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2839A - 공통 직류전력에 의한 복합기능형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 - Google Patents
공통 직류전력에 의한 복합기능형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32839A KR20080032839A KR1020060098870A KR20060098870A KR20080032839A KR 20080032839 A KR20080032839 A KR 20080032839A KR 1020060098870 A KR1020060098870 A KR 1020060098870A KR 20060098870 A KR20060098870 A KR 20060098870A KR 20080032839 A KR20080032839 A KR 200800328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common
- voltage
- battery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8—Electronic means for switching from one power supply to another power supply, e.g. to avoid parallel connec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70—Hybrid systems, e.g. uninterruptible or back-up power supplies integrating renewable energ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류입력과 교류출력의 상태에 따라 단상-단상, 삼상-단상 그리고 삼상-삼상 무정전전원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직류전력 저장 콘덴서(공통 직류전력 저장부)를 중심으로 정류부, 태양광(PV; photovoltaic) 발전부, 배터리 충방전부 및 인버터부를 포함함으로써 고효율, 고역률 및 저가격을 달성할 수 있는 공통 직류전력에 의한 복합기능형 온라인(on-line) 무정전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온라인(on-line) 무정전전원장치에 있어서, 교류입력 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양방향 정류부; 상기 정류부 후단에 연결되며, 공통 직류전력 저장부를 중심으로 태양광(PV; photovoltaic) 발전전력을 공통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태양광 발전부; 상기 태양광 발전부 후단에 연결되며, 배터리를 충방전하도록 하는 배터리 충방전부; 상기 배터리 충방전부 후단에 연결되며, 직류전력을 교류출력 전력으로 변환하여 부하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직류전력에 의한 복합기능형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태양광(PV; photovoltaic) 발전 및 배터리 충방전의 전류 흐름도로서,
도 2a는 정전시 부하전력이 PV 발전보다 적은 경우,
도 2b는 정전시 부하전력이 PV 발전보다 큰 경우,
도 2c는 정전시 PV 발전이 불가능한 경우,
도 2d는 계통연결시 부하전력이 PV 발전보다 적은 경우,
도 2e는 계통연결시 부하전력이 PV 발전보다 큰 경우,
도 2f는 계통연결시 PV 발전이 불가능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직류전력에 의한 복합기능형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교류 입력부 20 : 정류부
30 :인버터부 40 : 교류 출력부
100 : 태양광(PV) 발전부 200 : 배터리 충방전부
300 : 공통 직류전력부
본 발명은 공통 직류전력에 의한 복합기능형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교류입력과 교류출력의 상태에 따라 단상-단상, 삼상-단상 그리고 삼상-삼상 무정전전원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직류전력 저장 콘덴서(공통 직류전력 저장부)를 중심으로 정류기, 태양광 발전기, 배터리 충방전기 및 인버터를 포함함으로써 고효율, 고역률 및 저가격을 달성할 수 있는 공통 직류전력에 의한 복합기능형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시스템, 의료시스템 등 중요 시스템에서는 온라인(on-line) 무정전전원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에서는 점차 강화되고 있는 입력전원의 환경 규제에 따라 고역률과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고효율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시장 상황에 따라 시스템의 소형화, 경량화 및 저가격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달리 최근 고유가 시대 에너지 수급 불안 해소를 위한 대체에너지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친환경적 에너지로 PV(photovoltaic: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무정전전원장치에 이용할 경우, 태양광 발전전 력을 계통으로 연계한 후 이를 다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고 인버터를 통하여 교류전력을 부하에 공급해야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여러 번의 전력변환에 따른 시스템의 효율감소를 일으키고 시스템의 가격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교류입력과 교류출력의 상태에 따라 단상-단상, 삼상-단상 그리고 삼상-삼상 무정전전원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직류전력 저장 콘덴서(공통 직류전력 저장부)를 중심으로 정류부, 태양광 발전부, 배터리 충방전부 및 인버터부를 포함함으로써 고효율, 고역률 및 저가격을 달성할 수 있는 공통 직류전력에 의한 복합기능형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온라인(on-line) 무정전전원장치에 있어서, 교류입력 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양방향 정류부; 상기 정류부 후단에 연결되며, 직류전력 저장부로서 직류전력 저장 콘덴서를 중심으로 태양광(PV; photovoltaic) 발전전력을 공통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태양광 발전부; 상기 태양광 발전부 후단에 연결되며, 배터리를 충방전하도록 하는 배터리 충방전부; 상기 배터리 충방전부 후단에 연결되며, 직류전력을 교류출력 전력으로 변환하여 부하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직류전력에 의한 복합기능형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직류전력에 의한 복합 기능형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직류전력에 의한 복합기능형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PV(photovoltaic: 태양광) 발전 및 배터리 충방전의 전류 흐름도로서, 도 2a는 정전시 부하전력이 PV 발전보다 적은 경우, 도 2b는 정전시 부하전력이 PV 발전보다 큰 경우, 도 2c는 정전시 PV 발전이 불가능한 경우, 도 2d는 계통연결시 부하전력이 PV 발전보다 적은 경우, 도 2e는 계통연결시 부하전력이 PV 발전보다 큰 경우, 도 2f는 계통연결시 PV 발전이 불가능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직류전력에 의한 복합기능형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공통 직류전력 저장장치를 매개로 하여 복합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고효율, 고역률 및 저가격의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무정전전원장치는 직류전력 저장부로서 직류전력 콘덴서(C d ; 도 1 참조)를 중심으로 정류부, 태양광 발전부, 배터리 충방전부 및 인버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교류입력과 교류출력의 상태에 따라 단상-단상, 삼상-단상, 그리고 삼상 -삼상 무정전전원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의 구성도로서, 공통 직류전력 저장부(300)로서 콘덴서(C d )를 중심으로 교류입력 전력을 공통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양방향 정류부(20), 태양광 발전으로부터 생성되는 전력을 공통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태양광 발전부(100), 공통 직류전압을 배터리(B+)에 충전하기 적당한 전압으로 감압하거나 낮은 배터리 전압을 교류출력 전압, 즉 계통전압에 사용할 수 있는 공통 직류전압으로 승압하는 배터리 충방전부(200), 그리고 부하에 교류출력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공통 직류전력을 교류출력 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서 부재번호 10은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에 교류입력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교류 입력부를 지시하고, 부재번호 40은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에 연결된 부하에 교류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교류 출력부를 지시한다.
정류부(20)는 단상 또는 삼상의 계통전압에 따라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레그(leg) 내지 3개의 레그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레그는 2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진 하프-브릿지(half-bridge)로 구현되어 교류입력 전력을 공통 직류전력으로 변환한다. 마찬가지로 인버터부(30)도 단상 또는 삼상의 부하에 따라 1개의 레그(도 3a,b) 또는 3개의 레그(도 3c)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레그는 2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진 하프-브릿지로 구현되어 공통 직류전력을 교류출력 전력으로 변환한다. 정류부(20) 및 인버터부(30)를 각각 하프-브릿지 정류기 및 하프-브릿지 인버터로 구현함으로써 종래의 풀-브릿지(full-bridge) 정류기 및 풀-브릿지 인버 터보다 스위치 갯수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입출력에 절연을 위한 변압기를 사용하지 않고 구현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부(100)의 DC-DC 컨버터(110)는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 혹은 스텝-업 컨버터(step-up converter)로 동작하여, 불규칙한 태양전지(120) 전압을 교류출력 전압으로 변환될 수 있는 직류전압으로 승압한다.
배터리 충방전부(200)의 DC-DC 컨버터(210)는 배터리(B+)를 충전할 경우에는 벅 컨버터(buck converter) 혹은 스텝-다운 컨버터(step-down converter)로 동작하여 공통 직류전압을 배터리(B+)로 충전하기에 적당한 전압으로 낮춘다. 반면, 방전 시에는 부스트 컨버터로 동작하여 낮은 배터리 전압을 계통전압에 사용할 수 있는 공통 직류전압으로 승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는 입력단과 출력단의 변압기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정전시 교류출력 전압으로 변환될 수 있는 공통 직류전압은 태양광 발전부(100) 또는 배터리 충방전부(200)를 통하여 얻거나 태양광 발전부(100)와 배터리 충방전부(200)를 동시에 사용하여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를 단독으로 쓰는 경우보다 안정적인 전원을 확보할 수 있으며, 태양광 발전부(100)의 잉여전력 발생시 배터리 충방전부(200)를 통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므로 정전시 시스템의 동작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계통과 연결되어 있을 때에는 태양광 발전부(100)로부터 배터리(B+)의 충전 및 부하전력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잉여 전력 발생시 계통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무정전전원장치는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 의 저가격화를 이룰 수 있고, 입력 및 출력변압기의 제거, 그리고 태양광 발전기를 통해 계통전력, 배터리전력 및 부하전력을 직접 공급함으로써 시스템의 효율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고장 혹은 과부하 시에는 싸리스터(thyristor)를 사용하여 입력전압을 출력전압으로 연결해 주는 바이패스(bypass) 회로가 추가적으로 필요하지만,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도 1의 무정전전원장치의 구성도에는 이러한 바이패스 회로를 생략하였다.
본 발명에서 정전 및 계통연결시 무정전전원장치의 태양광 발전부(100) 및 배터리 충방전부(200)의 전류 흐름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2a는 정전시 부하전력이 태양광 발전보다 적은 경우로, 태양광 발전부(100)의 DC-DC 컨버터(110)는 부스트 컨버터로 동작하여 태양전지(120)로부터 나오는 전압을 공통 직류전압(V d )으로 상승시켜 부하전력을 공급하고 태양광 발전의 잉여전력은 배터리 충방전부(200)의 DC-DC 컨버터(210)가 벅 컨버터로 동작하여 배터리(B+)를 충전시킨다. 하프-브릿지로 구현된 인버터부(30)는 공통 직류전력을 교류출력으로 변환한다.
도 2b는 정전시 부하전력이 태양광 발전보다 큰 경우로, 태양광 발전부(100)의 DC-DC 컨버터(110)는 부스트 컨버터로 동작하여 태양전지(120)의 전압을 직류전압(V d )으로 승압시키는 동시에 배터리 충방전부(200)의 DC-DC 컨버터(210)도 부스트 컨버터로 동작하여 배터리(B+)의 전압을 직류전압(V d )으로 승압하여 인버터부(30)를 통하여 교류 출력부(40)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 2c는 정전시 태양광 발전이 불가능한 경우로, 충방전부(200)의 DC-DC 컨버터(210)는 부스트 컨버터로 동작하여 배터리(B+)의 전압을 공통 직류전압(V d )으로 상승시키며 인버터부(30)의 동작은 도 2a와 동일하다.
도 2d는 계통연결시 부하전력이 태양광 발전보다 적은 경우로, 태양광 발전부(100)의 DC-DC 컨버터(110)는 부스트 컨버터로 동작하여 태양전지(120)의 전압을 공통 직류전압(V d )으로 상승시켜 인버터부(30)를 통하여 부하전력을 공급하며 태양광 발전전력의 잉여전력은 충방전부(200)의 DC-DC 컨버터를 통하여 배터리(B+)를 충전시키거나 정류부(20)를 통하여 계통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여기서 정류부(20)는 도 2a의 인버터부(30)와 마찬가지로 하프-브릿지 인버터로 동작하여 공통 직류전력을 교류입력 전력으로 변환한다.
도 2e는 계통연결시 부하전력이 태양광 발전보다 큰 경우로, 정류부(20)는 하프-브릿지 컨버터로 구성되어 교류입력 전압을 직류전압(V d )으로 변환할 뿐만 아니라 태양광 발전부(100)의 DC-DC 컨버터(110)는 부스트 컨버터로 동작하여 태양전지(120)의 전압을 직류전압(V d )로 상승시킨다. 이때, 공통 직류전력은 배터리 충방전부(200)가 벅 컨버터로 동작하여 배터리(B+)를 충전시키고 하프-브릿지 인버터를 통하여 부하에 교류출력 전력을 공급한다.
도 2f는 계통연결시 태양광 발전이 불가능한 경우로, 교류입력 전력은 하브-브릿지 정류부(20)를 통하여 공통 직류전력으로 변환되어 배터리 충방전부(200)를 통하여 배터리(B+)를 충전하고 인버터부(30)를 통하여 부하에 교류출력 전력을 제공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나타낸다.
도 3a는 정류부(20)가 단상 하프-브릿지 컨버터이고 인버터부(30)는 단상 하프-브릿지 인버터로 구성된 경우이다. 태양광 발전부(100)는 하나의 스위치와 하나의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발전 레그(110), 인덕터(Lp) 그리고 태양전지(120)로 이루어져 있으며 태양전지(120)로부터 나오는 전압을 공통 직류전압(Vd)으로 상승시켜 부하전력을 공급하고 태양광 발전의 잉여전력은 배터리(B+)를 충전하거나 교류입력 전력을 공급한다. 발전 레그(110)의 스위치는 주어진 스위칭 주파수(switching frequency)에서 펄스폭변조(PWM: pulse-width modulation) 방식을 통해 제어되며, 다이오드는 인덕터(Lp)에 저장된 에너지를 공통 직류전력 저장부(300)인 직류 콘덴서(Cd)에 공급할 때 도통된다. 배터리 충방전부(200)는 2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진 충방전 레그(210), 인덕터(Lb) 그리고 배터리(B+)로 이루어져 있으며 벅 컨버터로 동작하여 배터리(B+)를 충전시키거나 부스트 컨버터로 동작하여 배터리(B+)를 방전시킨다.
도 3b는 정류부(20)가 삼상 하프-브릿지 컨버터이고, 인버터부(30)는 단상 하프-브릿지 인버터로 구성된 경우이며, 태양광 발전부(100)와 배터리 충방전 부(200)의 동작은 도 3a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3c는 정류부(20)가 삼상 하프-브릿지 컨버터이고, 인버터부(30)는 삼상 하프-브릿지 인버터로 구성된 경우이며, 태양광 발전부(100)와 배터리 충방전부(200)의 동작은 도 3a의 경우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태양광 발전부는 다수의 태양광 발전기 혹은 대체에너지용 DC 발전을 추가적으로 공통 직류전력 저장부에 병렬로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직류전력에 의한 복합기능형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는, 교류입력과 교류출력의 상태에 따라 단상-단상, 삼상-단상 그리고 삼상-삼상 무정전전원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직류전력 저장 콘덴서(공통 직류전력 저장부)를 중심으로 정류기, 태양광 발전기, 배터리 충방전기 및 인버터를 포함함으로써 고효율, 고역률 및 저가격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6)
- 온라인(on-line) 무정전전원장치에 있어서,교류입력 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양방향 정류부;상기 정류부 후단에 연결되며, 태양광(PV; photovoltaic) 발전으로 생성되는 태양광 발전전력을 공통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태양광 발전부;상기 태양광 발전부 후단에 연결되며, 상기 공통 직류전압을 배터리에 충전하기 위한 전압으로 낮추거나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교류출력 전압에 사용할 수 있도록 승압하는 배터리 충방전부;상기 충방전부 후단에 연결되며,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직류전력 저장부;상기 직류전력 저장부 후단에 연결되며, 부하에 교류출력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공통 직류전력을 교류출력 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직류전력에 의한 복합기능형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정류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레그(leg)로 구성되며, 상기 레그는 2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진 하프-브릿지(half-bridge)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직류전력에 의한 복합기능형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인버터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레그(leg)로 구성되며, 상기 레그는 2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진 하프-브릿지(half-bridge)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직류전력에 의한 복합기능형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태양광 발전부는 태양전지 및 DC-DC 컨버터를 포함하고,상기 DC-DC 컨버터는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 혹은 스텝-업 컨버터(step-up converter)로 동작하여 불규칙한 상기 태양전지의 전압을 계통전압에 사용할 수 있는 직류전압으로 승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직류전력에 의한 복합기능형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배터리 충방전부는 배터리 및 DC-DC 컨버터를 포함하고,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경우에는 벅 컨버터(buck converter) 혹은 스텝-다운 컨버터(step-down converter)로 동작하여 상기 공통 직류전압을 상기 배터리로 충전하기에 적당한 전압으로 낮추고, 방전 시에는 부스트 컨버터로 동작하여 상기 배터리의 낮은 전압을 계통전압에 사용할 수 있는 공통 직류전압으로 승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직류전력에 의한 복합기능형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정전시 교류출력 전압으로 변환되는 상기 공통 직류전압은 상기 태양광 발전부 또는 배터리 충방전부를 통하여 얻거나 상기 태양광 발전부와 배터리 충방전부를 동시에 사용하여 얻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직류전력에 의한 복합기능형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8870A KR20080032839A (ko) | 2006-10-11 | 2006-10-11 | 공통 직류전력에 의한 복합기능형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8870A KR20080032839A (ko) | 2006-10-11 | 2006-10-11 | 공통 직류전력에 의한 복합기능형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32839A true KR20080032839A (ko) | 2008-04-16 |
Family
ID=39573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98870A KR20080032839A (ko) | 2006-10-11 | 2006-10-11 | 공통 직류전력에 의한 복합기능형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32839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5032B1 (ko) * | 2009-08-04 | 2011-09-19 | 선광엘티아이 주식회사 | Ac와 dc를 동시에 공급하는 통합형 급전 시스템 |
WO2014179360A1 (en) * | 2013-04-29 | 2014-11-06 | Ideal Power,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with generators |
WO2014179365A1 (en) * | 2013-04-29 | 2014-11-06 | Ideal Power,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with bidirectional power converters |
KR20150004227A (ko) * | 2013-07-02 | 2015-01-1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전력변환장치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 |
US9024579B2 (en) | 2009-07-31 | 2015-05-05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Power lin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vehicle |
-
2006
- 2006-10-11 KR KR1020060098870A patent/KR2008003283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024579B2 (en) | 2009-07-31 | 2015-05-05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Power lin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vehicle |
EP2459409B1 (en) * | 2009-07-31 | 2019-10-09 | Panasonic Corporation | Power lin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vehicle |
KR101065032B1 (ko) * | 2009-08-04 | 2011-09-19 | 선광엘티아이 주식회사 | Ac와 dc를 동시에 공급하는 통합형 급전 시스템 |
WO2014179360A1 (en) * | 2013-04-29 | 2014-11-06 | Ideal Power,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with generators |
WO2014179365A1 (en) * | 2013-04-29 | 2014-11-06 | Ideal Power,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with bidirectional power converters |
US9077185B2 (en) | 2013-04-29 | 2015-07-07 | Ideal Power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with bidirectional power converters |
US9270142B2 (en) | 2013-04-29 | 2016-02-23 | Ideal Power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with bidirectional power converters |
US9293946B2 (en) | 2013-04-29 | 2016-03-22 | Ideal Power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with bidirectional power converters |
KR20150004227A (ko) * | 2013-07-02 | 2015-01-1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전력변환장치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Hu et al. | A review of power decoupling techniques for microinverters with three different decoupling capacitor locations in PV systems | |
Chen et al. | Double-input PWM DC/DC converter for high-/low-voltage sources | |
Chen et al. | A boost converter with capacitor multiplier and coupled inductor for AC module applications | |
Chen et al. | A cascaded high step-up DC–DC converter with single switch for microsource applications | |
Tseng et al. | High step-up converter with three-winding coupled inductor for fuel cell energy source applications | |
Lu et al. | Photovoltaic-battery-powered DC bus system for commo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Xue et al. | Topologies of single-phase inverters for small distributed power generators: an overview | |
TWI221695B (en) | Uninterruptible power system | |
US9590434B2 (en) | Compact and modular electrical power supply unit, with multi-converters, notably for fast recharging terminals for electric vehicles | |
EP2815913A1 (en) | Re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 |
Branco et al. | Proposal of three-phase high-frequency transformer isolation UPS topologies for distributed generation applications | |
TWI387176B (zh) | 智慧型混合式電源轉換控制系統 | |
Ryu et al. | Test bed implementation of 380V DC distribution system using isolated bidirectional power converters | |
KR100844401B1 (ko) |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무정전 전원투입장치 | |
Kondrath | An overview of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topologies and control strategies for interfacing energy storage systems in microgrids | |
Shreelakshmi et al. | High gain, high efficiency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for battery charging applications in stand-alone Photo-Voltaic systems | |
KR20080032839A (ko) | 공통 직류전력에 의한 복합기능형 온라인 무정전전원장치 | |
CN1322653C (zh) | 具有多功能模式的再生能源变流装置 | |
CN112350607B (zh) | 具双向功率转换的三相电源装置 | |
Singh et al. | Comprehensive review of PV/EV/grid integration power electronic converter topologies for DC charging applications | |
KR101764651B1 (ko) | 태양광 발전 장치 연계형 전력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JP5931345B2 (ja) | 無停電電源システム | |
JP6722295B2 (ja) | 電力変換システム、電力供給システムおよび電力変換装置 | |
Talebi et al. | A novel single-switch high step-up dc-dc converter based on quadratic boost for renewable energy applications | |
Lai et al. | An efficient active ripple filter for use in single-phase DC-AC convers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