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9309A -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이륙장치 및 이를 이용한이륙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이륙장치 및 이를 이용한이륙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99309A KR20070099309A KR1020060030596A KR20060030596A KR20070099309A KR 20070099309 A KR20070099309 A KR 20070099309A KR 1020060030596 A KR1020060030596 A KR 1020060030596A KR 20060030596 A KR20060030596 A KR 20060030596A KR 20070099309 A KR20070099309 A KR 200700993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craft
- carrier
- slide rail
- pulling
- tak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1176 pool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41 propul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4—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launching aircraft
- B64F1/06—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launching aircraft using catapu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70/00—Launching, take-off or landing arrangements
- B64U70/70—Launching or landing using catapults, tracks or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선, 교량 또는 케이블카 등의 가선 공사에서의 와이어 연선공법에 적용되는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를 이륙시키는 발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를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 가능하도록 M형으로 신장하여 발사장력을 최대화함으로써, 장치의 크기와 중량을 줄이고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시킨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이륙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이륙장치는 탄성력에 의해 항공기를 이송시키기 위한 활주레일, 항공기를 탑재하고 상기 활주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에 연결되어 이륙을 위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 활주레일에 결합되어 캐리어에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캐리어에 연결된 풀링로프를 당겨주기 위한 풀링장치 및 캐리어에 탑재된 항공기가 추진력에 의해 이동할 때 캐리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홀딩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체는 양 단부가 활주레일의 후미 양측에 고정되고, 활주레일의 전방 양측에 구비된 로울러를 지지점으로 내측으로 휘어져 캐리어의 전면과 연결되어 M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륙장치, 탄성체, 번지코드, 풀링장치, 홀딩장치, 철탑, 송전선로
Description
도1은 종래의 이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2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이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2는 분해사시도.
도3은 결합사시도.
도4는 평면도.
도5는 측면도.
도6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이륙장치의 캐리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6은 사시도.
도7은 정면도.
도8은 후면도.
도9는 측면도.
도10 내지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이륙장치의 풀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10은 사시도.
도11은 평면도.
도12는 측면도.
도13 내지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이륙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이륙장치의 전방에 플랫폼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항공기 200 : 활주레일
210 : 로울러 220 : 받침부
221 : 활주레일 바퀴 230 : 홀더블록
240 : 고정바 300 : 캐리어
310 : 캐리어 갑판 320 : 캐리어 바퀴
330 : 고정돌기 340 : 스립바
350 : 클립홀 360 : 스톱로프링
400 : 탄성체 500 : 풀링로프
510 : 풀러 윈치 520 : 윈치 플레이트
530 : 풀러 플레임 540 : 풀러 바퀴
550 : 풀링 클립 600 : 스톱로프
본 발명은 송전선, 교량 또는 케이블카 등의 가선 공사에서의 와이어 연선공법에 적용되는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를 이륙시키는 발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를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 가능하도록 M형으로 신장하여 발사장력을 최대화함으로써, 이륙에 필요한 장치의 크기와 중량을 줄이고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시켜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이륙동작을 수행하는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이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선로공사의 전력선 가선을 위해서는 선행 작업으로 예정된 연선구간에 메신저(messenger) 와이어를 먼저 연결하고, 이 연결된 와이어를 이용해 전력선을 견인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먼저,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철탑과 철탑 사이의 경과지위에 인력으로 와이어를 펴고 와이어를 연결한 후에 와이어를 당기는 장치(puller)를 이용하여 철탑 상부로 올리는 인력연선 공법과, 헬기(helicopter)를 이용하여 철탑과 철탑 위의 공중에서 로프(rope)를 이용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와이어를 직접 연결하는 연선공법이 사용된다.
이때, 송전선로 공사의 경과지가 대부분 울창한 수목이 있는 산악지에 위치함에 따라 인력연선 공법은 지표면으로 장애물을 피해 구불구불 연결된 와이어를 공중으로 띄우기 위해 막대한 벌채 및 환경훼손이 불가피하므로, 대부분의 현장에서 헬기를 이용한 연선공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헬기를 이용한 연선공법은 헬기의 이착륙을 위한 주기장을 설치해야 하고, 헬기 운항에 따른 오일 탱커 등 보조 장비의 이동이 필요하며, 헬기의 계류지역에서 현장의 주기장까지 이동하여야 하므로 공사비용이 상승하는 원인이 되고, 헬기 운항에 따른 소음 및 프로펠러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에 의한 공사현장에서의 민원발생이 염려된다.
또한, 와이어나 로프를 매달고 운항 시 헬기의 추락위험이 있으며 기상상태에 따라 그 위험도는 증가하여 운항이 제한적이고, 헬기의 경우 비행금지구역에서의 운항이 제한되므로 작업효율이 저하되고 공사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3-0060003호에서 연선 공법에 적용되는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고정익기)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종래의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는 이륙을 위해 지상공간에 설치되는 별도의 이륙장치가 구비된다.
도1은 이러한 종래의 이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륙장치는 중앙에 항공기를 이송시키기 위한 활주레일(또는 이송레일)(200)이 구성된 발사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활주레일(200)상을 이동하는 캐리어(또는 항공기이송대)(300)를 구비하여 상기 발사대 전방의 양측에 연결되고 캐리어(300)에 결려져 전체적으로 Y형을 이루는 고무벨트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항공기를 이륙시킨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이륙장치는 항공기를 이륙에 필요한 추진력을 확보하기 위해 발사대의 너비와 활주레일의 길이가 소정 거리 이상 유지되어야 하고, 발사장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발사대의 너비 및 활주레일의 길이가 길어져야 하므로 이륙을 위해서는 별도의 소정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강한 추진력을 필요로 하거나 상대적으로 약한 추진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 등에 대해 고무벨트의 탄성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반하여, 활주레일의 길이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발사장력의 크기 조절이 원활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항공기의 이륙장치로 활주레일과 캐리어(항공기이송대)를 구비하고 발사장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를 상기 활주레일 전방의 양측과 캐리어에 전체적으로 M형을 이루도록 연결시켜 이륙을 위한 발사장력을 증가시키면서도, 별도의 발사대가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서 최소한의 필수장비 만으로 이륙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탄성체로 기존의 고무벨트에 비해 신장력이 뛰어난 번지코드를 사용하여 장치의 크기와 중량을 줄여도 보다 더 높은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이륙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캐리어가 이동하는 활주레일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여 발사장력의 크기를 간편하게 조절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이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이륙장치는 무선조정 항공기에 소정의 추진력을 작용하여 항공기를 이륙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이륙장치는 탄성력에 의해 항공기를 이송시키기 위한 활주레일, 항공기를 탑재하고 상기 활주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에 연결되어 이륙을 위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 활주레일에 결합되어 캐리어에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캐리어에 연결된 풀링로프를 당겨주기 위한 풀링장치 및 캐리어에 탑재된 항공기가 추진력에 의해 이동할 때 캐리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홀딩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체는 양 단부가 활주레일의 후미 양측에 고정되고, 활주레일의 전방 양측에 구비된 로울러를 지지점으로 내측으로 휘어져 캐리어의 전면과 연결되어 M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딩장치는 항공기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져 상하로 운동하며 항공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돌기, 상기 고정돌기를 하측방향으로 당겨주는 탄성스프링, 활주레일의 종착지점에 부착된 홀더블록에 의해 그 당겨지는 힘을 조절하는 홀더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풀링장치는 풀링로프의 일단에 연결된 풀링클립, 풀링로프가 감겨지는 풀러 윈치, 상기 풀러 윈치가 설치되는 윈치 플레이트 및 상기의 장치들이 탑재되어 활주레일의 후방 내측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풀러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윈치 플레이트가 활주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정도에 따라 항공기의 활주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선조정 항공기의 이륙방법은 무선조정 항공기에 소정의 추진력을 작용하여 항공기를 이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캐리어에 항공기를 탑재하고 고정돌기에 의해 고정시킨 상태에서 풀링로프를 감아 캐리어가 런칭 스타트 지점까지 견인되는 단계, 풀링클립을 풀림상태로 회전시켜 탄성체의 탄성력이 캐리어에 추진력으로 작용하여 캐리어가 활주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단계, 캐리어가 종착지점에 도달하여 홀더블록에 의해 홀더핸들이 작동되고 탄성스프링에 의해 고정돌기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돌기와 항공기의 결합이 해제되는 단계, 스톱로프에 의해 캐리어가 이동을 멈추고 항공기는 관성에 의해 캐리어 와 분리되어 양력을 받아 상측으로 이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이륙장치에 의해 이륙되는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100)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고정익기의 구성을 포함한다.
도2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이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2는 분해사시도, 도3은 결합사시도, 도4는 평면도, 도5는 측면도이다.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이륙 장치는 탄성체(400)에 의해 탄성력을 발생시켜, 발생된 탄성력이 항공기의 순간 추진력으로 작용하여 이륙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탄성력에 의해 항공기(100)를 이송시키기 위한 활주레일(또는 이송레일)(200)을 구성하고, 상기 활주레일(200)에 캐리어(또는 항공기이송대)(300)를 설치한다. 캐리어(300)에는 한 쌍의 캐리어 바퀴(32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캐리어 바퀴(320)가 활주레일(200)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활주레일(200)은 캐리어 바퀴(320)가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항공기(100)가 탑재된 캐리어(300)가 이륙 시 이동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한다. 이를 위해 활주레일(200)은 도4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된 한 쌍의 레일과 상기 한 쌍의 레일을 고정하는 전방과 후방에 구성된 한 쌍의 받침부(220)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부(220)에는 양측으로 활주레일의 이동을 원활하게 해주는 한 쌍으로 구성된 활주레일 바퀴(221)가 구비되고, 활주레일(200)을 구성하는 한 쌍의 레일의 간격은 캐리어 바퀴(320) 간의 간격에 대응된다.
캐리어(300)에 이륙을 위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400)는 양 단부가 활주레일(200)의 후미 양측에 고정되고, 활주레일(200) 전방 양측에 구비된 로울러(210)를 지지점으로 내측으로 휘어져 캐리어(300)의 전면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체(300)는 도4와 같이 전체적으로 M형을 이루게 되는데, 캐리어(300)가 로울러(210)의 위치로부터 멀어져 탄성체(400)가 M형에 보다 가깝게 될수록 탄성 체(400)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력이 커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연결된 탄성체(400)의 형상이 M형을 이루게 되면 종래의 Y형에 비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기준점이 증가하게 되므로 캐리어(300)에 2배 이상의 추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400)는 고무벨트 등 탄성을 지닌 물질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500% 신장 가능한 번지코드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활주레일(200)의 후미에는 탄성체(400)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바(240)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바(240)의 양측에 탄성체(400)의 양 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주레일(200)의 후방으로는 도2 및 도3과 같이 풀링장치가 필요에 따라 착탈 결합된다. 풀링장치에는 도5와 같이 일단이 캐리어(300) 후면에 연결된 풀링로프(500)가 감겨져, 이륙동작 준비 시 해당위치(런칭 스타트 지점)까지 캐리어(300)를 후방으로 당겨 캐리어(300)에 탄성력이 적용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6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이륙장치의 캐리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6은 사시도, 도7은 정면도, 도8은 후면도, 도9는 측면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륙장치로 탄성체(400)의 탄성력에 의해 활주레일(200) 상을 이동하는 캐리어(300)는 내부에 홀딩장치 등이 설치되는 본체,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항공기(100)가 탑재되는 캐리어 갑판(310),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캐리어 바퀴(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의 전면에는 도7과 같이 탄성체(400)와의 연결을 위한 스립바(340)가 구비된다. 상기 스립바(410)는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봉으로 구성되어, 양 단부가 활주레일(200)의 후미 양측에 고정되고 활주레일(200) 전방 양측의 로울러(210)를 지지점으로 내측으로 휘어져 들어온 탄성체(400)가 걸림으로써 연결된다. 이로써 이륙장치에 설치된 탄성체(400)는 전체적으로 M형을 이루게 된다.
본체의 후면에는 도8과 같이 탄성체(400)의 장력이 이륙에 필요한 소정의 추진력에 도달할 때까지 캐리어(300)를 견인하는 풀링장치에 감겨진 풀링로프(500)의 일단에 연결된 풀링클립(550)을 본체와 연결 및 분리하는 한쪽 방향이 긴 형태의 클립홀(350)이 구성된다. 상기 풀링클립(550)과 클립홀(350)의 분리 동작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풀링장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체의 양 측면에는 도8과 같이 이륙 시 활주레일(200)을 따라 전방으로 움직인 캐리어(300)가 항공기(100) 이륙 후에도 계속 전진하여 활주레일(200)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로프(600)가 연결되는 스톱로프링(3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톱로프(600)는 바람직하게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스톱로프링(360)에 연결되고 타단은 활주레일(200)과 연결된다.
본체의 내부에는 도9와 같이 캐리어 갑판(310)에 탑재된 항공기(100)가 전방으로 추진력이 발생하게 될 때, 캐리어(3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홀딩장치(또는 항공기 고정장치)가 구성된다. 이를 위해 항공기(100)의 저면에는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저면으로부터 끼워져 캐리어 갑판(310)을 통과하여 항공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돌기(33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돌 기(330)는 하측의 탄성스프링(331)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이 작용하며, 홀더핸들(332)에 의해 그 당겨지는 힘이 조절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캐리어 갑판(310)에 항공기(100)를 탑재한 채로 이륙을 위해 캐리어(300)가 활주레일(20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활주레일(200)의 종착점 직전(캐리어 스톱 지점)에 레일에 부착된 홀더블록(230)에 의해 홀더핸들(332)이 작동되고 탄성스프링(331)에 의해 고정돌기(330)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항공기(100)가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10 내지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이륙장치의 풀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10은 사시도, 도11은 평면도, 도12는 측면도이다.
도10 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레일(200)의 후방으로 결합되어 이륙을 위해 캐리어(300)를 견인하는 풀링장치는 일단에 풀링클립(550)이 연결된 풀링로프(500)가 감겨지는 풀러 윈치(510), 상기 풀러 윈치(510)가 설치되는 윈치 플레이트(520), 상기의 장치들이 탑재되어 활주레일(200)의 후방 내측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풀러 프레임(530) 및 풀러 프레임(530)의 하측에 결합된 한 쌍의 풀러 바퀴(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풀러 윈치(510)는 작업자가 풀링로프(500)를 감아 캐리어(300)를 후방으로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풀러 프레임(530)은 소정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된 한 쌍의 레일로 이루어져 후방 측으로 윈치 플레이트(520)가 설치되므로, 활주레일(200)과 결합되면 캐리 어(300)가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윈치 플레이트(520)가 활주레일(200)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정도에 따라 이륙 시 캐리어(300)의 이동거리, 즉 항공기(100)의 활주거리가 조절된다. 이렇게 활주거리의 조절로 탄성체(400)의 탄성력을 이륙환경이나 항공기(100)의 상태 등에 따라 유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풀링클립(550)은 풀링로프(500)에 의해 후방으로 견인된 캐리어(300)를 이륙을 위해 충분한 장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을 통해 분리하는 장치로, 일측으로는 풀링로프(500)가 연결되고 타측으로는 캐리어(300)에 구비된 클립홀(35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551)가 구성된다. 상기 삽입돌기(551)는 일단 삽입된 후 90ㅀ 회전하면 클립홀(350)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단면이 한쪽 방향이 긴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삽입돌기(551)가 클립홀(350)에서 빠져나오지 않는 상태를 잠금상태, 쉽게 빠져나오는 상태를 풀림상태라 한다. 이렇게 구성된 풀링클립(550)에는 바람직하게는 회전동작이 용이하도록 도와주는 회전바(55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 이륙장치의 동작과정을 도13 내지 도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3과 같이 활주레일(200) 상을 이동하는 캐리어(300)의 캐리어 갑판(310)에 항공기(100)를 얹고 고정돌기(330)를 동작시켜 캐리어(300)에 항공기(100)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스립바(410)에 탄성체(400)를 연결한 후 풀링장치를 이용하여 풀링로프(500)를 감아 풀링클립(550)이 잠금상태를 유치한 채로 캐리 어(300)를 런칭 스타트 지점까지 견인한다. 이때, 탑재되는 항공기(100)의 종류 및 상태 등에 따라 견인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캐리어(300)가 탄성체(400)와 함께 당겨지면서 탄성체(400)에 의해 탄성력(발사장력)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무선원격조정장치를 이용하여 항공기 엔진에 시동을 걸어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이륙시킬 준비를 마친 후, 도14와 같이 풀링클립(550) 풀림상태로 회전시켜 캐리어(300)를 런칭시킨다. 이로써 탄성체(400)에 작용하는 탄성력이 캐리어(300)에 추진력으로 작용하여 캐리어(300)가 활주레일(200)을 따라 전방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때, 견인력에 따라 캐리어(300)의 활주속도는 가변적이며 바람직하게는 시속 150km 내지 시속 200km가 된다.
이후, 전방으로 이동한 캐리어(300)가 홀더블록(230)이 부착된 위치 캐리어 스톱 지점에 도달하면, 도15와 같이 홀더블록(230)에 의해 홀더핸들(332)이 작동되고 탄성스프링(331)에 의해 고정돌기(330)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돌기(330)로부터 항공기(100)의 결합이 해제된다.
계속해서 활주레일(200)의 전방까지 이동한 캐리어(300)는 양측에 구비된 스톱로프링(360) 및 활주레일(200)과 연결된 스톱로프(600)에 의해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여 이동을 멈추게 되면서, 도16과 같이 항공기(100)는 관성에 의해 캐리어 갑판(310)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된 후, 자체 프로펠러의 바람과 캐리어(300)의 고속 활주로 인한 양력을 받아 상측으로 이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톱로프링(360)에 의해 캐리어(300)는 활주레일(200)을 이탈하지 않고 안전하게 멈추게 된다.
이러한 이륙동작은 탄성체(400)에 신장력이 뛰어난 번지코드를 적용하고 활주레일(200)과 캐리어(300)를 비롯한 최소한의 장비만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륙환경에 따라 견인력 및 이륙속도의 조절이 용이하기 때문에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항공기를 이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이륙장치는 일반적으로 평면상에 설치하게 되지만, 위치가 불안정하거나 추진력을 보다 높이기 위해 도17과 같이 활주레일(200)의 전방에 플랫폼(700)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누구나 수정 및 변환 실시가 가능한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를 상기 활주레일 전방의 양측과 캐리어에 전체적으로 M형을 이루도록 연결시켜 좁은 공간에서도 이륙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된다.
또한, 탄성체로 신장력이 뛰어난 번지코드를 사용하여 장치의 크기와 중량을 줄여도 보다 더 높은 추진력이 발생된다.
또한, 활주레일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므로, 견인력의 크기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Claims (6)
- 무선조정 항공기에 소정의 추진력을 작용하여 항공기를 이륙시키는 장치에 있어서,이륙장치는 탄성력에 의해 항공기를 이송시키기 위한 활주레일, 항공기를 탑재하고 상기 활주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에 연결되어 이륙을 위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 활주레일에 결합되어 캐리어에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캐리어에 연결된 풀링로프를 당겨주기 위한 풀링장치 및 캐리어에 탑재된 항공기가 추진력에 의해 이동할 때 캐리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홀딩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상기 탄성체는 양 단부가 활주레일의 후미 양측에 고정되고, 활주레일의 전방 양측에 구비된 로울러를 지지점으로 내측으로 휘어져 캐리어의 전면과 연결되어 M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이륙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탄성체는 번지코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이륙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홀딩장치는 항공기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져 상하로 운동하며 항공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돌기, 상기 고정돌기를 하측방향으로 당겨주는 탄성스프링, 활주레일의 종착지점에 부착된 홀더블록에 의해 그 당겨지는 힘을 조절하는 홀더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이륙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풀링장치는 풀링로프의 일단에 연결된 풀링클립, 풀링로프가 감겨지는 풀러 윈치, 상기 풀러 윈치가 설치되는 윈치 플레이트 및 상기의 장치들이 탑재되어 활주레일의 후방 내측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풀러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윈치 플레이트가 활주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정도에 따라 항공기의 활주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이륙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풀링클립은 일측으로는 풀링로프가 연결되고 타측으로는 캐리어의 후면에 형성된 클립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구성되되,상기 삽입돌기는 삽입 후 회전하면 클립홀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단면이 한쪽 방향이 긴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이륙장치.
- 무선조정 항공기에 소정의 추진력을 작용하여 항공기를 이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a)캐리어에 항공기를 탑재하고 고정돌기에 의해 고정시킨 상태에서 풀링로프를 감아 캐리어가 런칭 스타트 지점까지 견인되는 단계,(b)풀링클립을 풀림상태로 회전시켜 탄성체의 탄성력이 캐리어에 추진력으로 작용하여 캐리어가 활주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단계,(c)캐리어가 종착지점에 도달하여 홀더블록에 의해 홀더핸들이 작동되고 탄성스프링에 의해 고정돌기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돌기와 항공기의 결합이 해제되는 단계,(d)스톱로프에 의해 캐리어가 이동을 멈추고 항공기는 관성에 의해 캐리어 와 분리되어 양력을 받아 상측으로 이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이륙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0596A KR100792638B1 (ko) | 2006-04-04 | 2006-04-04 |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이륙장치 및 이를 이용한이륙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0596A KR100792638B1 (ko) | 2006-04-04 | 2006-04-04 |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이륙장치 및 이를 이용한이륙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99309A true KR20070099309A (ko) | 2007-10-09 |
KR100792638B1 KR100792638B1 (ko) | 2008-01-09 |
Family
ID=38804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30596A KR100792638B1 (ko) | 2006-04-04 | 2006-04-04 |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이륙장치 및 이를 이용한이륙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92638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3616A (ko) | 2016-12-02 | 2018-06-12 | 김성남 | 무인 비행체용 이륙 보조장치 |
CN109229414A (zh) * | 2018-10-17 | 2019-01-18 | 中卫航空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小微型无人机作战发射装置 |
KR20190020282A (ko) | 2017-08-17 | 2019-02-28 | 주식회사 엘에스엘시스템즈 | 이륙 보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인 비행 장치 |
CN112319837A (zh) * | 2020-11-24 | 2021-02-05 | 中国航天空气动力技术研究院 | 一种水下无人机弹射装置 |
CN113734457A (zh) * | 2021-09-03 | 2021-12-03 | 沃飞长空科技(成都)有限公司 | 弹射器 |
CN114426099A (zh) * | 2021-12-30 | 2022-05-03 | 中国航天空气动力技术研究院 | 一种单兵察打一体化无人机 |
CN114537695A (zh) * | 2020-11-19 | 2022-05-27 | 海鹰航空通用装备有限责任公司 | 一种用于中小型无人机的通用型弹射架 |
CN114572415A (zh) * | 2022-01-24 | 2022-06-03 |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空天技术研究所 | 一种用于飞行器起飞的发射装置与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2816B1 (ko) | 2009-06-09 | 2012-06-12 | 정운규 | 비행체 발사기 |
KR100978337B1 (ko) | 2010-03-24 | 2010-08-26 | 아주실업(주) |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17635Y1 (ko) * | 1994-12-24 | 1998-06-01 | 석진철 | 비행체의 이탈촉진장치 |
US6457673B1 (en) * | 2000-08-16 | 2002-10-01 | Aai Corporation | Mobile aircraft launcher |
KR100505412B1 (ko) | 2003-08-28 | 2005-08-02 | 김주은 | 무선조종 소형항공장치 |
-
2006
- 2006-04-04 KR KR1020060030596A patent/KR10079263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3616A (ko) | 2016-12-02 | 2018-06-12 | 김성남 | 무인 비행체용 이륙 보조장치 |
KR20190020282A (ko) | 2017-08-17 | 2019-02-28 | 주식회사 엘에스엘시스템즈 | 이륙 보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인 비행 장치 |
CN109229414A (zh) * | 2018-10-17 | 2019-01-18 | 中卫航空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小微型无人机作战发射装置 |
CN114537695A (zh) * | 2020-11-19 | 2022-05-27 | 海鹰航空通用装备有限责任公司 | 一种用于中小型无人机的通用型弹射架 |
CN112319837A (zh) * | 2020-11-24 | 2021-02-05 | 中国航天空气动力技术研究院 | 一种水下无人机弹射装置 |
CN113734457A (zh) * | 2021-09-03 | 2021-12-03 | 沃飞长空科技(成都)有限公司 | 弹射器 |
CN114426099A (zh) * | 2021-12-30 | 2022-05-03 | 中国航天空气动力技术研究院 | 一种单兵察打一体化无人机 |
CN114572415A (zh) * | 2022-01-24 | 2022-06-03 |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空天技术研究所 | 一种用于飞行器起飞的发射装置与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92638B1 (ko) | 2008-0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92638B1 (ko) |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이륙장치 및 이를 이용한이륙방법 | |
US10843817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recovering and controlling post-recovery motion of unmanned aircraft | |
US5497962A (en) | Mooring tower assembly for a lighter-than-air vehicle | |
US9783322B2 (en) | Electric unmanned aerial vehicle launcher | |
US8430049B1 (en) | Launch and recovery systems and methods | |
EP2342129B1 (en) | Sliding frame aircraft launcher and related method | |
US20190071176A1 (en) | Parasail-assisted systems and methods for launching and retrieving a fixed-wing aircraft into and from free flight | |
US9708077B2 (en) | UAV take-off method and apparatus | |
KR20170087340A (ko) | 드론을 이용한 전력선 연선 시스템 및 방법 | |
JP4889533B2 (ja) | 延線ロープの張設方法 | |
RU2715682C1 (ru) | Робототех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и способ его эксплуатации на высотных объектах, относящихся к электроэнергетике и радиосвязи | |
JP2008126907A (ja) | 航空機の発進方法及び発進装置 | |
CN207311838U (zh) | 一种无人机空投平台 | |
JPH06276634A (ja) | 架線のメッセンジャワイヤ延線方法及びその装置 | |
RU2339548C1 (ru) |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ерживания летательных аппаратов легче воздуха | |
US4487395A (en) | Apparatus for stringing power lines across supporting towers | |
KR100505412B1 (ko) | 무선조종 소형항공장치 | |
KR100523762B1 (ko) | 가설용 와이어 연선 시스템 | |
AU2015275315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recovering and controlling post-recovery motion of unmanned aircraft | |
KR100632056B1 (ko) | 가공선 가설용 자주기 | |
CN205770198U (zh) | 一种小型无人机弹射挂钩 | |
CN118145018A (zh) | 一种改变空间物体绕星体轨道高度的方法和系统 | |
Mackey | Mechanical Handling of Airship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1206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