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80041551A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change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change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551A
KR20080041551A KR1020070060811A KR20070060811A KR20080041551A KR 20080041551 A KR20080041551 A KR 20080041551A KR 1020070060811 A KR1020070060811 A KR 1020070060811A KR 20070060811 A KR20070060811 A KR 20070060811A KR 20080041551 A KR20080041551 A KR 20080041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network
change information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8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02850B1 (en
Inventor
쉬이링
송재연
이국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7/00544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056909A1/en
Priority to US11/936,508 priority patent/US20080109861A1/en
Priority to EP07021630A priority patent/EP1921778A3/en
Publication of KR20080041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5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85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83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associating distribution time parameters to content, e.g. to generate electronic program guid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15DVB-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융합(CBMS) 시스템에서 서비스 변화를 지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엔터티는, 네트워크에서 제공 가능한 각 제1 서비스와 관련된 다른 네트워크의 제2 서비스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하여, 상기 제2 서비스가 상기 제1 서비스에 비해 언어, 서브타이틀, 카메라 각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서비스 변화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를 방송 네트워크 혹은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내의 단말에게 전송한다. 단말은 서비스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2 서비스를 상기 제1 서비스에 연속하여 수신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a service change in a convergence of a broadcast an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BMS) system. The network entity collects information about a second service of another network related to each first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in the network, so that the second service changes at least one of language, subtitle, and camera angle compared to the first service. Service chang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service is changed, and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terminal in the network through a broadcast network or a bidirectional network. The terminal may determine whether to receive the second service continuously to the first service in the other network using service change information.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변화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VARIATION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TECHNICAL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VARIATION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CBMS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BMS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변화의 예를 나타낸 도면.2A and 2B illustrate an example of service chang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터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3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operation of a network entity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networ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송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융합(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이하 CBMS라 칭함)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의 변화를 지시(Indicate)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a change in a broadcasting service in a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BMS) system.

오늘날 통신 및 방송 기술의 발달로 인해 방송 시스템 혹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휴대 방송(Mobile Broadcast)을 제공하고 있으며, 음성 및 화상에 제한되는 통상적인 방송 서비스뿐만이 아니라 패킷 데이터를 방송 채널(Broadcast Channel)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는 휴대 방송이 논의되고 있다. 휴대 방송은, 휴대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휴대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이동 단말에 의한 서비스의 발견(Discovery),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서비스의 가입,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제어 정보의 제공, 상기 서비스의 송신 및 이동 단말에 의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의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oday,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technology, a broadcast system 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vides a mobile broadcast, and not only a general broadcast service limited to voice and video but also packet data through a broadcast channel. Portable broadcasts that can be transmitted are being discussed. The portable broadcast includes a discovery of a service by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notebook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etc. that can receive the portable broadcast, a subscription of the service by the mobile terminal, and various services for receiving the service. Providing branch control information, the transmission of the service and the reception of the service by the mobile terminal can be made.

개방형 이동성 협의체(Open Mobile Alliance: 이하 OMA라 칭함)는, 개별 이동성 솔루션의 상호 연동을 위한 표준을 연구하는 단체들 중의 하나로서, 이동통신용 게임, 인터넷 서비스 등에 대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표준을 정하는 역할을 주로 담당하고 있다. OMA의 워킹 그룹 중 특히 OMA BAC(Browser and Content) BCAST(Mobile Broadcast)의 서브 워킹 그룹(Sub Working Group)에서는 양방향 네트워크(interactive network)와의 통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융합하기 위한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또한 휴대 방송 단말 표준 기구중의 하나인 DVB-CBMS(Digital Video Broadcasting -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에서도 방송 서비스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융합하기 위한 시스템 구조 및 인터페이스 등을 정의하고 있다.The Open Mobile Allian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OMA) is one of the organizations that research standards for interoperability of individual mobility solutions, and is mainly responsible for setting various application standards for mobile games and Internet services. Doing. Among the working groups of OMA, especially the sub working group of OMA BAC (Browser and Content) BCAST (Mobile Broadcast), a broadcasting ser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re provided by using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interactive network. I'm working on a technique for fusion. In addition, DVB-CBMS (Digital Video Broadcasting-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which is one of the standards for portable broadcasting terminal, also defines a system structure and interface for convergence of broadcasting ser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BMS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는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단말에 대한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이하 IP라 칭함) 플랫폼,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주파수 등이 변경될 때 서비스 연속성(service continuity)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단말이 현재 수신하고 있는 서비스와 비교할 때, 다른 IP 플랫폼, 다른 서비스 제공자, 다른 네트워크 및/또는 다른 주파수로부터의 서비스는 완전히 똑같지 않고 약간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다른 IP 플랫폼, 다른 서비스 제공자, 다른 네트워크, 다른 주파수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현재 서비스에 연속하여 수신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such as CBMS, it is necessary to guarantee service continuity when the Internet protocol (IP) platform, service provider, network, frequency, etc. for the terminal receiving the service are changed. have. Compared with the service that the terminal is currently receiving, services from different IP platforms, different service providers, different networks and / or different frequencies may not be exactly the same and may have some difference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for determining whether a terminal continuously receives a service provided through another IP platform, another service provider, another network, and a different frequency to a current service.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단말이 핸드오버 혹은 로밍을 수행함에 있어서 서비스 연속성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ervice continuity when a terminal performs handover or roaming.

본 발명은 단말이 서비스 연속성을 결정할 수 있도록 단말이 수신하고 있는 서비스의 변화를 단말에게 지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ructing a terminal of a change in a service being received by the terminal so that the terminal can determine service continuit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변화 정보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of transmitting service change information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네트워크에서 제공 가능한 각 제1 서비스와 관련된 다른 네트워크의 제2 서비스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하여, 상기 제2 서비스가 상기 제1 서비스에 비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서비스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Collecting information about a second service of another network related to each first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in a network, and generating service change information indicating how the second service has changed compared to the first service;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를 미리 정해지는 전달 베어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내의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ransmitting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to a terminal in the network through a predetermined delivery bear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변화 정보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of receiving service change information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네트워크에서 제공 가능한 각 제1 서비스와 관련된 다른 네트워크의 제2 서비스가 상기 제1 서비스에 비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서비스 변화 정보를 미리 정해지는 전달 베어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Receiving service change information from the network through a forwarding bearer,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indicating how a second service of another network related to each first service available in the network has changed compared to the first service;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2 서비스를 상기 제1 서비스에 연속하여 수신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o receive the second service continuously to the first service in the other network by using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상기 제2 서비스를 연속하여 수신할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제2 서비스를 연속하여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service is to be continuously received, receiving the second service continuously when moving to the other network.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서비스 변화 정보를 송신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for transmitting service change information,

네트워크에서 제공 가능한 각 제1 서비스와 관련된 다른 네트워크의 제2 서비스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하여, 상기 제2 서비스가 상기 제1 서비스에 비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서비스 변화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 를 미리 정해지는 전달 베어러를 통해 전송하는 네트워크 엔터티와,Collecting information about a second service of another network related to each first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in a network, to generate service change information indicating how the second service has changed compared to the first service, and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A network entity that transmits through a predetermined delivery bearer,

상기 전달 베어러를 통해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2 서비스를 상기 제1 서비스에 연속하여 수신할 것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제2 서비스를 연속하여 수신할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제2 서비스를 연속하여 수신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ceiving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through the delivery bearer, and determining whether to receive the second service continuously with the first service in the other network using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and continuously receiving the second servic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ption is to move to another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rminal that receives the second service continuous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후술되는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방송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융합(CBMS)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의 변화를 단말에게 지시하는 것이다. 여기서 서비스의 변화란 일 예로서 핸드오버 혹은 로밍시에 이전 네트워크에 대한 새로운 네트워크의 서비스의 변화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서비스라 함은 하나의 서비스에 포 함되는 방송 컨텐츠와 다른 정보를 포함하거나, 혹은 방송 컨텐츠만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to instruct a terminal of a change in a broadcast service in a convergence of a broadcast an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BMS) system. In this case, the change of the service means, for example, a change of the service of the new network with respect to the old network during handover or roaming. In addition, the term "servic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different from broadcast content included in one service or may include only broadcast conten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CBMS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에서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 - Handheld) 기반의 IP 데이터 캐스트(IP Data Cast: 이하 IPDC라 칭함)를 위해 요구되는 기능들(capabilities)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연동되는 논리적인 엔터티(Entity)들을 도시하였다. 도시한 엔터티들은 주요한 기능들의 차이에 따라 구분되어 도시되었으며, 물리적으로 구분된 서버들 혹은 동일한 서버 안에 위치할 수 있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BMS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logical entities that interoperate with each other to achieve the capabilities required for DVB-H (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based IP data cast (IPDC) are called. Shown. The illustrated entities are shown separately according to major functional differences, and can be located in physically separated servers or in the same server.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공급자(Content Creation block: 이하 CC라 칭함)(110)에서 방송 서비스의 컨텐츠 소스를 생산하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Service application: 이하 SA라 칭함) 블록(120)으로 보낸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20)에서는 상기 컨텐츠 공급자(110)로부터 온 컨텐츠 소스들과 부가적으로 서비스 구성(Service Configuration)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결합(aggregate)하여 특정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헤드-엔드(head-end) 어플리케이션 로직으로서, 단말이 이해할 수 있는 포맷으로 부호화된 컨텐츠를 스트리밍 혹은 카루셀(carousel) 전달을 통해 제공한다. 또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20)은 전자 서비스 안내(ESG)에 사용되는 서비스 디스크립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며, 다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과 연동하여 단말을 위한 양방향 종단(Interaction end point)으로 동작하고, 서비스 보호(Service Protection)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20)은 각 서비스를 위해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 들을 관리하는 여러 개의 하위 엔터티들(sub-entities)로 이루어진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엔터티는 각각 IP 데이터캐스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ontent provider 110 generates a content source of a broadcast service and sends the content source to a service application block 120. In the service application block 120, a head-end for generating service data for a specific service by aggregating content sources from the content provider 110 and additionally metadata required for service configuration. (head-end) application logic, and provides content encoded in a format that can be understood by the terminal through streaming or carousel delivery. In addition, the service application block 120 generates service description metadata used for the electronic service announcement (ESG), operates as an interactive end point for the terminal in conjunction with other service application blocks, and service protection (Service) Protection) function. To this end, the service application block 120 is composed of a number of sub-entities (sub-entities) for managing different applications for each service. Each service application entity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IP datacasts.

서비스 관리(Service Management: 이하 SM이라 칭함) 블록(130)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20)과 단말(160)의 사이에서 서비스 구성(service configuration), 리소스 할당(resource allocation), 등의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서브 엔터티들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서비스 관리 블록(130)은 독립적으로 예시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4개의 서브 엔터티들로 구성된다.The service management block (hereinafter referred to as SM) block 130 independently performs functions such as service configuration, resource allocation, and the like between the service application block 120 and the terminal 160. Contains sub-entities that perform. As an example, the service management block 130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four sub-entities that can be independently illustrated.

서비스 구성 및 자원 할당 엔터티는 방송 베어러(즉 하나의 DVB 전송 스트림에서 하나의 DVB-H IP 플랫폼)의 대역폭을 위해 경쟁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들의 등록과, 위치(방송 네트워크 토폴로지), 대역폭으로의 서비스 할당 및 시간에 따른 서비스 스케쥴링과, 방송 대역폭의 경쟁과 연관된 인스턴스를 가진다. 서비스 가이드 제공 어플리케이션 엔터티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엔터티들로부터 ESG(메타데이터 정보) 정보들을 수집하며, 다수의 인스턴스들을 가질 수 있다. 보안/서비스 보호 규정 엔터티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엔터들에 대한 서비스 액세스 관리를 담당한다. 위치 서비스(Location services) 엔터티는 양방향 네트워크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독립적인 방식으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들에 위치 서비스들을 제공한다.The service configuration and resource allocation entity is responsible for registration of service applications competing for the bandwidth of the broadcast bearer (ie, one DVB-H IP platform in one DVB transport stream), location (broadcast network topology), service allocation to bandwidth and It has instances associated with service scheduling over time and contention of broadcast bandwidth. The service guide providing application entity collects ESG (metadata inform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application entities and may have multiple instances. The security / service protection policy entity is responsible for managing service access to service application entities. Location services An entity provides location services to service applications in an independent manner, in conjunction with a two-way network or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ystem.

방송 네트워크(140)는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로서, 일 예로서 DVB-H 시스템이 된다. 양방향 네트워크(150)는 일반적으로 3GPP에 따른 UMTS, 3GPP2에 따른 IMT-2000, WiBro 혹은 WLAN와 같은 셀룰러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의미 하며, 다른 예로서 단말(160)로부터 전송하는 정보나 요구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나 요구에 대한 응답을 송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모든 종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방송 네트워크(140)와 양방향 네트워크(150)는 CBMS 시스템에서의 전송 베어러(transmission bearers)로 동작한다. The broadcast network 140 is a network for transmitting broadcast service data, which is, for example, a DVB-H system. The bidirectional network 150 generally refers to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UMTS according to 3GPP, IMT-2000 according to 3GPP2, WiBro, or WLAN. As another example, the bidirectional network 150 receives information or request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60. It can be any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at provides the ability to send a response to an information or request. The broadcast network 140 and the bidirectional network 150 operate as transmission bearers in the CBMS system.

단말(160)은 사용자 단말을 의미하며, 양방향 네트워크(150)에 접속 가능하고 방송 네트워크(140)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수신기를 나타낸다. CBMS 시스템에서 단말(160)은 방송 네트워크(140)로부터 서비스 데이터 및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며, 양방향 네트워크(150)와는 서비스 데이터 및 시그널링 정보를 양방향으로 통신한다. 일 예로서 단말(160)은 다음과 같은 서브 엔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160 refers to a user terminal, and refers to a receiver capable of accessing the bidirectional network 150 and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from the broadcast network 140. In the CBMS system, the terminal 160 receives service data and signaling information from the broadcast network 140, and communicates the service data and signaling information with the bidirectional network 150 in both directions. As an example, the terminal 160 may include the following sub-entities.

DVB-H 수신기는 방송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수신 또는 시그널링을 담당한다. 양방향 변환기(Interactive adaptor)는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수신/송신 또는 시그널링을 담당한다. MM 블록은 이동 절차를 담당한다. 가입 관리 블록은 권리 획득을 관리하고, 단말을 위해 획득된 권리를 추적하고 서비스 콘텐트의 해독 과정을 제어한다. 컨텐츠 소비 블록은 서비스의 소비를 담당한다.The DVB-H receiver is responsible for service reception or signaling through the broadcast network. The interactive adapter is in charge of service reception / transmission or signaling through a bidirectional network. The MM block is responsible for the move procedure. The subscription management block manages rights acquisition, tracks rights acquired for the terminal, and controls the decryption process of the service content. The content consumption block is responsible for the consumption of the service.

하기에는 상기한 논리적 엔터티들을 포함하는 각 엔터티간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한다. CBMS-x 및 X-x는 서로 다른 기능적 엔터티들 간의 기준점들(reference points)로서, CBMS-x는 DVB-H 스펙에 대한 IP 데이터캐스트의 범위 내의 기준점이고, X-x는 DVB-H 스펙에 대한 IP 데이터캐스트의 범위 밖의 기준점이다.The following describes an interface between each entity including the logical entities described above. CBMS-x and Xx are reference points between different functional entities, where CBMS-x is a reference point within the range of IP datacasts for the DVB-H specification, and Xx is an IP datacast for the DVB-H specification. The reference point is outside the range of.

CBMS-1 인터페이스는 방송에 관련된 특정 시그널링, 일 예로서 DVB-H의 PSI/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시그널링을 방송 네트워크(140)로부터 단말(160)로 운송하며, CBMS-2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비디오, 파일 등의 컨텐츠들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20)으로부터 단말(160)로 운송한다. CBMS-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되는 컨텐츠 플로우로는, 오디오 및 비디오(Audio and Video: A/V) 스트림들과, 보조(Auxiliary) 데이터 및 카루셀(carousel) 매커니즘에 의해 전달되는 파일들(클립들 및 소프트웨어 등)이 있다. The CBMS-1 interface carries broadcast related signaling, for example, program specific inform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PSI / SI) signaling of DVB-H from the broadcast network 140 to the terminal 160, and the CBMS-2 interface Contents such as audio, video, and files are transported from the service application block 120 to the terminal 160. Content flows delivered through the CBMS-2 interface include audio and video (A / V) streams, auxiliary data and files (clips and the like) delivered by the carousel mechanism. Software).

CBMS-3 인터페이스는 전자 서비스 안내(Electronic Service Guide: 이하 ESG라 칭함) 메타 데이터를 방송 네트워크(140)를 통해 일대다(point-to-multipoint: 이하 ptm이라 칭함) 전송의 형태로 서비스 관리 블록(130)으로부터 단말(160)로 운송한다. CBMS-4 인터페이스는 서비스 관리 블록(130)과 단말(160) 간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20)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접근 제어 및 전자 서비스 안내(ESG) 메타 데이터의 일대일(point-to-point: 이하 ptp라 칭함)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CBMS-5 인터페이스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20)과 단말(160) 간의 점대점 전송 서비스를 위한 것으로서, 양방향 네트워크(150)를 통해 점대점 전송의 형태로 단문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등을 운송한다. The CBMS-3 interface is a service management block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meta data) through a broadcast network 140 in the form of point-to-multipoi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tm) transmission. 130 to the terminal 160. The CBMS-4 interface is a point-to-point of access control and electronic service announcement (ESG) metadata for service applications of the service application block 120 between the service management block 130 and the terminal 160. ptp) is used for transmission. The CBMS-5 interface is for a point-to-point transmission service between the service application block 120 and the terminal 160, and a short message service (SMS) and multimedia message in the form of point-to-point transmission through the bidirectional network 150. Transport services such as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CBMS-6 인터페이스는 DVB-H 전송을 위하여 서비스들의 개수, 할당된 대역폭 등의 구성 파라미터들을 서비스 관리 블록(130)과 방송 네트워크(140) 간에 운송한다. CBMS-7 인터페이스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20)과 서비스 관리 블록(130) 간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선언(declaration)이나 컨텐츠 디스크립션과 메타데이 타를 포함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기술(description)을 위해 사용된다. The CBMS-6 interface carries configuration parameters, such as the number of services and the allocated bandwidth, between the service management block 130 and the broadcast network 140 for DVB-H transmission. The CBMS-7 interface is used between the service application block 120 and the service management block 130 for the declaration of the service application or for the description of the service application, including content descriptions and metadata.

X-1. X-2, X-3 인터페이스들은 방송 네트워크와 다른 엔터티 간의 참조점을 의미한다. X-1 인터페이스는 컨텐츠 공급자(110)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20) 간에서 사용되며, 컨텐츠 필수사항(Content essence)과 컨텐츠에 대한 설명(description)/메타데이터 및 컨텐츠 제어 정책 등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20)으로 전달한다. X-2 인터페이스는 양방향 네트워크(150)와 단말(160) 간에서 양방향 네트워크(150)의 특정 상호작용(interaction), 즉 인증, 이동성 관리, 음성 등의 특정 서비스들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X-3 인터페이스는 서비스 관리 블록(130)과 양방향 네트워크(150) 간에서, 가입자 관리 및 과금 기능과 같은 양방향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한 특정 기능들에 접근하는데 사용된다. X-1. X-2 and X-3 interfaces refer to a reference point between a broadcast network and another entity. The X-1 interface is used between the content provider 110 and the service application block 120. The X-1 interface includes content essence and content description / metadata and content control policy. 120). The X-2 interface is used to deliver specific interactions between the bidirectional network 150 and the terminal 160, that is, specific services such as authentication, mobility management, and voice. The X-3 interface is used between the service management block 130 and the bidirectional network 150 to access certain functions available in the bidirectional network, such as subscriber management and billing functions.

전술한 설명은 각 인터페이스들의 기능에 대한 대표적인 것만을 서술한 것으로 위의 서술만으로 각 인터페이스들의 기능이 제한되지 않는다.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representative of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interfaces, and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interfaces are not limited only by the above description.

CBMS 시스템에서 하나의 서비스 관리 인스턴스는 하나의 IP 플랫폼에 매핑된다. 따라서 "하나의 플랫폼 내에서"라는 의미는 "하나의 서비스 관리 블록(130) 내에서"라는 것을 의미하며, 일 예로서 다른 IP 플랫폼은 다른 서비스 관리 블록, 즉 다른 네트워크에 속한 서비스 관리 블록을 의미한다. In the CBMS system, one service management instance is mapped to one IP platform. Therefore, "in one platform" means "in one service management block 130," and as an example, another IP platform means another service management block, that is, a service management block belonging to another network. do.

단말이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도중에 다른 IP 플랫폼, 다른 서비스 제공자, 다른 네트워크, 다른 주파수에 속한 새로운 서비스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새로운 서비스영역에서 상기 수신중인 서비스와 유사 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지 판단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이동의 예로서 로밍 및 핸드오버가 있다. CBMS 시스템에서 로밍과 핸드오버에 대한 정의는 서로 다른 규칙들, 예를 들어, IP 플랫폼, 제공자(ESG, 서비스 및/또는 다른 제공자), 서비스 관리(SM) 블록, 네트워크 등의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하기에는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간단히 정의한다.When a terminal moves to a new service area belonging to another IP platform, another service provider, another network, or a different frequency while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 service similar to the received service may be provided in the new service area.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if it can be provided. Examples of such movements are roaming and handover. The definition of roaming and handover in a CBMS system varies with different rules, for example, changes in IP platform, provider (ESG, service and / or other provider), service management (SM) block, network, etc. Can be decided. The following briefly defines terms used herein.

IP 플랫폼은 기관에 의해 관리되는 IP 흐름의 집합(set)으로서, 하나의 IP 플랫폼은 하나의 서비스 관리 블록에 대응될 수 있다. ESG 제공자와 서비스 제공자와 양방향 네트워크와 방송 네트워크에 대한 정의는 해당 시스템의 표준 규약 혹은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An IP platform is a set of IP flows managed by an organization, and one IP platform may correspond to one service management block. Definitions of ESG providers, service providers, bidirectional networks and broadcast networks can be defined by the system's standard protocols or system designers.

상기 각 구성요소의 식별자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Description of the identifier of each component is as follows.

IP 플랫폼은 IP 플랫폼 ID에 의해 식별된다. ESG 제공자는, 본 명세서에서, providerURI, 또는 providerID, 또는 providerURI와 providerID의 쌍, 또는 시스템에서의 정의 및 설명에 따른 기타 파라미터에 의해 식별된다. 서비스 제공자는, 본 명세서에서, serviceproviderURI, 또는 serviceproviderID, 또는 serviceproviderURI와 serviceproviderID의 쌍, 또는 시스템에서의 정의 및 설명에 따른 기타 파라미터에 의해 식별된다.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ID에 의해 식별된다. The IP platform is identified by the IP platform ID. An ESG provider is herein identified by providerURI, or providerID, or a pair of providerURI and providerID, or other parameter according to the definition and description in the system. A service provider is identified herein by a serviceproviderURI, or serviceproviderID, or a pair of serviceproviderURI and serviceproviderID, or other parameter according to the definition and description in the system. The network is identified by the network ID.

서비스 관리(SM) 블록은 IP 플랫폼과의 관계에 따라 식별된다. 일 예로서 하나의 SM이 하나의 IP 플랫폼에 대응되는 경우, IP 플랫폼 ID는 SM 식별자로 이용될 수 있다. 다른 경우 IP 플랫폼 ID와는 독립적으로 설정 가능한 서비스 관리 블록 ID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관리 블록을 식별하기 위한 다른 여러 방안들이 사용될 수 있다. 서비스 관리 블록을 식별하기 위한 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Service Management (SM) blocks a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ir relationship to the IP platform. As an example, when one SM corresponds to one IP platform, the IP platform ID may be used as the SM identifier. In other cases, a service management block ID that can be set independently of the IP platform ID may be used. In addition, various other methods for identifying the service management block may be used. Examples for identifying the service management block are as follows.

1. 하나의 서비스 제공자가 자신의 서비스 관리 블록을 소유한다면, 서비스 제공자 ID는 자신의 서비스 관리 블록을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가 IP 플랫폼 내에서 고유하다면, 서비스 제공자 ID와 IP 플랫폼 ID의 쌍은 서비스 관리 블록의 식별자로서 이용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ID가 다른 범위에서 고유하다면, 서비스 제공자 ID와 그 범위는 SM 식별자로서 이용될 수 있다.1. If a service provider owns his service management block, the service provider ID can be used to identify his service management block. If the service provider is unique within the IP platform, the pair of service provider ID and IP platform ID may be used as an identifier of the service management block. If the service provider ID is unique in another range, the service provider ID and the range may be used as the SM identifier.

2. 각 ESG 제공자가 자신의 서비스 관리 블록에 위치한다면, ESG 제공자 ID는 SM 식별자로서 이용될 수 있다. ESG 제공자가 IP 플랫폼 내에서만 고유하다면, ESG 제공자 ID와 IP 플랫폼 ID의 쌍은 서비스 관리 블록의 식별자로서 이용될 수 있다. ESG 제공자 ID가 다른 범위 내에서 고유하다면, 서비스 제공자 ID와 그 범위는 SM 식별자로서 이용될 수 있다.2. If each ESG provider is located in its own service management block, the ESG provider ID can be used as the SM identifier. If the ESG provider is unique only within the IP platform, the pair of ESG provider ID and IP platform ID may be used as an identifier of the service management block. If the ESG provider ID is unique within another range, the service provider ID and its range may be used as the SM identifier.

3. 하나의 IP 플랫폼이 정확히 하나의 서비스 관리 블록에 대응되고 서로 다른 서비스 관리 블록이 하나의 IP 플랫폼을 공유할 수 없다면, IP 플랫폼 ID는 서비스 관리 블록을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3. If one IP platform corresponds to exactly one service management block and different service management blocks cannot share one IP platform, the IP platform ID may be used to identify the service management block.

4. 각 서비스 관리 블록에 대해 서비스 관리 블록 ID를 정의하는 것이 각 서비스 관리 블록을 식별하는 가장 명확한 방법이다. 서비스 관리 블록 ID가 어떤 범위를 가지고 있다면, 서비스 관리 블록 ID와 그 범위의 식별자의 쌍이 SM 식별자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4. Defining a service management block ID for each service management block is the clearest way to identify each service management block. If the service management block ID has a range, a pair of the service management block ID and the identifier of the range may be used as the SM identifier.

5. 시스템의 구조 및 설명에 따른다.5. Follow the structure and description of the system.

핸드오버 및 로밍에 대한 정의는 IP 플랫폼의 변경에 기초할 수 있다. 단말 이 이동 후에도 동일한 IP 플랫폼 내에 있다면, 이는 핸드오버의 경우에 해당하고, 다른 IP 플랫폼에 있다면, 이는 로밍의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IP 플랫폼 ID는 핸드오버 및 로밍을 구별하기 위한 중요한 파라미터가 된다. 핸드오버와 로밍을 구별하기 위한 규칙은 양방향 네트워크로 확장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핸드오버와 로밍의 구분은 IP 플랫폼, ESG 제공자, 서비스 제공자, 서비스 관리 블록, IPDC 도메인, 네트워크 또는 기타 개념에 기초하여 정해진다.Definitions for handover and roaming may be based on changes in the IP platform. If the terminal is in the same IP platform even after moving, this corresponds to the case of handover, and if it is on another IP platform, this corresponds to the case of roaming. Therefore, the IP platform ID is an important parameter for distinguishing handover and roaming. The rules for distinguishing handover from roaming can be extended to bidirectional networks. As already mentioned, the distinction between handover and roaming is based on IP platforms, ESG providers, service providers, service management blocks, IPDC domains, networks or other concepts.

따라서, 본 문서에서 이동성 정의 관련 문제는 일반적이지 특정하지 않다. 구조 및 정의가 어떻든 간에, 본 문서에서 제안되는 사상은 여전히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관련 문제들, 예를 들어 개념, 수치(figure), 파라미터 등이 언급될 때 명확한 설명을 제시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핸드오버 및 로밍 정의에 대한 규칙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이는 IP 플랫폼, ESG 제공자, 서비스 제공자, SM, IPDC 도메인, 네트워크 또는 기타가 될 수 있다. 다라서, 관련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식별자)이 요구될 때, 관련된 모든 파라미터들을 열거하였다. 따라서, 이들 전체 혹은 이들 중 일부가 필요할 수도 있고, 새로운 파라미터들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필드들은 CBMS에서의 최종 정의에 따라 수정, 추가, 제거 또는 교체될 수 있다.Therefore, the problem of mobility definition in this document is general and not specific. Whatever the structure and definition, the ideas proposed in this document may still be used. The problem, however, is that it is difficult to give a clear explanation when related problems, for example concepts, figures, parameters, etc. are mentioned. Since the rules for handover and roaming definitions are not clear, this can be an IP platform, ESG provider, service provider, SM, IPDC domain, network or others. Therefore, when relevant parameters (eg, identifier) are required, all relevant parameters are listed. Thus, all or some of these may be needed, and new parameters may be needed. These fields may be modified, added, removed or replaced according to the final definition in the CBMS.

어쨌든, 구조, 개념, 파라미터들은 최종 정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나, 본 문서에서 제안된 사상은 채용될 수 있으며 CBMS에서의 최종 정의에 따라 약간의 수정을 거칠 수도 있다.In any case, the structure, concept and parameters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final definition, but the ideas proposed in this document may be adopted and may be slightly modified according to the final definition in the CBMS.

단말이 수신하고 있는 서비스가 새로운 서비스영역에서 더 이상 이용 가능하 지 않음에도 단말이 상기 서비스를 계속하여 소비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은 예를 들어 상기 새로운 서비스영역에 대한 IP 플랫폼,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주파수 등으로 수신 파라미터를 변경한다. 상기 수신 파라미터를 통해 새로 수신하게 되는 서비스는 이전 서비스영역에서 수신하고 있던 서비스와 완전히 동일할 수도 있고 약간의 차이를 가질 수도 있다.If the terminal wants to continue to consume the service even though the service that the terminal is receiving is no longer available in the new service area, the terminal may for example be an IP platform, a service provider, a network, Change the reception parameters by frequency. The service newly received through the reception parameter may be exactly the same as the service received in the previous service area or may have a slight difference.

단말이 수신하는 서비스가 약간 변화되어야 한다면, 어떤 변화인지 표시하는 것이 단말과 사용자에게 유리하다. 따라서 단말이 수신하는 서비스가 새로운 서비스영역에서 변화되는 경우에도 단말의 이동시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현재 네트워크에서는, 이웃한 다른 서비스영역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상기 현재 네트워크의 유사한 서비스와 어떻게 다른지를 나타내는 서비스 변화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다른 서비스영역이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말이 현재 위치하는 네트워크의 서비스영역과는 다른 IP 플랫폼, 서비스 제공자 혹은 네트워크에 속하거나, 혹은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는 서비스영역을 의미한다. CBMS 시스템에는, 두 종류의 전달 베어러, 즉 방송 네트워크와 양방향 네트워크가 있으므로, 서비스 변화 정보는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 및/또는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If the service received by the terminal should be changed slightly, it is advantageous for the terminal and the user to indicate what change. Therefore, even if the service received by the terminal is changed in a new service area, in order to guarantee service continuity when the terminal moves, in the current network, a service indicating how a service provided by another neighboring service area is different from a similar service of the current network. Send change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other service area means a service area belonging to a different IP platform, service provider or network, or using a different frequency than the service area of the network where the terminal is currently located. In the CBMS system, since there are two types of delivery bearers, that is, a broadcast network and a bidirectional network, service chang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bidirectional network and / or the bidirectional network.

단말은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다른 서비스영역으로 이동시에 현재 서비스에 연속하여 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만일 존재한다면 해당 변화된 서비스를 연속하여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로부터 어떤 종류의 서비스 변화가 있었는지, 그리고 상기 서비스 변화가 수용할 만한 것인지를 인지한다. 이를 통해, 단말 혹은 사용자는 상기 변화 된 서비스를 수신할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은 변화된 서비스의 수신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를 획득한다.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service that can be continuously received in the current service when moving to the other service area with reference to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and if present, continuously receives the changed service. Specifically, the terminal recognizes what kind of service change has occurred from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and whether the service change is acceptable. Through this, the terminal or the user can determine whether to receive the changed service. As such, the terminal acquires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before starting to receive the changed service.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변화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는 IP 플랫폼이 변경되는 핸드오버의 경우를 도시하였다.2A and 2B show an example of service chang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case of handover in which the IP platform is changed is illustrated.

도 2a를 참조하면, 단말(208)은 IP 플랫폼 A(202)에서 서비스 A(206)를 수신하다가, IP 플랫폼 B(204)의 서비스영역으로 이동한다. 상기의 이동시에 단말(208)은 IP 플랫폼 B(204)에서 서비스 A(206)의 컨텐츠가 유효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IP 플랫폼 A(202)에서 수신한 서비스 변화 정보를 참조한다. Referring to FIG. 2A, the terminal 208 receives the service A 206 at the IP platform A 202 and moves to the service area of the IP platform B 204. In this movement, the terminal 208 refers to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received at the IP platform A 202 to determine whether the content of the service A 206 is valid at the IP platform B 204.

IP 플랫폼 B(204)에서 제공되는 변화된 서비스의 일 예를 도 2b에 도시하였다.An example of the changed service provided in IP platform B 204 is shown in FIG. 2B.

도 2b를 참조하면, 서비스 A(206)에 관련된 원래 컨텐츠는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210)과 지역에 따라 특화된 서로 다른 오디오 스트림들 A, B(212, 214)로 구성된다. 비디오 스트림(210)은 IP 플랫폼 A(202)와 IP 플랫폼 B(204)에서 동일하게 제공되지만, 오디오 스트림 A(212)는 IP 플랫폼 A(202)에서 제공되고 오디오 스트림 B(214)는 IP 플랫폼 B(204)에서 제공된다. 그러므로 IP 플랫폼 A(202)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A(206)는 비디오 스트림(210)과 오디오 스트림 A(212)로 구성되며, IP 플랫폼 B(204)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B(200)는 서비스 A(206)에 대한 변화된 서비스로서 비디오 스트림(210)과 오디오 스트림 B(214)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2B, the original content associated with service A 206 consists of one video stream 210 and different audio streams A, B 212, 214 that are specific to the region. Video stream 210 is provided identically at IP platform A 202 and IP platform B 204, but audio stream A 212 is provided at IP platform A 202 and audio stream B 214 is IP platform. Provided at B 204. Therefore, service A 206 provided by IP platform A 202 is composed of video stream 210 and audio stream A 212, and service B 200 provided by IP platform B 204 is service A ( It is composed of video stream 210 and audio stream B 214 as a modified service for 206.

IP 플랫폼 B(204)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A(206)에 관련된 변화된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로는 국제 뉴스(world wide news), 실시간 스포츠 중계 방송(live sport broadcasts) 등이 있다. 스포츠 중계 방송의 경우 일반적으로 동일한 비디오 컨텐츠를 가지지만 오디오는 지역에 따라 특화된다. 즉 동일한 스포츠 중계 방송의 비디오에 대해 다수의 서로 다른 오디오 스트림들, 일 예로서 서로 다른 언어로 방송되는 해설(commentary)들 혹은 동일한 언어를 가지지만 서로 다른 해설자(commentators)에 의한 해설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서 IP 플랫폼 A(202)는 유로 TV를 위한 채널들을 제공하며, IP 플랫폼 B(204)는 전국 TV(national TV)를 위한 채널들을 제공한다.Representative examples of changed services related to service A 206 provided in IP platform B 204 include world wide news, live sport broadcasts, and the like. Sports broadcasts generally have the same video content, but audio is localized. That is, there may be a plurality of different audio streams, for example commentaries broadcast in different languages or commentaries by different commentators having the same language for video of the same sports relay broadcast. . As an example, IP platform A 202 provides channels for Euro TV, and IP platform B 204 provides channels for national TV.

IP 플랫폼 A(202)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변화 정보는 서비스 A(206)의 기준에서 서비스 B(200)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나타낸다.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의 상세 내용은, 서비스 제공자 혹은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의 제공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다른 언어의 서비스, 다른 서브타이틀의 서비스, 다른 카메라 각도(angle)의 서비스 등의 서비스 변화를 나타낸다.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provided by IP platform A 202 indicates how service B 200 has changed in the criteria of service A 206. Details of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may be defined by a service provider or a provider of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For example, a service such as a service of another language, a service of another subtitle, or a service of another camera angle may be used. Indicates a change.

하기에 세 가지 타입의 서비스 변화의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변화 정보의 상세 내용은 이러한 세 가지의 서비스 변화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공자가 원하는 다른 타입의 서비스 변화가 더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The following describes three types of service changes. However, the details of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se three service changes, and another type of service change desired by the provider may be added.

1) 다른 언어의 서비스는 동일한 컨텐츠이나 다른 언어로 표현된 서비스를 의미한다.1) Services in different languages mean services expressed in the same content or in different languages.

2) 다른 서브타이틀의 서비스는 동일한 컨텐츠이나 다른 서브타이틀을 가진 서비스를 의미한다.2) A service of another subtitle means a service having the same content or different subtitles.

3) 다른 카메라의 서비스는 동일한 서비스이나, 다른 카메라 각도로부터 얻은 비디오 영상을 가지는 서비스를 의미한다.3) The service of another camera means the same service or a service having a video image obtained from different camera angles.

하기의 <표 1>은 상기한 서비스 변화들의 설명을 요약한 것이다. Table 1 below summarizes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service changes.

분류Classification 설명Explanation 1 One 다른 언어의 서비스Services in other languages 다른 언어로 표현된 동일한 서비스Same service expressed in different languages 22 다른 서브타이틀의 서비스Services in other subtitles 다른 서브타이틀을 가진 동일한 서비스Same service with different subtitles 33 다른 카메라 각도의 서비스Service of different camera angles 다른 카메라 각도의 영상을 가진 동일한 서비스Same service with footage from different camera angles

따라서, 서비스들 간의 서비스 변화 정보는 다음 <표 2>와 같이 주어질 수 있다. 하기에서 서비스 식별자 및 위치와 관련된 정보는 핸드오버와 로밍의 정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는 가능한 관련 파라미터들을 개시하였으나, 이들은 CBMS 최종 정의 및 요구조건에 따라 제거, 추가 또는 수정될 수 있다. 서비스 변화에 대한 구문은 다양하지만, 주요 사상은 다음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다.Therefore, service change information between services may be given as shown in Table 2 below. In the follow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rvice identifier and the loca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handover and roaming. While the relevant relevant parameters have been disclosed here, they may be removed, added or modified according to the CBMS final definitions and requirements. The syntax for service change varies, but the main ideas are shown in <Table 2>.

서비스 AService A 서비스 A'Service A ' 서비스 식별자 및 위치Service identifier and location 서비스 IDService ID 서비스 ID'Service ID ' IP 주소IP address IP 주소'IP address " ESG 제공자 IDESG Provider ID ESG 제공자 ID'ESG Provider ID ' IP 플랫폼 IDIP platform ID IP 플랫폼 ID'IP platform ID " 서비스 제공자 IDService provider ID 서비스 제공자 ID'Service provider ID " SM IDSM ID SM ID'SM ID ' 네트워크 IDNetwork ID 네트워크 ID'Network id ' 액세스 정보Access information

서비스 변화 타입Service change type 1. 다른 언어의 서비스1. Services in other languages 0: 두 서비스들 간의 언어가 동일함을 의미0: means the languages are the same between the two services 1: 두 서비스들 간의 언어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1: means the language is different between the two services 서비스 A에 의해 이용된 언어 타입Language type used by service A 서비스 A'에 의해 이용된 언어 타입Language type used by service A ' 2. 다른 서브 타이틀의 서비스2. Services of other subtitles 0: 두 서비스들 간의 서브 타이틀이 동일함을 의미0: This means that the subtitles between the two services are the same. 1: 두 서비스들 간의 서브 타이틀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1: means the subtitle is different between the two services 서비스 A에 의해 이용된 서브 타이틀 타입Subtitle Type Used by Service A 서비스 A'에 의해 이용된 서브 타이틀 타입Subtitle type used by service A ' 3. 다른 카메라 각도의 서비스3. Service of different camera angle 0: 두 서비스들 간의 카메라 각도가 동일함을 의미0: means the camera angle between the two services is the same 1: 두 서비스들 간의 카메라 각도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1: means that the camera angle between the two services is different 서비스 A에 의해 이용된 카메라 각도 타입Camera angle type used by service A 서비스 A'에 의해 이용된 카메라 각도 타입Camera angle type used by service A '

서비스 변화의 구체적인 상세 내용을 단말로 지시하기 위한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는 방송 네트워크 또는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운송된다. 일 예로서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는 전자 서비스 안내(ESG), 통지(Notification) 메시지, PSI/SI 또는 다른 시그널링에 포함된다. ESG를 통해 전달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는 제공 가능한 각 서비스에 대해 서비스 전반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는 서비스 프래그먼트의 서비스 타입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또는 서비스 매핑 정보 요소에 부가되거나, 혹은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의 새로운 정보 요소에 부가되거나, 혹은 컨텐츠 프래그먼트, 획득 프래그먼트 혹은 다른 프래그먼트에 포함된다.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는 단말의 요청에 대응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for indicating specific details of service change to the terminal is transported through a broadcast network or a bidirectional network. As an example,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is included in an electronic service announcement (ESG), notification message, PSI / SI or other signaling. When delivered through an ESG,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is added to a service type information element or service mapping information element of a service fragment including a description of the service as a whole for each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or the service. It is added to a new information element of a fragment or included in a content fragment, an acquisition fragment, or another fragment. When delivered through a bidirectional network,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a response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of the terminal.

하기의 <표 3a> 및 <표 3b>는 서비스 변화 정보에 포함되는 서비스 변화 타입에 대한 정보 요소의 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표 3a> 및 <표 3b>에 나타낸 타입들 이외에 서비스 변화의 타입들이 제공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Tables 3a and 3b below show examples of information elements for service change types included in service change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types shown in Tables 3a and 3b, types of service changes may be defined by the provider.

<complexType name="ServiceVariationType"> <sequence> <element name=" different language" type="mpeg:extendedLanguageType"use="optional"/> <element name=" different subtitle" type="mpeg:extendedLanguageType"use="optional"/> <element name=" different camera angle" type="anyURI"use="optional"/> </sequence> <attribute name=" service with different language" type="boolean"/> <attribute name=" service different subtitle" type="boolean"/> <attribute name=" service different camera angle" type="boolean"/> </complexType> <complexType name = "ServiceVariationType"><sequence><element name = "different language" type = "mpeg: extendedLanguageType" use = "optional"/><element name = "different subtitle" type = "mpeg: extendedLanguageType" use = "optional"/><element name = "different camera angle" type = "anyURI" use = "optional"/></sequence><attribute name = "service with different language" type = "boolean"/> <attribute name = "service different subtitle" type = "boolean"/> <attribute name = "service different camera angle" type = "boolean"/></complexType>

<ClassificationScheme uri="urn:dvb:ipdc:esg: cs: ServiceVariationTypeCS:> <Term termID="1.0"<Name xml:lang="en"> Service Variation Type</Name> <Definition xml:lang="en">Type of service variation, e.g. different language, different subtitle, different camera</Definition> <Term termID="1.1"> <Name xml:lang="en">service with different language</Name> <Definition xml:lang="en">A service with different language</Definition> <Term termID="1.2"> <Name xml:lang="en">service different subtitle</Name> <Definition xml:lang="en">A service with different subtitle</Definition> <Term termID="1.3"> <Name xml:lang="en">service different camera angle</Name> <Definition xml:lang="en">A Service with different camera angle</Definition> <Term termID="1.4"> <Name xml:lang="en">service without variation</Name> <Definition xml:lang="en">A service without variation</Definition> </Term> </Term> </ClassificationScheme><ClassificationScheme uri = "urn: dvb: ipdc: esg: cs: ServiceVariationTypeCS:> <Term termID =" 1.0 "<Name xml: lang =" en "> Service Variation Type </ Name> <Definition xml: lang =" en "> Type of service variation, eg different language, different subtitle, different camera </ Definition> <Term termID =" 1.1 "> <Name xml: lang =" en "> service with different language </ Name> <Definition xml: lang = "en"> A service with different language </ Definition> <Term termID = "1.2"> <Name xml: lang = "en"> service different subtitle </ Name> <Definition xml: lang = "en"> A service with different subtitle </ Definition> <Term termID = "1.3"> <Name xml: lang = "en"> service different camera angle </ Name> <Definition xml: lang = "en"> A Service with different camera angle </ Definition> <Term termID = "1.4"> <Name xml: lang = "en"> service without variation </ Name> <Definition xml: lang = "en"> A service without variation </ Definition> </ Term> </ Term> </ ClassificationScheme>

두 서비스들은 동일한 언어, 서로 다른 서브타이틀들, 서로 다른 카메라 각도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 3b>는 다음과 같은 <표 3c>로 수정될 수 있다Both services may have the same language, different subtitles, and different camera angles. In this case, <Table 3b> can be modified to the following <Table 3c>.

<ClassificationScheme uri="urn:dvb:ipdc:esg: cs: ServiceVariationTypeCS:> <Term termID="1.0"<Name xml:lang="en"> Service Variation Type</Name> <Definition xml:lang="en">Type of service variation, e.g. different language, different subtitle, different camera</Definition> <Term termID="1.1"> <Name xml:lang="en">service with same language</Name> <Definition xml:lang="en">A service with same language</Definition> <Term termID="1.1.1"> <Name xml:lang="en">service samesubtitle</Name> <Definition xml:lang="en">A service with same subtitle</Definition> <Term termID="1.1.1.1> <Name xml:lang="en">service same camera angle</Name> <Definition xml:lang="en">A Service with same camera angle</Definition> </Term> <Term termID="1.1.1.2> <Name xml:lang="en">service different camera angle</Name> <Definition xml:lang="en">A Service with different camera angle</Definition> </Term> </Term> <Term termID="1.1.2> <Name xml:lang="en">service different subtitle</Name> <Definition xml:lang="en">A service with different subtitle</Definition> <Term termID="1.1.2.1> <Name xml:lang="en">service same camera angle</Name> <Definition xml:lang="en">A Service with same camera angle</Definition> </Term> <Term termID="1.1.2.2> <Name xml:lang="en">service different camera angle</Name> <Definition xml:lang="en">A Service with different camera angle</Definition> </Term> </Term> </Term> <Term termID="1.2> <Name xml:lang="en">service with different language</Name> <Definition xml:lang="en">A service with different language</Definition> <Term termID="1.2.1"> <Name xml:lang="en">service same subtitle</Name> <Definition xml:lang="en">A service with same subtitle</Definition> <Term termID="1.2.1.1> <Name xml:lang="en">service same camera angle</Name> <Definition xml:lang="en">A Service with same camera angle</Definition> </Term> <Term termID="1.2.1.2> <Name xml:lang="en">service different camera angle</Name> <Definition xml:lang="en">A Service with different camera angle</Definition> </Term> </Term> <Term termID="1.2.2> <Name xml:lang="en">service different subtitle</Name> <Definition xml:lang="en">A service with different subtitle</Definition> <Term termID="1.2.2.1> <Name xml:lang="en">service same camera angle</Name> <Definition xml:lang="en">A Service with same camera angle</Definition> </Term> <Term termID="1.2.2.2> <Name xml:lang="en">service different camera angle</Name> <Definition xml:lang="en">A Service with different camera angle</Definition> </Term> </Term> </Term> </Term> </ClassificationScheme><ClassificationScheme uri = "urn: dvb: ipdc: esg: cs: ServiceVariationTypeCS:> <Term termID =" 1.0 "<Name xml: lang =" en "> Service Variation Type </ Name> <Definition xml: lang =" en "> Type of service variation, eg different language, different subtitle, different camera </ Definition> <Term termID =" 1.1 "> <Name xml: lang =" en "> service with same language </ Name> <Definition xml: lang = "en"> A service with same language </ Definition> <Term termID = "1.1.1"> <Name xml: lang = "en"> service samesubtitle </ Name> <Definition xml: lang = "en" > A service with same subtitle </ Definition> <Term termID = "1.1.1.1> <Name xml: lang =" en "> service same camera angle </ Name> <Definition xml: lang =" en "> A Service with same camera angle </ Definition> </ Term> <Term termID = "1.1.1.2> <Name xml: lang =" en "> service different camera angle </ Name> <Definition xml: lang =" en "> A Service with different camera angle </ Definition> </ Term> </ Term> <T erm termID = "1.1.2> <Name xml: lang =" en "> service different subtitle </ Name> <Definition xml: lang =" en "> A service with different subtitle </ Definition> <Term termID =" 1.1 .2.1> <Name xml: lang = "en"> service same camera angle </ Name> <Definition xml: lang = "en"> A Service with same camera angle </ Definition> </ Term> <Term termID = " 1.1.2.2> <Name xml: lang = "en"> service different camera angle </ Name> <Definition xml: lang = "en"> A Service with different camera angle </ Definition> </ Term> </ Term> </ Term> <Term termID = "1.2> <Name xml: lang =" en "> service with different language </ Name> <Definition xml: lang =" en "> A service with different language </ Definition> <Term termID = "1.2.1"> <Name xml: lang = "en"> service same subtitle </ Name> <Definition xml: lang = "en"> A service with same subtitle </ Definition> <Term termID = "1.2 .1.1> <Name xml: lang = "en"> service same camera angle </ Name> < Definition xml: lang = "en"> A Service with same camera angle </ Definition> </ Term> <Term termID = "1.2.1.2> <Name xml: lang =" en "> service different camera angle </ Name> <Definition xml: lang = "en"> A Service with different camera angle </ Definition> </ Term> </ Term> <Term termID = "1.2.2> <Name xml: lang =" en "> service different subtitle </ Name> <Definition xml: lang = "en"> A service with different subtitle </ Definition> <Term termID = "1.2.2.1> <Name xml: lang =" en "> service same camera angle </ Name> <Definition xml: lang = "en"> A Service with same camera angle </ Definition> </ Term> <Term termID = "1.2.2.2> <Name xml: lang =" en "> service different camera angle </ Name > <Definition xml: lang = "en"> A Service with different camera angle </ Definition> </ Term> </ Term> </ Term> </ Term> </ ClassificationScheme>

하기의 <표 4a> 및 <표 4b>는 다른 서비스에 대해 이용 가능한(available) 언어/서브타이틀/카메라각도를 표시하는 서비스 변화 정보의 상세 내용을 나타낸 것이다.Tables 4a and 4b below show details of service change information indicating available languages / subtitles / camera angles for other services.

서로 다른 언어, 서브 타이틀 및/또는 카메라 각도를 가진 서비스에 대해, 이용 가능한 언어, 서브 타이틀 및/또는 카메라 각도를 표시할 수 있다. 서비스 식별자 및 위치에 대한 자세한 정보 또한 다음 <표 4a> 혹은 <표 4b>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SG 제공자 ID, 서비스 제공자 ID의 정의로 URI 타입 대신 다른 파라미터, 예를 들어 양의 정수가 사용될 수 있다.For services with different languages, subtitles and / or camera angles, the available languages, subtitles and / or camera angles may be indicated.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ervice identifier and location may also be displayed as shown in Table 4a or Table 4b. For example, other parameters such as positive integers may be used instead of the URI type in the definition of the ESG provider ID and the service provider ID.

<complexType name = "ServiceVariation" minOccur ="0" maxOccur="unbounded"/> < sequence > <element name ="Service_ID" type="anyURI"/> <element name="IP_address" type="positive Integer"/> <element name="ESGProviderID" type="anyURI"> <element name="IP platform_ID" type="positive Integer"/> <element name="ServiceProvider_ID" type="anyURI"/> <element name="SM_ID" type="anyURI"/> <element name="Network_ID" type="anyURI"> <element name="ServiceVariationType" type="esg:ServiceVatiationType"> <element name ="Service_ID_other" type="anyURI"/> <element name="IP_address_other" type="positive Integer"/> <element name="ESGProviderID_other" type="anyURI"> <element name="IP platform_ID_other" type="positive Integer"/> <element name="ServiceProvider_ID_other" type="anyURI"/> <element name="SM_ID_other" type="anyURI"/> <element name="Network_ID_other" type="anyURI"> </ sequence > </complexType><complexType name = "ServiceVariation" minOccur = "0" maxOccur = "unbounded" /> <sequence> <element name = "Service_ID" type = "anyURI" /> <element name = "IP_address" type = "positive Integer" / > <element name = "ESGProviderID" type = "anyURI"> <element name = "IP platform_ID" type = "positive Integer" /> <element name = "ServiceProvider_ID" type = "anyURI" /> <element name = "SM_ID "type =" anyURI "/> <element name =" Network_ID "type =" anyURI "> <element name =" ServiceVariationType "type =" esg: ServiceVatiationType "> <element name =" Service_ID_other "type =" anyURI "/> <element name = "IP_address_other" type = "positive Integer" /> <element name = "ESGProviderID_other" type = "anyURI"> <element name = "IP platform_ID_other" type = "positive Integer" /> <element name = "ServiceProvider_ID_other "type =" anyURI "/> <element name =" SM_ID_other "type =" anyURI "/> <element name =" Network_ID_other "type =" anyURI "> </ sequence> </ complexType>

<complexType name = "ServiceVariation" minOccur ="0" maxOccur="unbounded"/> < sequence > <element name ="Service_ID" type="anyURI"/> <element name="IP_address" type="positive Integer"/> <element name="ESGProviderID" type="anyURI"> <element name="IP platform_ID" type="positive Integer"/> <element name="ServiceProvider_ID" type="anyURI"/> <element name="SM_ID" type="anyURI"/> <element name="Network_ID" type="anyURI"> <element name="ServiceVariationType" type="esg:ServiceVatiationType"> <element name=" different language" type="mpeg:extendedLanguageType"use="optional"/> <element name=" different subtitle" type="mpeg:extendedLanguageType"use="optional"/> <element name=" different camera angle" type="anyURI"use="optional"/> <element name ="Service_ID_other" type="anyURI"/> <element name="IP_address_other" type="positive Integer"/> <element name="ESGProviderID_other" type="anyURI"> <element name="IP platform_ID_other" type="positive Integer"/> <element name="ServiceProvider_ID_other" type="anyURI"/> <element name="SM_ID_other" type="anyURI"/> <element name="Network_ID_other" type="anyURI"> </ sequence > </complexType><complexType name = "ServiceVariation" minOccur = "0" maxOccur = "unbounded" /> <sequence> <element name = "Service_ID" type = "anyURI" /> <element name = "IP_address" type = "positive Integer" / > <element name = "ESGProviderID" type = "anyURI"> <element name = "IP platform_ID" type = "positive Integer" /> <element name = "ServiceProvider_ID" type = "anyURI" /> <element name = "SM_ID "type =" anyURI "/> <element name =" Network_ID "type =" anyURI "> <element name =" ServiceVariationType "type =" esg: ServiceVatiationType "> <element name =" different language "type =" mpeg: extendedLanguageType "use =" optional "/> <element name =" different subtitle "type =" mpeg: extendedLanguageType "use =" optional "/> <element name =" different camera angle "type =" anyURI "use =" optional "/ > <element name = "Service_ID_other" type = "anyURI" /> <element name = "IP_address_other" type = "positive Integer" /> <element name = "ESGProviderID_other" type = "anyURI"> <element name = "IP platform_ID_other "type =" positive Integer "/> <element name =" ServiceProvider_ID_other "type =" anyURI "/> <element name =" SM_ID_other "type =" anyURI "/> <element name =" Network_ID_other "type =" anyURI "> </ sequence> </ complexType>

여기서 현재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변화된 서비스는, 다른 서비스 식별자(service_ID_other), 다른 IP 주소(IP_address_other), 다른 제공자(provider_id_other), 다른 IP 플랫폼 식별자(IP platform_id_other), 다른 네트워크 식별자(network_id_other)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식별된다. 또한 상기 변화된 서비스의 서비스 변화 타입과, 언어, 서브타이틀 및/또는 카메라에 대한 정보 요소들이 서비스 변화 정보에 포함된다.Here, the changed service for the service provided in the current network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other service identifier (service_ID_other), another IP address (IP_address_other), another provider (id_provider_id_other), another IP platform identifier (IP platform_id_other), and another network identifier (network_id_other). Is identified by one. Also included in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is a service change type of the changed service and information elements for language, subtitle and / or camera.

서비스 변화 정보는 다음 <표 5a>와 같이, 현재 네트워크의 서비스에 대해 인접한 네트워크의 서비스에 대한 매핑을 나타내는 서비스 매핑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service mapping information indicating a mapping of a service of a neighboring network to a service of a current network, as shown in Table 5a.

<complexType name = ServiceMapping_same" minOccur ="0" maxOccur="unbounded"> < sequence > <element name ="Service_ID"type="anyURI"/> <element name="IP_address" type="positive Integer"/> <element name="ESGProviderID" type="anyURI"> <element name="IP platform_ID" type="positive Integer"/> <element name="ServiceProvider_ID" type="anyURI"/> <element name="SM_ID" type="anyURI"/> <element name="Network_ID" type="anyURI"> <element name ="Service_ID_other" type="anyURI"/> <element name="IP_address_other" type="positive Integer"/> <element name="ESGProviderID_other" type="anyURI"> <element name="IP platform_ID_other" type="positive Integer"/> <element name="ServiceProvider_ID_other" type="anyURI"/> <element name="SM_ID_other" type="anyURI"/> <element name="Network_ID_other" type="anyURI"> <element name="ServiceVariation" type="esg:ServiceVatiation"> </ sequence > </complexType><complexType name = ServiceMapping_same "minOccur =" 0 "maxOccur =" unbounded "><sequence><element name =" Service_ID "type =" anyURI "/><element name =" IP_address "type =" positive Integer "/>< element name = "ESGProviderID" type = "anyURI"><element name = "IP platform_ID" type = "positive Integer"/><element name = "ServiceProvider_ID" type = "anyURI"/><element name = "SM_ID" type = "anyURI"/><element name = "Network_ID" type = "anyURI"><element name = "Service_ID_other" type = "anyURI"/><element name = "IP_address_other" type = "positive Integer"/><element name = "ESGProviderID_other" type = "anyURI"><element name = "IP platform_ID_other" type = "positive Integer"/><element name = "ServiceProvider_ID_other" type = "anyURI"/><element name = "SM_ID_other" type = "anyURI"/><element name = "Network_ID_other" type = "anyURI"><element name = "ServiceVariation" type = "esg: ServiceVatiation"> </ sequence></complexType>

서비스 변화 타입은 다음 <표 5b>와 같이 서비스 매핑 정보에 이용될 수 있다. The service change type may be used for service mapping information as shown in Table 5b below.

<complexType name = ServiceMapping_same" minOccur ="0" maxOccur="unbounded"> < sequence > <element name ="Service_ID" type="anyURI"/> <element name="IP_address" type="positive Integer"/> <element name="ESGProviderID" type="anyURI"> <element name="IP platform_ID" type="positive Integer"/> <element name="ServiceProvider_ID" type="anyURI"/> <element name="SM_ID" type="anyURI"/> <element name="Network_ID" type="anyURI"> <element name ="Service_ID_other" type="anyURI"/> <element name="IP_address_other" type="positive Integer"/> <element name="ESGProviderID_other" type="anyURI"> <element name="IP platform_ID_other" type="positive Integer"/> <element name="ServiceProvider_ID_other" type="anyURI"/> <element name="SM_ID_other" type="anyURI"/> <element name="Network_ID_other" type="anyURI"> <element name="ServiceVariationType" type="esg:ServiceVatiationType"> <element name="ServiceRelatedType" type="esg:ServiceRelatedType"> <element name="related service" type="anyURI"> </ sequence > </complexType><complexType name = ServiceMapping_same "minOccur =" 0 "maxOccur =" unbounded "><sequence><element name =" Service_ID "type =" anyURI "/><element name =" IP_address "type =" positive Integer "/>< element name = "ESGProviderID" type = "anyURI"><element name = "IP platform_ID" type = "positive Integer"/><element name = "ServiceProvider_ID" type = "anyURI"/><element name = "SM_ID" type = "anyURI"/><element name = "Network_ID" type = "anyURI"><element name = "Service_ID_other" type = "anyURI"/><element name = "IP_address_other" type = "positive Integer"/><element name = "ESGProviderID_other" type = "anyURI"><element name = "IP platform_ID_other" type = "positive Integer"/><element name = "ServiceProvider_ID_other" type = "anyURI"/><element name = "SM_ID_other" type = "anyURI"/><element name = "Network_ID_other" type = "anyURI"><element name = "ServiceVariationType" type = "esg: ServiceVatiationType"> <element name = "ServiceRelatedType" type = "esg: ServiceRelatedType"> <element name = "related service" type = "anyURI"> </ sequence></ complexTy pe>

하기 <표 5c>는 서비스 매핑 정보의 또 다른 예이다.Table 5c below is another example of service mapping information.

<complexType name = ServiceMapping_same" minOccur ="0" maxOccur="unbounded"> < sequence > <element name ="Service_ID" type="anyURI"/> <element name="IP_address" type="positive Integer"/> <element name="ESGProviderID" type="anyURI"> <element name="IP platform_ID" type="positive Integer"/> <element name="ServiceProvider_ID" type="anyURI"/> <element name="SM_ID" type="anyURI"/> <element name="Network_ID" type="anyURI"> <element name ="Service_ID_other" type="anyURI"/> <element name="IP_address_other" type="positive Integer"/> <element name="ESGProviderID_other" type="anyURI"> <element name="IP platform_ID_other" type="positive Integer"/> <element name="ServiceProvider_ID_other" type="anyURI"/> <element name="SM_ID_other" type="anyURI"/> <element name="Network_ID_other" type="anyURI"> <element name="ServiceVariationType" type="esg:ServiceVatiationType"> <element name=" different language" type="mpeg:extendedLanguageType"use="optional"/> <element name=" different subtitle" type="mpeg:extendedLanguageType"use="optional"/> <element name=" different camera angle" type="anyURI"use="optional"/> <element name="ServiceRelatedType" type="esg:ServiceRelatedType"> <element name="related service" type="anyURI"> </ sequence > </complexType<complexType name = ServiceMapping_same "minOccur =" 0 "maxOccur =" unbounded "><sequence><element name =" Service_ID "type =" anyURI "/><element name =" IP_address "type =" positive Integer "/>< element name = "ESGProviderID" type = "anyURI"><element name = "IP platform_ID" type = "positive Integer"/><element name = "ServiceProvider_ID" type = "anyURI"/><element name = "SM_ID" type = "anyURI"/><element name = "Network_ID" type = "anyURI"><element name = "Service_ID_other" type = "anyURI"/><element name = "IP_address_other" type = "positive Integer"/><element name = "ESGProviderID_other" type = "anyURI"><element name = "IP platform_ID_other" type = "positive Integer"/><element name = "ServiceProvider_ID_other" type = "anyURI"/><element name = "SM_ID_other" type = "anyURI"/><element name = "Network_ID_other" type = "anyURI"><element name = "ServiceVariationType" type = "esg: ServiceVatiationType"> <element name = "different language" type = "mpeg: extendedLanguageType" use = "optional"/><element name = "different subtitle" type = "mpeg: extend edLanguageType "use =" optional "/><element name =" different camera angle "type =" anyURI "use =" optional "/><element name =" ServiceRelatedType "type =" esg: ServiceRelatedType "> <element name =" related service "type =" anyURI "> </ sequence></ complexType

서비스 변화 정보가 PSI/SI에 실리는 경우, PSI/SI는 각 서비스에 대한 정보들, 즉 IP 주소, 전송 스트림 식별자, 네트워크 식별자 등을 이미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서비스 변화 정보의 다른 정보 요소들이 중복되지 않도록 PSi/SI에 추가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When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is loaded on the PSI / SI, the PSI / SI already includes information on each service, that is, an IP address, a transport stream identifier, a network identifier, and the like. Therefore, other information elements of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may be additionally inserted into the PSi / SI so as not to overlap.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터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에 언급된 네트워크 엔터티는 서비스 매핑 및 서비스 변화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전송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엔터티로서, 일 예로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 서비스 관리 블록 혹은 상기 두 블록들 모두가 될 수 있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network ent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entity referred to herein is at least one entity capable of collecting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service mapping and service change. For example, the network entity may be a service application block, a service management block, or both.

도 3을 참조하면, 302 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는 현재 네트워크에서 제공 가능한 각 서비스와 인접한 혹은 그렇지 않은 다른 네트워크들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들을 참조하여, 상기 현재 네트워크의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매핑 및 서비스 변화에 관련된 정보들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들을 참조하여 서비스 변화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는 일 예로서 다른 네트워크에서 영어로 제공되지만 현재 네트워크에서 지역 언어로 제공되는 동일한 컨텐츠의 서비스, 다른 네트워크에서 영어 자막과 함께 제공되지만 현재 네트워크에서 지역 언어의 자막과 함께 제공되는 영화 서비스 등에 대한 변화 정보 요소들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in step 302, the network entity refers to information on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in other networks adjacent to each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in the current network, or services that are provided in other network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hange is collected, and service change information is generated with reference to the collected information.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is, for example, a service of the same content provided in English on another network but currently provided in a local language on a network, and a film service provided with English subtitles on another network but currently provided with subtitles in a local language on a network. And change information elements for the like.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는, 표준 규약 혹은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310 내지 312 단계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단말로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310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는 ESG에 실려 단말로 전송된다. 312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는 통지 메시지에 실려 단말로 전송된다. 314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는 미리 정해지는 시그널링 메시지에 실려 단말로 전송된다. 316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는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단말의 요청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엔터티가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에 실려 단말로 전송된다.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by at least one of steps 310 to 312 according to a standard protocol or a system designer's intention. In more detail, in step 310,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is loaded on the ESG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n step 312,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n a notification message. In step 314,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n a predetermined signaling message. In step 316,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n a response message transmitted by the network entity through the bidirectional network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bidirectional network.

핸드오버 또는 로밍의 경우에서, 원래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변화 정보를 제공한다면, 단말은 새로운 수신 파라미터로 전환하기 전에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파라미터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네트워크가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를 제공한다면, 단말은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에 대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고 이를 스스로 분석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네트워크에서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유용하다In the case of handover or roaming, if the original network provides service change information, the terminal may select the reception parameter based on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before switching to the new reception parameter. If another network provides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the terminal may find a difference for the service based on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and does not need to analyze it by itself. Therefore, it is very useful to provide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in the network.

도 4(도 4a 내지 도 4c로 구성됨)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서비스 변화 정보가 서비스 매핑 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매핑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에 따라 도 4a 혹은 도 4b가 수행된다. 4 (composed of FIGS. 4A to 4C)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case where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service mapping information and transmitted is described. 4A or 4B is performed according to a means for transmitting service mapping information in a network.

도 4a를 참조하면, 402 단계에서 단말은 PSI/SI를 수신하고 404 단계에서 ESG, 통지 메시지 혹은 다른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도 4c의 422 단계로 진행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412 단계에서 단말은 현재 네트워크에서 현재 서비스를 수신할 수 없는지, 즉 다른 서비스영역에서 상기 현재 서비스를 계속하여 수신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다른 서비스영역에서 상기 현재 서비스를 계속 수신할 것으로 판단되면 414 단계로 진행하여 단말은 네트워크로 서비스 매핑 정보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416 단계에서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서비스 매핑 정보를 수신한 후 도 4c의 422 단계로 진행한다.Referring to FIG. 4A, in step 402, the UE receives PSI / SI, and in step 404, receives an ESG, a notification message, or other signaling, and proceeds to step 422 of FIG. 4C. Referring to FIG. 4B, in step 412, the UE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service cannot be received in the current network, that is, whether to continue receiving the current service in another service area.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service is to be continuously received in another service area, the terminal proceeds to step 414 and the terminal transmits a request message for service mapping information to the network, and in step 416, receives the service mapp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request message. After tha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22 of FIG. 4C.

도 4c를 참조하면, 422 단계에서 단말은 원하는 서비스가 존재하는지를 찾기 위해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를 분석(parsing)하고, 424 단계에서 상기 다른 서비스영역에서 상기 현재 서비스에 매핑되는 서비스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현재 서비스와 일치하는 서비스가 발견되거나 관련된 다른 서비스만이 존재하면 426 및 428 단계에서 단말은 해당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4C, the terminal analyzes the service mapping information to find whether a desired service exists in step 422, and determines whether a service mapped to the current service exists in the other service area in step 42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rvice mapping information, if a service matching the current service is found or only another related service exists, the terminal performs a corresponding procedure in steps 426 and 428.

반면 상기 현재 서비스에 대한 변화된 서비스가 발견되면, 43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 변화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변화된 서비스의 서비스 변화 타입을 확인한다. 상기 서비스 변화 타입이 "다른 언어"라면 432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변화된 서비스의 언어가 사용자에게 유효한지를 판단한다. 상기 서비스 변화 타입이 "다른 서브타이틀"라면 436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변화된 서비스의 서브타이틀이 사용자에게 유효한지를 판단한다. 상기 서비스 변화 타입이 "다른 카메라"라면 434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변화된 서비스의 카메라 각도가 사용자에게 유효한지를 판단한다. 상기 432 내지 436 단계에서의 판단을 위해 단말은 상기 다른 언어/서브타이틀/카메라를 사용자에게 통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다른 언어/서브타이틀/카메라로 상기 변화된 서비스를 수신할 것인지를 문의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hanged service for the current service is found, the terminal checks the service change type of the changed service by analyzing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rvice mapping information in step 430. If the service change type is "other language", in step 432,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changed service language is valid for the user. If the service change type is "other subtitle", in step 436,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subtitle of the changed service is valid for the user. If the service change type is "other camera", in step 434,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camera angle of the changed service is valid for the user. The terminal notifies the user of the other language / subtitle / camera for the determination in steps 432 to 436 and inquires whether the user will receive the changed service through the other language / subtitle / camera.

438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다른 언어/서브타이틀/카메라를 가지는 상기 변화된 서비스를 사용자가 허용하였는지를 판단하고, 만일 사용자가 허용하였으면 442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다른 서비스영역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다른 서비스영역의 수신 파라미터들에 따라 상기 변화된 서비스를 수신한다. 반면 사용자가 상기 변화된 서비스를 이용하기를 원하지 않으면 440 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절차를 수행한다. 다른 경우 상기 438 단계에서 단말은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변화된 서비스를 수신할지의 여부를 사용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In step 438,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allowed the changed service having the different language / subtitle / camera, and if the user has allowed, proceeds to step 442 to receive the other service area after moving to the other service area. Receive the changed service according to the parameters.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does not want to use the changed servic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40 to perform another procedure. In another case, in step 438, the terminal may automatically select whether to receive the changed service according to a preset operation mode without user inter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네트워크 내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있는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는 엔터티들만을 도시하였다. 5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networ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ose entities that perform logical functions related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network are shown here.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SA) 블록(502)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련된 메타데이터 및 다수의 소스들로부터의 방송 콘텐츠를 결합하여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단말이 이해할 수 있는 포맷으로 부호화한 후 스트리밍 혹은 파일 카루셀(carrousel) 전달을 통해 단말에게 제공하며, ESG에 사용될 서비스 설명을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특히 로밍 사용자에게 유효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서비스 타입들의 서비스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특수 ESG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별도로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5, a service application (SA) block 502 combines associated metadata and broadcast content from multiple sources to provide a particular service to generate service data including a video stream, an audio stream, and the like. After encoding the service data in a format that can be understood by the terminal, the service data is provided to the terminal through streaming or file carousel delivery, and generates metadata including a service description to be used for the ESG. In particular, it provides metadata for services of the service types described above, which are valid for roaming users, to be used separately to create a special ESG.

서비스 관리(SM) 블록(504) 내부의 ESG 엔터티(506)는 SA 블록(502)으로부터 제공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ESG를 만들고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서비스 변화 정보의 전송을 위해 ESG가 사용되는 경우, ESG 엔터티(506)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서비스 변화 정보를 ESG에 삽입하며, 상기 ESG는 MM 블록(512)에 의해 방송 네트워크 및/또는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520)에게 전달된다. The ESG entity 506 within the service management (SM) block 504 is responsible for creating and transmitting the ESG using the metadata provided from the SA block 502. When an ESG is used for the transmission of service change information, the ESG entity 506 inserts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to the ESG, which is broadcasted and / or bidirectionally by the MM block 512. It is delivered to the terminal 520 through the network.

서비스 구성 및 자원 할당(Service Configuration & Resource Allocation) 엔터티(508)는 서비스 구성과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을 담당하며, SA 블록(502)과 통신하여 방송 베어러(Broadcast bearer)의 대역폭을 협상(contend)하고, 방송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상의 위치에 서비스들을 할당하거나 서비스 대역폭을 결정하고 서비스 시간을 스케쥴링한다. 보안/서비스 보호 제공(Security/Service Protection provision) 엔터티(510)는 보안 및 인증, 서비스 보호, 서비스 제공(provisioning)의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엔터티들(506 내지 510)은 MM 블록(512)과 연결되어 핸드오버 및 로밍에 필요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MM 블록(512)은 단말의 이동성, 특히 핸드오버 및 로밍에 관련한 작업들을 수행한다. The Service Configuration & Resource Allocation entity 508 is responsible for service configuration and network resource allocation, and communicates with the SA block 502 to negotiate bandwidth of a broadcast bearer. It allocates services to locations on a broadcast network topology or determines service bandwidth and schedules service times. The security / service protection provision entity 510 is responsible for security and authentication, service protection, and service provisioning. The entities 506 to 510 are connected to the MM block 512 to perform functions necessary for handover and roaming. The MM block 512 performs tasks related to mobility of the terminal, in particular handover and roaming.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수신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terminal recei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수신기(600)는 방송 네트워크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602)뿐만 아니라 양방향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양방향 변환기(interactive adaptor)(604)를 구비하고 있다. 방송 수신기(602)는 방송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데이터 혹은 PSI/SI 및 ESG와 같은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며, 양방향 변환기(604)는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데이터 혹은 시그널링 정보를 송수신한다. 제어 블록(608)은 서비스 가입에 관련된 단말 권한의 관리/취득 및 서비스 콘텐츠의 해독(decryption) 절차를 담당하는 가입 관리(Subscription management) 블록(610)과 연동하여 핸드오버 관련 동작들을 처리하는 이동성 관리(MM) 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방송 수신기(602) 혹은 양방향 변환기(604)를 제어하여 서비스 변환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필요한 경우 제어 블록(608)은 서비스 변환 정보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양방향 변환기(504)에 의해 전송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변환 정보를 상기 양방향 변환기(504)에 의해 수신한 후 분석한다.Referring to FIG. 6, the receiver 600 includes an interactive adapter 604 capable of connecting to a bidirectional network as well as a broadcast receiver 602 capable of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from a broadcast network. The broadcast receiver 602 receives service data or signaling information such as PSI / SI and ESG from a broadcast network, and the bidirectional converter 604 transmits and receives service data or signaling information through a bidirectional network. The control block 608 is a mobility management that processes handover related operations in association with a subscription management block 610 that is in charge of the management / acquisition of terminal authority related to service subscription and the decryption of service content. While performing the (MM) function, it controls the broadcast receiver 602 or the bidirectional converter 604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o receive the service conversion information. If necessary, the control block 608 transmits a request message for service conversion information by the bidirectional converter 504, and receives and analyzes the service conversion information by the bidirectional converter 504 in response to the request message. .

상기 수신된 서비스 변환 정보는 제어 블록(608)에서 서비스 연속성의 가능 여부를 판단되는데 이용되며, 컨텐츠 수신부(content consumption block)(612)는 상기 제어 블록(608)의 제어 하에 방송 서비스의 오디오 및 비디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혹은 추후에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저장된다. The received service conversion information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service continuity is possible in the control block 608, and a content consumption block 612 controls audio and video of a broadcast ser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block 608. Is stored to be provided to the user or to be provided to the user later.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ose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 claims.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ng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effects obtained by the representative ones of the disclosed inventions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은 이동하는 단말을 위해 이동 후의 서비스 영역에서 서비스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나타내는 서비스 변화 정보를 단말에게 미리 제공함으로써, 단말이 서비스 연속성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terminal to determine service continuity by providing the terminal with service change information indicating how the service is changed in the service area after the move in advance for the mobile terminal.

Claims (15)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변화 정보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transmitting service change information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네트워크에서 제공 가능한 각 제1 서비스와 관련된 다른 네트워크의 제2 서비스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하여, 상기 제2 서비스가 상기 제1 서비스에 비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서비스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Collecting information about a second service of another network related to each first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in a network, and generating service change information indicating how the second service has changed compared to the first service;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를 미리 정해지는 전달 베어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내의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변화 정보의 송신 방법.And transmitting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to a terminal in the network through a predetermined delivery bear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상기 제2 서비스가 상기 제1 서비스와 동일한 컨텐츠이나 다른 언어로 표현되었는지, 상기 제1 서비스와 다른 서브타이틀을 가지는지 및 상기 제1 서비스와는 다른 카메라 각도로부터 얻은 영상을 가지는지를 나타내는 서비스 변화 타입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변화 정보의 송신 방법.A service change type indicating whether the second service is expressed in the same content or a different language as the first service, has a subtitle different from the first service, and has an image obtained from a camera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service And an information eleme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상기 제2 서비스의 서비스 식별자, 상기 제2 서비스의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상기 제2 서비스의 제공자 식별자, 상기 제2 서비스의 IP 플랫폼 식별자, 상기 다른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변화 정보의 송신 방법.And at least one of a service identifier of the second service, an internet protocol (IP) address of the second service, a provider identifier of the second service, an IP platform identifier of the second service, and a network identifier of the other network. A method of transmitting service change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nsmitting of the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를 방송 네트워크의 전자 서비스 안내(ESG), 상기 방송 네트워크의 PSI/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상기 단말이 접속 가능한 양방향 네트워크의 응답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변화 정보의 송신 방법.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rough at least one of an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a broadcast network, program specific inform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PSI / SI) of the broadcast network, and a response message of a bidirectional network accessible by the terminal.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베어러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livery bearer is, 상기 단말이 접속 가능한 방송 네트워크 및 양방향 네트워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변화 정보의 송신 방법.And at least one of broadcast network and bidirectional network information to which the terminal is accessible.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변화 정보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receiving service change information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네트워크에서 제공 가능한 각 제1 서비스와 관련된 다른 네트워크의 제2 서비스가 상기 제1 서비스에 비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서비스 변화 정보 를 미리 정해지는 전달 베어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Receiving service change information from the network through a predetermined delivery bearer indicating how a second service of another network related to each first service provided by the network has changed compared to the first service;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2 서비스를 상기 제1 서비스에 연속하여 수신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o receive the second service continuously to the first service in the other network by using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상기 제2 서비스를 연속하여 수신할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제2 서비스를 연속하여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변화 정보의 수신 방법.And receiving the second service continuously when moving to the other network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service is to be continuously receiv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상기 제2 서비스가 상기 제1 서비스와 동일한 컨텐츠이나 다른 언어로 표현되었는지, 상기 제1 서비스와 다른 서브타이틀을 가지는지 및 상기 제1 서비스와는 다른 카메라 각도로부터 얻은 영상을 가지는지를 나타내는 서비스 변화 타입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변화 정보의 수신 방법.A service change type indicating whether the second service is expressed in the same content or a different language as the first service, has a subtitle different from the first service, and has an image obtained from a camera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service And an information elemen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상기 제2 서비스의 서비스 식별자, 상기 제2 서비스의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상기 제2 서비스의 제공자 식별자, 상기 제2 서비스의 IP 플랫폼 식별자, 상기 다른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변화 정보의 수신 방법.And at least one of a service identifier of the second service, an internet protocol (IP) address of the second service, a provider identifier of the second service, an IP platform identifier of the second service, and a network identifier of the other network. Method for receiving service change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receiving process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를 방송 네트워크의 전자 서비스 안내(ESG), 상기 방송 네트워크의 PSI/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상기 단말이 접속 가능한 양방향 네트워크의 응답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변화 정보의 수신 방법.Receiving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through at least one of an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a broadcast network, program specific inform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PSI / SI) of the broadcast network, and a response message of a bidirectional network to which the terminal is accessible. A method of receiving service change informa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베어러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elivery bearer, 상기 단말이 접속 가능한 방송 네트워크 및 양방향 네트워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변화 정보의 수신 방법.And receiving at least one of broadcast network and bidirectional network information to which the terminal is accessible. 서비스 변화 정보를 송신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for transmitting service change information, 네트워크에서 제공 가능한 각 제1 서비스와 관련된 다른 네트워크의 제2 서비스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하여, 상기 제2 서비스가 상기 제1 서비스에 비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서비스 변화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를 미리 정해지는 전달 베어러를 통해 전송하는 네트워크 엔터티와,Collecting information about a second service of another network related to each first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in a network, to generate service change information indicating how the second service has changed compared to the first service, and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A network entity that transmits through a predetermined delivery bearer, 상기 전달 베어러를 통해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변화 정 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2 서비스를 상기 제1 서비스에 연속하여 수신할 것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제2 서비스를 연속하여 수신할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제2 서비스를 연속하여 수신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Receiving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through the forwarding bearer, and determining whether to receive the second service continuously to the first service in the other network using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and continuously receiving the second service. And a terminal for continuously receiving the second service when moving to the other network when it is determined to receiv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상기 제2 서비스가 상기 제1 서비스와 동일한 컨텐츠이나 다른 언어로 표현되었는지, 상기 제1 서비스와 다른 서브타이틀을 가지는지 및 상기 제1 서비스와는 다른 카메라 각도로부터 얻은 영상을 가지는지를 나타내는 서비스 변화 타입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A service change type indicating whether the second service is expressed in the same content or a different language as the first service, has a subtitle different from the first service, and has an image obtained from a camera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service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comprising an information elemen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상기 제2 서비스의 서비스 식별자, 상기 제2 서비스의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상기 제2 서비스의 제공자 식별자, 상기 제2 서비스의 IP 플랫폼 식별자, 상기 다른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And at least one of a service identifier of the second service, an internet protocol (IP) address of the second service, a provider identifier of the second service, an IP platform identifier of the second service, and a network identifier of the other network. Digital broadcas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변화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rvice change information, 방송 네트워크의 전자 서비스 안내(ESG), 상기 방송 네트워크의 PSI/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상기 단말이 접속 가능한 양방향 네트워크의 응답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Digital broadcas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through at least one of the electronic service announcement (ESG) of the broadcast network, the program specific inform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PSI / SI) of the broadcast network, the response message of the bidirectional network to which the terminal is accessible.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베어러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elivery bearer, 상기 단말이 접속 가능한 방송 네트워크 및 양방향 네트워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And at least one of a broadcast network accessible by the terminal and bidirectional network information.
KR1020070060811A 2006-11-07 2007-06-20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change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ctive KR1010028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7/005442 WO2008056909A1 (en) 2006-11-07 2007-10-3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variation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11/936,508 US20080109861A1 (en) 2006-11-07 2007-11-07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variation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EP07021630A EP1921778A3 (en) 2006-11-07 2007-11-07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variation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711606P 2006-11-07 2006-11-07
US60/857,116 2006-1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551A true KR20080041551A (en) 2008-05-13
KR101002850B1 KR101002850B1 (en) 2010-12-21

Family

ID=39648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811A Active KR101002850B1 (en) 2006-11-07 2007-06-20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change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02850B1 (en)
CN (1) CN101536365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65238B (en) * 2009-11-18 2015-10-21 新奥特(北京)视频技术有限公司 The method and apparatus that a kind of caption playing chang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12256A0 (en) 2001-11-20 2001-11-20 Nokia Corp Mobile networks and digital broadcasting ser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2850B1 (en) 2010-12-21
CN101536365A (en)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390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onic service guide for roaming user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13407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of Broadcasting Service in DVB-H CBMS System
RU2496256C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guide in mobile broadcasting system
AU20082058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bility information supporting handover and/or roaming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200801098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variation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EP1774718B1 (en) Broadcast/multicast service system and method providing inter-network roaming
KR200901243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 service while maintaining service continuity from digital broadcasting system to terminal
KR200700890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obility in portable digital video broadcasting convergence service system
KR10148182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electronic service guide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20070109800A (en) Roaming method and apparatus for guaranteeing service continuity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10028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change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200702834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encrypted electronic service guide in dvb-h cbms system
KR10161116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voer/roaming during file downloading or streaming
US200801272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service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2008001724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delivery and reception through bidirectional channel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Lee et al. A Study on the ATSC 3.0 Service Following
KR10129792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onic service guide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200800419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200800172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delivery and reception through bidirectional channel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200900044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onic service guide for roaming user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8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6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