얻기 위한 설계치의 조건을 얻을 수 있다.
밝기가 50% 이상이 되는 것은 z/TC가 0.245≤z/TC이고, P/D는 1.678>P/D이고, 0.750≤DL/P이다.
9. 슬릿이 없고, 외장형 차광벽, 이미지면측 및 판독면 또는 기록면측의 양쪽에 설치하는 경우
표 27에, c=(h/DM)×tanθ×(P/1.25D)에 대한 미광량/결상광 전달량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표 27 및 이미 나타낸 표 22로부터,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0%,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수치범위를 각각 구하면, 고스트를 억제 가능한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얻기 위한 설계치의 조건을 얻을 수 있다.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가 되는 것은,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상 및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상의 양쪽에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P/D는 1.034≤P/D, 단, 0°<θ<6.12°일 때는 1.142≤P/D이고, e는 0.287≤e이다.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것은,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상 및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상의 양쪽에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O°<θ≤21°이고, P/D는 1.034≤P/D, 단, 0°<θ<9°일 때는 1.142≤P/D, 9°≤θ<21°일 때는 1.180≤P/D이고, e는 0.307≤e이다.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가 되는 것은,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상 및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상의 양쪽에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P/D는 1.142≤P/D이고, e는 0.287≤e이다.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것은,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상 및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상의 양쪽에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P/D는 1.180≤P/D이고, e는 0.307≤e이다.
표 28에, e=(h/DM)×tanθ×(P/1.25D)에 대한 결상광 전달 비율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표 28 및 이미 나타낸 표 24, 표 8로부터, 밝기가 50% 이상이 되는 수치범위를 구하면, 밝기가 50% 이상이 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얻기 위한 설계치의 조건을 얻을 수 있다.
밝기가 50% 이상이 되는 것은 P/D는 1.678>P/D이고, 0.574>e, 0.750≤DL/P이다.
10. 슬릿이 없고, 내장형 차광벽, 이미지면측에만 설치하는 경우
표 29에, e=(h/DM)×tanθ×(P/1.25D)에 대한 미광량/결상광 전달량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표 29 및 이미 나타낸 표 22로부터,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0%,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수치범위를 각각 구하면, 고스트를 억제 가능한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얻기 위한 설계치의 조건을 얻을 수 있다.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가 되는 것은,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P/D는 1.034≤P/D, 단, 0°<θ<6.12°일 때는 1.142≤P/D이고, e는 0.347≤e이다.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것은,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P/D는 1.034≤P/D, 단, 0°<θ<9°일 때는 1.142≤P/D, 9°≤θ<21°일 때는 1.180≤P/D이고, e는 0.384≤c이다.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가 되는 것은,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P/D는 1.142≤P/D이고, e는 0.347≤e이다.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것은,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P/D는 1.180≤P/D이고, e는 0.384≤e이다.
11. 슬릿이 없고, 내장형 차광벽, 판독면 또는 기록면측에만 설치하는 경우
표 30에, e=(h/DM)×tanθ×(P/1.25D)에 대한 미광량/결상광 전달량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표 30 및 이미 나타낸 표 22로부터,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0%,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수치범위를 각각 구하면, 고스트를 억제 가능한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얻기 위한 설계치의 조건을 얻을 수 있다.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가 되는 것은, 차광벽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P/D는 1.034≤P/D, 단, 0°<θ<6.12°일 때는 1.142≤P/D이고, e는 0.307≤e이다.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것은, 차광벽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P/D는 1.034≤P/D, 단, 0°<θ<9°일 때는 1.142≤P/D, 9°≤θ<21°일 때는 1.180≤P/D이고, e는 0.326≤e이다.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가 되는 것은, 차광벽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 이고, P/D는 1.142≤P/D이고, e는 0.307≤e이다.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것은, 차광벽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P/D는 1.180≤P/D이고, e는 0.326≤e이다.
12. 슬릿이 없고, 내장형 차광벽, 이미지면측 및 판독면 또는 기록면측의 양쪽에 설치하는 경우
표 31에 e=(h/DM)×tanθ×(P/1.25D)에 대한 미광량/결상광 전달량의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표 31 및 이미 나타낸 표 22로부터,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0%,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수치범위를 각각 구하면, 고스트를 억제 가능한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얻기 위한 설계치의 조건을 얻을 수 있다.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가 되는 것은,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 및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의 양쪽에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P/D는 1.034≤P/D, 단, 0°<θ<6.12°일 때는 1.142≤P/D이고, e는 0<e이다.
각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것은,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 및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의 양쪽에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P/D는 1.034≤P/D, 단, 0°<θ<9°일 때는 1.142≤P/D, 9°≤θ<21°일 때는 1.180≤P/D이고, e는 0.287≤e이다.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10% 이하가 되는 것은,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 및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의 양쪽에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P/D는 1.142≤P/D이고, e는 0<e이다.
모든 시야각에서 미광량 0%가 되는 것은,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 및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의 양쪽에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P/D는 1.180≤P/D이고, e는 0.287≤e이다.
13. 임의의 렌즈 배열의 경우
상기 슬릿이 있는 경우의 이미지 결상계에서는 렌즈 어레이 배열을 육방 배열에 한정하여 시뮬레이션을 하였지만, 상기 결과로부터 임의의 렌즈 배열의 경우의 설계치도 구할 수 있다.
렌즈의 인접 각도 x°로 하면, 고스트 제거를 위해서 최적의 렌즈 배열방향 경사 각도 y°는 y°=-0.006630x2+0.809473x-9.700729가 된다. 표 5는 육방 배열의 경우의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지만, 정방 배열 등 그 밖의 배열에 있어서도, 최적 경사 각도를 중심으로 하여 미광이 증가한다고 하는 표 5와 완전히 같은 수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임의의 렌즈 배열의 경우, 표 5의 가로축의 경사 각도에, (육방 배열의 최적 경사 각도(=15°))/y°를 승산하면, 임의의 렌즈 배열의 경우의 경사 각도와 미광량의 관계를 구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구한 표로부터, 각 시야각에 있어서 미광량 10% 이하가 되는 부분의 조건 값을 얻을 수 있다.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O°<θ≤21°이고, 렌즈 어레이의 렌즈 인접 각도를 x°로 하고, y°=-0.006630x2+0.809473x-9.700729로 하였을 때, 경사 각도 φ가 9°×y°/15°<φ≤27°×y°/15°, 단, 0°<θ<3°일 때는 11°×y°/15°≤φ<17°×y°/15°, 3°≤θ<9°일 때는 10°×y°/15°≤φ<16°×y°/15°이고, c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e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87≤e, 6.12°≤θ<9°일 때는 0.039≤e이다.
또는 차광벽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9°×y°/15°<φ≤27°×y°/15°, 단, 0°<θ<3°일 때는 11°×y°/15°≤φ<17°×y°/15°, 3°≤θ<9°일 때는 10°×y°/15°≤φ<16°×y°/15°이고, c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e는 0<e, 단, 0°<θ<6.12°일 때는 0.108≤e, 6.12°≤θ<9°일 때는 0.048≤e이다.
또는 차광벽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상 및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상의 양쪽에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9°×y°/15°<φ≤27°×y°/15°, 단, 0°<θ<3°일 때는 11°×y°/15°≤φ<17°×y°/15°, 3°≤θ<9°일 때는 10°×y°/15°≤φ<16°×y°/15°이고, c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e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66≤e, 6.12°≤θ<9°일 때는 0.03≤e이다.
또는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9°×y°/15°<φ≤27°×y°/15°, 단, 0°<θ<3°일 때는 11°×y°/15°≤φ<17°×y°/15°, 3°≤θ<9°일 때는 10°×y°/15°≤φ<16°×y°/15°이고, c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e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71≤e, 6.12°≤θ<9°일 때는 0.031≤e이다.
또는 차광벽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9°×y°/15°<φ≤27°×y°/15°, 단, 0°<θ<3°일 때는 11°×y°/15°≤φ<17°×y°/15°, 3°≤θ<9°일 때는 10°×y°/15°≤φ<16°×y°/15°이고, c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e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71≤e, 6.12°≤θ<9°일 때는 0.031≤e이다.
또는 차광벽은 이미지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와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렌즈 어레이 내부의 양쪽에 형성되고, 시야각 θ가 0°<θ≤21°이고, 경사 각도 φ가 9°×y°/15°<φ≤27°×y°/15°, 단, 0°<θ<3°일 때는 11°×y°/15°≤φ<17°×y°/15°, 3°≤θ<9°일 때는 10°×y°/15°≤φ<16°×y°/15°이고, c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 DL/P는 0.7≤DL/P<0.950이고, e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62≤e, 6.12°≤θ<9°일 때는 0.028≤e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정립 등배 렌즈 어레이를 사용한 화상 판독 장치의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화상 판독 장치)
도 37은 본 발명에 의한 정립 등배 렌즈 어레이를 갖는 광학계를 사용한 화상 판독 장치의 개략도이다. 화상 판독장치의 하나인 이미지 스캐너(200)는 원고대(64)에 적재된 원고 G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60)과, 원고 G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서 원고의 화상정보를 판독하는 이미지 센서(62)와, 원고를 주사시키는 구동원(230)과, 이미지 스캐너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부(208)를 구비한다. 이미지 센서(62)는 조사된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원고 G의 화상정보를 판독하는 복수의 수광소자를 갖는 수광소자 어레이와, 원고 G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소자 어레이에 결상하는 본 발명의 정립 등배 렌즈 어레이(61)를 구비한다.
제어회로부(208)는 구동원(2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주사 제어부(201)와, 광원(60)의 발광을 제어하는 점등 제어부(202)와, 이미지 센서(62)내의 이미지 센서기판(63)에 구비되는 수광소자 어레이에 의해서 원고 G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광전 변환하는 처리부를 제어하는 센서 구동 제어부(203)와, 센서 구동 제어부(203)에 의해서 얻어지는 광전 변환된 화상정보를 처리하는 화상처리부(204)와, 화상처리된 화상정보를 외부기기 등에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205)와, 화상처리, 인터페이스, 및 각종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207)와, 주사 제어부(201), 점등 제어부(202), 센서 구동 제어부(203), 화상처리부(204), 인터페이스부(205), 및 메모리(207)를 제어하는 중앙연산처리장치(206; CPU)를 구비한다.
또, 이미지 센서기판(63)의 색을 흑색 등의 명도가 낮은 색으로 하면, 이미지 센서 어레이기판에 있어서의 광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고, 미광의 방지에 효과적이다.
도 37에 도시하는 화상 판독장치에서는 이미지 센서(62)를 고정하여, 원고 G 자체를 주사시킴으로써, 원고의 화상정보의 판독을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원고 G를 고정하여, 광원(60) 및 이미지 센서(62)를 부주사방향(도시 Y방향)으로 주사시킴으로써, 원고의 화상정보를 판독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정립 등배 렌즈 어레이를 사용한 화상 기록장치의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화상 기록장치)
도 38은 본 발명에 의한 정립 등배 렌즈 어레이를 사용한 화상 기록장치의 하나인 복사기의 개략도이다. 도 37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여 도시하고 있고, 같은 설명은 생략한다.
도 38에 도시하는 복사기는 우선, 이미지 센서로부터의 화상정보에 기초하여, 광기록헤드(65) 내의 발광소자 어레이(66)가 점등한다. 다음에, 그 점등된 발광점으로부터의 광을, 본 발명의 정립 등배 렌즈 어레이(61)에 의해 집광하여 감광 드럼(302)에 조사한다. 원통형의 감광 드럼(302)의 표면에는 비결정질 Si 등의 광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감광체)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감광 드럼은 프린트의 속도로 회전하고 있다. 회전하고 있는 감광 드럼의 감광체 표면을, 대전기(304)로 똑같이 대전시킨다. 그리고, 광기록헤드로, 인자하는 도트 이미지의 광을 감광체상에 조사하여, 광이 닿은 부분의 대전을 중화한다. 계속해서, 현상기(306)에서 감광체상의 대전상태에 따라서, 토너를 감광체상에 댄다. 그리고, 반송되는 용지(312)상에, 전사기(308)로 토너를 전사한다. 용지(312)는 정착기(314)에서 열 등이 가해져 정착되어, 최종적으로 원고 G의 화상정보가 용지(312)상에 복사된다. 한편, 전사가 종료된 감광 드럼(302)은 소거램프(318)로 대전이 전체면에 걸쳐 중화되고, 청소기(320)에서 남은 토너가 제거된다.
도 38은 복사기로서 설명하였지만, 그 장치의 구성은 팩스밀리 또는 멀티펑션 프린터 등의 복합기에 관해서도 거의 동일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구성을 열기한다.
1.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9°<φ≤27°, 단, 0°<θ<3°일 때는 11°≤φ<17°, 3°≤θ<9°일 때는 10°≤φ<16°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87≤e, 6.12°≤θ<9°일 때는 0.039≤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2.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11°≤φ<25°, 단, 0°<θ<6.12°일 때는 11°≤φ<17°, 6.12°≤θ<9°일 때는 12°≤φ<17°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9°일 때는 1.142≤P/D<2.157, 9°≤θ<21°일 때는 1.180≤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057≤e, 단, 0°<θ<6.12°일 때는 0.087≤e, 9°≤θ<21°의 경우, 0.077≤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3.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11°≤φ<17°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c<1.492이고, P/D는 1.142≤P/D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087≤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4.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12°≤φ<17°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1.25D/P)의 값이 0<c<1.492이고, P/D는 1.180≤P/D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087≤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5. 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렌즈의 렌즈 공액 길이를 TC로 하였을 때에,
d=a/(2tanθ×(0.5TC-S))의 값이 0.255≤d이고,
상기 P/D는 1.678>P/D이고,
상기 e는 0.768>e이고,
S/TC가 0.144<S/TC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두께를 z로 하였을 때, z/TC가 0.245≤z/TC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열 폭을 RO로 하였을 때에, V=RO/((TC-z)×tanθ)의 값이 0.278≤V인 이미지 결상광학계.
6. 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렌즈의 렌즈 공액 길이를 TC로 하였을 때에, d=a/(2tanθ×(0.5TC-S))의 값이 0.255≤d이고,
상기 e는 0.768>e이고,
S/TC가 0.144<S/TC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렌즈 두께를 z로 하였을 때에, z/TC가 0.245≤z/TC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열 폭을 RO로 한 경우, V=RO/((TC-z)×tanθ)의 값이 0.278≤V이고,
DL/P가 0.750≤DL/P<1인 이미지 결상광학계.
7.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9°<φ≤27°, 단, 0°<θ<3°일 때는 11°≤φ<17°, 3°≤θ<9°일 때는 10°≤φ<16°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e, 단, 0°<θ<6.12°일 때는 0.108≤e, 6.12°≤θ<9°일 때는 0.048≤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8.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11°<φ≤25°, 단, 0°<θ<6.12°일 때는 11°≤φ<17°, 6.12°≤θ<9°일 때는 12°≤φ<17°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9°일 때는 1.142≤P/D<2.157, 9°≤θ<21°일 때는 1.180≤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071≤e, 단, 0°<θ<6.12°일 때는 0.108≤e, 9°≤θ<21°일 때는 0.095≤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9.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11°≤φ<16°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327이고,
P/D는 1.142≤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108≤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10.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12°≤φ<16°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327이고,
P/D는 1.180≤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108≤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11. 7 내지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렌즈의 렌즈 공액 길이를 TC로 하였을 때에, d=a/(2tanθ×(0.5TC-S))의 값이 0.255≤d이고,
상기 P/D는 1.678>P/D이고,
상기 e는 0.768>e이고,
S/TC가 0.144<S/TC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두께를 z로 하였을 때, z/TC가 0.245≤z/TC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열 폭을 RO로 하였을 때에, V=RO/((TC-z)×tanθ)의 값이 0.278≤V이고,
상기 DL/P가 0.750≤DL/P인 이미지 결상광학계.
12.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 및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9°<φ≤27°, 단, 0°<θ<3°일 때는 11°≤φ<17°, 3°≤θ<9°일 때는 10°≤φ<16°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c=(h/DM)×tanθ×(P/1.25D)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66≤e, 6.12°≤θ<9°일 때는 0.03≤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13.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 및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11°≤φ<25°, 단, 0°<θ<6.12°일 때는 11°≤R<17°, 6.12°≤θ<9°일 때는 12°≤φ<17°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9°일 때는 1.142≤P/D<2.157, 9°≤θ<21°일 때는 1.180≤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044≤e, 단, 0°<θ<6.12°일 때는 0.066≤e, 9°≤θ<21°일 때는 0.058≤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14.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 및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11°≤φ<16°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327이고,
P/D는 1.142≤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066≤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15.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 및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12°≤φ<16°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327이고,
P/D는 1.180≤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066≤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16. 12 내지 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렌즈의 렌즈 공액 길이를 TC로 하였을 때에, d=a/(2tanθ×(0.5TC-S))의 값이 0.255≤d이고,
P/D는 1.678>P/D이고,
e=(h/DM)×tanθ×(P/1.25D)는 0.479>e이고,
S/TC가 0.144<S/TC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두께를 z로 하였을 때에, z/TC가 0.245≤z/TC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열 폭을 RO로 한 경우, V=RO/((TC-z)×tanθ)의 값이 0.278≤V이고,
상기 DL/P가 0.750≤DL/P인 이미지 결상광학계.
17.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9°<φ≤27°, 단, 0°<θ<3°일 때는 11°≤φ<17°, 3°≤θ<9°일 때는 10°≤φ<16°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71≤e, 6.12°≤θ<9°일 때는 0.031≤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18.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11°≤φ<25°, 단, 0°<θ<6.12°일 때는 11°≤φ<17°, 6.12°≤θ<9°일 때는 12°≤φ<17°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9°일 때는 1.142≤P/D<2.157, 9°≤θ<21°일 때는 1.180≤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c=(h/DM)×tanθ×(P/1.25D)는 0.046≤e, 단, 0°<θ<6.12°일 때는 0.071≤e, 9°≤θ<21°일 때는 0.062≤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19.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11°≤φ<16°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327이고,
P/D는 1.142≤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c=(h/DM)×tanθ×(P/1.25D)는 0.071≤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20.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12°≤φ<16°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327이고,
P/D는 1.180≤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c=(h/DM)×tanθ×(P/1.25D)는 0.071≤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21.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9°<φ≤27°, 단, 0°<θ<3°일 때는 11°≤φ<17°, 3°≤θ<9°일 때는 10°≤φ<16°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71≤e, 6.12°≤θ<9°일 때는 0.031≤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22.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11°≤φ<25°, 단, 0°<θ<6.12°일 때는 11°≤φ<17°, 6.12°≤θ<9°일 때는 12°≤φ<17°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9°일 때는 1.142≤P/D<2.157, 9°≤θ<21°일 때는 1.180≤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046≤e, 단, 0°<θ<6.12°일 때는 0.071≤e, 9°≤θ<21°일 때는 0.062≤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23.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11°≤φ<16°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327이고,
P/D는 1.142≤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071≤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24.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12°≤φ<16°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327이고,
P/D는 1.180≤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071≤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25.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9°<φ≤27°, 단, 0°<θ<3°일 때는 11°≤φ<17°, 3°≤θ<9°일 때는 10°≤φ<16°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62≤e, 6.12°≤θ<9°일 때는 0.028≤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26.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11°≤φ<25°, 단, 0°<θ<6.12°일 때는 11°≤φ<17°, 6.12°≤θ<9°일 때는 12°≤φ<17°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9°일 때는 1.142≤P/D<2.157, 9°≤θ<21°일 때는 1.180≤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041≤e, 단, 0°<θ<6.12°일 때는 0.062≤e, 9°≤θ<21°일 때는 0.055≤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27.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11°≤φ<16°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327이고,
P/D는 1.142≤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062≤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28.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12°≤φ<16°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327이고,
P/D는 1.180≤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 e=(h/DM)×tanθ×(P/1.25D)는 0.062≤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29.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P/D는 1.034≤P/D, 단, 0°<θ<6.12°일 때는 1.142≤P/D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479≤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30.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P/D는 1.034≤P/D, 단, 0°<θ<9°일 때는 1.142≤P/D, 9°≤θ<21°일 때는 1.180≤P/D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498≤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31.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P/D는 1.142≤P/D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479≤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32.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P/D는 1.180≤P/D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498≤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33. 29 내지 3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P/D는 1.678>P/D이고,
DL/P는 0.750≤DL/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34.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P/D는 1.034≤P/D, 단, 0°<θ<6.12°일 때는 1.142≤P/D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479≤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35.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P/D는 1.034≤P/D, 단, 0°<θ<9°일 때는 1.142≤P/D, 9°≤θ<21°일 때는 1.180≤P/D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498≤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36.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P/D는 1.142≤P/D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479≤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37.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P/D는 1.180≤P/D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498≤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38. 34 내지 3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렌즈의 두께를 z, 렌즈 공액 길이를 TC로 하였을 때에, z/TC가 0.245≤z/TC이고,
상기 P/D는 1.678>P/D이고,
DL/P는 0.750≤DL/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39.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 및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P/D는 1.034≤P/D, 단, 0°<θ<6.12°일 때는 1.142≤P/D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287≤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40.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 및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P/D는 1.034≤P/D, 단, 0°<θ<9°일 때는 1.142≤P/D, 9°≤θ<21°일 때는 1.180≤P/D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307≤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41.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0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 및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P/D는 1.142≤P/D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287≤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42.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 및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P/D는 1.180≤P/D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307≤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43.39 내지 4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P/D는 1.678>P/D이고,
상기 e는 0.574>e이고,
DL/P는 0.750≤DL/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44.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P/D는 1.034≤P/D, 단, 0°<θ<6.12°일 때는 1.142≤P/D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c=(h/DM)×tanθ×(P/1.25D)는 0.347≤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45.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P/D는 1.034≤P/D, 단, 0°<θ<9°일 때는 1.142≤P/D, 9°≤θ<21°일 때는 1.180≤P/D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384≤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46.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P/D는 1.142≤P/D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 c=(h/DM)×tanθ×(P/1.25D)는 0.347≤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47.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P/D는 1.180≤P/D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384≤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48.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P/D는 1.034≤P/D, 단, 0°<θ<6.12°일 때는 1.142≤P/D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307≤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49.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P/D는 1.034≤P/D, 단, 0°<θ<9°일 때는 1.142≤P/D, 9°≤θ<21°일 때는 1.180≤P/D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326≤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50.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P/D는 1.142≤P/D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307≤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51.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P/D는 1.180≤P/D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326≤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52.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 및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P/D는 1.034≤P/D, 단, 0°<θ<6.12°일 때는 1.142≤P/D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53.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 및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P/D는 1.034≤P/D, 단, 0°<θ<9°일 때는 1.142≤P/D, 9°≤θ<21°일 때는 1.180≤P/D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287≤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54.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 및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P/D는 1.142≤P/D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55.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 및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P/D는 1.180≤P/D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c=(h/DM)×tanθ×(P/1.25D)는 0.287≤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56.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인접 각도를 x°로 하고,
y°=-0.006630x2+0.809473x-9.700729로 하였을 때에,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9°×y°/15°<φ≤27°×y°/15°, 단, 0°<θ<3°일 때는 11°×y°/15°≤φ<17°×y°/15°, 3°≤θ<9°일 때는 10°×y°/15°≤φ<16°×y°/15°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87≤e, 6.12°≤θ<9°일 때는 0.039≤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57.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인접 각도를 x°로 하고,
y°=-0.006630x2+0.809473x-9.700729로 하였을 때에,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9°×y°/15°<φ≤27°×y°/15°, 단, 0°<θ<3°일 때는 11°×y°/15°≤φ<17°×y°/15°, 3°≤θ<9°일 때는 10°×y°/15°≤φ<16°×y°/15°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c=(h/DM)×tanθ×(P/1.25D)는 0<e, 단, 0°<θ<6.12°일 때는 0.108≤e, 6.12°≤θ<9°일 때는 0.048≤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58.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 및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인접 각도를 x°로 하고,
y°=-0.006630x2+0.809473x-9.700729로 하였을 때에,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9°×y°/15°<φ≤27°×y°/15°, 단, 0°<θ<3°일 때는 11°×y°/15°≤φ<17°×y°/15°, 3°≤θ<9°일 때는 10°×y°/15°≤φ<16°×y°/15°이고,
상기 슬릿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66≤e, 6.12°≤θ<9°일 때는 0.03≤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59.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인접 각도를 x°로 하고,
y°=-0.006630x2+0.809473x-9.700729로 하였을 때에,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9°×y°/15°<φ≤27°×y°/15°, 단, 0°<θ<3°일 때는 11°×y°/15°≤φ<17°×y°/15°, 3°≤θ<9°일 때는 10°×y°/15°≤소<16°×y°/15°이고,
상기 슬릿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1.25D/P)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71≤e, 6.12°≤θ<9°일 때는 0.031≤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60.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인접 각도를 x°로 하고,
y°=-0.006630x2+0.809473x-9.700729로 하였을 때에,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9°×y°/15°<φ≤27°×y°/15°, 단, 0°<θ<3°일 때는 11°×y°/15°≤φ<17°×y°/15°, 3°≤θ<9°일 때는 10°×y°/15°≤φ<16°×y°/15°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71≤e, 6.12°≤θ<9°일 때는 0.031≤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61.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인접 각도를 x°로 하고,
y°=-0.006630x2+0.809473x-9.700729로 하였을 때에,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9°×y°/15°<φ≤27°×y°/15°, 단, 0°<θ<3°일 때는 11°×y°/15°≤φ<17°×y°/15°, 3°≤θ<9°일 때는 10°×y°/15°≤φ<16°×y°/15°이고,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
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62≤e, 6.12°≤θ<9°일 때는 0.028≤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62. 항 1 내지 6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는 양면에 렌즈가 배열된 적어도 2장 이상의 렌즈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렌즈 형성영역이 상기 각 렌즈 플레이트의 적어도 한 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63. 항 1 내지 6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는 양면에 렌즈가 배열된 적어도 2장 이상의 렌즈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각 렌즈 플레이트의 적어도 이미지면측의, 적어도 일단부가 모떼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64. 항 1 내지 6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의 광 흡수율이 5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65. 항 1 내지 6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의 광 흡수율이 95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66. 항 1 내지 6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의 광 흡수율이 90% 이상이고, 차광벽의 표면 거칠기 Ra가 10n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67. 항 1 내지 6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의 광 흡수율이 90% 이상이고, 차광벽의 표면 거칠기 Ra가 5n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68. 항 1 내지 6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차광벽의 광 흡수율이 0% 이상이고, 차광벽의 표면 거칠기 Ra가 500n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69. 항 1 내지 6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두께를 z로 한 경우,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 D를, D=Z×θ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70. 항 1 내지 6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71. 항 1 내지 6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72. 항 70에 기재된 화상 판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판독면에는 센서 어레이가 적재된 센서 어레이기판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 어레이기판의 색은 명도가 낮은 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는 고스트가 억제되어, 밝기가 크고, 광량 격차가 적기 때문에,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기록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9)
-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과, 상기 이미지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11°≤φ<25°, 단, 0°<θ<6.12°일 때는 11°≤φ<17°, 6.12°≤θ<9°일 때는 12°≤φ<17°이고,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492이고,P/D는 1.034≤P/D<2.157, 단, 0°<θ<9°일 때는 1.142≤P/D<2.157, 9°≤θ<21°일 때는 1.180≤P/D<2.157이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057≤e, 단, 0°<θ<6.12°일 때는 0.087≤e, 9°≤θ<21°의 경우, 0.077≤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9°<φ≤27°, 단, 0°<θ<3°일 때는 11°≤φ<17°, 3°≤θ<9°일 때는 10°≤φ<16°이고,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e, 단, 0°<θ<6.12°일 때는 0·108≤e, 6.12°≤θ<9°일 때는 0.048≤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 및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의 양쪽에 형성되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9°<φ≤27°, 단, 0°<θ<3°일 때는 11°≤φ<17°, 3°≤θ<9°일 때는 10°≤φ<16°이고,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66≤e, 6.12°≤θ<9°일 때는 0.03≤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9°<φ≤27°, 단, 0°<θ<3°일 때는 11°≤φ<17°, 3°≤θ<9°일 때는 10°≤φ<16°이고,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71≤e, 6.12°≤θ<9°일 때는 0.031≤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9°<φ≤27°, 단, 0°<θ<3°일 때는 11°≤θ<17°, 3°≤θ<9°일 때는 10°≤φ<16°이고,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 ×(P/1.25D)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71≤e, 6.12°≤θ<9°일 때는 0.031≤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은 육방 배열이고,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의 양쪽에 형성되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9°<φ≤27°, 단, 0°<θ<3°일 때는 11°≤φ<17°, 3°≤θ<9°일 때는 10°≤φ<16°이고,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62≤e, 6.12°≤θ<9°일 때는 0.028≤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 이미지면과, 이미지면으로부터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렌즈 어레이와, 상기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선의 결상 위치에 형성된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과, 상기 렌즈 어레이에 형성된 차광벽을 구비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에서,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 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상기 P/D는 1.034≤P/D, 단, 0°<θ<6.12°일 때는 1.142≤P/D이고,상기 e는 0.479≤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P/D는 1.034≤P/D, 단, 0°<θ<6.12°일 때는 1.142≤P/D이고,상기 e는 0.479≤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 및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의 양쪽에 형성되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P/D는 1.034≤P/D, 단, 0°<θ<6.12°일 때는 1.142≤P/D이고,상기 e는 0.287≤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P/D는 1.034≤P/D, 단, 0°<θ<6.12°일 때는 1.142≤P/D이고,상기 e는 0.347≤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P/D는 1.034≤P/D, 단, 0°<θ<6.12°일 때는 1.142≤P/D이고,상기 e는 0.307≤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 및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의 양쪽에 형성되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P/D는 1.034≤P/D, 단, 0°<θ<6.12°일 때는 1.142≤P/D이고,상기 e는 O<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인접 각도를 x°로 하고,y°=-0.006630x2+0.809473x-9.700729로 하였을 때에,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9°×y°/15°<φ≤27°×y°/15°, 단, 0°<θ<3°일 때는 11°×y°/15°≤φ<17°×y°/15°, 3°≤θ<9°일 때는 10°×y°/15°≤φ<16°×y°/15°이고,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 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87≤e, 6.12°≤θ<9°일 때는 0.039≤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에만 형성되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인접 각도를 x°로 하고,y°=-0.006630x2+0.809473x-9.700729로 하였을 때에,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9°×y°/15°<φ≤27°×y°/15°, 단, 0°<θ<3°일 때는 11°×y°/15°≤φ<17°×y°/15°, 3°≤θ<9°일 때는 10°×y°/15°≤φ<16°×y°/15°이 고,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c=(h/DM)×tanθ×(P/1.25D)는 0<e, 단, 0°<θ<6.12°일 때는 0.108≤e, 6.12°≤θ<9°일 때는 0.048≤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 및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상의 양쪽에 형성되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인접 각도를 x°로 하고,y°=-0.006630x2+0.809473x-9.700729로 하였을 때에,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 도 φ가 9°×y°/15°<φ≤27°×y°/15°, 단, 0°<θ<3°일 때는 11°×y°/15°≤φ<17°×y°/15°, 3°≤θ<9°일 때는 10°×y°/15°≤φ<16°×y°/15°이고,상기 슬릿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66≤e, 6.12°≤θ<9°일 때는 0.03≤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인접 각도를 x°로 하고,y°=-0.006630x2+0.809473x-9.700729로 하였을 때에,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9°×y°/15°<φ≤27°×y°/15°, 단, 0°<θ<3°일 때는 11°×y°/15°≤φ<17°×y°/15°, 3°≤θ<9°일 때는 10°×y°/15°≤φ<16°×y°/15°이고,상기 슬릿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71≤e, 6.12°≤θ<9°일 때는 0.031≤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차광벽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에만 형성되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인접 각도를 x°로 하고,y°=-0.006630x2+0.809473x-9.700729로 하였을 때에,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9°×y°/15°<φ≤27°×y°/15°, 단, 0°<θ<3°일 때는 11°×y°/15°≤φ<17°×y°/15°, 3°≤θ<9°일 때는 10°×y°/15°≤φ<16°×y°/15°이고,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 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71≤e, 6.12°≤θ<9°일 때는 0.031≤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차광벽은 상기 이미지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와 상기 화상 판독 또는 화상 기록면측의 상기 렌즈 어레이 내부의 양쪽에 형성되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시야각 θ가 0°<θ≤21°이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인접 각도를 x°로 하고,y°=-0.006630x2+0.809473x-9.700729로 하였을 때,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배열방향과 렌즈 형성영역의 긴변방향이 이루는 각도 φ가, 9°×y°/15°<φ≤27°×y°/15°, 단, 0°<θ<3°일 때는 11°×y°/15°≤φ<17°×y°/15°, 3°≤θ<9°일 때는 10°×y°/15°≤φ<16°×y°/15°이고,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폭을 a, 상기 슬릿의 렌즈 공액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S,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를 P,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로 하였을 때에,c={a/(2S×tan2θ×sin15°)}×(1.25D/P)의 값이 0.466≤c<1.767, 단 0°<θ<6.12°일 때는 0.466≤c<1.492이고,P/D는 1.034≤P/D<2.157, 단, 0°<θ<6.12°일 때는 1.142≤P/D<2.157이고,상기 렌즈 어레이의 외측 렌즈의 렌즈 직경을 DL로 하였을 때에, DL/P는 0.7≤DL/P<0.950이고,상기 차광벽의 높이를 h, DM=(DL+D)/2로 하였을 때에, e=(h/DM)×tanθ×(P/1.25D)는 0<e, 단, 0°<θ<6.12°일 때는 0.062≤e, 6.12°≤θ<9°일 때는 0.028≤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 L 학계.
-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레이는 양면에 렌즈가 배열된 적어도 2장 이상의 렌즈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렌즈 형성영역이 상기 렌즈 플레이트의 편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레이는 양면에 렌즈가 배열된 적어도 2장 이상의 렌즈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렌즈 플레이트의 적어도 이미지면측의 적어도 일단부가 모떼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벽의 광 흡수율이 5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벽의 광 흡수율이 90% 이상이고, 차광벽의 표면 거칠기 Ra가 10n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벽의 광 흡수율이 0% 이상이고, 차광벽의 표면 거칠기 Ra가 500n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의 두께를 z로 한 경우, 내측 렌즈의 렌즈 직경 D를, D=Z×θ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결상광학계.
-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판독면에는 센서 어레이가 적재된 센서 어레이기판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 어레이기판의 색은 명도가 낮은 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293286 | 2005-10-06 | ||
JP2005293286 | 2005-10-0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53278A true KR20080053278A (ko) | 2008-06-12 |
Family
ID=37906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04653A KR20080053278A (ko) | 2005-10-06 | 2006-10-04 | 이미지 결상광학계,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이용한 화상 판독장치 및 화상 기록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00128353A1 (ko) |
JP (1) | JPWO2007040246A1 (ko) |
KR (1) | KR20080053278A (ko) |
CN (1) | CN101273297A (ko) |
TW (1) | TW200730877A (ko) |
WO (1) | WO200704024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679271A3 (en) * | 2007-06-20 | 2014-04-23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f 3M Center | Ultrasonic injection molding on a web |
JP4950103B2 (ja) * | 2007-08-20 | 2012-06-13 | 日本板硝子株式会社 | 正立等倍レンズアレイプレート、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画像読取装置 |
US7816641B2 (en) * | 2007-12-28 | 2010-10-19 | Candela Microsystems (S) Pte. Ltd. | Light guide array for an image sensor |
US7609451B1 (en) * | 2008-02-05 | 2009-10-27 | Serigraph, Inc. | Printed article for displaying images having improved definition and depth |
JP4906798B2 (ja) * | 2008-07-01 | 2012-03-28 | 株式会社沖データ | レンズアレイ、ledヘッド、露光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読取装置 |
JP2010145821A (ja) * | 2008-12-19 | 2010-07-01 | Oki Data Corp | レンズアレイ、ledヘッド、露光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読取装置 |
JP5466456B2 (ja) | 2009-08-20 | 2014-04-09 | 日本板硝子株式会社 | 正立等倍レンズアレイプレート、光走査ユニットおよび画像読取装置 |
JP2011150100A (ja) * | 2010-01-21 | 2011-08-04 | Nippon Sheet Glass Co Ltd | 正立等倍レンズアレイプレートおよび画像読取装置 |
JP2012078834A (ja) * | 2010-10-05 | 2012-04-19 | Toshiba Corp | レンズアレイ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6102091B2 (ja) * | 2012-06-21 | 2017-03-29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画像読取装置 |
CN104580807B (zh) * | 2015-01-20 | 2018-02-02 | 威海华菱光电股份有限公司 | 接触式图像传感器 |
US9780133B2 (en) * | 2015-08-04 | 2017-10-03 | Creative Sensor Inc. | Wafer-level lens structure for contact image sensor module |
US10502830B2 (en) | 2016-10-13 | 2019-12-10 | Waymo Llc | Limitation of noise on light detectors using an aperture |
JP6867270B2 (ja) * | 2017-10-19 | 2021-04-28 | グローリー株式会社 | 光ラインセンサユニット |
US11561284B2 (en) * | 2018-11-02 | 2023-01-24 | Waymo Llc | Parallax compensating spatial filters |
CN113614583B (zh) * | 2019-03-25 | 2023-02-17 | 三菱电机株式会社 | 图像读取装置 |
JP7293791B2 (ja) * | 2019-03-26 | 2023-06-20 |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 光学装置、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US11343435B2 (en) | 2019-12-26 | 2022-05-24 | Waymo Llc | Microlensing for real-time sensing of stray light |
DE112021005002T5 (de) * | 2020-09-25 | 2023-08-17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Bildlesevorrichtung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02411A (ja) * | 2001-11-01 | 2003-07-18 | Nippon Sheet Glass Co Ltd | 樹脂正立レンズアレイ |
JP2003139918A (ja) * | 2001-11-01 | 2003-05-14 | Nippon Sheet Glass Co Ltd | 樹脂正立レンズアレイの製造方法 |
JP4132055B2 (ja) * | 2003-07-01 | 2008-08-13 | 日本板硝子株式会社 | 画像読み取り装置 |
TW200506418A (en) * | 2003-07-01 | 2005-02-16 | Nippon Sheet Glass Co Ltd | Lens plate,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image transmitting apparatus |
-
2006
- 2006-10-04 US US12/089,311 patent/US2010012835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6-10-04 JP JP2007538779A patent/JPWO2007040246A1/ja not_active Withdrawn
- 2006-10-04 CN CNA2006800357667A patent/CN101273297A/zh active Pending
- 2006-10-04 WO PCT/JP2006/319875 patent/WO200704024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6-10-04 KR KR1020087004653A patent/KR2008005327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6-10-05 TW TW095137117A patent/TW200730877A/zh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0730877A (en) | 2007-08-16 |
WO2007040246A1 (ja) | 2007-04-12 |
CN101273297A (zh) | 2008-09-24 |
JPWO2007040246A1 (ja) | 2009-04-16 |
US20100128353A1 (en) | 2010-05-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53278A (ko) | 이미지 결상광학계, 이미지 결상광학계를 이용한 화상 판독장치 및 화상 기록 장치 | |
US8482813B2 (en) | Image-scanning device | |
US6462853B2 (en) | Optical scanning device | |
EP3331230B1 (en) | Reading module and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herewith | |
US20060120098A1 (en) | Illumination device and image scanning device | |
US6366408B1 (en) | Optical imaging system | |
JP5580274B2 (ja) | 結像素子アレイ及び画像形成装置 | |
US8593704B2 (en) | Erecting equal-magnification lens array plate, optical scanning unit,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writing device | |
JP5802408B2 (ja) | 正立等倍レンズアレイプレート、光走査ユニット、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書込装置 | |
JP2003279874A (ja) |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2001272624A (ja) | 光走査装置 | |
TW460712B (en) | Optical imaging system | |
US6496214B1 (en) | Image forming elements array, and optical printing hea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array | |
US6462879B2 (en) | Optical wri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 |
JP4929570B2 (ja) | 光プリンタ | |
US7538916B2 (en) | Document lighting device, image reader, color document reader, and image forming device | |
WO2020134718A1 (zh) | 光学扫描设备和图像形成设备 | |
US8310517B2 (en) |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7040300B2 (ja) | 結像光学機構、読取モジュールおよび画像読取装置 | |
US6341030B1 (en) | Light beam optical scan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7216240B1 (ja) | 光学装置及びイメージセンサ | |
JP2018093470A (ja) | 読取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 |
JP4191275B2 (ja) | 結像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00241754A (ja) | 結像素子アレイ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プリントヘッド並びに画像形成装置 | |
JP2001191579A (ja) | 光プリントヘッド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