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80030795A - 부분 화면 표시가 가능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부분 화면 표시가 가능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0795A
KR20080030795A KR1020060097133A KR20060097133A KR20080030795A KR 20080030795 A KR20080030795 A KR 20080030795A KR 1020060097133 A KR1020060097133 A KR 1020060097133A KR 20060097133 A KR20060097133 A KR 20060097133A KR 20080030795 A KR20080030795 A KR 20080030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gnal
driving
stag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8222B1 (ko
Inventor
박상진
이명우
김형걸
어기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7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222B1/ko
Priority to US11/866,087 priority patent/US8514163B2/en
Publication of KR20080030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74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09G3/367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 H03K19/017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 H03K19/01728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in synchronous circuits, i.e. by using clock signals
    • H03K19/01742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in synchronous circuits, i.e. by using clock signals by means of a pull-up or down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6Details of a shift regist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4Partial updating of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게이트 배선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복수의 스테이지 및 복수의 신호선으로 구성된 시프트 레지스터를 갖는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적어도 하나는 순차 구동하는 이송 스테이지 및 상기 이송 스테이지에서 출력되는 전달 신호와 하이 레벨 구간과 로우 레벨 구간을 갖는 구동 영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게이트 배선을 부분 구동하는 출력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종래의 아모퍼스 실리콘 게이트 구조와 다르게 부분 구동이 가능하여 소비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작이 안정적이며 비 표시 영역의 위치, 크기 및 개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 게이트 구동부, 시프트 레지스터, 부분 구동

Description

부분 화면 표시가 가능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PARTIAL PICTUR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 2는 도 1의 게이트 구동부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 3은 도 2의 스테이지 중 하나를 상세히 도시한 회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구동부에 입력되는 신호 파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입력 신호에 따른 화면 표시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다른 입력 신호에 의한 화면 표시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비 표시 영역 내 액정셀의 표시 정보 갱신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면 표시 모드 전환 알고리즘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도 8의 플로우 차트에 따른 화면 표시 모드 전환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상태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표시 패널 200 : 타이밍 제어부
300 : 소스 구동부
400 : 게이트 구동부
500 : 전원 공급부 600 : 공통 전극 구동부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분 화면 표시가 가능한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면 패널 표시장치인 액정 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게이트 배선 및 복수의 게이트 배선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 배선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게이트 배선에 연결되어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게이트 신호에 동기하여 데이터 배선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게이트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칩(Chip) 형태로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절연필름에 실장 하여 표시 패널과 연결하거나 또는 칩을 표시패널에 직접 실장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 들어서는 박막 트랜지스터 채널의 높은 이동도를 요하지 않는 게이트 구동부의 경우 이를 별도의 칩 형태로 형성하지 않고 아모퍼스(amorphous)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표시 셀 어레이 형성 공정과 동시에 표시 패널 기판상의 주변 영역에 직접 형성하는 이른바 아모퍼스 실리콘 게이트 구조도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아모퍼스 실리콘 기반의 게이트 구동부는 대개 종속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스테이지로 및 이에 인가되는 신호선들로 이루어진 시프트 레지스터로 구성되며, 각 스테이지는 게이트 배선에 일대일로 대응 연결되어 게이트 신호를 출력한다. 이렇듯 복수의 스테이지들이 종속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됨에 따라서 화면에 비 표시영역이 있는 경우에도 전 화면에 걸쳐 표시 정보를 지속적으로 갱신하게 되고 이로 인해 불필요하게 소비 전력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부분 구동이 가능한 아포퍼스 실리콘 게이트 구동부에 대한 아이디어가 지속적으로 제시되었으나 지금까지 제시된 구조는 비 표시영역을 자유로운 크기와 위치로 형성할 수 없거나 신뢰성 또는 동작 특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분 구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비 표시 영역을 자유로운 크기와 위치로 형성할 수 있으며 신뢰성과 동작 특성이 좋은 게이트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와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게이트 배선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복수의 스테이지 및 복수의 신호선으로 구성된 시프트 레지스터를 갖는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적어도 하나는 스테이지를 순차 구동하는 이송 스테이지 및 상기 이송 스테이지에서 출력되는 전달 신호와 하이 레벨 구간과 로우 레벨 구간을 갖는 구동 영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게이트 배선을 부분 구동하는 출력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 스테이지는 제1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이송 풀업 구동 제어부와 제2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이송 풀업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캐리/제1 리셋/전달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송 풀업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 스테이지는 제3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출력 풀업 구동 제어부와 제4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출력 풀업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제3 제어 신호 및 제4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제2 리셋 신호를 발생시키는 출력 풀업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영역 선택 신호는 표시 구간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하이 레벨을 갖고 비 표시 구간에서 대응하는 영역에서 로우 레벨을 갖는다.
상기 제1 출력 풀업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전달 신호가 입력되는 제어단, 상기 구동 영역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 제3 제어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단을 포함한다.
이하 도 1에서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는 기존의 전형적인 액정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로 크게 액정 패널(100), 타이밍 제어부(200), 소스 구동부(300), 게이트 구동 부(400), 전원 공급부(500) 및 공통 전극 구동부(600)로 구성된다. 타이밍 제어부(200)는 외부로부터 영상 데이터 신호와 표시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게이트 구동부(400)로는 게이트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소스 구동부(300)로는 소스 제어 신호와 디지털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 제어 신호는 도 2 및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구동 영역 선택 신호(Vpa)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영역 선택 신호(Vpa)의 파형은 후술한다. 기타 액정 패널(100), 소스 구동부(300), 전원 공급부(500), 공통 전극 구동부(600)의 구성 및 상호 연결관계는 종래 기술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이밍 제어부(200), 소스 구동부(300), 게이트 구동부(400), 전원 공급부(500) 및 공통 전극 구동부(600)는 두 개 이상이 결합하여 하나의 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부(4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게이트 구동부(400)는 복수의 이송 스테이지(SGsi)와 복수의 출력 스테이지(SGoi) 및 상기 이송 스테이지(SGsi)와 출력 스테이지(SGoi)로 입 출력되는 복수의 신호(STV, CKV, CKVB, Vpa, Voff, Ci, Ti, Rai, Rbi, Gi)선으로 구성된 시프트 레지스터로 이루어진다.
이송 스테이지(SGsi)는 제1 클럭단(CK1), 제1 입력단(IN1), 제2 입력단(IN2), 제1 출력단(OUT1) 및 전원단(VSS)을 포함하며, 출력 스테이지는 제2 클럭단(CK2), 제3 클럭단(CK3), 제3 입력단(IN3), 제4 입력단(IN4), 제5 입력단(IN5), 제2 출력단(OUT2) 및 전원단(VSS)을 포함한다.
먼저 홀수 번째 스테이지의 연결관계를 설명한다.
홀수 번째 이송 스테이지(SGS2k-1)의 경우 제1 클럭단(CK1)은 클럭 신호(CKV)선과 연결되고, 제1 입력단(IN1)은 캐리 신호(C2k-2)선을 통해 전단 이송 스테이지(SGs2k-2)의 제1 출력단(OUT1)과 연결되며, 제2 입력단(IN2)은 제1 리셋 신호(Ra2k)선을 통해 후단 이송 스테이지(SGs2k)의 제1 출력단(OUT1)과 연결되고, 제1 출력단(OUT1)은 제1 리셋 신호(Ra2k-1)선, 캐리 신호(C2k-1)선 및 전달 신호(T2k-1)선을 통해 전단 이송 스테이지(SGs2k-2)의 제2 입력단(IN2), 후단 이송 스테이지(SGs2k)의 제1 입력단(IN1) 및 동 출력 스테이지(SGo2k)의 제3 입력단(IN3)과 연결되며, 전원단(VSS)은 게이트 오프 전압(Voff)선과 연결된다.
홀수 번째 출력 스테이지(SGo2k-1)의 경우 제2 클럭단(CK2)은 반전 클럭 신호(CKVB)선과 연결되고, 제3 클럭단(CK3)은 클럭 신호(CKV)선과 연결되며, 제3 입력단(IN3)은 전달 신호(T2K-1)선을 통해 이송 스테이지(SGs2k-1)의 제1 출력단(OUT1)과 연결되고, 제4 입력단(IN4)은 구동 영역 선택 신호(Vpa)선과 연결되며, 제5 입력단(IN5)은 제2 리셋 신호(Rb2k)선을 통해 후단 출력 스테이지(SGo2k)의 제2 출력단(OUT2)과 연결되고, 제2 출력단(OUT2)은 게이트 신호(G2K-1)선과 연결됨과 동시에 제2 리셋 신호(Rb2K-1)선을 통해 전단 출력 스테이지(SGo2k-2)의 제5 입력단(IN5)과 연결되며, 전원단(VSS)은 게이트 오프 전압(Voff)선과 연결된다.
다만, 전단 스테이지가 없는 첫 번째 이송 스테이지(SG1)는 제1 입력단(IN1)이 수직 개시 신호(STV)선에 연결되고 제1 출력단(OUT1)은 후단 이송 스테이지(SGS2)의 제1 입력단(IN1)에만 연결되며, 전단 출력 스테이지가 없는 첫 번째 출 력 스테이지(SG1)는 제1 출력단(OUT1)이 게이트 신호(G1)선에만 연결된다.
짝수 번째 이송 스테이지(SGs2k)의 경우 제1 클럭단(CK1)은 반전 클럭 신호(CKVB)선과 연결되며 기타 제1 입력단(IN1), 제2 입력단(IN2), 제1 출력단(OUT1) 및 전원단(VSS)의 연결은 홀수 번째 이송 스테이지(SGs2k-1)와 동일하다.
짝수 번째 출력 스테이지(SGo2k)의 경우 제2 클럭단(CK2)은 클럭 신호(CKV)선과 연결되고, 제3 클럭단(CK3)은 반전 클럭 신호(CKVB)선과 연결되며, 기타 제3 입력단(IN3), 제4 입력단(IN4), 제5 입력단(IN5), 제2 출력단(OUT2) 및 전원단(VSS)의 연결은 홀수 번째 출력 스테이지(SGo2k-1)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는 클럭 신호(CKV)와 반전 클럭 신호(CKVB)로 구동하는 시프트 레지스터 구조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스테이지가 캐리 신호를 생성하여 스테이지를 순차 구동하는 이송 스테이지와 구동 영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 신호를 부분적으로 출력하는 출력 스테이지로 구분되는데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스테이지를 이송 스테이지와 출력 스테이지로 구분할 수 있는 종래의 모든 시프트 레지스터에 적용 가능하다.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스테이지(SGsi) 및 출력 스테이지(SGoi)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이송 스테이지(SGsi)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송 스테이지(SGsi)는 크게 제1 이송 풀업 구동 제어부(410), 제2 이송 풀업 구동 제어부(420) 및 이송 풀업 구동부(430)로 구분된다.
제1 이송 풀업 구동 제어부(410)는 제10 박막 트랜지스터(T10)로 구성된다. 제10 박막 트랜지스터(T10)의 드레인 전극과 게이트 전극은 제1 입력단(IN1)에 공통적으로 연결되고 소스 전극은 제3 노드(N3)에 연결된다. 제1 이송 풀업 구동 제어부(410)는 제1 입력단(IN1)을 통해 수직 개시 신호(STV) 또는 전단 이송 스테이지(SGsi-1)의 캐리 신호(Ci-1)를 받아 이송 풀업 구동부(430)의 제어단에 하이 레벨의 제1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이송 풀업 구동 제어부(420)는 제9 박막 트랜지스터(T9)로 구성된다. 제9 박막 트랜지스터(T9)의 드레인 전극과 소스 전극은 각각 제3 노드(N3)와 전원단(VSS)에 연결되고 게이트 전극은 제2 입력단(IN2)에 연결된다. 제2 이송 풀업 구동 제어부(420)는 제2 입력단(IN2)으로부터 후단 이송 스테이지(SGsi+1)의 제1 리셋 신호(Rai+1)를 받아 이송 풀업 구동부(430)의 제어단에 로우 레벨의 제2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송 풀업 구동부(430)는 제8 박막 트랜지스터(T8)와 제3 커패시터(C3)로 구성된다. 제8 박막 트랜지스터(T8)의 드레인 전극과 소스 전극은 각각 제1 클럭단(CK1)과 제1 출력단(OUT1)에 연결되고 게이트 전극은 제3 노드(N3)에 연결되며, 제3 커패시터(C3)는 제8 박막 트랜지스터(T8)의 게이트 전극 및 소스 전극 사이에 형성된다. 제3 커패시터(C3)는 제8 박막 트랜지스터(T8)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간의 기생 커패시터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별도의 커패시터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송 풀업 구동부(430)는 제1 클럭단(CK1)으로 입력되는 클럭 신호(CKV) 또는 반전 클럭 신호(CKVB)를 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출력단(OUT1)으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출력 스테이지(SGoi)의 구성을 설명한다. 출력 스테이지(SGoi)는 제1 출력 풀업 구동 제어부(440), 제2 출력 풀업 구동 제어부(450), 출력 풀업 구동부(460), 출력 풀다운 구동부(470) 및 출력 유지부(480)로 구분된다.
제1 출력 풀업 구동 제어부(440)는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로 구성된다.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전극과 소스 전극은 각각 제4 입력단(IN4)과 제 1 노드(N1)에 연결되고 게이트 전극은 제3 입력 단(IN3)에 연결된다. 제1 출력 풀업 구동 제어부(440)는 제3 입력단(IN3) 및 제4 입력단(IN4)으로부터 구동 영역 선택 신호(Vpa) 및 전달 신호(Ti)를 받아 출력 풀업 구동부(460)의 제어단에 하이 레벨의 제3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출력 풀업 구동 제어부(450)는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로 구성된다.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의 드레인 전극과 소스 전극은 각각 제1 노드(N1)와 전원단(VSS)에 연결되고 게이트 전극은 제4 입력단(IN4)에 연결된다. 제2 출력 풀업 구동 제어부(450)는 제5 입력단(IN5)으로부터 후단 출력 스테이지(SGoi+1)의 제2 리셋 신호(Rbi+1)를 받아 출력 풀업 구동부(460)의 제어단에 로우 레벨의 제4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출력 풀업 구동부(460)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와 제1 커패시터(C1)로 구성된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전극과 소스 전극은 각각 제1 클럭단(CK1)과 제2 출력단(OUT2)에 연결되고 게이트 전극은 제1 노드(N1)에 연결되며, 제1 커패시터(C1)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 및 소스 전극 사이에 형성된다. 제1 커패시터(C1)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 극간의 기생 커패시터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별도의 커패시터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출력 풀업 구동부(460)는 제1 클럭단(CK1)으로 입력되는 클럭 신호(CKV) 또는 반전 클럭 신호(CKVB)를 제3 제어 신호 및 제4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출력단(OUT2)으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출력 풀다운 구동부(470)는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로 구성된다.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의 드레인 전극과 소스 전극은 각각 제2 출력단(OUT2)과 전원단(VSS)에 연결되고 게이트 전극은 제3 클럭단(CK3)에 연결된다. 출력 풀다운 구동부(470)는 제3 클럭단(CK3)으로 입력되는 반전 클럭 신호(CKVB) 또는 클럭 신호(CKV)에 따라 전원단(VSS)으로 입력되는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을 제2 출력단(OUT2)으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출력 유지부(480)는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 제7 박막 트랜지스터(T7), 제5 박막 트랜지스터(T5) 및 제2 커패시터(C2)로 구성된다.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의 드레인 전극과 소스 전극은 각각 제1 노드(N1)와 전원단(VSS)에 연결되고 게이트 전극은 제2 노드(N2)에 연결된다. 제7 박막 트랜지스터(T7)의 드레인 전극과 소스 전극은 각각 제2 노드(N2)와 전원단(VSS)에 연결되고 게이트 전극은 제1 노드(N1)와 연결된다. 제5 박막 트랜지스터(T5)의 드레인 전극과 소스 전극은 각각 제2 출력단(OUT2)과 전원단(VSS)에 연결되고 게이트 전극은 제2 노드(N2)에 연결된다. 제2 커패시터(C2)는 제2 클럭단(CK2)과 제2 노드(N2) 사이에 형성된다. 출력 유지부(480)는 한번 턴 온 되었다가 턴 오프된 게이트 배선이 다음 프레임에서 턴온될 때까지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스테이지 회로는 7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2개의 커패시터로 구성된 종래 스테이지 구조에 3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1개의 커패시터를 추가하여 변형시킨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스테이지가 캐리 신호를 생성하여 스테이지를 순차 구동하는 이송 스테이지와 구동 영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 신호를 부분적으로 출력하는 출력 스테이지로 구분되는데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스테이지를 이송 스테이지와 출력 스테이지로 구분할 수 있는 종래의 모든 스테이지 회로에 적용가능 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구동부(400)는 표시 셀 어레이 회로 형성시 표시 기판 상의 주변 영역에 동시에 형성하거나 별도의 집적회로(IC)로 구성하여 표시 기판에 결합할 수 있으며 또는 표시 셀 어레이 형성 공정에 별도의 추가 공정을 더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게이트 구동부를 구성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신호선 등은 게이트 구동부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그 크기, 두께, 길이 등이 최적화될 수 있으며 신호 지연이나 간섭 등을 최소하기 위해 기판상의 배치 구조 또한 최적화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의 캐리 신호(Ci), 전달 신호(Ti) 및 제1 리셋 신호(Rai)는 스테이지간 신호 전달 역할만 수행 하므로 제8 박막 트랜지스터(T8)는 제1, 5, 6 박막 트랜지스터(T1, T5, T6)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설계 할 수 있다. 또한, 출력 풀다운 구동부(470) 및 출력 유지부(480)는 1개씩 또는 둘 다 생략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구동부(4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구동부(400)에 입력되는 신호들과 그 결과 발생하는 전달/캐리/제1 리셋 신호(Ti/Ci/Rai) 및 제2 리셋/게이트 신호(Rbi/Gi)의 출력파형을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이 경우 결과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화면 표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영역 선택 신호(Vpa)는 표시 구간(Vpa)에서는 하이 레벨을 유지하며 비 표시 구간(?)에서는 로우 레벨을 유지한다.
먼저, 표시 구간(I)에서 게이트 구동부(400)가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한 후, 이어서 비 표시 구간(?)에서 게이트 구동부(400)가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초기 각 이송 스테이지(SGsi) 및 출력 스테이지(SGoi)의 모든 노드는 저전압 상태임을 가정한다.
먼저 표시 구간(?) A 영역에서의 게이트 구동부(400)의 구동을 설명한다. 제1 이송 스테이지(SGs1)의 제1 입력단(IN1), 제1 클럭단(CK1)에 각각 하이 레벨의 수직 개시 신호(STV), 로우 레벨의 클럭 신호(CKV)가 입력되면, 제10 박막 트랜지스터(T10)가 턴온되어 제3 노드(N3)에 고전압이 인가 되고 이에 따라 제8 박막 트랜지스터(T8)가 턴온 되어 제1 클럭단(CK1)으로 입력되는 로우 레벨의 클럭 신호(CKV)가 제1 출력단(OUT1)을 통해 전달 신호(T1)로 출력된다. 따라서, 제1 출력 스테이지(SGo1)의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3 커패시터(C3)의 양단으로 하이 레벨의 전압과 로우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므로 전하가 충전되어 제3 노드(N3)가 고전압으로 부트스트랩된다. 한편, 제1 출력 스테이 지(SGo1)의 제2 클럭단(CK2)에 하이 레벨의 반전 클럭 신호(CKVB)가 입력되면, 제2 커패시터(C2)를 통해 제2 클럭단(CK2)과 연결된 제2 노드(N2)가 하이 상태가 되어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와 제5 박막트랜지스터(T5)가 턴온 되고 이에 따라 제1 노드(N1) 및 제2 출력단(OUT2)으로 게이트 오프 전압이 인가되어 로우 레벨을 유지한다. 한편, 제1 노드(N1)가 로우 상태이므로 제7 박막트랜지스터(T7)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제3 클럭단(CK3)으로 입력되는 클럭 신호(CKV)가 로우 레벨이므로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 역시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제2 이송 스테이지(SGs2)의 경우 제1 입력단(IN1)으로 로우 레벨의 캐리 신호(C1)가 입력되므로 제10 박막 트래지스터(T10)가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8 박막 트랜지스터(T8) 역시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그로 인해 제1 출력단(OUT1)은 로우 레벨을 유지한다. 따라서 제2 출력 스테이지(SGo2)의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제2 출력 스테이지(SGo2)의 제3 클럭단(CK3)에 하이 레벨의 반전 클럭 신호(CKVB)가 입력되면,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가 턴온되어 제2 출력단(OUT2)은 로우 레벨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제2 출력 스테이지(SGo2)의 제2 클럭단(CK2)으로는 로우 레벨의 클럭 신호(CKV)가 입력되므로 제2 노드(N2)는 로우 레벨을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와 제5 박막 트랜지스터(T5)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제2 이송 스테이지(SGs2)의 제1 출력단(OUT1)과 제2 출력 스테이지(SGo2)의 제2 출력단(OUT2)이 로우 레벨을 유지하므로 이와 연결된 제1 이송 스테이지(SGs1)의 제2 입력단(IN2) 및 제5 입력단(IN5) 역시 로우 레벨을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9 박막 트랜지스터(T9)가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하이 레벨의 제3 노드(N3)와 로우 레벨의 게이트 오프 전압이 서로 충돌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이때, 제1 출력 스테이지(SGo1)의 제1 노드(N1)는 로우 레벨이므로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의 턴온 턴오프와 무관하게 전압 충돌 문제는 없다.
제3 이송 스테이지(SGs3)의 경우도 캐리 신호(C2)에 의해 제10 박막 트랜지스터(T10)가 턴온 되지 않으므로 제3 노드(N3)가 로우 레벨을 유지하게 되고 제1 클럭단으로 입력되는 클럭 신호와 무관하게 제1 출력단(OUT1)은 A 영역에서 로우 레벨을 유지한다.
제4 이송 스테이지(SGs4) 이후의 짝수 번째 이송 스테이지는 A 영역에서 제2 이송 스테이지(SGs2)의 구동조건과 동일하고 홀수 번째 이송 스테이지는 A 영역에서 제3 이송 스테이지(SGs3)의 구동조건과 동일하므로 제4 이송 스테이지(SGs4) 이후의 모든 이송 스테이지의 제1 출력단은 A영역에서 로우 레벨을 유지한다.
제3 출력 스테이지(SGo3) 이후의 홀수 번째 출력 스테이지는 A영역에서 제1 출력 스테이지(SGo1)의 구동조건과 동일하고 짝수 번째 출력 스테이지는 A영역에서 제2 출력 스테이지(SGo2)의 구동조건과 동일하므로 제3 출력 스테이지(SGo3) 이후의 모든 출력 스테이지의 제2 출력단(OUT2)은 A영역에서 로우 레벨을 유지한다.
이어서, B 영역에서의 게이트 구동부(400)의 구동을 설명한다.
제1 이송 스테이지(SGs1)의 경우 제3 노드(N3)가 고전압으로 부트스트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제1 클럭단(CK1)으로 입력되는 클럭 신호(CKV)가 하이 레벨로 천이하게 되면 제1 출력단(OUT1)으로 하이 레벨의 전달/캐리 신호(T1/C1)를 출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출력 풀업 구동 제어부(440)의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가 턴온되어 하이 레벨의 구동 영역 선택 신호(Vpa)가 제1 노드(N1)에 인가되고 제1 노드(N1)는 고전압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가 턴온되어 제2 출력단(OUT2)으로 로우 레벨의 반전 클럭 신호(CKVB)가 출력된다. 이때, 제1 커패시터(C1)의 양단에 고전압과 저전압이 인가되므로 전하가 충전되고 제1 노드(N1)는 고전압으로 부트스트랩 된다. 한편, 제1 출력 스테이지(SGo1)의 제3 클럭단(CK3)으로는 하이 레벨의 클럭 신호(CKV)가 입력되므로 전원단(VSS)으로 입력되는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이 제2 출력단(OUT2)으로 출력되고 이는 로우 레벨의 반전 클럭 신호(CKVB)와 충돌을 일으키지 않는다.
한편, 1 노드(N1)가 고전압 상태이므로 제7 박막 트랜지스터(T7)가 턴온되어 제2 노드(N2)는 저전압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와 제5 박막 트랜지스터(T5)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2 이송 스테이지(SGs2)의 경우 제1 입력단(IN1)으로 제1 이송 스테이지(SGs1)의 제1 출력단(OUT1)에서 출력된 하이 레벨의 캐리 신호(C1)가 입력되므로 A 영역에서의 제1 이송 스테이지(SGs1)와 마찬가지로 제1 출력단(OUT1)은 로우 레벨을 유지하고 제3 노드(N3)는 고전압으로 부트스트랩 된다. 제2 출력 스테이지(SGo2)는 A 영역에서의 제1 출력 스테이지(SGo1)와 구동 조건이 동일하므로 제2 출력단(OUT2)은 로우 레벨을 유지한다.
제 3 이송 스테이지(SGs3) 이후의 이송 스테이지와 제3 출력 스테이지 이후(SGo3)의 출력 스테이지 역시 A 영역에서의 설명과 동일한 원리로 구동하여 제1 출력단(OUT1)과 제2 출력단(OUT2)이 모두 로우 레벨을 유지한다.
이어서, C 영역에서의 게이트 구동부(400)의 구동을 설명한다.
먼저 제2 이송 스테이지(SGs2)의 경우 B 구간에서의 제1 이송 스테이지(SGs1)의 구동 조건과 동일하므로 제1 출력단(OUT1)으로 하이 레벨의 전달/캐리/제1 리셋 신호(T2/C2/Ra2)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이송 스테이지(SGs1)의 제2 입력단(IN2)으로 하이 레벨의 제1 리셋 신호(Ra2)가 입력되고 제1 이송 스테이지(SGs1)의 제9 박막 트랜지스터(T9)가 턴온되어 제1 이송 스테이지(SGs1)의 제3 노드(N3)는 저전압 상태가 된다. 이때 클럭 신호(CKV)의 듀티 시간(DUTY TIME)에 의해 제3 노드(N3)가 저전압으로 천이하기 바로 전 제1 클럭단(CK1)으로 입력되는 클럭 신호(CKV)가 로우 레벨로 천이하므로 제8 박막 트랜지스터(T8)는 제1 출력단(OUT1)이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한 후 턴오프 되어 제1 출력단(OUT1)을 로우 레벨로 유지한다.
한편, 제2 출력 스테이지(SGo2)의 경우 B 구간에서의 제1 출력 스테이지(SGo1)의 구동 조건과 동일하므로 제1 노드(N1)는 고전압으로 부트스트랩 되고 제2 출력단(OUT2)은 로우 레벨을 유지한다. 따라서, 제1 출력 스테이지(SGo1)의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는 턴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제1 출력 스테이지(SGo1)의 제1 노드(N1)는 부트스트랩 되어 있고 제2 클럭단(CK2)으로 하이 레벨의 반전 클럭 신호(CKVB)가 입력되므로 제1 출력 스테이지(SGo1)의 제2 출력단(OUT2)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한다. 이때, 제1 노드(N1)가 고전압 상태이므로 제7 박막 트랜지스터(T7)가 턴온 상태이고 이에 따라 제2 노드(N2)는 저 전압 상태가 되어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와 제5 박막 트랜지스터(T5)는 턴온 되지 않는다. 제3 클럭단(CK3)으로 입력되는 클럭 신호(CKV)는 C 영역에서 로우 레벨이므로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도 턴오프 상태이다.
C 영역에서의 제3 이송 스테이지(SGs3)의 구동 조건은 B 영역에서의 제2 이송 스테이지(SGs2)의 구동 조건과 동일하므로 제1 출력단(OUT1)은 로우 레벨을 유지하고 제3 노드(N3)는 고전압으로 부트스트랩 된다.
제4 이송 스테이지(SGs4) 이후의 이송 스테이지와 제3 출력 스테이지(SGo3) 이후의 출력 스테이지는 A, B 영역의 경우와 동일한 원리로 C 영역에서 제1, 2 출력단(OUT1,2) 모두 로우 레벨을 유지한다.
이어서, D 구간에서의 게이트 구동부의 구동을 설명한다.
먼저 제1 이송 스테이지(SGs1)의 경우 제1 입력단(IN1)으로 수직 개시 신호(STV)가 입력되기 전까지는 제3 노드(N3)가 저전압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8 박막 트랜지스터(T8)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출력단(OUT1)은 제1 클럭단(CK1)으로 입력되는 클럭 신호(CKV)의 상태와 무관하게 로우 레벨을 유지한다.
제2 출력 스테이지(SGo2)의 경우 제1 노드(N1)가 부트스트랩 된 상태이므로 제2 클럭단(CK2)으로 입력되는 하이 레벨의 클럭 신호(CKV)를 제2 출력단(OUT2)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제1 출력 스테이지(SGo1)의 제5 입력단(IN5)으로 하이 레벨의 제2 리셋 신호(Rb2)가 입력되며 이에 따라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가 턴온되어 제1 노드(N1)가 저전압 상태로 천이한다. 한편, 제1 출력 스테이지(SGo1)의 제3 클럭 단(CK3)으로 입력되는 클럭 신호(CKV)가 하이 레벨이므로 제1 출력 스테이지(SGo1)의 제2 출력단(OUT2)은 로우 레벨로 천이한다. 기타 나머지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동은 앞선 설명과 같다.
기타 나머지 이송 스테이지와 출력 스테이지는 앞선 영역의 설명과 동일한 원리로 구동하므로 D 영역에서 나머지 스테이지의 제1, 2 출력단(OUT1,2)은 모두 로우 레벨을 유지한다.
이상 설명한 A 영역에서 D 영역까지의 각 이송 스테이지(SGsi) 및 출력 스테이지(SGoi)의 구동 원리는 이후의 영역에도 동일한 형태로 적용된다. 따라서, 이송 스테이지(SGsi)의 제1 출력단과 출력 스테이지(SGoi)의 제2 출력단은 1 수평기간의 시간차이를 두고 순차적으로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어서, 비 표시 구간(?)에서의 게이트 구동부(4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비 표시 구간(?)의 구동 조건은 기본적으로 표시 구간(?)과 동일하며 단지 출력 스테이지(SGoi)의 제4 입력단(IN4)으로 입력되는 구동 영역 선택 신호(Vpa)가 표시 구간과 다르게 로우 레벨을 유지한다. 따라서 비표시 구간(?)에서는 출력 스테이지(SGoi)의 제1 노드(N1)가 지속적으로 저전압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이송 스테이지(SGsi)의 순차 구동과 무관하게 제2 출력단(OUT2)으로 하이 레벨의 게이트 신호(Gi)가 출력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송 스테이지(SGsi)는 표시 구간(?)과 동일하게 순차 구동되므로 이후 표시 구간(?)이 다시 시작되어 다시 하이 레벨의 구동 영역 선택 신호(Vpa)가 출력 스테이지(SGoi)의 제4 입력단(IN4)으로 입력되면 정상적인 화면 표시가 가능하다.
도 5는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 표시 상태의 실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표시 영역은 화면의 상부에 위치하고 비 표시 영역은 화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였으나 구동 영역 선택 신호(Vpa)를 변경함으로써 비 표시 영역을 화면의 어디 에든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 표시 영역의 크기 및 개수 또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비 표시 영역을 두 군데 형성한 또 다른 실례이다.
다음으로 비 표시 영역에 발생할 수 있는 잔상 문제의 해결책에 대해 설명한다.
비 표시 영역의 경우 액정 커패시터가 일정한 극성을 장시간 유지하게 됨에 따라 액정 내에 존재하는 이온이 어느 한쪽으로 흡착되어 잔상이 발생할 수 있다. 잔상 현상은 노멀리 화이트 모드에서 블랙이 구현되어 있는 비 표시 영역의 경우 특히 심각하다. 도 7은 이러한 잔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 표시 영역의 전압 갱신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액정의 점성, 액정 내 이온 극성의 세기, 액정셀 양단에 걸리는 전위차 등을 고려할 때 이온의 흡착은 단 시간에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몇 시간 단위로 발생한다. 따라서, 잔상현상은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비 표시 영역의 액정셀에 홀딩되어 있는 전압의 극성을 수분 간격으로 바꿔주는 것으로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 이때 전압 극성의 갱신을 위해 소비되는 전력은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패널이 60Hz로 구동하는 경우 1분에 한번 비 표시 영역의 전압 갱신을 수행하게 되면 1/(60(frame rate) x 60(second)) = 1/3600 이므로 비 표시 영역의 전압을 1분 마다 한번씩 갱신한다 해도 비 표시 영 역에 의한 소비 전력은 표시 영역의 1/3600 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분에 한번 정도로 비 표시 영역의 전압을 갱신해줌으로써 실질적인 소비전력의 상승 없이 부분화면 표시 모드에서 전화면 표시 모드로 전환 시 발생할 수 있는 잔상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전 화면 표시 모드에서 부분 화면 표시 모드로의 전환 및 부분 화면 표시 모드에서의 비 표시 영역의 전압갱신 알고리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는 화면 표시 모드 전환 알고리즘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며 도 9는 이에 따른 화면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최초 전 화면 표시 모드에서는 전 표시 영역의 표시 정보가 전 프레임에 대하여 갱신된다(S1). 그러다가 부분 화면 표시 모드로 전환되면 부분 화면 표시모드의 최초 프레임에서는 표시 영역은 물론 비 표시 영역의 모든 화소에 대한 표시 정보가 갱신된다(S2). 이때, 비 표시 영역의 화소에 대한 표시 정보는 대게 블랙 정보일 것이다. 다음, 부분 화면 표시 모드의 두 번째 프레임부터는 표시 영역의 화소에 대한 표시 정보만 갱신되며 비 표시 영역의 화소에 대한 표시 정보는 부분 화면 표시 모드의 최초 프레임의 정보가 유지된다(S3). 이때 지속적으로 부분화면 표시 모드 진입 이후의 프레임 수를 계산하여 특정 프레임 횟수 예를 들어 3600 프레임에 도달하면 (S4) 표시 영역과 함께 비 표시 영역의 표시 정보를 갱신한다(S2). 이때 표시 영역의 갱신 표시 정보는 전 프레임의 표시 정보와 극성이 반대이며 비 표시 영역의 갱신 표시 정보는 이전 갱신 표시 정보와 극성이 반대이다.
이상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그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종래의 아모퍼스 실리콘 게이트 구조와 다르게 부분 구동이 가능하여 소비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부분 구동이 가능한 종래의 아모퍼스 실리콘 게이트 구조보다 동작이 안정적이며 비 표시 영역의 위치, 크기 및 개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게이트 배선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복수의 스테이지 및 복수의 신호선으로 구성된 시프트 레지스터를 갖는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중 적어도 하나는 스테이지를 순차 구동하는 이송 스테이지 및 상기 이송 스테이지에서 출력되는 전달 신호와 일부 하이 레벨 구간을 갖고 일부 로우 레벨 구간을 갖는 구동 영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게이트 배선을 부분 구동하는 출력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서,
    상기 이송 스테이지는 제1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이송 풀업 구동 제어부; 제2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이송 풀업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캐리/제1 리셋/전달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송 풀업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서,
    상기 출력 스테이지는 제3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출력 풀업 구동 제어부; 제4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출력 풀업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제3 제어 신호 및 제4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제2 리셋 신호를 발생시키는 출력 풀업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1 항에서,
    상기 구동 영역 선택 신호는 표시 구간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하이 레벨을 갖고 비 표시 구간에서 대응하는 영역에서 로우 레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 항에서,
    상기 출력 스테이지는 제3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출력 풀업 구동 제어부, 제4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출력 풀업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제3 제어 신호 및 제4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제2 리셋 신호를 발생시키는 출력 풀업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영역 선택 신호는 표시 구간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하이 레벨을 갖고 비 표시 구간에서 대응하는 영역에서 로우 레벨을 가지며,
    상기 제1 출력 풀업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전달 신호가 입력되는 제어단, 상기 구동 영역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 및 제3 제어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단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060097133A 2006-10-02 2006-10-02 부분 화면 표시가 가능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318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133A KR101318222B1 (ko) 2006-10-02 2006-10-02 부분 화면 표시가 가능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1/866,087 US8514163B2 (en) 2006-10-02 2007-10-02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gate driving part having a transferring stage and an output stag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133A KR101318222B1 (ko) 2006-10-02 2006-10-02 부분 화면 표시가 가능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795A true KR20080030795A (ko) 2008-04-07
KR101318222B1 KR101318222B1 (ko) 2013-10-16

Family

ID=39532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133A KR101318222B1 (ko) 2006-10-02 2006-10-02 부분 화면 표시가 가능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22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999B1 (ko) * 2008-09-12 2010-02-11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스플레이용 시프트 레지스터
KR101065411B1 (ko) * 2009-12-11 2011-09-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8830156B2 (en) 2012-03-22 2014-09-09 Samsung Display Co., Ltd.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60073928A (ko) * 2014-12-16 2016-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CN114495802A (zh) * 2022-03-22 2022-05-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驱动电路、驱动方法及显示面板
US12008956B2 (en) 2021-02-09 2024-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reducing afterimage of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780B1 (ko) * 2004-06-30 2011-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시프트 레지스터와, 이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시프트레지스터 구동방법
KR20060079041A (ko) * 2004-12-31 2006-07-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쉬프트 레지스터
KR101107714B1 (ko) * 2005-04-22 2012-01-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쉬프트 레지스터 및 이의 구동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999B1 (ko) * 2008-09-12 2010-02-11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스플레이용 시프트 레지스터
KR101065411B1 (ko) * 2009-12-11 2011-09-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8854349B2 (en) 2009-12-11 2014-10-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8830156B2 (en) 2012-03-22 2014-09-09 Samsung Display Co., Ltd.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60073928A (ko) * 2014-12-16 2016-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12008956B2 (en) 2021-02-09 2024-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reducing afterimage of display
CN114495802A (zh) * 2022-03-22 2022-05-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驱动电路、驱动方法及显示面板
CN114495802B (zh) * 2022-03-22 2024-03-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驱动电路、驱动方法及显示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8222B1 (ko)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337B1 (ko) 부분 화면 표시가 가능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8957882B2 (en) Gate drive circu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636412B2 (en) Shift register circuit and image display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US8165262B2 (en) Shift register of a display device
US8514163B2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gate driving part having a transferring stage and an output stag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4713246B2 (ja) 液晶表示素子
US9129576B2 (en) Gate driving waveform control
US7310402B2 (en) Gate line drivers for active matrix displays
US8654115B2 (en) Scan signal line driver circui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scan signal lines
EP2302617B1 (en) Pull-down control circuit and shift register of using same
KR100970269B1 (ko) 쉬프트 레지스터와, 이를 갖는 스캔 구동 회로 및 표시장치
US11875748B2 (en) Gate driving circuit, display substrate, display device and gate driving method for realizing frequency doubling output
US2008021176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Gate Driving Circuit Thereof
JP5719103B2 (ja) 表示装置
KR20110120705A (ko) 게이트 구동회로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2009049985A (ja) 電子回路のブートストラップポイント電圧を低下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装置
KR20090051603A (ko) 게이트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050121357A (ko) 쉬프트 레지스터와, 이를 갖는 스캔 구동 회로 및 표시 장치
KR101318222B1 (ko) 부분 화면 표시가 가능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13299223A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1294016B1 (ko) 부분 화면 표시가 가능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13192453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3421604B (zh) 移位寄存器、控制方法、栅极驱动电路和显示装置
JP2007033582A (ja) 表示装置
US12100358B2 (en) Scanning signal line drive circuit and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