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70062681A -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2681A
KR20070062681A KR1020050122359A KR20050122359A KR20070062681A KR 20070062681 A KR20070062681 A KR 20070062681A KR 1020050122359 A KR1020050122359 A KR 1020050122359A KR 20050122359 A KR20050122359 A KR 20050122359A KR 20070062681 A KR20070062681 A KR 20070062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unit
unit pixe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2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욱철
박철우
조재현
홍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2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2681A/ko
Priority to US11/548,539 priority patent/US20070132707A1/en
Publication of KR20070062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68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09G3/342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the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being distributed in two dimensions, e.g.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35Field-sequential colour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46Modulation of illumination source brightness and image signal correlated to each oth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영상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이 개시된다.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어셈블리, 광발생유닛 및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표시패널 어셈블리는 복수의 단위화소들로 이루어져, 영상을 표시한다. 광발생유닛은 표시패널 어셈블리의 하부에 배치되어 표시패널 어셈블리로 광을 제공하며, 단위화소들과 대응되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들을 구비한다. 제어유닛은 표시패널 어셈블리 및 광발생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위화소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고, 발광다이오드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이와 같이, 표시패널의 단위화소들 및 발광다이오드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명암비를 향상시킴으로써, 영상의 표시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유닛, 구동회로, 발광다이오드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장치 중 발광다이오드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장치 중 발광다이오드 및 단위화소와의 대응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표시패널 110 : 제1 기판
112 : 단위화소 120 : 제2 기판
130 : 액정층 140 : 인쇄회로기판
150 : 연성회로필름 200 : 광발생유닛
210 : 구동기판 220 : 발광다이오드
300 : 제어유닛 310 : 구동회로
400 : 수납용기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표적인 평판표시장치인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는 액정(Liquid Crystal)의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LCD)는 다른 표시장치에 비해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벼우며, 낮은 소비전력 및 낮은 구동전압에서 작동하는 장점을 갖고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의 광투과율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 어셈블리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back-light assembly)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은 복수의 단위화소들에 박막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된 제1 기판, 컬러필터가 형성된 제2 기판, 및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컬러필터는 상기 단위화소에 대응하여 복수의 색화소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색화소에는 적색 컬러필터, 녹색 컬러필터 및 청색 컬러필터 등이 있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영상을 표시하는데 필요한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light source)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에는 냉음극선관 램프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평판형광램프(Flat Fluorescent Lamp, FFL),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등이 대표적이다.
상기 광원들 중,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칩(chip)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고, 높은 휘도 및 낮은 소비전력 특성을 갖고, 이로 인해 최근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광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투과율을 높이면서 컬러필터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컬러 시퀀셜 디스플레이(Color Sequential Display; CSD) 방식의 액정표시장치가 개발되었다. 즉, CSD 방식의 액정표시장치는 컬러필터가 생략된 액정표시패널과, 적색 발광다이오드, 녹색 발광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를 각각 구동시키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CSD 방식의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응답속도가 빠르지 않으면 원하는 색이 완벽하게 구현되지 않는 단점을 갖기 때문에, 상기 액정표시패널로 OCB(optically compensated bend) 모드의 패널이 사용된다. 이때, 상기 OCB 모드의 패널은 제1 및 제2 기판의 배향 방향을 평행하게 하여 액정의 배향 상태를 스프레이(splay) 상태로 만든 후, 1.5V ~ 2V의 밴드(bend) 배향 전압을 인가하여 밴드(Bend) 상태로 만든 패널을 의미한다.
하지만, 상기 OCB 모드의 패널을 채용한 CSD 방식의 액정표시장치는 빠른 응답속도에도 불구하고 명암비(contrast ratio; CR)가 상당히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상기 액정표시장치가 낮은 명암비를 갖지 경우, 영상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발광다이오드의 구동방식을 변경하여 명암비를 향상시킴으로서, 영상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킨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표시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어셈블리, 광발생유닛 및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 어셈블리는 복수의 단위화소들로 이루어져,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광발생유닛은 상기 표시패널 어셈블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 어셈블리로 광을 제공하며, 상기 소정의 개수의 단위화소로 이루어진 단위그룹과 대응되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표시패널 어셈블리 및 상기 광발생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위화소들을 임의의 영역별로 개별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들을 임의의 영역별로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들은 일례로, 적색 발광다이오드, 녹색 발광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적색 발광다이오드, 녹색 발광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는 순차적으로 발광된다.
예를 들어, 상기 단위그룹은 하나의 단위화소로 이루어지거나, 9 개의 단위 화소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적색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적색 발생다이오드와 대응되는 표시패널의 단위화소들을 제어하여, 임의의 제1 영역 내에 적색을 표시하는 단계와, 녹색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녹색 발생다이오드와 대응되는 표시패널의 단위화소들을 제어하여, 임의의 제2 영역 내에 녹색을 표시하는 단계와, 청색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청색 발생다이오드와 대응되는 표시패널의 단위화소들을 제어하여, 임의의 제3 영역 내에 청색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패널의 단위화소들 및 발광다이오드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명암비를 향상시킴으로써, 영상의 표시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장치의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표시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500)는 표시패널 어셈블리(100), 광발생유닛(200), 제어유닛(300) 및 수납용기(400)를 포함하고, 영상을 외부로 표시한다.
표시패널 어셈블리(100)는 표시패널, 인쇄회로기판(140) 및 연성회로필름 (15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제1 기판(110), 제2 기판(120), 액정층(130)을 포함한다.
제1 기판(110)은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치되고, 투명하면서 도전성인 복수의 화소전극(pixel electrode)들과, 상기 각 화소전극에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들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각각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선(signal line)들을 포함한다.
상기 신호선들에는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 및 복수의 데이터 배선들이 있다. 상기 게이트 배선들 및 데이터 배선들은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그 결과 복수의 단위화소들이 형성된다. 상기 단위화소 내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화소전극이 형성된다.
제2 기판(120)은 제1 기판(110)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2 기판(120)은 전면에 배치되며 투명하면서 도전성인 공통전극(common electrode)을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의한 제2 기판(120)에는 컬러필터가 형성되지 않다.
액정층(130)은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화소전극 및 상기 공통전극의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하여 재배열된다. 재배열된 액정층(130)은 외부에서 인가된 광의 광투과율을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패널은 일례로, OCB(optically compensated bend) 모드의 패널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OCB 모드의 패널은 제1 및 제2 기판(110, 120)의 배향 방향을 평행하게 하여 액정의 배향 상태를 스프레이(splay) 상태로 만든 후, 일례로 1.5V ~ 2V의 밴드(bend) 배향 전압을 인가하여 밴드(Bend) 상태로 만든 패널을 의미한다. 그로 인해, 상기 OCB 모드의 패널은 높은 응답속도를 갖는다.
인쇄회로기판(140)은 신호를 처리하는 구동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회로는 외부에서 입력된 신호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로 변경시킨다. 인쇄회로기판(140)은 연성회로필름(150)이 밴딩됨에 따라, 제1 기판(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140)은 데이터 인쇄회로기판과 게이트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게이트 인쇄회로기판은 제1 기판(110) 및 연성회로필름(150)에 별도의 신호 배선을 형성함으로써, 생략되었다.
연성회로필름(150)은 인쇄회로기판(140)과 제1 기판(1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인쇄회로기판(140)에서 발생된 신호를 제1 기판(100)으로 제공한다. 연성회로필름(150)은 상기 신호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로 변경시키는 구동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성회로필름(150)은 예를 들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TCP) 또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 : COF)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칩은 연성회로필름(150)이 아닌 제1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광발생유닛(200)은 표시패널 어셈블리(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구동기판(210) 및 발광다이오드(220)를 포함한다.
구동기판(210)은 발광다이오드(2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배선(미도시) 및 발광다이오드(220)를 발광시키기 위한 전원배선(미도시)을 포함한다.
발광다이오드(220)는 구동기판(210) 상에 복수개로 배치되고, 상기 제어배선 과 연결되어 제어되며, 상기 전원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된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220)에는 일례로, 적색 발광다이오드, 녹색 발광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 등이 있다.
제어유닛(300)은 표시패널 어셈블리(100) 및 광발생유닛(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표시패널 어셈블리(100) 및 광발생유닛(200)을 제어한다.
제어유닛(300)은 구동회로(310), 제1 커넥터(320), 제2 커넥터(330) 및 제3 커넥터(340)를 포함한다.
구동회로(310)는 제1 커넥터(320)를 통해 외부의 메인 시스템(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커넥터(330)를 통해 표시패널 어셈블리(100)의 인쇄회로기판(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3 커넥터(340)를 통해 광발생유닛(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동회로(310)는 메인 시스템(50)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인가받아, 영상제어신호 및 광원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영상제어신호는 표시패널 어셈블리(100)로 인가되어, 상기 각 단위화소 내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임의의 영역별로 개별적으로 구동한다. 상기 광원제어신호는 광발생유닛(200)으로 인가되어, 발광다이오드(220)들을 임의의 영역별로 개별적으로 구동한다.
수납용기(400)는 바닥부(410) 및 바닥부(410)의 에지로부터 연장된 측부(4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바닥부(410) 및 측부(420)에 의해 수납용기(400)는 수납공간을 정의한다. 상기 수납공간에는 표시패널 어셈블리(100) 및 광발생유닛(200)이 수납된다. 이때, 제어유닛(300) 및 인쇄회로기판(140)은 수납용기(400)의 하부 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의 표시장치 중 발광다이오드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광발생유닛(20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220)들을 포함한다. 일례로, 발광다이오드(220)에는 적색 발광다이오드(R), 녹색 발광다이오드(G)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B) 등이 있다.
이때, 3행 4열로 배치된 발광다이오드(220)들은 하나의 단위블럭을 이루고, 이러한 단위블럭들은 매트릭스 형태로 반복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단위블럭의 1행에는 적색 발광다이오드(R), 녹색 발광다이오드(G), 청색 발광다이오드(B) 및 녹색 발광다이오드(G)의 순으로 배치되고, 상기 단위블럭의 2행에는 녹색 발광다이오드(G), 적색 발광다이오드(R), 녹색 발광다이오드(G)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B)의 순으로 배치되며, 상기 단위블럭의 3행에는 청색 발광다이오드(B), 녹색 발광다이오드(G), 적색 발광다이오드(R) 및 녹색 발광다이오드(G)의 순으로 배치된다.
도 4는 도 1의 표시장치 중 발광다이오드 및 단위화소와의 대응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220)들은 구동기판(210) 상에 배치된다. 발광다이오드(220)들의 상부에 배치된 제1 기판(110)에는 데이터 배선(DL)들 및 게이트 배선(GL)들이 서로 교차됨에 따라, 복수의 단위화소(112)들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위화소는 정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기판(210) 상에 배치된 발광다이오드(220)들 각각은 소정의 개수의 단위 화소(112)들과 대응된다.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220) 하나는 9개의 단위화소(112)들과 대응된다. 이때, 상기 9개의 단위화소(112)들은 3행 3열의 배치를 갖는다. 이와 다르게, 발광다이오드(220)들 각각은 하나의 단위화소(112)와 대응될 수 있다.
구동기판(210) 상에 배치된 발광다이오드(220)들은 제어유닛(300)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된다. 예를 들면, 제어유닛(300)은 발광다이오드(220)들 중 일부를 발광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발광시키기 않을 수 있다.
이와 대응하여, 제1 기판(110)의 단위화소(112)들도 제어유닛(300)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된다. 즉, 제어유닛(300)은 단위화소(112)들 내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개별적으로 구동한다. 예를 들면, 제어유닛(300)은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제어하여 단위화소(112)들 중 일부로 광을 투과시키거나, 나머지 일부로 광을 차단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어느 하나의 발광다이오드(220)가 발광한 경우, 상기 발광다이오드(220)와 대응되는 9개의 단위화소들 중 일부는 광을 투과시키고, 다른 일부는 광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300)은 적색 발광다이오드(R)들, 녹색 발광다이오드(G)들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B)들은 순차적으로 발광시킨다. 예를 들어, 제어유닛(300)은 우선 적색 발광다이오드(R)들을 발광시키고, 이어서 녹색 발광다이오드(G)들을 발광시키며, 마지막으로 청색 발광다이오드(B)들을 발광시킨다. 제어유닛(300)은 이와 같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순으로 반복하여 발광시킨다. 이때, 적색 발광다이오드 (R)들, 녹색 발광다이오드(G)들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B)들은 각각 60Hz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유닛(300)이 광발생유닛(200)의 발광다이오드(220)들 및 표시패널 어셈블리(100)의 단위화소(112)를 개별적으로 구동함에 따라, 광이 투과되는 영역과 광이 차단되는 영역이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고, 그 결과 명암비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의 실시예>
도 1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500)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으로, 우선 적색 발광다이오드(R) 및 이와 대응되는 표시패널의 단위화소(112)들을 제어하여, 임의의 제1 영역 내에 적색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체의 적색 발광다이오드(R)들 중 상기 제1 영역 내의 제1 적색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제1 영역 내외에 걸쳐 있는 제2 적색 발광다이오드를 선택적으로 발광한다. 이때, 상기 제1 영역에만 적색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영역의 외각에서 발생된 적색광은 차단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적색 발광다이오드와 대응되는 단위화소(112)들 중 상기 제1 영역의 외각에 배치된 단위화소(112)들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영역의 외각에서 발생된 적색광이 투과되는 것을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적색 발광다이오드를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것과 상기 제1 영역의 외각에 배치된 단위화소(112)들을 제어하여 광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영역에 적색을 표시한 후, 녹색 발광다이오드(G) 및 이와 대응되는 표시패널의 단위화소(112)들을 제어하여, 임의의 제2 영역 내에 녹색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체의 녹색 발광다이오드(G)들 중 상기 제2 영역 내의 제1 녹색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제2 영역 내외에 걸쳐 있는 제2 녹색 발광다이오드를 선택적으로 발광한다. 이때, 상기 제2 영역에만 녹색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 영역의 외각에서 발생된 녹색광은 차단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2 녹색 발광다이오드와 대응되는 단위화소(112)들 중 상기 제2 영역의 외각에 배치된 단위화소(112)들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 영역의 외각에서 발생된 녹색광이 투과되는 것을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녹색 발광다이오드를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것과 상기 제2 영역의 외각에 배치된 단위화소(112)들을 제어하여 광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청색 발광다이오드(B) 및 이와 대응되는 표시패널의 단위화소(112)들을 제어하여, 임의의 제3 영역 내에 청색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체의 청색 발광다이오드(B)들 중 상기 제3 영역 내의 제1 청색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제3 영역 내외에 걸쳐 있는 제2 청색 발광다이오드를 선택적으로 발광한다. 이때, 상기 제3 영역에만 청색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3 영역의 외각에서 발생된 청색광은 차단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청색 발광다이오드와 대응되는 단위화소(112)들 중 상기 제3 영역의 외각에 배치된 단위화소(112)들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3 영역의 외각에서 발생된 청색광이 투과되는 것을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청색 발광다이오드를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것과 상기 제3 영역의 외각에 배치된 단위화소(112)들을 제어하여 광의 이 동을 차단하는 것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단계를 표시장치(500)가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서, 원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적색 발광다이오드(R)들, 녹색 발광다이오드(G)들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B)들은 각각 60Hz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색 발광다이오드(R)들, 녹색 발광다이오드(G)들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B)들 순으로 발광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순서로 발광될 수도 있다.
이하, 별도의 도면을 이용하여 상기 서술된 구동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는 본 실시예의 구동방법에 따라 표시된 영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 내지 도 5d는 도 5a의 영상을 표현하기 위해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를 순차적으로 발광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동방법에 따라 표시장치(500)에 표시된 영상은 일례로, 중앙영역(1AE)에 청색이 표현되고, 외각영역(2AE)에 적색을 표현된다. 이때, 중앙영역(1AE)은 외각영역(2AE)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적색 발광다이오드(R) 및 이와 대응되는 표시패널의 단위화소(112)들을 제어하여, 외각영역(2AE) 내에 적색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각영역(2AE)내의 제1 적색 발광다이오드 및 외각영역(2AE) 내외에 걸쳐 있는 제2 적색 발광다이오드를 선택적으로 발광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적색 발광다이오드 중 중앙영역(1AE)과 오버랩되는 부분(a)은 상기 오버랩되는 부분(a)과 대응되는 단위화소(112)들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적색광이 투과되는 것을 차단한다. 여기서, 도 5b에서는 선택적으로 발광된 상기 제1 및 제2 적색 발광다이오드를 R로 표시하고, 발광되지 않은 이외의 적색 발광다이오드는 어떤 표시도 하지 않았다.
도 5c를 참조하면, 외각영역(2AE)에 적색을 표현한 후, 녹색 발광다이오드를 발광시킬 시간 때, 어떠한 녹색 발광다이오드도 구동시키지 않는다. 즉, 어느 영역에도 녹색을 표현하지 않는다.
도 5d를 참조하면, 이어서, 청색 발광다이오드(B) 및 이와 대응되는 표시패널의 단위화소(112)들을 제어하여, 중앙영역(1AE) 내에 청색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중앙영역(1AE)내의 제1 청색 발광다이오드 및 중앙영역(1AE) 내외에 걸쳐 있는 제2 청색 발광다이오드를 선택적으로 발광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청색 발광다이오드 중 외각영역(2AE)과 오버랩되는 부분(b)은 상기 오버랩되는 부분(b)과 대응되는 단위화소(112)들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청색광이 투과되는 것을 차단한다. 여기서, 도 5d에서는 선택적으로 발광된 상기 제1 및 제2 청색 발광다이오드를 B로 표시하고, 발광되지 않은 이외의 적색 발광다이오드는 어떤 표시도 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단계로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발광다이오드(220)들 및 단위화소(112)들을 제어함으로써, 도 5a에 표시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다이오드(220)들 및 단위화소(112)들을 개별적으로 구동하여, 임의의 영역으로 광을 투과시키고, 그 이외의 영역에서는 광을 차단시킴 으로써, 원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유닛이 광발생유닛의 발광다이오드들 및 표시패널의 단위화소를 개별적으로 구동함에 따라, 광이 투과되는 영역과 광이 차단되는 영역이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고, 그 결과 명암비를 보다 증가시켜 영상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복수의 단위화소들로 이루어져,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어셈블리;
    상기 표시패널 어셈블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 어셈블리로 광을 제공하며, 상기 소정의 개수의 단위화소로 이루어진 단위그룹과 대응되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들을 구비하는 광발생유닛; 및
    상기 표시패널 어셈블리 및 상기 광발생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위화소들을 임의의 영역별로 개별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들을 임의의 영역별로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들은 적색 발광다이오드, 녹색 발광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발광다이오드, 녹색 발광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는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발광다이오드, 녹색 발광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 각각은 60Hz로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그룹은 하나의 단위화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그룹은 9 개의 단위화소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단위화소들 내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갖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대향되도록 배치된 제2 기판;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
    상기 제어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인가된 영상제어신호를 상기 단위화소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로 변경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성회로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발생유닛은 상기 발광다이오드로 전원을 제공하는 구동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적색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적색 발생다이오드와 대응되는 표시패널의 단위 화소들을 제어하여, 임의의 제1 영역 내에 적색을 표시하는 단계;
    녹색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녹색 발생다이오드와 대응되는 표시패널의 단위화소들을 제어하여, 임의의 제2 영역 내에 녹색을 표시하는 단계;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청색 발생다이오드와 대응되는 표시패널의 단위화소들을 제어하여, 임의의 제3 영역 내에 청색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내에 적색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 내의 제1 적색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제1 영역 내외에 걸쳐 있는 제2 적색 발광다이오드를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적색 발광다이오드와 대응되는 상기 표시패널의 단위화소들 중 상기 제1 영역의 외각에 배치된 단위화소들을 제어하여 광의 이동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적색 발광다이오드를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영역의 외각에 배치된 단위화소들을 제어하여 광의 이동을 차단하는 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 내에 녹색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영역 내의 제1 녹색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제2 영역 내외에 걸쳐 있는 제2 녹색 발광다이오드를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녹색 발광다이오드와 대응되는 상기 표시패널의 단위화소들 중 상기 제2 영역의 외각에 배치된 단위화소들을 제어하여 광의 이동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녹색 발광다이오드를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영역의 외각에 배치된 단위화소들을 제어하여 광의 이동을 차단하는 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 내에 청색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영역 내의 제1 청색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제3 영역 내외에 걸쳐 있는 제2 청색 발광다이오드를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청색 발광다이오드와 대응되는 상기 표시패널의 단위화소들 중 상기 제3 영역의 외각에 배치된 단위화소들을 제어하여 광의 이동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청색 발광다이오드를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단계와, 상기 제3 영역의 외각에 배치된 단위화소들을 제어하여 광의 이동을 차단하는 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들 각각은 9 개의 단위화소들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50122359A 2005-12-13 2005-12-13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Ceased KR2007006268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359A KR20070062681A (ko) 2005-12-13 2005-12-13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11/548,539 US20070132707A1 (en) 2005-12-13 2006-10-11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359A KR20070062681A (ko) 2005-12-13 2005-12-13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681A true KR20070062681A (ko) 2007-06-18

Family

ID=3817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2359A Ceased KR20070062681A (ko) 2005-12-13 2005-12-13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132707A1 (ko)
KR (1) KR200700626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1145B2 (en) * 2005-11-01 2011-12-20 Lumino Licht Elektronik Gmbh Display device
TWI365013B (en) * 2008-05-23 2012-05-21 Au Optronics Corp Flat panel display
KR101494849B1 (ko) * 2008-06-13 2015-0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10242120A1 (en) * 2010-03-31 2011-10-06 Renesas Technology Corp. Display apparatus and driviing device for displaying
US10885302B2 (en) * 2019-03-26 2021-01-05 Innolux Corporation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to receive fingerprint data
EP4147090A1 (en) 2020-05-08 2023-03-15 Snap Inc. Integrated display module or apparatus and methods for operating and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1560A (en) * 1995-04-18 2000-08-29 Cambridge Display Technology Limited Display with a light modulator and a light source
US6621482B2 (en) * 2000-05-15 2003-09-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arrangement with backlight means
JP2002169184A (ja) * 2000-11-30 2002-06-14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US6888529B2 (en) * 2000-12-12 2005-05-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ntrol and drive circuit arrangement for illumination performance enhancement with LED light sources
US20020154137A1 (en) * 2001-02-21 2002-10-24 See-Rt Technology Ltd. Transmission of digital data from a screen
US7064740B2 (en) * 2001-11-09 2006-06-2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Backlit display with improved dynamic range
US7052152B2 (en) * 2003-10-03 2006-05-30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LCD backlight using two-dimensional array LEDs
KR20060064209A (ko) * 2004-12-08 2006-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JP2006323073A (ja) * 2005-05-18 2006-11-30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US7511696B2 (en) * 2006-03-15 2009-03-3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isplay with reduced power light sou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32707A1 (en) 200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4236B1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KR101804466B1 (ko) 청색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293949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20080074902A1 (en) Lcd backlight assembly with leds
KR20080051499A (ko) 광원모듈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7306357B2 (en) Line light source using light emitting diode and lens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JP5442183B2 (ja) 光発生装置とそ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並びに表示装置の表示パネルの色再現性を向上させる方法
US20080144334A1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light source unit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US2012007555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light emitting assembly with light transmission control elements for illuminating same
KR20090074478A (ko) 표시 장치용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8294660B2 (en) Bl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596791B1 (ko) 백라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200888A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KR20060000817A (ko) 화질이 향상된 액정표시소자
KR20110037331A (ko) 액정표시장치
KR2021004276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구동 방법
US20090284181A1 (en) Backlight unit assembly,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imming the display device
US2007013270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06164935A (ja) 光発生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
KR101205535B1 (ko) 광원 구동 장치,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광원 구동 방법
US20120175650A1 (en) Illumina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160069469A (ko)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JP2020187179A (ja) 表示装置
KR20090060626A (ko) 광원 모듈과 이의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80054507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의 구동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12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12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1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10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