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3828A - Automatic volume level correction device and method - Google Patents
Automatic volume level correction device and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63828A KR20070063828A KR1020050124077A KR20050124077A KR20070063828A KR 20070063828 A KR20070063828 A KR 20070063828A KR 1020050124077 A KR1020050124077 A KR 1020050124077A KR 20050124077 A KR20050124077 A KR 20050124077A KR 20070063828 A KR20070063828 A KR 200700638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ume level
- output
- level
- volume
- measuring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 H04M19/04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according to the level of ambient nois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휴대용 통신장치의 자동 음량레벨 보정장치는 스피커와 주변의 소음 크기를 측정하는 음량 레벨 측정장치와 음량레벨 측정장치의 입력에 따라 스피커 출력의 음량 레벨을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주변환경의 소음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착신음, 통화음, 효과음 등의 음량레벨을 조절한다. The automatic volume level correction device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a volume level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loudness of the speaker and the surrounding noise, and a controller for correcting the volume level of the speaker outpu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volume level measuring device. It automatically adjusts the volume level such as ring tone, call sound and sound effe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그리고2 is a block diagram showing some components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An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음량레벨 보정방법을 보여주는 절차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omatic volume level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휴대용 통신장치 10: 음량레벨 측정장치1: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 volume level measurement device
11: 마이크 13: 앰프(증폭기)11: microphone 13: amplifier
30: 제어부 31: 코덱30: control unit 31: codec
33: 보코더 35: 마이크로 프로세서33: Vocoder 35: Microprocessor
50: 스피커 70: 키패드50: speaker 70: keypad
90: 송수신부90: transceiver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음량 레벨을 보정할 수 있는 휴대용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correct the volume level.
핸드폰(Cellular Phone) 등의 휴대용 통신기기에서 벨소리 또는 통화음과 같은 음량 레벨은 사용자가 일정한 레벨로 설정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음량 레벨이 일정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소음 등의 주변환경에 따라 사용자에게 소리가 크게 전달되기도 하고 작게 전달되기도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주변환경에 따라 휴대용 통신기기의 음량을 매번 다르게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cellular phone, a volume level such as a ring tone or a call sound is set by the user at a constant level. However, even when the volume level is set to a constant size, the sound may be delivered to the user in a large or small amount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noise. Therefore, the user is troublesome to set the volume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differently every tim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환경에 따라 휴대용 통신기기의 음량을 매번 다르게 설정해야 하는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자동 음량 레벨 보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volume level correction device and method that can reduce the user's hassle to set the volume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differently each tim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구성)(Configur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휴대용 통신장치의 자동 음량레벨 보정장치는 스피커와, 주변의 소음 레벨을 측정하는 음량레벨 측정장치와 상기 음량레벨 측정장치의 출력에 따라 상기 스피커 출력의 음량레벨을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volume level correction device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s a speaker, a volume level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ambient noise level and the volume level measuring device And a controller for correcting the volume level of the speaker output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speak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량 레벨 측정장치는 주변 소음을 수집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의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기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ume level measuring device includes a microphone for collecting ambient noise and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output of the micropho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량 레벨 측정장치의 출력을 샘플링 및 양자화하는 코덱; 상기 코덱의 출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보코더; 그리고 상기 보코더의 출력으로부터 음량 레벨을 측정하고 상기 스피커 출력의 음량 레벨을 가감할 보정치를 산출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odec for sampling and quantizing the output of the volume level measuring device; A vocoder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the codec into a digital signal; And a microprocessor for measuring a volume level from the output of the vocoder and calculating a correction value to add or subtract the volume level of the speaker output.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음량 레벨 보정방법은 음량 레벨 자동보정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주변소음의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주변소음 레벨에 따라 음량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 지정 음량 레벨을 상기 음량 보정치 만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volume level correction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the volume level automatic correction; Measuring the level of ambient noise; Calculating a volume correction value according to the ambient noise level; And changing the user specified volume level by the volume correction valu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량 레벨은 착신음, 통화음, 그리고 효과음의 음량 레벨이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ume level is the volume level of the incoming call, the call sound, and the effect sound.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한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aggerat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element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means the same element.
일반적으로 핸드폰 등의 휴대용 통신장치에서 사용자는 착신(전화가 왔음)을 알리기 위한 벨소리의 종류와 크기, 그리고 통화시 수화음 및 키패드 조작음 등의 경고음, 알림 서비스를 위한 효과음 등의 종류와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소리를 일정한 레벨로 설정해 놓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느끼는 소리의 크기는 주변환경의 잡음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장소, 시간 등의 주변환경에 따라 수시로 음량 레벨을 변경해 주어야하는데 번거로움을 제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In general, 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user may select a type and size of a ring tone for an incoming call (call), a warning sound such as a handset sound and a keypad operation sound during a call, and an effect sound for a notification service. Can be set. Even when the various sounds are set at a constant level, the volume of the sound felt by the user varies depending on the nois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fore, the user should change the volume level from time to tim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place, time, etc. In order to eliminate the hassle, the following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통신장치(1)는 예를 들면 핸드폰(Cellular Phone) 등으로서, 음량레벨 측정장치(10), 제어부(30), 스피커(50), 키패드(70) 그리고 안테나(91)와 연결된 송수신부(90)를 포함한다. 송수신부(90)는 기지국(도시되지 않음) 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제어부(30)에 전달한다. 키패드(70)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인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음량레벨 측정장치(10)는 휴대용 통신장치(1)가 사용되는 주변환경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마이크(11)와 앰프(13)를 포함한다. 마이크(11)는 주변환경에서 발생되는 잡음, 음성 등의 소리를 수집하여 앰프(13)로 전달한다. 앰프(13)는 마이크(11)에서 출력되는 소리 신호를 증폭하여 제어부(10)로 보낸다. 여기서, 앰프(13) 대신에 소리 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제어부(10)로 전달하는 버퍼를 사용할 수도 있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some components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2, the volume
제어부(30)는 코덱(CODEC, 31), 보코더(VOCODER, 33),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35)를 포함한다. 음량레벨 측정장치(10)의 앰프(13)로부터 출력된 소리 신호는 코덱(31)에서 8Kbit/sec 도는 13Kbit/sec 의 속도로 샘플링되고 양자화 된 후 PCM 신호의 형태로 보코더(33)에 입력된다. 음성을 코딩하는 방법은 파형부호화기(Waveform codec)와 음원부화화기(Source codec), 및 혼성부호화기(Hybrid codec)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파형부호화기는 PCM 등을 포함하며 음성파형을 변조하는 방식으로, 복원된 음성신호가 원 신호에 가깝게 보이도록 원음과 동일한 파형의 재생을 목적으로 한다. PCM 신호는 레벨 정보 등의 소리 신호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The
보코더(VOCODER)는 음성을 전송에 적합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를 말한다. 보코더(33)는 디지털화된 소리 신호를 전송하기 적합한 형태로 압축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35)로 전달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35)는 입력되는 보코더(33)의 출력인 압축된 PCM 신호로부터 주변환경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리의 레벨을 측정하여 스피커(50)로 출력되는 음량의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보정치(△)를 산출한다. A VOCODER is a device that converts voice into a digital signal suitable for transmission. The
보정치(△)는 주변변경의 소음의 레벨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휴대용 무선 통신장치(1)의 음량 레벨(벨소리, 통화음, 효과음 등의 레벨)에 가감되는 값이다. 보정치(△)는 사용자 환경시험(Field Test)를 통해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값은 테이블화하여 제어부(30)내의 저장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될 수 있다. The correction value Δ is a value added to or subtracted from the volume level of the portable
도 2에서는 제어부 내에 코덱(31)과 보코더(33)가 포함된 경우를 예시하였으 나, 이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음량 레벨 측정장치(10)의 출력은 바로 마이크로 프로세서(35)로 전달된다. In FIG. 2, a case in which th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음량레벨 보정방법을 보여주는 절차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으로부터 호 연결 요구(통화 연결 요구) 신호가 휴대용 통신장치(1)의 안테나(91) 및 송수신부(90)를 통해 제어부(30)에 전달되면(S10), 제어부는 착신음(벨소리)를 스피커(50)를 통해 출력하기 전에 벨소리 자동 보정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사용자가 벨소리 자동보정기능을 설정해 놓은 경우 제어부(30)는 자동 보정 절차를 수행한다(S50). 즉, 제어부(30)는 음량 레벨 측정장치(10)를 호출하고 음량 레벨 측정장치(10)는 주변환경의 소음 등을 감지한다(S51). 제어부(30)는 음량 레벨 측정장치(10)의 출력으로부터 보정치(△)를 산출하고(S53), 사용자가 설정한 음량 레벨에 보정치(△)를 합산하여 착신음의 출력레벨을 변경한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omatic volume level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when a call connection request (call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이어서 호를 연결한 후(S70), 통화음 자동 보정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자동 보정 절차를 수행한다(S110). 보정치(△)가 산출되면 지정 수화음 레벨에 보정치(△)를 합산하여 통화음의 출력레벨을 변경하고 송수화 패스를 연결한다(S130). Subsequently, after the call is connected (S7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utomatic call tone correction function is set, and the automatic correction procedure is performed (S110). When the correction value (△) is calculated, the correction value (△) is added to the designated sign language level to change the output level of the call sound and the handset path is connected (S130).
도 3에서는 주변소음 측정을 벨소리 출력전과 송수화 패스를 연결하기 전에 각각 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벨소리 출력 전에 측정하여 벨소리와 통화음 보정에 각각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실제 통화가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송수와 패스는 일정한 주기로 열림과 닫힘을 반복하므로 송수화 패스가 닫히는 시간 동안 제어 부(30)가 자동 보정절차를 수행하여 실시간으로 음량 레벨을 보정할 수도 있다.In FIG. 3, the ambient noise measurement is performed before the ringtone output and before the handset pass is connected, respectively. However, the measurement of the ambient noise may be applied before the ringtone and the call sound correction. In addition, since the handset and the pass repeat the opening and closing at regular intervals even during the actual call, the
도 3에서는 효과음의 레벨을 보정하는 절차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착신음이나 수화음의 경우와 동일하게 보정될 수 있다. In FIG. 3, the procedure for correcting the level of the effect sound is not shown, but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correct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incoming call or the sign language.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환경에 따라 휴대용 통신장치의 음량 레벨이 다르게 들리는 경우에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음량 레벨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정한 레벨의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olume level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s differently hear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user can hear the sound of a certain level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volume level without the user's separate operation.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4077A KR20070063828A (en) | 2005-12-15 | 2005-12-15 | Automatic volume level correction device and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4077A KR20070063828A (en) | 2005-12-15 | 2005-12-15 | Automatic volume level correction device and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63828A true KR20070063828A (en) | 2007-06-20 |
Family
ID=38363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24077A Withdrawn KR20070063828A (en) | 2005-12-15 | 2005-12-15 | Automatic volume level correction device and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63828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0938B1 (en) * | 2013-04-26 | 2015-05-18 | 미디어젠(주) | Method for loudness measurement using statistical characteristic of loudness level |
-
2005
- 2005-12-15 KR KR1020050124077A patent/KR20070063828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0938B1 (en) * | 2013-04-26 | 2015-05-18 | 미디어젠(주) | Method for loudness measurement using statistical characteristic of loudness leve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69768B1 (en) | Techniques for controlling speaker volume of a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 |
JP3225918B2 (en) | Mobile terminal device | |
US8363820B1 (en) | Headset with whisper mode feature | |
KR20090094330A (en) | Methods and devices for adaptive ringtone generation | |
KR100608820B1 (en) | How to adjust volume of mobile terminal | |
US20100311405A1 (en) | Mobile ph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lume of mobile phone | |
US7023984B1 (en) | Automatic volume adjustment of voice transmitted over a communication device | |
CN101478587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telephone handsfree system | |
JP2002223268A (en) | Voice control device and mobile telephone using the same | |
JP2012095047A (en) | Speech processing unit | |
CN109040473B (en) | Terminal volume adjusting method and system and mobile phone | |
KR20070063828A (en) | Automatic volume level correction device and method | |
JPH11239093A (en) |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 |
KR101062344B1 (en) | Audio output automatic control device and method | |
WO2007019547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amplitude feedback in a communications device | |
KR20080015970A (en) | How to eliminate the howling phenomenon conside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ound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the same | |
JP2004165865A (en) | Telephone set and received tone volume adjustment method | |
US7890142B2 (en) | Portable telephone sound reproduction by determined use of CODEC via base station | |
JP3033700B2 (en) | Mobile phone | |
KR20100082961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received voice signal in mobile terminal | |
JPH08163209A (en) | Portable wireless device | |
KR20000056077A (en) | Automatic Gain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Voice signal amplifier | |
KR19980041437A (en) | Mobile terminal with automatic adjustment of received volume according to noise level | |
KR960043556A (en) | Automatic reception level adjusting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microphone input level | |
KR100662427B1 (en) | Mobile terminal providing improved sound quali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