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1651A - 이동통신단말기의 긴급 발신 통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긴급 발신 통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71651A KR20070071651A KR1020050135319A KR20050135319A KR20070071651A KR 20070071651 A KR20070071651 A KR 20070071651A KR 1020050135319 A KR1020050135319 A KR 1020050135319A KR 20050135319 A KR20050135319 A KR 20050135319A KR 20070071651 A KR20070071651 A KR 200700716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emergency
- terminal
- firmware upd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OTA를 이용한 펌웨어 업데이트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도 긴급 발신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긴급 발신 통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긴급 발신 통화 방법은 발신 관련 바이너리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외장 메모리가 이동통신단말기의 일측에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긴급 발신 통화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을 켜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기 전에 수행되었던 펌웨어 업데이트 과정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와, 펌웨어 업데이트 과정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는 경우, 상기 외장 메모리로부터 상기 발신 관련 바이너리 파일을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RAM에 로딩시키는 단계와, 상기 발신 관련 바이너리 파일을 이용하여 발신에 요구되는 태스크를 초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신, 통화, 긴급, FOTA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 발신 통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긴급 발신 통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이동통신단말기 101 : 단말 제어부
102 : 무선 송수신부 103 : 긴급통화 처리모듈
104 : GPIO 105 : 안테나
110 : 메모리부 111 : RAM
112 : ROM 120 : 외장 메모리
130 : FOTA 서버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긴급 발신 통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FOTA를 이용한 펌웨어 업데이트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도 긴급 발신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긴급 발신 통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산업의 발달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급속한 신장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동통신단말기를 휴대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의 다양한 기능 향상 요구에 부응하여 이동 무선 전화통신 기능 이외에 음악 파일의 재생, 무선 인터넷 등의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제반 하드웨어 및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펌웨어(firmware)라는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가 요구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최근 이동통신단말기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됨에 따라 펌웨어 역시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펌웨어의 업데이트 필요성은 부가 기능의 추가 이외에 기존 오류의 해결을 위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기도 한다.
이러한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단말기 제조업체의 A/S 센터를 방문하여 신규 펌웨어를 공급받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무선 통신을 통해 신규 펌웨어를 다운로드받는 이른바, OTA(Over The Air) 방식이 있다. 전자의 경우, 단말기 사용자가 직접 A/S 센터를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최근에는 FOTA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FOTA를 진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펌웨어의 업데이트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의도되지 않은 외부 환경 예를 들어, 배터리 완전 방전, 사용자의 실수로 인한 단말기의 파워 오프, FOTA 서버의 오동작 등에 의해 FOTA 과정이 중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기를 재부팅하게 되면 정상적인 부팅 과정(boot-up process)을 거쳐 대기(idle)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 아니라 FOTA 서버와 재연결하여 중단된 FOTA 과정을 다시 수행하게 된다. 즉, 펌웨어의 업데이트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으면 단말기의 재부팅시 대기 상태로의 전환은 불가능하게 된다.
단말기가 부팅 과정을 거쳐 대기 상태로 전환하지 못하게 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본적인 기능인 이동 무선 전화통신 역시 불가능하게 되어 긴급 상황시 큰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FOTA를 이용한 펌웨어 업데이트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도 긴급 발신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긴급 발신 통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긴급 발신 통화 방법은 발신 관련 바이너리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외장 메모리가 이동통신단말기의 일측에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긴급 발신 통화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을 켜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기 전에 수행되었던 펌웨어 업데이트 과정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와, 펌웨어 업데이트 과정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는 경우, 상기 외장 메모리로부터 상기 발신 관련 바이너리 파일을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RAM에 로딩시키는 단계와, 상기 발신 관련 바이너리 파일을 이용하여 발신에 요구되는 태스크를 초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과정이 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에는 부팅 과정을 진행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대기 상태로 전환시킨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펌웨어 업데이트 과정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는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이 켜지게 되면 종래와 같이 자동적으로 펌웨어 업데이트 과정을 재개하는 것이 아니라, 발신 관련 바이너리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외장 메모리를 이용하여 긴급 발신 통화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긴급 상황시 효과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긴급 발신 통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 발신 통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긴급 발신 통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긴급 발신 통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은 크게 FOTA(Firmware Over The Air) 서버(130)와 이동통신단말기(100)로 구성된다. 상기 FOTA 서버(130)는 특정의 이동통신단말기들과 통신연결관계를 맺어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펌웨어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고 그에 상응한 펌웨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단말 제어부(101), 무선 송수신부(102), 메모리부(110) 및 긴급통화 처리모듈(103)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말 제어부(101)는 이동통신단말기를 구성하는 제반 구성요소와 소정의 통신연결관계를 맺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수행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무선 송수신부(102)는 안테나(105)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 예를 들어, 상기 FOTA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펌웨어 데이터 등을 상기 단말 제어부(101)로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 제어부(101)로부터 발생된 호 신호를 안테나(105)를 통해 기지국 또는 FOTA 서버(13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부(110)는 세부적으로, ROM(Read Only memory)(112)과 RAM(Random Access Memory)(111)으로 구성된다. 상기 ROM(112)에는 소정의 파일 시스템이 구비되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운영 체계의 코드가 탑재되며 비휘발성 메모리인 EEPROM(112)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RAM(111)은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며 또한,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부팅시 부트 로더(boot loader)의 실행에 의해 상기 ROM(112)으로부터 복사된 코드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코드 영역이 구비된다.
상기 긴급통화 처리모듈(103)은 상기 단말 제어부(101)의 제어 하에 후술하는 외장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는 발신 관련 바이너리 파일을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pin)(104)를 통해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메모리부(110)의 RAM(111)에 저장시키고, 발신 통화를 위한 최소한의 태스크(task)를 초기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긴급통화 처리모듈(103)은 상기 단말 제어부(101)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말 제어부(101)는 구체적으로 MSM(Mobile Station Modul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GPIO(104)를 매개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외장 메모리(120)가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다. 상기 외장 메모리(120)에는 발신 통화에 관련된 바이너리 파일이 저장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 즉, 본 발명에 따른 긴급 발신 통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을 켠다(S201). 단말기의 전원이 켜지면 상기 단말 제어부(101)는 상기 메모리부(110)의 펌웨어 업데이트 상황을 체크하여 일련의 펌웨어 업데이트 과정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2).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기 전에 수행되었던 펌웨어 업데이트 과정이 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 통상적인 부팅 과정(boot-up process) 즉, 중앙제어장치 초기화 과정, RAM(111) 초기화 과정, 하드웨어 초기화 과정, 태스크 초기화 과정 등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이동통신단말기는 대기(idle) 상태로 전환된다(S203). 반면,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기 전에 수행되었던 펌웨어 업데이트 과정이 정상적으로 종료 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 제어부(101)는 이동통신단말기의 GPIO(104)에 외장 메모리(120)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S204).
GPIO(104)에 외장 메모리(120)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면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펌웨어 업데이트 과정을 재개한다(S205). 즉, 상기 FOTA 서버(130)로부터 펌웨어 데이터를 다운로드받는 과정을 진행한다. 한편, 상기 GPIO(104)에 외장 메모리(120)가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단말 제어부(101)의 제어 하에 상기 긴급통화 처리모듈(103)이 상기 외장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는 발신 관련 바이너리 파일을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메모리부(110)의 RAM(111)에 로딩(loading)시킨다(S206). 이 때, 상기 발신 관련 바이너리 파일은 블록(block) 단위로 추출 가능하며 추출된 발신 관련 바이너리 파일은 임시 버퍼(temporary buffer) 등에 담아 상기 RAM(111)에 로딩시킬 수 있다.
상기 발신 관련 바이너리 파일이 상기 RAM(111)에 로딩된 상태에서 상기 긴급통화 처리모듈(103)은 상기 발신 관련 바이너리 파일을 이용하여 발신 통화에 요구되는 최소한의 태스크(task)를 초기화시킨다(S207). 이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는 발신 통화가 가능한 상태 이른바, 긴급통화 상태로 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발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소정의 발신 과정이 진행된다(S208)(S209).
한편, 상기와 같은 긴급통화 상태에서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하고 재부팅하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단계 S202 즉, 펌웨어 업데이트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로 돌아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긴급 발신 통화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펌웨어 업데이트 과정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는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이 켜지게 되면 종래와 같이 자동적으로 펌웨어 업데이트 과정을 재개하는 것이 아니라, 발신 관련 바이너리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외장 메모리를 이용하여 긴급 발신 통화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긴급 상황시 효과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 발신 관련 바이너리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외장 메모리가 이동통신단말기의 일측에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긴급 발신 통화 방법에 있어서,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을 켜는 단계;상기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기 전에 수행되었던 펌웨어 업데이트 과정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펌웨어 업데이트 과정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는 경우, 상기 외장 메모리로부터 상기 발신 관련 바이너리 파일을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RAM에 로딩시키는 단계;상기 발신 관련 바이너리 파일을 이용하여 발신에 요구되는 태스크를 초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긴급 발신 통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과정이 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에는 부팅 과정을 진행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대기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긴급 발신 통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35319A KR20070071651A (ko) | 2005-12-30 | 2005-12-30 | 이동통신단말기의 긴급 발신 통화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35319A KR20070071651A (ko) | 2005-12-30 | 2005-12-30 | 이동통신단말기의 긴급 발신 통화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71651A true KR20070071651A (ko) | 2007-07-04 |
Family
ID=38506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35319A Withdrawn KR20070071651A (ko) | 2005-12-30 | 2005-12-30 | 이동통신단말기의 긴급 발신 통화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71651A (ko) |
-
2005
- 2005-12-30 KR KR1020050135319A patent/KR20070071651A/ko not_active Withdra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66224B1 (ko) | 무선 이동 단말기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 |
US9191479B2 (en) | Telephone handset, base and associated method for updating the software of the handset | |
CN101729653B (zh) | 用于无线移动站的Delta基空中下载软件升级的系统和方法 | |
US8868065B2 (en) |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for push messaging | |
CA2548227A1 (en) | Mobile device programming system and method | |
KR20110073374A (ko) |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사용하는 무선 광역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 관리 방법, 머신-판독 가능한 매체 및 컴퓨팅 장치 | |
CN102665010A (zh) | 移动终端和通话方法 | |
KR100678023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팅시간 단축 방법 | |
CN105263181A (zh) | 一种移动终端基于wifi的文件下载方法及系统 | |
KR20080025957A (ko) | 휴대용 단말기에서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 |
KR100841510B1 (ko) | 무선 통신 장치를 위한 모듈식 데이터 구성요소 | |
KR101012216B1 (ko) |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
JP2007336229A (ja) |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 |
KR20070071651A (ko) | 이동통신단말기의 긴급 발신 통화 방법 | |
CN111132097B (zh) | 无线模块的驱动方法及装置、无线模块、终端及存储介质 | |
KR101181758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팩토리 리셋 방법 | |
KR100709601B1 (ko) | 심카드 선택적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 단말기 | |
KR100636518B1 (ko) | 이동통신단말기의 펌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 |
KR101200236B1 (ko) | 무선인터넷 플랫폼의 레이지 로딩 기능이 구비된 단말장비및 그 제어방법 | |
KR100588199B1 (ko) | 휴대 단말기에서 프로그램 다운로드 실패시 이의 복구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 단말기 | |
CN101282548B (zh) | 一种基于Windows Mobile操作系统设置音量的方法及设备 | |
CN112351465B (zh) | 网络模式切换方法和装置 | |
KR101250240B1 (ko) | 정보공유 휴대단말기 | |
KR100603579B1 (ko) | 원격지에서 소프트웨어 패키지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 |
KR100620732B1 (ko) | 이동통신 단말기 및 부팅 처리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