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8797A - Absorbent articles - Google Patents
Absorbent art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18797A KR20080018797A KR1020070077117A KR20070077117A KR20080018797A KR 20080018797 A KR20080018797 A KR 20080018797A KR 1020070077117 A KR1020070077117 A KR 1020070077117A KR 20070077117 A KR20070077117 A KR 20070077117A KR 20080018797 A KR20080018797 A KR 200800187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p
- absorber
- sheet
- layer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6—Sanitary towels; Means for supporting or fastening the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2013/5118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specially shaped topshe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생리용 냅킨(sanitary napkin), 팬티라이너(분비물시트)(panty liner), 실금패드(incontinence pad)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bsorbent articles such as sanitary napkins, panty liners, incontinence pads, and the like.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는, 흡수층 및 샘방지층을 구비한 흡수성본체와, 상기 흡수성본체의 양측부 각각에서 폭방향 외방으로 연출하는 한쌍의 후방플랩을 가지는 것이 있다. 후방플랩이란, 흡수성본체에서 연출한 상태로 접혀지지 않고 팬티(shorts) 등의 속옷에 장착되어 이용되는 것으로, 속옷의 크로치부(crotch)의 외면측으로 접혀져서 이용되는 날개부와는 다른 것이다.An absorbent article such as a sanitary napkin includes an absorbent body having an absorbent layer and a leakage preventing layer, and a pair of rear flaps exten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n each side of the absorbent body. The rear flap is used by being attached to underwear such as panties without being folded in a state produced by the absorbent body, and is different from the wing portion that is folded and used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crotch of the underwear.
또한, 후방플랩을 가지는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 후방플랩에 흡수층(이하 "플랩흡수층"이라 칭함)을 형성하고, 흡수성본체에서 넘친 체액을 후방플랩에 있어서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생리용 냅킨 전체로서의 샘방지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2000-189459호 공보 참조).In addition, in the sanitary napkin having a rear flap, an absorbent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lap absorbing layer") is formed on the rear flap, and the body fluid overflowed from the absorbent body can be absorbed in the rear flap, thereby providing the entire sanitary napkin. Techniques for improving leakage resistance are known (se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189459).
그러나, 일본국 특허공개 2000-189459호 공보 기재의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는, 플랩흡수층과 플랩샘방지층(후방플랩의 하면을 형성하는 샘방지층)의 계면의 공간의 크기는 매우 작게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후방플랩에 있어서, 플랩흡수층에 흡 수된 체액은 두께방향으로 이동한 후, 모관력에 의해, 플랩흡수층과 플랩샘방지층의 계면의 공간을 과도하게 확산하기 쉽고, 이것에 기인하여, 플랩흡수층에 일단 흡수된 체액이 후방플랩의 주연부에서 새어나오기 쉽다. 이러한 현상은 플랩흡수층의 액체확산성이 낮은 경우에 특히 현저하게 발생한다.However, in the sanitary napkin of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189459, the size of the space between the flap absorbing layer and the flap leakage preventing layer (the leakage preventing layer forming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flap) is very small. Therefore, in the rear flap, after the body fluid absorbed by the flap absorbing layer mov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it is easy to excessively diffuse the space between the flap absorbing layer and the flap leak preventing layer by the capillary force. The body fluid once absorbed by the absorbent layer is likely to leak from the periphery of the rear flap. This phenomenon occurs particularly remarkably when the liquid diffusion property of the flap absorption layer is low.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수층을 구비한 후방플랩을 가지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에 흡수된 체액이 후방플랩의 주연부에서 새어나오기 어려운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back flap provided with an absorbing layer, wherein the body fluid absorbed by the absorbing layer is less likely to leak from the periphery of the back flap.
본 발명은 본체흡수층 및 본체샘방지층을 구비한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의 흡수성본체와, 상기 흡수성본체에 있어서의 적어도 후방부의 양측부 각각에서 폭방향 외방으로 연출하는 한쌍의 후방플랩을 가지는 흡수성 물품이고, 상기 후방플랩은 플랩흡수층 및 플랩샘방지층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플랩샘방지층은 그 상기 플랩흡수층측의 면이 요철(凹凸)구조를 가지고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substantially longitudinal absorbent body having a body absorbent layer and a body leakage preventing layer, and a pair of rear flaps exten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at each of both sides of at least the rear part of the absorbent body, The rear flap is provided with a flap absorbing layer and a flap leak preventing layer, and the flap leak preventing layer achieves the above object by providing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concave-convex structure on the side of the flap absorbing layer side.
본 발명에 의하면 흡수층을 구비한 후방플랩을 가지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이 흡수층에 흡수된 체액이 후방플랩의 주연부로부터 새어나오기 어렵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rear flap provided with an absorbing layer, the body fluid absorbed by the absorbing layer is less likely to leak out from the periphery of the rear flap.
이하,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한 실시형태(제1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referring drawings based on the preferable embodiment (1st embodiment).
제1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은 생리용 냅킨(1)이고,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흡수층(21,23) 및 본체샘방지층(22)을 구비한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의 흡수성본체(2)와, 흡수성본체(2)에 있어서의 적어도 후방부(B)의 양측부 각각에서 폭방향 외방으로 연출하는 한쌍의 후방플랩(3,3)과, 흡수성본체(2)에 있어서의 전방부(A)의 양측부 각각에서 폭방향 외방으로 연출하는 한쌍의 날개부(wing)(4,4)를 가지고 있다.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
흡수성본체(2)에 있어서, "전방부(A)"란, 사용시에 있어서 착용자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흡수성본체(2)의 길이방향 중앙부보다도 앞쪽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또한 "후방부(B)"란, 사용시에 있어서 착용자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흡수성본체(2)의 길이방향 중앙부보다도 뒷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적어도 후방부(B)"란, 후방플랩(3)의 일부가 후방부(A)로부터 연출하고 있는 형태를 포함하는 의미이다.In the
또한, 특별히 명기가 없는 한, "길이방향"이란, 흡수성 물품(흡수성본체(2))의 길이방향을 따른 방향이고, "폭방향"이란, 흡수성 물품(흡수성본체(2))의 폭방향을 따른 방향이다. 또한, "상면" 및 "하면"이란, 각각 전개상태에 있어서의 상면 및 하면을 말한다.In addi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 a "length direction" is a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absorbent article (absorbent main body 2), and a "width direction" means the width direction of an absorbent article (absorbent main body 2). Direction. In addition, "upper surface" and "lower surface" mean the upper surface and lower surface in an unfolded state, respectively.
흡수성본체(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흡수층(21,23) 및 본체샘방지층(22)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흡수층(21,23)은 액체투과성의 본체표면시트(21) 및 액체보존성의 본체흡수체(23)로 이루어진다. 본체흡수체(23)는 평면시로 거의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체흡수체(23)는 상층본체흡수체(23a)와 하층본체흡수체(23b)의 적층체로 이루어진다. 본체표면시트(21)는 본체흡수체(23)의 상면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 the
본체샘방지층(22)은 액체불투과성 또는 발수성의 본체이면시트로 이루어진다. 본체이면시트(22)는 본체흡수체(23)의 하면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The body
흡수성본체(2)의 상면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표면시트(21)에서 본체흡수체(23)를 향하여 오목한 압착구(D)가 형성되어 있다. 압착구(D)는 예를 들면 열엠보싱가공(heat embossing)에 의해 형성되고, 본체표면시트(21)와 본체흡수체(23)를 일체화하고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이와 같이, 흡수성본체(2)는 본체표면시트(21), 본체흡수체(23) 및 본체이면시트(22)의 순으로 적층한 적층체로 이루어진다.Thus, the
후방플랩(3)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본체(2)에서 연출한 상태로 접혀지지 않고, 팬티 등의 속옷에 장착되어 이용되는 것이다. 단, 후방플랩(3)은 생리용 냅킨의 개장형태 등에 있어서 컴팩트(compact)하게 하기 위해, 흡수성본체(2)의 상면측 또는 하면측으로 접어도 좋다.As shown in Fig. 1, the
후방플랩(3)을 가지는 생리용 냅킨(1)의 길이는 26㎝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0㎝이상이다. 후방플랩(3)의(한쪽의) 폭(생리용 냅킨의 폭방향의 따른 폭)은 1㎝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이상이다. 후방플랩(3)의 폭은 개장형태에서 생리용 냅킨을 꺼낼 때의 취급의 편리함이나 생리용 냅킨의 장착의 편리함의 관점에서, 흡수성본체(2)의 폭보다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후방플랩(3)은 후방부(B)에 배치되어 있고, 전방부(A)에서 후방부(B)를 향하여 폭이 넓어지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The length of the
후방플랩(3)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랩흡수층(31,33) 및 플랩샘방 지층(32)을 구비하고 있다. 플랩흡수층(31,33)은 액체투과성의 플랩표면시트(31) 및 액체보존성의 플랩흡수체(33)로 이루어진다. 플랩흡수체(33)는 평면시로, 후방플랩(3)을 한층 작게 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플랩표면시트(31)는 플랩흡수체(33)의 상면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 the
플랩샘방지층(32)은 액체불투과성 또는 발수성의 플랩이면시트로 이루어진다. 플랩이면시트(32)는 플랩흡수체(33)의 하면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The flap
이와 같이, 후방플랩(3)은 플랩표면시트(31), 플랩흡수체(33) 및 플랩이면시트(32)의 순으로 적층한 적층체로 이루어진다.Thus, the
날개부(4)는 속옷의 크로치부의 외면측에 접혀져 이용되는 것으로, 그 위치, 평면시 형태 등이 다른 것 이외에는, 후방플랩(3)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날개부(4)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밑면(윗면보다도 긴 변)이 흡수성본체(2)의 측부측에 위치하는 거의 사다리꼴형상을 가지고 있다.The
구체적으로는, 날개부(4)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투과성의 날개표면시트(41), 액체보존성의 날개흡수체(43) 및 액체불투과성 또는 발수성의 날개이면시트(42)의 순으로 적층한 적층체로 이루어진다. 날개흡수체(43)는 평면시로, 날개부(4)를 한층 작게 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날개표면시트(41)는 날개흡수체(43)의 상면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 날개이면시트(42)는 날개흡수체(43)의 하면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이와 같이, 날개부(4)는 날개표면시트(41), 날개흡수체(43) 및 날개이면시트(42)의 순으로 적층한 적층체로 이루어진다.Thus, the
흡수성본체(2), 후방플랩(3) 및 날개부(4)를 구성하는 상기 각 부재는 각각 별체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복수의 부재를 일체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Although each said member which comprises the absorbent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표면시트(21), 한쌍의 플랩표면시트(31,31) 및 한쌍의 날개표면시트(41,41)는 하나의 일체표면시트(11)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이면시트(22), 한쌍의 플랩이면시트(32,32) 및 한쌍의 날개이면시트(42,42)는 하나의 일체이면시트(12)로 형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main
또한, 하층본체흡수체(23b), 한쌍의 플랩흡수체(33,33) 및 한쌍의 날개흡수체(43,43)는 하나의 일체흡수체(13)로 형성되고, 일체화하고 있다(직접적인 일체화).Further, the lower body absorber 23b, the pair of flap absorbers 33 and 33, and the pair of
또한, 일체흡수체(13)는 각각 별체의 하층본체흡수체(23b), 플랩흡수체(33) 및 날개흡수체(43)를 일부 서로 겹칩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간접적인 일체화).In addition, the
다른 견해로 보면, 플랩흡수체(33) 및 날개흡수체(43)는 흡수성본체(2)에 걸쳐서 연재하고, 본체흡수체(23)의 일부(하층본체흡수체(23b))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일체화하고 있다.In other respects, the
플랩흡수체(33)가 흡수성본체(2)에 걸쳐서 연재(延在)하고, 본체흡수체(23)의 일부와 일체화하고 있으면 바람직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플랩흡수체(33)에 있어서는, 체액은 본체흡수체(23)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플랩흡수체(33)에 있어서의 흡수성본체(2) 근방의 영역에 흡수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플랩흡수체(33)와 일체화하고 있는 본체흡수체(23)의 존재에 의해, 플랩흡수체(33)에 있어서의 흡수성본체(2) 근방의 영역에 흡수된 체액은 흡수포인트(흡수중심)에서 동심원형으로 서서히 확산할 수 있기 때문에, 후방플랩의 주연부에서 새어나오기 어렵다.The reason why the
또한, 플랩흡수체(33)와 본체흡수체(23)가 일체화되어 있지 않고, 각각 독립(분리)하고 있는 경우에는, 플랩흡수체(33)가 흡수성본체(2)에 의한 액체의 확산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In addition, when the
또한, 상층본체흡수체(23a)와 일체흡수체(13)는 별체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일체표면시트(11)는 상층본체흡수체(23a) 및 일체흡수체(13)의 집합체(23a,13)의 상면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 일체표면시트(11)의 주연부는 집합체(23a,13)의 주연부에서 연출하고 있다.The
또한, 일체이면시트(12)는 일체흡수체(13)의 하면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 일체이면시트(12)의 주연부는 일체흡수체(13)의 주연부에서 연출하고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집합체(23a,13)의 주연부에서 연출하고 있는 일체표면시트(11)의 주연부와 일체이면시트(12)의 주연부는 히트실(heat sealing), 핫멜트(hot-melt)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다른 견해로 보면, 플랩표면시트(31)와 플랩이면시트(32)는 플랩흡수체(33)의 주연부의 외방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날개표면시트(41)와 날개이면시트(42)는 날개흡수체(43)의 주연부의 외방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다.The peripheral edge of the
플랩이면시트(플랩샘방지층)(32)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랩흡수층(플랩표면시트(31), 플랩흡수체(33))으로부터 플랩이면시트(32)를 향해서 패인 오목형상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flap back sheet (flap leak prevention layer) 32, as shown in FIG. 4, the concave-shaped structure which dug toward the flap back
이 오목형상 구조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랩이면시트(32)에, 그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향해서 패인 점형상의 플랩오목부(5)를 격자 배치로 설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랩이면시트(32)의 내면에 있어서의 플랩오목부(5) 이외의 면을 "기면(基面; 32a)"이라 말한다.In this concave structure, in this embodiment, as shown to FIG. 4 and FIG. 5, the flap back
점(dot)형상의 플랩오목부(5)의 평면시 면적은, 바람직하게는 0.1~10㎟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이다. 점형상의 플랩오목부(5)의 밀도(단위 면적당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4~20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15개/㎠이다. 점형상의 플랩오목부(5)의 평면시 형상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원형이지만, 예를 들면, 타원형, 직사각형이나, 특정의 형태를 가지지 않는 부정형이어도 좋다.The planar area of the dot-shaped flap
점형상의 플랩오목부(5)는, 플랩이면시트(32)에 전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If the flap recessed
본 실시형태와 같이, 플랩이면시트(플랩샘방지층)(32)에 플랩오목부(5)를 설치함으로써 오목형상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플랩오목부(5)의 깊이가 오목형상 구조의 깊이가 된다. 플랩이면시트(32)의 오목형상 구조의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0.05~5㎜이다. 상술하면, 플랩오목부(5)의 평면시 형상이 원형, 타원형이나 직사각형 등의 정형인 경우에는, 플랩이면시트(32)의 오목형상 구조의 깊이는, 상기 오목형상 구조가 액체의 보유구조체로서 기능하기 쉬우며, 보유된 액체의 표면장력에 의한 액체의 확산억제 효과를 이루기 쉽게 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2~2㎜이다.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concave structure is formed by providing the flap
또한, 플랩오목부(5)의 평면시 형상이 부정형, 특히 섬유모양의 패턴(pattern)(즉, 선상의 오목부)인 경우에는, 플랩이면시트(32)의 오목형상 구조는, 액체의 보유구조체로서 기능하기보다도, 상기 액체의 확산억제 효과를 이루는 것이 주가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0.01~0.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0.2㎜이다.In addition, when the planar shape of the flap
이와 같은 플랩이면시트(플랩샘방지층)(32)의 오목형상 구조에 의해, 플랩흡수체(33)와 플랩이면시트(32)는, 평면방향으로 비연속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랩흡수체(33)와 플랩이면시트(32)는 플랩이면시트(32)의 기면(32a)에 있어서, 평면방향으로 비연속적으로 접촉하게 된다.Due to the concave-shaped structure of the flap back sheet (flap leak prevention layer) 32, the
이 결과, 주로 중력, 또한 플랩흡수체(33)의 구조 등의 요인에 의해, 플랩흡수체(33)에 흡수된 액체는, 플랩이면시트(32)와 플랩흡수체(33)와의 경계영역으로 이동하고, 거기에서 확산을 일으키기 쉽다. 그러나, 플랩이면시트(32)의 오목형상 구조에 기인해서, 전술한 액체의 확산억제 효과가 이루어진다.As a result, the liquid absorbed by the
후방플랩(3)에 있어서, 플랩표면시트(31) 및 플랩이면시트(플랩샘방지층)(32)는 모두 플랩흡수체(33)에 접합되어 있다. 이 접합에는, 예를 들면 핫멜트 접착제가 사용된다. 접착제의 도공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면상(이른바 온통바름), 스파이럴(spiral)형상,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라이프형상, Ω형상, 점형상이다.In th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랩이면시트(32)와 플랩흡수체(33)는 플랩이면시트(32)의 기면(32a)에 도공된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비연속적으로 접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lap back
또한, 플랩이면시트(32)와 플랩흡수체(33)를 적층한 상태에서, 플랩이면시트(32)의 외면으로부터 내면을 향하여 엠보스 가공을 시행하고, 양자를 압착 또는 융착에 의해 일체화할 수도 있다. 이 일체화 가공에 있어서는, 플랩이면시트(32)에 있어서의 엠보스 가공이 시행되지 않았던 부분은, 엠보스 가공이 시행된 부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패이며, 그 결과, 플랩오목부(5)가 형성된다. 엠보스 가공이 시행된 부분의 일부는 기면(32a)을 구성하게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flap back
흡수성본체(2)의 본체이면시트(22)에 있어서도, 후방플랩(3)의 플랩이면시트(32)와 마찬가지로, 본체오목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서, 오목형상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체이면시트(22)의 오목형상 구조에 의해, 본체흡수체(23)와 본체이면시트(22)는, 평면방향으로 비연속적으로 접촉하게 된다.Also in the
흡수성본체(2)의 본체이면시트(22)의 오목형상 구조 및 후방플랩(3)의 플랩이면시트(32)의 오목형상 구조는, 동일한 구조가 채용되어도 좋고, 다른 구조가 채용되어 있어도 좋다. 그러나, 플랩이면시트(32)의 오목형상 구조의 액체보유기능에 의한 전술한 액체의 확산억제 효과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고려하면, 이하의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랩이면시트(32)의 오목형상 구조가 부정형인 경우에는, 정형의 구조체에 의한 가공에 의해, 정형의 오목형상 구조가 단독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태, 또는 부정형의 오목형상 구조와 정형의 오목형상 구조가 병용된 상태로 함으로써, 플랩이면시트(32)의 오목형상 구조의 용적을, 흡수성본체(2)의 본체이면시트(22)의 오목형상 구조의 용적보다도 10~30%정도 크게 형성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랩이면시트(32)의 오목형상 구조가 정형인 경우에는, 오목형상 구조의 면적·밀도·두께 등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플랩이면시트(32)의 오목형상 구조의 용적을, 흡수성본체(2)의 본체이면시트(22)의 오목형상 구조의 용적보다도 10~30%정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ame structure may be used for the concave structure of the
또한, 비연속적인 접촉에 의한 액체의 확산억제 효과를 보다 높이기 위해서, 흡수성본체(2)와 후방플랩(3) 사이에, 오목형상 구조를 설치하지 않은 이간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이간영역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띠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order to further enhance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diffusion of the liquid due to discontinuous contact, a separation region without providing a concave structure may be formed between the
흡수성본체(2)에 있어서, 본체이면시트(22)는 본체흡수체(23)에 접합되어 있다. 이 접합에는, 예를 들면 핫멜트접착제가 사용된다. 접착제의 도공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면상(이른바 온통바름), 스파이럴형상,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라이프형상, Ω형상, 점형상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체이면시트(22)와 본체흡수체(23)는 본체이면시트(22)의 기면(본체이면시트(22)의 내면에 있어서의 상기 본체오목부 이외의 면)에 도공된 접착제에 의해 비연속적으로 접합되어 있다.In the
날개부(4)의 날개이면시트(42)에 있어서도, 후방플랩(3)에 있어서의 플랩이면시트(32)와 마찬가지로, 날개오목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서, 오목형상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Also in the
전술한 후방플랩(3)에 있어서의 플랩이면시트(32)의 오목형상 구조에 관한 설명은, 흡수성본체(2)의 본체이면시트(22) 및 날개부(4)의 날개이면시트(42)의 오 목형상 구조에 적절히 적용된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concave-shaped structure of the flap back
흡수성본체(2), 후방플랩(3) 및 날개부(4)의 하면에는, 즉, 일체이면시트(12)의 하면의 소정 위치에는, 어긋남고정재로서, 각각 본체점착부, 플랩점착부 및 날개점착부(모두 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On the lower surface of the
상층본체흡수체(23a)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흡수체로서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층본체흡수체(23a)는 부피가 크며, 액체보유능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하층본체흡수체(23b), 플랩흡수체(33) 및 날개흡수체(43)는, 즉, 일체흡수체(13)는 시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액체확산성이 낮은 시트형상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형상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펄프(pulp)를 적섬(積纖)하고, 바인더(binder)로 고정한 건식펄프시트[상품명 "JS-50HB" Havix(주) 제품 등]나, 습식흡수지에 엠보스 가공한 엠보스 흡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 비용의 점에서 엠보스 흡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플랩흡수체(33) 및 날개흡수체(43)는 본체흡수체(23)로부터 넘친 체액을 흡수하는 보충적인 것이며, 액체흡수 시의 확산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1g의 생리식염수를 흡수체의 약 1㎝ 상방에서 적하한 후, 1분 후의 흡수면적이 8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흡수면적이 50㎠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면적을 80㎠이하로 함으로써, 액체의 확산을 늦출 수 있으며, 체액이 플랩흡수체(33) 및 날개흡수체(43)를 과도하게 확산해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상기 엠보스 흡수지는, 엠보스 가공을 시행함으로써, 흡수지에 두께를 형성 하고, 또한 액체가 1방향으로 확산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그 엠보스패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30개/㎠의 밀도로 점형상으로 엠보스 가공되어 있는 패턴이 바람직하다.The embossed absorbent paper is embossed to form a thickness on the absorbent paper and to prevent the liquid from diffusing in one direction. Although the embossing pattern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he pattern which is embossed by the point shape at the density of 1-30 pieces / cm <2> is preferable.
플랩흡수체(33)(일체흡수체(13))는(본체흡수체(23)보다도 밀도가 낮게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특히) 피부비당접면측의 밀도가 피부당접면측의 밀도보다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며, 0.05~0.2g/㎤정도 낮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피부당접면측"이란, 착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는 측이며, "피부비당접면측"이란, 피부당접면측의 반대측이다.The flap absorber 33 (integral absorber 13) preferably has a lower density on the non-skin contact side (particularly when the density is lower than that of the main body absorber 23), and is 0.05 to 0.2.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s low as g /
이들의 밀도는, 전자현미경을 사용해서, 다음과 같이 계측한다. 우선, 후방플랩(3)을 해체하지 않고 플랩흡수체(33)의 두께를 계측한다. 그 후, 플랩흡수체(33)를 후방플랩(3)의 다른 구성부재로부터 분리해서, 그 질량 및 면적을 계측하고, 이 질량, 면적 및 두께로부터 밀도를 산출한다. 이때, 분리한 플랩흡수체(33)의 면적이 200㎠미만인 경우에는, 다른 샘플(sample)의 플랩흡수체(33)를 분리해서 샘플을 보충하는 등 해서, 샘플의 면적을 200㎠이상으로 하여 밀도를 계측한다. 밀도의 계측은, 복수의 샘플을 사용해서 계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랩흡수체(33)의 두께는, 보풀을 포함해서 계측한다.These densities are measured as follows using an electron microscope. First, the thickness of the
피부비당접면측의 밀도를 피부당접면측의 밀도보다도 낮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플랩흡수체(33)의 피부비당접면측으로부터 피부당접면측을 향해서 열엠보스 가공을 시행하고, 그 후, 열풍에 의해 플랩흡수체(33)의 부피를 회복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As a method of making the density of the skin non-contacting surface side lower than the density of the skin-contacting surface side, for example, heat embossing is performed from the skin non-contacting surface side of the
플랩흡수체(33)에 있어서, 피부비당접면측의 밀도가 피부당접면측의 밀도보다도 낮게 되어 있으면, 후방플랩(3)에 있어서의 액체의 확산억제 효과가 높아지고, 샘방지 효과를 향상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In the
플랩흡수체(33)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01g/㎣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g/㎣이다.The density of the
플랩흡수체(33)의 밀도는, 이것에 연장되어 있는 본체흡수체(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층본체흡수체(23b))의 밀도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0.05~0.2g/㎤정도 높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density of the
플랩흡수체(33)의 밀도를, 이것과 일체화하고 있는 본체흡수체의 밀도보다도 높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후방플랩에만 롤(roll)간에 있어서 열 및 압력을 가하는 방법이나, 플랩표면시트(31)와 플랩흡수체(33)를 열엠보스 가공 등에 의해 접합하는 방법이 있다.As a method of making the density of the
플랩흡수체(33)의 밀도가, 이것과 일체화하고 있는 본체흡수체의 밀도보다도 높게 되어 있으면, 플랩흡수체(33)에 흡수된 체액이, 이것과 일체화하고 있는 본체흡수체로 역류되기 어려운 점에서 바람직하다.If the density of the
플랩흡수체(33)의 좌굴강도는, 비틀림방지 및 장착감 향상의 관점에서, 20~500g인 것이 바람직하고, 50~300g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좌굴강도를 20g이상으로 함으로써, 후방플랩(3)이 비틀리기 어려워진다. 한편, 좌굴강도를 500g이하로 함으로써, 후방플랩(3)의 전체가 너무 딱딱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장착 시에 위화감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buckling strength of the
상기 좌굴강도는, 하기와 같이 해서 측정된다.The buckling strength is measured as follows.
〔좌굴강도의 측정방법〕[Measuring Method of Buckling Strength]
측정은, 20℃, 65% RH하에 있어서, 1일이상 방치한 흡수체를 사용하여, 이 온도 및 습도조건하에서 행한다.The measurement is performed under thes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using an absorber left at least 1 day at 20 ° C. and 65% RH.
상세하게는, 흡수체를 세로 150㎜×가로 30㎜로 잘라내고, 이것을 시료로 한다. 이 시료의 길이방향 단부를, 그 겹침부분의 폭이 5㎜가 되도록 서로 겹쳐서, 윤상(輪狀)으로 한다. 그 후, 상하 각 1㎝의 부분을, 스테이플러(stapler)에 의해 침의 길이방향이 압축방향과 직각의 방향이 되도록 2개소 고정하고, 링(ring)형상의 샘플을 얻는다. 얻어진 링형상의 샘플은, 텐실론시험기〔상품명 "RTC-1210A" (주)ORIENTEC 제품〕의 시료대에, 시료의 길이방향을 하면으로 해서 설치한다. 설치 후, 압축시험모드로 측정속도 10㎜/min으로 시료를 압축하고, 좌굴했을 때의 최대 강도를 구한다. 따로 작성한 5개의 샘플에 대해서 동일하게 측정을 행하고, 평균을 구하여, 좌굴강도로 한다.In detail, an absorber is cut out to 150 mm long x 30 mm wide, and this is used as a sample.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sample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width of the overlapping portion is 5 mm to form an annular shape. Thereafter, the top and bottom portions of each of 1 cm are fixed by a stapler so that the length direction of the needle become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mpression direction, and a ring-shaped sample is obtained. The obtained ring-shaped sample is placed on a sample stage of a tensilon tester (trade name "RTC-1210A", manufactured by Orientec Co., Ltd.)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mple as the lower surface. After installation, the sample is compressed at a measurement rate of 10 mm / min in the compression test mode and the maximum strength when buckling is obtained. The five samples created separately are measured similarly, the average is calculated, and the buckling strength is obtained.
플랩흡수체(33)의 두께는, 바람직한 강성 및 확산성을 얻기 위해서, 2.5g/㎡ 하중하에 있어서 0.2~5㎜인 것이 바람직하고, 0.2~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3~2㎜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In order to obtain the desired rigidity and diffusivity, the thickness of the
전술한 플랩흡수체(33)의 각종 물성에 관한 설명은, 날개흡수체(43)의 각종 물성에도 적절히 적용된다.The above description regarding the various physical properties of the
본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1)은 후방플랩(3)을 흡수성본체(2)로부터 연출한 상태에서 되접어 꺾지 않고 팬티 등의 속옷에 장착하고, 날개부(4)를 속옷의 크로 치부의 외면측으로 되접어 꺾어서 사용된다.The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1)은, 흡수성본체(2)를 팬티의 크로치부의 내면에 배치하고, 후방플랩(3)을 팬티의 내면에 배치하며, 날개부(4)를 크로치부의 외면측으로 되접어 꺾어서, 흡수성본체(2), 후방플랩(3) 및 날개부(4)를 각각 본체점착부, 플랩점착부 및 날개점착부에 의해 팬티의 내면 또는 외면에 부착 고정시킴으로써,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면서 장착할 수 있다.In detail, the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1)에 있어서는, 흡수성본체(2)의 후방부(B)로부터 배어나온 액체나, 흡수되지 않고 흐르는 액체를, 후방플랩(3)으로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후방부(B)로부터의 액체샘방지성에 뛰어나다.In the
후방플랩(3)에 있어서, 가령, 플랩이면시트(32)에 플랩오목부(5)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오목형상 구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고 하면, 플랩흡수체(33)와 플랩이면시트(32)와의 계면에는, 극히 작은 공간밖에 형성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계면의 공간에 큰 모관력이 작용하여, 플랩흡수체(33)에 흡수된 체액은, 과도하게 확산하여, 후방플랩(3)의 주연부로부터 새기 쉽다.In the
이에 비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후방플랩(3)에 있어서는, 플랩이면시트(32)에 플랩오목부(5)가 설치되어, 오목형상 구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랩흡수체(33)와 플랩이면시트(32)와의 계면에는, 충분한 크기의 공간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플랩오목부(5)를 주체로 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플랩흡수체(33)에 흡수된 체액은, 플랩흡수체(33)와 플랩이면시트(32)와의 계면으로 이동해도, 충분한 크기의 공간의 존재에 의해, 모관력이 발생하기 어려움과 동시에, 오목 형상 구조(플랩오목부(5))가 저항이 되어, 과도한 확산이 억제된다. 그 결과, 플랩흡수체(33)에 흡수된 체액은, 후방플랩(3)의 주연부로부터 새기 어렵다. 오목형상 구조에 의한 액체의 확산억제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오목형상 구조의 액체의 보유구조체로서의 기능 및 보유된 액체의 표면장력에 기초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마찬가지로, 흡수성본체(2)의 전방부( A)로부터 배어나온 액체나, 흡수되지 않고 흐르는 액체를, 날개부(4)에서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전방부(A)로부터의 액체샘방지성에 뛰어나다.Similarly, since the liquid drawn out from the front portion A of the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랩이면시트(플랩샘방지층)(32)의 오목형상 구조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랩이면시트(32)의 내면에, 복수의 오목조(凹條)의 플랩오목부(5)를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해서 설치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오목조의 플랩오목부(5)는 생리용 냅킨(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ncave-shaped structure of the flap back sheet (flap leak prevention layer) 32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ap back
또한, 본체흡수체(23)는 상층본체흡수체(23a)를 없애고, 하층본체흡수체(23b)만의 1층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다음으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점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제1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이 적절히 적용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bout another embodiment, a different point from 1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is mainly demonstrated, the same point is attached | subjected with the same code | symbol,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The description about 1st Embodiment applies suitably unless otherwise demonstrated.
제2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실시형태에 비해서, 하층본체흡수체(23b)가 흡수성본체(2)의 폭방향 전역에 걸쳐 있지 않으며, 흡수성본체(2)의 양측부 근방에만 분리해서 설치되어 있는 점이 주로 다르다.In the sanitary napkin of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the lower body
이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1)에 의하면,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이루어지는 것 외에, 본체흡수체(23)로의 액체의 역류되기 어려움이나 후방부(B)의 피트(fit)성이 보다 높아지는 효과도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제3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1)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실시형태에 비해서, 플랩흡수체(33)가 흡수성본체(2)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지 않으며, 본체흡수체(23)와 일체화하고 있지 않은 점이 주로 다르다. 본체흡수체(23)는 단층구조여도 복수구조여도 좋다.I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제3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1)에 의하면, 제2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이루어지는 것 외에, 후방플랩(3)의 피트성, 플랩흡수체(33)와 본체흡수체(23)와의 단차가 적어지는 것에 의한 액체의 수취성, 또한 본체흡수체(23)의 흡수용량이 향상하는 등의 효과도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이하,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대해, 그 제4실시형태에 기초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referring drawings for based on the 4th Embodiment.
제4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은,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생리용 냅킨(1)이며,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표면시트(21), 본체이면시트(22) 및 이들 사이에 개재하는 본체흡수체(23)를 구비한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흡수성본체(2)와, 흡수성본체(2)에 있어서의 적어도 후방부(B)의 양측부 각각으로부터 폭방향 외방으로 연출하는 한쌍의 후방플랩(3,3)과, 흡수성본체(2)에 있어서의 전방부(A)의 양측부 각각으로부터 폭방향 외방으로 연출하는 한쌍의 날개부(4,4)를 가지고 있 다.The absorbent article of the fourth embodiment is a
흡수성본체(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투과성의 본체표면시트(21), 액체불투과성 또는 발수성의 본체이면시트(22) 및 액체보유성의 본체흡수체(23)로 이루어진다. 본체흡수체(23)는 평면시로 거의 장방형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체흡수체(23)는 상층본체흡수체(23a)와 하층본체흡수체(23b)의 적층체로 이루어진다. 본체표면시트(21)는 본체흡수체(23)의 상면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 본체이면시트(22)는, 본체흡수체(23)의 하면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 the
흡수성본체(2)의 상면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표면시트(21)로부터 본체흡수체(23)를 향해서 패인 압착홈(D)이 설치되어 있다. 압착홈(D)은, 예를 들면 열엠보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며, 본체표면시트(21)와 본체흡수체(23)를 일체화하고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이와 같이, 흡수성본체(2)는 본체표면시트(21), 본체흡수체(23) 및 본체이면시트(22)의 순으로 적층한 적층체로 이루어진다.Thus, the
후방플랩(3)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투과성의 플랩표면시트(31), 액체불투과성 또는 발수성의 플랩이면시트(32) 및 액체보유성의 플랩흡수체(33)로 이루어진다. 플랩흡수체(33)는, 평면시로, 후방플랩(3)을 한 단계 작게 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플랩표면시트(31)는 플랩흡수체(33)의 상면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 플랩이면시트(32)는 플랩흡수체(33)의 하면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 the
이와 같이, 후방플랩(3)은 플랩표면시트(31), 플랩흡수체(33) 및 플랩이면시트(32)의 순으로 적층한 적층체로 이루어진다.Thus, the
플랩흡수체(33)와 플랩이면시트(32)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치한 접합재(이하 "플랩접합재"라고도 말함)(6)로 접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랩이면시트(32)의 내면(32f)에 점형상의 플랩접합재(6)가 격자 배치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플랩접합재(6)에 의해, 플랩흡수체(33)와 플랩이면시트(32)가 비연속적으로 접합되어 있다.9 and 10, the
여기에서, 플랩접합재(6) 및 플랩이면시트(32)를 일체적으로 본다면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랩접합재(6)의 상면이 기면으로, 플랩이면시트(32)의 내면(32f)이 오목부의 저면이 되는 오목형상 구조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Here, as shown in 9, when the
점형상의 플랩접합재(6)의 평면시면적은 바람직하게는 0.1~1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이다. 점형상의 플랩접합재(6)의 밀도(단위면적당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4~20개/㎠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15개/㎠이다. 점형상의 플랩접합재(6)의 평면시형상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원형이지만, 예를 들면 타원형, 사각형이라도 좋다.The planar viewing area of the point-shaped
점형상의 플랩접합재(6)는 플랩이면시트(32)의 내면(32f)에 전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Although the point-shaped
후방플랩(3)에 있어서는 상기 오목형상 구조의 깊이, 즉 플랩접합재(6)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5m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2mm이다.In the
플랩흡수체(33)의 구성섬유는 간헐적으로 배치한 플랩접합재(6)의 사이에 있어서, 플랩이면시트(32)를 행해서 돌출하고 있다.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이와 같이 플랩흡수체(33)의 구성섬유가 플랩이면시트(32)를 행해서 돌출한 구성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플랩접합재(6)에 의해 플랩흡수체(33)와 플랩이면시트(32)를 비연속적으로 접합한 후에, 플랩흡수체(33)에 대하여 열풍처리를 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이와 같이, 플랩흡수체(33)의 구성섬유가, 간헐적으로 배치한 플랩접합재(6)의 사이에 있어서, 플랩이면시트(32)를 향해서 돌출하고 있으면, 후방플랩(3)에는 유자석인 액체의 보유공간이 형상되며, 상기 보유공간은 그 주위보다도 밀도가 낮아지게 되므로 액체의 확산이 일어나기 어렵다.In this way, if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후방플랩(3)에 있어서, 플랩표면시트(31)는 플랩흡수체(33)에 접합되어 있다. 이 접합에는 예를 들면 핫멜트접착제가 이용된다. 접착제의 도공형상은 특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면상(이른바 온통바름), 스파이럴형상,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트라이트형상, Ω형상, 점형상이다.In the
흡수성본체(2)에 있어서도 후방플랩(3)과 마찬가지로, 본체흡수체(23)와 본체이면시트(22)는 평면방향에 간헐적으로 배치한 본체접합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합되어 오목형상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n the
예를 들면 본체이면시트(22)의 내면에는 점형상의 상기 본체접합재가 격자배치로 설치되어, 오목형상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점형상의 본체접합재의 평면시면적은 바람직하게는 0.1~1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이다. 점형상의 플랍접합재(6)의 밀도(단위면적당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4~20개/㎠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15개/㎠이다. 점형상의 본체접합재의 평면시형상은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사각형이다.For exampl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상기 본체접합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5m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2mm이다.The thickness of the body bonding material is preferably 0.1 to 5 mm, more preferably 0.2 to 2 mm.
흡수성본체(2)의 본체이면시트(22)의 오목형상 구조 및 후방플랩(3)의 플랩이면시트(32)의 오목형상 구조는 같은 구조가 채용되어도 좋고, 다른 구조가 채용되어 있어도 좋다. 그러나, 플랩이면시트(32)의 오목형상 구조의 액체보유기능에 의한 액체의 확산억제 효과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고려하면, 이하의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랩이면시트(32)의 오목형상 구조가 부정형인 경우에는 정형의 구조체에 의한 가공에 의해서 정형의 오목형상 구조가 단독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태, 또는 부정형의 오목형상 구조와 정형의 오목형상 구조가 병용된 상태로 함으로써 플랩이면시트(32)의 오목형상 구조의 용적을 흡수성본체(2)의 본체이면시트(22)의 오목형상 구조의 용적보다도 10~30%정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랩이면시트(32)의 오목형상 구조가 정형인 경우에는 오목형성 구조의 면적·밀도·두께 등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플랩이면시트(32)의 오목형상 구조의 용적을, 흡수성본체(2)의 본체이면시트(22)의 오목형상 구조의 용적보다도 10~30%정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ame structure may be used for the concave structure of the
날개부(4)에 있어서도, 후방플랩(3)과 마찬가지로, 날개흡수체(43)와 날개이면시트(42)는 평면방향에 간헐적으로 배치한 날개접합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합되어, 오목형상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n the
전술의 후방플랩(3)에 있어서의 플랩접합재(6)에 관한 설명은 흡수성본체(2)에 있어서의 상기 본체접합재 및 날개부(4)에 있어서의 상기 날개접합재에 적절히 적용된다.The above description about the
흡수체본체(2), 후방플랩(3) 및 날개부(4)의 하면에는 즉 일체이면시트(12)의 하면의 소정 위치에는 어긋남고정재로서 각각 본체점착부, 플랩점착부 및 날개점착부(모두 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The main body adhesive part, the flap adhesive part, and the wing adhesive part (all of them) are shifting fixing materials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1)에 있어서는 흡수성본체(2)의 후방부(B)로부터 배어나온 액체가, 흡수되지 않고 흐르는 액체를, 후방플랩(3)에서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후방부(B)에서의 액체샘방지성에 뛰어나다.In the
만약 후방플랩(3)에 있어서, 플랩접합재(6)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고 하면, 플랩흡수체(33)와 플랩이면시트(32)와의 계면에는 극히 작은 공간밖에 형성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계면의 공간에 큰 모관력이 작용하고, 플랩흡수체(33)에 흡수된 체액은 과도하게 확산하고, 후방플랩(3)의 주연부로부터 새기 쉬워진다.If the
이것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후방플랩(3)에 있어서는 플래흡수체(33)와 플랩이면시트(32)는 평면방향에 간헐적으로 배치한 플랩접합재(6)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플랩흡수체(33)와 플랩이면시트(32)와의 계면은 플랩접합재(6)의 두깨만큼 이간하고, 상기 계면은 충분한 크기의 공간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플랩흡수체(33)에 흡수된 체액은 플랩흡수체(33)와 플랩이면시트(32)와의 계면으로 이동해도 충분한 크기의 공간의 존재에 의해, 모관력이 생기가 어려운 동시에, 오목형상 구조(플랩접합재(6))가 저항이 되어, 과도의 확산이 억제된다. 그 결과, 플랩흡수체(33)에 흡수된 체액은 후방플랩(3)의 주연부로부터 새기 어렵다.On the other hand, in the
마찬가지로, 흡수성본체(2)의 전방부(A)로부터 배어나온 액체나, 흡수되지 않고 흐르는 액체를, 날개부(4)에서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전방부(A)에서의 액체샘방지성에 뛰어나다.Similarly, since the liquid portion oozed from the front portion A of the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조의 띠형상의 플랩접합재(6)를 플랩이면시트(32)의 내면(32f)에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해 설치할 수 있다. 띠형상의 플랩접합재(6)는 생리용 냅킨(1)의 길이향방을 따라서 연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ourth embodime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a), a plurality of strip-shaped
또한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스파이럴형상의 플랩접합재(6)를 플랩이면시트(32)의 내면(33f)에 소정간격을 두고 평형하게 배열해 설치할 수 있다. 스파이럴형상의 플랩접합재(6)는 생리용 냅킨(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속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1 (b), the plurality of spiral
또한 본체흡수체(23)는 상층본체흡수체(23a)를 없애고, 하층본체흡수체(23b)만의 1층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이하,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 그 제5실시형태에 기초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referring drawings for based on the 5th Embodiment.
제5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은 생리용 냅킨(101)이며, 도 12~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흡수층(121,123) 및 본체샘방치층(122)을 구비한 실질적으로 세로길이의 흡수성분체(102)와, 흡수성본체(102)에 있어서의 적어도 후방부(B)의 양측부 각각에서부터 폭방향 외방으로 연출하는 한쌍의 후방플랩(103,103)과 흡수성본체(102)에 있어서의 전방부(A)의 양측부 각각에서부터 폭방향 외방으로 연출하는 한쌍의 날개부(104,104)를 가지고 있다.The absorbent article of the fifth embodiment is a
상기 후방플랩(103)은 플랩표면시트(131), 플랩이면시트(132) 및 이들의 사이에 개재하는 플랩흡수체(13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플랩이면시트(132)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플랩흡수체(133)를 향해서 돌출하는 다수의 융기부(132c)를 가지는 상층시트(132a)와, 통기성을 가지는 하층시트(132b)의 2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The
흡수성본체(102)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흡수층(121,123) 및 본체샘방치층(122)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흡수층(121,123)은 액체투과성의 본체표면시트(121) 및 액체보유성의 본체흡수체(123)로 이루어진다. 본체샘방지층(122)은 액체불투과성 또는 발수성의 본체이면시트로 이루어진다. 본체표면시트(121)는 본체흡수체(123)의 상면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 본체이면시트(122)는 본체흡수체(123)의 하면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이와 같이 흡수체 본체(102)는 본체표면시트(121), 본체흡수체(123) 및 본체 이면시트(122)의 순으로 적층한 적층체로 이루어진다.Thus, the absorber
본체흡수체(123)는 상층본체흡수체(123a)와 하층본체흡수체(123b)의 적층체로 이루어진다. 상층본체흡수체(123a)는 평면시로 하층본체흡수체(123b)보다도 길이 및 폭이 짧게 되어 있다. 또한 상층본체흡수체(123a)는 하층본체흡수체(123b)와 접합되어 있지 않다. 상층본체흡수체(123a)는 하층본체흡수체(123b)에 있어서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중앙근처에 위치하고 있고, 나아가서는 흡수체본체(102)에 있어서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중앙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즉 상측본체흡수체(123a)는 흡수체본체(102)에 있어서의 배설부와 당접하는 부위에 있어서, 하층본체흡수 체(123b)보다도 폭이 좁은 중고(中高)영역을 형성하고 있다.The
이와 같이, 배설부 근방에 있어서 중고영역이 형성되며, 그 주위에 홈이 형성되므로, 본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는 생리용 냅킨(101)의 장착시에 장착자의 가랑이 하부의 전후방향의 곡선형상으로 피트하기 쉬워지며, 후방플랩(103)에 의한 샘방지 효과가 향상한다.In this way, since the used area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excretory portion, and a groove is formed around the excretion portion, in the sanitary napki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ur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lower part of the crotch of the wearer when the
상층본체흡수체(123a)의 주위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표면시트(121)와 하층본체흡수체(123b)가 일체적으로 압밀화되어 형성된 중앙홈(D1)이 설치되어 있다. 중앙홈(D1)은 높은 압착에 의해서 깊게 패인 부분과, 낮은 압착에 의해서 얕게 패인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단(段) 구조를 가지고 있다. 중앙홈(D1)이 상층본체흡수체(123a)를 포위하게끔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상층본체흡수체(123a)의 형태붕괴방지, 비틀림방지 및 액체확산방지의 각 효과를 나타낸다.As shown in FIG. 12, a central groove D1 formed by integrally consolidating the main
또한 중앙홈(D1)은 상층본체흡수체(123a)의 전체 외주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음이 바람직하지만, 상층본체흡수체(123a)의 주위를 부분적으로 포위하게끔, 예를 들면 폭방향 양측부만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In addition, the center groove (D1) is preferably provided over the entir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body absorber (123a), but is installed so as to partially surround the upper body absorber (123a), for example, only in the width direction both sides You may be.
흡수성본체(102)의 전방부(A) 및 후방부(B)에 있어서는 본체표면시트(121)와 하층본체흡수체(123b)가 일체적으로 압밀화되어 형성된 전방홈(D2) 및 후방홈(D3)이 설치되어 있다. 전방홈(D2) 및 후방홈(D3)은 대략 반원호형상이며, 중앙홈(D1)의 전부 및 후부보다도 각각 전방측 및 후방측에, 중앙홈(D1)과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In the front portion (A) and the rear portion (B) of the absorbent body (102), the front surface (D2) and the rear groove (D3) formed by integrally consolidating the main body surface sheet (121) and the lower body absorber (123b). ) Is installed. The front grooves D2 and the rear grooves D3 have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arc shape, and are continuously provided with the central grooves D1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respectively, than the whole and the rear portions of the central grooves D1.
후방플랩(103)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랩흡수층(131,131) 및 플랩 샘방지층(132)을 구비하고 있다. 플랩흡수층(131,133)은 액체투과성의 플랩표면시트(131) 및 액체보유성의 플랩흡수체(133)로 이루어진다. 플랩흡수체(133)는 평면시에서 후방플랩(103)을 한층 작게 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플랩표면시트(131)는 플랩흡수체(133)의 상면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3, the
플랩샘방지층(132)은 플랩이면시트로 이루어진다. 플랩표면시트(132)는 플랩흡수체(133)의 하면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The flap
이와 같이, 후방플랩(103)은 플랩표면시트(131), 플랩흡수체(133) 및 플랩이면시트(132)의 순으로 적층한 적층체로 이루어진다.Thus, the
또한 하층본체흡수체(123b), 한쌍의 플랩흡수체(133,133) 및 한쌍의 날개흡수체(143,143)는 하나의 일체흡수체(113)로 형성되며, 일체화하고 있다(직접적인 일체화). 상층본체흡수체(123a)와 일체흡수체(113)는 별체로 되어 있다.Further, the
또한 일체흡수체(113)는 각각 별체의 하층본체흡수체(123b), 플랩흡수체(133) 및 날개흡수체(143)를 일부 접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간접적인 일체화).In addition, the
일체표면시트(111)는 본체흡수체(123) 및 일체흡수체(113)의 집합체(123,113)의 상면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 일체표면시트(111)의 주연부는 집합체(123,113)의 주연부로부터 연출하고 있다.The
또한 일체이면시트(112)는 일체흡수체(113)의 하면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 일체이면시트(112)의 주연부는 일체흡수체(113)의 주연부로부터 연출하고 있다. 그리고 집합체(123,113)의 주연부로부터 연출하고 있다. 일체표면시트(111)의 주연부 와 일체이면시트(112)의 주연부는 히트실, 핫멜트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다른 시각으로 보면, 플랩표면시트(131)와 플랩이면시트(132)는 플랩흡수체(133)의 주연부의 외방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날개표면시트(141)와 날개이면시트(142)는 날개흡수체(143)의 주연부의 외방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흡수성본체(102)와 후방플랩(103)과의 경계에 있어서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체표면시트(111)와 일체흡수체(113)를 압축 접합하는 한쌍의 압축시트선(105,105)이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압축실선(105)을 설치함으로써 압축실선(105)은 그 폭방향 내방에 있어서, 일체흡수체(113)의 일부(하층본체흡수체(123b)로 액체를 유도하는 액체유도 효과를 가진다. 그 때문에 압축실선(105)의 폭방향 외방, 즉 후방플랩(103)에 있어서, 액체확산방지 효과를 가진다. 또한 압축실선(105)이 설치되어 있는 후방부(B)에 있어서 가소성을 향상하고, 후방부(B)에 있어서는 액체샘방지 효과가 얻어진다.In the boundary between the
또한 압축실선(105)의 폭방향 외방에 있어서, 일체표면시트(111)의 일부(플랩표면시트(131))와 일체흡수체(113)의 일부(플랩흡수체(133))가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후방플랩(103)의 피트성이 증가함과 동시에 액체확산방지 효과가 향상한다.Further, in the width direction outward of the compressed
후방플랩(103)에 있어서 플랩샘방지층(132)은 플랩흡수체(133)에 접합되어 있다. 이 접합에는 예를 들면 핫멜트접착제가 이용된다. 접착제의 도공형상은 특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면상(이른바 온통바름), 스파이럴형상,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파이럴형상, Ω형상, 점형상이다.In the
흡수성본체(102)에 있어서 본체이면시트(122)는 본체흡수체(123)에 접합되어 있다. 이 접합에는 예를 들면 핫멜트접착제가 이용된다. 접착제의 도공형상은 특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면상(이른바 온통바름), 스파이럴형상,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파이럴형상, Ω형상, 점형상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체이면시트(122)와 본체흡수체(123)는 본체이면시트(122)에 도공된 접착제에 의해 비연속적으로 접합되어 있다.In the
흡수성본체(102), 후방플랩(103) 및 날개부(104)의 하면에는 즉 일체이면시트(112)의 하면의 소정 위치에는 어긋남고정재로서 각각 본체점착부, 플랩점착부 및 날개점착부(모두 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On the lower surface of the
본 실시형태의 후방플랩(103)에 대해서 더욱 상술하면, 플랩이면시트(플랩샘방지층)(132)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층시트(132a) 및 하층시트(132b)의 2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The
상층시트(132a)는 플랩흡수체(133)를 향해서 돌출하는 융기부(132c)를 다수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상층시트(132a)에 의하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융기부(132c)에 의해서 상층시트(132a)에 있어서의 융기부(132c)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132d)과, 플랩흡수체(133)가 이간한다. 그리고 상층시트(132a)의 하면(피부비당접면)은 하층시트(132b)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다. 그 결과, 플랩흡수체(133)와 하층시트(132b)와의 사이에 적당한 공간이 형성된다.Th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융기부(132c)는 그 상단에 개공부(132e)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층시트(132a)에 있어서 플랩흡수체(133)를 향해서 돌출하는 융기 부(132c)는 돌출개공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개공부(132e)에 있어서, 상층시트(132a)와 플랩흡수체(133)는 접하고 있다. 돌출개공은 그 상단부 전체가 플랩흡수체(133)에 당접할 수 있는 형상(높이가 일정한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성을 가짐으로써 플랩흡수체(133)와 하층시트(132b)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안정적으로 보유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iercing
융기부(132c)를 가지는 상층시트(132a) 전체의 두께는 0.5gf/㎠가중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0.1~1.0m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0.7mm이다. 이 두께의 측정은 KES-G5(Kato Tech(주) 제품)에 의해 행해진다.The thickness of the entire
인접하는 융기부(132c)의 사이의 평면방향거리는 바람직하게는 0.2~2m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5mm이다.The plane direction distance between the
개공부(132e)의 개공형상에 특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등을 들 수 있다. 개공부(132e)의 개공면적은 플랩흡수체(133)와 하층시트(132b)와의 사이의 공간을 안정적으로 형성하고, 플랩흡수체(133)로부터 상층시트(132a)와 하층시트(132b)와의 사이에 다량의 액체가 스며나오지 않도록 하는 관점에서 0.01~0.5㎟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0.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re is no restriction | limiting in particular in the opening shape of the
상층시트(132a)로서는 부직포나 필름재료와 같은 종래로부터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지만, 융기부(132c)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점에서 필름재료로부터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conventionally well-known material, such as a nonwoven fabric and a film material, can be used as the
하층시트(132b)로서는 통기성을 가지는 시트가 이용된다. 이와 같은 시트로서는 통기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의 필름, SMS(스펀본드-멜트브로운-스펀본드)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As the
융기부(132c)의 상단에 개공부(132e)를 가지는 상층시트(132a)는 예를 들면 개공부(132e)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가지는 돌기가 소정의 배치패턴으로 형성된 숫틀, 탄성 백업플레이트와의 사이에서 평탄한 필름을 가열하에 압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The
또한 해당 상층시트(132a)는 개공부(132e)의 형상에 대응한 배치패턴의 구멍형상을 가지는 흡인네트를 구비한 롤 또는 컨베이어상에 있어서 열가소성 필름을 가열하에 흡인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전술의 플랩이면시트(132)의 각종 물성에 관한 설명은 날개이면시트(142)의 각종 물성에도 적절하게 적용된다.The above description regarding the various physical properties of the flap back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랩표면시트(131)에 대해서 설명한다. 플랩표면시트(131)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랩흡수체(133)를 향해서 돌출하는 다수의 돌출개공(131a)을 가지고 있다. 인접하는 돌출개공(131a)의 사이는 정상부(top portion: 131b)를 가지게끔 상면측을 향해서 볼록형상으로 만곡하고, 플랩볼록부(106)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플랩볼록부(106)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개공(131a)보다도 개공면적이 작은 미소개공(131g)이 다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7에 있어서는 미소개공(131g)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Next, the
그리고 복수의 정상부(131b)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선적으로 나란하게 골부(131e)와 골사이부(131f)는 평면부를 가지지 않게끔 교대로 배열 되어 있다. 즉 골부(131e)에는 다수의 미소개공(131g)이 형성되어 있고, 골사이부(131f)에는 다수의 돌출개공(131a)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7, the plurality of
골부(131e) 및 골사이부(131f)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파상(波狀) 구조는 흡수성본체(102)의 길이방향을 향해서 0~30°경사해 연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플랩표면시트(131)에 의하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개공(131a)에 의해서 플랩표면시트(131)에 있어서의 플랩볼록부(106)와, 플랩흡수체(133)가 이간하고, 플랩표면시트(131)의 하면(피부비당접면)에 있어서, 인접하는 돌출개공(131a)의 사이에, 액체를 일시적으로 보유하는 것이 가능한 공간(이하, "스톡(stock)공간"이라 함)(134)이 형성된다.The wavy structure formed by the
돌출공간(131a)은 그 하단부 전체가 플랩흡수체(133)에 당접할 수 있는 형상(높이가 일정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그리고 액체를 스톡공간(134)으로 쉽게 유도하기 위해서 돌출개공(131a)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렙흡수체(133)에 당접하는 부위(131c)와, 스톡공간(134)을 향해서 열린 부위(131d)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개공(131a)이 플랩흡수체(133)에 접하는 부위(131c)를 가짐으로써 액체가 스톡공간(134)에 쉽게 들어가는 동시에, 스톡공간(134)을 향해서 열린 부위(131d)를 가짐으로써 액체의 이동량을 많게 할 수 있고, 드라이한 느낌을 높일 수 있다.The protruding
돌출개공(131a)의 전체 수 중, 플랩흡수체(133)에 전혀 당접하지 않는 돌출개공(131a)이, 바람직하게는 50%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이상 존재하고 있으면 상기 열린 부위(131d)의 유무에 상관없이 동일한 효 과를 가진다. 또한 이 형태에 있어서, 상기 열린 부위(131d)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Of the total number of the protruding
돌출개공(131a)을 가지는 플랩표면시트(131) 전체의 두께는 0.5gf/㎠ 가중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0.2~1.0m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0.7mm이다.The thickness of the entire
인접하는 돌출개공(131a)의 사이의 평면방향거리는 바람직하게는 0.5~5mm이다. 인접하는 3개의 돌출개공(131a)에 의해서 감싸진 영역의 면적은 스톡공간(134)에 액체를 보유하기 쉬운 점에서 0.1~10㎟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lan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protruding
돌출개공(131a)의 개공형성에 특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의 개공을 들 수 있지만, 플랩표면시트(131)의 소프트한 느낌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원형 또는 타원형이 바람직하다.There is no restriction | limiting in particular in the opening formation of the
돌출개공(131a)의 개공면적은 돌출개공(131a)의 안정유지성 및 액체의 투과성의 향상의 점에서, 0.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0.2~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액체의 투과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플랩표면시트(131)의 개공율은 3~30%인 것이 바람직하고, 5~1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개공율은 플랩표면시트(131)를 그 상면(외면)측에서 하면(내면)측으로 투영한 경우에 있어서의 돌출개공(131a)의 개공면적을 플랩표면시트(131)의 면적으로 제함으로써 구해진다.It is preferable that it is 0.1-10 mm <2>, and, as for the opening area of the
미소개공(131g)의 개공면적은 플랩표면시트(131)의 소프트한 느낌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0.01~0.1㎟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0.07㎟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미소개공(131g)의 밀도(단위면적당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20~200개/㎠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00개/㎠이다.The opening area of the
인접하는 골부(131e) 사이의 거리(즉 정상부(131b)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0.2~5m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3mm이다. 인접하는 골사이부(131f) 사이의 거리도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0.2~5m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3mm이다.The distance between
플랩표면시트(131)로서는 부직포나 필름재료와 같은 종래부터 공지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는데, 스톡공간(134)이 안정하게 존재하기 쉬운 점에서 필림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돌출개공(131a) 및 미소개공(131g)을 가지는 플랩표면시트(131)는 예를 들면 특허공개 소62-57975호 공보에 기재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The
다음으로 플랩흡수체(133)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랩흡수체(133)는 착용자의 신체의 만곡형상에 대한 적합성, 착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 등을 고려하면, 비교적 얇은 시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착용자의 피부에의 자극성을 낮게 하기 위해(드라이한 느낌을 높이기 위해), 액체보유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플랩흡수체(133)의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펄프를 적섬해, 바인더로 고정한 건식 펄프시트[상품명 "JS-50HB" Havix(주) 제품 등]나, 습식흡수지에 엠보스 가공한 엠보스 흡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랩흡수체(133)는 건식 펄프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Next, the
본체표면시트(121), 날개표면시트(141) 및 본체이면시트(122)로서는 각각 이 종의 흡수성 물품에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각종 재료를 특히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시트로서는 각종 제법에 의한 부직포, 수지필름에 개공을 형 성한 것, 이들의 적층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면시트로서는 투습성을 가지거나 또는 가지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의 필름, 발수성의 부직포, 이들의 적층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As the main
상층본체흡수체(123a)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흡수체로서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것을 특히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상층본체흡수체(123a)는 부피가 크고, 액체보유능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101)에 있어서는 흡수성본체(102)의 후방부(B)로부터 스며나오는 액체나, 흡수되지 않고 흐르는 액체를 후방플랩(103)에서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후방부(B)에서의 액체샘방지성에 뛰어나다.In the
마찬가지로 흡수성본체(102)의 전방부(A)로부터 배어나온 액체나, 흡수되지 않고 흐르는 액체를, 날개부(104)에서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전방부(A)에서의 액체샘방지성에 뛰어나다.Similarly, since the liquid from the front portion A of the
본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101)에 있어서의 후방플랩(103)에 있어서는 플랩흡수체(133)와 하층시트(132b)와의 사이에, 다수의 융기부(132c)를 가지는 상층시트(132a)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플랩흡수체(133)와 하층시트(132b)와의 계면에는 충분한 크기의 공간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플랩흡수체(133)에 흡수된 체액은 플랩흡수체(133)와 하층시트(132b)의 계면으로 이동해도 충분한 공간의 존재에 의해 모관력이 생기기 어려운 동시에, 다수의 융기부(132c)가 저항하게 되어, 과도한 확산이 억제된다. 그 결과, 플랩흡수체(133)에 흡수된 체액은 후방플랩(103)의 주연부로부터 새기 어렵다.In the
또한 상층시트(132a)가 다수의 개공부(132e)를 가지고, 개공부(132e)에 있어서 플랩흡수체(133)와 접하고 있는 것, 및 하층시트(132b)가 통기성을 가지는 시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플랩샘방지층(132)에 있어서의 통기성에 뛰어나다.Moreover, the
나아가 플랩표면시트(131)는 플랩흡수체(133)를 향해서 돌출하는 다수의 돌출개공(131a)을 가지고 있고, 돌출개공(131a)에 의해서 플랩표면시트(131)에 있어서의 돌출개공(131a)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131b)과, 플랩흡수체(133)가 이간하고 있다. 그 때문에 플랩표면시트(131)에도 액체의 일시보유공간이 되는 스톡공간(134)이 형성되며, 플랩흡수층(131,133)의 액체보유성이 향상한다.Furthermore, the
또한 플랩표면시트(131)는 돌출개공(131a) 외에, 돌출개공(131a)보다도 개공면적이 작은 미소개공(131g)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플랩표면시트(131)의 소프트한 느낌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as long as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eviated.
예를 들면 본체흡수층은 본체표면시트와 본체흡수체와의 적층체에 제한되지 않고, 양자의 기능을 함께 가지는 일체적인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플랩흡수층은 플랩표면시트와 플랩흡수체와의 적층체에 제한되지 않고, 양자의 가능을 함께 가지는 일체적인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in body absorbing layer is not limited to the laminated body of the main body surface sheet and the main body absorbing body, and can be composed of an integral member having both functions. Similarly, the flap absorbing layer is not limited to the laminate of the flap surface sheet and the flap absorber, and can be composed of an integral member having both possibilities.
날개부에는 날개흡수체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날개부 자체가 없어도 좋다.The wing portion may not be provided with a wing absorber. In addition, the wing itself may not be provided.
플랩표면시트 및 날개표면시트는 액체불투과성 또는 발수성의 시트로 구성할 수 있다.The flap surface sheet and the wing surface sheet can be composed of a liquid impermeable or water repellent sheet.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생리용 냅킨에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팬티라이너(점액시트), 실금패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이 장착되는 속옷은 팬티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anitary napkin, and can be applied to, for example, a pantiliner (mucus sheet) and an incontinence pad. The underwear in which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s not limited to the panties.
상층시트(132a)에 설치된 융기부(132c)는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개공부(132e)를 가지고 있었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고, 개공부(132e)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좋다.The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랩표면시트(131)에는 돌출개공(131a) 및 미소개공(131g)이 다수 설치되어 있었지만, 이들은 모두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In the fifth embodiment, the
상층본체흡수체(123a)는 제5실시형태에 있어는 흡수성본체(102)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중앙근처에 설치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흡수성본체(102)의 길이방향의 후방까지 연장해 있어도 좋다. 나아가 플랩흡수체(133)와 하층본체흡수체(123b)를 별체로 형성하고, 플랩흡수체(133)의 폭방향 내방부를, 흡수성본체(102)의 길이방향의 후방까지 연장한 상층본체흡수체(123a)와 하층본체흡수체(123b)와의 사이에 개재 배치할 수 있다. 플랩흡수체(133)가 이와 같이 배치된 경우에는 상층본체흡수체(123a)에 의해 형성된 중고영역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착용자의 가랑이 하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히프부의 틈새에 피트하기 쉬워진다.Although the upper body
본체흡수체(123)는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층본체흡수체(123a)와 하층본체흡수체(123b)와의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단층 구조라도 좋다.In the fifth embodiment, the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Each structure in each embodiment mentioned above can be combined suitably.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1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nitary napkin as a first embodiment of an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Ⅱ-Ⅱ 단면도이다.FIG. 2 is a II-II cross-sectional view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Ⅲ-Ⅲ 단면도이다.3 is a III-III cross-sectional view shown in FIG. 1.
도 4는 도 2의 모식적 부분확대도이다.4 is a schematic partial enlarged view of FIG. 2.
도 5는 플랩샘방지층(플랩이면시트)의 내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lap leakage preventing layer (flap back sheet).
도 6은 플랩샘방지층의 오목형상 구조별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도 5 대응도)이다.It is a top view (FIG. 5 correspondence drawing) which shows the form for each recessed structure of a flap leak prevention layer.
도 7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2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을 나타내는 단면도(도 2 대응도)이다.It is sectional drawing (FIG. 2 correspondence drawing) showing the sanitary napkin as 2nd Embodiment of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3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을 나타내는 단면도(도 2 대응도)이다.It is sectional drawing (FIG. 2 correspondence drawing) showing the sanitary napkin as 3rd Embodiment of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4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후방플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rear flap in the sanitary napkin as 4th Embodiment of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invention.
도 10은 플랩접합재의 배치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arrangement form of a flap bonding material.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플랩접합재별 배치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도 10 대응도)이다.11A and 11B are plan views (FIG. 10 correspondence diagrams) showing an arrangement form for each flap bonding material, respectively.
도 12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5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anitary napkin as 5th Embodiment of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invention.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Ⅱ-Ⅱ 단면도이다.FIG. 13 is a II-II cross-sectional view shown in FIG. 12. FIG.
도 14는 도 12에 나타내는 Ⅲ-Ⅲ 단면도이다.FIG. 14 is a III-III cross-sectional view shown in FIG. 12. FIG.
도 15는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후방플랩의 단면도이다.Fig. 15 is a sectional view of the rear flap of the fifth embodiment.
도 16은 도 15의 부분확대도이다.FIG. 1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5.
도 17은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랩표면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flap surface sheet in 5th Embodiment.
Claims (1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6229920A JP4919734B2 (en) | 2006-08-25 | 2006-08-25 | Absorbent articles |
JPJP-P-2006-00229921 | 2006-08-25 | ||
JP2006229921A JP4919735B2 (en) | 2006-08-25 | 2006-08-25 | Absorbent articles |
JPJP-P-2006-00229920 | 2006-08-25 | ||
JPJP-P-2006-00303187 | 2006-11-08 | ||
JP2006303187A JP4884172B2 (en) | 2006-11-08 | 2006-11-08 | Sanitary napki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18797A true KR20080018797A (en) | 2008-02-28 |
KR101372994B1 KR101372994B1 (en) | 2014-03-11 |
Family
ID=39385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77117A KR101372994B1 (en) | 2006-08-25 | 2007-07-31 | Absorbent artic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2994B1 (e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971162B2 (en) | 2000-11-21 | 2007-09-05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Sanitary napkin |
JP3971136B2 (en) | 2001-07-12 | 2007-09-05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JP4278962B2 (en) | 2002-01-23 | 2009-06-17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r and absorbent article using said absorber |
JP4008868B2 (en) | 2003-08-29 | 2007-11-14 | 大王製紙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
2007
- 2007-07-31 KR KR1020070077117A patent/KR101372994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72994B1 (en) | 2014-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84442B2 (en) | Sanitary napkin | |
US7056311B2 (en) | Sanitary napkin | |
JP6080262B2 (en) | Absorbent articles | |
EP1362568A2 (en) | Absorbent article | |
KR20080042702A (en) | Absorbent article | |
JP2004350908A (en) | Sanitary napkin | |
KR19990083328A (en) | Absorbable article | |
AU2013260797A1 (en) | Absorptive article | |
CA2347468C (en) | Absorbent article having an improved cover layer | |
CN110913817B (en) | Absorbent article | |
KR101148443B1 (en) | Absorbent article | |
JP6275364B1 (en) | Absorbent articles | |
CN114040738A (en) | Absorbent article | |
EP2611402B1 (en) | Incontinence liner | |
CN108697564B (en) | Absorbent article | |
JP4919734B2 (en) | Absorbent articles | |
JP5132798B2 (en) | Absorbent articles | |
TWI644659B (en) | Individual packaging of absorbent articles | |
JP2017153768A5 (en) | ||
JP5053806B2 (en) | Sanitary napkin | |
JP4919779B2 (en) | Sanitary napkin | |
JP2013255552A (en) | Absorbent article | |
KR101372994B1 (en) | Absorbent articles | |
JP2009056230A (en) | Absorbent article | |
JP4919735B2 (en) | Absorbent art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