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80006476A - 프로젝션 이전에 이미지를 자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젝션 이전에 이미지를 자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476A
KR20080006476A KR1020070069155A KR20070069155A KR20080006476A KR 20080006476 A KR20080006476 A KR 20080006476A KR 1020070069155 A KR1020070069155 A KR 1020070069155A KR 20070069155 A KR20070069155 A KR 20070069155A KR 20080006476 A KR20080006476 A KR 20080006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jection
projection surface
color
characteris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저 리 불록
Original Assignee
제록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록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록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06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47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H04N9/3194Testing thereof including sensor feedback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5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ject the image of a two-dimensional display, such as an array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or a C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2Colour adjustment, e.g. white balance, shading or gam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프로젝션이전에 이미지를 자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기재된다. 상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가지는 프로젝션 표면에 이미지를 프로젝트하도록 형성되는 이미지 형성 요소와, 상기 이미지 형성 요소에 연결되는 검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표면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컬러, 조직(texture) 및 표면 곡률과 같은 상기 표면중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에 반응하여 아웃고잉 이미지를 변경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부가로 포함한다.
프로젝션, 이미지, 컬러, 텍스쳐, 곡률, 검출 모듈

Description

프로젝션 이전에 이미지를 자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MODIFYING AN IMAGE PRIOR TO PROJECTION}
본 발명은 시각적인 매체(visual media)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로젝션(projection) 이전에 이미지를 자동적으로 변경(modifying)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프로젝터(video projector)는 회의실 프리젠테이션(conference room presentation), 학습실 교육(classroom training), 홈 씨어트(home theatre)의 적용에 널리 사용된다. 비디오 프로젝터는 비디오 신호를 가지고, 렌즈 시스템을 사용하여 프로젝션 스크린 또는 표면상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프로젝트시킨다. 비디오 프로젝터는 이미지를 프로젝트하기 위하여 매우 밝은 빛을 사용하고, 대부분의 프로젝터는 수동적인 셋팅(manual setting)을 통하여 커브(curve), 흐릿함(blurriness) 및 다른 불일치함(inconsistency)을 교정할 수 있다.
2개의 기본적인 프로젝터 타입, 즉 투과성(transmittive) 및 반사성(reflective)이 있다. 2가지 타입의 프로젝터에서, 렌즈는 이미지-형성(forming) 요소로 부터 이미지를 집적하여서(collect), 그 이미지를 확대하며, 이것을 스크린상에 포커스시킨다. 투과성 프로젝터는 이미지 형성 요소로서 음극선 튜브(CRT)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를 사용한다. 반사성 프로젝터는 마이크로일렉트로메카니컬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MEMS) 및 실리콘상의 액정(liquid crystal on silicon)(LCOS)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이미지는 스크린, 벽 또는 다른 표면상에 프로젝트된다. 그러나, 이러한 많은 표면들은 수용되지 않거나(unacceptable) 또는 부적절한(non-optimal) 컬러 시프트(color shift)를 발생시킬 수 있는 컬러의 변화도(varying degree) 및 텍스쳐 변화(texture variation)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벽은 서로 다른 컬러로 페인트될 수 있고, 또한 시청자(viewer)에게 이미지 외형에 악영향을 주는 불균일한 표면 및 텍스쳐를 가질 수 있다.
벽 또는 프로젝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에 뒤틀림(distortion)을 교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왜냐하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서 뒤틀림을 교정하는 것은 표면에 존재할 수 있는 어떠한 불규칙성(irregularity)은 물론 프로젝션 표면의 컬러에 대한 지식(knowledge)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수동적인 컬러의 교정 및 농도의 조정은 시간을 소비할 수 있고, 적절한 성능을 제공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는 프로젝션이전에 이미지를 자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프로젝션이전에 이미지를 자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시스템에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특성(property)을 가지는 프로젝션 표면에 이미지를 프로젝트하도록 형성되는 이미지 형성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검출할 수 있는 검출 모듈은 상기 이미지 형성 요소에 연결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에 반응하여 아웃고잉 이미지(outgoing image)를 변경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성은 상기 프로젝션 표면의 컬러, 텍스쳐(texture) 및 곡률(curvature)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로젝션이전에 이미지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프로젝션 표면상에 광선(light ray)를 방출하고 또한 상기 프로젝트된 표면 으로 부터 반사된 광선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프로젝션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결정하고 프로파일(profile)을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파일을 표준의 프로파일과 비교함으로써 오버레이(overlay)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이미지를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오버레이를 사용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젝션 표면에 변경된 이미지를 프로젝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성은 프로젝션 표면의 컬러, 텍스쳐 및 곡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광선을 방출할 수 있고 또한 프로젝션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검출할 수 있는 검출 모듈(detecting module)을 포함하는 비디오 프로젝터가 제공된다. 상기 프로젝터는 프로젝션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에 반응하여 아웃고잉 이미지를 변경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가지는 보정 모듈(compensation module)과, 상기 변경된 아웃고잉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형성된 상기 보정 모듈에 연결되는 비디오 수신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변경된 아웃고잉 이미지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이미지 형성 요소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성은 컬러, 텍스쳐 및 프로젝션 표면의 곡률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프로젝션이전에 이미지를 자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시스템에 제공되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시스템(100)의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시스템(100)은 이미지 프로젝터(102), 검출 모듈(104), 프로세서(106) 및 이미지 형성 요소(107)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100)은 프로젝션 표면 "P"의 특성을 검출하고 또한 상기 프로젝트된 이미지를 자동적으로 보정하도록 형성된다.
이미지 프로젝터(102)는 검출 모듈(104) 및 프로세서(106)를 포함한다. 검출 모듈(104)은 일련의 컬러를 프로젝트하여서, 프로젝션 표면 "P"로 향하여 집중하도록 한다. 그 다음, 이러한 컬러들은 검출 모듈(104)을 향하여 프로젝션 표면 "P" 뒤로 반사된다. 모듈(104)은 상기 컬러 및 농도의 시프트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반사된 빛을 검출한다. 상기 검출 모듈(104)은 미국 특허 6,750,442 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카메라 또는 특정의 선형 어레이(specialty linear light)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표준의 CCD 어레이가 될 수 있다.
검출 모듈(104)은 프로젝션 표면 "P"의 세그먼트(segment)/섹션상에 컬러 또는 R/B/G 파장 성분을 일련으로 프로젝트하고(상기 파장 성분은 프로젝션 표면 "P"을 따라서 작은 오버랩(overlap)을 최적으로 가진다), 상기 프로젝션 표면 "P"의 각 섹션용의 농도와 반사된 컬러를 검출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각 프로젝트된 컬러 또는 파장 성분을 위해서, 그리고 적어도 2개의 휘도 레벨(brightness leverl)을 위해서 반복된다. 각 반사된 컬러용 검출 모듈(104)에 의하여 결정되는 스펙트럼 및 반사 레벨은 모듈(104)이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즉, 표면 텍스쳐) 및 상기 프로젝션 표면 "P"의 컬러/색조(hue)를 결정하는 것을 돕는다.
상기 프로젝션 표면 "P"의 표면 거칠기는 프로세서(106)에 뒤로 무선으로 제 공되는 정보로써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접촉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접촉 센서는, 컬러 흡수 또는 직접적인 반사 및 표면의 스캐터(scatter) 반사 특성을 검출하는 분광 광도계 센서(spectrophotometer sensor)와 같은, 컬러 프로세스 제어용으로 사용되는 센서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션 표면 "P"의 특성을 결정하기 위한 부가적인 방법은 방출기(emitter)/검출기 유닛(112)(EDU)을 참고로 하여서 아래에서 설명된다.
상기 검출 모듈(104)은 상기 프로젝션 표면 "P"상에 R/B/G 파장 성분을 프로젝트하기 위한 일련의 R/B/G LED 또는 레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션(또는 방출)로부터 검출까지의 시간은, 상기 검출 모듈(104) 및 프로젝션 표면 "P"사이의 거리 변화를 결정하기 위하여 프로세서(106)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거리 정보는 상기 프로젝트된 픽셀을 포커싱하고 상기 픽셀의 적절한 촛점 투명도(focal clarity)를 성취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표면 거칠기와 상기 프로젝션 표면 "P"의 컬러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검출된 신호는, 상기 프로세서(106)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션 표면 "P"의 프로파일(profile)은 상기 프로세서(106)에 의하여 발생되어서 저장된다.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프로젝션 표면 "P"의 컬러와 표면 반사의 "평탄함(smoothness)"을 지시한다. 상기 표면 반사의 "평탄함"은 전문적인 등급(professional grade)의 프로젝션 스크린과 같은 공칭 표준(nominal standard)에 대하여 이것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프로세스(106)에 의하여 정하여진다. 또한, 상기 공칭 표준이라는 것은 표준 프로파일로 언급되는 저장된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공칭 표준은 "10"이 될 수 있으며, 각각의 프로젝션 표면은 10 이하이거나, 동일하거나, 또는 더 크게되는 것으로 주어진다. 상기 등급이 약 10이거나 또는 10으로 된다면, 상기 프로젝션 표면은 전문적인 등급의 프로젝션 스크린과 닮게된다. 상기 등급이 10이하가 된다면, 상기 프로젝션 표면은 상기 전문적인 등급의 프로젝션 스크린보다 덜 평탄하게 된다. 만약 상기 등급이 10보다 더 크게 된다면, 상기 프로젝션 표면은 상기 전문적인 등급의 프로젝션 스크린보다 더 평탄하게 된다.
그 다음, 시스템(100)에 의하여 결정되는 바와 같은 이러한 새로운 요소 또는 표면 특성, 상기 프로젝션 표면 "P"의 컬러 및 평탄함은, 인커밍 디지탈 비트 스트림(incoming digital bit stream)을 조정하기 위하여 시스템(100)에 의하여 사용되고, 따라서 상기 프로젝션 표면 "P"의 컬러 및 표면 거칠기에 대하여 적어도 자동적으로 상기 프로젝트된 이미지를 보정하게 된다. 이러한 점은 상기 프로젝션 표면 "P"상에 프로젝트된 이미지의 적절한 디스플레이를 성취한다.
상기 인커밍 디지탈 비트 스트림을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보정 정보(calibration information)는, 상기 프로젝트된 이미지의 하나 이상의 픽셀의 컬러 조정, 상기 프로젝트된 이미지의 대조에서의 변화, 상기 프로젝트된 이미지의 광 농도에서의 변화, 픽셀 크기에서의 변화, 2개 이상의 픽셀을 결합함으로써의 보다 큰 픽셀의 생성 등을 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정 정보는, 예를 들면 버스(bus) 또는 루터(router)를 거쳐서 매입된 컬러 교정 루틴(embedded color correction routine)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루틴은 부적절한 백그라운 드(background)로 인한 컬러 시프트를 위하여 보상한다. 또한, 컬러 교정 색인 테이블(look-up table), 또는 일련의 알고리즘(algorithm)은 보정 정보에 따라서 픽셀 또는 컬러 셀 베이스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변경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미지 처리에서, 색인 테이블은 종종 LUT로 불리우고, 이들은 출력값에 대한 인덱스 수(index number)를 링크한다. 컬러맵(colormap)으로 불리우는 하나의 통상적인 LUT는 특정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컬러 및 농도 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컬러맵 뒤에 있는 사상은 이미지에서 각 픽셀용의 한정된 컬러를 저장하는 대신, 각 픽셀의 값이 상기 컬러맵내로의 인덱스 수로서 처리된다(즉, 24비트 RGB(레드-그린-블루) 포멧)는 것에 있다. 상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거나 또는 그렇지 아니면 처리될 때에, 상기 컬러맵은 각 인덱스 수에 대응되는 실질적인 컬러를 찾기 위하여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LUT에 저장되는 출력값은 RGB 컬러 값이 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젝터(102)는 다수의 서로 다른 이미지 형성 요소(107)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형성 요소중의 몇몇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음극선관(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디지탈광 처리(DLP), 그레이팅 광 밸브(grating light valve)(GLV) 또는 실리콘상의 액정(LCOS)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젝터(102)는 비디오 입력 모듈(110)을 통하여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검출 모듈(104)로 부터 얻어지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조정하며, 렌즈(즉, 프리즈넬(fresnel)) 또는 렌즈 시스템을 사용하여 프로젝션 표면 "P"상의 대응되는 이미지를 프로젝트한다.
이미지 프로젝터(102)는 다양하게 서로 다른 메카니즘을 사용하여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몇몇의 적절한 광 방출 메카니즘은 LED 또는 금속 할로겐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금속 할로겐 램프는 UHP, HTI 또는 HID 램프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램프들은 다른 형태의 램프들보다 더 작고 또한 덜 비싼 파워 소스(power source)를 종종 요구하고, 높은 휘도, 보다 긴 램프 수명 및 보다 낮은 가격의 프로젝터 오너쉽(ownership)을 제공하는 효과적인 와트-대-루멘 비(watt-to-lumen ratio)를 가진다. 그러나, 금속 할로겐 램프는 불균일한 광 패턴을 캐스트(cast)할 수 있으며, 레드 톤에서 결점을 발생시키며, 엘로우와 그린에서 오버베어잉(overbearing)시킨다. 필터, 프리즘 코팅 및 다른 광학적인 성분이 광을 보다 양호하게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이미지 프로젝터(102)와 사용될 수 있다.
검출 모듈(104)은 이미지 프로젝터(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모듈(104)은 상기 프로젝션 표면 "P"의 거리, 텍스쳐, 컬러 등을 검출/결정하도록 형성되는 방출기/검출기 유닛(emitter/detector)(112)(EDU)을 포함한다. 상기 EDU(112)는 변화하는 농도와 파장의 광선(light ray)을 방출하고 검출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EDU(112)는 상기 프로젝션 표면 "P"을 광학적으로 스캔하고, 프로젝션 표면 "P"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계산한다. 이러한 특성들은 프로젝션 표면 "P"와 이미지 프로젝터(102)사이의 거리, 프로젝션 표면 "P"의 컬러에 관한 정보 및, 프로젝션 표면 "P"의 텍스쳐/거칠기에 관한 정보(즉, 상기 표면의 불균일성, 외형 또는 불규칙성)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상기 검출 모듈(104)로부터 프로세서(106)로 전송된다. 상기 프로젝션 표면 "P"에 관한 특성들은 CCD, 디지탈 카메라 또는 광 학 스캐닝 기술을 사용하여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검출 모듈(104)은 프로젝션 표면 "P"상에 위치되는 원격 검출기(remote detector)가 될 수 있으며, 그 다음 이것은 교정 요소(correction factor)를 해석(interpret)하기 위하여 이미지 프로젝터(102)에 대하여 뒤쪽으로 정보를 무선으로 공급한다. 상기 원격 검출기는 프로젝트된 광을 측정하고, 상기 프로젝션 표면으로부터 프린팅 컬러 프로세스 제어에 사용되는 R/G/B 검출기와 유사한 각각의 R/G/B 검출기로의 반사 반응을 검출하기 위하여 스펙트럼 감지 부재를 가지는 반투명한 패치(translucent patch)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출 모듈(104)은 검출 표면 "P"상에 위치될 수 있는 일련의 미러 또는 반사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러들은 거리 또는 컬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검출 모듈(104)의 EDU(112)와 광학적으로 소통된다.
상기 검출 모듈(104)과 특히 EDU(112)는 프로젝션 표면 "P"를 스캔하고, 또한 이것의 대응되는 컬러를 결정하도록 형성되는 스펙트럼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들은 CIELAB와 같은 시각적인 컬러의 리프리젠테이션(representation)에 관련될 수 있는 이미지의 컬러를 측정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컬러 측정들은 상기 프로세서(106)로 보내어지고, 스캔되는 표면의 컬러 및 형태를 자동적으로 인식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자동화된 컬러 교정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미국 특허 제 6,750,442 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센서들은 컬러 이미지로부터 스펙트럼 반사를 등록 또는 감지하고, 또한 이것으로부터 측색 측정(colormetric measurement)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전기 광학적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광학 요소는 광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스펙트럼 반사 측정 장치는 가시성 컬러(visible color)의 스펙트럼 또는 파장 범위를 실질적으로 덮기 위하여 많은 광파장에 대하여 조명된 목적물의 반사(reflectance)를 측정한다. 이러한 스펙트럼 측정으로부터, 특정의 가시 상태하에서 컬러의 시각적인 인식을 나타내는 CIELAB와 같은 측색값(colorimetric value)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몇몇의 거리를 계산하는 센서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초음파 센서, 광전자 센서 및 유도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6)는 프로젝션 표면 "P"의 특성에 관한 검출 모듈(104)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반응하여서 아웃고잉 이미지(outgoing image)를 변경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상기 프로세서(106)는 넌-화이트 백그라운드(non-white background)로 인하여 컬러 시프트(color shift)를 보상하는 매입된 컬러(embedded color) 및 농도 교정 루틴은 물론 메모리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검출 모듈(104)로부터 얻어지는 발생 프로파일은 표준 프로파일과 비교되고, 보상 오버레이(compensation overlay)가 발생된다. 그 다음, 이러한 오버레이는 상기 위치에서 연속적인 재사용을 위하여 메모리내에서 저장된다. 어떠한 인커밍 비디오 데이터 또는 LCD/DLP의 각각의 픽셀은 상기 보상 오버레이를 사용하여서 변경된다. 이러한 점은 프로젝션을 위하여 준비되는 새로운 농도 및 컬러 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다수의 서로 다른 이미지 형성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는 이미지 프로젝터(102)의 이미지 형성 요 소(107)의 부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LCD 프로젝터는 3개의 분리된 LCD 글라스 패널(glass panel)을 항상 포함하고, 이들은 각각은 인커밍 비디오 신호의 레드, 그린 및 블루 성분을 위한 것이다. 광이 상기 LCD 패널을 통과할 때에, 각각의 픽셀은 광이 통과하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개방되거나, 또는 광을 차단하기 위하여 폐쇄된다. 이러한 작동성은 광을 조절하고, 상기 스크린상에 프로젝트되는 이미지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는 이미지 프로젝터(102)의 이미지 형성 요소(107)의 부분으로서 디지털 광 프로세싱(DLP)을 사용할 수 있다. DLP는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장치(DMD)로서 종종 언급되는 반도체상에 위치되는 매우 작은 미러를 사용한다. 상기 미러의 빠른 재위치선정(repositioning)('온(on)'과 '오프(off)'사이의 실질적인 스위칭(switching))은, 상기 DMD가 렌즈를 통하여 반사되어, 화이트('온'위치에서의 미러)와 블랙('오프'위치에서의 미러)에 부가하여서 그레이의 쉐이드(shade)를 발생시키는 광의 농도를 변화시키도록 한다. 레드, 그린 및 블루를 가지는 회전하는 컬러 휠은 프로젝트되는 이미지의 컬러를 발생시킨다. DLP 프로젝션 시스템이 컬러 이미지를 발생시키는 2개의 주요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단일 칩의 DLP 프로젝터에 의하여 사용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3개의 칩 프로젝터에 의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시스템(100)은 어느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작은 미러 대신에 액정을 사용하는 LCOS와 같은 다른 실시예가 또한 계획될 수 있다.
프로젝션 표면 "P"는 프로젝션 스크린, 벽 또는, 프로젝트된 이미지를 수용 할 수 있는 어떠한 다른 표면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표면들은 고려되어야만 되는 다양한 정도의 컬러 및 텍스쳐 변화를 가질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프로젝션에 앞서서 이미지를 자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방법(200)이 설명된다. 광선은 프로젝션 표면 "P"상에 방출된다(단계 201). 이러한 광선은 프로젝션 표면 "P"에 반사되어 검출 모듈(204)에 의하여 검출된다(단계 202). 프로세서(106)는 프로파일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프로젝트된 표면 "P"의 특성을 계산한다(단계 203). 오버레이는 표준의 프로파일에 대하여 발생된 프로파일을 비교함으로써 발생된다. 그 다음, 상기 오버레이는 이미지를 변경하기 위하여 사용된다(단계 205). 상기 새롭게 변경된 이미지는 프로젝션 표면 "P"으로 보내어 진다(단계 206).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3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EDU(112)는 프로젝션 표면 "P"를 스캔한다(단계 301). 그 다음, 상기 프로젝션 표면 "P"의 패러미터는 계산/결정되고, 상기 프로파일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프로젝션 표면 "P"의 컬러 및 거칠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 이외에 상기 발생된 프로파일은, 상기 검출 모듈(104)로부터 프로젝션 표면 "P"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 컬러/농도 스위프(sweep)로 부터 검출되는 픽셀 농도/투명도 및 컬러 시프트 정보 및, 표면 곡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면 곡률은 레이저를 사용하여 상기 프로젝션 표면 "P"를 스위핑함으로써, 또는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다른 표면 곡률 기술(curvature technique)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표면 텍스쳐는 "ETAC 센서"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스위프(sweep)부터 검출되는 스캐터 레벨(scatter level)로 부터 추정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접촉 센서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단계 302). 그 다음, 상기 발생된 파일은 표준 프로파일과 비교되고, 컬러/농도 보정 오버레이가 발생된다(단계 303). 상기 이미지는 메모리내에 저장되고 재사용될 수 있다(단계 304). 저장된 오버레이로써, 모든 인커밍 비디오 데이터(또는 LCD, DLP의 각각의 화소)는 새로운 농도를 위하여 변경되고, 상기 컬러 셀은 하나의 이상의 상기 결정된 표면 특성, 즉, 컬러, 텍스쳐, 표면 곡률 등을 고려하기 위하여 프로젝션 이전에 변경된다(단계 305). 그 다음, 상기 변경된 이미지는 프로젝션 표면 "P"상에 프로젝트된다(단계 306).
유저(user)는 유저의 특정 이미지 선호(perference)를 고려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된 교정 오버레이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프로젝트된 이미지를 스큐(skew)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된 오버레이는 색맹인 유저에 의하여 관찰하기 위한 이미지를 조정하고(즉, 상기 이미지를 프로젝션 이전에 그레이스케일(grayscale)로 변형), 낮은 주변 광 환경에서 관찰하기 위하여 이미지를 조정하고(즉, 픽셀의 농도를 증가), 및/또는 낮은 시력을 가지는 유저에 의한 관찰을 위하여 이미지를 조정(즉, 픽셀의 크기를 증가)하기 위하여 GUI와 같은 계산된 인터페이스(computing interface)를 사용하여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변경된 오버레이는 유저에 의하여 양호하게되는 이미지 조정을 지시하는 유저가 선호하는 오버레이로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RFID 태크(tag)가 추가로 제공되는데, 상기 태그는 적어도 하나의 교정 오버레이와, 상기 프로젝션 표면 "P"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특성(즉, 컬러, 표면 텍스쳐 및, 표면 곡률)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상기 프로젝션 표면 "P"에 근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정 오버레이와, 상기 프로젝션 표면 "P"상으로의 프로젝션이전에 이미지를 변경하는 정보를 사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특성에 접근하기 위한 RFID 리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키스톤(keystone), 왜상(anamorphic) 또는 바늘방석(pincushion) 교정 기술과 관련하여서 사용될 수 있다. 키스톤 교정 기술중의 하나의 설명은 이미지 프로세싱에 대한 2004년 국제 회의(International Conference on Image Processing)(ICIP)의 2004년 10월의 4권, 2829 내지 2832(http://ieeexplore.ieee.org/serach/wrapper.jsp?arnumber=1421693)에 기재되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측면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Claims (4)

  1. 프로젝션 이전에 이미지를 자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가지는 프로젝션 표면에 이미지를 프로젝트하도록 형성된 이미지 형성 요소와;
    상기 이미지 형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표면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는 검출 모듈 및;
    텍스쳐(texture)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성에 반응하여서 아웃고잉 이미지를 변경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이전에 이미지를 자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모듈은 다수의 컬러를 프로젝트하고 프로파일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반사된 광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표면 중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검출하는 프로젝션 이전에 이미지를 자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시스템.
  3. 프로젝션 이전에 이미지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프로젝션 표면상에 광선을 방출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젝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선을 검출하는 단계와;
    텍스쳐를 포함하는 상기 프로젝션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결정하고, 프로파일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프로파일을 표준 프로파일에 대하여 비교함으로써 오버레이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프로젝트될 이미지를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오버레이를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이미지를 프로젝션 표면에 프로젝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이전에 이미지를 변경하는 방법.
  4. 광선을 방출할 수 있고, 텍스쳐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표면 중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검출할 수 있는 검출 모듈과;
    상기 프로젝션 표면중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에 반응하여 아웃고잉 이미지를 변경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경된 아웃고잉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형성되는 비디오 수신 유닛 및;
    상기 변경된 아웃고잉 이미지가 관통되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이미지 형성 요소를 포함하는 비디오 프로젝터.
KR1020070069155A 2006-07-11 2007-07-10 프로젝션 이전에 이미지를 자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Ceased KR200800064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85,127 2006-07-11
US11/485,127 US7905606B2 (en) 2006-07-11 2006-07-11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modifying an image prior to proj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476A true KR20080006476A (ko) 2008-01-16

Family

ID=38948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155A Ceased KR20080006476A (ko) 2006-07-11 2007-07-10 프로젝션 이전에 이미지를 자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05606B2 (ko)
JP (1) JP5396012B2 (ko)
KR (1) KR200800064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1877A1 (ko) * 2014-03-17 2015-09-24 (주)이지위드 다면 영상 자동 생성 및 투사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9094A1 (en) * 2007-09-04 2009-03-05 Samsung Techwin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overlaying image in video presentation system having embedded operating system
US20090295712A1 (en) * 2008-05-29 2009-12-0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projector and method of operating a portable projector
JP5236372B2 (ja) * 2008-07-14 2013-07-1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投影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5276943B2 (ja) 2008-09-29 2013-08-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JP5381145B2 (ja) * 2009-02-13 2014-01-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
JP5170043B2 (ja) * 2009-09-15 2013-03-2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投影システム、画像投影方法および画像投影プログラム
US8665286B2 (en) * 2010-08-12 2014-03-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position of digital images for perceptibility thereof
US8449119B2 (en) 2010-09-01 2013-05-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difying application windows based on projection surface characteristics
US8570357B2 (en) * 2011-04-29 2013-10-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video crosstalk
JP2013101207A (ja) * 2011-11-08 2013-05-23 Ricoh Co Ltd プロジェクタ
KR101627634B1 (ko) * 2011-12-26 2016-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프로젝터 영상 보정 장치 및 방법
US20130324874A1 (en) * 2012-06-01 2013-12-05 Xerox Corporation Minute ventilation estimation based on chest volume
US8836910B2 (en) * 2012-06-04 2014-09-16 James A. Cashin Light and sound monitor
KR101305249B1 (ko) * 2012-07-12 2013-09-06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다면 상영 시스템
US9817305B2 (en) * 2012-07-12 2017-11-14 Cj Cgv Co., Ltd. Image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rojection
US9134594B2 (en) * 2012-07-12 2015-09-15 Cj Cgv Co., Ltd Projection device management system
US20140111629A1 (en) * 2012-10-20 2014-04-24 Margaret Morris System for dynamic projection of media
US20140283130A1 (en) * 2013-03-14 2014-09-18 Rodrigo SAGEBIN Media management system
KR101489261B1 (ko) * 2013-08-26 2015-02-04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상영관 파라미터 관리 장치 및 방법
US10122978B2 (en) * 2014-04-01 2018-11-06 Sony Corporation Harmonizing a projected user interface
CN105093791A (zh) * 2014-05-16 2015-11-25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投影装置及投影装置的保护方法
US10218949B2 (en) * 2015-07-08 2019-02-26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460088B2 (ja) * 2016-12-14 2019-01-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084997B1 (en) 2017-05-23 2018-09-25 Sony Corporation Adaptive optics for a video projector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3753A (ja) * 1989-09-19 1991-04-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カラー管内検査装置
JPH06109437A (ja) * 1992-09-25 1994-04-19 Kubota Corp 三次元形状計測装置
US5758941A (en) 1994-04-22 1998-06-02 Stahl; Thomas D. Pixel compensated electro-optical display system
US6520646B2 (en) 1999-03-03 2003-02-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tegrated front projection system with distortion correction and associated method
US6568814B2 (en) 1999-03-03 2003-05-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tegrated front projection system with shaped imager and associated method
US6924816B2 (en) 2000-03-17 2005-08-02 Sun Microsystems, Inc. Compensating for the chromatic distortion of displayed images
US6940529B2 (en) 2000-03-17 2005-09-06 Sun Microsystems, Inc. Graphics system configured to perform distortion correction
US6771272B2 (en) 2000-03-17 2004-08-03 Sun Microsystems, Inc. Graphics system having a super-sampled sample buffer with hot spot correction
CA2306515A1 (en) * 2000-04-25 2001-10-25 Inspeck Inc. Internet stereo vision, 3d digitizing, and motion capture camera
JP4284855B2 (ja) * 2000-10-25 2009-06-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入出力システム及び情報入出力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3646658B2 (ja) 2001-03-01 2005-05-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歪みの補正
JP2003114480A (ja) 2001-10-04 2003-04-18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の光学系の変更に応じた画像処理
DE10204430A1 (de) * 2002-02-04 2003-08-07 Zeiss Carl Stereo-Mikroskopieverfahren und Stereo-Mikroskopiesystem
US6750442B2 (en) 2002-03-06 2004-06-15 Xerox Corporation Use of spectral sensors for automatic media identification and improved scanner correction
JP2003348500A (ja) * 2002-03-19 2003-12-05 Fuji Photo Film Co Ltd 投射画像の調整方法、画像投射方法および投射装置
US20040070616A1 (en) * 2002-06-02 2004-04-15 Hildebrandt Peter W. Electronic whiteboard
EP1385340A3 (en) 2002-07-23 2005-08-10 NEC Viewtechnology, Ltd. Color adjusting method for projector
DE60327289D1 (de) 2002-07-23 2009-06-04 Nec Display Solutions Ltd Bildprojektor mit Bild-Rückkopplungs-Steuerung
JP4111074B2 (ja) * 2002-08-20 2008-07-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US20040044564A1 (en) * 2002-08-27 2004-03-04 Dietz Paul H. Real-time retail display system
US6979087B2 (en) 2002-10-31 2005-12-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system with interpretable pattern detection
JP2004158941A (ja) * 2002-11-05 2004-06-03 Seiko Epson Corp 色ムラ補正装置、プロジェクタ、色ムラ補正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EP1443777A1 (de) * 2003-01-28 2004-08-04 Gretag-Macbeth AG Profilierungsvorrichtung, damit ausgestatteter elektronischer Projektor und Verfahren zur Profilierung einer elektronischen Anzeigevorrichtung
US8064684B2 (en) * 2003-04-16 2011-11-2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s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volumetric data using deformable physical object
US6817721B1 (en) 2003-07-02 2004-11-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projector non-uniformity
US6921172B2 (en) * 2003-07-02 2005-07-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projector amplitude resolution and correcting luminance non-uniformity
US7001023B2 (en) 2003-08-06 2006-02-21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calibrating projectors to arbitrarily shaped surfaces with discrete optical sensors mounted at the surfaces
KR101030864B1 (ko) * 2003-09-11 2011-04-22 파나소닉 주식회사 시각 처리 장치, 시각 처리 방법, 시각 처리 프로그램, 집적 회로, 표시 장치, 촬영 장치 및 휴대 정보 단말
JP2005195832A (ja) * 2004-01-07 2005-07-21 Sony Corp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2005236650A (ja) * 2004-02-19 2005-09-02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US20050185711A1 (en) * 2004-02-20 2005-08-25 Hanspeter Pfister 3D television system and method
US7154395B2 (en) * 2004-07-01 2006-12-26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Interactive wireless tag location and identification system
US8044996B2 (en) * 2005-05-11 2011-10-25 Xenogen Corporation Surface construction using combined photographic and structured light information
JP2006109498A (ja) * 2005-10-20 2006-04-20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記録媒体
US7632185B2 (en) * 2005-10-28 2009-12-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table projection gaming system
US7513628B2 (en) * 2005-11-17 2009-04-07 Infocus Corporation Projection device with camera to provide for iterative adjustments
US8256900B2 (en) * 2006-04-05 2012-09-04 Bitetto James J Method and apparatus for projecting image patterns and colors for planning an interior improvement project
US7717569B2 (en) * 2006-04-13 2010-05-18 Nokia Corporation Projector screen with one or more markers
US7794094B2 (en) * 2006-05-26 2010-09-14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directional positioning of projected imag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1877A1 (ko) * 2014-03-17 2015-09-24 (주)이지위드 다면 영상 자동 생성 및 투사 방법 및 장치
KR20150108256A (ko) * 2014-03-17 2015-09-25 (주)이지위드 다면 영상 자동 생성 및 투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13057A1 (en) 2008-01-17
US7905606B2 (en) 2011-03-15
JP5396012B2 (ja) 2014-01-22
JP2008022551A (ja) 200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6012B2 (ja) 投射前に画像を自動的に修正するシステム
JP6882835B2 (ja) 画像を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376503B1 (ko) 카메라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된 피드백을 이용한 3d 디스플레이 교정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040140982A1 (en) Image projection with display-condition compensation
JPWO2018016572A1 (ja) 表示補正装置、プログラム及び表示補正システム
US20060221259A1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program
WO2014171134A1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2009159372A (ja) マルチプロジェクタシステム及び画像調整方法
JP2012248910A (ja) 投射表示装置の色補正方法
JP6119155B2 (ja) 調光制御装置、画像表示装置、調光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216767A (ja) プロジェクタ
WO2007139189A1 (ja) 投影画像補正システム及び補正情報生成プログラム
KR101766119B1 (ko) 빙판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TWI511571B (zh) 投影系統及其影像調整方法
KR101008650B1 (ko) 투사형 표시 장치 및 화이트밸런스 조정 방법
JP5605038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5200599B2 (ja) スクリーン、光学特性測定システム、および光学特性測定方法
KR20080042494A (ko) 영상투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7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7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8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