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80013722A - 회전 가능한 표시 장치 및 쿼티 키패드를 구비하는이동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가능한 표시 장치 및 쿼티 키패드를 구비하는이동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3722A
KR20080013722A KR1020070073343A KR20070073343A KR20080013722A KR 20080013722 A KR20080013722 A KR 20080013722A KR 1020070073343 A KR1020070073343 A KR 1020070073343A KR 20070073343 A KR20070073343 A KR 20070073343A KR 20080013722 A KR20080013722 A KR 20080013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keypad
poin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1248B1 (ko
Inventor
김영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07113943A priority Critical patent/EP1887761A3/en
Priority to CN2007101676399A priority patent/CN101141504B/zh
Priority to US11/835,917 priority patent/US7877119B2/en
Publication of KR20080013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동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키패드가 설치된 제1 몸체부; 및 상면에 표시 장치(screen)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몸체부에 결합되는 제2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에 중첩된 제1 지점으로부터 직선 운동하여 상기 키패드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제2 지점까지 슬라이딩 이동하거나,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몸체부에 대면한 상태로 회전 운동하여 상기 키패드 전체를 노출시키는 제3 지점까지 이동하고, 상기 제2 몸체부가 상기 제2 지점에 위치된 때 노출되는 상기 키패드의 일부분은 숫자 및 메시지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장치는 쿼티 자판 배열의 키패드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점차 집적화되는 회로 장치의 성능과 복합적인 기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이동 전화기와 아울러 장문의 메일 등을 작성하기 용이하게 한다.
이동통신 장치, 슬라이딩, 회전, 쿼티 키패드(QWERTY keypad)

Description

회전 가능한 표시 장치 및 쿼티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장치{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ROTATABLE SCREEN AND QWERTY KEYPAD}
본 발명은 이동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쿼티 키패드(QWERTY keypad)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text messaging) 작성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셀룰러 폰(cellular phone)과 같은 이동통신 장치를 휴대하는 사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동통신 장치는 음성 통신뿐만 아니라 이메일(e-mail), 인터넷 접속, 사진 촬영, 게임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모토롤라(Motorola)사의 RAZR 폰은 디지털 비디오 재생, 무선 인터넷 접속의 기능을 제공하고,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고, 노키아(Nokia)사의 N91 폰은 이동성 인터넷(mobile internet), 스마트 폰의 기능과 함께 디지털 음악 재생기(digital music player)의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이러한 대부분의 이동통신 장치에서, 키패드(telephone keypad)는 다이얼 기능과 문자 정보나 단말기 자체에 내장된 메뉴의 실행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이동 전화기나 셀룰러 폰 내의 회로 장치들의 성능이 향상되고, 이러한 이동 전 화기, 셀룰러 폰을 통해 더욱 복합적인 기능이 제공되고 있는 반면에, 키패드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회로 장치들의 향상된 성능이나 복합적인 기능을 충분히 수용하거나 지원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동 전화기, 셀룰러 폰의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문자 메시지(text messaging) 작성 기기와 같이 통신 기능 이외에도 이동통신 장치에 부가된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향상된 회로 장치들의 성능과 복합적인 기능을 수용, 지원할 수 있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전화기나 셀룰러 폰과 같이 이동통신 기능을 제공함과 아울러 문자 메시지 작성 등 통신 기능 외에 부가된 기능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이동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키패드가 설치된 제1 몸체부; 및
상면에 표시 장치(screen)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몸체부에 결합되는 제2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에 중첩된 제1 지점으로부터 직선 운동하여 상기 키패드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제2 지점까지 슬라이딩 이동하거나,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몸체부에 대면한 상태로 회전 운동하여 상기 키패드 전체를 노출시키는 제3 지점까지 이동하고,
상기 제2 몸체부가 상기 제2 지점에 위치된 때 노출되는 상기 키패드의 일부분은 숫자 및 메시지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키패드가 설치되고,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제공하는 제1 몸체부; 및
상면에 표시 장치(screen)와 상기 표시 장치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스피커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몸체부에 결합되는 제2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에 중첩된 제1 지점으로부터 직선 운동하여 상기 키패드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제2 지점까지 슬라이딩 이동하거나,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키패드 전체를 노출시키는 제3 지점까지 이동하는 이동통신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장치는 제2 몸체부의 이동 방향에 따라 쿼티 자판 배열의 키패드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점차 집적화되는 회로 장치의 성능과 복합적인 기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제2 몸체부가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한 상태에서는 이동 전화기로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제2 몸체부가 회전하여 제1 몸체부에 나란하게 위치된 상태에서는 장문의 문자 메시지, 즉 메일 등을 작성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장치는 상면에 숫자 키패드부(alphanumeric keypad portion)와 쿼티 키패드(QWERTY keypad)가 제공된 제1 몸체부와, 상면에 표시 장치(screen)가 제공된 제2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제1 지점(home position)에서 상기 제1 몸체부에 중첩(overlying)된다.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에 중첩된 제1 지점에서 상기 숫자 키패드부를 노출시키는 제2 지점까지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이로써 상기 이동통신 장치를 이동 전화기(phone)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에 중첩된 제1 지점에서 상기 쿼티 키패드를 노출시키는 제2 지점까지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하여 회전가능(rotatable)하고, 이로써, 상기 이동통신 장치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작성 등의 이동 전화기 기능에 부가된 다른 기능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장치(100)는 제1 몸체부(101)와 제2 몸체부(102)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몸체부(102)가 상기 제1 몸체부(101)에 중첩된 제1 지점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하여 상기 제1 몸체부(101) 상면의 일부분을 개방시키는 제2 지점에 위치되거나,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회전하여 상기 제1 몸체부(101)의 일측에 나란하게 위 치되는 제3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제1 몸체부(101)는 그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A; 도 5에 도시됨)을 제공하며, 상기 회전축(A)은 상기 제1 몸체부(101) 일측의 중앙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몸체부(102)는 상기 회전축(A)을 중심으로 180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제3 지점에 위치되며, 상기 제1 몸체부(101)와 나란하게 위치된다.
상기 제1 몸체부(101)는 그의 상면에 설치된 일반적인 개인용 컴퓨터의 키보드와 같이 쿼티(QWERTY) 자판 배열의 키패드(111, 113a)를 구비한다. 상기 제2 몸체부(102)가 상기 제1 지점에 위치된 때 상기 키패드(111, 113a)는 상기 제2 몸체부(102)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며, 상기 제2 몸체부(102)가 상기 제2 지점에 위치된 때 상기 키패드(111, 113a)의 일부분이 노출되고, 상기 제2 몸체부(102)가 상기 제3 지점에 위치된 때 상기 키패드(111, 113a)의 전체가 노출된다. 아울러, 상기 제1 몸체부(101)의 상면에는 상기 키패드(111, 113a)에 인접하게 스페이스 키(space key)(113b)가 설치된다. 상기 스페이스 키(113b)는 상기 제2 몸체부(102)가 상기 제3 지점에 위치된 때만 개방된다. 상기 제2 몸체부(102)가 상기 제2 지점에 위치된 때 노출된 상기 키패드(111, 113a)의 일부분은 숫자 키패드로 이용된다. 아울러, 상기 제2 몸체부(102)가 상기 제3 지점에 위치되면 상기 키패드(111, 113a)의 전체가 노출되어 쿼티 자판 배열의 키패드가 구현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 부호 '111'을 숫자 키패드라 칭하고, '113a'를 쿼티 키패드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숫자 키패드(111)은 상기 제2 몸체부(102)가 상기 제2 지점에 위치된 때 노출되는 부분에 구성된 키패드이고, 상기 쿼티 키패드(113a)는 상 기 제2 몸체부(102)가 상기 제3 지점에 위치된 때에만 노출되는 키패드이다. 다만, 완전한 쿼티 자판 배열의 키패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숫자 키패드(111)와 쿼티 키패드(113a)가 합쳐져야 함에 유의한다. 아울러, 상기 스페이스 키(113b)는 상기 쿼티 키패드(113a)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스 키(113b) 또한 상기 제2 몸체부(102)가 상기 제3 지점에 위치된 때 개방되는 것이다.
상기 제2 몸체부(102)가 상기 제2 지점에 위치된 때, 상기 숫자 키패드(111)가 개방되며, 사용자는 일반적인 이동 전화기와 동일하게 상기 이동통신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부(102)가 상기 제3 지점에 위치된 때, 상기 숫자 키패드(111)와 쿼티 키패드(113a)가 모두 개방되어 완전한 쿼티 자판 배열이 완성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제2 몸체부(102)를 상기 제3 지점에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통신 장치(100)를 가로방향으로 위치시켜 양손으로 쿼티 자판 배열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단문, 장문의 메시지 등을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101)의 후면에는 카메라 렌즈(141)와 배터리 팩(10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팩(103)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몸체부(101)의 후면에는 상기 배터리 팩(103)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한 버튼(13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팩(103)의 장착 구조나 잠금 및 잠금 해제 구조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카메라 렌즈(141)의 일측에는 플래시(flash) 장치(14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시 장치(143)는 피사체를 비추는 조명을 제공함으로써 어두운 곳에서도 양호한 화질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 몸체부(101)의 측면에는 셔터 버튼(115), 음량 조절 키(117), 잭 커버(jack cover)(119)를 구비한다. 상기 셔터 버튼(115), 음량 조절 키(117), 잭 커버(119)는 상기 제1 몸체부(101)의 한쪽 측면에 모두 배치될 수 있으며, 제품에 따라 양 측면에 나누어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셔터 버튼(115)이 상기 제1 몸체부(101)의 일측면에, 상기 음량 조절 키(117)와 잭 커버(119)가 타측면에 각각 배치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인 카메라 장치에 사용되는 셔터 버튼과 마찬가지로 상기 셔터 버튼(115)은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스위치로 이용되며, 상기 음량 조절 키(117)는 2-방향 키(2-way key)를 이용한 구성으로서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제1 몸체부(101)에는 이어폰 잭, 인터페이스 커넥터 잭 등 다른 전자 장치들과 연결시키기 위한 잭 커넥터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잭 커넥터들이 사용되지 않는 동안에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 장치가 요구된다. 상기 잭 커버(119)는 상기 이동통신 장치(100)에 제공된 잭 커넥터들이 사용되지 않는 동안, 이를 폐쇄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잭 커버는 상기 제1 몸체부(10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있으나, 본 실시 예의 잭 커버(119)는 상기 제1 몸체부(101)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잭 커넥터들을 개폐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제2 몸체부(102)는 그 상면에 표시 장치(screen)(121)가 설치되며, 음성 통화를 위한 송화부(124)가 수화부(123)가 상기 표시 장치(12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송화부(124)와 수화부(123)는 음성 통화를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음성은 상기 송화부(124)를 통해 전기 신호를 변환되며,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음성은 상기 수화부(123)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한편, 상기 송화부(124)는 상기 제1 몸체부(101)의 하단에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표시 장치(121)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스피커 장치(12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장치(125)들은 음악파일을 재생하거나 동영상 감상, 방송 시청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게임을 하는 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표시 장치(12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스테레오 음향, 3차원 입체 음향 등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몸체부(102)가 상기 제3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는 상기 이동통신 장치(100)를 가로방향으로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 장치(121)는 가로방향으로 긴 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장치(100)를 가로방향으로 위치시켜 사용하는 동안, 상기 스피커 장치(125)들은 상기 표시 장치(121)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스테레오 음향, 3차원 입체 음향 효과는 더 향상된다.
상기 제2 몸체부(102)의 하측에는 기능성 키패드(12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능성 키패드(127)는 상기 이동통신 장치(100)에 내장된 기능, 예를 들면 스케줄 관리, 전화번호부, 메시지 작성, 알람 설정, 벨/진동 모드 설정 등의 메뉴를 호출, 선택, 실행하기 위해 조작된다. 도시된 상기 기능성 키패드(127)의 구성을 살펴보면, 중앙부에 4-방향 네비게이션 키(4-way navigation key)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양측에 각각 다수의 키들이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4-방향 네비게이 션 키의 중심에는 확인/선택 키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4-방향 네비게이션 키의 주변에 설치된 키들은 통화 시작/종료 키, 취소 키(cancel key), 메뉴 호출 키, 카메라 모드 실행 키, 메시지 모드 실행 키 등 자주 사용하게 되는 기능을 각각의 키에 할당하게 된다. 이로써, 일일이 메뉴를 호출, 검색, 실행 동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자주 사용하게 되는 기능은 하나의 키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장치(100)의 이용 예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몸체부(102)가 상기 제1 몸체부(101)에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숫자 키패드(111) 및 쿼티 키패드(113a)는 모두 폐쇄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장치(100)를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거나 문자 메시지, 메일 등을 작성하는 것은 다소 부적합하다. 반면,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온 때에는 상기 기능성 키패드(127)의 키들 중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장치(100)는 상대방의 이동통신 장치와 연결되어, 걸려온 전화를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몸체부(102)가 상기 제1 지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기능성 키패드(127)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기능을 실행시키거나, 피사체를 촬영하는데에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기능성 키패드(127)의 키들 중 하나에 음악/동영상 재생 모드, 방송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면, 상기 제1 지점에서도 사용자는 상기 이동통신 장치(100)를 멀티미디어 기기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키패드(127)의 키들 중 하나에 사진 촬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이 부여되어 있다면, 상기 제1 지점에서 사진 촬영 모드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는 상기 표시 장치(121)를 통해 피사체가 촬영되는 이미지를 보면서 편리하게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키패드(127)의 키들 중 하나에 음악/동영상 재생 모드, 방송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 또는 사진 촬영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이 부여되어 있지 않더라도, 메뉴 호출 키, 4-방향 네비게이션 키 등을 이용하여 해당 모드로 전환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제1 몸체부(101)의 일측면에는 셔터 버튼(115)이 설치되어 있음을 앞서 언급한 바 있다. 상기 기능성 키패드(127)에 사진 촬영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키를 배치하지 않더라도, 상기 셔터 버튼(115)이 최초 조작되면 상기 이동통신 장치(100)를 사진 촬영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전환시키는 제어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몸체부(102)가 상기 제2 지점에 위치되면, 상기 숫자 키패드(111)가 개방된다. 상기 숫자 키패드(111)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장치(100)는 이동 전화기로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몸체부(102)가 상기 제2 지점에 위치된 때, 사용자는 상기 숫자 키패드(111)를 이용하여 상대방 전화번호를 입력, 호출하거나, 단문 메시지를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지점에서 모드 전환을 한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지점에서도 상기 이동통신 장치(100)를 멀티미디어 모드로 전환하거나 사진 촬영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몸체부(102)가 상기 회전축(A)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하여 상기 제3 지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몸체부(102)는 상기 제1 몸체부(101)의 일측에 나란하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쿼티 키패드(113a)도 완전히 노출되어 상기 숫자 키패드(111)와 함께 완전한 쿼티 자판 배열의 키패드를 구현하고, 상기 스페이스 키(113b) 또한 노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몸체부(102)가 상기 제3 지점에 위치되어 쿼티 자판 배열의 키패드가 구현되면, 사용자는 상기 이동통신 장치(100)를 가로 방향으로 위치시켜 양손으로 상기 쿼티 자판 배열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숫자, 단문/장문의 메시지를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숫자 키패드(111) 및 쿼티 키패드(113a)를 구성하는 키들 중 일부에 방향 키, 발사 키(shooting key)의 기능을 할당하여 다양한 형태의 게임을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중에도 상기 이동통신 장치(100)를 멀티미디어 모드로 설정하여 동영상 등을 감상하거나, 쿼티 자판 배열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정보의 검색 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제2 몸체부(101, 102)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통신 장치(100)는 지지체(201)와 가이드 레일(202)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체(201)는 상기 제1 몸체부(101)에 장착되어, 상기 제2 몸체부(102)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제2 몸체부(102)의 회전 운동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체(201)는 상기 제1 몸체부(101)에 고정되는 고정판(211)과, 상기 고정판(211)의 일면에 형성된 제1 슬라이더(215)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211)은 그 외주면의 일부가 평면형상(213)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부(101)의 일측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판(211)의 형상에 상응하는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고정판(211)은 회전하지 않게 구속된 상태로 상기 제1 몸체부(101)에 고정된다. 상기 제1 슬라이더(215)는 다각형 형상,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서, 상기 고정판(211)의 일면에 돌출된 구성이다. 상기 제1 슬라이더(215)가 상기 가이드 레일(202)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202), 구체적으로 하기에 설명될 제1 가이드 홈(221)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거나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202)은 상기 제1 몸체부(10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몸체부(102)의 후면 일측에 형성된 장착홈(129)에 결합된다. 상기 장착홈(129)은 상기 가이드 레일(202)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이며, 상기 제2 몸체부(10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202)의 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 홈(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가이드 홈(221) 상에는 회전홀(2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홀(223)은 상기 제1 가이드 홈(221) 내벽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가이드 홈(221)의 폭은 정사각형 형상을 갖는 상기 제1 슬라이더(215)의 한 변의 길이와 상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홀(223)의 직경은 상기 제1 슬라이더(215)의 대각선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2 몸체부(102)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때, 상기 지지체(201)는 상기 가이드 레일(202)의 직선이동을 안내하게 되는데, 상기 제1 가이드 홈(221)의 폭과 상기 제1 슬라이더(215)의 한 변의 길이가 상응하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1 슬라이더(215)의 양 측벽이 상기 제1 가이드 홈(221)의 내벽에 미끄럼 접촉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2 몸체부(102)가 상기 제1 지점에 위치된 때, 상기 제1 슬라이더(215)는 상기 회전홀(223) 내에 수용된다. 상기 회전홀(223)은 상기 제1 슬라이더(215)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므로, 상기 제2 몸체부(102)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3 지점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제2 몸체부(102)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벗어난 때에는 상기 제1 슬라이더(215)의 양 측벽이 상기 제1 가이드 홈(221)의 내벽에 미끄럼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제2 몸체부(102)의 회전이 제한된다.
즉, 상기 제2 몸체부(102)가 직선 이동하여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벗어난 때에는 상기 제1 슬라이더(215)와 제1 가이드 홈(221)의 구성에 의해 상기 제2 몸체부(102)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슬라이더(215)의 형상이 정사각형인 구성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정육각형, 정팔각형 등의 형상으로 상기 제1 슬라이더(215)를 제작하거나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기 제1 슬라이더(215)의 형상을 변경하더라도, 상기 회전홀(223)은 상기 제1 슬라이더(215)가 회전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해야 하며, 상기 제2 몸체부(102)가 직선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 슬라이더(215)의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 가이드 홈(221)의 내벽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상기 제1 슬라이더(215)가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여야 함에 유의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202)을 상기 지지체(201)에 결속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통신 장치(100)는 제2 슬라이더(203)와 체결 부재(204)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슬라이더(203)는 상기 가이드 레일(202)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2 몸체부(102),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202)의 직선 이동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레일(202)의 회전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체결 부재(204)는 지지판(241), 지지축(243), 체결홈(245)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241)은 상기 가이드 레일(202)의 타면에 지지되며, 상기 지지축(243)이 상기 가이드 레일(202)의 타면으로부터 상기 제2 슬라이더(203)와 지지체(201)를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결합된다. 상기 체결 부재(204)가 상기 지지체(201)를 관통하면 상기 체결홈(245)이 상기 지지체(201)의 일면으로 노출되며, 상기 체결홈(245)에 씨-링(C-ring)(249)이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202)과 제2 슬라이더(203)를 상기 지지체(201)에 결속시키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제2 슬라이더(203)는 상기 체결 부재(204)의 지지를 받아 상기 가이드 레일(202)과 함께 상기 지지체(201)에 대하여 회전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202)은 상기 지지체(201) 및 제2 슬라이더(203)의 안내를 받으면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202)의 타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202)이 직선 이동하는 동안 상기 체결 부재(204)를 수용하는 제2 가이드 홈(225)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레일(202)이 직선 이동하는 동안 상기 체결 부재(204)는 상기 제2 가 이드 홈(225) 내에서 이동하는 것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제2 몸체부(102)가 회전하는 동안 마찰이 발생될 수 있는 위치, 예를 들어 상기 체결 부재(204)의 지지판(241)과 상기 가이드 레일(202)의 타면 사이, 상기 지지체(201)와 제2 슬라이더(203) 사이, 상기 지지체(201)와 씨-링(249) 사이에는 와셔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부(102)가 회전하는 동안 마찰이 발생될 수 있는 위치에 와셔를 개재시킴으로써, 마찰에 의한 마모, 소음 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장치의 제2 몸체부가 슬라이딩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동통신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장치의 제2 몸체부가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이동통신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이동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모듈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Claims (23)

  1. 이동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키패드가 설치된 제1 몸체부; 및
    상면에 표시 장치(screen)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몸체부에 결합되는 제2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에 중첩된 제1 지점으로부터 직선 운동하여 상기 키패드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제2 지점까지 슬라이딩 이동하거나,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몸체부에 대면한 상태로 회전 운동하여 상기 키패드 전체를 노출시키는 제3 지점까지 이동하고,
    상기 제2 몸체부가 상기 제2 지점에 위치된 때 노출되는 상기 키패드의 일부분은 숫자 및 메시지 입력 기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는 그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3 지점으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하여 상기 제3 지점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 몸체부 일측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3 지점에서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일측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쿼티(QWERTY) 자판 배열의 키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키패드에 인접하는 스페이스 키(space key)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의 후면에 장착되는 카메라 렌즈; 및
    상기 카메라 렌즈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플래시(flash) 장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셔터 버튼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하측에 설치되는 기능성 키패드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상측에 설치되는 수화부와, 상기 표시 장치의 하측에 설치되는 송화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스피커 장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장치.
  12. 이동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키패드가 설치되고,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제공하는 제1 몸체부; 및
    상면에 표시 장치(screen)와 상기 표시 장치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스피커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몸체부에 결합되는 제2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에 중첩된 제1 지점으로부터 직선 운동하여 상기 키패드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제2 지점까지 슬라이딩 이동하거나,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키패드 전체를 노출시키는 제3 지점까지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쿼티(QWERTY) 자판 배열의 키패드이고, 상기 제2 몸체부가 상기 제2 지점에 위치된 때 노출되는 상기 키패드의 일부분은 숫자 및 단문 메시지 입력 기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키패드에 인접하는 스페이스 키(space key)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장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가 상기 제3 지점에 위치된 때,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일측에 나란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장치.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장치들 각각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송화부와 수화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의 일측 중앙부에 장착되는 지지체; 및
    상기 제2 몸체부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을 더 구비 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지지체의 지지를 받아 상기 제1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함과 아울러, 상기 제2 몸체부가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3 지점으로 회전하는 때 상기 지지체를 중심으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홈;
    상기 제1 가이드 홈 상에 형성되는 원형의 회전홀;
    상기 지지체에 제공되는 다각형 평판 형상의 제1 슬라이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몸체부가 회전하는 때, 상기 제1 슬라이더가 상기 회전홀 내에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더는 정사각형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때 상기 제1 슬라 이더의 양 측벽이 상기 제1 가이드 홈의 내벽에 미끄럼 접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장치.
  21.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슬라이더;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타면으로부터 상기 제2 슬라이더와 지지체를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결합되는 체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지지체 및 제2 슬라이더에 대하여 직선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슬라이더와 함께 상기 지지체에 대하여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체결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홈에 장착되는 씨-링(C-ring)을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 부재가 상기 지지체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체결홈이 노출되고, 상기 체결홈에 상기 씨-링이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 제2 슬라이더를 상기 지지체에 결속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장치.
  2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이 직선이동하는 동안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2 가이드 홈 내에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장치.
KR1020070073343A 2006-08-08 2007-07-23 회전 가능한 표시 장치 및 쿼티 키패드를 구비하는이동통신 장치 KR100871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13943A EP1887761A3 (en) 2006-08-08 2007-08-07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lidable and rotatable housing covering a qwerty keypad
CN2007101676399A CN101141504B (zh) 2006-08-08 2007-08-08 具有可旋转屏和标准打字机键盘的移动通信设备
US11/835,917 US7877119B2 (en) 2006-08-08 2007-08-08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rotatable screen and qwerty key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3664406P 2006-08-08 2006-08-08
US60/836,644 2006-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722A true KR20080013722A (ko) 2008-02-13
KR100871248B1 KR100871248B1 (ko) 2008-11-28

Family

ID=39193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343A KR100871248B1 (ko) 2006-08-08 2007-07-23 회전 가능한 표시 장치 및 쿼티 키패드를 구비하는이동통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71248B1 (ko)
CN (1) CN10114150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4752A1 (en) * 2008-12-04 2010-06-10 Prexco Co., Ltd Sliding type hinge device of mobile phone
KR101035126B1 (ko) * 2008-08-07 2011-05-19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자판 내장형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8982A (ko) * 2003-10-23 200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CN100407883C (zh) * 2004-05-04 2008-07-30 安费诺凤凰株式会社 滑动型开闭装置及具有旋转功能的滑动开闭型移动电话
KR100616197B1 (ko) * 2004-08-24 2006-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장치
TWI254199B (en) * 2004-08-31 2006-05-01 Benq Corp Slidable and automatic rotatable apparatus
KR100747457B1 (ko) * 2005-09-30 2007-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및 스윙 개폐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126B1 (ko) * 2008-08-07 2011-05-19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자판 내장형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WO2010064752A1 (en) * 2008-12-04 2010-06-10 Prexco Co., Ltd Sliding type hinge device of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41504B (zh) 2013-06-12
CN101141504A (zh) 2008-03-12
KR100871248B1 (ko) 200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7119B2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rotatable screen and qwerty keypad
EP1775596B1 (en) Keypad for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0683083B1 (ko) 휴대 기기
EP1610530B1 (en) Dual-axis rotatio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KR20070087744A (ko) 복수의 액정을 갖는 이동단말기
CN101795376A (zh) 具有投影功能的便携式终端
KR100662358B1 (ko) 오디오 플레이어 조작 키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WO2009032357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high-resolution camera with auto focus lens
KR100663552B1 (ko) 이동성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871248B1 (ko) 회전 가능한 표시 장치 및 쿼티 키패드를 구비하는이동통신 장치
KR10074128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EP1484921B1 (en) Camera lens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US7738786B2 (en)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JP2001045349A (ja) デジタルカメラ機能付き移動体通信装置及び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KR10112208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354399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105362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JP4261302B2 (ja) 携帯電話端末
KR20090123698A (ko) 휴대 단말기
JP2005286429A (ja) 携帯機器
US7925311B2 (en) Keypad for mobile phone
KR101427271B1 (ko) 휴대 단말기
JP2005277781A (ja) 携帯機器
KR20060035030A (ko) 액정표시부가 회전 및 자동절환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42553A (ko) 휴대폰용 카메라의 촬영 모드 선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