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80049995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9995A
KR20080049995A KR1020060120665A KR20060120665A KR20080049995A KR 20080049995 A KR20080049995 A KR 20080049995A KR 1020060120665 A KR1020060120665 A KR 1020060120665A KR 20060120665 A KR20060120665 A KR 20060120665A KR 20080049995 A KR20080049995 A KR 20080049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roller
paper
roller
jam
fix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0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0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9995A/ko
Publication of KR20080049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9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32Retractable heating or pressure unit
    • G03G15/2035Retractable heating or pressure unit for maintenance purposes, e.g. for removing a jammed shee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0Detecting malfunctions relating to paper handling, e.g. j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48Jam, error detection, e.g. double fee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히팅롤러와 가압롤러를 가지는 정착유닛과; 정착유닛을 통과하지 못하고, 히팅롤러 또는 가압롤러에 말리는 잼용지를 감지하기 위한 잼발생 감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화상형성장치, 정착유닛, 랩잼, 센서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An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 보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착유닛 및 잼발생 감지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잼발생 감지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화상형성장치 본체 11..용지카세트
12..현상유닛 13..감광매체
14..중간전사매체 15..1차 전사롤러
16..픽업롤러 17..2차 전사롤러
18..배지롤러 20..정착유닛
21..하우징 22..히팅롤러
23..가압롤러 30..잼발생 감지유닛
31..회동레버 33..감지센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유닛에서 형성 된 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한 뒤, 전사된 화상을 고온 및 고압으로 정착시켜 최종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흑백 칼라의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 화상형성장치와,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그 현상방식에 따라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로 구분할 수도 있다.
이중에서 전자 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는, 감광드럼 및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에 레이저 광을 주사하여 원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레이저 주사유닛과, 상기 정전잠상 영역에 토너와 같은 현상제를 현상하는 현상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화상은 소정의 전사매체를 통해서 인쇄매체로 전사되거나, 또는 직접 인쇄매체로 전사될 수 있다. 칼라 화상의 경우에는 중간전사벨트와 같은 전사매체를 통해 칼라화상을 중첩전사 시킨 후, 인쇄매체로 최종 칼라 화상을 전사시킨다. 모노 타입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는 상담지체에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로 직접 전사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는 정착유닛을 경유하면서 고온/고압으로 정착된 뒤,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정착유닛은 통상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히팅롤러와 가압롤러를 포함한 구성으로서, 히팅롤러와 가압롤러 사이로 인쇄매체가 통과할 때, 인쇄매체로 옮겨진 토너와 같은 현상제가 고온/고압에 의해 인쇄매체에 고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고온 및 고압으로 인쇄매체를 정착하는 과정에서, 인쇄매체는 고온 및 고압으로 인한 표면에너지의 변화로 인하여 변형되어 히팅롤러 또는 가압롤러 쪽으로 밀착되어 감기는 소위 랩잼(Wrapjam)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랩잼이 발생하게 되면, 인쇄매체가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후에 인쇄되는 인쇄매체도 계속해서 말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감안하여 종래에는 정착유닛의 배출구 측에 회동 가능한 레버와, 그 레버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잼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랩잼 발생여부를 확인하였다. 즉, 인쇄매체의 픽업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정착유닛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시점간의 시간을 측정하여, 일정시간 내에 상기 잼감지 센서에서 감지신호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랩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픽업 이후에 잼감지 센서의 동작까지의 인터벌을 감지하기 전까지는 현상유닛, 레이저 주사유닛, 정착유닛 등, 세트의 구동이 계속 진행되므로, 사용자가 잼발생을 인식하여 잼용지를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이미 인쇄매체가 히팅롤러 등에 말려져 있는 상태이므로, 잼용지의 제거가 쉽지 않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정착유닛에서 말려진 잼용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화상형성장치를 다시 구동시켜 다음 종이까지 다시 픽업되어 정착유닛에서 계속 말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장착유닛으로 빠지지 않고 정착유닛 내에서 말리는 랩잼이 발생시에는 정확히 어느 곳에서 잼이 발생하였는지 기구적으 로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정착유닛 내에서의 랩잼 발생을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히팅롤러와 가압롤러를 가지는 정착유닛과; 상기 정착유닛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히팅롤러 또는 가압롤러에 말리는 잼용지를 감지하기 위한 잼발생 감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잼발생 감지유닛은, 상기 히팅롤러와 가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히팅롤러 또는 가압롤러에 밀착되어 말리는 용지의 선단에 밀려 회동되게 설치된 회동레버와; 상기 회동레버의 회동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레버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정착유닛 내에서 말리는 용지가 접촉되는 제1접촉레버부와;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상기 제1접촉레버부와는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되어, 상기 정착유닛을 통과하여 배지되는 용지의 선단이 접촉되는 제2접촉레버부; 및 상기 회동축에서 연장되어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그 회동 상태가 감지되는 감지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히팅롤러로 감기는 용지를 감지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 본체(10) 하부에는 용지(P)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카세트(11)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K, C, M, Y 칼라별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현상유닛(12)이 마련된다.상기 각 현상유닛(12)은 전위차이를 이용하여 현상롤러로부터 토너 입자를 받아 감광매체(13)에 형성되는 정전잠상 위에 일정한 이미지를 만들도록 배치된다.
상기 감광매체(13)는 드럼타입 및 벨트타입이 가능하다. 상기 감광매체(13)의 표면에는 미도시된 레이저 주사유닛으로부터 주사되는 레이저 주사광에 의해 원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감광매체(13)에 형성된 칼라화상을 전사받는 중간전사매체(14)가 설치된다. 상기 중간전사매체(14)는 벨트 타입으로서, 복수의 지지롤러(14a)에 지지되어 일방향으로 주행되면서, 감광매체(13)에 형성된 칼라별 화상을 중첩 전사 받는다. 도면부호 15는 중간전사매체(14)를 사이에 두고 감괌매체(13)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1차 전사롤러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중간전사매체(14)에 중첩전사된 칼라화상은 픽업롤러(16)에 의해 픽업되어 이송되는 인쇄매체(P:이하 인쇄용지라 함)로 2차 전사된다. 즉, 인쇄 용지(P)는 중간전사매체(14)와 접촉회전 가능한 2차 전사롤러(17) 사이로 통과하면서, 중간전사매체(14)로부터 칼라화상을 전사받는다.
상기 본체(10) 내에는 칼라화상을 전사받은 인쇄용지(P)를 고온 및 고압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유닛(20)과, 정착유닛(20)에서의 잼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잼발생 감지유닛(30)이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정착유닛(20)은 하우징(21)과, 하우징(21) 내에 설치되는 히팅롤러(22)와, 가압롤러(23)를 구비한다.
상기 히팅롤러(22)는 그 히팅롤러(22) 내부에 마련된 히터(24)에 의해 소정 온도로 가열된다. 상기 가압롤러(23)는 히팅롤러(22)와 접촉회전되게 설치되며, 소정 가압부재(25)에 의해 히팅롤러(22) 측으로 가압된다. 상기 히팅롤러(22)와 가압롤러(23) 사이로 인쇄용지(P)가 통과하여 이송된다.
상기 잼발생 감지유닛(30)은, 회동레버(31)와, 감지센서(33)를 구비한다.
상기 회동레버(31)는 회전축(31a)과, 회전축(31a)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제1 및 제2접촉레버부(31b,31c)와, 감지레버부(31d)를 구비한다.
상기 제1접촉레버부(31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롤러(22)와 가압롤러(23) 사이를 통과한 인쇄용지(P)가 배지롤러(18) 쪽으로 배출되지 않고, 히팅롤러(22)에 말리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제1접촉레버부(31b)는 그 단부가 히팅롤러(22)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히팅롤러(22)에 감기는 인쇄용지(P)의 선단에 밀려서 A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와 같이, 제1접촉레버부(31b)가 A 방향으로 회동되면, 감지레버부(31d)도 A 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감지레버부(31d)는 감지센서(33)의 감지위치에서 벗어나게 됨으로써, 감지센서(33)에서 온 또는 오프신호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감지센서(33)에서 회동레버(31)의 회전에 의해 감지되는 온 또는 오프신호 시점을 픽업시점으로부터 계산하여 정상 소요시간과 비교한다. 여기서, 상기 정상 소요시간은, 용지가 픽업되어 잼 발생없이 제2접촉레버부(31c)에 의해 감지되는 시점까지 걸리는 시간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제1접촉레버부(31b)에 용지가 접촉되어 감지센서(33)에서 신호가 발생된 경우에는 정상 소요시간보다 이전에 용지가 도착한 것이므로, 랩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잼발생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하여 세트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잼발생 신호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잼용지를 제거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접촉레버부(31c)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유닛(20)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인쇄용지(P)의 선단에 접촉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이 제2접촉레버부(31c)는 잼 발생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배지롤러(18) 측으로 배출되는 인쇄용지(P)의 선단에 밀려서 B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러면, 감지레버부(31d)도 B 방향으로 회동되어 감지센서(33)의 감지영역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감지영역에서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감지센서(33)에서는 온/오프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지된 시점을 픽업된 시점으로부터 계산하여 정상시간보다 용지 이송시간이 경과한 경우, 잼 발생으로 간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감지센서(33)는 접촉센서, 또는 수발광센서, 자기센서 모두 가능하다. 이 감지센서(33)는 감지레버부(33c)의 일단의 이동범위 내에 설치된다. 따라 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레버부(33c)가 감지센서(33)의 감지범위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A 또는 B 방향으로 이동될 때마다 온 또는 오프신호를 발생하여 용지의 이동상태와 이동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인쇄용지(P)가 히팅롤러(22)에 말리는 랩잼 발생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즉, 가압롤러(23)에 말리는 랩잼 발생에 대해서도 잼발생 감지유닛(30)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추가하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인쇄용지가 픽업된 시점으로부터 정착롤러를 통과하는 시점을 감지함에 있어서, 정상적인 방향으로 배출되는 용지 뿐만 아니라 히팅롤러에 말리는 용지에 대해서도 그 도달 시점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히팅롤러에 말리는 랩잼 발생시점을 보다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종래에 비하여 신속하여 세트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잼발생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잼발생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랩잼발생을 인지하여 히팅롤러에 감긴 잼용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위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히팅롤러와 가압롤러를 가지는 정착유닛과;
    상기 정착유닛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히팅롤러 또는 가압롤러에 말리는 잼용지를 감지하기 위한 잼발생 감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잼발생 감지유닛은,
    상기 히팅롤러와 가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히팅롤러 또는 가압롤러에 밀착되어 감기는 용지의 선단에 밀려 회동되게 설치된 회동레버와;
    상기 회동레버의 회동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레버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정착유닛 내에서 말리는 용지가 접촉되는 제1접촉레버부와;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상기 제1접촉레버부와는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되어, 상기 정착유닛을 통과하여 배지되는 용지의 선단이 접촉되는 제2접촉레버부; 및
    상기 회동축에서 연장되어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그 회동 상태가 감지되는 감지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히팅롤러로 말리는 용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60120665A 2006-12-01 2006-12-01 화상형성장치 KR200800499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665A KR20080049995A (ko) 2006-12-01 2006-12-01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665A KR20080049995A (ko) 2006-12-01 2006-12-01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995A true KR20080049995A (ko) 2008-06-05

Family

ID=39805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665A KR20080049995A (ko) 2006-12-01 2006-12-01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99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61896A1 (en) * 2016-03-09 2017-09-14 Avision Inc. Fixation module with separation claw detecting mechanism and prin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20138866A (ja) * 2019-02-25 2020-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センサ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61896A1 (en) * 2016-03-09 2017-09-14 Avision Inc. Fixation module with separation claw detecting mechanism and prin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9927744B2 (en) * 2016-03-09 2018-03-27 Avision Inc. Fixation module with separation claw detecting mechanism and prin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20138866A (ja) * 2019-02-25 2020-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センサ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5619B2 (ja) 定着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4034853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10069981A1 (en) Belt driv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80049995A (ko) 화상형성장치
US804753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00086318A1 (en) Fixing jam detecting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8002482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768236B2 (en) Duplex image forming apparatus
US1111942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111274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309268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9723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12177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024667A (ja) 画像形成装置
JP5317815B2 (ja)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008879A (ja) 画像形成装置
US7035558B2 (en) Method of detecting a rotation of print cartridge components
JP2011209544A (ja) 画像形成装置
JP374086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62928A (ja) 画像形成装置
JP2023081434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173250B2 (ja) 画像形成装置
JP5660287B2 (ja) 記録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2657778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leaning unit to clean an optical sensor unit
JP5168238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